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388A -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back of chair regula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back of chair regula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388A
KR20110050388A KR1020100110127A KR20100110127A KR20110050388A KR 20110050388 A KR20110050388 A KR 20110050388A KR 1020100110127 A KR1020100110127 A KR 1020100110127A KR 20100110127 A KR20100110127 A KR 20100110127A KR 20110050388 A KR20110050388 A KR 20110050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protrusion
user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8520B1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ublication of KR2011005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3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5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PURPOSE: A chair for correcting user's posture is provided to make maintenance of correct posture possible by fixing the wheels of the chair through a braking function when a user takes a seat. CONSTITUTION: A chair for correcting user's posture comprises a rotating member, a rotation linkage member, a first regulation frame, and a second regulation frame. The rotating member(110) is inserted into a back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back of a seat back.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controlled by a user. The rotation linkage member is combined with the rotating member. The first and second regulation frames control the protrusion degree of the seat back.

Description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Back of Chair Regulating Function}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Back of Chair Regul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착석 자세를 교정해 주는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시 가슴 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도록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 부분의 돌출 상태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자세 교정이 가능한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chair for correcting a seating 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ort the chest part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so that the user's back muscles and spine can be relaxed to face forward, and the back portion By adjusting the protruding state of the user to maintain a normal waist curve in a comfortable state to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having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capable of correcting the posture.

통상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시 대부분의 체중을 지탱하는 좌석 시트와, 좌석 시트의 배면에 세워져서 사용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좌석 시트와 등받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Typically, the chair comprises a seat seat that supports most of the weight when the user is seated, a backrest that stands on the back of the seat seat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a support frame that supports the seat seat and the backrest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Consists of.

이러한 통상의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시 둔부 및 허벅지가 좌석 시트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 체중의 대부분이 좌석 시트에 지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에 기대는 경우에는 상체의 대부분의 하중이 등받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This conventional chair has the hips and thighs supported by the seat when the user is seated so that most of the user's weight can be supported by the seat and most of the load of the upper body when the user is leaning against the backrest while seated. It is made of a form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backrest.

한편, 학생이나 각종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사무실에 내근하는 회사원 등의 경우 하루의 대부분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의 착석으로 인해 상체의 하중이 좌석 시트에 지속적으로 지지되게 되면 척추에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허리를 비롯한 척추, 골반의 변형이 야기되게 되어 척추 및 골반과 그 주위의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tudents, test takers preparing for various exams, and office workers who come to the office have to spend most of the day sitting in chairs. The load on the spine increases, causing deformation of the spine, pelvis, including the lower back, which can add stress to the spine and the pelvis and the muscles around it.

인체의 균형잡힌 척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척추가 측면에서 보았을때 "S"자 형상을 유지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의자에 착석시 둔부를 뒤로 깊숙이 넣고 허리를 곧게 펴서 등받이에 기대는 자세를 유지해야 하지만,통상 의자는 좌석 시트의 배면으로부터 등받이가 연장되도록 되어 있고 둔부를 좌석 시트에 깊숙이 넣기가 어렵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부분의 피로감이나 통증 등이 수반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척추 디스크나 척추 측만증 등의 척추질환, 요추 질환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In order to maintain a balanced spine of the human body, the spine must have an "S"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To do this, the seat should be placed deep into the back and the back is straight and the back rests while the chair is seated. In general, the chair has a backrest extended from the back of the seat, and it is difficult to put the buttocks deep into the seat, so that it may be accompanied by fatigue or pain in the lower back, and in severe cases, spinal diseases such as spinal discs or scoliosis. It also acts as a cause of lumbar spine disease.

이에, 최근에는 의자에 착석시 사용자의 둔부가 좌석 시트에 깊숙이 들어가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허리가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착석 자세를 교정해 주는 획기적인 구조의 자세 교정용 의자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when the chair is seated, the hips of the user are kept deep in the seat, and the posture correcting chair of the groundbreaking structure corrects the sitting posture so that the user's waist is straightened. There is a great need for development.

