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169A - 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 Google Patents

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169A
KR20110052169A KR1020090109106A KR20090109106A KR20110052169A KR 20110052169 A KR20110052169 A KR 20110052169A KR 1020090109106 A KR1020090109106 A KR 1020090109106A KR 20090109106 A KR20090109106 A KR 20090109106A KR 20110052169 A KR20110052169 A KR 2011005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ad
plate
motor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한경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Priority to KR102009010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2169A/en
Publication of KR2011005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1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PURPOSE: A pad tray and a base assembly for a floor cleane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maintain the function of pad attaching protrusions by integrally molding a first tray plate with soft protrusions in a hard second tray plate. CONSTITUTION: A pad tray(260) comprises first and second cover plates. Protrusions(265), in which a pad is attached, are formed on the first cover plate. The first cover plate is insert-molded on the second cover plate. The first cover plate is a soft plastic plate. The second cover plate is a hard plastic plate. A base assembly for a floor cleaner using the pad tray comprises a main body, a pad tray, a detaching member, a first tray plate, and a second tray plate.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cases. Protrusions, in which the pad is attached, are formed on the pad tray. The detaching member is attached and detached the pad tray on/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Description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질의 패드부착돌기판을 인서트한 채 경질의 보강트레이판을 일체로 성형하여 휨 변형을 방지한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tray which prevents bending deformation by integrally molding a hard reinforcing tray board while inserting a soft pad attachment protrusion board, and a base assembly for a floor cleaner using the same.

종래 스위퍼로는,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20-0317923)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As a conventional sweeper, for example, on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7923 has been proposed.

이 공보에 따른 스위퍼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러시(20)와, 하우징(10)의 후방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납용기(40)와, 하우징(10)의 상부 일측면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sweeper according to this publication includes a housing 10, a rotating brush 20 rotatably installed by a drive motor 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and a housing. The storage container 40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10 and a handle member (not show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10.

하우징(10)은 그 전방 하부측에 소정 크기의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흡입 구(11)에 회전 브러시(20)가 배치된다. 하우징(10)의 후방 일측에 결합홈(12)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는 손잡이부재(미도시)가 끼워지는 회동편(1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In the housing 10, a suction port 1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a front lower side thereof, and a rotary brush 20 is disposed at the suction port 11. A coupling groove 12 is formed at on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and a rotating piece 13 to which a handle member (not shown) is fitted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회전 브러시(20)는 하우징(10)의 흡입구(11) 측에 배치되고, 그 일부분이 바닥표면과 맞닿도록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회전 브러시(2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30)의 회전 구동력을 벨트, 체인 등과 같은 간접전동기구(32)를 통해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구동모터(30)의 작동은 하우징(10)의 상부 일측면 상에 구비된 작동스위치(31)의 온ㆍ오프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rotary brush 20 is disposed on the inlet 11 side of the housing 10 and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11 so that a part thereof contacts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the rotary brush 2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an indirect transmission mechanism 32 such as a belt, a chain,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30 is made by the on / off signal of the operation switch 31 provided on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10).

수납용기(40)는 하우징(10)의 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수납용기(40)의 전방 일측에는 누름 버튼(41)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벌어지는 후크(42)가 형성되고, 이 후크(42)가 하우징(10)의 후방 일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 및 해제됨으로써 수납용기(40)가 하우징(10)의 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storage container 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and preferably, at one front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40, a hook 42 is opened upward or downward by a push button 41. The hook 42 is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coupling groove 1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또한, 하우징(10) 및 수납용기(40) 사이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가이드 홈(15) 및 가이드 돌기(43)가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 및 수납용기(40)의 하부면 상에는 적정수의 바퀴들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 및 수납용기(40)의 상호 결합되는 하부면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14, 44)이 각각 구비되어, 회전 브러시(20)에 의해 집진되는 바닥표면 상의 이물질은 이탈됨이 없이 바로 수납용기(40) 내로 완전히 수거된다. In addition, a predetermined guide groove 15 and a guide protrusion 43 may be selectively formed at the mutually coupled portion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storage container 4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storage container 40. An appropriate number of wheels are provided on the surface. Preferably, the inclined surfaces 14 and 44 of the predetermined angle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10 and the storage container 40 so that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collected by the rotary brush 20 are separated. It is collected completely into the storage container 40 without being.

이러한 종래 스위퍼의 하우징(10)과 수납용기(40)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 브러시(20)가 이물질 쓸어담을 때 경사면(14)을 타고 올라가 수납용기(40)에 수납되는 것도 있지만, 회전 브러시(20)의 회전력에 의해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역류되어 흡입구(11) 쪽으로 다시 나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storage container 40 of such a conventional sweeper, when the rotary brush 20 sweeps up the foreign matter, ascend the inclined surface 14 to be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40, but the rotary brush ( By the rotational force of 20), the foreign matter may flow back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come out again toward the suction port 11.

또한, 회전 브러시(20)에 묻은 이물질이 떨어지지 않을 경우 빗자루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고 지저분하다. In addition, when the foreign matter on the rotary brush 20 does not fall, the function as a broom is falling and dirty.

한편, 종래 스팀 겸용 스위퍼로서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10-0402692)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proposed as a conventional steam combined sweeper disclosed in, 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0-0402692.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종래 스팀 겸용 스위퍼는 증기를 발생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어 스팀으로 가열되는 탱크(10)가 내장되어있고, 바퀴(20)가 설치되어 이동되는 본체(30)와, 본체(30)의 전방으로는 바닥의 오물을 쓸어담는 흡입브러쉬(40)로 이루어지되, 본체(30)의 저면으로는 걸레(5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흡입브러쉬(40)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축지지부(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본체(30)와 결합되어 있으며, 축지지부(42)의 일측은 바퀴(20)와 벨트(60)로 결합되어 서로 연동되어 회전한다. 발생된 스팀은 스팀분출공(12)으로 분출되어 본체(30)에 장착된 걸레(50)를 적시게 된다. Referring to FIGS. 16 and 17, the conventional steam combined sweeper has a tank 10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heated by steam to generate steam, and a main body 30 in which wheels 20 are installed and moved. The front of the main body 30 is composed of a suction brush 40 sweeping the dirt of the bott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0 is attached to the removable mop 50, the suction brush 40 is I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0 rotatably by the axial support portion 42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e side of the axial support portion 42 is coupled to the wheel 20 and the belt 60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rotate. The generated steam is ejected to the steam jet hole 12 to wet the mop 50 mounted to the main body 30.

