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828A -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828A
KR20110043828A KR1020090100529A KR20090100529A KR20110043828A KR 20110043828 A KR20110043828 A KR 20110043828A KR 1020090100529 A KR1020090100529 A KR 1020090100529A KR 20090100529 A KR20090100529 A KR 20090100529A KR 20110043828 A KR20110043828 A KR 2011004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nutrition
nutritional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주
김계진
Original Assignee
(주)인성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정보 filed Critical (주)인성정보
Priority to KR102009010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828A/ko
Publication of KR2011004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하고,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대사 증후군을 포함한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성질환, 건강관리, 영양처방, 영양관리 프로그램

Description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본 발명은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대사증후군을 포함한 만성질환자의 건강상태 및 영양상태를 분석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처방 및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사증후군은 유전적 소인과 함께 체중증가, 운동부족, 스트레스, 과식, 약물남용 등의 여러 생활습관 원인이 복합되어 일으킨 인슐린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일련의 대사 이상 증상을 나타내며, 이러한 이상 상태는 비만, 고혈압, 당뇨, 이상지혈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만성질환의 증가는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더 심각해질 것이며, 소아비만의 유병률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만성질환의 효과적인 관리가 시급하다.
대사증후군 및 만성질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생활습관의 개선이 가장 우선적으로 할 예방 및 치료방침이다. 수많은 대사증후군을 포함한 만성질환자 의 생활습관 조절 유용성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적극적인 생활양식의 교정을 통해 만성질환의 발병률을 감소시키고, 만성질환의 합병증 발생과 사망률을 개선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병원에서의 일회성 영양 상담으로는 대사증후군 및 만성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영양처방 및 관리 유지를 위한 지침을 교육하기 힘들고 자가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생활 습관 교정을 하도록 인지상태를 변화시키기 현실적으로 어렵다. 최근 만성질환의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으나, 당뇨, 비만, 고혈압 등 한가지 질환에 대하여 혈당, 혈압 등 건강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갖춘 정도이다. 따라서, 생활습관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한 대상자가 함께 보유할 수밖에 없는 다양한 만성질환 상태를 포괄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이에 필요한 체계적인 영양처방 및 영양 관리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사증후군을 포함한 만성질환자의 건강상태 및 영양상태를 반영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처방 및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만성질환자를 건강관리 방법은,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인정보는 신상정보, 보유질환, 가족병력, 신체정보 및 영양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는 혈압, 맥박수, 혈당, 콜레스테롤, 운동량 및 각 만성질환별 검사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 각 항목별 기준 값 정보를 포함한 건강 및 영양상태 판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와 상기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를 정해진 판별코드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악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만성질 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입력일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된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대상자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 및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기초하여,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자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에 따라, 상기 설정되는 영양관리 목표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은, 열량, 영양소, 섭취비율, 제한 및 권장 영양소 섭 취량, 권장섭취 당지수, 영양소 섭취방법 및 영양섭취 실전지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은, 단위관리활동과 단위관리활동 수행간격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관리활동은 영양관리목표, 영양처방확인, 전문지침 확인, 영양지침 실천 여부 입력, 생체정보 측정,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 및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기초하여,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자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산출하는 단계는, 단위관리활동과 관련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 단위관리활동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각 단위관리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만성질환자에게 맞게 설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관리활동 데이터베이스는, 영양관리목표 관련 정보, 영양처방 관련 정보, 전문지침 관련 정보 및 영양섭취상태 관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도중에 수행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수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단계; 와 상기 수정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수정된 양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에 대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입력되는 수행정보는, 영양섭취 목표달성율, 생체정보 측정율, 생체정보 정상유지율 및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에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자기관리를 수행하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하여, 만성질환자의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 수행을 모니터링 하는 제어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영양관리목표, 영양처방 및 영양관리프로그램 산출에 필요한 정보와 상기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 수행의 모니터링에 필요한 정보 및 상기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 수행에 따라 발생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만성질환자의 건강상태 및 영양상태를 반영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처방 및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사 증후군을 포함한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시스템은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한다(S10). 즉, 건강관리 시스템은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 각 항목별 기준 값 정보를 포함한 건강 및 영양상태 판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를 판별하고,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를 정해진 판별코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인정보는 신상정보, 보유질환, 가족병력, 신체정보 및 영양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상정보는 성별, 연령 및 경제적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정보는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피하지방 정도 및 체성분 분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체성분 분석정보는 근골격량 및/또는 체지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영양상태정보는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사섭취량 및 식품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습관은 평소의 영양관리에 대한 인지도아 실천에 대한 평가로 타당도가 입증된 설문을 통하여 정량화될 수 있다. 식품섭취빈도는 사용자의 식품에 대한 섭취횟수를 조사설문을 이용하여 영양소의 섭취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구하고 식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 식사섭취량은 만성질환자의 평소 섭취 열량 및 영양소 섭취의 균형성, 제한 영양소의 섭취 정도에 대한 평가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생체정보는 혈압, 맥박수, 혈당, 콜레스테롤, 운동량 및 각 만성질환별 검사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 시스템은 파악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한다(S20).
