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817A -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817A
KR20110041817A KR1020090098816A KR20090098816A KR20110041817A KR 20110041817 A KR20110041817 A KR 20110041817A KR 1020090098816 A KR1020090098816 A KR 1020090098816A KR 20090098816 A KR20090098816 A KR 20090098816A KR 20110041817 A KR20110041817 A KR 20110041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region
area
function selec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혜진
이재경
김규승
이건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817A/ko
Publication of KR2011004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부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 인터페이스부는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화면 영역에 포함된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화면 영역에 포함된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한다.
채널 목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멀티채널

Description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A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 channel list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은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고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송 수신기는 방송사에서 제작하는 컨텐츠(content)를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 등의 전파 전달 매체를 통해서 송출하고, 사용자는 상기 각 전달 매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통해 시청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방송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나 유선 케이블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수신기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는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광케이블 망, 동축 케이블 망, FTTH(Fiber To The Home), 전화망, 무선망 등 여러 종류의 망 상에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의 경우, 일반 지상파방송 등과 달리, 양방향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편리한 시간에 자신이 보고 싶은 컨텐츠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채널 목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현재 방송중인 다수의 채널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채널 목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단계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채널 목록은 선호 채널 목록 및 최근 시청 채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단계에서, 상기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입력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선택영역은 기능 선택 명령에 따라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거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것으로 토글(Toggle)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채널 화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을 포함하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에 포함된 멀티채널 버튼이 드래그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식 채널 화면 영역은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화면은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버튼이 드래그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영역은 상기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이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드래그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하나의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목록은 선호 채널 목록 및 최근 시청 채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입 력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선택영역은 기능 선택 명령에 따라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거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것으로 토글(Toggle)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채널 화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을 포함하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에 포함된 멀티채널 버튼이 드래그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식 채널 화면 영역은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화면은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버튼이 드래그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영역은 상기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이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드래그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하나의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하면, 채널 목록을 구성하는 과정을 간소화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채널 목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현재 방송중인 다수의 채널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채널 목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성하는 각 블록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영상/음성 처리부(101), 인터페이스부(150), 사용자 입력부(155), 저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음성출력부(175)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디스플레이부(170) 및 음성출력부(175)로 영상 또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신호 입력부(110), 복조부(120), 신호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튜너부(111), A/V 입력부(112), USB 입력부(113), 무선신호 입력부(114), 네트워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 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는 신호처리부(14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 튜너부는 제1튜너부와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2튜너부는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튜너부는 주기적으로 모든 방송 채널의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제1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방송 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제2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여러 채널의 영상을 섬네일(thumbnail)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튜너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제2튜너부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40)는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75)로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튜너부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수의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 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연결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신호처리부(140)로 입력한다.
신호 입력부(110)의 A/V 입력부(112)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 없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USB 입력부(113)는, USB 단자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무선신호 입력부(114)외에도, 이더넷(Ethernet) 단자를 통하거나, 혹은 신호 입력부(110)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연결 및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네트워크부(미도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PSTN, LAN, CABLE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입력부(11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 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 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전파매체를 통한 방송신호, 외부입력장치에 의한 신호 이외에도,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일예로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 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출력부(175)로 음성 출력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200)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 상에 메뉴 및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제어장치(200)는 공간 리모컨일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신호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저장부(1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로 입력한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선택한 채널이 신호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튜너부(111)를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처리되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신호 입력부(110)의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140)를 통하여 처리되고 디스플레이부(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 외에도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형성된 사용자 입력부(155)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55)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 온/오프 명령, 채널 변경명령, 볼륨 변경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5)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형성된 버튼이나 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55)의 조작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포인터(202)의 이동 속도나 이동 방향은, 공간 리모컨(201)의 이동 속도나 이동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포인터(202)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공간 리모컨(201)이 앞뒤로 이동할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표시되는 그래픽이 드래그될 수 있다.
