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670A -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를 위한 절전 솔루션 - Google Patents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를 위한 절전 솔루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670A
KR20110052670A KR1020117004720A KR20117004720A KR20110052670A KR 20110052670 A KR20110052670 A KR 20110052670A KR 1020117004720 A KR1020117004720 A KR 1020117004720A KR 20117004720 A KR20117004720 A KR 20117004720A KR 20110052670 A KR20110052670 A KR 20110052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normally
auxiliary contact
input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285B1 (ko
Inventor
스티븐 마크 그로프
트룽 리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5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8Application transfer; between utility and emergency power supply

Landscapes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의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범위에 이르게 하는 회로가 제공된다. 자동 절환 스위치는 제 1 입력,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된 제 1 코일, 및 상기 제 1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 1 저항, 및 상기 제 1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코일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2차 권선을 갖는 제 1 변압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코일 양단의(across) 동작 전압은, 상기 제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2차 권선 양단의 2차 전압만큼 비례하는 양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를 위한 절전 솔루션{BROWNOUT SOLUTION FOR ELECTROMECHANICAL AUTOMATIC TRANSFER SWITCH}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브라운아웃 상태들( brownout conditions)을 수용하는 메커니즘을 갖는 완전한 전기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에 관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환 스위치들은 1차 전력원으로부터 2차 혹은 3차 전력원으로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력 배전 시스템들에 통상적으로 채용된다. 절환 스위치들은 공공 전력 공급원(the utility source)으로부터 백업 전력 제공을 위해 비상 전력 발전기들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절환 스위치는 공공 전력 공급원(utility power source)으로부터 비상 전력 발전기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위치는 수동 스위치, 자동 스위치 혹은 이 둘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정전이 되면, 절환 스위치들은 비상 회로들을 공공 전력 라인으로부터 분리하여 비상 발전기가 백피딩(backfeeding ; 공공 전력 전선에 전력을 보내는 일)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해 준다. 자동 절환 스위치(ATS)는 두 개의 교류(AC) 전원 중 하나를 전기적 부하(an electrical load)에 자동으로 접속시켜주는 종류의 절환 스위치이며, 이러한 접속은 통상적으로 두 개의 전원 중에 더 좋은 쪽으로 이루어진다.
거의 모든 전력 설비에서, “브라운아웃들”, 즉 정상보다 더 낮은 전압이 부하에 공급되는 상황들이 나타날 수 있다. ATS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의 “스마트” 전자 제어 회로들을 사용하여 이러한 상황을 처리한다. 그러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지원하려면, 전압 센서들, 신호 조절 장치, 전력 공급 장치들, 코일 구동 회로들, 및 제어 펌웨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추가적은 요구사항들은 시스템 비용과 복잡성을 증가시키며, 여러 잠재적인 고장 요인들을 제공한다.
전술한 설명을 고려해 볼 때, 브라운아웃 상황들을 처리하고 전력설비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 시스템 비용, 복잡성 및 고장 요인들을 줄일 수 있는 자동 절환 스위치(ATS) 설계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 실시 예로,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의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가 되게 하는 하나의 회로가 제공되며, 이는 오직 예로서만 제공된다.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는 제 1 입력, 상기 제 1입력에 접속된 제 1코일, 및 상기 제 1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을 하는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 1 저항, 및 상기 제 1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코일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2차 권선을 갖는 제 1 변압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코일 양단의(across) 동작 전압은, 상기 제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2차 권선 양단의 2차 전압에 의해 비례하는 양이 감소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가 되게 하는 회로를 갖는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가 제공되며, 이 또한 오직 예로서만 제공된다. 상기 ATS는 제 1 입력을 포함한다. 제 1 코일은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된다.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은 상기 제 1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한다. 제 1 저항은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된다. 제 1 변압기는 상기 제 1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코일에 접속된 2차 권선을 갖는다. 상기 제 1 코일 양단의 동작 전압은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되었을 때,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의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가 되게 하는 하나의 회로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또한 오직 예로서만 제공된다.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는 제 1 입력,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된 제 1 코일, 및 상기 제 1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제 1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코일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2차 권선을 갖는 제 1 변압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코일 양단의 동작 전압은 상기 제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2차 권선 양단의 2차 전압에 의해서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가 되게 하는 회로를 갖는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또한 오직 예로서만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된 제 1 코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된 제 1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코일에 접속된 2차 권선을 갖는 제 1 변압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코일 양단의 동작 전압은 상기 제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되었을 때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된다.