또한, 사용자의 상체 하중을 등받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를 느낄 수 있으면서, 정상적인 허리 곡선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등받이 이용시 자세 교정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시급하게 요구되는 상태이다.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backrest structure to effectively support the user's upper body load through the backrest, a fundamental solution for posture correction when using the backrest that can help the user feel comfortable and maintain a normal waist curve is provided. It is urgently need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임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올바른 착석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allow the back portion of the chair to protrude in a form tha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a correct seating state in a comfortable state. It is to provide a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 부위를 받쳐주는 체스트 서포터(Chest Supporter)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척추 및 등 근육이 전방을 향하도록 이완시키고, 사용자의 둔부가 좌석 시트에 깊숙히 들어가도록 지지하여 올바른 착석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chest supporter (Chest Supporter) to support the user's chest portion seated on the chair to relax the user's spine and back muscles facing forward, so that the user's buttocks deep into the seat It is to provide a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to support and maintain a correct seating st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의자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탱하는 복수의 다리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어 있는 좌석 시트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를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후면을 지지하는 등받이 프레임에 끼워져서 고정된 위치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동 조작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연동 부재 및, 상기 회전 연동 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의 후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연동 부재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entire load of the chair, a plurality of leg frames for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from the floor surface, seat seats coupled on the support frame and A posture correction chair having a backrest connected to support a user's back, wherein the rotation member is pivotally coupled in a fixed position by being fitted to a backrest frame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and rotated by a user. And a rotationally coupled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member,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and moving in a forward / rear direction, respectively, extending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the rotary linkage member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front / rear direction. Providing a first and a second with a recli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frame, posture correction for the chair to adjus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bac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의자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탱하는 복수의 다리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어 있는 좌석 시트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를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회동 조작으로 상기 등받이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돌출 조절 노브와, 상기 돌출 조절 노브와 연결되어 해당 돌출 조절 노브의 회동 조작에 따라 돌출 연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기어 동작하는 회전 기어체, 상기 돌출 조절 노브의 회동 조작에 따른 상기 회전 기어체의 기어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돌출 연동 부재, 상기 돌출 연동 부재 양측에 각각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의 후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동 부재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 및, 상기 돌출 조절 노브의 회전 기어체와의 연결단과, 상기 회전 기어체, 각각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동 부재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entire load of the chair, a plurality of leg frames for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from the bottom surface, the seat seat is coupled on the support frame A posture correcting chair having a backrest connected to and supporting a user's back, comprising: a protrusion adjustment knob for adjusting a protrusion degree of the backrest by a rotational operation by a user, and a protrusion adjustment connected with the protrusion adjustment knob Rotating gear body geared to move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in the forward /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knob, and moving forward / backward in conjunction with gear movement of the rotating gear body according to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protruding adjustment knob.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s, respectively extending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s, the backrest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frame for interlocking with the movement in the front / rear direction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to adjus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backrest, and the rotary gear body of the protruding adjustment knob It provides a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comprising a connection end and a housing coupled to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rotary gear body is operatively supported and embedded therei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좌석 시트의 전방에 체스트 서포터를 설치하여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 부위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체스트 서포터를 향해 상체가 기울어진 사용자의 허리 곡선이 정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편안하고 올바른 착석 상태 유지로 인해, 각종 척추 질환, 요추 질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chest supporter in front of the seat seat to support the chest of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the user's waist curve of the user inclined toward the chest supporter maintains the normal state By maintaining a comfortable and correct seating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various spinal diseases, lumbar diseases in advance.

또한, 사용자가 조절 노브를 이용하여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원하는 위치만큼 돌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의 돌출 조절부의 높이를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체스트 서포터와의 밀착 정도를 사용자가 편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체스트 서포터와는 별도로 작용하여 사용자의 허리 곡선이 정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각기 다른 체형에 맞추어서 올바른 착석 상태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책상에서의 작업을 쉬고 등받이에 기대더라도 편안하고 올바른 착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adjust the back portion of the chair to the desired position by using the adjustment knob, an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adjustment portion of the backrest up and down, the user is comfortable to close the chest supporter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switch to a state, it works independently of the chest supporter to keep the user's waist curve in a steady s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rrect seating state according to the different body types of the user, Even if you rest your work and lean on your back, you will have the effect of being comfortable and sitting properly.

또, 의자의 바퀴가 사용자 착석시 브레이크 작용으로 인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중심 이동 발생시 의자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올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wheel of the chair to be fixed due to the brake action when the user is seat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by preventing the chair from being moved arbitrarily when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등받이의 돌출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조절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의자의 등받이 시트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등받이의 돌출 조절 기능 및 등받이 돌출 조절부의 높이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조절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의자의 등받이 시트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의자의 등받이 돌출 조절부의 높이를 상/하 조절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의자의 버턱 레스트(Buttock Rest) 부위가 틸팅이 가능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자세 교정용 의자의 바퀴가 사용자의 착석시 브레이크 고정이 가능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체스트 서포터(Chest Supporter)에 사용자가 가슴 부위를 의지하고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structure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structure for performing a protrusion adjustment function of the back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exemplari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ckrest seat of a chair is adjusted by a user's manipul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ment structure for performing a protrusion adjustment function of the backrest and the height adjustment function of the backrest protrusion adjus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seat of the chair is adjusted to the degree of protrusion by the user's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stat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protrusion adjustment por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buttock rest portion of a chair can be til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and 10b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heel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can be fixed when the user is seat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relies on a chest part and sits on a chest supporter of a posture correc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등받이의 돌출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조절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structure for performing a protrusion control function of the back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는, 의자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00)과,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100)을 지탱하는 복수개의 다리 프레임(1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20), 상기 지지 프레임(100) 상에 회동이 가능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 시트(3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연장되어 체스트 서포터(Chest Supporter)(50)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로드(40), 상기 로드(40)의 종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착석시 가슴 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척추 및 등 근육이 전방을 향하여 이완되도록 안내하는 체스트 서포터(50), 상기 좌석 시트(30)의 후단과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 높이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60), 상기 등받이(60)의 후단에 장착되어 해당 등받이의 전면 돌출 정도를 조절해 주는 돌출 조절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100 for supporting the entire load of the chair, and the support frame from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leg frames 10 supporting the 100,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20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frame 100, the user in a state that is rotatable on the support frame 100 The seat seat 30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rod, the rod 40 extending in a fixed st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00 to support the chest supporter (Chest Supporter) 50, the rod ( 4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hest supporter 50 for supporting the user's spine and back muscles to relax forward toward the seat when the user seated, a certain height in a stat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eat seat 30 Opened by Is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ckrest 60, a protruding control part 90 is mounted to the rear end which adjusts the front protruding degree of the back of the backrest 60 for supporting a portion of such user.

상기 복수개의 다리 프레임(10)은 해당 자세 교정용 의자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착석시 의자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의자의 충분한 균형 유지를 위해서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다리 프레임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6개의 다리 프레임이 구비되도록 하여 더욱 충분한 균형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plurality of leg frames 10 are to support the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chair when the user is seated, at least four leg frames are required to maintain a sufficient balance of the chai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 leg frames are provided so that sufficient balance is maintained.

