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965A -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965A
KR20110043965A KR1020090100736A KR20090100736A KR20110043965A KR 20110043965 A KR20110043965 A KR 20110043965A KR 1020090100736 A KR1020090100736 A KR 1020090100736A KR 20090100736 A KR20090100736 A KR 20090100736A KR 20110043965 A KR20110043965 A KR 2011004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indow
user
displayed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508B1 (ko
Inventor
김익환
배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508B1/ko
Priority to US12/707,571 priority patent/US8869206B2/en
Publication of KR2011004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에서 다양한 채널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기 저장된 채널 정보를 멀티 윈도우로 디스플레이 한다. 멀티 윈도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제1 튜너를 통해 튜닝하여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채널을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제외한 모든 채널을 제2 튜너를 통해 일정 주기로 튜닝하여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는 멀티 윈도우를 참고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채널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선호 채널들만을 대상으로 채널 편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선택된 채널 이외의 다른 모든 채널들에 대해서도 방송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기억된 채널과 현재 기억된 채널에 대한 비교를 통해 방송 유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채널 튜닝, 멀티 윈도우, 디지털 TV, 채널 관리, 채널 편집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편집 방법{A DIGITAL TELEVISION AND CHANNEL EDI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채널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브이는 방송 프로그램(즉, 방송 콘텐츠)이 실린 방송 신호를 일련의 신호 처리를 통해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는 있도록 하는 기기로서, 연령 또는 계층에 상관없이 시청을 통해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현재, 티브이는 급속도로 발전해 가고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 중 가장 대중적인 매체로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로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디지털 티브이는 문자 그대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등의 모든 정보를 디지털 처리된 방송 프로그램을 다시 원래의 비디오 및 오디로 신호로 재생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디지털 티브이는 아날로그 티브이에 비해 잡음에 강하고 송신 전력이 적고, 에러정정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정보의 검색, 가공 및 편집이 용이하다.
특히 현재의 디지털 티브이는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채널 수가 아날로그에 비해 수십 배 정도 확장될 수 있어, 수많은 정보들을 각 채널을 통해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청자의 정보 욕구를 완벽하게 충족시켜 주고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디지털 티브이는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 가공 및 편집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방송 프로그램을 기억 또는 지울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선호 채널로 등록시켜 언제든지 해당 선호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는 방송 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튜너(1)와, 상기 튜너(1)에서 선국된 방송 신호, 즉 시간적으로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역 다중화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2)와, 상기 디멀티플렉서(2)에서 역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3)와, 상기 영상 처리부(3)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4)와, 사용자의 요구 명령 및 각종 동작 관련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5)와, 상기 키 입력부(5)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6)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채널 편집 메뉴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이때, 사용자가 채널 편집 메뉴를 선택하기 전에는 디지털 티브이에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채널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S14). 즉, S11에 앞서 디지털 티브이가 온(ON)되기 전에 사용자가 선택했던 채널이 기억되고 있다가, 디지털 티브이가 온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이 튜닝되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S11에서 사용자가 채널 편집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채널 편집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17).
즉, 채널 편집 화면을 통해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맵과 현재 채널이 디스플레이 된다(S20). 여기서, 현재 채널은 현재 방송되고 있는 채널이나 사용자에 의해 채널번호가 변경된 경우의 그 변경된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채널맵에는 수많은 채널 번호가 일렬로 배열되고, 이 중에서 현재 자동 튜닝 등에 의해 기억된 채널 번호의 색깔은 기억되지 않은 채널 번호보다 진한 색깔로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채널 번호 2, 7, 13, 14 등은 채널 번호 3, 4, 5, 8, 9, 10 등 보다 진한 색깔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로부터 현재 채널 번호 2, 7, 13, 14 등이 기억된 채널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전에 선호 채널로 설정된 채널들은 채널 번호 앞에 소정 마크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채널 편집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여(S23), 키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번호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가 튜닝되어 디스플레이 된다(S26).
