KR20110053531A - Nail clipper with detachable nail cutter - Google Patents

Nail clipper with detachable nail cu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531A
KR20110053531A KR1020090110098A KR20090110098A KR20110053531A KR 20110053531 A KR20110053531 A KR 20110053531A KR 1020090110098 A KR1020090110098 A KR 1020090110098A KR 20090110098 A KR20090110098 A KR 20090110098A KR 20110053531 A KR20110053531 A KR 2011005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ousing
nail
nail clippe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43904B1 (en
Inventor
김상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쎄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쎄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쎄븐
Priority to KR102009011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904B1/en
Priority to CN2009102506750A priority patent/CN102058229B/en
Publication of KR2011005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Nail clippers having a detachable blade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use nail clippers having different types of blades. CONSTITUTION: Nail clippers having a detachable blade comprises: a body(100) which provides a grip part and in which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open groove is formed to the front thereof; a supporting shaft(300) which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through the open groov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guides the body in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open groove; a pressing member which contracts and expands the open groove by pressing the body from the top; and a blade(500) cutting nails.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nail clipper with detachable nail cutter}Nail clipper with detachable nail cutter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깍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에 대한 날체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공공시설에서 위생적인 손톱소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blade to the body so that hygienic nail cleaning can be made in public facilities.

일반적으로 손톱깎이는 사람의 손톱과 발톱을 적당한 길이로 자르는 기구로서, 현대인의 위생도구 중,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 중의 하나이다.In general, the nail clipper is a tool that cuts the nails and toenails of a person to an appropriate length, and is one of the essentials among modern hygiene tools.

사람은 살아가는 동안, 손톱 및 발톱이 자라게 되는데, 일정 길이 이상으로 자라난 손톱 및 발톱은 일상 생활에서 매우 불편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매우 비위생적인 느낌을 갖게 한다.During a person's life, nails and toenails grow, and nails and toenails that grow over a certain length not only provide very uncomfortable feelings in daily life, but also make aesthetically unsanitary.

이에 따라, 손톱 및 발톱의 관리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앞서 말한 손톱깎이이다.Accordingly, the care of nails and toenails should be done periodically, and what is necessary for this is the aforementioned nail clipper.

이때, 손톱깎이는 통상적으로 쓰이는 표현으로서, 손톱뿐만 아니라 발톱을 깎을 때에도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nail clipper is a commonly used expression, and is used to cut not only nails but also toenails.

물론,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손톱 및 발톱은 각각 별도의 손톱깎이를 이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for hygienic use, it is preferable that each nail and toenail use a separate nail clipper.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손톱깎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nail clipp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 1.

종래의 손톱깎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2겹으로 된 몸체(1)의 선단에 각각 절단날(2,3)이 형성되고, 이 몸체(1)의 선단 상부에 형성된 관통구멍(2a)에는 지지축(4)이 수직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nail clipper, as shown in FIG. 1, cutting edges 2 and 3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two-ply body 1 having elastic force, an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ody 1, respectively. The support shaft 4 is vertically fitted and fixed to 2a.

이 지지축(4)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호표시하지 않음)에는 선단에 두꺼운 지지부가 형성되어 지렛대역할을 하는 누름판(5)이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5)의 한쪽면에는 손톱을 깎을 때, 상기 누름판(5)을 누르는 손가락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손톱을 깎은 후 손톱의 선단부를 연마할 수 있도록 줄칼(5a)이 형성되어 있다.A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4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late 5 coupled to a lever to form a thick support portion at the tip, and nails on one side of the pressing plate 5. When shaving, a filing knife 5a is formed to prevent the finger pressing the pressing plate 5 from slipping and to polish the tip of the nail after shaving the nail.

이와 같이 구성된 손톱깎이는 상기 누름판(5)을 몸체(1)측으로 누르면 2겹으로 된 몸체(1)가 밀착되면서 몸체(1)의 선단에 서로 대응해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절단날(2,3)이 맞물리면서 손톱이나 발톱 등을 잘라내도록 구성되어 있었다.The nail clipp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upper and lower cutting blades 2 and 3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on the front end of the body 1 while pressing the pressing plate 5 toward the body 1 side. It was designed to cut nails and toenails while interlocking.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손톱깎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nail clipp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손톱깍이는 손톱 또는 발톱을 소제하기 위한 도구로서, 관리 역시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nail clipper is a tool for cleaning nails or toenails, and it is preferable that care is also made hygienically.

하나의 손톱깎이를 이용해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It is not hygienically desirable to use a large number of people with one nail clipper.

특히, 이,미용실이나 목욕탕 등의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 공용으로 이용되는 경우,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더욱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used in common by many people in public places, such as beauty salons and baths, there was a more unsanitary disadvantage because the management is not done properly.

물론, 손톱깎이를 주기적으로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교체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Of course, the nail clippers may be replaced by new ones periodically, but there is a problem of low economical cost because the replacement cost is high.