본 발명의 장점들이 잘 이해될 수 있도록,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이들 도면들은 오직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예들만 도시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면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브라운아웃 상황들을 처리하기 위한 변압기 회로를 갖는 자동 절환 스위치(ATS)의 예시적 부분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정격 전압(rated voltage)의 퍼센티지를 브라운아웃 범위에 있는 입력전압에 대하여 비교하는 그래프의 예이다.
도 3은 ATS의 예시적 부분을 추가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두 개의 상호 연결된 입력들, 두 개의 릴레이 장치들, 및 두 개의 접속된 변압기 회로들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 절환 스위치(ATS)는 두 개의 교류(AC) 전원 전선들 중 하나를 부하에 접속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접속은 통상 두 개의 전원들 중 더 좋은 쪽으로 이루어진다. 전자기계 ATS는 정상적으로는 두 개의 콘택터들(contactors)로 구성되며, 각각의 콘택터는 코일에 의해서 작동된다(actuated). 콘택터는 고전력 AC 혹은 DC 전류를 스위치하기 위해 규격이 정해진 릴레이 종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운아웃은 공공 전력 공급원 혹은 발전설비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력 라인의 전압이 정상보다 더 낮은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상태는 단기적(몇 분에서 몇 시간) 혹은 장기적(반나절 혹은 그 이상)일 수 있다. 정상 전압의 10%보다 더 큰 전력선 전압 강하는 통상 브라운아웃으로 간주된다. 많은 경우에, 전자 장비들은 브라운아웃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은 제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할 수 없다.
콘택터가 폐쇄되어 전기 회로가 유지되려면 콘택터 코일 전압은 통상적으로 정격 전압의 85%까지는 상승되어야 한다. 이를 콘택터 사양(specifications)에서는 픽업 전압(pick-up voltage)”이라 한다. 콘택터가 개방되어 전기 회로를 끊으려면, 통상적으로 콘택터에 전류가 공급된(energized) 후, 전압은 정격 전압의 60%까지 떨어져야 한다. 이를 콘택터 사양에서 “드롭-아웃 전압(droup-out voltage)”이라 한다.
브라운아웃 동안, 전압은 허용 범위를 벗어나 떨어질 수는 있으나, 콘택터 코일의 드롭-아웃 임계전압에 도달할 만큼 충분히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전압이 브라운아웃에 머물러 있는 한, 콘택터는 드롭 아웃되지 않는다. ATS에서, 콘택터는 전압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 한은 다른 AC 전원 라인으로 절환 되지 않는다, 이 문제에 대한 종래의 솔루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 내에서 전자적으로 절환을 제어해 왔다. 이 것은 접점 코일들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스마트 전자 제어 회로를 요구한다. 이 솔루션은 어떤 라인 전압에서도 반복 가능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지만, 더 복잡하다는 것이 문제다. 가장 보편적인 솔루션은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의 혹은 다른 스마트 전자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저전압 DC 코일들을 구동하는 것이다.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지원하려면 전압센서들, 신호 조절(signal conditioning), 전원 공급,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들, 및 제어 펌웨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솔루션은 구현하기가 아주 복잡하다. 이러한 복잡성은 비용을 증가시키고 신뢰도를 낮춘다.
이러한 종래의 솔루션에 비하여, 예시된 실시 예들은 모든 표준 콘택터의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까지 이르게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서 ATS가 접속을 다른 AC 전원 라인으로 절환 할 수 있게 해 준다. 아래에 예시된 실시 예들은 브라운아웃 전압 상태들을 수용할 수 있는 종합 능력(an integrated capability)을 갖는 완전한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를 구현한다. 이러한 능력은 정상-개방(N.O) 보조 접점들 및 콘택터 코일 터미널들(contactor coil terminals)에 접속된 독립 변압기 혹은 자동변압기에 의해서 제공되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변압기 회로는 상기 콘택터 코일 양단의 동작 전압을 상기 변압기의 2차 권선 양단의 전압에 의해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시키도록 동작한다. 이는 상기 콘택터 코일의 드롭-아웃 전압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에 이르게 한다. 예시된 실시 예들은 비용이 더 적게 들면서도, 고장 요인들을 더 줄이는, 단순하고도 완전한 전자기계적 솔루션을 제공하므로, 그 결과 신뢰성과 반복 가능성을 높인다.