이때, 사용자로부터 채널 편집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채널 편집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S26으로 리턴된다(S29).
만일 사용자로부터 채널 편집키가 입력된다면, 해당 채널 편집 기능이 수행된다(S32). 이러한 채널 편집 기능에는 해당 채널 번호의 기억, 지움 또는 선호 채널 설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채널 편집 기능이 모두 완료되면, 사용자에 의해 채널 종료키가 입력되고, 이에 따라 채널 편집 과정이 종료된다(S35).
현재의 방송에서는 69개의 무선 채널, 125개의 유선 채널 및 60개의 DTV 채널이 존재함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편집 화면은 전체 채널 번호 모두를 표시하여 주고, 각 채널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의 존재 유무를 채널 번호의 명암을 통해 알려주며, 기억된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 채널로 설정한 채널에 대해서는 해당 채널 번호 앞에 소정 마크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호 채널을 구분할 수 있게 하여 준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사용자가 채널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전체 채널을 채널 번호로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한해서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다른 채널에 대한 방송 상태를 파악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다른 채널의 방송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채널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둘째, 현재 매체의 다양성으로 인해 다수개의 채널이 존재하므로, 일일이 다 른 채널을 찾아 이동하여 방송 상태를 파악하고 채널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시간적인 낭비와 비효율성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채널 편집 화면을 멀티 윈도우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채널로 이동할 수 있고, 또 모든 채널에 대한 방송 상태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채널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널 편집 화면에 모든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의 유무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방송 신호의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채널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의 채널 편집 명령에 응답하여 채널 편집을 위한 멀티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멀티 윈도우를 바탕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 선택키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튜닝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제1 선택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이외의 모든 채널을 순차적으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윈도우는 각 채널에 상응하는 복수의 서브 윈도우로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 윈도우에는 기 저장된 채널 정보가 복수의 서브 윈도우의 개수만큼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멀티 윈도우에는 기 설정된 채널과 아닌 채널을 구분하기 위해 채널 번호의 색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2 선택키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채널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튜닝으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이외의 모든 채널은 튜닝되는 동안에는 동영상으로 튜닝되고, 튜닝된 이후에는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며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의 선호 채널 편집 명령에 응답하여 선호 채널 편집을 위한 멀티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멀티 윈도우를 바탕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 선택키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튜닝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제1 선택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이외의 모든 채널을 순차적으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티브이는 방송 신호에서 서로 다른 방송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제1 및 제2 튜너; 상기 제1 및 제2 튜너로부터 선국된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1 튜너의 방송 신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2 튜너의 방송 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 사용자의 요구 명령 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요구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제2 튜너로부터 자동 튜닝되는 채널에 대한 정지 영상 및 기 설정된 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의 출력을 멀티 윈도우로 구현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만을 튜닝한다.
