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497A - 무선랜에서 그룹 주소 할당 방법, 복수 단말들과의 응답 요청 및 응답 프레임 전송방법, 상기 그룹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에서 그룹 주소 할당 방법, 복수 단말들과의 응답 요청 및 응답 프레임 전송방법, 상기 그룹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497A
KR20110043497A KR1020100102370A KR20100102370A KR20110043497A KR 20110043497 A KR20110043497 A KR 20110043497A KR 1020100102370 A KR1020100102370 A KR 1020100102370A KR 20100102370 A KR20100102370 A KR 20100102370A KR 20110043497 A KR20110043497 A KR 20110043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sponse
group
address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연
김윤주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04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69Address allocation for group communication, multicast communication or broadcas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에서 그룹 주소 할당 방법과 복수 단말들과의 응답 요청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 전송 방법, 상기 그룹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단말들을 그룹화하기 그룹 주소 할당 방법은, 그룹화 대상 단말들로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가 포함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은,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 정보와 목적지 주소로 하나의 단말 주소를 포함하여 하나의 수신 단말을 목적지로 하여 전송되거나, 전송되는 프레임이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임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 정보와 그룹화 대상 복수 단말들의 주소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이 복수 수신 단말을 목적지로 하여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에서 그룹 주소 할당 방법, 복수 단말들과의 응답 요청 및 응답 프레임 전송방법, 상기 그룹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Group Address Allocation, Response Request Frame Transmission and Response Frame Transmission in WLAN, Data Transmission using the Group Address}
본 발명은 무선랜에서 그룹 주소 할당 방법과 복수 단말들과의 응답 요청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 전송 방법과 상기 그룹 주소(또는 식별자)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복수 무선단말들을 그룹으로 지정하기 위한 그룹 주소 할당 방법과, 복수 무선 단말들로 응답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복수 무선 단말들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은 기본적으로 분산 시스템(DS: Distributed System)의 접속점 역할을 하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액세스 포인트(AP)가 아닌 복수의 무선 단말(STA)로 이루어진 기본 서비스 셋(BSS: Basic Service Set)을 지원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새로운 프로토콜 무선 단말 및 레거시 프로토콜 무선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기지국(BS), 노드B, 섹터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LAN용 이더넷 허브 또는 교환기에 접속될 수 있다. 이더넷 허브는 데이터 패킷들을 모뎀에 전송하는 라우터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 단말(STA)은 통상 하나의 AP가 관장하는 영역에 복수 존재한다. 무선 단말들(STAs)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종 사용자 액세스 장치로, 무선 신호들을 통신 장치와 라우팅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고,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여 다른 기기들 및/또는 네트워크로 배포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 접속시키는 송수신기를 의미한다. 무선단말은 통상 외부 어댑터(USB), PCMCIA 카드, USB 동글(Dongle) (자가 포함) 뿐만 아니라 기기들과 결합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어댑터들에서 기기들의 일부인 통합 무선 모듈들까지의 범위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이하,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 단말(STA)을 통칭하여 "단말"로 지칭한다.
무선랜과 관련된 프로토콜 표준은 IEEE 802.11에 규정되어 있다. IEEE 802.11에서 정의하는 무선랜의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은 무선 단말 간에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MAC 프레임 구조는 프레임 제어 정보 필드, 매질 점유 지속시간 정보 필드, 수신 단말 주소 필드, 송신 단말 주소 필드, 순서 제어 정보 필드, QoS 제어 정보 필드, 프레임 바디(Body) 필드, FCS(Frame Check Sequence) 등을 포함한다.
프레임 제어 정보 필드는 IEEE 802.11 MAC 버전과 같은 프로토콜 버전이 기록되는 프로토콜 필드, 사용되고 있는 프레임의 유형을 구별하기 위한 유형과 부유형 필드, 프레임 제어를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ToDS, FromDS, 추가조각, 재시도, 전력관리, 추가 데이터, WEP, 순서 등의 필드로 이루어진다.
매질 점유 지속시간 정보 필드는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설정 또는 무경쟁 기간(CFP: Contention Free Period) 동안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PS-조사 프레임 중 하나의 형태로 사용된다.
순서 제어 정보 필드는 조각화 재조립과 중복 프레임을 버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 4비트의 조각화 넘버 필드와 12비트의 시퀀스 넘버 필드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Body) 필드는 통상 데이터 필드라고 하며, 페이로드가 수용된다. FCS는 특정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MAC 프레임의 필드 중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 필드는 프레임 제어 정보 필드와, 매질 점유 지속 시간 정보 필드와, 수신 단말 주소 필드와, FCS이다. 그리고, 나머지 필드는 무선 자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제외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oS를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프레임의 경우는 QoS 제어 정보 필드가 제외되고, IEEE 802.11n 전용 프레임인 경우에는 HT 제어 정보 필드가 추가된다.
