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660A -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 - Google Patents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660A
KR20110049660A KR1020100092327A KR20100092327A KR20110049660A KR 20110049660 A KR20110049660 A KR 20110049660A KR 1020100092327 A KR1020100092327 A KR 1020100092327A KR 20100092327 A KR20100092327 A KR 20100092327A KR 20110049660 A KR20110049660 A KR 20110049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diaper
absorbent
holes
fasten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진
조희주
Original Assignee
박이진
조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진, 조희주 filed Critical 박이진
Priority to KR102010010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0360A/ko
Priority to KR1020100108612A priority patent/KR101271544B1/ko
Priority to PCT/KR2010/007722 priority patent/WO2011055977A2/ko
Publication of KR2011004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660A/ko
Priority to KR1020120098515A priority patent/KR20120106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38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adjustable open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61F13/565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adjustable pants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4Straps, belts, ties or endless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귀, 생리대를 포함한 체내 분비물을 받아내는 개인 위생용 흡수용품으로서, 신체로부터 흡수용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수단이 흡수용품에 형성된 것으로 흡수용품 착용시 신체 앞 부분에 해당하는 전반부와 신체 뒷부분에 해당하는 후반부의 각 일정위치에 구멍을 형성해, 체결도구인 탄성부재, 밴드, 끈 등을 상기 구멍 속으로 넣었다 빼내고, 상기 체결도구의 양 끝단에 설치된 짝을 이루는 똑딱이, 단추, 찍찍이 등으로 체결하여 흡수용품을 신체의 고정시켜, 착용자의 활동량이 많을 때에도 흘러내릴 염려가 없는 제품이다. 구멍의 갯수와 열(array)에 따라 착용감을 높이며, 상기 흡수용품의 상기 구성으로 개인의 상황에 맞추어 여러 장의 얇은 흡수용품을 필요한 갯수 만큼 증감하여 체결하거나 교체하여 체결하며, 또 동시에 신체에 고정하여 착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통상 체결도구로 사용하는 탄성부재가 신체에 직접 닿지 않게 구성되기도 하여 약한 피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체결도구끼리 체결시 등이나 복부에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의 특징으로, 또 신체발달에 따라 흡수용품의 사이즈(size)를 다르게 착용해야 하는 유아나 청소년의 경우 앞 단계에서 사용한 제품을 재활용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ABSORBENT ARTICLE WITH HOLES}
본 발명은 신체로부터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형성된 흡수용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멍을 형성한 흡수용품, 또한 벨트. 밴드를 포함하여 기능이 향상된 체결도구, 그리고 상기 흡수용품이 구멍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벨트, 밴드, 끈 등의 상기 체결도구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또 개인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흡수용품을 덧대어 체결하거나 교체하여 체결할 수 있는 흡수용품, 또 동시에 상기 흡수용품을 신체에 고정하는 흡수용품, 및 앞 단계 성장 단계에서 사용한 흡수용품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흡수용품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뇨, 혈, 요실금 등의 체내분비물 처리과정에서 편리함을 위해 일회용기저귀를 사용하기도 하고, 착용자의 피부 짓무름, 통기 등의 부작용이 있어 면기저귀도 보통 사용한다. 접는 불편을 없애고 건강한 피부를 위해 통상 기술에 의해 생산된 패드형 면기저귀나, 일회용 패드기저귀 모두 구성상, 기저귀 위에 탄성체를 두르게 하거나 커버를 씌을 수 밖에 없어 활동시 흘러내림의 염려와 불편함이 항상 있고 커버나 방수커버를 사용하는 것은 통기 등의 문제가 있어 기저귀 고정 목적만으로 커버를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흘러내림의 염려로 기저귀를 복부 위로 여분을 남겨두어 자원소모와 비용부담이 생긴다. 국내 특허등록 제 0073334호 에서는 기저귀에 삼각날개부를 두어 허리 앞에서 묶어 체결하도록 했다. 삼각날개부를 허리 앞에서 묶은 묶음은 딱딱한 매듭을 형성해 착용자가 엎드려 있거나 유아가 배밀이 할 때 배에 압박감을 주어 불편하고 장애가 되며, 외출시 기저귀 커버 사용할 경우, 삼각날개부로 감싼 신체부위에 커버를 다시 덧입히게 되므로 특히 여름철에 착용자의 시신에 편안함을 제공하는데 문제가 생긴다. 또 기저귀 고정수단으로 통상 사용되는 탄성체 밴드는 유아나 환자의 유약한 피부를 자극하고, 피부가려움을 유발하기도 하며, 너비가 통으로 된 일자형으로 되어있어 복부와 허리주변 움직임을 답답하고 불편하게 한다.
또한 팬티형 면기저귀에 있어서 신체에 고정수단으로 날개부를 두어 복부 앞에서 덮어 체결하도록 하여 안정된 체결을 유도했으나 여기에는 많은 자원낭비와 경제적 손실이 따르고 있으며 하복부 전체를 덮음으로 인해 여름철 건강에 유익하지 못한 면이 있고 체결수단으로 찍찍이를 사용할 때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또 통상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는 복부쪽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서 체결하더라도 기저귀에 찍찍이 등의 일회성 소모품의 결합도구를 기저귀마다 사용하고 있고 복부에 덮는 양측날개 부분에도 불필요한 소모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 역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더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면기저귀의 구성은 두깨에 있어서 1회 용변이나 혈의 분량과 관련해 일반인들의 평균적 두깨로 보통 구성한다. 그러나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어 불편함이 있고 면 재질일지라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피부 짓무름이 생기기 쉬워 유아의 경우 여름철에 집에서는 기저귀를 벗겨 놓기도 한다. 하나 분량의 기저귀를 둘로 나누어 결합해 생산된 기저귀도 있으나 이것은 통상 빠른 건조를 위해 구성된 것이며, 또 이중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것도 있으나 빠른 건조에는 어려움이 있고 여전히 흘러내림의 문제를 안고 있다. 또 1회용 팬티기저귀의 구성은 여러 번 횟수의 뇨를 허용하고 있고 비용부담으로 인해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한 기저귀를 여러 횟수의 뇨를 받아내는데 사용하고 있어 착용자의 심신을 불편하게 하고 위생과 피부 건강에 문제점을 제공한다.
또 요실금이나 냉 등 체내분비물이 심할 경우 통상 팬티를 자주 갈아 입어야 하는데 외출할 경우 밖에서 갈아입는 불편이 있고 특히 옷을 두껍게 입는 겨울철에는 갈아입는 불편이 더하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에 이러한 어려움이 더 따른다. 일회용 라이너를 사용할 경우 방수층이 있는데다가 팬티 등으로 라이너를 고정시켜주어 라이너 두께와 팬티두께가 이중으로 더해지고, 팬티가 라이너를 신체에 밀착시켜주므로 통기에 문제가 생길 뿐 아니라 가려움증이 유발된다. 면라이너를 사용할 경우 방수층이 있는 것은 통기에 문제가 되고 방수층이 없다 할지라도 팬티 위에 덧대어 사용하게 하거나 팬티 위에 덧댄 라이너를 크러치 뒤로 접어 고정시켜 사용하게 함으로써 복부에 닿는 면 두께가 팬티의 크러치 부분과 이중으로 더해진 면라이너의 두깨가 더해져서 원활한 통기에 문제가 생기고 건강에 유익하지 못한 점이 발생한다. 또 팬티로 라이너를 고정시킬 때 팬티가 라이너를 국부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통기에 방해되는 요인이 더 가중된다. 이 점을 고려하여 면라이너의 두깨를 얇게 할 경우 분비물이 팬티에 젖게 되어 비효율적이며 비위생적인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재사용 기저귀에 있어서 통상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 기저귀 사이즈(size)를 구분하고 있어 그 신체에 맞는 사이즈(size)를 단계마다 새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고 사용하던 기저귀는 필요가 없게 되어 국가적으로는 자원낭비와 경제적 손실이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유아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착용자의 많은 활동량에도 기저귀를 비롯한 흡수용품이 신체에 안정되게 고정되어 흘러내림의 염려가 없도록 하고, 복부나 허리 주변에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신체가 편안함을 유지하게 하는 동시에 유아의 배밀이에 장애가 없도록 한다.
또, 패드형기저귀나 팬티형기저귀, 또는 모든 재질이나 모든 형태의 기저귀를 포함한 흡수용품을 안정되게 신체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을 이룸으로써 모든 흡수용품에서 신체에 고정할 목적으로 사용된 날개부, 찍찍이 등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여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도 줄이고, 소비자측의 경제적 손실도 줄이게 하는 흡수용품.
