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395A - 코골이 방지용 베개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395A
KR20110047395A KR1020090104004A KR20090104004A KR20110047395A KR 20110047395 A KR20110047395 A KR 20110047395A KR 1020090104004 A KR1020090104004 A KR 1020090104004A KR 20090104004 A KR20090104004 A KR 20090104004A KR 20110047395 A KR20110047395 A KR 20110047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pillow
signal
vib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여윤정
Original Assignee
김수진
여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진, 여윤정 filed Critical 김수진
Priority to KR102009010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7395A/ko
Publication of KR2011004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6Sound recording or det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0Vibration
    • A47G2200/205Vibrat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시 코골이와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도록 하는 베개에 관련되며, 동체부(10), 감지부(20), 작동부(30), 제어부(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동체부(10)는 베개의 내부에 향기가 나는 목재로 이루어지고, 상하측에 관통구(11)가 개재된 박스형태의 중공체로 구비한다. 감지부(20)는 동체부(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설치하고, 코골이에 따른 진동과 소음 및 음파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21)(25)(27)를 구비한다. 작동부(30)는 동체부(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설치하고, 감지부(20)의 신호에 따른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도록 진동모터(31)와 타격기(35)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감지부(20)와 작동부(30)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을 제어하고, 진동이나 타격의 세기와 횟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41)(4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어 이를 인지시킴과 동시에 코골이의 강도에 따라 자극을 반복하여 자율반사신경이 반응함에 따라, 코골이를 완화와 함께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고, 숙면을 충분히 취하여 피로감을 해소하고 타인의 수명 방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코골이, 수면호흡장애, 방지, 베개, 자극, 자율반사신경, 숙면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용 베개{A pillow of preventing a snore}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어 이를 인지시킴과 동시에 코골이의 강도에 따라 자극을 반복하여 자율반사신경이 반응함에 따라, 코골이를 완화와 함께 수면 호흡장애를 방지하고, 숙면을 충분히 취하여 피로감을 해소하고 타인의 수명 방해를 최소화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복잡하고도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스트레스 그리고 올바르지 못한 식생활 문화로 인한 비만 등으로 인하여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인구의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흔히 수면장애는 코골이,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증상을 수반하게 되는데, 특히 코골이가 심한 경우에는 요란한 소음(800~1200Hz 정도의 소음)을 발생시키고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다.
그리고 이런 수면무호흡증은 자율반사신경 반응이 무뎌져서 기도가 막히는 시간이 장기화되어 질식사를 초래하기도 하고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증 등 심각한 성인병의 발생빈도를 높으며, 숨이 멈추면 혈액의 산소량이 떨어지는데 저산소증이 가장 심할 때 심장박동은 가장 빨라져서 심근경색증이나 심각한 부정맥이 초 래될 수 있고, 또한 근골격계의 피로가 회복되지 않고 오히려 피로가 더 쌓이게 되는 것이다.
더군다나, 코골이 증상이 심한 사람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충분한 수면 시간에도 불구하고 심한 졸음, 만성 피로감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 기억력이 떨어지고 짜증을 잘 내며 배우자와의 가정생활에도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뇌의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기억력 및 집중력의 감퇴 등의 증상을 수반하여 일의 능률이 저하되는 주된 요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즉, 코골이를 방지하며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사용하거나, 코에 끼워 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코걸이 기구를 사용하거나, 수면 중의 호흡을 구강으로 하는 것을 방지하여 코로 공기의 호흡을 유도하는 구강폐쇄기구 등을 사용하였다.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55703호에 의하면 「코골이의 발생 원인인 좁아진 인두강을 넓혀 주는 역할 방법으로 코 입구 안쪽에 본 고안품인 지한 코호흡관을 넣어서 외비공(콧구멍)이 넓어지게 하고, 따라서 숨쉬는 통로인 하비도를 넓혀 많은 량의 공기를 들이쉴 수 있게 하고, 또한 원활한 호흡을 하므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멈추게 하는 효과를 얻어내는 방법이다.」를 요지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코 호흡관은 코로 호흡이 유도되어 코골이를 방지하는 장점은 있으나, 코에 삽입하여 사용되므로 사용이 불편함과 더불어 코감기나 코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이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8833호에 의하면 「… 중략…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최종 출력축에 그 일측단이 고정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레버(22); 상기한 레버(22)의 타단부에 그 상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지도록 구비되는 캠돌기(24); 상기 캠돌기(24)가 상기한 프레임부(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캠홈(26)이 조성되어 있고, 이러한 캠돌기(24)가 레버(22)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2)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2)와 별도의 것으로 구비되며, 그 평면이 벨 수 있는 면으로 조성되도록 형성,구비된 가동플레이트(28); … 중략… 을 포함하는」구성을 개시한다.
