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664A -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664A
KR20110047664A KR1020090104383A KR20090104383A KR20110047664A KR 20110047664 A KR20110047664 A KR 20110047664A KR 1020090104383 A KR1020090104383 A KR 1020090104383A KR 20090104383 A KR20090104383 A KR 20090104383A KR 20110047664 A KR20110047664 A KR 20110047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hared channel
data
wireless termin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980B1 (ko
Inventor
김윤식
이성춘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0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9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지국은 무선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채널의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로 상기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요청에 따라 별도로 잔여 조각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104383
공유 채널, 컨텐츠 전송

Description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S USING SHARED CHANNEL}
본 발명은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많은 것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이용하게 되는 모든 것들을 일반적으로 컨텐츠라 불리며, 컨텐츠는 인터넷 초기에는 주로 단순한 텍스트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오디오,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로 이루어진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이용되고 있다.
인터넷의 발과 더불어 무선 통신도 함께 발전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 비스, 예를 들어 모바일 아이피티브이(IPTV)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한 기술 발전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무선 단말에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는 제한된 채널만을 전송하였기 때문에 무선 자원의 효율적 사용의 여지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아이피티브이(IPTV) 등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컨텐츠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개인 단말 단위로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개인 단말 단위로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각각의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때마다 각각 생성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동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단말에 대해 무선 자원의 소모가 요구되었다.
종래의 기술은 하나의 모바일 콘텐츠를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기로 동시에 전송하는 구성을 개시하거나, 공유 콘텐츠의 목록을 공통 채널을 통하여 복수의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고, 요청이 있는 경우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복수의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한번에 복수의 무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뿐이며,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로 데이터로 전송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 무선 단말로부터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무선 단말로 멀티캐스팅 또는 공유가 가능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하나의 공유 채널 또는 공유 채널 그룹을 통해 복수의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동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무선 자원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점이 각각 다르더라도,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복수의 무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무선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채널의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로 상기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요청에 따라 별도로 잔여 조각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상기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 중에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조각 데이터 이외의 조각 데이터에 대하여 별도의 채널을 통 해 전송해줄 것을 상기 기지국에 요청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조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조각 데이터는 상기 공유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 조각 데이터와 조합되어 컨텐츠를 형성하는 것인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a) 무선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공유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공유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공유 채널의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조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조각 데이터를 상기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a) 공유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 중 상기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 가능한 조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의 잔여 조각 데이터를 상기 공유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무선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요청 받은 시점에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는 공유 채널의 정보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조각 데이터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므로,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여 동일한 컨텐츠를 복수의 무선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동일한 컨텐츠의 제공에 요구되는 무선 자원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되고, 각 조각 데이터마다 공유 채널을 이용한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존의 공유 채널 또는 새롭게 생성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각 조각 데이터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므로, 각 무선 단말마다 컨텐츠의 요청 시점이 다르더라도 복수의 무선 단말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공유 채널은 복수의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유 가능하거나 복수의 무선 단말로 멀티캐스팅이 가능한 하향 채널 또는 하나 이상의 하향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그룹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단말로 제공되는 컨텐츠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재생 가능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조각, 즉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은 각 조각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컨텐츠가 제 1 데이터, 제 2 데이터 및 제 3 데이터로 구성되는 경우, 무선 단말은 제 1 데이터, 제 2 데이터, 제 3 데이터를 각각 별개의 채널을 통해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무선 단말에서 컨텐츠가 스트리밍을 통해 재생되기 위하여, 무선 단말은 현재 재생에 필요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단계(S105)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위치한 무선 단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단말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cellular phon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컨텐츠를 버퍼링(buffering)을 통해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재생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기지국은 단계(S105)에서 요청받은 컨텐츠를 전송 중인 공유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기지국은 단계(S105)에서 요청받은 컨텐츠가 이전에 다른 무선 단말에 의해 요청되어 해당 컨텐츠를 전송 중이며,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무선 단말 사이에 공유가 가능한 하향 채널 또는 채널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컨텐츠는 전송 방식에 따라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복수의 채널로 구성된 채널 그룹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계(S115)에서는, 단계(S110)에서 컨텐츠를 전송 중인 공유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새로운 공유 채널을 생성하거나 할당하고, 생성 또는 할당한 공유 채널을 통해 요청된 컨텐츠를 무선 단말로 전송을 시작한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은 컨텐츠 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를 단계(S115)에서 생성 또는 할당한 공유 채널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단계(115)에서 생성 또는 할당된 컨텐츠 전송을 위한 공유 채널의 정보를 저장한다.