상기 흡수용품 구성의 특징으로 성장과정 중 앞 단계에서 사용하던 재사용기저귀를 다음 단계에서 재활용하게 하여 자원낭비를 줄이며 소비자의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 흡수용품.
본 발명 구성의 특징으로 각 개인에 따라 흡수용품의 갯수를 용이하게 조절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통기나 피부보호에 유익을 주며 위생관리에 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재사용 용품에 있어서 빠른 건조가 이루어지는 흡수용품.
일회용이나 면라이너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상기 구성의 특징으로 통기성이 좋고 위생적이며 교체하기 쉬운 라이너 또는 팬티 대용 흡수용품.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배뇨시 일부분만 교체시킬 수 있어 보다 나은 쾌적한 건강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위생적인 흡수용품.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안정된 착용감과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흡수용품, 통상 사용하는 체결도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피부자극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체결도구, 및 상기 체결도구를 포함한 흡수용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저귀 등을 비롯한 흡수용품에 구멍을 형성해 체결도구와 결합하여 신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흡수용품 착용시 신체 앞부분에 해당되는 전반부와 신체 뒷부분에 해당되는 후반부의 각 일정 위치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도구를 넣었다 빼내는 방법으로, 최종 구멍에서 빠져나온 상기 체결도구 한 쪽 연결부와 그 반대편 연결부를 체결하거나, 전반부와 후반부 각 양 옆 허리부위에서 나온 두 쌍의 연결부에서 서로 체결하여 신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수용품의 상기 구성상의 특징으로, 일반 기저귀에 있어서는 고정수단으로 사용된 불필요한 부분을 제하며, 상기 체결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일반 일회 사용 두께보다 얇게 구성되거나 그와 비슷한 두께로 구성된 제1 기저귀 위에 두께가 얇게 구성된 제2, 제3... 의 기저귀를 덧대어 사용하도록 하여 개인에 맞게 적용시킬 수도 있고 일부나 전부를 교체시킬 수 있는 흡수용품을 제공한다. 흡수용품과의 체결도구는 고무단, 테잎 등을 포함한 탄성부재와, 끈, 밴드, 면스판 등이 있으며 탄성부재는 통상의 탄성부재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흡수용품 구성의 특징을 적용하여 탄성부재가 피부에 직접 닿는 면을 최소화시키거나 닿지 않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탄성체에 신축성 있는 면혼방이나 천연혼방재질로 덧대어 재봉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는 체결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너비가 일자형 통으로 길게 구성된 체결도구의 가운데를 분리함으로 복부와 허리주변에 움직임을 유연하게 해주는 기능이 향상된 체결도구를 제공한다. 탄성부재의 양 끝단에 연결부를 형성해 허리 양 옆 부위 또는 한 쪽 옆 부위에서 체결하도록 하며 상기 체결도구는 흡수용품에서 분리할 수 있어 하나의 체결도구를 상기 흡수용품의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특징으로 신체발달 중 바로 앞 단계 사이즈(size)의 재사용 기저귀와, 다음 단계 사이즈(size)의 기저귀에 구멍을 일치시켜 형성한 후 상기 둘 이상 단계의 기저귀 구멍에 체결도구로 결합하여 신체에 고정 사용하도록 하여 앞 단계에서 사용했던 기저귀를 다음 단계, 또는 그 이상 단계의 것들을 재활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흡수용품을 제공한다.
상기 흡수용품의 상기 구성상의 특징으로, 요실금, 냉 등의 소량의 분비물에서는 흡수용품 두께를 얇게 구성한 다수의 장의 구멍을 일치시켜 체결도구와 결합시킴으로써 라이너를 받춰줘야 하는 팬티 없이 상기 흡수용품을 용의하게 증감,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통기와 위생에도 유익을 주며 상황에 맞춰 사용할 수도 있고 동시에 신체에 고정시켜 안정감을 주는 흡수용품을 제공한다.
1. 구멍을 형성한 흡수용품은 간단한 구성으로 통상 사용하는 체결도구로도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2. 체결수단이 흡수용품에 형성되어있어 연결부를 어느 정도 조여주면 신체에 고정되므로 통상 사용되는 흡수용품에서처럼 밴드를 꽉 조여 복부에 불편함을 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3.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기저귀를 비롯한 흡수용품에 형성한 구멍에 체결도구가 결합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활동량이 많아도 신체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4. 흡수용품이 신체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모든 종류의 팬티형기저귀에서 고정수단으로 소모되는 부분의 재료를 줄일 수 있어 많은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소비자측에게는 경제적 이점이 있다.
5. 체결도구의 양 연결부가 체결되는 신체부위는 양 옆 허리 부위이거나, 한쪽 허리 옆 부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엎드려 있거나 누워 있을 때 복부와 허리 뒷부분에 요철이 생기지 않으며 엎드려 있거나 유아에 있어서 배밀이 할 때도 요철로 인한 장애가 없어 착용자의 올바른 체형유지에 도움을 주어 심신에 편안함을 제공한다.
6. 흡수용품에 형성한 구멍과 체결도구와의 간단한 결합구성으로, 여러 장의 상기 흡수용품을 필요한 만큼 덧대어 착용하거나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개개인의 상황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재사용 흡수용품에 있어서는 건조도 빨리 되는 장점이 있다.
7. 유아나 청소년 등, 신체 성장에 따라 앞 단계에서 사용한 기저귀를 다음 단계에도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고 국가적으로나 소비자측에게나 경제적 이득을 준다.
8. 소량의 체내 분비물을 받아내는 라이너로 사용할 경우 팬티 없이도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어 원활한 통기에 유익을 주며, 체내 분비물의 양에 따라 라이너의 갯수를 선택할 수 있고 재사용 할 수 있는 상기 흡수용품의 갯수를 1개로 선택하여 자주 교체해 주면 일반 팬티 입은 것과 같은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팬티 갈아입기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기 여행하는 경우에 팬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교체한 흡수용품은 소형 파우치 등에 넣어 간단하고 깔끔하게 처리하여 세탁시까지 소지할 수 있다.
9. 상기 흡수용품의 구성과 체결도구의 구성상의 특징으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10. 상기 체결도구를 상기 기저귀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되어 상기 체결도구 하나로 상기 흡수용품에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흡수용품과 별개로 독립적인 체결도구 만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단순한 구조와 단순한 체결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원가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모양이 깔끔하다.
12. 기저귀에 형성된 구멍 주변을 상기 구멍과 어울리는 특정한 형상이나 캐릭터를 형성할 수 있어 상기 기저귀에 미적, 창의적 효과가 포함되어 착용자의 심미성과 감수성을 자극시키며 특히 유아에 있어 기저귀를 즐거운 마음으로 착용케 하는 장점이 있다.
도구와의 결합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구멍의 갯수 변화와 체결도구 갯수 변화에 따른 결합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구멍의 갯수 변화와 체결도구 갯수 변화에 따른 결합을 보인 다른 예시도
도 7은 구멍의 열의 변화에 따른 체결도구와 결합 상태를 보여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팬티형기저귀와 체결도구와의 결합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팬티형기저귀와 체결도구와의 결합을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팬티형기저귀의 입체도
도 11은 팬티형기저귀와 패드형기저귀의 결합을 보인 평면도
도 12는 패드형기저귀와 패드형기저귀의 결합을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구멍과 조합을 이룬 캐릭터의 평면도
도 14는 재봉부가 형성된 기저귀의 결합 평면도
도 15a는 재봉부의 범위가 예시된 평면도
도 15b는 재봉부가 형성된 기저귀의 결합 사시도
도 16은 피부 보호부가 형성된 기저귀 평면도
도 17은 2단계 이상의 흡수용품을 결합한 재활용 흡수용품의 측면도
도 17a는 두 단계 이상의 흡수용품을 결합하는 평면도
도 18은 팬티 겸용 라이너의 평면도
도 19는 피부보호를 위한 체결도구1의 평면도
도 19a는 피부보호를 위한 체결도구2의 평면도
도 20은 피부보호를 위한 체결도구3의 평면도
도 21은 피부보호와 원활한 복부활동을 위한 체결도구1의 평면도
도 22는 피부보호와 원활한 복부활동을 위한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1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멍과 체결도구 2개와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구멍의 갯수 변화와 체결체결도구2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멍이 형성된 기능이 향상된 흡수용품은, 도1의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저귀 전반부(10), 후반부(20) 폭방향(40)으로 구멍(11)(12)(21)(22)을 형성한 흡수용품, 상기구멍(11)(12)(21)(22)에 넣었다 빼며, 상기 흡수용품과 결합하는 체결도구(20a), 밴드 등 상기 체결도구(20a) 양단에 있는 연결부(C)(d), 상기 연결부에 짝을 이루는 연결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흡수용품을 신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따른 구멍을 형성한 장치는 모든 재질과 모든 형태의 흡수용품의 적용됨을 분명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수용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16을 참조하면 흡수용품은 편의상 패드형기저귀와 팬티형기저귀 등 일부 흡수용품을 실시예로 사용하나, 구멍을 형성한 흡수용품에 대한 본 발명은 흡수용품의 형태, 재질, 일회용과 재사용의 성분이나 구조를 조합시킨 흡수용품, 종류 등에 관계없이 영아부터 성인에 이르는 모든 흡수용품에 적용됨을 분명히 밝혀둔다.