또한, 상기 각 다리 프레임(10)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종단에는 해당 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퀴(70)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바퀴(70)는 사용자가 좌석 시트(30)에 착석한 상태에서 좌/우측이나 후방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의자가 함께 이동하여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로 자세변화가 되지 않도록 회전체를 브레이크 작용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wheel 70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leg frame 1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frame 10 so as to easily move the position of the chair. If the chair is moved to the left / right or rear while seated at 30), the chair can move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fix the rotating body by the brake action so that the user cannot change posture in the wrong posture.

상기 각 바퀴(70)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충분히 안착시킬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풋 서포터(Foot Supporter)(80)가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풋 서포터(80)는 사용자의 발 부위를 받쳐줌에 의해 무릎 부위가 좌석 시트(30)와 대등하거나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과 더불어 정상적인 허리 곡선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Foot supporters 80 having an area capable of sufficiently seating the soles of the user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wheel 70, and the foot supporters 80 support the foot of the user. This is to maintain the normal waist curve along with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waist by allowing the knee portion to be in the same or higher position with the seat seat 30 by the zoom.

상기 높이 조절부(20)는 수직 지주에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를 이용하여 유압 조절을 통해 높이를 가변시키거나, 상기 수직 지주 내에 기어를 설치하여 기어의 회전을 통해 높이를 가변시키도록 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ing unit 20 may change the height through hydraulic adjustment using a cylinder and a piston rod on the vertical shore, or install a gear in the vertical shore to change the heigh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gear.

상기 등받이(60)는 그 후면에 상기 지지 프레임(100)과 연결되어 해당 등받이(60)의 전체 부위를 지지해주는 등받이 프레임(6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62)의 설치 부위에는 상기 등받이(60)를 돌출 조절해 주는 상기 돌출 조절부(90)가 설치된다. The backrest 60 has a backrest frame 62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00 to support the entire portion of the backrest 60 at its rear side, and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62 is The protrusion adjustment unit 90 for protruding the backrest 60 is installed.

상기 돌출 조절부(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62)에 끼워져서 고정된 위치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동 조작되는 회전 부재(110)와, 그 전면이 상기 등받이(60)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11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110)의 회동되는 방향에 따라 연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연동 부재(120), 상기 회전 연동 부재(120)의 양측에 각각 나비 날개 형상으로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고, 그 연장 각도가 상기 등받이(60) 방향을 향함에 따라 각각 해당 등받이(60)의 후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연동 부재(1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6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126,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adjusting unit 90 is rotatably coupled in a fixed position by being fitted into the backrest frame 62 and rotated by a user. The front surface is disposed toward the backrest 60, in a state that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rotating member 110, the rotational interlocking movement in the forward / rearward direction interlock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member 110 Each member 120 and the rotating interlocking member 120 are respectively fixed and extended in the shape of a butterfly wing, the extension angle of the back toward the back 60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back 60, respectively. In this st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nd second control frame (126, 128) to adjus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backrest 60 is link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in the front / rear direction of the rotational interlocking member (120).

상기 회전 부재(110)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62)의 외측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접촉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전 다이알 형상의 조절 손잡이(116)와, 상기 조절 손잡이(116)와 고정 결합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62)의 사이에 회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통형의 회전 지지관(112), 상기 회전 지지관(112)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114)를 포함한다. The rotating member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ckrest frame 62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rotary dial-shaped adjustment knob 116 rotated by a user's contact operation and the adjustment knob 116. And a cylindrical rotary support tube 112 that is pivotally inserted between the backrest frame 62 and a male thread portion 114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end of the rotary support tube 112. Include.

상기 회전 연동 부재(120)는 해당 회전 연동 부재(12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 부재(11)의 수나사부(114)와 대응되는 치수를 갖는 다수의 나사산이 일정 영역만큼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122)와, 해당 회전 연동 부재(120)의 내측에서 상기 암나사부(122)의 전단 일정 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립부(124)를 포함한다.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120 has a female thread 122 in which a plurality of threads having dimensions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114 of the rotation member 11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inside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120. ) And a slip part 124 in which a thread is not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ront end of the female screw part 122 inside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120.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110)의 수나사부(114)에 형성된 나사산은 완만한 삼각 형태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회전 연동 부재(120) 내측의 암나사부(122)에 형성된 나사산도 상기 수나사부(114)의 나사산 형상과 동일하게 완만한 삼각 형태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114)가 사용자의 조절 손잡이(116) 조작에 의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립부(124)의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등받이(60)의 돌출에 의해 전방으로 가해지는 장력이 반대로 작용되면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각 수나사부(114)와 암나사부(122)의 나사산들 간의 결합이 완만한 삼각 형상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각 나사산 간의 마찰력이 최소로 작용되면서 복귀하여는 힘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Here, the thread formed on the male threaded portion 114 of the rotating member 110 is composed of a thread of a gentle triangular shape, and the thread formed on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22 inside the rotary interlocking member 120 is also the male threaded portion ( Comprising the thread shape of the triangular shape in the same manner as the thread shape of the 114, the male screw portion 114 is moved to the area of the slip portion 124 is not 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knob 116 of the user. When the tension applied to the front by the projecting of the backrest 60 is reversely acting as a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e triangular coupling between the threads of each male thread 114 and female thread 122 is gentle Since it is not firmly coupled by the shap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respective threads can be sli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force that is returned whil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threads is minimized.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 부재(110)의 조절 손잡이(116)를 회전시켜서 수나사부(114)가 상기 회전 연동 부재(120) 내측의 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의 암나사부(122)와 맞물려 회동되면, 상기 회전 부재(110)의 회전 지지관(112)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62)에 위치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회전 연동 부재(120)가 전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 연동 부재(120)의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나비 날개 형상의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126,128)이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60)를 돌출시키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A, the user rotates the adjustment knob 116 of the rotation member 110 so that the male thread portion 114 is a female thread portion 122 in a region where a thread is formed inside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120. ), When the rotation support tube 112 of the rotation member 110 is fixed to the backrest frame 62, the corresponding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120 moves to the front, and the rotational linkage Butterfly wing-shaped first and second control frames 126 and 128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ember 120 are interlocked to protrude the backrest 60.