이는, 베개의 내부에 모터와 캠을 설치하여 베개를 좌우로 흔들어 줌으로서 사람이 머리가 옆으로 돌아가도록 한 방법을 추구하나, 베개 골격의 내부에 모터와 캠을 설치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할 경우 자동적으로 베개의 상부가 경사지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목뒤의 경추에 대한 자극이 심하여 통증과 함께 숙면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면 중 움직임에 의해서 베개를 잘못 베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실효성이 적어 코골이를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55703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용 코호흡관”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8833호 “코골이베개”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어 이를 인지시킴과 동시에 코골이의 강도에 따라 자극을 반복하여 자율반사신경이 반응함에 따라, 코골이를 완화와 함께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고, 숙면을 충분히 취하여 피로감을 해소하고 타인의 수명 방해를 최소화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면시 코골이와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도록 하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내부에 향기가 나는 목재로 이루어지고, 상하측에 관통구가 개재된 박스형태의 중공체로 구비하는 동체부; 상기 동체부의 내부에 개재하여 설치하고, 코골이에 따른 진동과 소음 및 음파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동체부의 내부에 개재하여 설치하고, 감지부의 신호에 따른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도록 진동모터와 타격기를 구비하는 작동부; 및 상기 감지부와 작동부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을 제어하고, 진동이나 타격의 세기와 횟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부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코골이에 의한 음파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음파감 지센서와, 코골이에 의한 소음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소음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동감지센서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의 위치에 관계없이 신호를 감지하여 증폭하도록 진동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동부는 감지부의 신호에 의해 코골이를 멈추도록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여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와, 감지부의 신호에 의해 코골이를 멈추도록 상하운동하여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는 타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어 이를 인지시킴과 동시에 코골이의 강도에 따라 자극을 반복하여 자율반사신경이 반응함에 따라, 코골이를 완화와 함께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고, 숙면을 충분히 취하여 피로감을 해소하고 타인의 수명 방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주요부를 예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주요부를 예시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중 A-A' 및 B-B'선을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수면시 코골이와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도록 하는 베개에 관련되며, 특히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어 이를 인지시켜 자율반사신경이 반응하여 코골이를 완화와 함께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코골이 방지 베개는 동체부(10), 감지부(20), 작동부(30), 제어부(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개의 내부에 향기가 나는 목재로 이루어지도록 동체부(10)가 상하측에 관통구(11)가 개재된 박스형태의 중공체로 구비한다. 베개는 통상 탄성을 지닌 쿠션재, 솜이나 메모리폼(memory foam)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인체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생체적합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개는 내부에 향기가 나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동체부(10)가 개재된다. 즉 동체 부(1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목침(木枕)과 같은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빈 중공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동체부(10)는 내부에 후술하는 감지부(20)와 작동부(30) 및 제어부(40)가 내재된다. 그리고 동체부(10)는 상측과 하측 일부분에 관통구(11)가 개재되는데, 이러한 관통구(11)에는 후술하는 작동부(30)의 타격기(35)가 노출되어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준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체부(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설치하는 감지부(20)가 코골이에 따른 진동과 소음 및 음파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21)(25)(27)를 구비한다. 감지부(20)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과 소음 및 음파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감지부(2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동체부(10)의 내부에 내재되어 코골이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어부(40)와 상호 연계되어 작동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부(20)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진동감지센서(21)와, 코골이에 의한 음파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음파감지센서(25)와, 코골이에 의한 소음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소음감지센서(27)로 이루어진다. 감지부(20)는 진동감지센서(21)와 음파감지센서(25) 및 소음감지센서(27)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감지부(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개의 동체부(10)에 내재된다.