상기 제2 튜너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제외한 다른 채널들을 대상으로 자동 튜닝을 수행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채널 편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가 기 분할된 멀티 윈도우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들에 대해 제2 튜너를 통해 자동 튜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채널 관리 방법은, 다수의 채널 각각의 튜닝된 화면을 표시하는 멀티 윈도우를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멀티 윈도우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채널 관리 메뉴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멀티 윈도우에 해당하는 채널의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튜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튜너; 상기 튜너 중 하나로부터 튜닝된 방송 신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튜닝된 방송 신호들을 멀티 윈도우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멀티 윈도우 중 하나의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에 대한 채널 관리를 수행하면, 따라 상기 선택된 멀티 윈도우에 해당하는 채널의 관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튜너 중 하나로부터 자동 튜닝되는 채널에 대한 정지 영상 및 기 설정된 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을 멀티 윈도우로 구현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 그 채널 편집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채널 편집 화면을 멀티 윈도우로 구성함으로써, 현재 선택된 채널 이외의 다른 모든 채널들에 대해서도 방송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이전에 기억된 채널과 현재 기억된 채널에 대한 비교를 통해 방송 유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셋째, 멀티 윈도우를 통해 각 채널의 방송 신호 존재 유무가 표시되어 멀티 윈도우에 방송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채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넷째, 모든 채널을 제외한 선호 채널만을 대상으로 채널 편집이 가능하므 로, 사용자가 자신의 요구에 적합한 선호 채널의 설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는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방송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제1 및 제2 튜너(101, 102)와, 상기 제1 및 제2 튜너(101, 102)로부터 선국된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103)와, 상기 스위칭부(103)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1 튜너(101)의 방송 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107)와, 상기 스위칭부(103)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2 튜너(102)의 방송 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108)와, 사용자의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04)와, 상기 사용자의 명령, 즉 채널 편집 명령 및 패널 편집 실행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5)과, 상기 제2 튜너(102)로부터 자동 튜닝되는 채널에 대한 정지 영상 및 기 설정된 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6)와, 상기 마이컴(10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107, 108)의 출력을 멀티 또는 싱글로 구현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09)와, 상기 영상 처리부(109)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튜너(101)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튜닝하고, 상기 제2 튜너(102)는 마이컴(10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제외한 다른 채널들을 대상으로 자동 튜닝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칭부(103)는 상기 마이컴(10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튜너(101)의 출력 및 상기 제2 튜너(102)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107, 108)로 공급한다. 즉, 상기 제1 튜너(101)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는 제1 신호 처리부(107)로 공급되고, 상기 제2 튜너(102)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는 제2 신호 처리부(108)로 공급된다.
상기 마이컴(105)은 상기 키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된 채널 편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가 기 분할된 멀티 윈도우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05)은 상기 키 입력부(104)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들에 대해 제2 튜너(102)를 통해 자동 튜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티브이 시청 중 상기 키 입력부(104)를 이용하여 채널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05)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채널 편집 메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메모리(106)에 기 저장된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소정 개수로 분할한 채널맵 형태인 멀티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멀티 윈도우에는 기 설정된 채널과 아닌 채널을 구분하기 위해 채널 번호의 색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번호 1, 3, 4, 5, 6, 7 등은 기 설정된 채널로서 빨간색으로 디스플레이 되지만, 채널 번호 2, 8, 10, 11, 12 등은 기 설정되지 않은 채널로서 노랑색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하지만, 디지털 티브이는 각 채널에 대해 방송 신호가 수시로 변경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채널 번호 3에서 특정 방송에 대한 방송 신호가 존재하였지만,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는 이러한 특정 방송에 대한 방송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티브이의 각 채널에 대한 방송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각 채널들을 튜닝시켜주고, 채널 편집을 수행하기 위해 채널 편집 방법이 이용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멀티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 상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이동시키면, 방향키가 이동된 채널은 제1 튜너(101)로부터 튜닝되고, 그 외의 다른 채널들은 제2 튜너(102)를 통해 일정 주기로 자동 튜닝되게 된다. 이와 같이 튜닝된 영상 신호는 해당 멀티 윈도우의 서브 윈도우 각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 따르면, 현재 채널은 제1 튜너(101)를 통해 계속 튜닝되어 동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고, 다른 채널들에 대해서는 제2 튜너(102)를 통해 일정 주기로 자동 튜닝되어 동영상 및 정지 영상이 반복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다른 채널의 현재 방송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여 그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튜너(102)를 통해 자동 튜닝되는 각 채널들은 현재 튜닝되는 채널에 대해서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다가, 일정 주기에 따라 다른 채널로 튜닝이 넘어가게 되면 현재 튜닝되는 채널 은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 제2 튜너(102)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모든 채널에 적용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채널 편집을 수행하기 전에 디지털 티브이는 전원이 온(ON)되어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한 채널의 방송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어야 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를 이용하여 채널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마이컴(105)은 사용자로부터 채널 편집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1).