무선랜에서 사용하는 프레임들 중 어떤 종류들은 수신한 단말의 응답을 반드시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응답을 필요로 하는 프레임의 종류는 RTS(request to send) 프레임, BAR(block ack request)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과, 각종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Authentication request, Association request 등)이 있다. 그리고, 응답을 요구하는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살펴보면, RTS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고, BAR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BA(block ack) 프레임이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Ack 또는 BA 프레임이고, 각종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각종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Authentication response, Association response 등)이다.
IEEE 802.11 규격에 따르면,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짧은 시간 간격(SIFS: short inter frame space) 후에 바로 전송된다. 다시 말해, 도 2를 참조하면, RTS 프레임에 대한 CTS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 즉시 응답하는 방식의 BAR 프레임에 대한 BA 프레임, 결합된(Aggregated)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BA 프레임 등을 포함하는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응답을 요청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후 짧은 시간 간격(SIFS) 후에 바로 송신되어야 한다.
최근 무선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하나의 기본 서비스 셋(BSS)이 제공하는 데이터 스루풋(throughput)을 증가시키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연구로 현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VHT(Very High Throughput) 무선랜 시스템에 대한 연구이다.
VHT 무선랜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 MIMO(MU-MOMO) 기술과, 다중 주파수 채널 기술을 적용하여 기가급 이상의 스루풋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 현재는 1Gbps 이상의 스루풋을 제공하기 위해 4x4 MIMO 및 80MHz 또는 그 이상의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다중사용자 MIMO(MU-MIMO) 기술과 다중 주파수 채널 기술을 이용하면, 하나의 단말이 독립적인 복수의 통신 경로를 통하여 각 통신 경로에 대응되는 복수 단말들과 프레임을 주고 받는 것처럼 동작하게 되어, 하나의 단말이 복수 단말들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본 서비스 셋(BSS)의 스루풋(throughput)은 획기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에서는 무선 매질 상에서 프레임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 프레임들은 해당 기본 서비스 셋(BSS)에 속한 모든 단말이 수신 가능한 형태로 전송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MU-MIMO 환경에서 복수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어 프레임들은 모든 단말들이 수신 가능한 형태로 전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MU-MIMO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제어 프레임은 MU-MIMO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송신되고,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모든 단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채널을 통하여 제어 프레임이 송신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제어 프레임에는 RTS, CTS, ACK, BAR, BA, 각종 Poll 프레임들이 해당된다.
복수 통신 경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제어 프레임의 수신 단말은 사용하는 통신 경로 별로 일대일 대응될 수 있으므로, 각 통신 경로별로 제어 프레임은 하나씩 송신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제어 프레임이 각 통신 경로별로 하나씩 송신되는 경우, 제어 프레임의 송수신에 따른 오버헤드의 비율이 커져, 복수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장점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 MIMO 기술과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의 사용 효율을 높이고 저전력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복수 무선단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기 위한 그룹 주소(또는 식별자)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프레임을 통해 복수의 무선 단말들로 응답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해 복수의 무선 단말들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응답 프레임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할당된 그룹 주소(또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단말들을 그룹화하기 그룹 주소 할당 방법은, 그룹화 대상 단말들로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가 포함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은,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 정보와 목적지 주소로 하나의 단말 주소를 포함하여 하나의 수신 단말을 목적지로 하여 전송된다.