흡수용품을 착용했을 때 신체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전반부(10), 신체의 뒷부분(엉덩이)에 대응하는 후반부(20)로 구분하며, 전반부와 후반부를 잇는 부분을 길이방향(30)이라 하고 길이방향과 수직인 부분을 폭방향(40)이라 칭한다.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기저귀의 전반부(10) 일정위치에 폭방향(40)으로 두 개 이상의 구멍(11)(12), 후반부(20)의 일정위치에 폭방향으로 두 개 이상의 구멍(21)(22)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든 구멍은 체결도구가 드나들어도 기저귀 구멍 주변이 손상되지 않도록, 오바로크를 포함한 제봉처리, 자수처리나 아일렛 등으로 고정처리하며, 이 외에도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치환할 수 있는 균등물로 처리할 수 있다.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에 관한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든 흡수용품은 폭방향(40)으로 구멍의 열은 1개 이상이며, 길이방향(30)의 열도 하나 이상으로써, 각 열마다 구멍의 갯수나 위치, 모양 또는 크기 등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같은 흡수용품에서 전반부와 후반부 상호간 구멍이나 구멍으로 형성된 열의 갯수, 위치, 모양 또는 크기 등이 다를 수 있다. 원 흡수용품과 일체로 형성하는 제2 이상의 흡수용품에서도 상기 조건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 따른 체결방법과 기능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기저귀 사용법을 도1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기저귀 표면은 신체 바깥을 향한 외부면으로서, 이하 실시되는 모든 도면의 표면도 특기한 사항이 없으면 동일한 외부면이다. 기저귀 전반부. 후반부의 각 일정위치에 폭방향(40)으로 두 개 이상의 구멍(11, 12)(21, 22)을 형성한다. 하나로 이루어진 체결도구(20a)의 한쪽 연결부(d) 끝단을 상기 기저귀 전반부에 형성된 구멍(11)에 넣는다. 이어 전반부에 형성된 구멍(12)을 통해 밖으로 나온 상기 체결도구(20a)로 상기 기저귀 전반부(10) 우측면(60)을, 그 대응하는 신체와 함께 감싸며, 계속해서 착용자의 신체 뒷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기저귀 후반부(20)의 우측면(70)을, 그 대응하는 신체와 함께 감싸 구멍속(21)에 들여보낸 후 옆의 구멍(22)에서 상기 체결도구(20a)를 빼내어, 상기 기저귀 후반부(20)의 좌측면(80)과, 그 대응하는 신체를 함께 감싸며 구멍(22) 밖으로 나온 연결부(d)를, 상기 기저귀의 전반부 좌측(50)을 감싸는 체결도구(20a)의 연결부(c)와 신체의 허리 옆구리에서 체결하여 상기 기저귀를 신체에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도구(20a)가 상기 전반부. 후반부의 각 외측(50, 60, 70, 80)이 벌어지지 않도록 신체와 함께 감싸며 결합하여 안정감과 착용감을 갖게 한다. 상기 실시예는 패드형기저귀 착용시 흘러내림의 염려로 기저귀를 복부 위로 여분을 남겨야 하는 불필요한 소모를 줄이면서 신체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에 있어서, 구멍에 결합시키는 체결도구는 탄성부재,밴드,끈 등이 사용되며, 탄성부재는 착용자의 피부보호를 위해 면 또는 천연재질,면혼방, 천연재질과의 혼방재질 등,탄성부재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을 탄성부재에 덧대거나 감싸 재봉 또는 공정처리하여 구성되나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탄성부재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는 면스판 등 폴리우레탄을 포함한 직물,고무단,밴드,테잎 및 고무줄을 비롯한 탄성을 가진 용품으로 구성된다. 고무질이나 끈은 구멍과 결합하여 묶어서 신체에 상기 기저귀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해 설치된 연결부재는 짝으로 이루어진 고리, 똑딱이, 단추, 찍찍이를 포함하는 부재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치환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며 연결부재 암수의 위치는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연결부에 설치된 연결부재는 연결부의 길이방향(30)과 폭방향(40)의 열(array)로 구성되며 각 열은 1열 이상으로, 착용자의 편의나 신체 사이즈(size)에 따라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짝을 이루는 연결부(c)와 연결부(d)는 체결도구(20a) 몸체와 같거나 비슷한 폭으로 형성할 수도 있어, 체결하는 신체부위를 허리 옆 외에 착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3에서 상기 기저귀에 설치할 체결도구(10a)(20a)로 구성한다. 상기 기저귀 전반부에 폭방향으로 구멍(11,12), 후반부에 폭방향으로 구멍(21,22)을 두 개 이상씩 형성하여 제1의 체결도구(10a)의 한쪽 연결부(d) 끝단을 상기 기저귀 전반부 좌측 구멍(11)에 넣었다가 전반부 우측 구멍(12)에서 뺀다. 제2의 체결도구(20a)의 연결부(d´) 끝단을 상기 기저귀 후반부에 형성된 우측구멍(21)에 넣었다가 후반부 좌측구멍(22)에서 빼낸 후, 상기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두르고 상기 제1의 체결도구(10a)의 연결부(c)(d´), 제2의 체결도구(20a)의 연결부(c´)(d)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착용자의 양 옆 허리부위에서 각각 체결하여 신체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 구멍을 통과시키는 상기 연결부(d)(d´)는 체결도구(10a)(20a)와 폭이 같거나 비슷하여 구멍을 통과하기 쉽게 구성된다.
상기 기저귀를 양쪽 허리 옆에서 결합시켜주므로 상기 탄성부재(10a)(20a)가 상기 기저귀를 지탱해주고 받쳐주는 힘이 허리 양쪽으로 배분되어 착용에 안정감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옆으로 자주 눕는 착용자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가 체결되는 신체부위는 양 옆 허리의 앞 뒤 주변에 자유롭게 조정 위치할 수 있다.
도4와 도5는 구멍의 갯수와 체결도구의 구성에 따라 흡수용품과 체결도구 간에 구성이나 기능이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4에서는 상기 기저귀 전반부. 후반부의 각 일정위치에 폭방향(40)으로 구멍(11,12,13,14),(21,22,23,24)을 형성하여,
첫째, 도4에서는, 하나로 이루어진 체결도구(20a)를,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인 상기 체결도구(20a)의 한쪽 연결부 끝단을 (11,12,13,14,21,22,23,24) 속에 차례로 넣었다 빼는 것을 반복하여, 구멍(24)에서 나온 연결부(d)와, 전반부에 있는 연결부(c)를 결합하여 한쪽 허리 옆 부위에서 체결한다.
둘째, 도5에서는, 두 개로 이루어진 체결도구(10a)(20a)를,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체결도구(10a)의 연결부(d)의 끝단을 상기 기저귀 전반부 구멍(11,12,13,14)에 차례로 넣었다 빼는 것을 반복하고, 상기 제2의 체결도구(20a)의 연결부(d´)의 끝단을 상기 기저귀 후반부의 구멍 속(21,22,23,24)에 차례로 넣었다 빼는 것을 반복한 후, 상기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두르고, 제1의 체결도구(10a)의 연결부(c)와 제2의 체결도구(20a)의 연결부(d´)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또 제2의 체결도구(20a)의 연결부(c´)와 제1의 체결도구(10a)의 연결부(d)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착용자의 양 옆 허리부위에서 각각 체결하여 신체에 고정시킨다.