진동감지센서(21)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을 검출하는데, 이때 진동감지센서(21)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의 위치에 관계없이 신호를 감지하여 증폭하도록 진동판(22)(23)을 구비한다. 즉 진동감지센서(21)는 진동판(22)(23)에 의해 코골이에 의한 진동 위치에 상관없이 이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40)로 송출한다. 그리고 음파감지센서(25)는 코골이에 의한 음파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40)로 송출한다. 또한, 소음감지센서(27)는 코골이에 의한 소음, 즉 800~1200Hz 정도의 소음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40)로 송출한다. 이처럼 감지부(20)는 각각의 감지센서(21)(25)(27)가 코골이에 의한 진동과 소음 및 음파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40)로 송출하고, 이렇게 송출된 신호는 재차 작동부(30)로 전달하여 작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체부(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설치하는 작동부(30)가 감지부(20)의 신호에 따른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도록 진동모터(31)와 타격기(35)를 구비한다. 작동부(30)는 코골이에 의한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어 이를 인지시켜 자율반사신경이 반응하여 코골이를 완화와 함께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동부(3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동체부(10)에 내재되어 감지부(20), 제어부(40)와 상호 연계되어 작동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동부(30)는 감지부(20)의 신호에 의해 코골이를 멈추도록 진동판(22)(23)에 진동을 전달하여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31)와, 감지부(20)의 신호에 의해 코골이를 멈추도록 상하운동하여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는 타격기(35)로 이루어진다. 작동부(30)는 진동모터(31)와 타격기(35)를 구비하는데, 진동모터(31)는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 진동판(22)(23)을 이용, 즉 숙면자가 베개의 어느 위치에 누워있든지 진동모터(31)의 진동이 진동판(22)(23)에 전달되어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 어 이를 인지시킨다. 그리고 타격기(35)는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가볍게 타격을 주는데, 이는 숙면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1회 내지 3회 정도로 타격을 주어 이를 인지시킨다. 이러한 타격기(35)는 전기 솔레노이드 방식이 적절하지만 캠기구와 같은 기계적 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20)와 작동부(30)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가 진동이나 타격의 세기와 횟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41)(45)을 구비한다. 제어부(4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동체부(10)에 내재되어 감지부(20), 작동부(30)와 상호 연계되어 작동한다. 제어부(40)는 릴레이를 이용한 직접로직회로 그리고/또는 마이컴 회로(PCB기판)를 구비하며, 입출력포트에서 감지부(20)와 작동부(30)에 연결되어 제어하도록 연결되고, 조작패널(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프로그램 제어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부(40)는 각 주요 구성품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40)는 작동부(30)의 진동모터(31)와 타격기(35)를 비롯하여 감지센서(21)(25)(27)에 전원을 인가하는데, 외부의 다양한 전원을 제어용 전원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이때 전원은 충전용 배터리 또는 교체용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이는 동체부(1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노출방식을 택일하고, 교류 또는 직류 전원을 통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작동부(30)의 진동모터(31) 또는 타격기(35)를 개별적으로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때 진동 및 타격의 세기와 횟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버튼(41)(45)을 구비한다. 조절버튼(41)은 진동 및 타격의 세기를 조절하는 강약 조절버튼이고, 조절버튼(45)은 진동 및 타격의 횟수를 조절하기 위한 횟수조절버튼이다. 그리고 이외에도,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원을 단속하는 스타트 버튼과, 이러한 작동, 즉 진동 및 타격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예약버튼, 진동모터(31)와 타격기(35)중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 등 여러 가지 조절버튼이 구비되어 조작패널이 베개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지만 유/무선으로 설치되는 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작동에 있어서, 먼저 숙면자가 베개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코골이를 할 경우, 우선 베개의 어느 위치에 누워있든지 진동감지센서(21), 음파감지센서(25), 소음감지센서(27) 중 어느 하나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신호를 송출하고, 이어서 송출된 신호는 제어부(40)에서 분석하여 작동부(30)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선택된 조건에 따라 진동모터(31)와 타격기(35)가 작동하여 코고는 것을 멈추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진동모터(31)가 작동할 경우에는 진동모터(31)가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 진동판(22)(23)을 이용, 즉 숙면자가 베개의 어느 위치에 누워있든지 진동모터(31)의 진동이 진동판(22)(23)에 전달되어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진동을 주어 이를 인지, 즉 숙면자를 깨워 자신이 코를 골았다는 사실을 반복적으로 인지시켜 자율반사신경이 반응하여 코골이를 완화와 함께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한다. 그리고 타격기(35)가 작동할 경우에는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가볍게 타격을 주는데, 이는 숙면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1회 내지 3회 정도로 타격을 주어 이 를 인지시켜 자율반사신경이 반응하여 코골이를 완화와 함께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한다.