예시된 실시 예들은 ATS 콘택터의 절환을 구동 코일의 규정된 드롭-아웃 임계 전압보다 더 높은 AC 라인 전압에서도 가능하게 해 준다. 드롭-아웃 전압은 증가되지만, 동시에 픽업 전압은 불변이며, 그리고 상승기의 픽업 전압과 하강기의 드롭-아웃 전압 상이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는 유지된다.
도 1로 돌아가서 살펴보면, 전형적인 ATS의 한 부분 (10)이 도시되어 있다. 부분 (10)은 릴레이(14)에 입력 전압을 제공하는 AC 입력 (12)를 포함한다. 릴레이 (14)는 다이오드 (16)을 포함하는데, 다이오드 (16)은 전파(full wave) 혹은 반파(half wave) 정류(정류기)와 같은 정류의 대표적인 정류 소자이다. 릴레이 (14)는 또한 정상-개방 보조 (AUX) 점점 (스위치) (20)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콘택터 코일 (18)을 포함한다.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알 수 있듯이, 콘택터 코일 (18)에 전류를 공급하면 정상-개방 접점 (20)은 폐쇄된다(닫힌다). AC 입력 (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 (16) 및 접점 (20)의 터미널 모두에 접속된다.
변압기 회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터 코일 (18) 및 접점 (20)에 접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변압기 회로는 두 개의 저항들 (22, 32) 및 변압기 (24) (여기서는 이상적인 변압기를 나타낸다). 1차 권선 측에는(on the primary side), 저항 (22)가 변압기 (24)의 1차 권선 (26), 및 접점 (20)의 한 터미널 사이에 접속된다. 1차 권선 (26)은 또한 접지 (30)에 접속된다. 2차 권선 측에는(on the secondary side), 2차 권선 (28)은 저항 (32)와 병렬로 결합된다. 콘택터 코일 (18)의 음의 단자(negative side)는 저항 (32) 및 2차 권선 (28)과 노드 (34)에서 접속된다. 저항 (32)는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 (30)에 접속된다. 이들 저항들은 물리적인 부품들이거나 혹은 변압기 권선들의 고유 저항들일 수 있다.
콘택터 코일 (18)에 전류 공급이 중단되면(de-energized), 정상-개방 보조 접점 (20)은 개방(열림)되고 변압기 (24)의 1차 권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콘택터 코일 (18)에는, 변압기 (24)의 2차 권선에서 발생하는 작은 IR(전압) 강하(the small IR(voltage) drop)를 뺀, AC 입력 전압이 풀(full)로 인가된다. 코일 (18)에 전류가 흘러 콘택터가 동작을 하면(the contact picks-up), 정상-개방 보조 접점 (20)은 폐쇄(닫힘)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코일 상의 전압은 상기 변압기에 유도된 2차 전압에 의해서 감소된다. 이 것은 상기 콘택터가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로 드롭-아웃 될 수 있게 하고, ATS를 다른 입력 라인으로 절환 될 수 있게 한다.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알 수 있듯이, 상기 변압기의 2차 전압은 선택적으로 변화될수 있고, 이에 의해서 상기 코일 상의 전압 크기가 감소되는 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1차 권선 및/또는 2차 권선의 감는 회수는 전압 강하 비율(the step-down ratio)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변화될 수 있다.
