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180A -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180A
KR20110043180A KR1020090100189A KR20090100189A KR20110043180A KR 20110043180 A KR20110043180 A KR 20110043180A KR 1020090100189 A KR1020090100189 A KR 1020090100189A KR 20090100189 A KR20090100189 A KR 20090100189A KR 20110043180 A KR20110043180 A KR 20110043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oice
voice data
data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824B1 (ko
Inventor
송진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8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IPTV에서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IPTV 재생과 무관하게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방송재생장치에서 재생하며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방송재생장치가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전화단말장치가 상기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고, 상기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IPTV, VoIP, 전화, 음질

Description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PHONE VOICE QUALITY IMPROVING SYSTEM AND PHONE VOICE QUALITY IMPROVING METHOD}
본 발명은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IPTV에서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IPTV 재생과 무관하게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과, 방송재생장치 및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과, 전화단말장치 및 전화단말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PTV (Internet Protocol TV)는 셋톱박스에 초고속인터넷을 연결해 TV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보거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방송에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의 IPTV는 초고속인터넷 및 VoIP 전화와 결합된 번들 형태로 상품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VoIP 서비스는 전화기와 같은 전화단말을 이용해서 전화를 송수신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더 나아가, IPTV가 대중화되면서 IPTV를 이용한 전화 서비 스도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IPTV 서비스 구성에서 TV에 마련된 대형 스피커를 활용할 수 있고, 마이크가 내장된 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므로, 굳이 전화단말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더라도 IPTV 서비스 구성 자체를 활용하여 전화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전화단말이 별도로 구비되어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황이든 IPTV 서비스 구성을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황이든,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근거리에 존재함에 따라 각각의 출력 음성으로 인해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는,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음성과 IPTV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의 소리가 함께 입력되어 상대방 통화자는 사용자의 전화 음성을 알아듣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IPTV 서비스 구성을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황에서 더욱 심각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종래의 대응 방식은, TV의 볼륨을 줄이거나 IPTV의 음성 출력을 묵음처리 (Mute) 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IPTV를 가족 등 전화 통화자 외에 다른 사람과 함께 시청하고 있는 경우 IPTV 시청을 할 수 없게 되어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IPTV 서비스 구성을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황 즉 IPTV의 내장된 음성 또는 화상 전화 기능을 사용할 경우, 통화 상대방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보면서 대화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 지속적으로 IPTV 음성 출력을 꺼놓는 것은 서비스에 막대한 지장을 준다. 왜냐하면 동일한 IPTV를 시청하면서 전화 기능을 사용할 경우 동일한 컨텐츠의 음성 신호가 본인의 IPTV 뿐 아니라 상 대방의 IPTV로부터도 전달되어 반향 (Echo) 현상이나 하울링(How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방송재생장치에서 재생하며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방송재생장치가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전화단말장치가 상기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고, 상기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IPTV에서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되어 상기 컨텐츠 재생 및 상기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의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상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상기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재생장치 및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IPTV에서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며,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방송재생장치;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전화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방송재생장치는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상기 방송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기 등록된 전화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사용자로부터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소정 전화단말장치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됨을 수신함에 따른 상기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전화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수행부; 및 상기 통화기능수행부에 의한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외부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상기 통화기능수행부로 전달하는 음성제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기능수행부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전화통화 기능이 개시됨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방송재생장치는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수행부; 상기 방송재생부에서 컨텐츠가 재생되고 상기 통화기능수행부에 의해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되면,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 및 상기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상기 통화기능수행부로 전달하는 음성제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의 음성파라미터를 분석/파악하여 음성파라미터를 상기 음성제거부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재생부는, 사용자에 의한 재생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제거부에 의한 컨텐츠음성 제거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방송재생장치에서 재생하는 단계;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방송재생장치가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전화단말장치가 상기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단말장치가 상기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재생 단계;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추출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소정 전화단말장치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됨을 수신함에 따른 상기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전화단말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되는 통화기능 개시 단계; 상기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외부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컨텐츠음성 제거단계; 및 상기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기능 개시 단계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전화통화 기능이 개시됨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재생단계;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되는 통화기능 개시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 및 상기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 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단계;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상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컨텐츠음성 제거단계; 및 상기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추출단계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의 음성파라미터를 분석/파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재생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제거부에 의한 컨텐츠음성 제거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음성으로 인해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상대방으로 송신할 음성에서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함으로써,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으로 통화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컨텐츠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며,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방송재생장치(200)와,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로 제공하는 전화단말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재생장치(200)는, IP기반으로 통신망(1)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수신하여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재생하는 IPTV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화단말장치(400)는, IP기반으로 통신망(1)에 접속하여 전화 서비 스를 이용하는 VoIP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고자 도 1을 언급하면, 전화 서비스를 위한 구성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포함하는 방송재생장치(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서비스서버(100)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동시 수행 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재생장치(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망(1)은, 방송재생장치(200,300), 방송서비스서버(100), 전화단말장치(400),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로서, 이동통신망과, 유선통신망, 유/무선 인터넷망, 모바일인터넷망, 전화망 등의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는, 방송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210)와,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방송재생부(210)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220)와,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230)를 포함한다.