이후, 건강관리 시스템은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 활동을 모니터링 한다(S30). 나아가,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도중에 수행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건강관리 시스템은 입력되는 수행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영양관리목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수정한다. 이후, 건강관리 시스템은 수정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수정된 양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에 대한 스케줄에 따라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이때, 입력되는 수행정보는, 영양섭취 목표달성율, 생체정보 측정율, 생체정보 정상유지율 및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관리 프로그램 산출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시스템은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입력일을 기준으로,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대상자 프로파일을 구성한다(S21).
건강관리 시스템은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한다(S22). 이때, 건강관리 시스템은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건강관리 시스템은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에 따라, 설정되는 영양관리 목표를 달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정상체중의 당뇨환자와 비만인 당뇨환자의 영양관리 목표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같은 당뇨환자의 경우에도 혈당 결과에 따라 영양관리 목표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건강관리 시스템은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한다(S23). 즉, 건강관리 시스템은 개인정보에 포함된 신상정보, 보유질환, 신체정보 및 영양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양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산출된 영양처방은 열량, 영양소, 섭취비율, 제한 및 권장 영양소 섭취량, 권장섭취 당지수, 영양소 섭취방법 및 영양섭취 실전지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 시스템은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 및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기초하여,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자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산출한다(S24). 이때,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은, 단위관리활동과 단위관리활동 수행간격을 포함한다. 단위관리활동은 영양관리목표, 영양처방확인, 전문지침 확인, 영양지침 실천 여부 입력, 생체정보 측정,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양관리목표는 만성질환자의 상태에 따른 관리목표와, 이 관리목표를 위한 정량적 세부목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문지침은 영양관리목표 내 정량적 세부목표를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실전지침, 장애요인의 극복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건강관리 시스템은 단위관리활동과 관련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 단위관리활동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각 단위관리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만성질환자에게 맞게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위관리활동 데이터베이스는, 영양관리목표 관련 정보, 영양처방 관련 정보, 전문지침 관련 정보 및 영양섭취상태 관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양관리목표 관련 정보는 질환별 관리목표, 질환별 영양목표원리, 질환별 영양지침, 영양소별 질환관리 효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양처방의 관련 영양정보는 질환별 영양지침, 한국인의 영양권장량, 권장섭취량, 질환별 제한영양소, 권장영양소 및 에너지 소비 균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문 지침의 관련 영양정보는 자가관리를 위한 교육자료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자료는 만성질환자의 질환 관리에 대한 기본정보안내, 영양처방에 따라 치료 및 예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자가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주제로 구성될 수 있다. 교육자료는 질환관리목표, 질환별 권장식품 및 제한식품, 질환별 식단작성법, 운동과 영양의 균형 및 식사행동 평가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양섭취상태 관련 영양정보는 질환별 영양지침, 식단작성법, 당지수 계산법, 영양소 포함식품, 식품정보, 식단정보, 요리정보 및 건강기능식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입력부(10), 제어부(20), 저장부(30) 및 출력부(40)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제어부(20)는 입력부(10)를 통하여 입력된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에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자기관리를 수행하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하여, 만성질환자의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 수행을 모니터링 한다. 이러한 제어부(20)는 입력정보 수신부(21), 수신정보 판별부(22), 프로그램 설정부(23) 및 프로그램 수행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인정보는 신상정보, 보유질환, 가족병력, 신체정보 및 영양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생체정보는 혈압, 맥박수, 혈당, 콜레스테롤, 운동량 및 각 만성질환별 검사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정보 수신부(21)는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수신한다.