도 4와 도 5의 경우,상기 기저귀의 전반부(10)와 후반부(20)에 폭방향(40)으로 각각 구멍을 4개 이상 (11,12,13,14)(21,22,23,24)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저귀 전반부(10)와 후반부(20)의 구멍(11)과 가장자리(S-1), 구멍(14)과 가장자리(S-2), 구멍(21)과 가장자리(S-3), 구멍(24)과 가장자리(S-4)의 거리를 좁힐 수 있어 상기 기저귀 외측면들(50)(60)(70)(80)을 안정되게 감쌀 수 있고, 안쪽의 두 구멍(12와 13),(22와 23)에 의해서 가운데 벌어진 폭(90)을 좁힐 수 있어, 착용자가 앉고 일어설 때에도 상기 기저귀를 신체에 더 밀착시켜 주고 받쳐주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 3의 응용으로 도 6에서 신체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기저귀 전반부에 폭방향으로 구멍을 2개(11)(12) 이상, 후반부에 폭방향으로 구멍(21)(22)(23)(24)을 4개 이상 형성한다. 기저귀를 신체에 밀착시키도록 한 상기 후반부(20)의 구성과,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완성(弛緩)性)을 허용한 상기 전반부(10)의 구성에 의한 상기 기저귀는, 착용자가 앉고 일어설 때, 상기 후반부(20)는 신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반부(10)는 가랑이부의 신축,이완을 돕게 하여 착용자의 활동에 편안함을 주게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4는 구멍의 열의 변화에 따라 흡수용품의 구성이나 기능이 다르게 나타나는 실시예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기저귀 전반부(10) 일정위치에에 폭방향으로(40) 2개 이상의 구멍(11)(12)을, 후반부(20) 일정위치에 폭방향(40)으로 구멍(21)(22)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기저귀 길이 방향(30)으로 상기 구멍 아래쪽에 폭방향으(40)으로 2개 이상의 구멍(13,14),(23,24)을 각각 형성한다.
두 개 이상의 체결도구(10a)(10b)를 하나의 연결부(c)에 고정시키고, 또 다른 두 개 이상의 체결도구(20a)(20b)를 하나의 연결부(c´)에 고정시켜 2조의 체결수단을 형성한다.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기 2조의 연결부(c)(c´)와 각각 짝을 이루는 연결부(d)(d´)를구성하여 연결부재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연결부(c)와 짝을 이루는 두 개의 연결부(d) 양 끝단을 상기 기저귀 전반부에 형성된 구멍(11,12)(13,14)에 차례로 각각 넣었다 빼고, 상기 연결부(c´)와 짝을 이루는 두 개의 연결부(d´)의 양 끝단을 상기 기저귀 후반부에 형성된 구멍(21,22),(23,24)에 각각 넣었다 뺀 후, 상기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두르고 상기 기저귀 전반부(10)의 연결부(c)와 후반부(20)의 두 개의 연결부(d´)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또 상기 기저귀 후반부의 연결부(c´)와 전반부의 두 개의 연결부(d)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각각 신체의 양옆 허리 부위에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실시예 4에서 도시되는 도 7은 큰 사이즈(size)의 기저귀나 활동량이 많은 착용자에게 더 적합하며, 상기 구성의 특징은 체결도구를 길이 방향을 각각 둘로, 즉 (10a)와 (10b)로, 또 (20a)와 (20b)로 나누어,체결도구로 인해 복부 주변을 압박하는 힘을 분산시켜 허리를 숙이거나 앉아서 활동할 때 복부쪽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도록 하면서도 기저귀를 신체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 상기 기저귀 구성의 특징은 신체 사이즈(size)나 체형에 따라 열을 선택하여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결부(c)(c´)의 가운데 부분(100)을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하거나 얇게 구성하여 허리 움직임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도구의 구성(10a,10b),(20a,20b)은 구멍(12)에서 빠져나온 체결도구(10a)와 구멍(14)에서 빠져 나온 체결도구(10b)를 엑스자(X)로 교차시켜 연결부(c´ )와 체결하며, 또 구멍(22)에서 빠져 나온 체결도구(20a)와 구멍(24)에서 빠져나온 체결도구(20b)를 엑스자(X)로 교차시켜 연결부(c)와 체결할 수 있다. 또 신체와 더 단단한 결합이 필요할 때,체결도구(10a)(10b)와 체결도구(20a)(20b)를 시작부터 교차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7에서는 2개 이상의 체결도구가 1조를 형성하여 2조로 구성된 것인 바, 상기 실시예의 응용으로, 2개 이상의 체결도구가 1조로만 구성된 상기 연결부(c)와 연결부(d)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하여 신체의 한쪽 허리 옆 부위에서 체결할 수 있다.
팬티형 기저귀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 도8에서 도시된다.
상기 도 8에 의하면, 체결도구 2개(10a)(10b)를 한 조로, 또 다른 체결도구 2개(20a)(20b)를 다른 한 조로 구성하여 체결도구가 모두 2조로 구성된 것으로써,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체결하여 신체에 고정시킨다.
상기 도면의 기저귀는 신체 외부쪽이며, 연결부(c와d´)(c´와d)를 서로 체결할 때 허리 옆 부위에서 체결하며, 허리 사이즈(size)에 따라 상기 기저귀 전단부(10) 양 외측면(50,80)과 후단부 양 외측면(60,70)이 일부 겹쳐질 수 있고 양쪽 허리 아래 부위를 감싼다.(도9)
상기 연결부(c)(c´)의 구성은 실시예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용품의 구성과 체결도구와의 구성은 도1 내지 도6을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팬티형기저귀는 재사용기저귀와 일회용 등 모든 팬티형기저귀에 적용되는 것으로,신체에 고정수단으로 사용한 날개부를 제거하거나 겹치는 부분을 최소화시키거나 찍찍이 등의 일회성 소모품을 제거한 기저귀 외에, 본 발명의 단순하면서도 허리에 밀착성이 높은 기저귀 구성의 장점을 사용하여, 통상 사용하는 팬티형기저귀의 넓은 허리폭을 줄여 팬티형기저귀의 단점을 해소한 기저귀를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의 허리 아래 하체부를 가볍게 하여 보다 나은 활동력을 가지게 하며, 날씨가 더운 하절기에 착용자에게 유용함을 더욱 제공한다.
본 발명,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은 팬티형기저귀(E)와 패드형기저귀(F)의 결합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도12에서 도시된다.
상기 기저귀(E)에 폭방향(40)으로 구멍(11,12,21,22,23,24)을 형성하고 기저귀(F)에 상기 기저귀(E)와 길이 방향(30), 폭방향(40)으로 동일한 간격에 있는 구멍(11´,12´,21´,22´,23´,24´)형성한다. 도 11의 상기 기저귀(E)의 표면은 신체 바깥을 향한 외부면으로서 기저귀(E)의 내부면 위에 패드형기저귀(F)를 포개어 놓는다. 상기 두 기저귀(E)(F)에 구멍(11과 11´)(12와 12´)(21과 21´)(22와 22´)(23과 23´)(24와 24´)을 일치시키고 기저귀(E)의 외부면에서, 체결도구(10a)의 연결부(d)의 끝단을, 일치시킨 상기 기저귀(E)(F)의 구멍(11과 11´)(12와 12´ )에 넣었다 빼내고, 이어서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도구(20a)의 연결부(d´)를 동일한 위치에 일치시킨 구멍(21과 21´)(22와 22´)(23과 23´)(24와 24´)에 차례로 넣었다 빼낸 후, 결합한 상기 기저귀(E-F)를 착용자의 신체에 두르고, 연결부(c)(d´)를, 또 연결부(c´)(d)를 신체의 양 옆 허리 부위에서 체결한다.
상기 실시예 6은 기저귀를 덧대어 사용할 때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필요한 갯수 대로 기저귀를 덧대어 사용해도 체결수단이 기저귀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기저귀(E)와 1개 이상의 기저귀(F)가, 또 상기 기저귀들(E, 1개 이상의 F)과 신체가 서로 안정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통상 사용하는 기저귀 두께보다 얇은 다수(多數)의 기저귀(F)를 구성하여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기저귀(F)의 갯수를 증감하여 기저귀(E)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인이나 상황에 따라 착용자의 신체를 보다 쾌적하게 유지,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기저귀(E)는 통상 기저귀 두께보다 얇게 구성할 수 있으며, 기저귀(F)들의 모양이나 크기,구멍의 갯수 등은 기저귀(E)와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일회용기저귀는 가격 부담이 있어 여러 번 배뇨한 후에 교체하기 때문에 신체의 쾌적함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피부 짓무름의 염려가 있다. 상기 기저귀 (E-F)를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시킬 경우 배뇨시 젖은 기저귀(F)만 교체시켜 주면 되므로 심신을 쾌적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피부 짓무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은 패드형 기저귀(F)와 또 다른 패드형 기저귀(F´)와의 결합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도면 12에서 나타낸다.