다음 예를 살펴보자. 전압 강하 변압기 (24)의 권선 감기 비율이 4:1이라고 하면, 코일 (18) 양단의 전압은 입력 (12)에 나타난 AC 입력 전압이 정격 전압의 79.9%까지 떨어졌을 때만 60%의 보장된 드롭-아웃 전압에 도달할 수 있다. 도 2는 설명한 브라운아웃 범위 내에서 그러한 결과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정격 전압의 퍼센티지는 Y 축을 따라서 도시되었으며, 한편 경과된 시간은 X축을 따라서 도시되었다. 라인 (52)는 AC 입력 전압을 나타내며, 정격 전압의 100%에서 시간이 감에 따라 전압이 떨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점선 (50)은 정격 전압의 79.9%를 나타내며, 한편 점선 (5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격 전압 60%인 임계 값을 나타낸다. 점선 (54)와 점선 (50) 사이의 영역이 전형적인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를 나타낸다. 시간 t1(점선 (53)으로 표시)에서, AC 입력 전압 (52)가 정격 전압의 대략 80%에서 브라운아웃 범위에 진입하였다. 그러나, 한편, 상기 코일 양단의 전압은 대략 19.86% 만큼 더 강하 되었으므로, 시간이 조금 더 경과함에 따라 상기 콘택터에 대한 드롭-아웃 전압이 달성되고, 그 결과 상기 콘택터는 드롭 아웃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제 도 3으로 가서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한 ATS의 예시 부분 (10)이 ATS 회로에서 두 개의 콘택터들 및 두 개의 AC 전원들을 사용하여 구현되어 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제 1 릴레이는 코일 (18), 정상-개방 보조 접점 (20), 및 저항들(22, 32)를 포함하는 변압기 회로를 포함하며, 변압기 (24)는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추가하여, 제2 릴레이 (62)가 제 2 AC 입력 (60)에 접속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릴레이 (62)는 추가의 콘택터를 포함하는데, 이는 정류소자 (64)뿐만 아니라 추가의 코일 (66) 및 정상-개방 보조 접점(68)을 갖는다. 추가의 변압기 회로는 저항들 (70, 80), 변압기 (72) 및 접지 (78)을 포함한다(변압기 (72)는 1차 권선 (74) 및 2차 권선 (76)을 포함한다). 추가의 릴레이 (62) 및 변압기 부품들은 릴레이 (24) 및 제 1 변압기 회로에 비슷한 방식으로 상호 접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AC 입력들 (12, 60)은 반대 라인 콘택터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교차-접속된다(cross-connected). AC 입력 (12)는 전선 (84)를 통해서 접점 (68)의 터미널에 접속되고, AC 입력 (60)은 라인 (86)을 통해서 접점 (20)에 접속된다. 교차 접속된 AC 입력들(12, 60)은 수정된 드롭-아웃 전압 임계 값에 추가적인 반복 가능성을 제공한다. 두 개의 입력 전원들은 독립적이고 허용 범위 내에 있다고 가정된다. 하나의 입력 라인 전압이 브라운-아웃 범위로 떨어져도, 다른 AC 라인 전원은 여전히 허용 범위 내에 있다. 그 다른 AC 라인 전압은 콘택터들을 드롭-아웃 전압으로 시프트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허용 범위 내 (in-tolerance)의 전원은, 시프트를 발생시키고, 하강하는 브라운-아웃 전압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 다른 전압이 영(zero)이 되면, 드롭-아웃 전압의 시프트는 없고, 그 전원 라인은 지정된 드롭-아웃 전압에 접속된 채로 남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들의 장점들은 단순함에 의해서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 예들은 더 적은 부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부품들은 모두 수동 소자들이고 전자기 부품들이다. 도시된 실시 예들은 높은 MTBF(고장들 사이의 평균 시간)를 갖는 신뢰할만한 설계로서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러한 단순한 회로로부터 비용이 더욱 적게 들고 효율은 또한 더 높아진다.

Claims (24)

  1.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의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범위에 이르게 하는 회로에서,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는 제 1 입력,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된 제 1 코일, 및 상기 제 1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1의, 정상-개방(normally-open) 보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
    상기 제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제 1 저항 ; 및
    상기 제 1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코일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2차 권선 - 상기 제 1 코일 양단의 동작 전압은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될 때 상기 2차 권선 양단의 2차 전압에 의해서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됨 - 을 갖는 제 1 변압기를 포함하는
    회로.
  2. 제 1항에서, 상기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2 저항을 더 포함하는
    회로.
  3. 제 1항에서, 상기 비례하는 양은 상기 제 1 변압기의 권선 감기 비율(turns ratio)을 변화시킴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회로.
  4. 제 1항에서, 상기 ATS는 제 2 입력, 상기 제 2 입력에 접속된 제 2코일, 및 상기 제 2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제 2 저항; 및
    상기 제 2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2 코일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2차 권선 - 상기 제 2 코일 양단의 추가적인 동작 전압은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될 때 상기 2차 권선 양단의 추가적인 2차 전압에 의해서 추가의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함 - 을 갖는 제 2 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회로.