수신정보 판별부(22)는 수신된 상기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한다. 즉, 수신정보 판별부(22)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 각 항목별 기준 값 정보를 포함한 건강 및 영양상태 판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수신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를 판별하고,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를 정해진 판별코드로 저장부(30)에 저장 한다.
프로그램 설정부(23)는 파악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한다. 이때,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은, 단위관리활동과 단위관리활동 수행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관리활동은 영양관리목표, 영양처방확인, 전문지침 확인, 영양지침 실천 여부 입력, 생체정보 측정,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램 설정부(23)는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입력일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된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대상자 프로파일을 구성한다. 프로그램 설정부(23)는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한다. 프로그램 설정부(23)는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 및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기초하여,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자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산출한다.
이때, 프로그램 설정부(23)는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그램 설정부(23)는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 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에 따라, 설정되는 영양관리 목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그램 설정부(23)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단위관리활동과 관련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 단위관리활동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각 단위관리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만성질환자에게 맞게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그램 수행부(24)는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한다. 나아가, 프로그램 수행부(24)는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도중에 수행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되는 수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수정한다. 이후 프로그램 수행부(24)는 수정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수정된 양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에 대한 스케줄에 따라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때 입력되는 수행정보는, 영양섭취 목표달성율, 생체정보 측정율, 생체정보 정상유지율 및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저장부(30)는 입력부(10)를 통하여 입력된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영양관리목표, 영양처방 및 영양관리프로 그램 산출에 필요한 정보와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 수행의 모니터링에 필요한 정보 및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 수행에 따라 발생한 정보를 저장한다.
출력부(40)는 설정된 영양관리목표, 산출된 영양처방,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 및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방법과 시스템은 컴퓨터 프로그램화 되거나 모듈화되어 단말기(컴퓨터, 모바일단말기, 전용 단말기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들이 능동적으로 사용자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게 단위관리활동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단말기에 의한 능동적 관리는 당업자라면 그 구성을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에 대한 플로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관리 프로그램 산출방법에 대한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도.

Claims (23)

  1.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신상정보, 보유질환, 가족병력, 신체정보 및 영양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는 혈압, 맥박수, 혈당, 콜레스테롤, 운동량 및 각 만성질환별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 각 항목별 기준 값 정보를 포함한 건강 및 영양상태 판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와
    상기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를 정해진 판별코드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입력일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된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대상자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 및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기초하여,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자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에 따라, 상기 설정되는 영양관리 목표를 달리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은,
    열량, 영양소, 섭취비율, 제한 및 권장 영양소 섭취량, 권장섭취 당지수, 영양소 섭취방법 및 영양섭취 실전지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은,
    단위관리활동과 단위관리활동 수행간격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관리활동은 영양관리목표, 영양처방확인, 전문지침 확인, 영양지침 실천 여부 입력, 생체정보 측정,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 및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기초하여,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자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산출하는 단계는,
    단위관리활동과 관련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 단위관리활동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각 단위관리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만성질환자에게 맞게 설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관리활동 데이터베이스는,
    영양관리목표 관련 정보, 영양처방 관련 정보, 전문지침 관련 정보 및 영양섭취상태 관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도중에 수행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수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단계; 와
    상기 수정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수정된 양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에 대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수행정보는,
    영양섭취 목표달성율, 생체정보 측정율, 생체정보 정상유지율 및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방법.