만일 사용자로부터 채널 편집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상기 마이컴(105)은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S214).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채널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105)은 메모리(106)에 기 설정된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217).
이때, 상기 채널 편집 화면에는 상기 기 설정된 채널 정보에 따라 현재 기억된 채널 및 현재 튜닝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복수의 서브 윈도우들로 이루어지는 멀티 윈도우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S220). 또한, 상기 채널 편집 화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채널 편집 메뉴 선택 이전에 시청하고 있었던 채널에 상응하는 서브 윈도우에 이동 커서가 위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105)은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키 입력이 이루이지는 지를 판단한다(S223).
만일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키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마이컴(105)은 자동 튜닝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2 튜너(102)로 출력하고, 상기 제2 튜너(102)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각 채널로 이동되면서 자동 튜닝을 수행하며, 자동 튜닝된 방송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S226).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키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 키가 방향키(이하, 제1 선택키라 한다)에 대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S229).
판단 결과 제1 선택키에 대한 입력인 경우, 상기 마이컴(105)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제1 튜너(101)를 통해 튜닝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S232).
따라서, 상기 S223, S226 및 S229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은 제1 튜너(101)를 통해 튜닝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그렇지 않은 다른 채널들은 제2 튜너(102)를 통해 일정 주기로 튜닝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만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가 방향키가 아니라면, 그 입력된 키가 채널 편집 키(이하, 제2 선택키라 한다)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한다(S235).
판단 결과 상기 제2 선택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마이컴(105)은 해당 채널에 대한 채널 편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238). 즉, S238에 의해 해당 채널에 대 한 기억 및 지움 그리고 선호 채널 설정 등의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채널을 변경하면서 수시로 각 채널들을 편집할 수 있고, 또 제2 채널을 통한 자동 튜닝에 의해 방송 신호의 존재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채널 편집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동영상만 표시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각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 윈도우들로 이루어지는 멀티 윈도우를 구성하여 각 서브 윈도우를 통해 각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의 유무가 표시되므로, 방송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보다 빠른 채널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편집 종료키를 입력하면, 채널 편집 과정은 종료되고 이전에 시청 중인 방송 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S24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널 편집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채널 편집 메뉴를 선택한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멀티 윈도우 형태의 채널 편집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키도 입력되지 않게 되면, 제2 튜너(102)를 통해 각 채널에 대한 자동 튜닝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일정 시간 간격으로 채널이 이동되면서, 이동 전의 채널은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이동 후의 채널은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멀티 윈도우를 이용하는 채널 편집 화면은 모든 채널에 대해서 채널 편집이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채널 편집 화면에서 기 설정해 놓은 선호 채널만을 대상으로도 채널 편집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이전에 설정해 놓은 선호 채널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멀 티 윈도우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 채널은 제1 튜너(101)를 통해 튜닝되어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다른 선호 채널들은 제2 튜너(102)를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 튜닝되어 동영상 및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선호 채널 메뉴를 선택하였는 여부를 판단한다(S311).
판단 결과 사용자가 선호 채널 메뉴를 선택한 경우, 메모리(106)에 기 설정된 선호 채널 목록을 복수의 서브 윈도우로 이루어지는 멀티 윈도우로 디스플레이 한다(S314).
이때, 선호 채널 메뉴 선택 이전에 시청 중인 채널이 상기 기 설정된 선호 채널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호 채널 메뉴 선택 이전에 시청 중인 채널에 이동 커서가 위치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선호 채널 메뉴 선택 이전에 시청 중인 채널이 상기 기 설정된 선호 채널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커서는 멀티 윈도우의 좌측 상단의 서브 윈도우에 위치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17).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그 키가 방향키인지를 판단한다(S323).
만일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가 방향키라면,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 채널 을 상기 제1 튜너(101)를 통해 튜닝하여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S326).
반면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가 방향키가 아닌 경우, 그 입력된 키가 편집키인지를 판단한다(S329).