공유 채널 정보는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의 정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공유 채널의 정보는 이후에 동일한 컨텐츠를 요청한 다른 무선 단말로 채널 공유를 위해 전송될 수 있다.
단계(S125)에서, 단계(S115)에서 전송을 시작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다른 무선 단말로부터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30)에서는, 단계(S115)에서 전송을 시작한 컨텐츠에 대해 다른 무선 단말로부터 별도의 요청을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계(S115)에서 전송한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를 완료하였음을 알려주는 신호를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기지국은 다운로드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S115)에서 수행한 컨텐츠의 전송을 종료한다.
단계(S135)에서는, 단계(S105)에서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 중인 공유 채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단계(S115)에서 전송을 시작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다른 무선 단말로부터 요청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전송 중인 공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를 요청한 무선 단말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채널의 정보는 해당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의 정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기지국은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의 전송을 무선 단말로부터 요청 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은 컨텐츠를 구성하는 조각 데이터 중 일부의 조각 데이터를 공유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단계(S145)에서, 기지국은 단계(S140)에서 요청받은 조각 데이터를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S150)에서, 무선 단말로의 조각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공유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공유 채널 정보를 해당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를 수신 중인 모든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S155)에서, 기지국은 무선 단말로부터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조각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않더라도 공유 채널을 이용한 조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에, 기지국은 무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 기지국은 무선 단말로의 컨텐츠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됨에 따라 변경된 공유 채널의 정보를 갱신한다. 즉, 무선 단말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완료됨에 따라 공유 채널을 사용하는 무선 단말 의 정보가 변경되므로 이에 따른 공유 채널 정보를 갱신한다. 기지국은 갱신된 공유 채널 정보를 해당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를 수신 중인 모든 단말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05)에서, 무선 단말은 무선 단말이 위치한 커버리지를 담당하는 기지국으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요청한다.
단계(S210)에서, 무선 단말은 단계(S205)에서 요청한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공유 채널의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단계(S215)에서, 현재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 중인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가 현재 무선 단말에서 재생이 요구되는 조각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단말이 요청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되며, 무선 단말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를 버퍼링을 통해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재생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현재 컨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조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 재생에 필요한 조각 데이터를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무선 단말은 재생 요구되는 조각 데이터와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 중인 조각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20)에서는,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 중인 조각 데이터가 무선 단말에서 재생이 요구되는 조각 데이터가 아닌 경우, 무선 단말은 공유 채널 이외의 별도 의 채널을 통해 현재 무선 단말에서 재생이 요구되는 조각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기지국에 요청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재생이 요구되는 조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225)에서는, 단계(S215)에서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 중인 조각 데이터가 무선 단말에서 재생이 요구되는 조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중인 조각 데이터를 무선 단말에서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 이내에 수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컨텐츠는 무선 단말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되므로, 무선 단말은 컨텐츠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조각 데이터의 재생 시간이 도달하기 이전에 해당 조각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야 한다. 재생 시간 이내에 조각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지 못한 경우, 컨텐츠의 재생은 도중에 중단되어 서비스 제공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단말은 공유 채널을 통해 현재 전송중인 조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가 재생 시간 이내에 재생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30)에서는, 단계(S225)에서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중인 조각 데이터를 재생 시간 이내에 수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 단말은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중인 조각 데이터, 즉 현재 무선 단말에서 재생이 요구되는 조각 데이터를 공유 채널 이외의 별도의 채널을 통해 전송할 것을 기지국에 요청하고, 요청한 조각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단계(S235)에서는, 단계(S225)에서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중인 조각 데이터를 재생 시간 이내에 수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 단말은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공유 채널에서 현재 전송중인 조각 데이터를 수신한다. 무선 단말은 수신한 조각 데이터를 즉시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계(S240)에서, 무선 단말은 단계(S205)에서 요청한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무선 단말은 요청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조각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45)에서는, 단계(S240)에서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 단말은 컨텐츠의 수신을 종료함을 통보하는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서 시간에 따른 조각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제 1 데이터, 제 2 데이터 및 제 3 데이터로 구성되며, 제 1 데이터, 제 2 데이터, 제 3 데이터의 순서로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에 따라 재생된다.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은 동일한 기지국이 담당하는 커버리지에 위치하며, 시간(T10) 이전에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시간(T10)에서, 제 1 단말은 기지국에 컨텐츠를 요청하고, 기지국은 공유 체널을 생성 또는 할당하여 공유 채널 정보를 제 1 단말로 전송하면, 제 1 단말은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시간(T10)부터 시간(T20)까지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시간(T11)에서, 제 2 단말은 기지국에 컨텐츠를 요청하고, 기지국은 공유 채 널 정보를 제 2 단말로 전송한다. 제 2 단말은 공유 채널 정보를 통해 공유 채널에 의한 제 1 데이터의 전송 완료 시간(T20) 이내에 제 1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기지국에 새로운 채널에 의한 제 1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한다.