기저귀(F)와 기저귀(F´)에 길이방향(30) 폭방향(40)으로, 동일한 간격(100)을 두고 구멍(11,12,21,22),(11´,12´,21´,22´)을 각각 형성한다. 기저귀(F)의 표면은 신체 바깥을 향한 외부면으로서, 기저귀(F)의 내부면과 기저귀(F´)를 포개어 구멍(11과11´)(12와12´)(21과21´)(22와22´)를 일치시킨 후,체결도구(20a)의 연결부(d)의 끝단을 상기 구멍에 차례로 넣었다 빼기를 반복한다. 이어서 상기 기저귀(F-F´)를 착용자의 신체에 두르고, 일치된 구멍(22와22´)에서 나온 연결부(d)를 연결부(c)와, 신체 한쪽 허리 부위에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실시예7은, 실시예6과 같이, 필요한 갯수대로 상기 기저귀(F´)를 덧대어 사용할 수 있으면서 신체에 안정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어 개개인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저귀(F-F´)는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저귀(F´)의 갯수를 증감시켜 기저귀(F)와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통상 사용하는 기저귀 두께보다 얇게 구성한 기저귀(F´)를 다수의 장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조가 빨리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저귀(F)는 통상 기저귀 두께보다 얇을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으나 얇게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배변 후나 여름철에 또 유아의 경우 대소변 가릴 때에 가볍게 착용시킬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필요한 만큼 덧대어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상기 기저귀(F)와 상기 기저귀(F´)들의 크기, 두께,구멍의 갯수 등은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구멍을 형성한 흡수용품의 특징으로, 구멍과 조합하여 캐릭터를 구성할 수 있음을 도 13에서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든 구멍은 실시예에서 원,타원,직사각형으로 도시되나, 기타 도형, 식물 및 동물을 포함한 모든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구멍의 주변을 구멍의 형태와 조합하여 특정한 형상이나 캐릭터를 형상화할 수 있다.상기 캐릭터 형상을 조합하는 것으로는 염색,자수,재봉처리 등이 있으며 당업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치환할 수 있는 균등물로 처리할 수 있다. 캐릭터는 구멍,구멍 주변,구멍을 통과하는 체결도구의 무늬 등에서 조합하여 구성하며 형태에 제한받지 않는다. 캐릭터가 형성된 상기 흡수용품에 미적,창의적 효과가 있어 착용자의 심미성과 감수성을 자극시키며 특히 유아에 있어서 기저귀를 즐거운 마음으로 착용케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하 실시되는 기저귀(F)와 짝을 이루는 기저귀를 (F´)라 하고 상기 기저귀(F),(F´) 속에 덧대어 사용하는 기저귀를 (F″)라 칭한다. 도14의 상기 기저귀(F)는 신체 바깥을 향한 외부면이고 기저귀(F´)는 기저귀(F)의 내부와 마주보고 있는 내부면이다. 상기 기저귀(F)(F´)의 전반부(10)와 후반부(20)의 일정 위치 폭방향으로, 서로 일치하는 구멍(11과11´)(12와12´)(21과21´)(22와 22´)을 2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기저귀(F)(F´)의 폭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는 양쪽 측면 가장자리(H),(H´) 중 하나를, 기저귀 길이 방향(30)으로 재봉(k)처리하여 상기 기저귀(F-F´)를 형성한다. 상기 기저귀(F),(F´) 보다 크기(size)가 작은 1개 이상의 기저귀(F″)를 상기 기저귀(F-F´) 사이에 넣어 감싼 후 도3의 실시예2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체결도구(10a)(10b)와 결합하여 신체와 고정시킨다. 또 상기 기저귀(F-F´)를 결합하는 재봉선은 상기 기저귀의 가장자리(H),(H´),(G),(G´) 중 어느 한 부분이나 두 부분 이상 선택하고 선택한 부분의 일부나 전부를 재봉하여 고정처리 하며 도15a에 상기 재봉선(k´)에 대한 예시가 나와있다. 상기 기저귀(K″)에 상기 기저귀(F)의 전반부(10)나 후반부(20) 중 어느 한쪽에만 간격(100)을 일치시켜 구멍을 형성한 후 체결도구와 결합한 것이 도15a에 도시된다. 기저귀(F″)에서 구멍이 없는 경우와 한쪽에만 구멍이 있는 상기 구성은 일어나서 활발한 활동을 하지 않는 신생아나 환자의 경우 더 적합하고 자원과 비용을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도11내지 도12, 도14내지 도16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기저귀(F),(F´)는 통상 사용하는 기저귀보다 얇고, 두 장의 기저귀(F),(F´)의 두께가 반드시 서로 같을 필요는 없으며, 분비물이나 배설물의 개인차로 인한 세심한 조절을 위해 각 기저귀(F),(F´)는 일반 기저귀의 1/2 이하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기저귀(F˝)의 두께도 상기 기저귀(F),(F´)의 경우와 동일하며 그보다 얇은 것이 분비량이나 배설물량의 차이에 새심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외에 기저귀(F),(F´),(F˝) 각각의 모양, 두께, 사이즈(size), 구멍의 유무, 갯수, 성분 등은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 및 치환을 할 수 있고, 상기 기저귀(F),(F´),(F˝)의 구성은 면을 비롯한 재사용 기저귀 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와 모든 재질의 흡수용품에 적용된다.
상기 기저귀(F-F´-F˝)의 구성에서 기저귀(F″)의 전반부(10)과 후반부(20)의 양면에 구멍을 기저귀(F),(F´)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기저귀(F-F´) 속에 넣어 사용하면 도12에서 상술한 효과 외에 기저귀(F-F´)의 주변을 깔끔하게 정리해 주어 외출시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면 16의 기저귀(F),(F´),(F˝)의 두께와 갯수는 실시예9에서 밝힌 각각의 기저귀(F),(F´),(F˝)의 구성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정한 위치에 구멍을 2개 이상 형성한 기저귀(F)를 신체 바깥쪽인 외부면을 향하게 하고, 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기저귀(F´)와 짝을 이루게 하여 포개어 놓는다. 상기 기저귀(F)(F´)에서 길이방향(30)으로 마주보고 있는 전반부(10), 후반부(20)의 각 측면 일정위치(G),(G´)를 상기 기저귀(F)(F´)의 폭방향(40)으로 재봉처리하여 고정하며 일체를 이루게 한다.
체결도구(10a)의 연결부(d) 끝단을, 상기 기저귀(F´)는 그대로 놔둔 채 상기 기저귀(F)의 구멍(11,12,13,14)에 차례로 넣었다 빼고, 체결도구(20a)의 연결부(d´)의 끝단을 상기 기저귀(F)의 구멍(21,22,23,24)에 차례로 넣었다 빼내어, 결합한 상기 기저귀(F-F´)를 신체에 두르고 연결부(c)(d´)를, 또 연결부(c´)(d)를 체결하여 신체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측면 일정위치(G),(G´)외에 나머지는 개구부(H),(H´)이므로 상기 기저귀(F-F´)와 체결도구의 체결시, 기저귀(F)와 기저귀(F´)의 사이를 벌려 체결하므로 체결도구를 상기 구멍(11,12,13,14)(21,22,23,24)에 손쉽게 넣었다 뺄 수 있고, 개인차에 따라 기저귀(F)와 동일한 간격의 구멍이 형성된 기저귀(F˝)를 필요한 갯수 만큼 상기 방법으로 기저귀(F)와 체결한다.
상기 기저귀(F-F´)는, 기저귀(F´)의 구멍을 뚫지 않고 체결도구(20a)(10a)를 기저귀(F)와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기저귀(F´)는 허리를 편안히 감싸며, 탄성부재와의 신체 접촉을 최소화시키거나, 팬티형기저귀에서는 접촉면을 전혀 같지 않게 하면서도 기저귀가 신체에서 이탈되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11의 도17, 도19에서 도시된 체결도구는 상기 기저귀(F-F´)와 짝을 이루어 결합하면 피부에 탄성체가 닿지 않게 하면서도 체결도구의 신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저귀(F-F´) 또는 (F-F´-F″)의 구성에 재봉선(I)을 두어 기저귀(F),(F´),(F″) 상호간 견고함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기저귀(F-F´)는 실시예9에서 도시된 도14 내지 도15의 예를 적용시킬 수 있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신체가 성장함에 따라 단계별로 다른 사이즈(size)의 흡수용품을 착용해야 하는 유아 및 청소년의 경우, 앞 단계에서 사용하던 흡수용품을 다음 단계, 또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흡수용품이 도시된다. 도17은 유아나 청소년의 신체발달에 따른 재사용 기저귀 사이즈(size)를 3단계 이상으로 하여 구성한 상기 기저귀를 포개어 놓은 내부 모습이다.