그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110)의 수나사부(114)의 회전이 지속되어 상기 회전 연동 부재(120) 내측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립부(124)에 이르게 되면, 더이상의 나사에 의한 맞물림 회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상기 등받이(60)의 전면 돌출에 의해 발생된 장력이 역으로 가해져서 상기 회전 연동 부재(120)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완만한 삼각 형상의 나사산에 의한 슬라이딩 작용으로 인해 암나사부(122)가 수나사부(114)와의 초기 맞물림 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등받이(60)는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rotation of the male screw portion 114 of the rotating member 110 is continued to reach the slip portion 124 where the thread of the inner side of the rotating interlocking member 120 is not formed, it may be caused by no more screws. The engagement rotation is not made, and the tension generated by the front protrusion of the backrest 60 is applied in reverse, so that the force for returning the rotational linkage member 120 to its original position is acted as a gentle triangular thread. Due to the sliding action by the female screw portion 122 is moved to the initial engagement area with the male screw portion 114, the backrest 6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이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other embodiment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등받이의 돌출 조절 기능 및 등받이 돌출 조절부의 높이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조절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rotrusion adjustment function of the backrest and height adjustment of the backrest protrusion adjus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structure for performing a function.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조 및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부호를 생략함과 더불어,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operation as th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are omitted with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Let's do it.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와 동일한 구조 및 구성요소를 갖추고 있지만, 등받이(60)를 돌출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상이하다. 5 and 6, the posture correcting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nd components as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tructure for projecting and adjusting the backrest 60 is different.

즉, 상기 등받이(60)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과 연결되어 해당 등받이(60)의 전체 부위를 지지해주는 "Y"자 형상의 등받이 프레임(1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130)과 상기 등받이(6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등받이(60)의 전면 돌출 정도 조절 및 돌출 높이를 조절해 주는 돌출 조절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That is, the back of the back 60 is provided with a "Y" shaped backrest frame 13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00 to support the entire portion of the backrest 60, the backrest frame ( In the space between the 130 and the backrest 60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adjustment unit 140 for adjusting the front projection degree and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of the backrest 60.

상기 돌출 조절부(140)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30)과 등받이(60) 사이의 양쪽 측면에 각각 배치된 돌출 조절 노브(142)와, 높이 조절 노브(144)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으로 해당 등받이(6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해 줄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 조절부(140) 자체를 상/하 이동시켜서 돌출 높이를 조절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protruding adjustment part 140 is a protruding adjustment knob 142 disposed on both sides between the backrest frame 130 and the backrest 60, and a corresponding backrest by a user's manipulation by the height adjustment knob 144. In addition to adjusting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6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by moving the protrusion control unit 140 itself up and down.

즉, 상기 돌출 조절부(140)는 사용자에 의한 회동 조작으로 해당 등받이(6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돌출 조절 노브(142)와, 사용자에 의한 회동 조작으로 해당 돌출 조절부(140) 자체를 상/하 이동시켜서 돌출 높이를 조절해 주기 위한 높이 조절 노브(144), 상기 돌출 조절 노브(142)의 회동 조작에 따른 회전 기어체(180)의 회전에 의해 해당 회전 기어체(180)의 기어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돌출 연동 부재(150), 상기 돌출 연동 부재(150) 양측에 각각 나비 날개 형상으로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고, 그 연장 각도가 상기 등받이(60) 방향을 향함에 따라 각각 해당 등받이(60)의 후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동 부재(15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6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152,154), 상기 돌출 조절 노브(142)와 연결되어 해당 돌출 조절 노브(142)의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돌출 연동 부재(15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기어 동작하는 회전 기어체(180)를 포함한다.That is, the protrusion adjusting unit 140 is a protrusion adjusting knob 142 for adjusting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backrest 60 by the rotational operation by the user, and the corresponding protrusion adjusting unit 140 itself by the rotating operation by the user. The height adjustment knob 144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by moving the up / down, the rotation gear body 180 by rotation of the protrusion control knob 142 by the rotation of the corresponding rotation gear body 180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150, which is linked to gear movement and moved in the forward / rear direction, extends and is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150 in a butterfly wing shape, and an extension angle of the protruding linking member 150 The first and the first to adjus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backrest 60 is link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in the front / rear direction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150 in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backrest 60, respectively Second adjusting frames 152 and 154, said It is connected to the projection adjustment knob 142 and includes a rotary gear body 180 to operate the gear to move the projection interlocking member 150 in the forward / backwa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projection adjustment knob 142.