시간(T20)에서, 공유 채널을 통한 제 1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고 제 2 데이터의 전송이 시작되면,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은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시간(T21)에서, 제 3 단말은 기지국에 컨텐츠를 요청하고, 기지국은 공유 채널 정보를 제 3 단말로 전송한다. 제 3 단말은 공유 채널 정보를 통해 공유 채널에 의한 제 1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으며 제 2 데이터의 전송 완료 시간(T30) 이내에 제 2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기지국에 별도의 채널에 의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여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수신한다.
시간(T30)에서, 공유 채널을 통한 제 2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고 제 3 데이터의 전송이 시작되면, 제 1 단말 내지 제 3 단말은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제 3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시간(T40)에서, 공유 채널을 통한 제 3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고, 시간(T41)에서 별개의 채널에 의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공유 시스템의 기지국(100)은 신호 송수신부(110), 채널 관리부(120), 데이터 전송부(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신호 송수신부(110)는 기지국(100)이 담당하는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무선 단말(200)로부터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채널 관리부(120)로부터 수신한 공유 채널 정보를 무선 단말(200)로 전송한다. 신호 송수신부(110)는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요청 신호를 데이터 전송부(130)로 전송한다.
채널 관리부(120)는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 중인 공유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 중인 공유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채널 관리부(120)는 컨텐츠 전송을 위하여 공유 채널을 생성 또는 할당하고, 공유 채널의 정보를 신호 송수신부(110)를 통해 무선 단말(200)로 전송한다.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 중인 공유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채널 관리부(120)는 컨텐츠를 전송 중인 공유 채널의 정보를 신호 송수신부(110)를 통해 무선 단말(200)로 전송한다.
또한,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 중인 공유 채널에 의해 무선 단말(200)이 필요한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없는 경우, 채널 관리부(120)는 컨텐츠 전송을 위한 별도의 채널을 생성 또는 할당하고, 공유 채널의 정보를 신호 송수신부(110)를 통해 무선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채널 관리부(120)는 무선 단말(200)로부터 채널 생성 요청 또는 채널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채널을 생성 또는 할당하고 생성 또는 할당한 채널의 정보를 무선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존의 공유 채널 또는 새롭게 생성 또는 할당된 공유 채널을 통해 무선 단말(200)로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채널 관리부(120)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공유 채널의 정보를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무선 단말들로 전송하여 공유 채널의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 사이에 공유시킬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130)는 무선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무선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요청은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채널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부(130)는 수신한 공유 채널의 정보에 대응하는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요청된 데이터를 무선 단말(200)로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부(130)는 무선 단말(20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 중에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없는 조각 데이터를 별도로 생성 또는 할당된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20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컨텐츠의 데이터, 공유 채널의 정보 등을 저장하고, 채널 관리부(120), 데이터 전송부(130) 등의 요청이 있는 경우 공유 채널 정보 또는 컨텐츠의 데이터 등을 채널 관리부(120), 데이터 전송부(13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공유 시스템의 무선 단말(200)은 신호 송수신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데이터 저장부(230) 및 컨텐츠 형성부(240)를 포함한다.
신호 송수신부(210)는 기지국(100)으로 컨텐츠 요청을 하고,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공유 채널의 정보를 수신한다. 신호 송수신부(210)는 데이터 처리부(2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요청 신호를 기지국(100)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공유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조각 데이터 중에서 현재 재생이 요구되는 조각 데이터가 기지국(100)에 의해 제공되는 공유 채널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200)에서 재생이 요구되는 조각 데이터가 기지국(100)에 의해 제공되는 공유 채널에서 시간(T20)까지만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조각 데이터의 전송 시간(T20) 이내에 무선 단말(200)이 공유 채널을 통해서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도중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의 전송이 중단되는 경우, 무선 단말(200)에서 컨텐츠 재생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될 수 없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의 다운로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기지국(100)으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에 따르는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조각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것인지 또는 기지국(100)에 새로운 채널의 생성 또는 할당을 요구하여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것인지를 판단한다.