한편, 포인터(202)가 메뉴(도 2 및 도 3에서 'a' 로 표시)의 특정 영역 내에서만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거나, 정지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기능(function)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과 메뉴를 대응시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키고 리모컨 이용하는 절차를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뉴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어서,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의 위치에 따라,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 및 인터페이스부의 내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간 리모컨(201)은,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그리고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 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한다. 또한, 공간 리모컨(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공간 리모컨(201)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리모컨(20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한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공간 리모컨(201)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push) 동작을 통하여, 공간 리모컨(201)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공간 리모컨(201)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가 있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공간 리모컨(201)의 이동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가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 리모컨(20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 리모컨(20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 리모컨(2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공간 리모컨(20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공간 리모컨(201)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공간 리모컨(201)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공간 리모컨(201)의 제어부(280)는, 공간 리모컨(201)과 페어링(paring)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공간 리모컨(20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공간 리모컨(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51)와, 좌표값 산출부(154), 디스플레이 모듈(155), 판단 모듈(156), 그리고 제어 모듈(157)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151)는 RF 모듈(152) 및 IR 모듈(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52)을 통해 공간 리모컨(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53)을 통해 공간 리모컨(20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5)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무선 통신부(151) 또는 수신 모듈(미도시)은, 공간 리모컨(201)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한다.
판단 모듈(156)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157)은,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기능 중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어 있는 특정 기능이 활성화(activation) 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모듈(155)은, 상기 컨트롤 영역 및 상기 컨트롤 영역과 대응되어 있는 각 기능에 대한 요약 설명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판단 모듈(156)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만 소정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 경우로 간주할 수가 있다. 또는, 상기 판단 모듈(156)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 위치한 상황에서, 특정 버튼 신호(예컨대, '확인' 버튼 신호)가 인가된 경우를,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 경우로 간주할 수가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은, 채널 번호, 오디오의 크기, 장르 설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공간 리모컨 및 메뉴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의 수많은 채널의 선택, 편집 및 다양한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컨트롤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좌표값 산출부(154)는, 무선 통신 부(151)를 통해 수신된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 떨림으로 인한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 y)을 산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입력된 공간 리모컨(201)의 전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공간 리모컨(20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은 공간 리모컨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 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이용하여 선호 채널 목록을 편집하기 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화면에 멀티채널 화면 영역(600)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멀티채널 화면 영역(600)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7, 8, 9, 11, 13, 21, 22, 24, 31, 32)을 지시하는 채널영역(610, 612, 614, 616, 618, 620, 622, 624, 626, 628)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6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채널영역(610, 612, 614, 616, 618, 620, 622, 624, 626, 628)은 채널영역(610, 612, 614, 616, 618, 620, 622, 624, 626, 628)이 지시하는 채널(7, 8, 9, 11, 13, 21, 22, 24, 31, 32)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섬네일은 제2튜너부를 통해 채널(56)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서비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즉 제2튜너부는 채널(7, 8, 9, 11, 13, 21, 22, 24, 31, 32)들 사이를 일정 시간별로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각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제어부(180)는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섬네일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채널 목록 편집 중에 현재 채널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채널 목록은 선호 채널 목록 및 최근 시청 채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채널 화면 영역(600)은 선호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영(640), 최근 시청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선택영역은 기능 선택 명령에 따라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거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것으로 토글(Toggle)될 수 있다. 