그런데, 카펫을 청소할 때는 걸레(50)를 부착하는 돌기물이 카펫의 털에 걸려 손상을 주기 때문에, 바닥 청소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By the way, when cleaning the carpet, because the projections to attach the mop 50 is caught by the hair of the carpet to damage, there is a limit that only floor cleaning is possibl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탈부착에 따른 단품으로서 패드부착돌기물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휨 변형을 방지한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d tray which prevents the overall bending deformation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pad attachment projection as a separate unit according to the detachable and its base cleaner base assembly using the same. hav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패드 트레이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ad tray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패드가 부착될 돌기물이 형성되는 제1커버판; 상기 제1커버판을 인서트 사출한 제2커버판을 포함한다. A first cover plate having protrusions to which pads are attached; And a second cover plate inserted into the first cover plate.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패드 트레이는, The pad tray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커버판은 연질 플라스틱판이고, 상기 제2커버판은 경질 플라스틱판이다. The first cover plate is a soft plastic plate, and the second cover plate is a hard plastic plate.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The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s of Claim 3 of this invention,

상부케이스와, 흡입구와 스팀분사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는 본체; 패드가 부착될 돌기물이 형성되는 패드 트레이; 상기 패드 트레이를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되, A main body having an upper case, a lower case having a suction port and a steam injection hole formed therein; A pad tray on which a projection to which the pad is attached is formed; It includes a detachable member for detaching the pad tray on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상기 패드 트레이는, 패드가 부착될 돌기물이 형성되는 제1트레이판과, 상기 제1트레이판을 인서트 사출한 제2트레이판을 포함한다. The pad tray includes a first tray plate in which protrusions to which a pad is attached is formed, and a second tray plate in which the first tray plate is inserted into the pad tray.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The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s of Claim 4 of this invention,

상기 제1트레이판은 연질 플라스틱판이고, 상기 제2트레이판은 경질 플라스틱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tray plate is a soft plastic plate, and the second tray plat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hard plastic plate.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The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s of Claim 5 of this invention,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패드 트레이에 돌출 형성되어 측면에 록킹홈이 형성되는 제1탈착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형성되는 홈에 장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하되, The detachable member includes a first detachable part protruding from the pad tray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a second detachable part mounted at a groove formed at a bottom of the lower case to be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상기 제2탈착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탄성록킹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록킹부가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The second detachable part includes an elastic locking part accommodated in the groove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and a support part fastened to the lower case and operatively supported by the elastic locking part.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ad tray and the floor cleaner base assembl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연질의 돌기물을 갖는 제1트레이판을 인서트하여 경질의 제2트레이판으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탈부착에 따른 단품으로서 패드부착돌기물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휨 변형을 방지한다. By inserting the first tray plate having the soft protrusions and molding them integrally into the hard second tray plate, the overall bending deformation is prevented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pad attachment protrusions as a single part according to detachment.

또한, 탈착부재는 패드 트레이에 돌출 형성되어 측면에 록킹홈이 형성되는 제1탈착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형성되는 홈에 장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 킹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탈착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탄성록킹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록킹부가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조립/분해가 쉽고 탄성록킹부의 기능을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The detachable member may include a first detachable part protruding from the pad tray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a second detachable part mounted at a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to be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The second detachable part includes an elastic locking part accommodated in the groove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and a support part fastened to the lower case and operatively supported by the elastic locking part to facilitate assembly / disassembly and to function as an elastic locking part. Can be maintai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겸용 스위퍼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패드 트레이를 제거한 스팀 겸용 스위퍼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steam swee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eam sweeper removing the pad tray in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팀 겸용 스위퍼는 크게 베이스 어셈블리(100)와, 이 베이스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밀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밀대 어셈블리는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 어셈블리(300)와, 넥 어셈블리(300)에 설치되는 손잡이 어셈블리(미도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steam combined sweep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base assembly 100 and a push rod assembly provided to the base assembly. The push rod assembly may be implemented by a neck assembly 300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ase assembly 100 and a handle assembly (not shown) installed in the neck assembly 300.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장착되는 스위핑부재(140) 및 스팀발생부재(190)를 포함한다. The base assembly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sweeping member 140 and a steam generating member 190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110.

본체(110)는 외형을 이루는 하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 부 케이스(130)로 구성되어 있다. The main body 110 is composed of a lower case 12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n upper case 130 coupled to the lower case.

또한, 본체(110)에는 격벽(111)을 중심으로 전방측에 스위핑부재(140)가 장착되는 스위핑장착구획부(113)와, 후방측에 스팀발생부재(190)가 장착되는 스팀장착구획부(116)로 나뉘어진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has a sweeping mounting compartment 113 in which the sweeping member 140 is mounted at the front side around the partition 111, and a steam mounting compartment in which the steam generating member 190 is mounted at the rear side. Divided into 116.

격벽(111)은 하부 케이스(120)측 하부 격벽(111a)과, 상부 케이스(130)측 상부 격벽(111b)으로 나뉜다. 또한, 하부 격벽(111a)과 상부 격벽(111b) 사이에는 패킹(11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tition wall 111 is divided into a lower partition wall 111a on the lower case 120 side and an upper partition wall 111b on the upper case 130 side. In addition, the packing 112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partition 111a and the upper partition 111b.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2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a)의 전방측에는 브러시부(150)가 배치되는 흡입구(121)가 형성되고, 흡입구(121)의 좌우측에는 브러시부(150)를 회전 가능하게 홀딩하는 홀더(152)가 장착되는 하측 브러시홀더지지대(123a)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A, a suction port 121 in which the brush part 150 is disposed is formed at a front side of the lower case 120 side sweeping mounting compartment 113a, and a brush part is dispos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ction port 121. The lower brush holder support 123a to which the holder 152 for rotatably holding the 150 is mounted is formed.

