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625A - 복합 측위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측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625A
KR20110049625A KR1020100022465A KR20100022465A KR20110049625A KR 20110049625 A KR20110049625 A KR 20110049625A KR 1020100022465 A KR1020100022465 A KR 1020100022465A KR 20100022465 A KR20100022465 A KR 20100022465A KR 20110049625 A KR20110049625 A KR 20110049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수
윤성조
지명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04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1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7Hybrid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복합 측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각각 해당하는 수신신호세기 중에서 최대 수신신호세기를 판별하고, 단말이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제1 위치정보를 계산하고, 외부의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토대로 제2 위치 정보를 계산한다. 또한, 복합 측위 장치는 최대 수신신호세기에 해당하는 등록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간의 측정 거리를 계산하고, 측정 거리가 속하는 범위에 대응하게 가중치 계수를 결정하여, 제1 위치정보, 제2 위치정보 및 가중치 계수를 토대로 단말의 복합위치를 결정한다.

Description

복합 측위 방법{Method for combining heterogeneous positions}
본 발명은 복합 측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중 인프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복합 측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F-040-03, 과제명: 실내외 연속측위 기술개발].
측위 기술(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LDT)은 위성항법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이하 "GNSS"라고 함) 기반 측위 기술, 셀룰러 기반 측위 기술, AGNSS(Assisted GNSS),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반 측위 기술 등이 있다.
먼저, GNSS 기반 측위 기술은 지구 궤도 상의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예를 들어, 미국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러시아의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유럽의 갈릴레오 위치결정시스템(Galileo positioning system) 등을 포함한다.
GNSS 기반 측위 기술은 직접 가시선(Direct Line Of Sight)이 확보되는 평지나 교외지역에서 위치 오차가 10m 이내이지만, 비 가시선(Non Line Of Sight) 구간인 도심 밀집 지역에서 다중경로오차로 인하여 위치 오차가 약 50m로 크게 발생한다. 특히, GNSS 기반 측위 기술은 실내 지역에서 수신 신호 감도가 저하되고,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여 위치 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셀룰러 기반 측위 기술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셀룰러 기반 측위 기술은 단말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갯수에 따라 Cell-ID, E-OTD(Enhanced-Observed Time Difference), AFLT(Advanced-Forward Link Trilateration) 등으로 분류된다.
셀룰러 기반 측위 기술은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위치 결정이 가능하지만, 기지국의 배치 밀도에 따라 측위 정확도가 달라진다. 또한, 셀룰러 기반 측위 기술은 측위 정확도가 평균적으로 낮으므로, 높은 측위 정확도를 요구하는 실내외 항법 서비스 등에 적용하기 어렵다.
AGNSS 기반 측위 기술은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수신기의 최소 수신신호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측위 서버로부터 획득한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위치 결정시간(Time To First Fix)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AGNSS 기반 측위 기술은 도심밀집지역에서도 빠른 위치 결정이 가능하지만, 신호가 미약한 실내지역에 적용하기 어렵다.
WLAN 기반 측위 기술은 실내 측위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대표적인 기술로서, WLA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고 함)의 기준 위치 및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한다.