도20-1에서, 첫번째 단계 기저귀(P), 두번째 단계 기저귀(Q), 세번째 단계 기저귀(R)를 도20과 같이 포개어 놓는다. 상기 기저귀(P),(Q),(R)간에 간격(100)을일치시켜 기저귀(P)에 구멍(11,12,21,22), 기저귀(Q)에 구멍(11´,12´,21´,22´), 기저귀(R)에 구멍(11″,12″,21″,22″)를 형성한다. 기저귀(P)에는 기저귀 길이방향(30)으로 상기 구멍(11,12,21,22) 안쪽에 제2열 이상의 구멍(13,14,23,24)을 형성한다. 기저귀(Q)와 기저귀(R)은 포개어 놓은 상태에서 기저귀 길이방향(30)의 양 바깥쪽에 동일한 간격으로 기저귀(Q)에 구멍(31,32,41,42)을, 또 기저귀(R)에 구멍(31´,32´,41´,42´)을 형성한다.
기저귀(P)는 성장 첫단계에 착용하는 것으로 2열 이상의 구멍은 착용자의 신체구조나 사용목적에 따라 한 열 또는 두 열 이상을 선택하여 체결도구와 함께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신체가 조금씩 성장함에 따라 다음 단계의 사이즈(size)를 사용하기 전까지 기저귀(P)의 길이방향(30) 양 끝쪽에 있는 열의 구멍(11,12,21,22)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상기 기능은 기저귀(Q),(R)에 있는 2열 이상의 구멍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기저귀(P)의 구멍 (11,12)와 구멍(21,22)는 두번째 단계 기저귀(Q)의 구멍(11´,12´)와 구멍(21´,22´)에 일치시켜 체결도구와 결합하여 체결한다. 기저귀(Q)와 그 다음단계인 기저귀(R)과 결합하여 사용할 때, 기저귀(Q)의 구멍(31,32)와 구멍(41,42)는 기저귀(R)의 구멍(31´,32´)와 구멍(41´,42´)에 일치시켜 체결도구로 결합하여 신체에 고정시킨다.
상기 기저귀(P)(Q)(R)를 모두 사용할 경우 기저귀(P)의 구멍(11,12)와 (21,22), 기저귀(Q)의 구멍(11´,12´)와 (21´,22´), 기저귀(R)의 구멍(11″,12″)와 (21″,22″)를 일치시켜 하나의 체결도구로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기저귀(Q),(R)의 4면의 가장자리에 바이어스(200)를 기저귀(Q),(R)의 평면보다 약간 돌출하도록 구성하여 기저귀(P)를 기저귀(Q)에 포개어 사용할 때 기저귀 전체 두께가 고르게 하여 착용감을 높인다. 기저귀 폭(40) 방향으로 한 바이어스(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생략하여 상기 기저귀(P),(Q),(R)를 선택하여 포개 착용할 때 상기 기저귀 길이가 서로 차이가 있으므로 겹쳐지는 부분이 기저귀 길이방향(30) 양 끝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오히려 복부와 허리 뒷부분에 가벼운 착용감을 주게 할 수 있다.
상기 기저귀 세 개(P)(Q)(R) 모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기저귀(P)와 기저귀(Q), 기저귀(Q)와 기저귀(R)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저귀를 포개어 쓰는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대로 할 수 있다. 예컨대, 기저귀(Q) 위에 기저귀(P)를 1개이상 포개어 사용할 수 있고 기저귀(Q) 위에 기저귀(P), 또 그 위에 기저귀(Q)를 포개어 사용할 수 있는 다양성이 있다. 기저귀(Q),(R)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바이어스(200) 구성은 모든 기저귀에 필수사항은 아니며 기저귀(Q),(R) 몇 개를 선택하여 상기 바이어스 구성을 하고 나머지는 일반 기저귀 구성을 하여 편안하게 위에 덮어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은 바이어스 처리로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로 하여금 치환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17a에서 도시한 상기 기저귀는 3단계 이상의 사이즈(size)가 모여 하나의 기저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단계 이상을 모아놓은 기저귀(P-Q-R)와, 기저귀(P-Q),(Q-R)은 각기 독립적인 기저귀 위치에 있으며, 각각의 기저귀(P), 기저귀(Q), 기저귀(R)도 그 자체 독립된 기저귀의 위치에 있다.
또 상기 기저귀(P-Q-R), (P-Q), (Q-R), 또 각각의 기저귀 (P), (Q), (R)의 구성은 단계별로 다른 사이즈(size)를 착용해야 하는 유아나 청소년 등에 있어서, 사용했던 흡수용품을 다음 단계에, 또는 지속적으로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상기 구성은 흡수용품에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본 발명 단계별 기저귀를 재활용하는 상기 구성을 위해 구멍을 사용하는 것 외에, 당업자로 하여금 치환, 변경하여 상기목적을 달성하게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기저귀(P), (Q), (R)은 도11 내지 도12, 도14 내지 도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기저귀의 두께보다 얇게 각기 다수의 장으로 구성된 기저귀를 사용하다가 개개인에 맞추어 다음 단계의 기저귀에 포개어 사용하면 더욱 세심한 조절을 할 수 있어 편리함과 위생에 쾌적함을 주는 큰 장점이 있으며,상기 재활용 구성으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는 흡수용품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자원활용 면에서도 실용적인 제품이다.
따라서 상기 재활용 흡수용품의 구성은, 구멍이 2열 이상 형성되어 있어 신체구조상 허리길이에 따라 구멍의 상하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또는 다음 단계 흡수용품을 구입하기까지 신체 성장에 따라 구멍의 위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활동량이 많을 때는 모든 열을 체결도구로 체결하여 더 단단히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기저귀(P),(Q),(R)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어느 기저귀와도 체결하여도 재활용흡수용품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구멍이 형성된 재활용 흡수용품은 본 발명 피부보호와 기능이 향상되니 체결도구와 결합하여 사용할 때 여러가지 목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상기 재활용 흡수용품은
상기 기저귀 세 개(P)(Q)(R) 모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기저귀(P)와 기저귀(Q), 기저귀(Q)와 기저귀(R)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저귀를 포개어 쓰는 방법은 사용자가 편의대로 할 수 있다. 예컨대, 기저귀(Q) 위에 기저귀(P)를 1개 이상 포개어 사용할 수 있고 기저귀(Q) 위에 기저귀(P), 또 그 위에 기저귀(Q)를 포개어 사용할 수 있는 다양성이 있다. 기저귀(Q)를 두 개 이상 겹쳐 사용할 경우 가랑이부가 둔탁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기저귀(Q),(R)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바이어스(200) 구성은 모든 기저귀에 필수사항은 아니며 기저귀(Q) 몇 개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은 바이어스 처리로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로 하여금 치환할 수 있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의 구성상 특징으로 뇨,혈,냉 등의 흡수용품으로서, 팬티가 필요없는 라이너 또는 팬티 대용 흡수용품, 및 기능이 향상된 팬티가 도18에서 도시된다.