즉 기능선택영역(640)은 기능 선택 명령에 따라 선호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선호 채널 등록(640)에서 선호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선호 채널 해제(641)로 토글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선택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원격 제어 장치(200)가 공간 리모컨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공간 리모컨의 이동시켜 포인터(202)를 기능선택영역(640)으로 이동시키고, 기능선택영역(640)을 클릭하여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 제어 장치(200)가 일반 리모컨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 상의 핫키(fav)를 눌러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선택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원격 제어 장치(200)가 공간 리모컨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공간 리모컨의 이동시켜 포인터(202)를 채널영역(622)으로 이동시키고, 채널영역(622)을 클릭하여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 제어 장치(200)가 일반 리모컨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 상의 이동키를 눌러 채널영역(622)을 선택하고, 채널영역(622)이 선택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 상의 키(OK)를 눌러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기능 선택 명령을 한번 입력 후, 채널마다 한번의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하여 채널 목록에 해당 채널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선호 채널 등록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640)이 선택된 상태에서, 채널영역(622)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채널영역(622)이 지시하는 채널(22)을 선호 채널 목록에 입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선호 채널 목록에 등록된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을 다른 채널영역과 구별되게 하는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선호 채널 목록에 등록된 채널영역(616)은 다른 채널영역과 구별되게 하는 표시(617)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선호 채널 해제를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641)이 선택된 상태에서, 채널영역(622)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채널영역(622)이 지시하는 채널(22)을 선호 채널 목록에 제거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선호 채널 목록에서 제거된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에서 선호 채널 목록에 등록된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을 다른 채널영역과 구별되는 표시가 제거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이용하여 선호 채널 목록을 편집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화면에 멀티채널 화면 영역(700)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멀티채널 화면 영역(700)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7, 8, 9, 11, 13, 21, 22, 24, 31, 32)을 지시하는 채널영역(710, 712, 714, 716, 718, 720, 722, 724, 726, 728)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7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채널영역(710, 712, 714, 716, 718, 720, 722, 724, 726, 728)은 채널영역(710, 712, 714, 716, 718, 720, 722, 724, 726, 728)이 지시하는 채널(7, 8, 9, 11, 13, 21, 22, 24, 31, 32)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채널 목록 편집 중에 현재 채널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채널 목록은 선호 채널 목록 및 최근 시청 채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채널 화면 영역(700)은 선호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영(740), 최근 시청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선택영역은 기능 선택 명령에 따라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거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것으로 토글(Toggle)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선택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원격 제어 장치(200)가 공간 리모컨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공간 리모컨의 이동시켜 포인터(202)를 채널영역(722)으로 이동시키고, 채널영 역(622)을 클릭하여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 제어 장치(200)가 일반 리모컨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 상의 이동키를 눌러 채널영역(722)을 선택하고, 채널영역(722)이 선택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 상의 키(OK)를 눌러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선택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원격 제어 장치(200)가 공간 리모컨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공간 리모컨의 이동시켜 포인터(202)를 기능선택영역(740)으로 이동시키고, 기능선택영역(740)을 클릭하여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 제어 장치(200)가 일반 리모컨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 상의 핫키(fav)를 눌러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복수의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복수의 채널 선택 명령으로 선택된 각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채널영역(712) 및 채널영역(722)에 대한 채널 선택 명령이 각각 입력된 상태에서, 선호 채널 등록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740)에 대한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채널영역(712) 및 채널영역(722)을 선호 채널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채널 목록에 포함하고자 하는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을 한번씩만 선택한 후, 기능선택영역을 한번 클릭하여 선택한 채널을 입력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채널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복수의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복수의 채널 선택 명령으로 선택된 각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일예로, 채널영역(714) 및 채널영역(722)에 대한 채널 선택 명령이 각각 입력된 상태에서, 선호 채널 해제를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740)에 대한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채널영역(714) 및 채널영역(722)을 선호 채널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채널 목록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을 한번씩만 선택한 후, 기능선택영역을 한번 클릭하여 선택한 채널들을 채널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채널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이용하여 선호 채널 목록을 편집하기 위한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화면에 멀티채널 화면 영역(800)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멀티채널 화면 영역(800)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7, 8, 9, 11, 13, 21, 22, 24, 31, 32, 56, 58, 211, 213, 215)을 지시하는 채널영역(810, 812, 814, 816, 818, 820, 822, 824, 826, 828, 830, 832, 834, 836, 838),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840) 및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8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채널영역(810, 812, 814, 816, 818, 820, 822, 824, 826, 828, 830, 832, 834, 836, 838)은 채널영역(810, 812, 814, 816, 818, 820, 822, 824, 826, 828, 830, 832, 834, 836, 838)이 지시하는 채널(7, 8, 9, 11, 13, 21, 22, 24, 31, 32, 56, 58, 211, 213, 215)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채널 목록 편집 중에 현재 채널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채널 목록은 선호 채널 목록 및 최근 시청 채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채널 화면 영역(800)은 선호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영(840), 최근 시청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선택영역은 기능 선택 명령에 따라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거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것으로 토글(Toggle)될 수 있다.