또한, 상기 돌출 조절부(140)는 상기 돌출 조절 노브(142)의 회동 기어(142a) 및 회전 기어체(180), 상기 높이 조절 노브(144)의 고정 돌기부(144a) 및 회전 나사부(144b)를 각각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동 부재(150)에 결합되는 하우징(16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30) 내측의 일단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높이 조절 노브(144)의 회동 조작에 따라 해당 돌출 조절부(140)의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다단의 요홈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 패널(174), 상기 하우징(160)의 슬라이드 접속부(164)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통기된 안내홈(172)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 안내 패널(170)을 포함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adjusting unit 140 includes a rotation gear 142a and a rotating gear body 180 of the protrusion adjusting knob 142, a fixing protrusion 144a and a rotating screw unit 144b of the height adjusting knob 144. Each of the housing 160 coupled to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150 and one end of the inner back frame 130 in a state of being operatively supported and embedded therein, and being rotated by the height adjustment knob 144.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adjustment panel 174, the height adjustment panel 174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to enable the height adjustment and maintenance of the adjusted height of the protrusion adjustment unit 140, the slide connecting portion 164 and the slide movement of the housing 160 The guide groove 172 vent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guide panel 170 is formed long.

상기 돌출 연동 부재(150)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 기어체(180)의 후면에 형성된 단차 기어(184)와 맞물려서 해당 단차 기어(184)의 기어 단차를 따라가는 기어 접속부(156)를 포함하고 있다.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150 includes a gear connecting portion 156 that meshes with the stepped gear 184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tary gear body 180 and follows the gear step of the stepped gear 184.

상기 하우징(160)에는 상기 높이 조절 패널(174)을 수용하여 상기 높이 조절 노브(144)의 고정 돌기부(144a)와 결합시키기 위해 길게 통기되어 있는 슬릿 구멍(1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높이 조절 안내 패널(170)의 안내홈(172)과 접촉하여 해당 하우징(160)이 포함된 돌출 조절부(140)의 높이 조절이 원활하도록 동작하는 슬라이드 접속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The housing 160 has a slit hole 162 which is long vented to receive the height adjustment panel 174 and engage with the fixing protrusion 144a of the height adjustment knob 144, and the height adjustment A slide connecting portion 164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172 of the guide panel 170 so as to smoothly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adjustment part 140 including the housing 160.

상기 회전 기어체(180)는 그 전면에 상기 돌출 조절 노브(142)의 종단에 설치된 회동 기어(142a)와 맞물려서 기어 동작하는 헬리컬 기어(18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면에는 해당 후면을 향하여 원형으로 다수개가 이어져 형성된 기어단이 점진적인 높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단차 기어(184)가 형성되어 있다. The rotary gear body 180 has a helical gear 182 that is geared to mesh with the rotation gear 142a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adjustment knob 142 on its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otary gear body 180 is circular toward the rear surface thereof. Step gear 184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gear stages formed in succession is formed to have a gradual height step.

상기 돌출 조절 노브(142)의 회동 기어(142a)는 상기 회전 기어체(180)의 헬리컬 기어(182)와 맞물려 기어 동작되어 해당 회전 기어체(180)를 회전시키게 된다. The rotation gear 142a of the protrusion adjustment knob 142 meshes with the helical gear 182 of the rotation gear body 180 to rotate the rotation gear body 180.

상기 높이 조절 노브(144)는 그 종단에 상기 높이 조절 안내 패널(170)에 형성된 다단의 요홈 중에 어느 하나의 요홈과 고정적으로 접촉하여 해당 돌출 조절부(140)의 조절된 높이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 돌기부(144a)와, 상기 고정 돌기부(144a)를 통한 높이 조절 및 높이 유지를 위해 나사 풀림 또는 나사 조임이 수행되도록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나사부(144b)가 형성되어 있다. The height adjustment knob 144 is fixed to maintain the adjusted height of the protrusion adjustment part 140 by fixed contact with any one of the grooves of the multi-stage groove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guide panel 170 at its end. A protrusion 144a and a rotating screw 144b in which a plurality of threads are formed so that screw loosening or screw tightening are performed for height adjustment and height maintenance through the fixing protrusion 144a are formed.

상기 고정 돌기부(144a)는 상기 높이 조절 안내 패널(170)에 형성된 다단의 요홈에 고정적으로 접촉해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강한 마찰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protrusion 144a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strong friction force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fixed protrusion 144a is fixedly in contact with the groove of the multi-stage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guide panel 170 can be maintaine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등받이(60)의 돌출 조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돌출 조절 노브(142)를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해당 돌출 조절 노브(142) 종단의 회동 기어(142a)가 상기 상기 회전 기어체(180)의 헬리컬 기어(182)와 맞물려 기어 동작되어 해당 회전 기어체(180)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회전 기어체(180)의 단차 기어(184)와 맞물려 있는 상기 돌출 연동 부재(150)의 기어 접속부(156)가 해당 단차 기어(184)의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기어 단차 높이를 따라 가면서 해당 돌출 연동 부재(150)를 전면으로 밀어내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adjustment of the backrest 60, as shown in FIG. 7 when the protrusion adjustment knob 14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 user's operation, the corresponding As the rotation gear 142a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adjustment knob 142 meshes with the helical gear 182 of the rotation gear body 180 to rotate the rotation gear body 180, the rotation gear body The gear connecting portion 156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150 engaged with the stepped gear 184 of 180 moves along the progressively increasing gear step height of the stepped gear 184 to move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150. Pushed to the front.

그에 따라, 상기 돌출 연동 부재(150)의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나비 날개 형상의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152,154)이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60)를 돌출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frames 152 and 154 in the shape of butterfly wing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150 are interlocked to protrude the backrest 60.