그리고,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별도의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응답 프레임은 짧은 시간간격(SIFS) 후에 즉시 전송되거나,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 전송 후, 각 수신 단말들이 Ack 프레임을 짧은 시간간격(SIFS) 후에 전송한 후, 무선 매질의 액세스 권한이 획득되면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지연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은, 전송되는 프레임이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임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 정보와, 그룹화 대상 복수 단말들의 주소들을 포함하도록 하여, 하나의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복수 수신단말을 목적지로 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응답 프레임은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은, 상기 그룹화 대상 복수 단말들 주소의 순서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 후 즉시 순차적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응답 시간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단말들로 응답이 요청되는 응답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응답 요청 프레임을 수신해야 하는 복수 단말들의 정보를 획득하고, 수신 대상 단말들이 복수임을 알리기 위한 다중 수신단말 표시자와 획득된 복수 단말 정보가 기록된 다중 수신단말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하나의 응답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다중 수신단말 표시자는 프레임 제어정보 내부의 특정 비트를 이용해 설정되거나 목적지 주소인 수신 단말 주소를 기 약속된 임의의 주소로 기록하는 것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수신 단말 정보는, 다중 수신 단말 개수와 상기 다중 수신 단말 개수에 대응되는 다중 수신 단말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해 복수 단말들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은, 수신 대상 단말들이 복수임을 알리기 위한 다중 수신단말 표시자와 복수 단말 정보가 기록된 다중 수신단말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하나의 응답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다중 수신단말 정보 필드에 기록된 복수 단말들의 주소 순서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 후 순차적으로 상기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일정 시간간격은, 짧은 시간간격(SIFS)이거나 자신의 응답 순서와 상기 응답 프레임의 길이와 짧은 시간간격(SIFS) 정보를 이용해 계산된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해 복수 단말들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은, 수신 대상 단말들이 복수임을 알리기 위한 다중 수신단말 표시자와 복수 단말 정보가 기록된 다중 수신단말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하나의 응답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다중 수신단말 정보 필드에 포함된 각 수신단말별 응답 시간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주소(식별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방법은, 복수 단말들이 합의 과정을 통해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를 결정하고, 동일한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를 갖는 상기 복수 단말들만이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그룹 주소(식별자)를 전송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에 포함시켜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기존 무선랜 프레임에 복수 단말들을 그룹으로 지정하는 그룹 주소 정보 필드를 추가한다. 이와 같은 그룹 주소는 그룹 지정을 위한 무선 단말들이 효율적인 협상을 통해 할당되며, 이와 같은 그룹 주소를 이용해 하나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복수 단말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된 무선 단말들이 수신된 프레임이 응답이 요구되는 프레임일 때, 서로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어, MAC 단에서의 전송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랜 MAC 프레임의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즉시 응답하는 방식의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수신 단말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수신 단말 정보 필드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단말이 다중 수신 단말 주소의 순서에 따라 응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단말이 자신이 응답해야 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응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답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수신 단말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응답시간을 이용해 복수 단말이 응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즉시 응답에 의한 개별 그룹 합의 요청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 응답에 의한 연속 그룹 합의 요청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즉시 응답에 의한 응답 프레임을 생략한 그룹 합의 요청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프레임 제어정보는 수신 프레임의 종류를 알기 위해 모든 단말들에 의해 해석될 수 있어야 하고, 매질점유 지속시간 정보는 무선 매질 상에서 프레임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단말들에 의해 해석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수신단말 주소 정보는 수신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가 자신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단말들에 의해 해석될 수 있어야 한다. 수신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가 자신인 경우에는 수신 단말은 프레임의 나머지 정보들을 디코딩한다.
따라서, 복수의 수신 단말 주소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 포함시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단말들이 해석 가능해야하는 필드 정보들 중 어느 하나의 필드 내에 수신 프레임이 복수 수신 단말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이하,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라 함)가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중 수신 단말 정보가 프레임에 추가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수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된 MAC 프레임은 프레임 제어정보 필드 또는 수신단말 주소 필드 또는 무선랜 규격에 따라 추가되는 프레임 필드(예, IEEE 802.11n 규격의 경우 HT 제어 정보) 내부의 특정 비트를 이용해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가 설정되고, 다중 수신 단말 정보 필드가 추가된 구조를 갖는다.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는 프레임 제어정보의 특정 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미리 약속된 특정한 수신 단말 주소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로 무선랜 규격에 따라 추가되는 프레임 필드(예를 들어 IEEE 802.11n 규격의 경우 HT 제어 정보) 내부의 특정 비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에 추가되는 필드가 포함되어 있음을 프레임 제어정보를 통하여 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중 수신 단말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을 수신하여야 하는 수신 단말의 수가 몇 개인지를 나타내는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와,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가 나타내는 개수만큼의 다중 수신 단말 주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는 다중 수신 단말 주소 개수와 동일하다.