사용자로부터 편집키가 입력된 경우, 해당 채널에 대한 채널 편집 기능(기억/지움)을 수행한다(S332).
한편, 상기 (S317)에서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키 입력도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2 튜너(102)를 통해 일정 순서로 자동 튜닝하여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S3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멀티 윈도우로 구성된 채널 편집 화면을 다양하게 변형 및 활용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6과 같이 멀티 윈도우로 구성된 채널 편집 화면과 같은 형태로 채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 다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 채널 또는 표시 화면에 대해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다. 채널 리스트 화면은 채널 편집 화면과 동일한 형태로 다수의 채널들을 멀티 윈도우로 구성하여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윈도우로 구성된 채널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한 채널을 시청 중에, 즉 화면 전체에 한 채널의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채널 리스트 메뉴를 선택하면, 도 8과 같은 멀티 윈도우(80)로 구성된 채널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멀티 윈도우들 각각에는 디지털 티브이의 각 채널에 대한 방송 상태 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각 채널들의 튜닝된 화면이 표시된다.
전체 채널을 다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화면의 좌우측에 확장탭(91)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장탭(91)을 선택하면 다른 채널에 대한 멀티 윈도우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채널 편집 화면과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이 멀티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 상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이동시키면, 방향키가 이동된 채널은 제1 튜너(101)로부터 튜닝되고, 그 외의 다른 채널들은 제2 튜너(102)를 통해 일정 주기로 자동 튜닝되게 된다. 이와 같이 튜닝된 영상 신호는 해당 멀티 윈도우의 서브 윈도우 각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제2 튜너(102)를 통해 자동 튜닝되는 각 채널들은 현재 튜닝되는 채널에 대해서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다가, 일정 주기에 따라 다른 채널로 튜닝이 넘어가게 되면 현재 튜닝되는 채널은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도 8의 채널 리스트 화면에는 채널 관리 메뉴(81)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관리 메뉴(81)를 표시하지 않고, 리모콘이나 키 입력부에 그에 해당하는 버튼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8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채널 편집 메뉴(82)를 선택하면, 도 9와 같이 채널 편집 화면이 표시된다. 도 9의 채널 편집 화면은 도 6의 채널 편집 화면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6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멀티 윈도우들이 표시된다. 채널 편집 화면이 표시된 다음, 사용자는 멀티 윈도우 중 하나(87)를 선택하여 그 채널에 대해, 다양한 조작, 예컨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채널 기억, 지움, 선호 채널 설정은 물론이고 그 외에, 채널 잠금, 녹화, 시청, 예약 녹화, 예약 시청, 시리즈 녹화 등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9의 채널 편집 화면에서 한 멀티 윈도우를 선택하면 다수의 실행가능한 기능들을 포함하는 팝업 메뉴(85)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팝업 메뉴(85)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채널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팝업 메뉴(85)를 표시하지 않고, 티브이의 리모컨이나 키입력으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잠금은 특정 비밀 번호를 설정하고 비밀 번호없이는 그 채널을 볼 수 없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어린이들의 성인 채널에의 접근을 방지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녹화 기능은 그 채널의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즉시 녹화하는 기능이다. 시청 기능을 선택하면, 현재 선택된 채널(87)을 화면 전체에 표시한다. 예약 녹화는 선택된 채널의 특정 프로그램을 지정된 시간에 녹화하는 기능이다. 