방송재생부(210)는,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방송재생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채널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일반적인 방송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방송재생부(210)는 재생하는 컨텐츠의 채널정보(예 : 채널번호 등) 및 컨텐츠정보(예 : 장르정보, 제목정보, 유료방송컨텐츠 여부정보, 성인방송컨텐츠 여부정보 등)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데이터추출부(220)는,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방송재생부(2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추출부(220)는,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데이터추출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됨을 수신하는 경우를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전화통화 발생 선택 여부 또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 수신 여부를 데이터추출부(220)가 직접 판단하여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나, 별도의 판단부(미도시)가 전화통화 발생 선택 여부 또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여부를 인지한 결과를 데이터 추출부(220)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추출부(220)가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여부를 인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방송재생부(210)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통신망(1)을 통해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됨이 수신됨에 따라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데이터추출부(220)는 방송재생부(210)에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데이터추출부(220)는,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즉 현재 방송재생부(21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처럼, 컨텐츠로부터 특정 데이터(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데이터제공부(230)는, 데이터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제공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됨에 따른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고,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가 수신됨에 따른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해당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재생장치(200) 및 전화단말장치(400)가 홈 네트워킹을 통해 연계되는 댁 내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신망(1)은 방송재생장치(200) 및 전화단말장치(400)가 포함되는 홈 네트워크망을 포함하여 방송재생장치(200)는 홈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 개시됨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홈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410)와,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수행부(430)와, 통화기능수행부(430)에 의한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외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통화기능수행부(430)로 전달하는 음성제거부(420)를 포함한다.
마이크(410)는, 전화단말장치(400)의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은 기능부로써,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은 음성데이터로서 통화기능수행부(430) 또는 음성제거부(420)로 제공된다.
음성제거부(420)는, 통화기능수행부(430)에 의한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외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고,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통화기능수행부(430)로 전달한다.
즉, 음성제거부(420)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파악되는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제거부(420)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파악함으로써,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고, 또는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에 기 분석/파악된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가 포함되어 있고 음성제거부(420)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에 포함된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음성데이터에서 특정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특정 음성(예 :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음성 분리/제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음성제거부(420)는, 통화기능수행부(430)에 의한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에 따른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통화기능수행부(430)는,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화기능수행부(430)는, 사용자에 의해 전화 발신 시도 시 또는 전화 착신 시,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통화기능수행부(430)는, 음성전화 뿐 아니라 화상전화 기능을 더 가짐으로써,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및 촬영된 화상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화상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통화기능수행부(430)는, 전화통화(음성 또는 화상) 기능 수행 시 통신망(1)을 통해 자신 즉 전화단말장치(100)과 연관된(기 등록된) 해당 방송재생장치(200)로 전화통화 기능이 개시됨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통화기능수행부(430)는, 일반적인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에는 마이크(41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 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고, 금번 전화통화 기능 수행에 대응하여 방송재생장치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될 시에는 음성제거부(42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재생장치(200)에서 방송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방송재생장치(200)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여 전화단말장치(400)가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컨텐츠음성)에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함으로써, 전화단말장치(400)가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로 통화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재생장치(200)에서 방송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즉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방송재생장치(200)에서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 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방송재생장치(200)의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310)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330)와,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수행부(350)와, 방송재생부(310)에서 컨텐츠가 재생되고 통화기능수행부(350)에 의해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되면,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320)와,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데이터추출부(3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통화기능수행부(350)로 전달하는 음성제거부(340)를 포함한다.
즉, 방송재생장치(300)는,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재생부(310)는,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방송재생부(3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채널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일반적인 방송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방송재생장치(300)에서는 컨텐츠영상이 출력되고 컨텐츠음성이 출력될 것이다.
마이크(330)는, 방송재생장치(300)의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은 기능부로써,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은 음성데이터로서 통화기능수행부(350) 또는 음성제거부(340)로 제공된다.