여기서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는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는 선택적인 구성 요소로 반드시 요구되는 정보는 아니다. 그리고 다중 수신 단말 주소 필드는 임의의 자연수 n(바람직하게는 n=4)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중 수신 단말 주소는 MAC 주소 또는 결합(Association) 식별자(ID)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을 수신할 다중 수신 단말 개수가 임의의 자연수 n보다 작은 경우에는 유효한 다중 수신 단말 주소가 기록되지 않는 나머지 필드는 무의미한 데이터(예를 들어, 모든 비트가 (null) 값 또는 '1' 값)가 기록될 수 있다. 만약, 이렇게 구성된 다중 수신 단말 정보의 길이가 MAC 주소의 길이(48bit) 이하라면, 다중 수신 단말 정보를 기존의 MAC 프레임의 수신 주소 필드 내에 기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다중 수신 단말 정보의 길이가 MAC 주소의 길이(48bit) 이하라면, 별도의 다중 수신 단말 정보 필드를 구성하지 않고 기존 MAC 프레임의 수신 주소 필드 내에 자중 수신 단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수신 단말 정보가 포함된 프레임에 대한 수신 처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프레임 제어 정보 내부의 특정 비트를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프레임 제어 정보 내에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가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된 프레임에 포함된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를 확인한다. 다중 수신 단말 개수에 따른 다중 수신 단말 주소들을 확인하여, 자신의 주소가 다중 수신 단말 주소들 중에 있으면 수신된 프레임이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인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자신의 주소가 다중 수신 단말 주소들 중에 없으면 수신된 프레임이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가 프레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과정에서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생략될 것이다.
한편, 프레임 제어정보의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다중 수신 단말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의 수신 단말 주소 정보를 확인한다. 수신 단말 주소가 자신의 주소이면 수신된 프레임이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인 것으로 판단하고, 자신의 주소가 아니면 수신된 프레임이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 미리 약속된 특정한 수신 단말 주소 정보를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수신된 프레임의 수신 단말 주소 정보가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로 약속된 값이면, 수신된 프레임에 포함된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를 확인하고, 다중 수신 단말 개수에 따른 다중 수신 단말 주소들을 확인한다. 다중 수신 단말 주소들 중에 자신의 주소가 있으면 수신된 프레임이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인 것으로 판단하고, 자신의 주소가 다중 수신 단말 주소들 중에 없으면 수신된 프레임이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수신된 프레임의 수신 단말 주소 정보가 다중 수신 단말 표시자로 약속된 값이 아니면, 일반적인 수신 단말 주소로 판단한다. 따라서 수신 단말 주소 정보가 자신의 주소이면 수신된 프레임이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인 것으로 판단하고, 자신의 주소가 아니면 수신된 프레임이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수신된 프레임이 복수의 수신 단말 주소를 포함하고 있고, 다중 수신 단말 주소들 중에 자신이 포함되어 있으면서, 해당 프레임이 즉각적인 응답을 필요로 하는 경우의 응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기존의 즉각적인 응답을 필요로 하는 프레임에 대한 응답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응답을 요청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후 짧은 시간간격(SIFS) 후에 바로 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러나, 즉각적인 응답을 요청하는 프레임이 복수의 수신 단말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면, 복수의 단말이 동시에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게 되어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응답을 해야 하는 복수의 단말들이 순차적으로 응답을 하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복수의 단말이 순차적으로 응답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는 다중 수신 단말 주소의 순서에 따라 응답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단말들이 송신하는 응답프레임들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자신의 순서가 되면 응답하는 방법이다.
응답을 해야 하는 단말들은 다중 수신 단말 주소의 순서에 따라 자신이 몇 번째로 응답해야 하는지를 알고, 모니터링을 통해 다른 단말들이 응답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가 자신의 순서가 되면 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때, 복수의 단말들이 송신하는 응답 프레임들의 간격은 짧은 시간간격(SIFS)이다. 그런데, 모니터링 결과 응답을 해야 하는 단말들 중 응답을 하지 않는 단말이 있다면, SIFS보다 조금 더 긴 시간 간격 (PIFS) 후에 다음 순서인 단말이 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다수 개의 단말이 순차적으로 응답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같이 다중 수신 단말 주소의 순서에 따라 응답하는 것으로, 제1 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자신이 응답해야 하는 순서와 응답 프레임의 길이로부터 자신이 응답해야 하는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자신의 응답 시간에 맞춰 응답한다는 점에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응답을 해야 하는 단말들은 다중 수신 단말 주소의 순서에 따라 자신이 몇 번째로 응답해야 하는지와 응답 프레임의 길이를 알고 있고, 이에 따라 자신이 응답해야 할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신의 응답 시간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 수학식 1에서 자신이 응답해야 할 시간은 T, 자신이 응답해야 하는 순서는 k, 응답 프레임의 길이는 L로 표시하였다.