하부 케이스(12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a)의 후방측에는 모터(160)가 안착되는 모터안착부(171)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12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a)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브러시부(150)의 풀리(164)와, 모터(160)의 풀리(162)에 걸치는 벨트(166)가 배치되는 통로(125a)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case 120 side sweeping mounting compartment 113a, a motor seating portion 171 on which the motor 160 is mounted is formed, and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lower case 120 side sweeping mounting compartment 113a is formed. The passage 125a in which the pulley 164 of the brush part 150 and the belt 166 which hangs over the pulley 162 of the motor 160 are arrange | positioned is formed.

또한, 흡입구(121)와 모터안착부(171) 사이에는 집진통(200)이 안착되는 집진통안착홈(127)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suction port 121 and the motor seat 171, a dust collecting groove 127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200 is seated is formed.

집진통안착홈(127)은 계단형태의 바닥(127a)과, 이 바닥(127a)의 가장지리에서 위로 돌출한 전면(128), 좌우측면(127b) 및 배면(127c)로 이루어진다. The dust collecting seating recess 127 is formed of a stepped floor 127a, a front surface 128, a left and right side surface 127b, and a rear surface 127c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floor 127a.

바닥(127a)은 전방측이 후방측에 비해 낮은 형태로 취하고 있다. The bottom side 127a is taken in the form where the front side is lower than the rear side.

배면(127c)에는 후술되는 록커(2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7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ck surface 127c is preferably formed with a guide groove 127d for guiding the locker 250 to be described later.

특히 집진통안착홈(127)의 전면(128)은 후술된 집진통(200)의 경사전면판(211)과 같은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front surface 128 of the dust collecting slot 127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front plate 211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0 described later.

즉 전면(128)은 1차 경사면(128), 경사전면판(211)은 2차 경사면(211)이 하나의 경사면을 이루어, 쓰레받기의 도입부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front surface 128 is the primary inclined surface 128, the inclined front plate 211, the secondary inclined surface 211 forms one inclined surface, serves as an introduction portion of the dust.

이때, 전면(128) 측 흡입구(121)에는 러버 파티션 플레이트(115)가 더 설치되어, 바닥을 긁거나 이물질이 뒤로 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rubber partition plate 115 is further installed at the suction port 121 of the front side 128, and serves to block the bottom or the back of the foreign matter.

하부 케이스(120)측 스팀장착구획부(116a)에는 스팀토출구(129)가 형성되고, 맨 뒤쪽 중앙에는 뒷바퀴(11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am outlet 129 is formed at the lower case 120 side steam mounting compartment 116a, and a rear wheel 118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rearmost center thereof.

또한 흡입구(121)의 약간 뒤쪽에 좌우 앞바퀴(117)가 하부케이스(12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17 are mounted to the lower case 120 slightly behind the suction port 121.

스팀토출구(129)에서 나오는 스팀을 좌우 전체로 분산 토출시키도록 스팀토출커버(129a)가 하부케이스(12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am discharge cover 129a is fastened to the lower case 120 so as to distribute and discharge steam from the steam discharge port 129 to the left and right as a whole.

한편,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3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b)에는 흡입구(121)와 집진통안착홈(127)에 대응되는 관통부(131)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30)측 스팀장착구획부(116b)에는 탱크 어셈블리(192)가 장착되는 탱크장착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a, the upper case 130 side sweeping mounting compartment 113b is formed with a through portion 131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ort 121 and the dust collecting groove 127, the upper case The tank mounting groove 133 on which the tank assembly 192 is mounted is formed in the steam mounting compartment 116b on the side 130.

또한, 관통부(131)의 배면판(132)과 상측 격벽(111b) 사이에는 후술된 모터마운팅부(170)가 수용되는 모터마운팅수용홈(135)과 PCB장착홈(137)이 형성되어 있 다. In addition, a motor mounting recess 135 and a PCB mounting recess 137 are formed between the rear plate 132 and the upper partition 111b of the through part 131 to accommodate the motor mounting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All.

관통부(131)측 좌우에는 홀더(152)를 위에서 지지하는 상측 브러시홀더지지대(123b)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3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b)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하측 통로(125a)와 대응되는 상측 통로(125b)가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brush holder support 123b for supporting the holder 152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rough part 131 is formed, and the lower passage 125a is dispos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upper case 130 side sweeping mounting compartment 113b. An upper passage 125b corresponding to is formed.

하부 케이스(120)와 상부 케이스(130)는 피스로 체결되며, 특히 하부 케이스(120)의 최전방측에는 걸림돌기(119a)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30)의 최전방측에는 걸림돌기(119a)가 걸리는 걸림턱(119b)이 형성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The lower case 120 and the upper case 130 are fastened by a piece. In particular, a locking protrusion 119a is formed at the foremost side of the lower case 120, and a locking protrusion 119a is caught at the foremost side of the upper case 130. The jaw 119b is formed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스위핑부재(140)는 브러시부(150)와, 이 브러시부(15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전달부재로 구성하여 있다. Sweeping member 140 is composed of a brush unit 150, and a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brush unit 150.

브러시부(150)는 회전샤프트(151)와, 이 회전샤프트(151)에 설치되는 브러시(153)로 구성하여 있다. The brush unit 150 is composed of a rotation shaft 151 and a brush 153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151.

회전샤프트(151)의 양쪽 회전축은 홀더(1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홀더(152)는 브러시홀더지지대(123a)(123b)에 안정적으로 홀딩되어 있다. Both rotating shafts of the rotary shaft 151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lder 152. The holder 152 is stably held by the brush holder supports 123a and 123b.