둘째, 사용자에 따라, 형태가 다른 날체의 손톱깎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econd, according to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use a different type of nail clippers.

즉, 유아용 손톱깎이의 날체와 성인용 손톱깎이의 날체가 다르게 제공되어야 했던 것이다.That is, the blades of the nail clippers for children and the blades of the nail clippers for adults had to be provided differently.

물론, 각각의 손톱깎이가 제공되고 있기는 하지만, 관리가 힘들고 분실될 경우 손톱깎이 전체를 구입해야하는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Of course, although each nail clipper is provided, there is an economic problem of having to purchase the entire nail clipper if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lost.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톱 또는 발톱을 자르기 위한 부위인 날체만을 독립적으로 구성한 후,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경제성이 높은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ependently configure only the blade, which is a part for cutting nails or toenails, and then detachable to the body can be used hygienically as well as partial replac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economical blade as high as possible.

이를 위해, 손으로 파지활 수 있는 파지부위를 제공하며, 상방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는 개구홈이 전방을 향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개구홈을 통해 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개구홈의 수축 및 팽창시 몸체를 가이드하는 지지축;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지레작용으로 몸체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개구홈을 수축 및 팽창시키는 누름부재;상기 몸체의 개구홈을 통해 출입되며, 상,하 마주하는 절단날이 개구홈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상호 작용되면서 손톱을 절단하는 날체:를 포함하되,상기 날체는,개구홈으로 출입되는 과정에서 지지축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이 개구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날체와 몸체 사이에는 상호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수단이 설치된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ipping portion that can be gripped by hand, and a body having an opening groove contracted and expanded by a pressing force upwardly is formed toward the front; A support shaft for guiding the body during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opening groov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the pressing member for contracting and expanding the opening groove by pressing the body from above by a lever action; , The cutting blade facing the upper and lower, the blade for cutting the nail while interacting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opening groove, including, the blade, the rear open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upport shaft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opening groove To form a guide groove and provide 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having a coupling means installed therebetween so that the blade and the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는 손으로 파지활 수 있는 파지부위를 제공하며, 전방 저면에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결합공간에 배치되며, 전방을 향해 형성된 개구홈을 갖고 몸체의 가압에 의해 개구홈이 수축 및 팽창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저면 및 개구홈을 통해 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개구홈의 수축 및 팽창시 몸체를 가이드하는 지지축;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지레작용으로 몸체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개구홈을 수축 및 팽창시키는 누름부재;상기 하우징의 개구홈을 통해 출입되며, 상,하 마주하는 절단날이 개구홈의 수축 및 팽 창에 의해 상호 작용되면서 손톱을 절단하는 날체:를 포함하되,상기 날체는,개구홈으로 출입되는 과정에서 지지축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이 개구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날체와 몸체 사이에는 상호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수단이 설치된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ipping portion that can be gripped by hand, the front bottom surface body having a coupling space formed; is disposed in the coupling space of the body, has an opening groove formed toward the front pressure of the body A housing in which the opening groove is contracted and expanded by the housing;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rough the bottom and the open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a support shaft for guiding the body during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opening groove; A pressing member which contracts and expands the opening groove by pressurizing the body upward from the upper body;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open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cutting edges facing up and down interact with each other by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opening groove. Blade for cutting: including, the blade, the rear opening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upport shaft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opening groove, forming a guide groove, the blade and the body Between There allow for adequate bonding to each other to provide a nail clipper having a releasable nalche the coupling means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깍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손톱 또는 발톱을 자르기 위한 날체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몸체에 탈착시킬 수 있음으로써, 언젠든지 날체를 쉽게 교체할 수 가 있다.The blades for cutting nails or toenails can be independently configured and detached to the body, so that the blades can be easily replaced at any time.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도 손톱깍이의 사용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 of nail clippers can be made hygienically in public places.

또한, 독립적으로 구성된 날체만을 교체하기 때문에 부분 교체에 따는 교체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blades that are independently configured are replaced, replacement costs are reduced according to partial replacement, thereby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이하 '손톱깎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D (hereinafter, referred to as 'nail clipper').

손톱깎이는 몸체(100)와, 하우징(200)과, 지지축(300)과, 누름부재(400)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한 날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ail clipp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100, a housing 200, a support shaft 300, a pressing member 400, and a blade 500 detachable to the housing.

몸체(100)는 각종 구성이 설치되는 중심이 되는 부위이며, 누름부재(400)가 누름작용을 할 때 지지되는 부위이다.Body 100 is a portion that is the center of the various components are installed, the pressing member 400 is a portion that is supported when the pressing action.

이때, 몸체(10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몸체(100)의 선단부에는 지지축(300)이 결합되기 위한 축공(100a)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body 100 is preferably made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to facilitate the user's grip, the shaft hole (100a) for the support shaft 30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dy 100 is formed.