그 상태에서, 상기 돌출 조절 노브(142)를 지속적으로 회동 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 기어체(160)의 단차 기어(184)에 대한 기어 단차 높이가 가장 낮은 기어 위치로 상기 돌출 연동 부재(150)의 기어 접속부(156)가 따라 가게 되면,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던 상기 돌출 연동 부재(150)가 후단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152,154)과 접촉되어 돌출 상태에 있던 상기 등받이(60)가 원 상태로 복귀된다. In this state, as the protrusion adjustment knob 142 is continuously rotated, the protrusion interlocking member 150 is moved to the gear position having the lowest gear step height with respect to the step gear 184 of the rotary gear body 160. When the gear connecting portion 156 follows,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150 which protrudes to the front side returns to the rear end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frames 152 and 154 so as to be in the protruding state. )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등받이(60)에서의 돌출 부위에 대한 높이 조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 노브(144)를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회전 나사부(144b)의 나사 조임을 풀게 되면, 해당 높이 조절 노브(144) 종단의 고정 돌기부(144a)가 상기 높이 조절 안내 패널(170)에 형성된 다단의 요홈 중에 어느 하나의 요홈과 고정적으로 접촉해 있는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해당 돌출 조절부(140) 자체가 상기 등받이(60)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130)의 사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한 높이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for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ackrest 60 is rotated by rotating the height adjustment knob 144 in one direction by a user's opera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screw tightening of the screw 144b is loosened, the fixing protrusion 144a at the end of the height adjusting knob 144 is fixedly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grooves of the multi-stage groove formed in the height adjusting guide panel 170. As the state is released, the protruding adjustment part 140 itself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height desired by the user between the backrest 60 and the backrest frame 130.

그 상태에서, 상기 돌출 조절부(140)가 원하는 높이로의 세팅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 노브(144)를 타측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회전 나사부(144b)가 다시 나사 조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전 나사부(144b)의 나사 조임에 따라 해당 높이 조절 노브(144)의 고정 돌기부(144a)가 상기 높이 조절 안내 패널(170)에 형성된 다단의 요홈 중에 어느 하나의 요홈과 고정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해당 돌출 조절부(140)의 조절된 높이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setting of the protrusion adjustment unit 140 to the desired height is completed, by rotating the height adjustment knob 144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user's operation, the rotating screw unit 144b is screwed again operation And one of the grooves of the multi-stage groove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guide panel 170, the fixing projection 144a of the height adjustment knob 144 according to the screw tightening of the rotating screw portion (144b). While it is fixedly in contact with the adjusted height of the protruding adjustment unit 140 can be fixedly maintained.

그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의자의 버턱 레스트 부위가 틸팅이 가능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Next, FIG.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utt rest portion of the chair can be til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석 시트(30) 및 상기 등받이(60)와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연결부에는 회동부(102)가 설치되어 있어서 해당 좌석 시트(30) 및 등받이(6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a pivoting portion 102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at seat 30, the backrest 60, and the support frame 100, such that the seat seat 30 and the backrest 60 are provided. You can adjust the angle of the.

또한, 상기 좌석 시트(30)와 상기 등받이(60) 사이의 사용자 둔부가 깊숙이 들어가는 부위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버턱 레스트(Buttock Rest)(64)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버턱 레스트(64)는 상기 좌석 시트(30) 및 상기 등받이(60)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user's buttock between the seat seat 30 and the backrest 60 deeply enters, a buttock rest (Buttock Rest) 64 that serves to push the user's buttocks forward is installed, the The butt rest 64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at seat 30 and the backrest 60.

그 다음에,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자세 교정용 의자의 바퀴가 사용자의 착석시 브레이크 고정이 가능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Next, Figures 10a and 10b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heel of the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can be fixed when the user is seat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바퀴(70)에는 바닥면에 접촉하여 직접 회전하는 회전부(72)와, 사용자의 착석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힌지가 동작되어 위치 변위가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이동 로드(74a,74b), 상기 제1 및 제2이동 로드(74a,74b)의 종단 즉, 상기 회전부(72)의 양측과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 로드(74a,74b)의 위치 변위에 따라 상기 회전부(72)의 양측에 접촉하여 회전부(72)에 브레이킹 작용되는 제1 및 제2브레이크 패드(76a,76b), 상기 각 다리 프레임(10)과 상기 바퀴(70)의 각 이동 로드(74a,74b)의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일어섬에 따라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 로드(74a,74b)를 원위치로 복원하는 제1 및 제2탄성 스프링(78a,7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0A and 10B, each wheel 70 includes a rotating unit 72 which rotat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hinge is operated by the user's weigh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seating to position displacement.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rods 74a and 74b an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rods 74a and 74b, that is, fixedly attached to portions opposite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part 7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brake pads 76a and 76b which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otating part 72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second moving rods 74a and 74b and are braked to the rotating part 72, and the leg frames ( 10)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moving rods 74a and 74b of the wheel 70 and restored by its own elastic force as the user rises to restor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rods 74a and 74b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first and second elastic springs 78a and 78b.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체스트 서포터(50)를 사용하고자 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체스프 서포터(50)를 향하여 착석하면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intends to use the chest supporter 50, the user may be seated toward the chess supporter 50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스트 서포터(50)의 양측에 엘보우 서포터(Elbow Supporter)를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책상에서의 작업시 사용자의 팔꿈치를 받쳐주어 팔꿈치 부위가 책상과 대등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bow supporter (Elbow Supporter)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hest supporter 50 in a detachable form to support the elbow of the user when working on the desk elbow portion is the height equivalent to the desk It is also possible to keep it.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fall within the clai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10:다리 프레임, 20:높이 조절부,
30:좌석 시트, 40:로드,
50:체스트 서포터, 60:등받이,
70:바퀴, 80:풋 서포터,
100:지지 프레임.
10: leg frame, 20: height adjustment,
30: seat seat, 40: rod,
50: Chest supporter, 60: Backrest,
70: wheels, 80: foot supporter,
100: support frame.