구멍(11,12,13,14),(21,22,23,24)이 2개 이상 형성된 상기 흡수용품(400)에 체결도구(10a)(20a)를 결합하는 방법은 도5를 실시예3에서 실시한 바와 동일하며, 상기 흡수용품(400)은 신체에 닿는 내부면으로서 가랑이부를 포함한 그 앞 뒤 연장선(600)의 일정범위, 또는 그 전부를 테잎 등 가느다란 탄성체를 둘러 이물질이 밖으로 흐르지 않게 하여 안정된 착용감을 이루게 한다. 단, 일회용 흡수용품에서는 상기 탄성체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크러치(500) 부분은 일반팬티와 같이 두겹으로 하되 상기 크러치 앞부분(700)과 상기 크러치 뒷부분(700´)은 개구부로 형성하여 상기 크러치(500)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사이즈(size)의 얇은 다수의 흡수용품(800)을 구성해 개인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갯수만큼 선택해 넣어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흡수용품(400)은 재사용 가능한 재질에서나 일회용 재질 모두에게 적용된다. 상기 크러치(500) 속에 넣는 흡수용품(800)은 얇은 다수의 장으로 구성한 것으로, 그 중 일부는 방수처리된 흡수용품(800)으로 구성하여 착용자의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여 구멍이 형성된 상기 흡수용품(400)은 간단한 구성으로 외출상태에서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일회용, 또는 재사용 라이너 자체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지지대인 팬티 없이 상기 흡수용품(400)을 사용할 수 있어 팬티가 라이너를 국부에 밀착시킬 때 생기는 통기의 문제가 해소되고 팬티의 크러치와 라이너의 두께가 더해진 이중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통기상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유용한 제품이다. 또 생리 끝무렵의 혈의 양, 냉이나 실금의 양에 따라 크러치 내부에 얇게 구성한 흡수용품(800)의 갯수를 선택하여 넣어 사용할 수 있어 개개인 맞춤식 라이너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팬티 겸용 라이너는 상기 크러치(500) 안에 흡수용품(800)을 넣어 사용하기 때문에 옆으로 빠져나갈 염려가 없고 상기 흡수용품(400)에 구멍을 형성하여 체결도구(10a)(20a)를 신체에 고정하기 때문에 본 흡수용품(400)과 신체 국부와의 밀착 정도는 많이 감소되어 통기에 유익함이 있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
소량의 분비물이고 착용자가 더 원활한 통기를 원할 경우, 본 발명의 교체 하기 쉬운 간단한 구성으로 속 흡수용품(800)을 넣지 않고 상기 흡수용품(400)을 자주 교체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성이 있다. 재사용 흡수용품일 경우 파우치(pouch) 등에 넣어 간단히 소지하여 다닐 수 있다. 또한 하의를 두껍게 입는 겨울철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팬티를 자주 갈아입기가 불편하다. 상기 흡수용품(400)의 구성의 특징상, 하의를 벗지 않고도 상기 흡수용품(400)을 갈아입거나 편리하게 교체 가능하여 팬티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허리 사이즈(size)로 인해 연결부가 있는 허리 옆 위가 약간 벌어지는 경우에도 비키니 수영복 스타일(style) 팬티의 새로운 패턴(pattern)이 제시된다.
상기 흡수용품(400)은 여성, 남성 모두에게 적용되며 모든 연령대에 적용됨을 밝혀둔다. 연결부는 고리나 똑딱이 등을 2열 이상 체결하도록 하여 안전함을 유도하고 체결도구의 갯수는 1개(20a)로 구성하여 허리 한 쪽 옆이나 복부 앞 등에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흡수용품(400)은 일회용 팬티로 사용할 경우 크러치(500) 부분을 한 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수용품과 체결하는 체결도구는 탄성체나 끈 등으로서 탄성체는 피부보호 목적으로 구성한 본 발명에 체결도구를 적용시키나 반드시 거기에 제한 두지는 않는다.
패드형 기저귀 등의 흡수용품에 통상 탄성체로 된 체결도구를 사용한다. 패드 외에 허리 옆구리 부분은 탄성체에 노출이 되어 유약한 피부를 가진 유아나 장기간 기저귀를 착용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피부가려움증이 유발될 수가 있고 여름철에 탄성체가 닿는 부분이 땀 흡수가 안되어 끈적거리며 심신에 불편함을 준다. 도19 이하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는 벨트가 도시된다.
탄성체(M)은 복부와 뒷 허리의 패드위에 위치해 몸의 움직임에 신축성을 갖게 하고 패드형 기저귀의 폭(40) 안으로 닿도록 구성해 잡아당겨 늘어날 때 탄성체가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탄성체(M)의 내부면이나 외부면, 또는 양면 모두 면스판 등의 신축성있는 직물을 덧대어 재봉할 수 있다. 허리 옆 부위(L)(L´)는 면을 비롯한 천연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성분을 가진 면스판 등의 신축성 있는 혼방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연결부(c)(d)는 면이나 폴리 등 연결부재를 단단하게 지지해 줄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며, 연결부(c)(d)의 신체에 닿는 내부는 허리 옆 부위(L)(L´)에 사용하는 재질로 덧댈 수 있다. 상기 탄성체(M)와 허리 옆 부위(L)(L´)의 구성위치는 도19에서 도시한 것 외에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19의 구성은 일반 패드형 기저귀 착용자에게도 피부보호와 탄성있는 벨트를 제공할 뿐 아니라 도16에 도시된 흡수용품에 적용시 탄성체에 직접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피부보호에 유익함과 쾌적함을 제공한다.
상기 체결도구는 연결부(c)(d)의 체결로 한쪽 허리옆이 체결부위가 되나 도19a에서는 이의 응용으로 양쪽 허리 옆에서 체결하도록 두개의 연결부(c)(d´),(c´)(d)에서 체결하는 두개의 체결도구(10a)(20a)로 이루어진다. 도19a는 실시예2의 도3에서 도시한 목적과 효과 외에 피부보호와 쾌적한 위생관리에 유용한 장점이 더해진다.
일반 패드형 기저귀 사용시 연결부(c)(d)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M)을 탄성체로 설치하면서 피부보호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구성이 도20에서 도시된다.
탄성체(M)의 양끝에 연결부(c)(d)로 구성된 상기 체결도구(20a)는 탄성체(M) 내부면과 닿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탄성체 내부면이나 외부면, 또는 내부면 외부면 모두를, 탄성체(M)과 함께 신축할 수 있는 면스판 또는 탄성을 가진 상기 재질과 유사한 재질을 덧대어 고무줄실 등으로 재봉하거나 공정하여 사용하여 피부를 보호한다. 연결부(c)(d)의 피부에 닿는 내부면을 상기 재질로 재봉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도구는 어떤 구성을 가진 흡수용품에서든지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피부보호를 할 수 있고 땀을 흡수할 수 있어 편리함이 있다.
본 발명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과 결합하여 사용시, 도16의 구성 외에 구멍 안에 피부쪽으로 있는 탄성체의 직접적인 피부접촉도 피하면서 신체에 흡수용품을 고정시켜주는 목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체결도구가 하나(20a)로 구성되어 한쪽 허리 옆에서 체결하도록 한 상기 구성을 도1a에서와 같이 2개의 체결도구(10a)(20a)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21에서 연결부(c)(c´)에 2개 이상의 체결도구(10a)(10b), (20a)(20b)를 각각 고정시킨 2조의 체결수단이 기저귀 전단부(10), 후단부(20)에 각각 형성한 2열 이상의 구멍에 넣어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흡수용품을 신체에 더 단단히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각 조의 체결도구(10a)(10b),(20a)(20b)를 분리〔(10a), (10b)〕,〔(20a), (20b)〕하여 복부와 허리주변에 집중된 체결도구의 힘이 복부와 허리의 상하로 분리, 분산하게 되어 복부와 허리주변에 움직임을 유연하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상기 분리하여 고정된 체결도구(10a)(10b)와 체결도구(20a)(20b)를 상기 연결부(c)(c´)의 중앙(20)은 연결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부분으로서 허리 움직임에 쉽게 접해질 수 있으며 연결부(c)(c´)에 있는 체결부(10a,10b,20a,20b)에 각각 연결부재를 설치한 후 연결부(c)(c´)에 폴리 재질보다 유연한 재질로 덧대어 재봉하여 체결도구(10a, 10b), 체결도구(20a, 20b)를 각각 한 조로 묶어서 구성하여 허리 움직임을 더욱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도구(10a)(10b), (20a)(20b)의 구성상의 특징으로 체결도구(10a)와 (10b)를, (20a)와 (20b)를 엑스자(X)로 교차하여 사용할 수 있어 흡수용품과 신체와 더 단단한 결합을 원할 때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결부(c)(d)를 한 조로만 구성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도구(10a,10b,20a,20b)를 피부보호 목적을 위해 도18을 실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도21에서 보인 체결도구는 일반 기저귀에서 뿐만 아니라 의복에서도 사용할 때 복부 활동에 유연함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으며, 동시에 도7의 본 발명 흡수용품과 함께 한 세트를 이루어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제품이다.
상기 체결도구의 구성에 피부보호의 목적으로 도20의 실시예가 적용된다.
도22에서는 도21에서 도시된 체결도구를 응용하여, 복부와 허리주변 활동의 유연함을 돕고 피부보호의 목적을 동시에 이루게 하는 또다른 구성을 보인다. 실시예로, 상기 도22에서 테잎 등의 탄성체(M)은 신체 안쪽에 닿는 부분으로서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가진 직물을 선택하고 탄성체(M)로 이루어진 체결도구(10a,10b)를일정 간격으로 떼어 상기 직물 위에 올려놓아 고무줄실 등으로 상기 체결도구(10a,10b)와 직물을 함께 재봉처리하여 고정한다. 연결부의 구성방법은 도21에서 보인 실시예15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체결도구의 구성은 상기 탄성체(M)를 분리 설치하면서도 두 개로 나뉜 탄성체(M)를 하나의 직물에 고정시켜 모양이 깔끔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일반 기저귀나, 특히 앉아서 활동할 수 있는 시기의 유아나 아동의복에 착용시 복부와 허리주변의 움직임을 유연하고 활발하게 할 수 있는 편안함을 제공한다.