또한, 몸체(100)의 전방 저면에는 하우징(200)이 배치되기 위한 결합공간(100b)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coupling space 100b is formed on the front bottom of the body 100 to arrange the housing 200.

한편, 몸체(100)의 저면 중, 축공(100a)의 둘레에는 복수의 구속홈(11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f the bottom of the body 100, a plurality of restraint grooves 110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shaft hole (100a).

상기 구속홈(100)은 하우징(200)의 회전각도를 구속하기 위함이다.The restraint groove 100 is to restrain the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 200.

즉, 하우징(20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후, 더 이상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돌기(후술하기로 함)가 결합되는 부위인 것이다.That is, after the housing 2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a portion to which the restraining protrusion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prevent further flow.

다음으로, 하우징(200)은 날체(500)가 탈착되는 부위이며, 손톱을 깎기 위한 최적의 각도를 위해 몸체(100)의 저면 상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Next, the housing 200 is a portion where the blade 500 is detached, and is installed to rotate on the bottom of the body 100 for an optimal angle for cutting nails.

상기 하우징(200)은 몸체(100)의 결합공간(100b)에 배치되며, 지지축(300)에 축 결합된다.The housing 200 is disposed in the coupling space 100b of the body 100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300.

그리고, 하우징(200)은 날체(50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전방을 향해 개구홈(21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200 is formed with an opening groove 210 toward the front to allow the blade 500 to enter and exit.

이때, 개구홈(210)의 크기는 날체(500)의 크기와 대등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opening groove 210 is formed to be equivalent to the size of the blade (500).

또한, 하우징(200)의 측면 역시 개구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housing 200 is also preferably opened.

이는, 날체(500)의 탈착시 날체(500)에 대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 다.This is to facilitate gripping on the blade 500 when the blade 500 is detached.

이때, 하우징(200)의 선단부에는 몸체(100)의 축공(100a)에 대응된 축공(200a)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haft hole 200a corresponding to the shaft hole 100a of the body 10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00.

이때, 하우징(200)에 형성된 축공(200a) 역시 지지축(300)이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다.At this time, the shaft hole (200a) formed in the housing 200 is also a portion for the support shaft 300 is coupled.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00)의 재질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이며, 하우징(200)을 가압함에 따라 개구홈(210)은 수축 또는 팽창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housing 2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metal having an elastic force, the opening groove 210 is contracted or expanded as the housing 200 is pressed.

즉, 하우징(200)은 몸체(100)의 결합공간(100b)에 배치되어 몸체(100)가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홈(210)은 수축이 되거나, 팽창되는 것이다.That is, the housing 200 is disposed in the coupling space 100b of the body 100 and the opening groove 210 of the housing 200 is contracted or expanded by a force pressed by the body 100.

그리고, 하우징(200)의 폭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체(500)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체(500)의 폭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And, the width of the housing 200 may be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500 as shown in Figures 5a and 5b, as shown in Figure 5c and 5d in the width of the blade 500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at.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폭이 날체(500)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200)의 양측으로 날체(500)의 일부가 노출되므로, 하우징(200)의 개구홈(210)으로의 날체(500) 출입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해진다.5A and 5B, as the width of the housing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500, a portion of the blade 500 is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so that the housing 200 may be exposed. When the blade 500 enters and exits the opening groove 210, the user's grip is facilitated.

특히,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후단부 폭이 하우징(200)의 선단부 폭에 비해 더 좁게 형성됨으로써, 날체(500)의 탈거시, 상기 날체(500)를 후단부로부터 밀어낼 수가 있어서 더욱 용이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5b, the width of the rear end of the housing 200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00, when removing the blade 500, the blade 500 from the rear end It can be pushed out, making it easier.

한편,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폭을 날체(500)의 폭에 비해 넓게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이유는 날체(500)의 대부분을 차폐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5C and 5D, the width of the housing 200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500. For this reason, a large appearance of the blade 500 may be shielded to provide a clean appearance. To provide it.

이때, 날체(500)의 전부가 차폐되지는 않으며, 날체(50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선단부 폭 또는 하우징(200)의 후단부 폭은 비교적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not all of the blade 500 is shielded, the width of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00 or the width of the rear end of the housing 2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relatively narrow so that a portion of the blade 500 is exposed.

즉, 날체(500)의 일부를 노출시켜 날체(500)의 탈착에 대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at is, to expose a part of the blade 500 to facilitate gripping for detachment of the blade 500.

그리고, 하우징(200)의 상면 중, 몸체(100)의 구속홈(110)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구속돌기(220)가 형성된다.The restraint protrusion 220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corresponding to the restraint groove 110 of the body 100.

상기 구속돌기(220)는 하우징(200)의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restraining protrusion 22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200.