  5. 제 4항에서,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3 저항, 및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더 포함하는
    회로.
  6. 제 4항에서,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은 상기 제 2 입력에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은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되는
    회로.
  7.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에 이르게 하는 회로를 갖는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에서,
    제 1 입력 ;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된 제 1 코일 ;
    상기 제 1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된 제 1 저항 ; 및
    상기 제 1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코일에 접속된 2차 권선 - 상기 제 1 코일 양단의 동작 전압은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접점이 폐쇄될 때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됨 - 을 갖는 제 1 변압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
  8. 제 7항에서,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1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정류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
  9. 제 7항에서, 상기 비례하는 양은 상기 제 1 변압기의 권선 감기 비율을 변화시킴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
  10. 제 7항에서,
    제 2 입력,
    상기 제 2 입력에 접속된 제 2 코일,
    상기 제 2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된 제 2 저항, 및
    상기 제 2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2차 코일에 접속된 2차 권선 - 상기 제 2 코일 양단의 추가적인 동작 전압은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될 때 상기 2차 권선 양단의 추가적인 2차 전압에 의해서 추가의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됨 - 을 갖는 제 2 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
  11. 제 10항에서,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3 저항, 및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
  12. 제 10항에서,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은 상기 제 2 입력에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은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되는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
  13.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의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범위에 이르게 하는 회로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는 제 1 입력,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된 제 1코일, 및 상기 제 1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1의, 정상-개방(normally-open) 보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제 1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코일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2차 권선 - 상기 제 1 코일 양단의 동작 전압은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될 때 상기 2차 권선 양단의 2차 전압에 의해서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됨 - 을 갖는 제 1 변압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항에서, 상기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2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항에서, 상기 제 1 변압기의 권선 감기 비율(turns ratio)을 선택함에 의해 상기 비례하는 양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3항에서, 상기 ATS는 제 2 입력, 상기 제 2 입력에 접속된 제 2 코일, 및 상기 제 2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제 2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2 코일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2차 권선 - 상기 제 2 코일 양단의 추가의 동작 전압은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될 때 상기 2차 권선 양단의 추가의 2차 전압에 의해서 추가의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함 - 을 갖는 제 2 변압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항에서,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6항에서,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상기 제 2 입력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드롭-아웃 전압을 동적으로 증가시켜서 브라운아웃 전압 범위에 이르게 하는 회로를 갖는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ATS)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제 1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 입력에 접속된 제 1 코일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된 제 1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제 1 코일에 접속된 2차 권선 - 상기 제 1 코일 양단의 동작 전압은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접점이 폐쇄될 때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됨 - 을 갖는 제 1 변압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항에서,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1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정류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 19항에서, 상기 제 1 변압기의 권선 감기 비율을 선택함에 의해 상기 비례하는 양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 19항에서,
    제 2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2 입력에 접속된 제 2 코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2 코일과 자기적으로 통신하는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에 접속된 제 2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저항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상기 2차 코일에 접속된 2차 권선 - 상기 제 2 코일 양단의 추가의 동작 전압은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이 폐쇄될 때 상기 2차 권선 양단의 추가의 2차 전압에 의해서 추가의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됨 - 을 갖는 제 2 변압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항에서,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 22항에서, 상기 제 2 입력에 상기 제 1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입력에 상기 제 2의, 정상-개방 보조 접점을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17004720A 2008-08-11 2009-08-06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를 위한 절전 솔루션 KR101320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9,597 2008-08-11