예약 시청은 설정된 시간이 되면, 티브이가 온상태에서는 선택된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고, 티브이가 오프인 상태에서는 티브이가 자동으로 켜진 다음 선택된 채널로 변경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시리즈 녹화는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시리즈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기능이다. 시리즈 녹화 기능을 선택하면, 디지털 티브이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사용하여, 현재 그 채널에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시리즈 전체를 녹화하게 된다. 닫기 메뉴를 선택하면 팝업 메뉴(85)가 사라진다. 채널 편집 화면에서 채널 편집 종료(83)를 선택하면 다시 도 8의 채널 리스트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널 리스트를 표시할 때, 도 9의 방법 또는 다른 방법으로 설정된 채널 편집 정보를 멀티 윈도우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각 멀티 윈도우의 일측에 소형 아이콘으로 현재 녹화중임, 시리즈 예약 녹화되었음, 단편 예약 녹화되었음, 시청 예약되었음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튜너가 디지털 티브이에 튜너가 2개인 경우에, 하나는 시청용 채널 튜닝에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채널 튜닝이나 녹화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예약 녹화한 프로그램이 여러개이고, 이들의 녹화시간이 겹치는, 즉 충돌되는 경우에는 녹화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채널 리스트 화면에 이러한 예약 녹화 시간 충돌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채널 리스트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윈도우의 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개수 변경 메뉴(84)를 선택하면, 도 11a와 같이 멀티 윈도우의 개수가 줄여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1a의 상태에서 다시 개수변경 메뉴(84)를 선택하면 도 11b와 같이 윈도우의 개수가 더 줄어들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개수 변경 메뉴(84)를 선택할 때마다, 도 8, 도 11a 및 도 11b의 화면 상태가 토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각 토글 상태마다 표시되는 멀티 윈도우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윈도우의 개수가 줄어들 수록 각 윈도우의 크기를 화면 크기에 맞게 확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멀티 윈도우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메뉴(84)를 사용하지 않고, 티브이의 리모컨이나 키버튼을 사용하여 토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널 리스트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윈도우의 순서를 정렬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채널 정렬 메뉴(84)를 선택하면 팝업 메뉴(93)가 표시될 수 있다. 팝업 메뉴(93)에 포함된 정렬 기준을 선택하면, 그 기준에 따라 멀티 윈도우들이 정렬되어 표시된다. 정렬 기준은 채널 번호, 선호 채널인지 여부, 최근 시청한 채널, 최근에 시청하지 않은 채널 등일 수 있다. 팝업 메뉴(93)를 사용하지 않고, 티브이의 리모컨이나 키버튼을 사용하여 멀티윈도우들을 정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의 화면을 표시하고, 그 위에 멀티 윈도우들을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널 리스트 화면에서 간편 보기 메뉴(88)를 선택하면, 도 13과 같이 화면 전체에는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의 화면이 표시되고, 그 위에 PIP로 다른 채널들의 튜닝된 화면인 멀티 윈도우들(97)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의 화면 위에 멀티 윈도우(97)들이 오버랩되어 표시된다. 멀티 윈도우들(97)은 반투명하게 표시될 수도 있다. 멀티 윈도우들(97)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 뿐 아니라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한 화면에 모든 채널에 대한 멀티 윈도우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는 좌우에 확장탭(99)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확장탭(99)을 선택하면 다른 채널들에 대한 멀티 윈도우들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채널에 대한 멀티 윈도우를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 화면을 이용하여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401)에서, 사용자가 채널 리스트 메뉴를 선택하면 단계(S403)에서, 도 8과 같은 채널 리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채널 리스트 메뉴 선택하기 전까지는 선택되어 있던 채널의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면서 대기한다(S402).