기지국(100)으로부터 제공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경우, 데이터 처리부(200)는 해당 공유 채널을 통하여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기지국(100)에 요청한다. 기지국(100)으로부터 제 공된 공유 채널을 이용한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데이터 처리부(200)는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기지국(100)에 요청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00)는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 이외에 컨텐츠의 재생을 위하여 다운로드가 필요한 조각 데이터 중 기지국(100)으로부터 제공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조각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해 줄 것을 기지국(100)에 요청한다.
데이터 저장부(23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조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조각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230)는 기지국(100)이 담당하는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과 공유되거나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로의 멀티캐스팅에 사용될 수 있는 공유 채널(10)을 통해 기지국(10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30)에 의해 공유 채널을 이용한 조각 데이터 전송이 시작되면, 기지국(100)은 공유 채널의 정보에 무선 단말(200)로의 조각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정보를 포함되도록 공유 채널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공유 채널 정보는 무선 단말(200) 이외에 컨텐츠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 형성부(240)는 데이터 저장부(230)가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조각 데이터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형성하고, 형성한 컨텐츠를 재생하여 무선 단말(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오디오 장치 등의 출력 장치에 컨텐츠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서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Claims (8)

  1.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무선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채널의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로 상기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요청에 따라 별도로 잔여 조각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기지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관리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공유 채널 할당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채널을 할당하는 것인 컨텐츠 전송 기지국.
  3.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 중에서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가능하지 않은 잔여 조각 데이터를 별도로 전송해줄 것을 상기 기지국에 요청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조각 데이터와 별도로 전송되는 상기 잔여 조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조각 데이터와 상기 잔여 조각 데이터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형성하는 컨텐츠 형성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신 무선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공유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상기 재생 요구 조각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상기 기지국에 요청하는 것인 컨텐츠 수신 무선 단말.
  5.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무선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공유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공유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공유 채널의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조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조각 데이터를 상기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 중 상기 공유 채널을 통해 전송이 완료될 수 없는 잔여 조각 데이터는 상기 공유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인 컨텐츠 전송 방법.
  7.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각 데이터로 구성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공유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의 조각 데이터 중 상기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 가능한 조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의 잔여 조각 데이터를 상기 공유 채널이 아닌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d) 상기 저장된 조각 데이터와 상기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된 잔여 조각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컨텐츠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KR1020090104383A 2009-10-30 2009-10-30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082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383A KR101082980B1 (ko) 2009-10-30 2009-10-30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383A KR101082980B1 (ko) 2009-10-30 2009-10-30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664A true KR20110047664A (ko) 2011-05-09
KR101082980B1 KR101082980B1 (ko) 2011-11-11

Family

ID=4423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383A KR101082980B1 (ko) 2009-10-30 2009-10-30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313A (ko) * 2013-10-25 2015-05-07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37678A (ko) * 2016-10-05 2018-04-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의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513B1 (ko) 2007-10-15 2008-12-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vod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브로드캐스트스트리밍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313A (ko) * 2013-10-25 2015-05-07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37678A (ko) * 2016-10-05 2018-04-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의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980B1 (ko) 201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121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기술
KR101097082B1 (ko) 프로그램 가이드 레코드 및 콘텐츠 레코드를 유지 및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232441B1 (ko) 모바일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반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801678B (zh) 一种数字广播中的内容播放方法、系统及接收装置
RU2449476C2 (ru) Доставка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контента по вещательной сети
CN108063769B (zh) 一种内容服务的实现方法、装置及内容分发网络节点
US9871839B2 (en) Seamless multicast and unicast switching for content playback
JP5389861B2 (ja) 制御情報の論理的分離によりデバイス動作を高速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50201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channel
KR20160102508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US200702303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FLO device certification
JP5221686B2 (ja) エラーが起こりやすい無線ブロードキャストチャネルで多重化する方法
CN102084652B (zh) 用于选择性地缓存突发流传输的方法和装置
US7724724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082980B1 (ko) 공유 채널을 이용한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86614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CN101971649A (zh) 提供业务的方法与设备
KR20130042763A (ko) 콘텐츠 공유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단말
KR102044001B1 (ko)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혼용 기반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881316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data of handset TV
CN101355661A (zh) 一种接收视频数据的方法及视频数据分发系统
US11432292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090131874A (ko)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PoC 시스템과 PoC단말 및 그에 의한 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110069489A (ko) 무선 환경에서 유사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