US12/189,597 US8022579B2 (en) 2008-08-11 2008-08-11 Brownout solution for electromechanical automatic transfer switch
PCT/EP2009/060252 WO2010018129A1 (en) 2008-08-11 2009-08-06 Brownout solution for electromechanical automatic transfer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670A true KR20110052670A (ko) 2011-05-18
KR101320285B1 KR101320285B1 (ko) 2013-10-22

Family

ID=4117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720A KR101320285B1 (ko) 2008-08-11 2009-08-06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를 위한 절전 솔루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22579B2 (ko)
EP (1) EP2269205B1 (ko)
JP (1) JP5285156B2 (ko)
KR (1) KR101320285B1 (ko)
CN (1) CN102119433B (ko)
TW (1) TWI454011B (ko)
WO (1) WO2010018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7006B2 (en) 2013-09-23 2016-10-11 Trippe Manufacturing Company Automatic transfer switch for three-phase applications
US9673661B2 (en) 2013-10-24 2017-06-06 Kohler, Co. Transfer switch with monitor on load side
TWM506411U (zh) 2015-03-27 2015-08-01 Aten Int Co Ltd 電源切換選擇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4603A (en) 1935-09-16 1938-01-04 Union Switch & Signal Co Electrical relay
US2128324A (en) 1936-11-07 1938-08-30 Internat Engineering Corp Control circuit
US2468634A (en) 1946-08-29 1949-04-26 Cutler Hammer Inc Relay control system
US3395288A (en) * 1964-05-19 1968-07-30 Vb Res & Dev Battery guard system
US3474296A (en) * 1967-04-05 1969-10-21 Eltop Corp Low voltage cut-out device
US4025823A (en) * 1975-07-11 1977-05-2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Circuit breaker including undervoltage release mechanism and control circuit
US4110807A (en) * 1977-05-02 1978-08-29 Harvey Hubbell, Incorporated Continuity monitoring system
JPS5684835A (en) * 1979-12-14 1981-07-10 Oki Engineering Kk Relay drive circuit
JPS61136441U (ko) * 1985-02-15 1986-08-25
CA2168707C (en) 1995-02-02 2005-08-30 David Philip Eckel Two wire air gap off power supply circuit
US5814979A (en) * 1995-06-01 1998-09-2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Low drop out switching regulator
JP3792455B2 (ja) * 1999-10-18 2006-07-05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監視盤の電源切換回路
US6587325B1 (en) * 2000-12-29 2003-07-01 Entrelec-Ssac, Inc. Equipment load safety circuit
US6876103B2 (en) * 2000-12-29 2005-04-05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transfer switch systems and controllers
TWM274705U (en) * 2005-04-07 2005-09-01 Ruei-Feng Shiu Automatic switching structure of emergent power-source
US7535129B2 (en) 2006-05-17 2009-05-19 Twinsour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 of a critical load from one source to a back up source using magnetically latched relays
US7521884B2 (en) 2006-10-30 2009-04-21 Square 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fer switch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30795A (ja) 2011-12-22
TW201014109A (en) 2010-04-01
TWI454011B (zh) 2014-09-21
EP2269205B1 (en) 2015-06-10
WO2010018129A1 (en) 2010-02-18
KR101320285B1 (ko) 2013-10-22
CN102119433B (zh) 2013-12-04
EP2269205A1 (en) 2011-01-05
JP5285156B2 (ja) 2013-09-11
US8022579B2 (en) 2011-09-20
US20100033274A1 (en) 2010-02-11
CN102119433A (zh)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955B1 (ko) 전 세계적인 적응적 멀티-코일 자동 절환 스위치
US8436602B2 (en)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US8482885B2 (en) Hybrid switch circuit
US8614866B2 (en) Hybrid switch circuit
CA2750887C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losses in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20070296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voltage
US9871410B2 (en) Switching selector for selecting a power source
KR101320285B1 (ko) 전자기계 자동 절환 스위치를 위한 절전 솔루션
US9124087B2 (en) Arc suppression circuit
US200802667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switching life of electromechanical contacts in a hybrid power switching device
US7237134B2 (en) Backup power module for industrial control and monitoring network
JP2002002417A (ja) 特に鉄道車両の或る部材に関する状態情報を伝送するための電気回路、およびそのような回路を組み込んだ電気システム
JP5707184B2 (ja) 配電システム
US20220336175A1 (en) Relay module
CN100372039C (zh) 对电开关提供电源的方法和电开关用的电源结构
KR100712793B1 (ko) 절전용 전력 조절 장치
CN217008011U (zh) 电流控制器,机械开关组件和双电源控制器
GB2515912A (en) Switching power transformers
MX2015002613A (es) Contacto de alta velocidad capaz de detectar, indicar y prevenir mal funcionamiento debido a falla interna.
GB2318464A (en) Apparatus for limiting supply of electricity to a consumer
JPH02434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