단계(S404)에서, 채널 리스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404). 키입력이 없으면 제2 튜너로 튜닝되는 채널을 일정 주기로 이동 시키면서 채널 튜닝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410)에서 채널 관리 종료키가 입력되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단계(S404)에서 키입력이 있으면, 단계(S406)에서, 키입력이 방향키 입력인지, 즉 사용자가 다른 채널에 대한 멀티 윈도우를 선택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방향키입력이면, 단계(S407)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 윈도우의 튜닝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S410)에서 채널 관리 종료키가 입력되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단계(S406)에서 방향키 입력이 아니면, 입력된 키 입력이 채널 관리 메뉴 즉, 채널 편집, 표시된 멀티 윈도우의 변경, 채널 정렬, 멀티 윈도우를 PIP로 표시 중 하나의 선택인지를 판단하고, 채널 관리 메뉴 선택이면 단계(S409)에서, 해당 채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410)에서 채널 관리 종료키가 입력되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단계(S408)에서 입력된 키입력이 채널 관리 메뉴 선택이 아니면 다시 키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전체 채널이 아닌 일부 채널만을 대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선호 채널들에 대해서만 위와 같은 채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선호 채널들에 대한 멀티 윈도우로 구성된 채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각 채널에 대해 전술한 관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채널을 표시하는 멀티 윈도우를 2개의 튜너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튜너 또는 3개 이상의 튜너를 사용하여 다수의 채널에 대한 튜닝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튜너를 사용하여 다수의 채널을 표시하는 멀티 윈도우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리스트 표시 메뉴가 선택되면 도 8과 같은 형태의 채널 리스트 화면이 표시되고, 멀티 윈도우(71) 하나씩에 대해 채널 튜닝이 순차적으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된다. 도 6 또는 도 8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현재 튜닝이 진행 중인 멀티 윈도우(71)는 동영상으로 표시되고, 튜닝이 완료된 채널의 멀티 윈도우는 정지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채널 튜닝 수행 중에 사용자 로부터 방향키 또는 채널 선택 키가 입력되면, 원래 정해진 채널 튜닝 순서를 무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튜닝을 수행할 수 있다. 튜너가 한개인 경우에는, 도 4의 티브이의 구성에서 스위칭부(103)가 불필요할 것이고, 튜너 감소에 따른 티브이의 구조상의 변화는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개 이상의 튜너를 사용하여 다수의 채널을 표시하는 멀티 윈도우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티브이에 3개의 튜너가 장착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채널 리스트 표시 메뉴가 선택되면, 도 8과 같은 형태의 채널 리스트 화면이 표시되고, 동시에 3개의 멀티 윈도우(72)에 대한 채널 튜닝이 수행될 수 있다. 채널 튜닝 순서는 순차적으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진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튜닝이 진행 중인 멀티 윈도우(71)는 동영상으로 표시되고, 튜닝이 완료된 채널의 멀티 윈도우는 정지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튜너가 많을수록 많은 수의 채널에 대한 튜닝 화면을 제공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또한, 3개의 튜너 중 하나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화면을 계속 제공하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2개의 튜너를 사용하여 나머지 채널에 대한 채널 튜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3개 이상의 튜너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 4에서 제1,2 신호 처리부 외에 추가적인 신호처리부가 필요할 것이고, 이러한 튜너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기술적인 사항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윈도우로 구성된 채널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편집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멀티 윈도우에 채널의 설정 내용이 표시된 채널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널 리스트 화면에 멀티 윈도우의 개수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윈도우를 정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보기 기능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채널에 대한 멀티 윈도우를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 화면을 이용하여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13)

  1. 다수의 채널 각각의 튜닝된 화면을 표시하는 멀티 윈도우를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멀티 윈도우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채널 관리 메뉴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멀티 윈도우에 해당하는 채널의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채널 편집, 표시된 멀티 윈도우의 변경, 채널 정렬, 멀티 윈도우를 PIP로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편집은 상기 선택된 채널의 기억, 지움, 선호 채널 설정, 채널 잠금, 녹화, 시청, 예약 녹화, 예약 시청, 시리즈 녹화 중 하나의 설정을 포함하는 인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윈도우를 PIP로 표시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채널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채널 튜닝을 수행하는 채널들에 대한 멀티 윈도우를 상기 사용자가 시청 중인 화면 위에 오버랩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채널에 대한 멀티 윈도우에 상기 채널 관리에 의해 설정된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관리에 의해 설정된 기능의 표시는 현재 녹화중, 예약 녹화, 예약 시청, 다른 예약 녹화 시간과 충돌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관리 방법.