WLAN 기반 측위 기술은 AP의 기준위치를 획득하는 방법과, 획득한 AP의 기준위치와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단말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구별된다. 여기서, 기술은 AP의 기준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임의의 사용자가 임의의 장치를 통해 자발적으로 등록하는 AP 위치를 이용하는 방법(예를 들어, Place Lab의 와일드에서 라이오 표지를 이용하는 장치 포지셔닝)과, 제한된 사업자가 전용 장치를 이용하여 계획된 경로를 통해 수집된 측정정보를 토대로 계산된 AP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예를 들어, 스카이 훅(Skyhook)의 위치 비콘 정보(Location beacon database))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AP의 기준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계산된 AP 위치 정확도가 낮고, 이로 인하여 제공 가능한 측위 서비스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측위 기술은 하나의 인프라만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GNSS 기반 측위 기술은 실외에서 전세계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실내에서와 같이 수신 신호가 미약한 환경에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WLAN 기반 측위 기술은 AP가 주로 설치되어 있는 실내 환경에서 적절한 AP 수와 배치에 대응하게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으나, AP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실외 환경에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셀룰러 기반 측위 기술은 실내 및 실외 환경에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제공하는 위치정보의 정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치정보 제공이 불가능한 지역 즉, 음영 지역에서 연속적이고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복합 측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단말의 위치를 복합측위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각각 해당하는 수신신호세기 중에서 최대 수신신호세기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제1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외부의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토대로 제2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최대 수신신호세기에 해당하는 등록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간의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측정거리가 속하는 범위에 대응하게 가중치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위치정보, 제2 위치정보 및 상기 가중치 계수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복합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측위 방법은 실내외 천이구간 또는 단일 측위 인프라만을 가지고서는 위치정보 제공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연속적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측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식별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경우 수평 위치오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연결 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경우 수평 위치오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 계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측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기지국(Base Station, BS),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무선 접근국, 노드B, eN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측위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측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측위 방법이 적용되는 환경은 단말(10), 복합 측위 장치(20),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고 함)(30) 및 위치서버(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30)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 액세스 포인트(Registered AP, 이하 "RAP"라고 함)(35)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RAP(35)는 단말(10)에서 측정한 적어도 하나의 AP(30) 중에서 AP의 위치가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형태로 위치서버(40)에 저장되어 있는 AP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측위 장치(20)는 단말(10)과 분리된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측위 장치(20)는 판별부(210), 제1 위치정보 계산부(220), 제2 위치정보 계산부(230), 환산부(240), 가중치 계수 계산부(250) 및 복합위치 계산부(260)를 포함한다.
판별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RAP(35)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각각 해당하는 세기 즉, 수신신호세기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신호세기를 판별한다. 여기서, 수신세기 중에서 가장 큰 수신신호세기(sk)를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si는 i번째 RAP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신호세기이다.
제1 위치정보 계산부(220)는 WLAN 기반으로 단말(10)의 제1 위치정보를 계산하며, 제2 위치정보 계산부(230)는 GNSS 기반으로 단말(10)의 제2 위치정보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정보 계산부(220)는 단말(10)이 위치하는 영역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셀 식별정보(Cell-ID) 또는 중심 연결 정보(Centroid)를 토대로 단말(10)의 제1 위치정보(PWLAN)를 계산한다. 여기서, 셀 식별정보를 토대로 계산한 제1 위치정보(PWLAN)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다음, 중심 연결 정보를 토대로 계산한 제1 위치정보(PWLAN)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제2 위치정보 계산부(230)는 GNSS 수신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직접 계산한 위치 정보를 범용 프로토콜 예를 들어,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를 이용하여 제공받는다. 또한, 제2 위치정보 계산부(230)는 GNSS 수신기로부터 위성궤도정보(이력(Almanac) & 천체력(Ephemeris) 정보) 및 GNSS 가시 위성별 PRN번호, 의사거리정보(Pseudorange), 반송파정보(Carrier phase)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들을 토대로 직접 제2 위치정보를 계산한다. 여기서, 제2 위치정보(PGNSS)는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환산부(240)는 판별부(210)에서 판별한 최대 수신신호세기를 토대로 최대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거리(이하 "측정거리"라고 함)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환산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AP(30)로부터 수신한 신호들 중에서 특정 AP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해당하는 AP 수신신호세기와, AP과 단말(10)간 거리 즉, 기본 거리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여기서, AP 수신신호세기와 기본 거리간의 관계는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d0는 AP로부터 떨어진 거리이며, P0는 d0거리에서 측정된 신호세기이다. 또한, P는 측정된 AP 수신신호세기이며, n은 수신신호세기의 감쇄율이다.
다음, 기본 거리(d)는 AP 수신신호세기와 거리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측정 거리(dk)는 수학식 6을 토대로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가중치 계수 계산부(250)는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측정 거리(dk)가 속하는 범위에 따라 가중치 계수(
Figure pat00008
)를 결정한다.
먼저,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측정 거리(dk)는 수평 위치오차와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셀 식별정보(Cell-ID)를 토대로 단말(10)의 제1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경우,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측정 거리(dk)는 수평 위치오차와 일치한다. 여기서, 수평 위치오차는 도 3과 같이 나타낸다.
또한, 중심 연결 정보(Centroid)를 토대로 단말(10)의 제1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경우, 수신세기에 대응하게 가중치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토대로 최대 수신세기가 크다면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 근처에 단말(10)이 위치할 확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측정 거리(dk)는 수평 위치오차와 근사하다. 여기서, 중심 연결 정보(Centroid)를 토대로 단말(10)의 제1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경우, 수평 위치오차는 도 4와 같이 나타낸다.