데이터추출부(320)는, 방송재생부(310)에서 컨텐츠가 재생되고 통화기능수행부(350)에 의해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되면, 방송재생부(3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추출부(320)는, 방송재생부(310)에서의 컨텐츠 재생 및 통화기능수행부(350)에서의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이에,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데이터추출부(320)는, 방송재생부(310)에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데이터추출부(320)는,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즉 현재 방송재생부(31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처럼, 컨텐츠로부터 특정 데이터(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음성제거부(340)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데이터추출부(3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고,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통화기능수행부(35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음성제거부(340)는, 데이터추출부(3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 를 분석하여 파악되는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추출부(320)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로부터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파악하여, 컨텐츠음성데이터의 파악된 음성파라미터를 음성제거부(34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음성제거부(340)가 데이터추출부(32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직접 파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음성제거부(340)는, 금번 전화통화 기능 수행에 대응하여 데이터추출부(3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데이터에서 특정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특정 음성(예 :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음성 분리/제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음성제거부(340)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에 따른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통화기능수행부(350)는,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 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화기능수행부(350)는, 사용자에 의해 전화 발신 시도 시 또는 전화 착신 시,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통화기능수행부(350)는, 음성전화 뿐 아니라 화상전화 기능을 더 가짐으로써,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및 촬영된 화상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화상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통화기능수행부(350)는, 일반적인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에는 마이크(33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고,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음성제거부(34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방송재생부(310)는, 방송재생장치(300)의 사용자에 의한 재생선택에 따라,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제거부(340)에 의한 컨텐츠음성 제거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부(3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컨텐츠음성재생이 선택된 경우 금번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재생장치(300)에서 컨텐츠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화음성재생이 선택된 경우 음성제거부(34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재생장치(3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음성을 뮤트(Mute)시키고 방송재생장치(300)를 이용하는 통화자의 통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일체형으로 포함하여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재생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컨텐츠음성)에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함으로써,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로 통화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컨텐츠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S10)를 수신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방송재생장치(200)에서 재생한다(S20). 이에 방송재생장치(200)에서는 컨텐츠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컨텐츠음성이 출력될 것이다.
한편, 방송재생장치(200)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예 : 전화 발신 시도 또는 전화 착신 응답 등)이 선택된다(S30).
이에, 방송서비스서버(100)는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0),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S50)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한다(S55).
전화단말장치(400)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금번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다(S60).
그리고, 전화단말장치(400)는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로 제공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통화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S70,S80),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에서는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통화데이터가 출력될 것이고(S90), 전화단말장치(400)에서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에 따른 수신된 통화데이터가 출력될 것이다(S95).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방송을 재생한다(S100). 이에 방송재생장치(200)에서는 컨텐츠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컨텐츠음성이 출력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S11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됨을 수신하는 경우를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통신망(1)을 통해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됨이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S120).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즉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처럼, 컨텐츠로부터 특정 데이터(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한다(S130).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됨에 따른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고,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가 수신됨에 따른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해당 전화단 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금번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에 따른 해당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자신 즉 방송재생장치(200)의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40), 어느 하나도 종료되지 않으면 전술의 S120~S130단계를 반복하고, 어느 하나가 종료되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예 : 전화 발신 시도 또는 전화 착신 응답 등)에 따라 전화통화 기능 수행을 개시한다(S20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전화통화(음성 또는 화상) 기능 수행 시 통신망(1)을 통해 자신 즉 전화단말장치(100)과 연관된(기 등록된) 해당 방송재생장치(200)로 전화통화 기능이 개시됨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S21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외부의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다(S230).