  13.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에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자기관리를 수행하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하여, 만성질환자의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 수행을 모니터링 하는 제어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영양관리목표, 영양처방 및 영양관리프로그램 산출에 필요한 정보와 상기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 수행의 모니터링에 필요한 정보 및 상기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 수행에 따라 발생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신상정보, 보유질환, 가족병력, 신체정보 및 영양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는 혈압, 맥박수, 혈당, 콜레스테롤, 운동량 및 각 만성질환별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입력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상기 만성질환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는 수신정보 판별부;
    상기 파악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산출하는 프로그램 설정부;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 수행부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정보 판별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만성질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 각 항목별 기준 값 정보를 포함한 건강 및 영양상태 판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를 판별하고, 상기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를 정해진 판별코드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의 입력일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된 각 항목별 상태에 대한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대상자 프로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양처방을 산출하고,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 목표 및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기초하여, 만성질환자가 실생활에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에 따라 자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산출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구성된 대상자 프로파일 중 보유질환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와 생체정보 각 항목 상태의 판별결과에 대한 판별코드에 따라, 상기 설정되는 영양관리 목표를 달리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은,
    단위관리활동과 단위관리활동 수행간격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관리활동은 영양관리목표, 영양처방확인, 전문지침 확인, 영양지침 실천 여부 입력, 생체정보 측정,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단위관리활동과 관련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 단위 관리활동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각 단위관리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만성질환자에게 맞게 설정하여 제공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수행부는,
    상기 수행 요청한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도중에 수행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수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영양관리목표, 상기 산출된 영양처방 및 상기 산출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을 수정하고, 상기 수정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만성질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수정된 양양관리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에 대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수정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단위관리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수행정보는,
    영양섭취 목표달성율, 생체정보 측정율, 생체정보 정상유지율 및 개인정보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KR1020090100529A 2009-10-22 2009-10-22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43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529A KR20110043828A (ko) 2009-10-22 2009-10-22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529A KR20110043828A (ko) 2009-10-22 2009-10-22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828A true KR20110043828A (ko) 2011-04-28

Family

ID=4404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529A KR20110043828A (ko) 2009-10-22 2009-10-22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8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172A (ko)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헬스 케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54484A (ko) * 2018-11-12 2020-05-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11883221A (zh) * 2020-07-16 2020-11-03 关涛 一种慢性病患者院外数据获取分析系统
KR20210007910A (ko) * 2019-07-12 2021-0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건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172A (ko)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헬스 케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292646B2 (en) 2014-11-04 201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health car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54484A (ko) * 2018-11-12 2020-05-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210007910A (ko) * 2019-07-12 2021-0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건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N111883221A (zh) * 2020-07-16 2020-11-03 关涛 一种慢性病患者院外数据获取分析系统
CN111883221B (zh) * 2020-07-16 2023-09-12 关涛 一种慢性病患者院外数据获取分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9090B2 (en) Intermittent monitoring
Banerjee et al. Diabetes self-management amid COVID-19 pandemic
Fastenau et al. A call to action to inform patient‐centred approaches to obesity management: development of a disease‐illness model
JP5926517B2 (ja) 個人の健康およびウェルネスの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命令を含む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20180114602A1 (en)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health and wellness programs
JP2019057301A (ja) 従業員の認知的健康および感情的健康を監視および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
US20220273204A1 (en) Intermittent Monitoring
JP2016219038A (ja) 従業員の健康および生産性の監視および改善のためのフロアマット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コンピュータ媒体、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
WO20100223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ronic disease control
WO2020059794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13534A1 (en) Rules-Based Message Prioritization or De-Selection with Patient Glucose Monitors
US20140358571A1 (en) Health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a clinical visit
CN113571152A (zh) 糖尿病前期管理系统
KR20110043828A (ko)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72455A1 (en) Visualization for health education to facilitate planning for intervention, adaptation and adherence
Winterlich et al. Diabetes Digital Coach: Developing an infrastructure for e-health self-management tools
Li et al. Overeating and overweight: extra calories increase fat mass while protein increases lean mass
KR101252654B1 (ko) 자가진단 건강관리 방법
Lightfoot et al. Non-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Vlahu-Gjorgievska et al. Persuasive social support features in diabetes self-management mHealth applications
Annesi Moderation of age, sex, and ethnicity on psychosocial predictors of increased exercise and improved eating
Pintér et al. Developing a decision support system to determine carbohydrate intake of diabetic patients
AU2021103003A4 (en) System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based on Exercise Intervention, Diet Intervention and Mental Intervention
Koleszynska GIGISim–The Intelligent Telehealth System: Computer Aided Diabetes Management–A New Review
Colberg et al. Digital support for physical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