따라서,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의 측정 거리(dk)가 설정 거리보다 작은 거리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WLAN 기반으로 계산한 제1 위치정보 즉, 수평 위치오차를 실제 위치오차로 가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의 위치는 제1 위치정보와 관계없이 제2 위치정보만을 토대로 RAP의 위치로부터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의 측정 거리(dk) 이내에 해당하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측정 거리(dk)가 속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가중치 계수(
Figure pat00009
)는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낸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Figure pat00011
는 WLAN 기반으로 계산한 제1 위치정보만으로 단말(1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에 허용 가능한 제1 최대 허용거리 즉, 제1 기준 거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최대 허용거리는 단말(10)의 수평 위치정확도로 설정한다.
Figure pat00012
는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의 최대 신호도달거리 및 주변 지리(예를 들어, 건물 구조 및 높이)등을 고려하여 설정한 제2 기준거리 이다. 특히, 제2 기준 거리는 실내외 천이구간에서 GNSS 단독 측위 즉, GNSS 기반으로만 계산한 제2 위치정보를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다. 정상적으로 대부분의 AP가 건물 실내에 설치되었음을 고려할 때, 제2 기준 거리는 단말이 건물에서 떨어진 거리라고 가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병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준 거리는 AP의 최대 신호도달거리 또는 GNSS 단독 측위가 가능한 건물과 단말간 거리(실험을 통해 결정됨)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한다.
가중치 계수 계산부(250)는 설정한 제1 기준 거리와 제2 기준거리를 컷오프(cutoff)값으로 사용하여 범위를 설정하고,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측정 거리(dk)가 속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가중치 계수를 결정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중치 계수 계산부(250)는 측정거리가 "0"과 제1 기준 거리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도 단말의 수평 위치오차가 작으므로 가중치 계수를 "0"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측정거리가 "0"인 경우는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이 같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에 해당한다.
제1 기준 거리와 제2 기준 거리 사이 구간은 측정거리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WLAN 기반으로 계산한 수평 위치오차가 GNSS 기반으로 계산한 수평 위치오차간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필요한 구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 계수 계산부(250)는 측정거리가 제1 기준 거리와 제2 기준 거리 사이 구간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가중치 계수를 1차 함수로 가정하여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중치 계수 계산부(250)는 측정거리가 제2 기준거리와 같거나 큰 경우, WLAN 기반으로 계산한 수평 위치오차가 GNSS 기반으로 계산한 수평 위치오차보다 클 확률이 높으므로, 가중치 계수를 "1"로 설정한다. 그러면, 복합 측위 장치(20)는 GNSS 기반으로 계산한 제2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단말(1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복합위치 계산부(260)는 제1 위치정보(PWLAN), 제2 위치정보(PGNSS) 및 가중치 계수(
Figure pat00013
)를 토대로 복합위치(PposDomainHybrid)를 결정한다. 여기서, 복합위치는 수학식 9와 같이 나타낸다.
Figure pat00014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측위 장치(20)는 실내외 천이구간 또는 단일 측위 인프라만을 가지고서는 위치정보 제공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GNSS 기반의 위치정보와 WLAN 기반의 위치정보를 복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측위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측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측위 방법이 적용되는 환경은 적어도 하나의 AP(30)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RAP(35)에 해당하는 신호세기 측정값이 주어진 경우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RAP(35)는 단말(10)에서 측정한 적어도 하나의 AP(30) 중에서 AP의 위치가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형태로 위치서버(40)에 저장되어 있는 AP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측위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RAP(35)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각각 해당하는 수신신호세기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신호세기 즉, 최대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신호를 판별한다(S610).
복합 측위 장치(20)는 WLAN 기반으로 단말(10)이 위치하는 영역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셀 식별정보(Cell-ID) 또는 중심 연결 정보(Centroid)를 토대로 단말(10)의 제1 위치정보를 계산한다(S620). 여기서, 셀 식별정보 또는 중심 연결 정보를 토대로 계산한 제1 위치정보는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낸다.