Claims (12)

의자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탱하는 복수의 다리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어 있는 좌석 시트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를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후면을 지지하는 등받이 프레임에 끼워져서 고정된 위치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동 조작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연동 부재; 및
상기 회전 연동 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의 후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연동 부재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Posture correction with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entire load of the chair, a plurality of leg frames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from the floor, and a backrest connected to the seat seat coupled on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user's back In the chair,
A rotatable member fitted to the back frame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so as to be rotatable in a fixed position and rotated by a user;
A rotationally interlock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member,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being interlocked and moved in a forward /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And
A first extending and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and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interlocked according to movement in the front / rear direction of the rotational interlocking member to adjus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backrest; And posture correction chair having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comprising a second adjustmen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외측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조절 손잡이와, 상기 조절 손잡이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사이에 회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 지지관, 상기 회전 지지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연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ckrest frame and rotated by a user's operation, the adjustment handle, the rotation support tube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trol handle, the rotational support is inserted between the backrest frame, the rotation support A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comprising: a male screw part integrally formed at a rear end of the tub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to move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in a forward / backward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동 부재는 내측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치수를 갖는 다수의 나사산이 일정 영역만큼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와, 내측에서 상기 암나사부의 전단 일정 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on interlocking member includes a female screw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having a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at an inner side thereof, and a slip portion having no thread formed at a predetermined front end region of the female screw portion at the inner side thereof.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backres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수나사부가 상기 회전 연동 부재의 슬립부에 위치할때 상기 등받이의 돌출에 의한 장력을 받아 최소 마찰력으로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상기 회전 부재의 수나사부와 상기 회전 연동 부재의 암나사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완만한 삼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n the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positioned on the slip portion of the rotary linking member, the male thread portion of the rotary member and the female thread of the rotary linking member can receive the tension caused by the protrusion of the backrest and slide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 a minimum frictional force. The thread formed on the part is a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gentle triangular 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시트와 상기 등받이 사이의 사용자 둔부가 깊숙이 들어가는 부위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버턱 레스트(Buttock Rest)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site where the user's buttock deeply enters between the seat seat and the backrest, a butt rest (Buttock Rest) serving to push the buttocks of the user forward is further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 프레임에는 각각 바퀴가 구비되어 있고,
각 바퀴에는 바닥면에 접촉하여 직접 회전하는 회전부와, 사용자의 착석에 따른 체중에 의해 힌지가 동작되어 위치 변위가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관절바, 상기 제1 및 제2관절바의 종단에 각각 고정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관절바의 위치 변위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양측에 접촉하여 브레이킹 작용되는 제1 및 제2브레이크 패드, 상기 각 다리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관절바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 해제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제1 및 제2관절바를 원위치로 복원하는 제1 및 제2탄성 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leg frames are each provided with wheels,
Each wheel has a rotating part that rotat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joint bars, and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joint bars, where the hinge is operated by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ser's seating and the position is shifted,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brake pads fixedly attached and braking by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rotating part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joint bars, and connecting between each leg frame and the first and second joint bars.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springs restoring the first and second joint bars to their original positions when the user releases the seat, thereby restoring the first and second joint bars to their original positions.
의자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탱하는 복수의 다리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어 있는 좌석 시트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를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회동 조작으로 상기 등받이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돌출 조절 노브와;
상기 돌출 조절 노브와 연결되어 해당 돌출 조절 노브의 회동 조작에 따라 돌출 연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기어 동작하는 회전 기어체;
상기 돌출 조절 노브의 회동 조작에 따른 상기 회전 기어체의 기어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돌출 연동 부재;
상기 돌출 연동 부재 양측에 각각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의 후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동 부재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 및
상기 돌출 조절 노브의 회전 기어체와의 연결단과, 상기 회전 기어체, 각각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동 부재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Posture correction with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entire load of the chair, a plurality of leg frames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from the floor, and a backrest connected to the seat seat coupled on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user's back In the chair,
A protrusion adjustment knob for adjusting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backrest by a rotation operation by a user;
A rotary gear bod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adjusting knob and gear-operated to move the protrusion interlocking member in a forward /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a rotation operation of the protrusion adjusting knob;
A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which is moved in a forward / backward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a gear movement of the rotary gear body according to a rotation manipulation of the protruding adjustment knob;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fixed to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and interlocked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in a forward / backward direction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Second adjusting frame; And
A posture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comprising a connection end of the protrusion adjustment knob with the rotary gear body and a housing coupled to the protrusion interlock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rotary gear body is operably supported and embedded therein, respectively. Orthodontic chair.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회동 조작으로 상기 돌출 조절 노브와, 회전 기어체, 돌출 연동 부재,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 하우징의 결합체 자체를 모두 상/하 이동시켜서 돌출 높이를 조절해 주기 위한 높이 조절 노브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 내측의 일단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높이 조절 노브의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돌출 조절 노브와, 회전 기어체, 돌출 연동 부재, 제1 및 제2조절 프레임, 하우징의 결합체에 대한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다단의 요홈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height adjustment knob for adjusting the protrusion height by moving the protrusion adjusting knob, the rotary gear body, the protrusion interlocking member,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frames, and the combination itself of the housing by a rotational operation by a user; ;
Fixed to one end inside the backrest fram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rotrusion adjustment knob, the rotary gear body, the protrusion interlocking member,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frames, and a combination of the housing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knob; The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a recess to enable the height to be adjus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어체는 전면에 상기 돌출 조절 노브의 종단에 설치된 회동 기어와 맞물려서 기어 동작하는 헬리컬 기어와, 후면에 설치되어 해당 후면을 향하여 원형으로 다수개가 이어져 형성된 기어단이 점진적인 높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단차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조절 노브는 상기 회전 기어체의 헬리컬 기어와 맞물려 기어 동작되어 해당 회전 기어체를 회전시키는 회동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otating gear body is formed to have a gradual height step is formed in the helical gear that is geared to engage the rotational gea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adjustment knob on the front and a plurality of gears provided on the rear and connected in a circular direction toward the rear. I include a step gear
The protruding adjustment knob is a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with a backrest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gear for meshing with the helical gear of the rotary gear body to rotate the rotary gear bod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연동 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 기어체 후면의 단차 기어와 맞물려서 해당 단차 기어의 기어 단차를 따라가는 기어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9,
And a gear connection par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ding interlocking member, the gear connecting portion being engaged with the step gear of the rear side of the rotating gear body to follow the gear step of the step gea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노브는 종단에 상기 높이 조절 안내 패널에 형성된 다단의 요홈 중에 어느 하나의 요홈과 고정적으로 접촉하여 조절 높이를 유지시키기 위한 강한 마찰력을 갖는 재질의 고정 돌기부와, 상기 고정 돌기부를 통한 높이 조절 및 높이 유지를 위해 나사 풀림 또는 나사 조임이 수행되도록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8,
The height adjustment knob is a fixed projection of a material having a strong frictional force to maintain a fixed height by fixed contact with any one of the grooves of the multi-stage groove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guide panel at the end, the height adjustment through the fixing projection And a rotating screw unit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such that the screw is loosened or the screw is tightened to maintain the heigh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높이 조절 패널을 수용하여 상기 높이 조절 노브)의 고정 돌기부와 결합시키기 위해 길게 통기되어 있는 슬릿 구멍과, 해당 하우징의 높이 조절이 원활하도록 동작하는 슬라이드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8,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t hole that is long ventilated to receive the height adjustment panel and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knob), and a slide connection for smooth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ousing; Posture correction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KR1020100110127A 2009-11-06 2010-11-08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Back of Chair Regulating Function KR10119852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734 2009-11-06
KR20090106734 2009-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388A true KR20110050388A (en) 2011-05-13
KR101198520B1 KR101198520B1 (en) 2012-11-06