그리고,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결합공(230)이 형성된다.Then, the coupling hole 2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상기 결합공(230)은 후술하는 날체(500)의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며, 상호 간에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coupling hole 230 is a portion for fitting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lade 50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the mutual coupling.

다음으로, 지지축(300)은 누름부재(400)에 의해 몸체(100)가 가압될 때, 몸체(100) 및 하우징(200)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몸체(100) 및 하우징(200)의 축공(100a,200a)에 결합된다.Next, the support shaft 300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ody 100 and the housing 200 when the body 100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400, the body 100 and the housing 200 of the It is coupled to the shaft hole (100a, 200a).

즉, 지지축(300)은 하우징(200)의 축공(200a) 및 몸체(100)의 축공(100a)을 통과해 몸체(100)의 상면에 노출되며, 지지축(300)의 노출된 부위에는 누름부재(400)의 선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That is, the support shaft 300 passes through the shaft hole 200a of the housing 200 and the shaft hole 100a of the body 100, and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is exposed to the exposed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300. The front end of the pressing member 400 is provided to be coupled.

다음으로, 누름부재(400)는 몸체(100)를 가압하기 위한 부위이며, 사용자의 누름작용에 의해 몸체(10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Next, the pressing member 400 is a portion for pressing the body 100, and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by the user's pressing action.

이때, 누름부재(400)의 선단부는 지지축(300) 상에서 회전 및 반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누름부재(400)의 후단부는 사용자의 누름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몸체(100)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pressing member 400 is coupled to be rotated and inverted on the support shaft 300,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mber 400 is horizontal to the body 100 so that the user's pressing action can be made effectively Preferably formed.

다음으로, 날체(500)는 손톱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독립체로 구성된다.Next, the blade 500 serves to cut the nail, and is no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as shown in FIG. 1, but is configured as a separate entity as shown in FIGS. 2 and 3.

이때, 날체(500)는 하우징(200)의 개구홈(210)을 통해 출입되도록 제공된다.At this time, the blade 500 is provided to enter and exit through the opening groove 210 of the housing 200.

이를 위해, 날체(500)의 외관은 히우징(200)의 내측 형태에 대응되며, 하우징(200)을 관통한 지지축(300)에 간섭되지 않도록, 날체(500)에는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절개된 가이드홈(510)이 형성된다.To this end, the outer appearance of the blade 500 corresponds to the inner shape of the housing 2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upport shaft 300 through the housing 200, the blade 500 from the rear end toward the tip portion A cut guide groove 510 is formed.

이때, 가이드홈(510)은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00)에 대응된 부위는 지지축(30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부위는 지지축(300)의 직경에 비해 약간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510 is shown in Figure 6a to 6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haft 300 is made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300,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 It may be formed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300).

또한, 가이드홈(510)은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510) 전체의 직경이 지지축(30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510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300, the diameter of the entire guide groove 510, as shown in Figure 7a to 7d.

한편, 날체(500)는 상,하로 승강되는 상호작용에 의해 손톱을 절단하며, 상부날(520)과 하부날(530)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500 cuts the nail by the interaction of lifting up and down, it is composed of the upper blade 520 and the lower blade 530.

이때, 날체(500)는 탄성력에 의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상부날(520)과 하부날(530)의 후단부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blade 500 is interaction by the elastic force, the rear end of the upper blade 520 and the lower blade 530 i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날체(500)의 형태는 선단부의 상,하 승강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날체(500)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로 갈수록 점점 경사가 커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Such a shape of the blade 500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increases gradu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blade 500 toward the tip so that the up and down lifting effect of the tip por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한편, 날체(500)의 상부날(520) 상면에는 결합돌기(54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rotrusion 5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ade 520 of the blade 500.

결합돌기(540)는 날체(500)가 하우징(200)의 개구홈(210)을 통해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200)에 형성된 결합공(230)에 삽입되어 날체(5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Coupling protrusion 5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0 formed in the housing 200 when the blade 50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groove 210 of the housing 200 to prevent the flow of the blade 500 It is for.

이때, 결합돌기(540)는 도 6a, 도 6b, 도 7a,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51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540 is preferably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guide groove 510, as shown in Figures 6a, 6b, 7a, 7b.

또한, 결합돌기(540)는 도 6c, 도 6d, 도 7c,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510)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날체(5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540 may be formed in plur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500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510 as shown in Figure 6c, 6d, 7c, 7d.

이와 같이 결합돌기(540)가 복수로 형성되면, 하우징(200) 상에서 날체(500)의 위치를 길이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540 are formed, the position of the blade 500 on the housing 200 may be ch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따라, 상부날(520)과 하부날(530)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blade 520 and the lower blade 530 can be adjusted.

즉, 상부날(520)과 하부날(530)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손톱의 두께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blade 520 and the lower blade 530 is adjusted, i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nail.

한편, 상기 날체(500)의 상면에는 도 6b, 도 6d, 도 7b,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550)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groove 5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500 as shown in Figure 6b, 6d, 7b, 7d.