한편, 진동모터(31)와 타격기(35)의 진동 및 타격의 세기와 횟수를 설정하면 진동모터와 타격기가 설정된 모드로 구동하여 세기 및 횟수를 조절하여 작동을 수행한다. 물론 진동모터(31)와 타격기(35)중 어느 하나를 원하지 않는 부분은 개별적으로 오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이한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코골이에 따른 진동과 소음 및 음파를 검출하여 이를 진동이나 타격을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어 이를 인지시켜 자율반사신경이 반응하여 코골이를 완화와 함께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주요부를 예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주요부를 예시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중 A-A' 및 B-B'선을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동체부 11: 관통구
20: 감지부 21: 진동감지센서
22,23: 진동판 25: 음파감지센서
27: 소음감지센서 31: 진동모터
35: 타격기 40: 제어부
41,45: 조절버튼

Claims (4)

  1. 수면시 코골이와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도록 하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내부에 향기가 나는 목재로 이루어지고, 상하측에 관통구(11)가 개재된 박스형태의 중공체로 구비하는 동체부(10);
    상기 동체부(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설치하고, 코골이에 따른 진동과 소음 및 음파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21)(25)(27)를 구비하는 감지부(20);
    상기 동체부(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설치하고, 감지부(20)의 신호에 따른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도록 진동모터(31)와 타격기(35)를 구비하는 작동부(30); 및
    상기 감지부(20)와 작동부(30)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을 제어하고, 진동이나 타격의 세기와 횟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41)(45)을 구비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진동감지센서(21)와, 코골이에 의한 음파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음파감지센서(25) 와, 코골이에 의한 소음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소음감지센서(27)로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센서(21)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의 위치에 관계없이 신호를 감지하여 증폭하도록 진동판(22)(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는 감지부(20)의 신호에 의해 코골이를 멈추도록 진동판(22)(23)에 진동을 전달하여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31)와, 감지부(20)의 신호에 의해 코골이를 멈추도록 상하운동하여 신체의 머리와 목 부위에 자극을 주는 타격기(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1020090104004A 2009-10-30 2009-10-30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20110047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04A KR20110047395A (ko) 2009-10-30 2009-10-30 코골이 방지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04A KR20110047395A (ko) 2009-10-30 2009-10-30 코골이 방지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395A true KR20110047395A (ko) 2011-05-09

Family

ID=4423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004A KR20110047395A (ko) 2009-10-30 2009-10-30 코골이 방지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73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06B1 (ko) * 2013-08-29 2015-01-14 김정우 코골이 방지용 베개
CN106510344A (zh) * 2016-09-26 2017-03-2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有助于睡眠的智能枕头和智能枕头系统
CN110687835A (zh) * 2018-07-06 2020-01-14 医博科技股份有限公司 睡眠质量改善方法与枕具
KR20230063549A (ko) 2021-11-02 2023-05-09 (주)휴먼케어 코골이 완화 베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06B1 (ko) * 2013-08-29 2015-01-14 김정우 코골이 방지용 베개
CN106510344A (zh) * 2016-09-26 2017-03-2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有助于睡眠的智能枕头和智能枕头系统
CN110687835A (zh) * 2018-07-06 2020-01-14 医博科技股份有限公司 睡眠质量改善方法与枕具
CN110687835B (zh) * 2018-07-06 2021-04-30 医博科技股份有限公司 睡眠质量改善方法与枕具
KR20230063549A (ko) 2021-11-02 2023-05-09 (주)휴먼케어 코골이 완화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93B1 (ko)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자세교정을 위한 자동 자세변환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9437B1 (ko) 코골이 방지용 매트리스 장치와 작동방법
US20130261693A1 (en) Sleep apnea treatment system
JP2009519802A (ja) 睡眠中にある人のいびき及び/又は睡眠時の無呼吸状態を低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7058938A3 (en) Diaphragm stimulation device
KR20110047395A (ko)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20100124613A (ko) 코골이 방지용 베개
CN203736510U (zh) 一种具有监测按摩护理和促醒呼救功能的床垫
JP2008173407A (ja) いびき防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いびき防止方法
US20060106325A1 (en) Ultrasonic medical device
JP4175278B2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防止装置
KR20100012528A (ko) 코골이 방지용 베개
CN209118143U (zh) 一种助眠寝具系统
JP4338602B2 (ja) 就寝者刺激装置
CN110916422B (zh) 一种主动干预引导侧卧的止鼾床垫系统
CN112869471B (zh) 基于负氧离子智能床垫
KR20180002807U (ko)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방지 기구
CN201143077Y (zh) 一种多功能保健枕头
KR200410552Y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WO1998029034A1 (en) Breathing regulator
CN106175671A (zh) 睡眠控制被及睡眠控制方法
CN208481691U (zh) 一种便携式智能化辅助排痰装置
CN206979641U (zh) 止鼾枕头
KR20110008610U (ko)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20030012195A (ko) 코골이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