Figure pat00001
복수 단말이 순차적으로 응답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는 응답 요청 단말이 복수의 수신 단말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요청 프레임에 다중 수신 단말 주소들뿐만 아니라, 각각의 다중 수신 단말들이 응답 프레임을 보내야 하는 응답시간 정보를 함께 포함시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응답 단말들은 응답 요청 단말이 전송한 응답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응답 시간에 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 경우의 다중 수신 단말 정보는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중 수신 단말 정보는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와 상기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와 일치하는 개수의 다중 수신 단말 주소와, 상기 다중 수신 단말 주소에 일대일 대응되는 다중응답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도 8은 이와 같이 응답요청 프레임에 응답 시간 정보가 포함된 프레임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응답요청 단말은 다중 응답 시간 정보가 포함된 다중 수신단말 정보를 응답요청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응답 단말들은 자신의 다중 응답 시간에 맞춰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때, 다중 응답시간은 상대적인 시간일 수도 있고, 절대적인 시간일 수도 있는데, 도 8은 상대적인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지금까지는 MAC 프레임 내에 복수의 수신 단말 주소를 포함하는 다중 수신 단말 정보를 추가하여 복수 단말들과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그룹 주소(또는 식별자)를 이용한 그룹화 과정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송수신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 그룹 주소(또는 식별자)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그룹 식별자로 사용하기 위해 임의로 할당한 시리얼 번호(예를 들어 6bits 값) 또는 무선랜 시스템에 의해 임의로 할당된 번호나 어떤 규칙에 의하여 할당된 번호 등 고유한 값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그룹 주소 또는 그룹 식별자는 동일한 의미인 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값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그룹 주소(식별자)는 하나의 기본 서비스 셋(BSS) 내에 존재하는 다른 단말이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그룹 주소(식별자)를 이용함으로써, 모든 단말들은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고, 자신에게 오는 프레임이 아닌 경우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그룹 주소(식별자)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복수 단말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합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
복수 단말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합의 과정(이하, 그룹 합의 과정이라 함)은 다음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 수행된다. 첫째, 그룹 합의 과정은 해당 그룹에 속한 단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직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그룹 합의 과정은 새로운 단말이 해당 기본 서비스 셋(BSS)에 합류하였을 때와 같이 네트워크 구성상의 변화가 발생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그룹 합의 과정은 무선 채널의 변화가 감지되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그룹 합의 과정은 해당 그룹이 형성된 이후, 무선 채널의 상태가 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룹 합의 과정은 합의를 요청하는 단말이 해당 그룹에 포함시킬 모든 단말들 각각에게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고,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받은 단말들이 이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보내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째, 하나의 단말에 대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 끝난 후 다음 단말에게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보내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개별 그룹 합의 요청이라 한다. 둘째,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해당되는 모든 단말들에게 연속적으로 송신한 후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들을 받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연속 그룹 합의 요청이라 한다.
또한, 그룹 합의 요청에 대한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은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직후 응답할 수 있는데, 이를 즉시 응답 방법이라 한다. 둘째, 일단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송신한 후 무선 매질을 액세스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을 때에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으로, 이를 지연 응답 방법이라 한다. 셋째,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하여 Ack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으로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대신하는 방법으로, 이를 응답 생략 합의 요청이라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즉시 응답 방법을 이용한 개별 그룹 합의 요청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은 먼저, 제1 단말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 제1 단말은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해 짧은 시간간격(SIFS) 후에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연속하여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은 제2 단말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 제2 단말은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해 짧은 시간간격(SIFS) 후에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복수 단말들과 개별적으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는 그룹 주소(식별자)로 사용하기 위한 주소(식별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에는 그룹 합의 요청에 대한 동의 또는 거절과 같은 결과 정보가 포함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 응답 방법을 이용한 연속 그룹 합의 요청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은 제1 단말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짧은 시간간격(SIFS) 후 제1 단말로부터 Ack 프레임을 수신한다. 연속하여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은 그룹화 대상인 제2 단말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짧은 시간간격(SIFS) 후에 제2 단말로부터 Ack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복수 단말들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후, 그룹화 대상 단말들이 무선 매질을 액세스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을 때에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로 송신한다. 각 단말로부터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은 짧은 시간간격(SIFS) 후 Ack 프레임을 각 그룹화 대상 단말들로 전송한다. 여기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는 그룹 주소(식별자)로 사용하기 위한 주소(식별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에는 그룹 합의 요청에 대한 동의 또는 거절과 같은 결과 정보가 포함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즉시 응답 방법을 이용한 응답 생략 합의 요청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은 제1 단말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짧은 시간간격(SIFS) 후 제1 단말로부터 Ack 프레임을 수신한다. 그리고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은 그룹화 대상인 제2 단말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짧은 시간간격(SIFS) 후에 제2 단말로부터 Ack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복수 단말들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후 Ack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각 단말들이 그룹 합의 요청에 대한 동의를 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는 그룹 주소(식별자)로 사용하기 위한 주소(식별자) 정보와, 그룹화 대상 단말들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각 단말들로 개별적인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복수 단말들을 목적지로 하는 하나의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도 5 및 도 6과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송되는 프레임이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임을 나타내는 표시자가 포함되고, 그룹화 대상 단말들의 주소 정보들이 포함된다. 또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는 이후 사용될 그룹 주소(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의한 응답 과정은 도 5 및 도 6과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응답 과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에는 그룹 합의 요청에 대한 동의 또는 거절과 같은 결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룹 합의 과정은 그룹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개별 단말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룹 단위 그룹 합의 과정은 하나의 그룹에 포함될 단말들 각각과 그룹 합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이는 새로 그룹을 구성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그룹을 식별할 수 있는 그룹 주소(또는 식별자)를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통하여 알려주어야 하고, 선택적으로 해당 그룹에 포함된 단말들의 목록을 함께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단말들의 목록은 기본 서비스 셋(BSS) 내에서 각 단말에 대하여 고유한 값인 MAC 주소나 결합(Association) 식별자(ID)가 될 수 있다.