복합 측위 장치(20)는 GNSS 수신기로부터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들을 토대로 단말(10)의 제2 위치정보를 계산한다(S630). 여기서, 제2 위치정보는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낸다.
복합 측위 장치(20)는 판별한 최대 수신신호세기를 토대로 최대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거리(이하 "측정거리"라고 함)를 계산한다(S640). 구체적으로, 복합 측위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AP(30)로부터 수신한 신호들 중에서 특정 AP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해당하는 AP 수신신호세기와, AP과 단말(10)간 기본 거리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여기서, AP 수신신호세기와 기본거리 간의 관계는 수학식 5 내지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낸다. 다음, 복합 측위 장치(20)는 AP 수신신호세기와 기본거리 간의 관계를 토대로 최대 수신세기를 가지는 RAP과 단말(10)간 측정 거리를 계산한다.
복합 측위 장치(20)는 측정거리가 속하는 범위에 대응하게 가중치 계수를 결정한다(S350). 여기서, 복합 측위 장치(20)는 제1 기준거리와 제2 기준거리를 토대로 범위를 설정한다. 제1 기준거리는 WLAN 기반으로 계산한 제1 위치정보만으로 단말(1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에 허용 가능한 제1 최대 허용거리에 해당한다. 또한, 제2 기준거리는 실내외 천이구간에서 GNSS 단독 측위 즉, GNSS 기반으로만 계산한 제2 위치정보를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거리이다.
구체적으로, 복합 측위 장치(20)는 측정거리가 "0"과 제1 기준 거리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에 가중치 계수를 "0"으로 설정하고, 측정거리가 제1 기준 거리와 제2 기준 거리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에 가중치 계수를 1차 함수로 설정한다. 또한, 복합 측위 장치(20)는 측정거리가 제2 기준거리와 같거나 큰 경우에 가중치 계수를 "1"로 설정한다.
복합 측위 장치(20)는 제1 위치정보, 제2 위치정보 및 가중치 계수를 토대로 단말(10)의 복합위치를 결정한다(S360). 여기서, 복합위치는 수학식 9와 같이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단말의 위치를 복합측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각각 해당하는 수신신호세기 중에서 최대 수신신호세기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제1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외부의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토대로 제2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최대 수신신호세기에 해당하는 등록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간의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측정거리가 속하는 범위에 대응하게 가중치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위치정보, 제2 위치정보 및 상기 가중치 계수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복합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측위 방법.
KR1020100022465A 2009-11-03 2010-03-12 복합 측위 방법 KR201100496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5614 2009-11-03
KR1020090105614 2009-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625A true KR20110049625A (ko) 2011-05-12

Family

ID=4436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465A KR20110049625A (ko) 2009-11-03 2010-03-12 복합 측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96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6283B2 (en) 2012-10-31 2015-07-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terminal using dead reckoning
KR20150137805A (ko) 2014-05-30 2015-12-09 허성민 무선신호의 상대적 수신세기 비율정보를 이용한 실내측위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6283B2 (en) 2012-10-31 2015-07-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terminal using dead reckoning
KR20150137805A (ko) 2014-05-30 2015-12-09 허성민 무선신호의 상대적 수신세기 비율정보를 이용한 실내측위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4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adio location accuracy with measurements
JP5026086B2 (ja) Tdoa/gps混成ワイヤレス位置検出システム
US80542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osition using a WLAN-PS estimated position as an initial position in a hybrid positioning system
US80638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location using a hybrid satellite and WLAN positioning system by selecting the best SPS measurements
US201101487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based gnss position computation without ephemeris data
US105242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of remote user equipment
KR20150115896A (ko) 지상 포지셔닝 시스템 교정
Bill et al. Indoor and outdoor positioning in mobile environments a review and some investigations on wlan positioning
WO20110086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hybrid satellite and wlan positioning system
Mahyuddin et al. Overview of positioning techniques for LTE technology
Li et al. Using two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s to improve 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accuracy in urban canyons
KR20110049625A (ko) 복합 측위 방법
Li et al. Using two GPS satellites to improve WiFi positioning accuracy in urban canyons
AU20092559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using a hybrid satellite and WLAN positioning system by selecting the best WLAN-PS solution
AU20122004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using a hybrid satellite and WLAN positioning system by selecting the best WLAN-PS solution
Chen Integration of satellite and cellular positioning technologies
Manikas Positioning architectures i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