Family

ID=4436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127A KR101198520B1 (en) 2009-11-06 2010-11-08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Back of Chair Regula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52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837A1 (en) * 2010-12-08 2012-06-14 Lee Sang-Ho Posture-correcting chair including an adjustable seat back
KR200468032Y1 (en) * 2013-01-18 2013-07-17 노용우 Lumbar Protector
KR102206733B1 (en) * 2020-11-11 2021-01-25 성용기업 주식회사 Chair lumbar support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adjust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774B1 (en) 2015-06-08 2015-12-08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Back assembly for chair
KR101576968B1 (en) * 2015-07-31 2015-12-11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Back assembly for chair
KR102057254B1 (en) * 2016-10-27 2019-12-18 하정록 Chai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797Y1 (en) 2000-03-10 2000-08-16 길영옥 Chair to control position of the back of chair
KR200396260Y1 (en) * 2005-07-01 2005-09-20 (주)거성 Device for adjusting the seat back of chair
KR100878642B1 (en) * 2007-06-20 2009-01-15 송영욱 Help foothold for Washstan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837A1 (en) * 2010-12-08 2012-06-14 Lee Sang-Ho Posture-correcting chair including an adjustable seat back
KR200468032Y1 (en) * 2013-01-18 2013-07-17 노용우 Lumbar Protector
KR102206733B1 (en) * 2020-11-11 2021-01-25 성용기업 주식회사 Chair lumbar support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520B1 (en)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129B2 (en) Ergonomic seating assemblies and methods
KR101198520B1 (en)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Back of Chair Regulating Function
CN107920667B (en) Back support
JP5313167B2 (en) Chair (improved type)
KR100807370B1 (en) Angle Control Device for Back of Chair
JP2011507654A (en) Pivotable seat
KR102206733B1 (en) Chair lumbar support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adjustment
JP2013528101A (en) Chair
WO2012077837A1 (en) Posture-correcting chair including an adjustable seat back
KR101091283B1 (en) Chair for posture reform
KR20080090592A (en) Chair
JP2006296960A (en) Chair having massage function
KR20180006024A (en) chair having tilting back
KR102138836B1 (en)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KR200438932Y1 (en) Adjustable chair
KR20060120965A (en) A chair having the back of a chair with a variable
KR101198578B1 (en)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Function for Conversion of Use with Posture Reform
KR101056745B1 (en) A board to sit tilting device for chair
KR101198554B1 (en)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Seated Regulating Function of Seat
KR101605830B1 (en) A chair auxiliary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DE10200846A1 (en) Swiveling seat arrangement
CN106136652B (en) Chair for correcting posture
KR102616462B1 (en) 3D Motion Chair
KR102078658B1 (en) Chair back with adjustable lumbar support
KR102283973B1 (en) Chair for pelvis correc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