이는, 하우징(200)의 폭이 날체(500)의 폭에 비해 작게 형성될 경우, 날체(500)가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하우징(200)의 양단부가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sure that when the width of the housing 20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500, both ends of the housing 200 are fitted in the process that the blade 5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즉, 슬라이딩홈(550)의 폭은 하우징(200)의 폭에 대응된 크기로 이루어진 것이다.That is, the width of the sliding groove 550 is made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housing 200.

한편, 상기 날체(500)의 양측에는 각각 격벽(56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partitions 56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500, respectively.

상기 격벽(560)은 손톱 절단시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하우징(200)에 날체(50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partition wall 560 serves to prevent scattering during nail cutting, and to facilitate gripping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blade 500 to the housing 200.

즉, 날체(500)의 측면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That is, the gripping contact area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blade 500 is increased to facilitate the gripping of the user.

이때, 격벽(560)은 상부날(520)과 하부날(530)에 각각 형성되며, 그의 형태는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560 is formed on the upper blade 520 and the lower blade 530, respectively, its shape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ure 8a to 8e.

도 8a 및 도 8b는 격벽(560)의 형태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태이며, 도 8c 및 도 8d는 날체(500)의 길이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격벽(560)이 복수로 형성된 것이다.8A and 8B show that the partition wall 560 is convexly rounded outward, and FIGS. 8C and 8D show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560 convexly rou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500.

그리고, 도 8e는 상부날(520)의 격벽(560)과 하부날(530)의 격벽(560)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여 파지 면적을 넓힐 수 있는 형태이다.In addition, FIG. 8E is a form in which the partition wall 560 of the upper blade 520 and the partition wall 560 of the lower blade 530 overlap each other to increase the gripping area.

한편, 날체(500)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날체와 유아들이 사용할 수 있는 날체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500 may be divided into two generally used blades and blades that can be used by infants.

지금까지 설명한 형태의 날체(500)가 일반용이라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 된 날체는 유아들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If the blade 500 of the form described so far is for general use, the blade shown in Figures 9a and 9b is a form that can be used by infants.

유아용 날체(600)는 상부날(610)에 전,후를 관통하는 절단공(611)이 형성되며, 하부날(620)은 상부날(610)의 배면을 향해 승강되도록 이루어진다.The infant blade 600 has a cutting hole 611 penetrating before and after the upper blade 610, the lower blade 620 is made to be elevated toward the back of the upper blade 610.

이때, 하부날(620)은 손톱에 대한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정면에서 봤을 때 경사지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blade 620 is formed to be inclin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o smoothly cut the nail.

또한, 하부날(620)은 상부날(610)의 배면에 원활하게 대응되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blade 620 is preferably rounded when viewed from the side to smoothly correspon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blade 61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손톱을 상부날(610)의 절단공(611)에 삽입시킨 후, 하부날(620)로 하여금 절단공(611)을 통해 노출된 손톱의 단부를 잘라내게 한 것이다.By such a configuration, after inserting the nail into the cutting hole 611 of the upper blade 610, the lower blade 620 is to cut the end of the nail exposed through the cutting hole 611.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손톱깎이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and the action of the nail clipp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지지축(300)은 하우징(200)의 축공(200a) 및 몸체(100)의 축공(100a)을 통과하여 몸체(100)의 상면에 노출되며, 누름부재(400)의 선단부는 상기 지지축(300)에 회전 및 반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support shaft 300 passes through the shaft hole 200a of the housing 200 and the shaft hole 100a of the body 100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tip of the pressing member 400 is exposed to the support shaft ( 300 is coupled to enable rotation and inversion.

이때, 하우징(200)은 몸체(100)의 저면 상에서 지지축(30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using 200 may be rotated about the support shaft 30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즉, 하우징(200)은 회전되어 사용자가 손톱을 깎기 위한 날체(500)의 최적 각도를 제공해주는 것이다.That is, the housing 200 is rotated to provide an optimal angle of the blade 500 for the user to cut the nail.

이때, 하우징(200)에 형성된 구속돌기(220)는 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복 수의 구속홈(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하우징(2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straining protrusion 220 formed in the housing 20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estraining grooves 11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100 to prevent the flow of the housing 200.

이후, 날체(500)를 하우징(200)의 개구홈(210)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결합시킨다.Thereafter, the blade 5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 through the opening groove 210 of the housing 200.

이때, 날체(500)는 가이드홈(510)에 의해 지지축(300)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하우징(200)의 개구홈(210)로 삽입되고, 날체(500)에 형성된 결합돌기(540)는 하우징(200)에 형성된 결합공(230)에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blade 5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groove 210 of the housing 200 by avoiding the interference with the support shaft 300 by the guide groove 510, the coupling protrusion 540 formed in the blade 5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0 formed in the housing 200.