또한 채널영역(810, 812, 814, 816, 818, 820, 822, 824, 826, 828, 830, 832, 834, 836, 838)은 포인터(202)의 이동에 따라 드래그(Drag) 및 드롭(Drop)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포인터(202)를 이동시켜 포인터(202)의 이동에 따라 채널영역(810, 812, 814, 816, 818, 820, 822, 824, 826, 828, 830, 832, 834, 836, 838)이 드래그 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장치(200)로 공간 리모컨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채널영역(810, 812, 814, 816, 818, 820, 822, 824, 826, 828, 830, 832, 834, 836, 838) 중 하나의 채널영역이 기능선택영역(840)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으로 드래그 된 경우에는, 드래그 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하나의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드래그 된 채널영역이 소정의 시간동안 기능선택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위치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드래그 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드래그 된 채널영역이 기능선택영역에서 드롭 된 경우에 해당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드래그 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에서 채널영역(822)이 포인터(202)의 이동에 따라 드래그(Drag)될 수 있도록 선택되고, 도 9에서 채널영역(822)이 포인터(202)의 이동에 따라 드래그(Drag)되어 도 8의 채널영역(830)의 위치로 이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영역(810, 812, 814, 816, 818, 820, 822, 824, 826, 828, 830, 832, 834, 836, 838)을 드래그 시에, 포인터(202)의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채널영역(822)이 선호 채널 등록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840)으로 포인터(202)의 이동에 따라 드래그 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채널영역(822)이 지시하는 채널(22)을 선호 채널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채널(22)이 선호 채널 목록에 포함됐다는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10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채널영역(822)이 선호 채널 해제를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850)으로 포인터(202)에 따라 드래그 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호 채널 목록에서 채널영역(822)이 지시하는 채널(22)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채널(22)이 선호 채널 목록에서 제거됐다는 메시지(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드래그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포인터(202)만이 선호 채널 등록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84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경고(선호채널 등록을 원하는 채널을 끌어놓으세요)를 지시하는 메시지(12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채널 목록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 메뉴를 디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50)는 채널 정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정렬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핫키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사용자가 채널 정렬 영역(860)을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클릭한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채널 정렬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채널 정렬 메뉴(1310)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정렬 메뉴(1310)는 채널변경영역(1312), 선호채널영역(1314), 최근시청채널영역(1316) 및 닫기 영역(1318)을 포 함할 수 있다. 채널변경영역(1312)이 원격 제어 장치(20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5)를 통해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채널맵의 채널을 정렬한다. 또한 선호채널영역(1314)이 원격 제어 장치(20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5)를 통해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호 채널 목록을 정렬한다. 또한 최근시청채널영역(1316)이 원격 제어 장치(20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5)를 통해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최근 신청 채널 목록을 정렬한다. 그리고 닫기 영역(1318)이 원격 제어 장치(20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5)를 통해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채널 정렬 메뉴(1310)가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도 14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멀티채널 버튼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1410) 및 멀티채널 버튼(1420)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멀티채널 버튼(1420)은 방송 서비스 영역(1410)이 풀 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멀티채널 버튼(1420)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청이 입력된 경우에, 방송 서비스 영역(1410)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채널 버튼(1420)이 포인터(202)로 드래그 된 경우에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5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약식 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은 도 14에 도시된 멀티채널 버튼(1420)이 포인터(202)로 드래그 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채널 버튼(1420)이 사전의 설정된 거리 범위 이상으로 드래그 된 경우에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1531, 1533, 1535, 1537, 1539)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영역(1531, 1533, 1535, 1537, 1539)은 채널영역(1531, 1533, 1535, 1537, 1539)이 지시하는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은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1410)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방송을 시청하면서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을 이용하여 특정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서, 채널영역(1531)이 방송 서비스 영역(1410)으로 드래그 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방송 서비스 영역(1410)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을 채널영역(1531)이 지시하는 채널로 채널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채널영역(1531)이 위젯 형식으로 방송 서비스 영역(1410)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이 사라진 후에도 계속 남아 채널(56)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섬네일은 제2튜너부를 통해 채널(56)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서비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멀티채널 화면 영역은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에 포함된 멀티채널 버튼(1421)이 드래그 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에 포함된 멀티채널 버튼(1421)이 드래그 된 경우에 멀티채널 화면 영 역(600, 700, 8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에 포함된 멀티채널 버튼(1422)이 드래그 된 경우에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이 사라지고 도 14의 화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1410) 및 멀티채널 버튼(1420)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600).
제어부(180)는 멀티채널 버튼(1420)이 드래그되었는 지 확인한다(S1605).멀티채널 버튼(1420)이 드래그 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멀티채널 버튼(1420)의 드래그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지 확인한다(S1610). 드래그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0)는 방송 서비스 영역(1410) 및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을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다(S1615).
제어부(180)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에 포함된 채널영역(1531)이 방송 서비스 영역(1410)으로 드래그되었는지 확인한다(S1620). 채널영역(1531)이 방송 서비스 영역(1410)으로 드래그 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방송 서비스 영역(1410)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을 채널영역(1531)이 지시하는 채널(56)로 채널전환되도록 제어한다(S1625).