개별 단말 단위 그룹 합의 과정은 하나의 수신 단말에 대하여, 그 단말이 포함되어 있는 복수 그룹에 대한 그룹 합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해당 단말이 포함된 그룹 주소(식별자)들의 목록을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통하여 알려주어야 한다.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는 단말들의 목록을 변경하거나, 하나의 단말이 포함된 그룹들의 목록을 변경할 때는, 그룹 갱신 과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그룹 합의 과정과 동일하고, 다만,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 대신에 그룹 갱신 요청 프레임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룹을 중심으로 그룹 합의 과정이 이루어진 경우의 그룹 갱신 요청 프레임은 그룹 주소(식별자)와, 갱신된 그룹에 포함된 단말들의 목록 또는 그룹에 추가된 단말의 목록 또는 그룹에서 삭제된 단말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을 중심으로 그룹 합의 과정이 이루어진 경우의 그룹 갱신 요청 프레임은 해당 단말이 포함된 모든 그룹 주소(식별자)들의 목록, 또는 해당 단말이 삭제된 그룹 주소(식별자)들의 목록, 또는 해당 단말이 추가된 그룹 주소(식별자)들의 목록을 포함해야 한다.
사용하던 그룹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룹 해제 과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 역시 그룹 합의 과정과 동일하고, 다만,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 대신에 그룹 해제 요청 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룹 해제 요청 프레임에는 해제하고자 하는 그룹 주소(식별자)가 포함되어야 한다.
복수 단말들을 하나의 그룹 주소(식별자)로 나타내기 위한 그룹 합의 과정이 끝난 후, 그룹 주소(식별자)를 이용해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복수 단말들은 합의 과정을 통해 그룹 주소(식별자)를 결정한다. 그리고 그룹에 속한 단말들로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송신 단말은 상기 결정된 그룹 주소(식별자)를 전송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에 기록하고, 개별 단말들의 고유 수신 주소와 데이터 페이로드가 포함된 전송 프레임을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은 이렇게 생성된 전송 프레임을 송신한다.
다음 수신 단말에서의 수신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수신 단말은 수신된 프레임에 포함된 그룹 주소(식별자)가 사전에 자신과 합의된 값이면 자신이 수신하여야 하는 프레임으로 판단하여 처리하고, 자신과 합의되지 않은 값이면 자신이 수신할 필요가 없는 프레임으로 판단하여 더 이상 처리하지 않고 버린다.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모든 단말들 중 일부 단말로만 프레임을 송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위하여, 해당 그룹에 포함된 단말 중 해당 프레임을 수신해야 하는 단말들의 개별 주소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그룹 주소(식별자)의 뒤에 해당 프레임을 수신해야 하는 그룹 내 단말들에 대한 주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그룹 내 단말들에 대한 주소는 MAC 주소와, 결합(Association) 식별자(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룹 합의/갱신 과정에서 사용한 그룹 합의/갱신 요청 프레임이 그룹 주소(식별자)와 해당 그룹에 포함된 단말들의 목록을 포함하고 있었다면, 그 목록의 순서에 따라 각 단말이 해당 프레임을 수신하여야 하는지의 여부만을 표시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무선랜 시스템에서 복수 단말들을 그룹화하기 그룹 주소(식별자) 할당 방법에 있어서,
    (a) 그룹화 대상 단말들로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가 포함된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 주소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은,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 정보와 목적지 주소로 하나의 단말 주소를 포함하는 그룹 주소 할당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프레임은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와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주소 할당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프레임은 짧은 시간간격(SIFS) 후에 전송되는 그룹 주소 할당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 전송 후, 각 수신 단말들은 Ack 프레임을 짧은 시간간격(SIFS) 후에 전송한 후, 무선 매질의 액세스 권한을 획득하면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그룹 주소 할당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은, 전송 프레임이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임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 정보와, 그룹화 대상 복수 단말들의 주소들을 포함하는 그룹 주소 할당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프레임은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은,
    상기 그룹화 대상 복수 단말들 주소의 순서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 후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그룹 주소 할당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프레임은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 합의 응답 프레임은,
    상기 그룹 합의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응답 시간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그룹 주소 할당 방법.