회전동력전달부재는 모터(160), 회전샤프트(151)의 일측에 형성된 풀리(162)와 모터(160)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164)에 걸치는 벨트(166)로 구성하여 있다.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 pulley 162 formed on one side of the motor 160, the rotation shaft 151, and a belt 166 that extends over the pulley 164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160.

벨트(166)는 치형이 있는 타이밍 벨트로 구성되고, 풀리(162)와 풀리(164)는 치형과 맞물리는 치형 풀리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Belt 166 is composed of a toothed timing belt, pulley 162 and pulley 164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toothed pulley to engage the tooth.

모터(160)는 모터마운팅부(170)에 의해 하부케이스(120)에 체결 마운팅 된다. The motor 160 is fastened to the lower case 120 by the motor mounting unit 170.

즉, 모터마운팅부(170)는 모터(160)의 밑면이 안착되게 하부케이스(120)에 형성되는 모터안착부(171)와, 하부케이스(120)에 체결되어 모터(160)의 윗면을 감싸 지지하는 모터지지프레임(173)을 포함한다. That is, the motor mounting unit 170 is fastened to the motor seating portion 171 formed in the lower case 120 and the lower case 120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motor 160 is seat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tor 160. Supporting motor support frame 173 is included.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체결이 쉬우면서 모터안착부(171)와 모터지지프레임(173)이 모터(160)를 감싸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motor seating portion 171 and the motor support frame 173 may be easily wrapped to close the motor 160 to block noise.

또한, 모터(160)가 벨트(166)에 의해 한쪽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 힘을 상쇄하는 지지구조를 취하여 모터(160)의 회전축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체결프레임(176)의 좌측은 하나, 우측은 2개의 체결구조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motor 160 by the belt 166, the support structure that cancels this force is improve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60. This can be achieved from two fastening structures, one on the left side and one on the right side of the motor fastening frame 176, as shown in FIG.

모터지지프레임(17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공(174a)이 형성된 모터몸체프레임(174)과, 모터몸체프레임(17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촉리브(175)와, 모터몸체프레임(174)에서 연장되는 모터체결프레임(176)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motor support frame 173 includes a motor body frame 174 having a heat radiating hole 174a, a plurality of contact ribs 175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tor body frame 174, and The motor fastening frame 176 extends from the motor body frame 174.

접촉리브(175)는 모터(160)의 외주면과 선접촉을 하도록 원둘레를 따라 띠형상이고, 방열공(174a)은 접촉리브(175)와 접촉리브(175) 사이의 모터몸체프레임(174)에 형성되어 모터(16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act ribs 175 are band-shaped along the circumference to make lin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tor 160, and the heat dissipation hole 174a is connected to the motor body frame 174 between the contact ribs 175 and the contact ribs 175. It is desirable to be formed to release the heat generated by the motor 160.

모터지지프레임(173)의 양측에는 모터체결프레임(176)이 형성되어, 피스에 의해 하부케이스(120)에 체결 고정된다. Motor fastening frame 176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tor support frame 173, is fastened to the lower case 120 by a piece.

모터안착부(171)는 모터(160)의 밑면을 받치는 복수의 받침리브(17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tor seating portion 171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ribs 172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tor 160.

또한, 모터안착부(171)의 일측에는 모터(160)의 일측단(회전축 근처)을 받치는 모터일측받침대(17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motor seat 171 is provided with a motor side support 171a that supports one end (near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60.

또한, 받침리브(172)와 모터(160)의 밑면 사이에는 방열공(178a)이 형성된 방진패드(178)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etween the support rib 17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tor 160, it is preferable that the dustproof pad 178 having a heat radiation hole 178a is interposed.

한편, 모터안착부(171)와 받침리브(172) 사이에는 방진패드(178)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proof pad 178 is preferably interposed between the motor seating portion 171 and the support rib 172.

또한, 방진패드(178)에도 방열공(178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radiation hole 178a is also formed in the dustproof pad 178.

방진패드(178)의 일측에는 모터(160)의 일측단에 지지되는 지지캡(178b)이 형성되어, 모터일측받침대(171a)와 모터(160)의 일측단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One side of the anti-vibration pad 178 is formed with a support cap 178b that is supported at one end of the motor 160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motor one side support 171a and one end of the motor 160, thereby causing noise due to vibration. Will absorb.

관통부(131)와 집진통안착홈(127)에 수용 안착되는 집진통(2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10)와, 이 케이스(2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230)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FIG. 8,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0 accommodat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131 and the dust collecting housing seating groove 127 includes a case 210 and a cover 2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10. It includes.

케이스(210)의 전면에는 쓸어담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The front of the case 210 is formed with an inlet 212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sweeps in.

즉 케이스(210)는 전면판(211), 좌우측판(213), 뒤판(215) 및 밑판(217)으로 구성되어, 개방된 상부로 쌓인 이물질을 청소하는 배출구로 사용한다. That is, the case 210 is composed of the front plate 211,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 213, the back plate 215 and the bottom plate 217, it is used as an outlet for cleaning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open top.

전면판(2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진 경사전면판(211)으로 이루어져, 쓸어담는 쓰레받기 역할을 한다. The front plate 211 is made of the inclined front plate 211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sweep the sweep.

물론, 유입구(212)은 경사전면판(211)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Of course, the inlet 212 is disposed above the inclined front plate 211.

좌우측판(213)에는 가이드돌기(213a)가 형성되고, 관통부(131)의 좌우측판에는 가이드홈(13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uide protrusions 213a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13, and guide grooves 131a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of the through part 131.

밑판(217)은 전술한 계단형태의 바닥(127a)에 안착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The base plate 217 is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seated on the floor 127a of the above-described step shape.

따라서, 밑판(217)의 전방측(217a)은 후방측(217b)에 비해 아래로 더 내려오기 때문에, 유입구(212)의 높이만큼 줄어든 용량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Therefore, since the front side 217a of the base plate 217 descends further down than the rear side 217b, it serves to compensate for the capacity reduced by the height of the inlet 212.