  7. 방송 신호를 튜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튜너;
    상기 튜너 중 하나로부터 튜닝된 방송 신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튜닝된 방송 신호들을 멀티 윈도우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멀티 윈도우 중 하나의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에 대한 채 널 관리를 수행하면, 따라 상기 선택된 멀티 윈도우에 해당하는 채널의 관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튜너 중 하나로부터 자동 튜닝되는 채널에 대한 정지 영상 및 기 설정된 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을 멀티 윈도우로 구현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는 2개 이상이고, 그 중 하나는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을 튜닝하고, 나머지 튜너들은 다른 채널들에 대한 자동 튜닝을 수행하는 방송 수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관리는 채널 편집, 표시된 멀티 윈도우의 변경, 채널 정렬, 멀티 윈도우를 PIP로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편집은 상기 선택된 채널의 기억, 지움, 선호 채널 설정, 채널 잠금, 녹화, 시청, 예약 녹화, 예약 시청, 시리즈 녹화 중 하나의 설정을 포함하는 인 방송 수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윈도우를 PIP로 표시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채널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채널 튜닝을 수행하는 채널들에 대한 멀티 윈도우를 상기 사용자가 시청 중인 화면 위에 오버랩시켜 표시하는 동작인 방송 수신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윈도우에는 상기 채널 관리에 의해 설정된 기능이 표시되는 방송 수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관리에 의해 설정된 기능의 표시는 현재 녹화중, 예약 녹화, 예약 시청, 다른 예약 녹화 시간과 충돌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090100736A 2002-12-10 2009-10-22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편집 방법 KR101557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736A KR101557508B1 (ko) 2009-10-22 2009-10-22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편집 방법
US12/707,571 US8869206B2 (en) 2002-12-10 2010-02-17 Digital television and channel edi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736A KR101557508B1 (ko) 2009-10-22 2009-10-22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965A true KR20110043965A (ko) 2011-04-28
KR101557508B1 KR101557508B1 (ko) 2015-10-06

Family

ID=4404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736A KR101557508B1 (ko) 2002-12-10 2009-10-22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5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231B1 (ko) * 2012-08-09 2014-03-17 주식회사 스마트큐 영상표시장치의 파노라마식 채널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50084145A (ko) * 2014-01-13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762969B2 (en) 2011-05-26 2017-09-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2969B2 (en) 2011-05-26 2017-09-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85065B2 (en) 2011-05-26 2018-09-25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84744B2 (en) 2011-05-26 2019-11-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88479B2 (en) 2011-05-26 2022-07-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902627B2 (en) 2011-05-26 2024-02-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75231B1 (ko) * 2012-08-09 2014-03-17 주식회사 스마트큐 영상표시장치의 파노라마식 채널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50084145A (ko) * 2014-01-13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508B1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206B2 (en) Digital television and channel editing method thereof
US8261302B2 (en) Digital television and channel editing method thereof
KR100478110B1 (ko) 텔레비전프로그램및관련텍스트를디스플레이하는방법및장치
KR100434265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US8473988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05022333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US20040250278A1 (en) Broadcast receiver
KR20100083641A (ko) 단말장치,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31827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예약안내/예약확인 화면 구현방법
US201002290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video inputs in input select menu of display device
KR20120022490A (ko)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141311A1 (en) Programmed recording apparatus for tv programs
JPH10191193A (ja) 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10043965A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편집 방법
JP4498093B2 (ja) 放送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60170829A1 (en) Broadcast receiver with an auto preset function
JPH10145689A (ja) チャンネル選択方法及び装置
KR100700712B1 (ko) 마이채널을 이용한 신규한 디지털방송 시청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US20090031349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of main screen/sub-scree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3018488A (ja) 番組表の表示装置
JP2001078102A (ja) 番組表示装置
KR100686138B1 (ko) 영상기기의 채널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98648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JP4375394B2 (ja) 表示装置
KR100820715B1 (ko) 텔레비전의 채널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