이때, 하우징(200)에 의해 날체(500)가 차폐되는 경우에는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우징(20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날체(500)의 슬라이딩홈(550)을 따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lade 500 is shielded by the housing 200, a neat appearance may be provided, and when the housing 200 is small, the blade 200 may be easily coupled along the sliding groove 550 of the blade 500. Can be.

게다가, 노출된 날체(500)로 인해 날체(500)에 대한 탈거시 파지가 용이한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posed blade 500 has the advantage of easy gripping when removing the blade 500.

한편, 날체(500)에는 결합돌기(540)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upling protrusion 540 may not be formed in the blade 500.

즉, 결합돌기(540)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날체(500)의 상부날(520)과 하부날(530)이 이루는 탄성력만으로도 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coupling protrusion 540 is not formed, it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200 only by the elastic force formed by the upper blade 520 and the lower blade 530 of the blade 500.

한편, 이와 같이 결합된 손톱깎이는 도 3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이후, 누름부재(400)를 반전시켜 지레작용을 통해 누름부재(400)로 하여금 몸체(100)를 가압한다.On the other hand, the nail clippers combin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through FIG. 3, and then, the pressing member 400 presses the body 100 through the lever action by reversing the pressing member 400.

이때, 몸체(100)는 지지축(300)을 중심으로 하강되면서 하우징(200)을 누르게 된다.At this time, the body 100 is pressed down on the support shaft 300 while pressing the housing 200.

이에 따라, 하우징(200)의 개구홈(210)은 수축이되면서 날체(500)의 상부 날(520)과 하부날(530)을 서로 맞닿게 하여 손톱을 절단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opening groove 210 of the housing 200 is contracted to cut the nail by making the upper blade 520 and the lower blade 530 of the blade 500 abut each other.

이후, 손톱 소제가 완료되면, 다른 날체(500)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날체(500)의 격벽(560)을 파지한 후 하우징(200)의 전방으로 빼내면 된다.Then, when the nail cleaning is completed, in order to replace the other blade 500, grab the partition 560 of the blade 500, and then pull out to the front of the housing 200.

이때, 날체(500)는 결합돌기(540)와 결합공(230)에 의한 결합이므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날체(500)를 잡아당기면 큰 무리 없이 하우징(20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blade 500 is coupl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540 and the coupling hole 230, when the blade 500 is pull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blade 5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without a large crow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200)과 몸체(100)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날체(500)만 탈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only the blade 500 may be detachable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200 and the body 100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즉, 몸체(100)의 전방에 하우징(200)에 해당되는 개구홈(210)을 형성하여 날체(500)의 출입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That is, by forming the opening groove 210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200 in front of the body 100 to enable the entry and exit of the blade (500).

물론, 이의 경우, 하우징(200)과 같이 각도조절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지만, 탈착이 가능한 날체(500)에 기술적 특징이 있음을 감안할 때, 무방하다.Of course, in this case, like the housing 200 may not be easy to adjust the angle, in view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removable blade 500, there is no problem.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탈착이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는 날체(500)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하우징(200)에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날체(500)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blade 500 may be easily replaced by detachably configuring the blade 500 to be detachable to the housing 200.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연령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ccordingly, not only can be used hygienically in public places,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user.

도 1은 종래의 손톱깎이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nail clipper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의 몸체 일부를 나타낸 저면도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part of the body of the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의 하우징이 날체에 비해 폭이 좁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5A and 5B are plan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of 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arrower width than a blade;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의 하우징이 날체에 비해 폭이 넓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5C and 5D are plan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of 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r than a blade;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의 날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이드홈 중 지지축에 대응된 부위의 직경과 나머지의 직경이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6a to 6d are views showing the blade of the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haft of the guide groove is different from the diameter of the rest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의 날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이드홈의 직경이 균일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7a to 7d are views showing the blade of the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a uniform shape of the guide groove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의 날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격벽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태 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8A and 8B illustrate a blade of 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c 및 도 8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의 날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격벽이 날체의 길이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8C and 8D illustrate a blade of 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convexly rou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도 8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의 날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격벽이 서로 상,하로 중첩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8E illustrates a blade of 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overlap each other up and dow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의 날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날이 상부날의 배면을 향해 승강되는 유아용 날체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Figures 9a and 9b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blade of the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lade is lifted toward the back of the upper blade.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0 : 몸체 100a,200a : 축공100: body 100a, 200a: shaft ball