커버(230)는 케이스(2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커버(231)와, 제1커버(23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23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ver 230 preferably includes a first cover 231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10 and a second cover 233 extending forward from the first cover 231.

집진통(200)이 관통부(131)에 수납되었을 때 도 4 및 도 9a와 같이, 제2커버(233)는 브러시(153)의 상부를 커버한다.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0 is accommodated in the through part 131, as shown in FIGS. 4 and 9A, the second cover 233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brush 153.

커버(230)는 힌지부재(218)(238)에 의해 케이스(2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ver 23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ase 210 by the hinge members 218 and 238.

즉, 커버(230)의 힌지축(238)은 케이스(210)의 힌지공(218)에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다. That is, the hinge shaft 238 of the cover 230 is coupled to the hinge hole 218 of the case 210 is rotatable.

힌지축(238)은 제1커버(231)와 제2커버(233) 사이에 형성되고, 힌지공(218)은 유입구(212) 근처의 좌우측판(21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inge shaft 238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ver 231 and the second cover 233, the hinge hole 218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plates 213 near the inlet 212.

이러한 힌지축(238)과 힌지공(218)의 위치로 인해, 도 9a의 닫힌 상태에서 도 9b와 같이 열린 상태로 되었을 때, 제1커버(231)은 케이스(210)의 상부를 개방하는 한편, 제2커버(233)는 경사전면판(211)에 접촉되어 유입구(212)을 막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제1커버(231)가 닫히면 제2커버(233)는 유입구(212) 측을 여는 시소 형태이다. Due to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238 and the hinge hole 218, when the state is opened in the closed state of Figure 9a as shown in Figure 9b, the first cover 231 opens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10 The second cover 233 contacts the inclined front plate 211 to block the inlet 212. 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cover 231 is closed, the second cover 233 opens the inlet 212 side.

따라서, 케이스(210)와 제2커버(233)을 잡고 이물질을 뒤집어 비우더라도 유 입구(212) 쪽으로 이물질이 새지않아 깔끔하다. Therefore, even if the foreign material is turned over and emptied by holding the case 210 and the second cover 233, the foreign material does not leak toward the oil inlet 212 and is clean.

또한, 이물질이 상부를 통해 배출되어 비우기 때문에, 집진된 먼지가 유입구(212) 이외로는 새지 않아, 밑면으로 개폐하는 종래 집진통(쌓인 먼지가 틈새로 빠져 집진통안착홈에 쌓인다)에 비해 집진통안착홈(127)이 깔끔하다. In addition, since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and emptied, the collected dust does not leak other than the inlet 212,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ust collector (stacked dust falls into the gap and accumulates in the dust collector seating groove) to open and close to the bottom Pain relief seat 127 is clean.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커버(233)의 밑면에는 아래로 돌출한 돌출턱(2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is preferab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ver 233 protruding jaw 240 protruding downward.

이 돌출턱(240)은 좌우방향으로 돌출된 리브 형태로 구현되어, 브러시부(150)의 회전에 따른 이물질이 다시 튀어나오는 것(역류 현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The protruding jaw 24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ribs protru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serves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being re-produc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brush unit 150 (backflow phenomenon).

따라서, 돌출턱(240)에 부딪친 이물질은 유입구(212)로 다시 들어가거나, 유입구(212)와 브러시부(150) 사이로 떨어져 쓸어담는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Therefore, foreign matters hitting the protruding jaw 240 may enter the inlet 212 again, or may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of sweeping away between the inlet 212 and the brush unit 150.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커버(233) 밑면에는 돌출턱(240) 보다 전방에 위치한 추가 돌출턱(24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bottom of the second cover 233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protruding jaw 242 positioned in front of the protruding jaw 240.

이 추가 돌출턱(242)은 브러시(153)에 묻은 먼지를 터는 역할을 하여, 브러시(153)의 쓸어담는 효율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The additional protruding jaw 242 serves to blow dust on the brush 153,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sweeping efficiency of the brush 153.

이와 같이 돌출턱(240) 또는 추가 돌출턱(242)이 형성되는 경우, 이 돌출턱(240)(242) 들이 경사전면판(211)에 닿아 유입구(212) 측을 막는 기능을 대신하게 된다. When the protruding jaw 240 or the additional protruding jaw 24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ding jaws 240 and 242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front plate 211 to replace the function of blocking the inlet 212.

제2커버(230)에는 케이스(210)의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커버(23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cover 2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ransparent cover 235 that can see the inside of the case 210.

투명커버(235)는 제1커버(231)에서 아래로 돌출한 부분에 끼위지고, 그 측면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턱(23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nsparent cover 235 may be fitted to a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cover 231, and a handle jaw 236 may be formed at a side thereof to pinch a finger.

한편, 케이스(210)에 대해 커버(230)를 록킹/해제하는 록커(2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er 250 for locking / unlocking the cover 230 with respect to the case 210 is installed.

록커(250)는 커버(230)에 형성되는 록킹돌기(251)와, 이 록킹돌기(251)를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253)로 구성되어 있다. The locker 250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251 formed on the cover 230 and a locking release part 253 for locking / releasing the locking protrusion 251.

록킹해제부(253)는 작동편(254), 이 작동편(254)이 뒤판(215)의 힌지홈(미도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255), 힌지축(255)을 중심으로 작동편(254)의 위쪽에 형성되어 록킹돌기(215)가 걸리는 록킹턱(257), 작동편(254)의 아래측에 배치되는 스프링(259)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unlocking portion 253 is centered on the actuating piece 254, the hinge axis 255 and the hinge axis 255 which allow the actuating piece 254 to pivot about a hinge groove (not shown) of the back plate 215. And a locking jaw 257 formed above the operating piece 254 and the locking projection 215 is disposed, and a spring 259 disposed below the operating piece 254.