제어부(180)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에 포함된 채널영역(1533)이 위젯 형식으로 방송 서비스 영역(1410)으로 이동되었지 확인한다(S1630). 채널영 역(1533)이 위젯 형식으로 방송 서비스 영역(1410)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이 사라진 후에도 계속 남아 채널(58)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635).
제어부(180)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에 포함된 멀티채널 버튼(1421)이 드래그되었는지 확인한다(S1640). 약식 채널 화면 영역(1530)에 포함된 멀티채널 버튼(1421)이 드래그 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600, 700, 800)을 디스플레이한다(S1645).
멀티채널 버튼(1420)이 사전의 설정된 거리 범위 이상으로 드래그 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단계 S1645 수행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화면에 멀티채널 화면 영역(600)을 디스플레이한다(S1700).
제어부(180)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600)에 포함된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S1710).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600)에 포함된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S1720).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지 확인한다(S1730).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한다(S1740).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지 확인한다(S1750).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서 제거한다(S1760).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화면에 멀티채널 화면 영역(700)을 디스플레이한다(S1800).
제어부(180)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700)에 포함된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S1810).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80)는 선택된 채널영역에 선택을 지시하는 표시를 디스플레이한다(S1820).
제어부(180)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700)에 포함된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S1830).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지 확인한다(S1840).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한다(S1850).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지 확인한다(S1860).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서 제거한다(S1870).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화면에 멀티채널 화면 영역(800)을 디스플레이한다(S1900). 제어부(180)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800)에 포함된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이 드래그되었는지 확인한다(S1910). 상기 하나의 채널영역이 드래그 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상기 채널영역이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으로 드래그되었는지 확인한다(S1920).
상기 채널영역이 상기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으로 드래그 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0)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930). 여기서 경고 메시지는 “선호채널 등록을 원하는 채널을 끌어놓으세요”라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채널영역이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으로 드래그 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지 확인한다(S1940).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한다(S1950).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지 확인한다(S1960).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서 제거한다(S197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성하는 각 블록 등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 및 인터페이스부의 내부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이용하여 선호 채널 목록을 편집하기 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이용하여 선호 채널 목록을 편집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이용하여 선호 채널 목록을 편집하기 위한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채널 목록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 메뉴를 디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멀티채널 버튼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약식 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 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목록은 선호 채널 목록 및 최근 시청 채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단계에서,
    상기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입력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영역은 기능 선택 명령에 따라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거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것으로 토글(Toggl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화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을 포함하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에 포함된 멀티채널 버튼이 드래그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약식 채널 화면 영역은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화면은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버튼이 드래그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영역은 상기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이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 영역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드래그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하나의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목록은 선호 채널 목록 및 최근 시청 채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입력된 채널 선 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영역은 기능 선택 명령에 따라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거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것으로 토글(Toggl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이 채널 목록의 해제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선택된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화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을 포함하는 약식 채널 화면 영역에 포함된 멀티채널 버튼이 드래그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약식 채널 화면 영역은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화면은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멀티채널 버튼이 드래그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영역은 상기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서비스의 섬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0.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영역 및 채널 목록의 구성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기능선택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채널영역 중 하나의 채널영역이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하나의 기능선택영역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드래그된 채널영역이 지시하는 채널을 상기 하나의 기능선택영역과 연관된 채널 목록에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20090098816A 2009-10-16 2009-10-16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41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16A KR20110041817A (ko) 2009-10-16 2009-10-16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16A KR20110041817A (ko) 2009-10-16 2009-10-16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17A true KR20110041817A (ko) 2011-04-22

Family

ID=4404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816A KR20110041817A (ko) 2009-10-16 2009-10-16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18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511A (ko) * 2013-04-03 201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20140142589A (ko) * 2013-06-04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511A (ko) * 2013-04-03 201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20140142589A (ko) * 2013-06-04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69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23729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008190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EP2290956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3972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00128962A (ko)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KR2011002632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46833A (ko) Tv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7297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65935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0864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4060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20110041817A (ko) 채널 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2680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7298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0620B1 (ko) 싱크 디바이스, 소스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10163853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80352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osd 표시 방법
KR2011002412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10398B1 (ko) Usb저장장치의 제거 및 재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58883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8822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7298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12958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015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