100b : 결합공간 110 : 구속홈100b: bonding space 110: restraint groove

200 : 하우징 210 : 개구홈200: housing 210: opening groove

220 : 구속돌기 230 : 결합공220: restraint protrusion 230: coupling hole

300 : 지지축 400 : 누름부재300: support shaft 400: pressing member

500 : 날체 510 : 가이드홈500: blade 510: guide groove

520,610 : 상부날 530,630 : 하부날520,610: Upper blade 530,630: Lower blade

540 : 결합돌기 550 : 슬라이딩홈540: engaging projection 550: sliding groove

560 : 격벽 600 : 유아용 날체560: bulkhead 600: infant blade

611 : 절단공611: cutting hole

Claims (19)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위를 제공하며, 상방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는 개구홈이 전방을 향해 형성된 몸체;A body having a gripping portion that can be gripped by hand, and having an opening groove contracted and inflated by a pressing force from above; 상기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개구홈을 통해 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개구홈의 수축 및 팽창시 몸체를 가이드하는 지지축;A support shaft exposed from the bottom of the bod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rough the opening groove and guiding the body dur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opening groove;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지레작용으로 몸체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개구홈을 수축 및 팽창시키는 누름부재;A press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the pressing member contracting and expanding the opening groove by pressing the body upward from the lever; 상기 몸체의 개구홈을 통해 출입되며, 상,하 마주하는 절단날이 개구홈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상호 작용되면서 손톱을 절단하는 날체:를 포함하되,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opening groove of the body, the cutting blade facing the upper and lower, the blade for cutting the nail while interacting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opening groove, including: 상기 날체는,The blade is, 개구홈으로 출입되는 과정에서 지지축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이 개구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날체와 몸체 사이에는 상호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수단이 설치된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between the blade and the body to form a guide groove, the rear of which is ope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upport shaft in the process of entering into the opening groove, the coupling means is formed between each other.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위를 제공하며, 전방 저면에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몸체;It provides a gripping portion that can be gripped by hand, the front bottom surface body formed with a coupling space; 상기 몸체의 결합공간에 배치되며, 전방을 향해 형성된 개구홈을 갖고 몸체의 가압에 의해 개구홈이 수축 및 팽창되는 하우징;A housing disposed in the coupling space of the body, the housing having an opening groove formed toward the front thereof, the housing being contracted and expanded by pressure of the body; 상기 하우징의 저면 및 개구홈을 통해 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개구홈의 수축 및 팽창시 몸체를 가이드하는 지지축;A support shaft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rough the bottom surface and the open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guiding the body dur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opening groove;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지레작용으로 몸체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개구홈을 수축 및 팽창시키는 누름부재;A press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the pressing member contracting and expanding the opening groove by pressing the body upward from the lever; 상기 하우징의 개구홈을 통해 출입되며, 상,하 마주하는 절단날이 개구홈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상호 작용되면서 손톱을 절단하는 날체:를 포함하되,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opening groove of the housing, the cutting blade facing the upper and lower, the blade for cutting the nail while interacting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opening groove, including: 상기 날체는,The blade is, 개구홈으로 출입되는 과정에서 지지축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이 개구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날체와 하우징 사이에는 상호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수단이 설치된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between the blade and the housing so that the rear is ope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upport shaft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opening groove, and the blade and the hous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결합수단은 날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이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몸체 또는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coupling means is 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upling projection formed in the blade, and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body or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jectio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결합돌기는 날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되, 가이드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개를 갖는 손톱깎이.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tip of the blade, nail clippers having removable wings,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on both sides around the guide groov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결합돌기는 날체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coupling protrusion is 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날체의 측면에는 손톱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이 각각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Sides of the blades nail clippers having a remov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each partition is further formed to prevent the nails from scattering.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격벽은 날체 상,하 간에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partition wall is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ades.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격벽은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And said partition wall is convexly rounded outwar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격벽은 날체의 길이방향으로 볼록하게 이루어지되, 그 볼록한 부위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partition wall is made conve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the convex portion of the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plural.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하우징의 폭은 날체의 폭에 비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width of the housing is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는 하우징의 선단부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rear end of the housing is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formed narrower than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날체에는 하우징의 폭에 대응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깍이.The blade has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housing is form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하우징의 폭은 날체의 폭에 비해 크게 형성되되, 하우징의 선단부 또는 하우징의 후단부는 날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우징의 후단부 또는 하우징의 선단부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width of the housing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or the rear end of the housing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is narrower than the rear end of the housing or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so that a portion of the blade is exposed Having nail clipper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가이드홈은 지지축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guide groove is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가이드홈 중, 지지축에 대응된 선단부는 지지축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가이드홈의 나먼지 부위는 지지축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A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wherein the tip portion of the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haft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and the dust part of the guide groov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하우징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과 몸체 사이에는 하우징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housing is rotated about a support shaft, nail clippers having a remov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raining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body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housing.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구속수단은,The restraining means, 하우징과 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구속돌기와, 상기 구속돌기에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로 형성된 구속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straint projection formed in any one of the housing and the body, and a plurality of restraint groov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straint projec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누름부재의 후단부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수평하게 하여 누름작용이 용이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mber, the nail clipper having a detach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angle is made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to facilitate the pressing ac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날체는,The blade is, 탄성력에 의해 상호 간에 상,하로 작용하는 상부날과 하부날로 이루어지고,It consists of an upper blade and a lower blade acting up and down with each other by elastic force, 상부날에는 상부날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절단공이 형성되고, 하부날은 상부날의 배면으로 중첩되면서 절단공을 통해 노출된 손톱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The upper blade is formed with a cutting hole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blade, the lower blade is a nail clipper having a remova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for cutting the nail exposed through the cutting hole while overlapping the back of the upper blade.
KR1020090110098A 2009-11-16 2009-11-16 nail clipper with detachable nail cutter KR1011439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098A KR101143904B1 (en) 2009-11-16 2009-11-16 nail clipper with detachable nail cutter
CN2009102506750A CN102058229B (en) 2009-11-16 2009-12-14 Nail clippers with detachable blade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098A KR101143904B1 (en) 2009-11-16 2009-11-16 nail clipper with detachable nail cu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531A true KR20110053531A (en) 2011-05-24
KR101143904B1 KR101143904B1 (en) 2012-05-11