따라서, 스프링(259)이 있는 쪽의 작동편(254)을 누르면, 록킹턱(257)이 선회하면서 록킹돌기(251)가 해제되고, 반대로 록킹돌기(251)가 밀고 들어오면 록킹턱(257)의 윗면을 밀면서 작동편(254)이 선회하다가 서로 맞물려 록킹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operating piece 254 on the side with the spring 259 is pressed, the locking projection 251 is released while the locking jaw 257 is turned, and the locking projection 251 is pushed in when the locking projection 251 is pushed in. While pus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ng piece 254 is pivoted while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to lock.

이러한 록커(250)가 뒤판(215)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경우, 이 록커(2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1b)이 배면판(132)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When the locker 250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back plate 215, the guide groove 131b for guiding the rocker 250 may be formed in the back plate 132.

스팀발생부재(190)는 히터(191)와, 이 히터(191)에 물이 접촉되어 증기가 발생하는 탱크(193), 이 탱크(193)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스팀토출구(129)에 접속되는 접속관(195)으로 구성된다. 탱크(193)에는 마개(194)에 의해 물을 주입할 수 있다. The steam generating member 190 is connected to the heater 191, a tank 193 in which water is in contact with the heater 191 to generate steam, and steam generated from the tank 193 to the steam discharge port 129. It consists of a connection pipe 195. Water may be injected into the tank 193 by a stopper 194.

격벽(111b)과 배면판(132) 사이의 공간에는 스팀발생부재(190)와 스위핑부재(140)를 구동 제어하는 PCB(180)가 장착되어 있다.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111b and the back plate 132, a PCB 180 driving and controlling the steam generating member 190 and the sweeping member 140 is mounted.

한편,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20)의 밑면에는 탈착부재(270)에 의해 탈착되는 패드 트레이(260)가 더 추가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10 to 13, a pad tray 260 detachable by the detachable member 270 may be further ad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20.

패드 트레이(260)는 카펫 등을 청소할 때는 분리하고, 스팀을 이용한 바닥 청소를 할 때는 결합해서 사용하는 용도이다. The pad tray 260 is used to separate the carpet and the like to clean the carpet, and to combine the pad tray 260 to clean the floor using steam.

패드 트레이(260)는 트레이판(261), 스팀토출구(129)와 서로 통하게 트레이판(261)에 형성되는 인출공(263), 인출공(263)을 중심으로 전, 후 또는 전후에 형성되는 패드부착돌기물(265)이 성형되어 있다. The pad tray 260 is formed before, after, or before and after around the outlet holes 263 and the outlet holes 263 formed in the tray plate 261 in communication with the tray plate 261 and the steam discharge port 129. The pad attachment protrusion 265 is shape | molded.

패드부착돌기물(265)은 패드의 벨크로가 잘 탈ㆍ부착되도록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PP 또는 PC계열)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은 단품으로 사용(즉 본 실시예와 같이 탈부착해서 쓰는 경우)될 때 휨 변형으로 인해 하부케이스(120)의 밑면에 잘 부착이 되지 않게 된다. (기존 스팀청소기는 상부케이스에 체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부착돌기물이 하부케이스에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더라도 상부 케이스가 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pad attachment protrusion 265 should be made of a soft plastic material (PP or PC series) so that the Velcro of the pa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ell. Such a soft plastic material is har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20 due to the bending deformation when used as a single piece (that is, when it is detachably us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isting steam cleaner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upper case, so it prevents the upper case from bending even if the pad attachment protrusion is molded in the soft plastic material on the lower cas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연질의 패드부착돌기물(265)이 형성된 제1트레이판 패드부착돌기판(261a)을 열에 강하고 연질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후, 이 패드부착돌기판(261a)을 금형에 인서트한 후 전자보다 열에 약하고 경질 플라스틱(PP 또는 PC계열에 유리섬유를 약간 포함시킨 것) 제2트레이판인 보강트레이판(261b)을 성형한 것이다. 도 12의 제2트레이판(261b)은 별도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first, the first tray plate pad attachment protrusion board 261a having the soft pad attachment protrusion 265 formed thereon is heat-resistant and made of soft plastic, and then the pad attachment protrusion is formed. After inserting the substrate 261a into the mold, the reinforcing tray plate 261b, which is weaker than the former and hard plastic (with a little glass fiber in PP or PC series), is formed. The second tray plate 261b of FIG. 12 is not provided separately and is a view for better understanding.

따라서, 패드 트레이(260)가 단품이지만, 보강트레이판(261b)이 패드부착돌 기판(261a)이 휘는 것을 잡아주게 되어, 편편한 상태를 잘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although the pad tray 260 is a single piece, the reinforcement tray plate 261b can hold the pad attachment stone substrate 261a to bend, thereby keeping the flat state well.

탈착부재(270)는 패드 트레이(260)에 형성되는 제1탈착부(271)와 하부케이스(120)에 설치되는 제2탈착부(275)로 이루어진다. The detachable member 270 includes a first detachable part 271 formed on the pad tray 260 and a second detachable part 275 installed on the lower case 120.

제1탈착부(271)는 패드 트레이(260)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기(272)의 측면에 형성된 탈착홈(273)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detachable part 271 includes a detachable groove 273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272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ad tray 260.

제2탈착부(275)는 하부케이스(120)의 밑면에 형성되는 홈(276)에 수용되는 탄성록킹부(277)와, 이 탄성록킹부(277)을 지지하는 지지부(279)로 구성되어 있다. The second detachable part 275 includes an elastic locking part 277 accommodated in the groove 276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20, and a support part 279 supporting the elastic locking part 277. have.

탄성록킹부(277)는 홈(276)의 바닥에 놓이는 바닥판(277a)과, 이 바닥판(277a)에서 외팔보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록킹편(277b)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277a)의 중심에는 장공(277a')이 형성되고, 이 장공(277a')은 홈(276)에 형성된 장공돌기(277a'')에 끼워져 위치를 결정하는 게 좋다. The elastic locking portion 277 is composed of a bottom plate 277a placed on the bottom of the groove 276 and an elastic locking piece 277b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form of a cantilever in the bottom plate 277a. A long hole 277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277a, and the long hole 277a' is fitted to the long hole projection 277a '' formed in the groove 276 to determine its position.