  9. 무선랜 시스템에서 복수 단말들로 응답이 요청되는 응답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응답 요청 프레임을 수신해야 하는 복수 단말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수신 대상 단말들이 복수임을 알리기 위한 다중 수신단말 표시자와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복수 단말 정보가 기록된 다중 수신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응답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응답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신단말 표시자는 프레임 제어정보 내부의 특정 비트를 이용해 설정되는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신단말 표시자는 목적지 주소인 수신 단말 주소를 기 약속된 임의의 주소로 기록하는 것에 의해 설정되는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신 단말 정보는, 임의의 자연수 n개의 다중 수신 단말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신 단말 주소 정보는 MAC 주소 또는 결합 식별자(ID)를 이용해 기록되는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신 단말 정보는, 상기 다중 수신 단말 주소 개수를 나타내는 다중 수신 단말 개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신 단말 정보는, 상기 다중 수신 단말 주소에 일대일 대응되는 다중 응답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 방법.
  16. 무선랜 시스템에서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해 복수 단말들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 대상 단말들이 복수임을 알리기 위한 다중 수신단말 표시자와 복수 단말 정보가 기록된 다중 수신단말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하나의 응답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다중 수신단말 정보 필드에 기록된 복수 단말들의 주소 순서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 후 순차적으로 상기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응답 프레임 전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간격은, 짧은 시간간격(SIF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프레임 전송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간격은, 자신의 응답 순서와 상기 응답 프레임의 길이와 짧은 시간간격(SIFS) 정보를 이용해 계산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프레임 전송 방법.
  19. 무선랜 시스템에서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해 복수 단말들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 대상 단말들이 복수임을 알리기 위한 다중 수신단말 표시자와 복수 단말 정보가 기록된 다중 수신단말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하나의 응답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다중 수신단말 정보 필드에 포함된 각 수신단말별 응답 시간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응답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응답 프레임 전송 방법.
  20.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복수 단말들이 합의 과정을 통해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동일한 상기 그룹 주소(식별자)를 갖는 상기 복수 단말들만이 데이터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그룹 주소(식별자)를 전송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에 포함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00102370A 2009-10-20 2010-10-20 무선랜에서 그룹 주소 할당 방법, 복수 단말들과의 응답 요청 및 응답 프레임 전송방법, 상기 그룹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KR201100434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726 2009-10-20
KR20090099726 2009-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497A true KR20110043497A (ko) 2011-04-27

Family

ID=4390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370A KR20110043497A (ko) 2009-10-20 2010-10-20 무선랜에서 그룹 주소 할당 방법, 복수 단말들과의 응답 요청 및 응답 프레임 전송방법, 상기 그룹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8873B2 (ko)
EP (1) EP2493129A4 (ko)
JP (1) JP2013509075A (ko)
KR (1) KR20110043497A (ko)
CN (1) CN102714620A (ko)
WO (1) WO2011049360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90A1 (ko) * 2011-11-24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그룹핑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3085363A1 (ko) * 2011-12-09 201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30066542A (ko) * 2011-12-12 2013-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136407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케이티 짧은 맥 헤더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짧은 맥 헤더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WO2014038846A1 (ko) * 2012-09-04 2014-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14403A (ko) * 2012-02-10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스테이션에 의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50031276A (ko) * 2012-06-14 2015-03-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텔레비젼 고처리율 통신
US9491700B2 (en) 2012-02-10 2016-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stations operating i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AN systems transmit and receive frame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2044B1 (fr) * 2008-06-02 2010-08-20 Sagem Comm Procede et dispositif d'attribution d'adresses mac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sur courants porteurs
WO2011060267A1 (en) * 2009-11-13 2011-05-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trol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3537834A1 (en) 2009-11-24 2019-09-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 response request frame and a response frame in a multi-user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65733A1 (en) * 2011-05-31 2012-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supporting power save mode oper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130170430A1 (en) * 2011-12-28 2013-07-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knowledgement including a group identifier
US9467898B2 (en) * 2012-09-28 2016-10-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frame type indication
EP3110035A4 (en) * 2014-02-18 2017-10-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WO2016056854A2 (ko) * 2014-10-08 2016-04-14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05306259B (zh) * 2015-09-28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及电子设备