일반 패드형기저귀나 본 발명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 착용시 탄성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피부발진 등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면스판 등, 피부발진을 최소화시키면서 흡수성이 좋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선택하여 상기 탄성체(M)의 신체와 닿는 내부, 또는 내부와 외부 모두를 재봉하여 사용하며 탄성체(M)의 내부면에 고정시키는 천은 상기 재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19 내지 도22에서 상술한 체결도구로서, 탄성체의 종류와 연결부의 부재종류, 구성방법 등은 실시예1에서 제시한 것과 동일하며 탄성체(M)로 표시한 부분의 재질은 반드시 탄성체 만은 아니며 다른 재질의 경우에도 실시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체결도구 구성의 특징상, 타 흡수용품을 사용할 때도 피부보호의 목적을 이룰 수 있고, 연결부(c)(d)의 단순하고 가벼운 구성과 자유롭게 체결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 및 체결도구의 분리로 인한 복부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동일하게 가질 수 있어, 통상 사용되는 타 흡수용품에서나 의류에서도 체결도구 자체로서 독립적이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1내지 도22에서 실시한 예들을 도1내지 도22 상호간에 적용, 변경, 변형 및 치환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에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둔다. 또한 도1 내지 도18, 그리고 도19 내지 도25는 각각 독립된 제품의 성격을 지니며 흡수용품과 체결도구로서 상호 조합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10 : 기저귀 전반부
20 : 기저귀 후반부
30 : 기저귀 길이방향
40 : 흡수용품의 폭방향
30´: 연결부 길이방향
40´: 연결부 폭방향
10a, 10b, 20a, 20b : 체결도구
c, c´, d, d´ : 연결부
11, 12, 13, 14, 21, 22, 23, 24, 11´,12´,21´,22´,11″,12″,21″,22″, 31, 32, 41, 42, 31´,32´,41´,42´ : 흡수용품의 구멍
h : 캐릭터
E : 팬티형 기저귀
F : 패드형 기저귀
F´: 다른 패드형 기저귀, 또는 기저귀(F)와 짝을 이루는 패드형 기저귀
F″: 짝을 이루는 기저귀(F-F´)에 추가로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저귀
G,G´,H,H´ : 기저귀 외측 가장자리 재봉선부
k, k´ : 재봉선 범위
s-1, s-2, s-3, s-4 : 기저귀 전반부. 후반부의 각 외측 가장자리
50, 60, 70, 80 :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 외측면
100, 100´ : 구멍과 구멍 사이의 간격
400 : 팬티겸용 라이너의 평면도
500 : 크러치
700, 700´ : 크러치의 개구부
800 : 속 크러치
P, Q, R : 재활용으로 결합되는 기저귀의 평면도
M : 체결도구의 탄성체

Claims (15)

  1.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이 체결도구와 결합하여 신체에 고정하는 흡수
    용품으로서,상기 구멍의 테두리 주변에는 보강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도구의 짝을 이룬 연결부가 허리 양 측부위, 또는 한쪽 측부위에 위치하는 체결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흡수용품의 모든 형상과 모든 재질, 각기 다른 재질 또는 다른 형상과의 혼합구성을 가진 흡수용품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2. 제 1항에 있어서, 구멍의 갯수를 상기 흡수용품 전반부는 적게, 후반부는 소정의 갯수를 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멍을 흡수용품 길이 방향으로 2열 이상 형성하고 상기 체결도구의 양분된 연장부재 일측에 끝단을 가진 연결부와 타측에 합체된 끝단을 갖고, 유연한 재질로 가운데 부분을 형성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형제품 또는 이형제품을 체결도구와 구멍의 조합으로 결합시키고 크기,두께, 형상, 갯수 중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각각 다르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5. 흡수용품 본체는 일반 기저귀보다 얇은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고 소정의 복수개의 흡수용품을 구비하여, 상기 흡수용품들이 상호 적층되어 결합하거나 개별적으로 상호 분리되는 흡수용품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용품 본체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용품 본체는 사이즈가 다른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이 흡수용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용품 본체는 신체 바깥쪽인 외부측 기저귀에 구멍을 형성한 기저귀와,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기저귀와 일부분 봉합 또는 재봉되어 짝을 이루어 결합된 다른 기저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기저귀 사이에 구멍을 형성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용품 본체에 다른 부재의 부설을 위해, 출입구 또는 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0. 상기 흡수용품 본체는 각 성장단계별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했던 기저귀와 상기 기저귀에 다음단계 또는 그 이상의 단계의 기저귀를 복수개의 층으로 상호 적층하여 상기 체결도구에 의해 상기 구멍과 상호 결속하여 세트를 형성하는 흡수용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용품 본체는 상기 구멍과 조합 또는 합체된, 모든 형상과 모든 도형, 모든 재료를 포함한 캐릭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2. 제1항 내지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흡수용품은 서로 다는 형태나 서로 다는 재질 또는 서로 다는 질감을 가진 흡수용품으로 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도구는 양분된 연장부재 일측 끝 부분에서부터 타측 끝 부분까지 유연한 재질로 봉합 또는 봉재한 연장부재를 갖는 체결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4. 제 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용품 본체 중 하나인 팬티 겸용 라이너는 흡수부의 탈부착을 위해 개구부가 형성된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흡수용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틀러치의 앞부분과 뒷부분, 또는 그 둘 중 어느 한 부분의 개구부 주변에 형성된 봉합선과 복수개의 보조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KR1020100092327A 2009-11-03 2010-09-20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 KR20110049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66A KR20110050360A (ko) 2009-11-03 2010-10-25 흡수용품
KR1020100108612A KR101271544B1 (ko) 2009-11-03 2010-11-03 흡수용품
PCT/KR2010/007722 WO2011055977A2 (ko) 2009-11-03 2010-11-03 흡수용품
KR1020120098515A KR20120106931A (ko) 2009-11-03 2012-09-05 흡수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230 2009-11-03
KR20090105230 2009-11-03
KR20090107253 2009-11-07
KR1020090107253 2009-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660A true KR20110049660A (ko) 2011-05-12

Family

ID=4436075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327A KR20110049660A (ko) 2009-11-03 2010-09-20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
KR1020100103766A KR20110050360A (ko) 2009-11-03 2010-10-25 흡수용품
KR1020120098515A KR20120106931A (ko) 2009-11-03 2012-09-05 흡수용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766A KR20110050360A (ko) 2009-11-03 2010-10-25 흡수용품
KR1020120098515A KR20120106931A (ko) 2009-11-03 2012-09-05 흡수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100496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00684A1 (en) * 2018-11-23 2022-01-06 Marlon Jesús Gavironda Unfoldable Feminine Sanitary Tow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00684A1 (en) * 2018-11-23 2022-01-06 Marlon Jesús Gavironda Unfoldable Feminine Sanitary Tow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360A (ko) 2011-05-13
KR20120106931A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467B1 (en) Absorbent article with front waist belt
US5707364A (en) Tailored and protective undergarments
US5722127A (en) Tailored and protective undergarments
US8936586B2 (en) Ergonomic grasping aids for reusable pull-on outer covers
RU2552767C2 (ru) Натягиваемое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US9877879B2 (en) Washable diaper
EP1297808A2 (en) Disposable pant type absorbent article
US20130090622A1 (en) Elastic composite for a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WO2012090931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MX2009002108A (es) Un miembro de tira para usarse en asegurar una prenda a un usuario.
US10524965B2 (en) Fully padded disposable diaper
US11229558B2 (en) Washable diaper
EP2810629B1 (en) Sleeve for an absorbent pad and nappy-knickers comprising said sleeve
KR20120081948A (ko) 흡수용품
JP2006198353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KR20110049660A (ko) 구멍이 형성된 흡수용품
US20220096280A1 (en) Reusable nappy
KR101271544B1 (ko) 흡수용품
US11304859B2 (en) Diaper including removable waistband
US20140378933A1 (en) Breast wrap
US12004930B2 (en) Fixed flat cloth diaper
US20210386597A1 (en) Fixed Flat Cloth Diaper
RU194924U1 (ru) Мног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US20240091079A1 (en) Belt Suspended Fully Detachable Cloth Diaper with Compatible Belted Garments
CN220831969U (zh) 一种高开叉防勒腿一次性内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