지지부(279)는 바닥판(277a)을 눌러 지지하는 지지편(279a)과, 하부케이스(120)에 체결 고정되어 지지편(279a)을 지지하는 체결편(279b)으로 구성된다. The support part 279 is comprised of the support piece 279a which presses and supports the bottom plate 277a, and the fastening piece 279b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case 120, and supports the support piece 279a.

지지편(279a)이 중공 형상인 경우 탄성록킹편(277b)이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배치홈(279a')이 지지편(279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upport piece 279a is hollow, it is preferable that an arrangement groove 279a 'on which the elastic locking piece 277b is operatively formed is formed in the support piece 279a.

제1탈착부(271)와 제2탈착부(275)는 패드 트레이(260)와 하부케이스(120)의 뒤쪽에 있어서, 패드 트레이(260)와 하부케이스(120)의 앞쪽에는 제3탈착부(274)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detachable part 271 and the second detachable part 275 are located at the back of the pad tray 260 and the lower case 120, and a third detachable part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pad tray 260 and the lower case 120. It is preferable that 274 be further formed.

제3탈착부(274)는 패드 트레이(260)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274a)와 이 돌기(274a)가 삽입되는 삽입홈(274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274a)와 삽입홈(274b)은 입체형 사다리꼴이 탈착이 용이한 형상으로 바람직하다. The third detachable portion 274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rotrusion 274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tray 260 and an insertion groove 274b into which the protrusion 274a is inserted. The projections 274a and the insertion grooves 274b are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three-dimensional trapezoid that is easily removable.

이러한 패드 트레이(260)는 사용자가 서서 발로 누를 수 있는 발누름판(267)이 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 누르만(267)은 발뿐 아니라 손으로 눌러 분리시킬 수도 있다. The pad tray 26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foot press plate 267 that the user can stand and press with his feet. Foot press 267 can also be separated by hand as well as foo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본 발명은 전술한 저수식 스팀 겸용 스위퍼(본체에 스팀발생부재가 있는 겨우)뿐만 아니라 분사식(밀대 쪽에 스팀발생부재가 있는 경우) 또는 중력식 스팀 겸용 스위퍼(밀대 또는 본체에 스팀발생부재가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he above-mentioned low water steam combined sweeper (only if the steam generating member in the body) but also spray type (when there is a steam generating member on the side of the straw) or gravity steam combined sweeper (when the steam generating member is on the straw or body) Applic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겸용 스위퍼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steam combined swee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패드 트레이를 제거한 스팀 겸용 스위퍼의 결합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eam sweeper removing the pad tray in Figure 1;

도 3은 도 2의 저면도. 3 is a bottom view of FIG. 2.

도 4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도 5a는 하부케이스의 상면 사시도. Figure 5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ase.

도 5b는 도 5a에 회전 브러시와, 이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상면 사시도. FIG. 5B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brush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for rotating the rotary brush in FIG. 5A; FIG.

도 6a 및 도 6b는 상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6A and 6B are bottom perspective views of the upper case.

도 7은 모터와 모터지지프레임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motor and the motor support frame.

도 8은 집진통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or separated.

도 9a 및 도 9b는 집진통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9A and 9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closed and opened.

도 10 및 도 11은 패드 트레이를 도시한 저면 및 상면 사시도. 10 and 11 are bottom and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pad tray.

도 12는 도 11의 패드 트레이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manufacturing the pad tray of FIG. 11;

도 13은 패드 트레이와 하부 케이스의 탈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chable member of the pad tray and the lower case.

도 14는 종래 스위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weeper.

도 15는 도 14의 결합 측단면도.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도 16은 종래 다른 스팀 겸용 스위퍼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steam combined sweeper.

도 17은 도 16의 저면도. 17 is a bottom view of FIG. 1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베이스 어셈블리 110 : 본체100: base assembly 110: main body

111,111a,111b : 격벽 112 : 패킹111,111a, 111b: bulkhead 112: packing

113,113a,113b : 스위핑장착구획부 115 : 러버 파티셔 플레이트113,113a, 113b: sweeping mounting compartment 115: rubber partitioner plate

116,116a,116b : 스팀장착구획부 117 : 앞바퀴116,116a, 116b: steam installation compartment 117: front wheel