FR3075549B1 (fr) * 2017-12-19 2019-12-27 Sagemcom Broadband Sas Procede de transmission de trame par un point d'acces d'un reseau local sans-fil
US20190200278A1 (en) * 2018-03-02 2019-06-27 Ido Ouzieli Enhanced beacon fram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17222050A (zh) * 2023-08-30 2023-12-12 北京诺亦腾科技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439A (ja) * 1984-09-29 1986-05-17 Fujitsu Ltd グル−プアドレス通信方式
JPH11331254A (ja) 1998-05-18 1999-1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グループ通信装置
US7596376B2 (en) * 2005-02-18 2009-09-29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acilitating client handoffs in wireless network systems
KR100644691B1 (ko) 2005-04-15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된 무선 랜에서 프레임을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US7577438B2 (en) * 2005-04-25 2009-08-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ddressing and power savings in wireless systems
WO2007052143A2 (en) 2005-11-04 2007-05-10 Nokia Corporation Metho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node and apparatus for multicast and/or broadcast ackowledgements
TWI465085B (zh) * 2006-02-14 2014-12-11 Interdigital Tech Corp Wlan服務中提供可靠多播服務方法及系統
WO2007099436A2 (en) 2006-02-28 2007-09-07 Nokia Corporation Multicast group address signaling using mac header for power save delivery in a wireless network
WO2007122503A2 (en) 2006-04-24 2007-11-01 Nokia Corporation Reliable multicast/broadcast in a wireless network
JP2008160182A (ja) * 2006-12-20 2008-07-10 Toshiba Corp 無線通信機システムおよびその無線通信シーケンス
US7920497B2 (en) * 2007-08-15 2011-04-05 Hitachi,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st/broadcast reliability enhancement over wireless LANs
KR100935976B1 (ko) 2007-12-07 2010-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목적지 데이터 전송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8368B2 (en) 2011-11-24 2017-0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on basis of grouping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WO2013077690A1 (ko) * 2011-11-24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그룹핑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3085363A1 (ko) * 2011-12-09 201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577744B2 (en) 2011-12-09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ame in a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method
KR20140105427A (ko) * 2011-12-09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40105428A (ko) * 2011-12-09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30066542A (ko) * 2011-12-12 2013-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491700B2 (en) 2012-02-10 2016-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stations operating i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AN systems transmit and receive frame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KR20140114403A (ko) * 2012-02-10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스테이션에 의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40116369A (ko) * 2012-06-04 2014-10-02 주식회사 케이티 짧은 맥 헤더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짧은 맥 헤더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20130136407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케이티 짧은 맥 헤더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짧은 맥 헤더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20150031276A (ko) * 2012-06-14 2015-03-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텔레비젼 고처리율 통신
WO2014038846A1 (ko) * 2012-09-04 2014-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US9807797B2 (en) 2012-09-04 2017-10-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US10219298B2 (en) 2012-09-04 2019-02-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US10687357B2 (en) 2012-09-04 2020-06-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3129A2 (en) 2012-08-29
EP2493129A4 (en) 2016-06-08
WO2011049360A3 (ko) 2011-11-03
JP2013509075A (ja) 2013-03-07
CN102714620A (zh) 2012-10-03
US20120213184A1 (en) 2012-08-23
US9088873B2 (en) 2015-07-21
WO2011049360A2 (ko)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3497A (ko) 무선랜에서 그룹 주소 할당 방법, 복수 단말들과의 응답 요청 및 응답 프레임 전송방법, 상기 그룹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JP6695934B2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101363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an identifier of a basic service set
KR102157120B1 (ko)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
US11832313B2 (en) Wireless LAN system, wireless LAN base station, wireless LA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99429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uplink data in wireless LAN
JP2019080320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9083529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2349919B1 (ko)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단말
KR102230309B1 (ko) 상향 다중 사용자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
US92323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multi-user transmission
CN108028735B (zh) 无线网络中的复用消息传送
US20220338251A1 (en) Method for sharing multilink in next-generation wireless lan
KR102178127B1 (ko) 다중 사용자 상향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JP647490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71818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atial stream allocation in ul ofdma
CN106488580B (zh) 竞争接入方法、竞争接入装置、站点及竞争接入系统
WO2020075279A1 (ja) ユ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