즉,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파악되는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파악함으로써,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고, 또는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에 기 분석/파악된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가 포함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에 포함된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음성데이터에서 특정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특정 음성(예 :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음성 분리/제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 술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에 따른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S230단계에 의해 처리된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S24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S220단계에서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일반적인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마이크(41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200)에서 방송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방송재생장치(200)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여 전화단말장치(400)가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컨텐츠음성)에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 을 제거함으로써, 전화단말장치(400)가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로 통화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200)에서 방송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즉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방송재생장치(200)에서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방송재생장치(200)의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방송을 재생한다(S300). 이에 방송재생장치(300)에서는 컨텐츠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컨텐츠음성이 출력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예 : 전화 발신 시도 또는 전화 착신 응답 등)에 따라 전화통화 기능 수행을 개시한다(S3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S320).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S330).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즉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처럼, 컨텐츠로부터 특정 데이터(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파악한다(S34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파악되는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다(S350).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금번 전화통화 기능 수행에 대응하여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데이터에서 특정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특정 음성(예 :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음성 분리/제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S350단계에 의해 처리된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S36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300)의 사용자에 의한 재생선택에 따라,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컨텐츠음성 제거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70~S385). 즉,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컨텐츠음성재생이 선택된 경우(①) 금번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재생장치(300)에서 컨텐츠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S38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화음성재생이 선택된 경우(②) S350단계에 의해 처리된 음 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재생장치(3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음성을 뮤트(Mute)시키고 방송재생장치(300)를 이용하는 통화자의 통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S385).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금번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됨에 따른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거나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여부를 판단하여(S390), 어느 하나도 종료되지 않으면 전술의 S330~S385단계를 반복하고, 어느 하나가 종료되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S320단계에서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지 않고 어느 하나의 단일 동작을 수행한다면, 일반적인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마이크(33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S32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일체형으로 포함하여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재생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컨텐츠음성)에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함으로써,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로 통화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컨텐츠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음성으로 인해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상대방으로 송신할 음성에서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송신함으로써, 컨텐츠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을 적용할 경우, 방송시청 환경 및 전화 서비스 환경 개선, 사용자의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전화단말장치, 방송재생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망
10 : 상대방 전화단말장치
100 : 방송서비스서버
200,300 : 방송재생장치
400 : 전화단말장치

Claims (16)

  1.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며,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방송재생장치;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전화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2.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상기 방송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사용자로부터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소정 전화단말장치로부터 전 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됨을 수신함에 따른 상기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
  4.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수행부; 및
    상기 통화기능수행부에 의한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외부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상기 통화기능수행부로 전달하는 음성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기능수행부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전화통화 기능이 개시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
  6.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수행부;
    상기 방송재생부에서 컨텐츠가 재생되고 상기 통화기능수행부에 의해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되면,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 및 상기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상기 통화기능수행부로 전달하는 음성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의 음성파라미터를 분석/파악하여 음성파라미터를 상기 음성제거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재생부는,
    사용자에 의한 재생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제거부에 의한 컨텐츠음성 제거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
  9.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방송재생장치에서 재생하는 단계;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방송재생장치가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전화단말장치가 상기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단말장치가 상기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10.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재생단계;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소정 전화단말장치로부터 전 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됨을 수신함에 따른 상기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
  12.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되는 통화기능 개시 단계;
    상기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외부 방송재생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컨텐츠음성 제거단계; 및
    상기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기능 개시 단계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전화통화 기능이 개시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
  14. 방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재생단계;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되는 통화기능 개시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 및 상기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 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단계;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상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컨텐츠음성 제거단계; 및
    상기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단계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의 음성파라미터를 분석/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재생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제거부에 의한 컨텐츠음성 제거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KR1020090100189A 2009-10-21 2009-10-21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KR10162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189A KR101627824B1 (ko) 2009-10-21 2009-10-21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189A KR101627824B1 (ko) 2009-10-21 2009-10-21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180A true KR20110043180A (ko) 2011-04-27
KR101627824B1 KR101627824B1 (ko) 2016-06-07

Family

ID=4404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189A KR101627824B1 (ko) 2009-10-21 2009-10-21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8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5150A (ko) * 2004-06-02 2007-02-0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5150A (ko) * 2004-06-02 2007-02-0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824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3938B2 (en) Method of audio-visual communication using a television and television using the same
US106022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op box base station integration
US9621849B2 (e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with audio and video calling
EP2482612B1 (en) Method, application server and system for privacy protection in video call
US20100263015A1 (en) Wireless Interface for Set Top Box
EP2704340B1 (en) Time-shifting distribution of high definition audio data
CN113470668B (zh) 显示设备及调节蓝牙a2dp编码设置的方法
CN107621933B (zh) 一种音频播放方法和装置和相关介质产品
CN110381215B (zh) 音频分流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US20130148582A1 (en) Message inj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00118936A (ko) 음성 통화 중 인스턴트 오더블을 확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248347B (zh) 通话异常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9088812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KR20070059808A (ko) 셋톱박스에서의 영상 전화 연결 장치 및 방법
EP2704453A2 (en) High definition audio distribution system
JP2012138772A (ja) 機器情報通信方法、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627824B1 (ko)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 및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
US20050162507A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of internet protocol phone
US20160182935A1 (en) Method to control the rendering of a media content upon detection of a phone call
US2009027152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n-Demand Recording Of A Communication Session
EP1892961A1 (en) Method of audio-visual communication using a television and television using the same
JP5417502B2 (ja) 機器情報通信方法、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4987108B2 (ja) 携帯電話機
JP2008099121A (ja) 携帯電話機及びプログラム
US20080159269A1 (en) Internet telephone set with additional function to reproduce sound differing from sound based on general internet telephone, and internet telephone system including such internet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