118 : 뒷바퀴 119a : 걸림돌기118 rear wheel 119a

119b : 걸림턱 120 : 하부케이스119b: Jam Jaw 120: Lower Case

121 : 흡입구 123a,123b : 브러시홀더지지대121: suction port 123a, 123b: brush holder support

125a,125b : 통로 127 : 집진통안착홈125a, 125b: Aisle 127: Dust collecting seat home

128 : 1차경사전면 129 : 스팀토출구128: front slope 1 129: steam discharge port

129a : 스팀분배커버 130 : 상부케이스129a: steam distribution cover 130: upper case

131 : 관통부 131a,131b : 가이드홈131: through part 131a, 131b: guide groove

132 : 배면판 133 : 탱크장착홈132: rear plate 133: tank mounting groove

135 : 모터마운팅수용홈 137 : PCB장착홈135: motor mounting groove 137: PCB mounting groove

140 : 스위핑부재 150 : 브러시부140: sweeping member 150: brush portion

151 : 회전샤프트 152 : 홀더151: rotating shaft 152: holder

153 : 브러시 160 : 모터153 brush 160 motor

162,164 : 풀리 166 : 타이밍벨트162,164 Pulley 166 Timing Belt

170 : 모터마운팅부 171 : 모터안착부170: motor mounting part 171: motor seating part

171a : 모터일측받침대 172 : 받침리브171a: motor one side support 172: support rib

173 : 모터지지프레임 174 : 모터몸체프레임173: motor support frame 174: motor body frame

174a : 방열공 175 : 접촉리브174a: heat sink 175: contact rib

176 : 모터체결프레임 178: 방진패드176: motor fastening frame 178: dustproof pad

178a : 방열공 178b : 지지캡178a: heat sink 178b: support cap

180 : PCB 190 : 스팀발생부재180: PCB 190: steam generating member

191 : 히터 192 : 탱크어셈블리191: heater 192: tank assembly

193 : 탱크 194 : 마개193 tank 194 stopper

195 : 접속관 200 : 집진통195: connection tube 200: dust collector

210 : 케이스 211 : 경사전면판210: case 211: inclined front plate

212 : 유입구 213 : 좌우측판212: inlet 213: left and right plates

215 : 뒤판 217 : 밑판215: back plate 217: bottom plate

218 : 힌지공 230 : 커버218: hinge hole 230: cover

231 : 제1커버 213a : 가이드돌기231: first cover 213a: guide protrusion

233 : 제2커버 235 : 투명커버233: second cover 235: transparent cover

238 : 힌지축 240 : 돌출턱238: hinge axis 240: protruding jaw

242 : 추가 돌출턱 250 : 록커242: additional protrusion jaw 250: rocker

251 : 록킹돌기 253 : 록킹해제부251: locking projection 253: locking release unit

254 : 작동편 255 : 힌지축254: operation piece 255: hinge axis

257 : 록킹턱 259 : 스프링257: locking jaw 259: spring

260 : 패드 트레이 261 : 트레이판260: pad tray 261: tray plate

261a : 패드부착돌기판 261b : 보강트레이판261a: pad attachment protrusions 261b: reinforcement tray board

263 : 인출공 265 : 패드부착돌기물263: drawing-out hole 265: pad attachment protrusions

267 : 발누름판 270 : 탈착부재267: foot press plate 270: removable member

271 : 제1탈착부 272 : 돌기271: first removable portion 272: projection

273 : 탈착홈 274 : 제3탈착부273: removable groove 274: third removable portion

274a : 돌기 274b : 삽입홈274a: projection 274b: insertion groove

275 : 제2탈착부 276 : 홈275: second removable portion 276: groove

277 : 탄성록킹부 277a : 바닥판277: elastic locking portion 277a: bottom plate

277b : 탄성록킹편 279 : 지지부277b: elastic locking piece 279: support

279a : 지지편 279a' : 배치홈279a: Supporting piece 279a ': Placement groove

279b : 체결편 300 : 넥 어셈블리279b: Fastener 300: Neck Assembly

Claims (5)

패드가 부착될 돌기물이 형성되는 제1커버판; A first cover plate having protrusions to which pads are attached; 상기 제1커버판을 인서트 사출한 제2커버판을 포함하는 패드 트레이. A pad tray comprising a second cover plate inserted into the first cov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커버판은 연질 플라스틱판이고, The first cover plate is a soft plastic plate, 상기 제2커버판은 경질 플라스틱판인 패드 트레이. The second cover plate is a pad tray hard plastic plate. 상부케이스와, 흡입구와 스팀분사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는 본체; A main body having an upper case, a lower case having a suction port and a steam injection hole formed therein; 패드가 부착될 돌기물이 형성되는 패드 트레이; A pad tray on which a projection to which the pad is attached is formed; 상기 패드 트레이를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되, It includes a detachable member for detaching the pad tray on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상기 패드 트레이는, 패드가 부착될 돌기물이 형성되는 제1트레이판과, 상기 제1트레이판을 인서트 사출한 제2트레이판을 포함하는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The pad tray may include a first tray plate on which protrusions to which a pad is attached is formed, and a second tray plate inserted into the first tray plate, and a second tray plate inserted into the pad tray.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트레이판은 연질 플라스틱판이고, The first tray plate is a soft plastic plate, 상기 제2트레이판은 경질 플라스틱판인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The second tray plate is a hard plastic plate base cleaner for floor cleaners.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패드 트레이에 돌출 형성되어 측면에 록킹홈이 형성되는 제1탈착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형성되는 홈에 장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하되, The detachable member includes a first detachable part protruding from the pad tray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a second detachable part mounted at a groove formed at a bottom of the lower case to be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상기 제2탈착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탄성록킹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록킹부가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And the second detachable part includes an elastic locking part accommodated in the groove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and a support part fastened to the lower case and operatively supported by the elastic locking part.
KR1020090109106A 2009-11-12 2009-11-12 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KR201100521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106A KR20110052169A (en) 2009-11-12 2009-11-12 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106A KR20110052169A (en) 2009-11-12 2009-11-12 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788A Division KR20110052403A (en) 2009-11-12 2009-12-01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169A true KR20110052169A (en) 2011-05-18

Family

ID=4436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106A KR20110052169A (en) 2009-11-12 2009-11-12 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216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12581T3 (en) Surface cleaning device
US7412749B2 (en) Vacuum cleaner and floor dustpan system
KR101340423B1 (en) A Stick Type Vacuum Cleaner
KR100813539B1 (en) Dust collector steam and vacuum cleaner
KR20110125942A (en) Rotating brush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US8572800B2 (en) Base assembly for sweeper
GB2593570A (en) Vacuum cleaner
KR100889325B1 (en) Steam and vacuum cleaner
US20060150364A1 (en) Recovery tank for a floor cleaning device
AU2003261467A1 (en) Turbine Brush
KR101126540B1 (en) dust case for sweeper
KR101126541B1 (en) sweeper
KR101053230B1 (en) Dust collector for sweeper
KR101131542B1 (en) 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KR20110052169A (en) 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CN102648835A (en) Dust collecting barrel for sweeper
KR20110052403A (en)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JP2003339584A5 (en)
KR20110125941A (en)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CN211704441U (en) Storage station of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ion device assembly
JP3809600B2 (en) Vacuum cleaner
CN102648836A (en) Dust collection barrel for sweeper
CN102648834A (en) Sweeper
CN218361071U (en) Cleaning machine with shock-absorbing function
CN218220084U (en) Handheld dust suction device and clean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