Family

ID=4399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098A KR101143904B1 (en) 2009-11-16 2009-11-16 nail clipper with detachable nail cut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3904B1 (en)
CN (1) CN102058229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54A1 (en) * 2014-12-09 2016-06-16 주식회사 쓰리쎄븐 Nail clipper
KR200489409Y1 (en) * 2017-12-13 2019-06-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Nail Clipper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Blades
KR20200096386A (en) * 2019-02-02 2020-08-12 윤성노 Cutting nail collecting case for rotary nail clipp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5697B (en) * 2014-10-28 2017-05-10 何淑芳 Nail clippers
JP6994298B2 (en) * 2016-12-19 2022-01-14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Nail cutting
KR102046434B1 (en) * 2018-11-09 2019-11-19 박성훈 Toenail clipper
KR102335663B1 (en) 2020-03-04 2021-12-06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Nail clipper
KR102432946B1 (en) * 2021-12-03 2022-08-18 (주)에이알디에이 Toenail clipp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8772A (en) * 1994-05-04 1996-02-06 Dababneh; Awwad Collector nail clipper
KR100442558B1 (en) * 1999-05-31 2004-07-30 박경한 Pocket tool formed a nail clipper
TWI271165B (en) * 2002-12-10 2007-01-21 Jeong-Sik Han Nail clipper and nail cutter, lever and supporting shaft for the same
KR100497063B1 (en) * 2002-12-10 2005-06-23 한정식 Nail clippers and nail cutter, lever and supporting shaft for nail clippers
KR100493955B1 (en) * 2003-05-27 2005-06-10 정창록 Nail clippers
KR20040002826A (en) * 2003-12-12 2004-01-07 이기성 Single-use Nail clipper
CN201019184Y (en) * 2007-03-28 2008-02-13 常洪君 Multifunctional nail clipper
KR20090108337A (en) * 2008-04-11 2009-10-15 이낙원 Nail Clipp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54A1 (en) * 2014-12-09 2016-06-16 주식회사 쓰리쎄븐 Nail clipper
US10383424B2 (en) 2014-12-09 2019-08-20 Three Seven Corporation Nail clipper
KR200489409Y1 (en) * 2017-12-13 2019-06-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Nail Clipper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Blades
KR20200096386A (en) * 2019-02-02 2020-08-12 윤성노 Cutting nail collecting case for rotary nail cli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58229B (en) 2012-10-24
CN102058229A (en) 2011-05-18
KR101143904B1 (en)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904B1 (en) nail clipper with detachable nail cutter
EP3231318B1 (en) Nail clipper
KR101082303B1 (en) Razor
JP6919068B2 (en) Hair clipper device
KR20190099593A (en) Nail clippers
CN103419220B (en) Combined type personal hygiene cleaner
KR20160026076A (en) Nail clipper
KR20110065027A (en) Nail clipper for infant
JP2009018144A (en) U-shaped type razor
KR200382300Y1 (en) nail clipper
KR20200043090A (en) Keratin removing plate having micro-cutters and keratin removing device employed therewith
JP7357416B1 (en) hair cutting aid
KR20120136013A (en) Card integrated nail clipper
KR101323133B1 (en) A nail clipper having a sub storage
JP3163610U (en) Under hair shaping tool
JP3152741U (en) Hairdressing aids
KR20230007875A (en) Nail clippers
KR101001721B1 (en) portable nail clipper
JP3885155B2 (en) One-touch nail clipper
KR200320359Y1 (en) A horny layer cleaner
KR101212881B1 (en) Nail care aticle for one time use
JP2005237923A (en) Ringed "shaving tool"
KR20240001461A (en) Remover of the dead skin of scalp
KR20040102850A (en) Double edged cuticle cutter
KR20240009840A (en) A Nail Clipper and A Nail Clipper Cas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