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691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691A
KR20110041691A KR1020090098639A KR20090098639A KR20110041691A KR 20110041691 A KR20110041691 A KR 20110041691A KR 1020090098639 A KR1020090098639 A KR 1020090098639A KR 20090098639 A KR20090098639 A KR 20090098639A KR 20110041691 A KR20110041691 A KR 2011004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riable filter
filter
discharge port
pollution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691A/ko
Publication of KR2011004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변 필터,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를 수신하고 그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필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도가 높은 경우 종래의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구에서 추가로 필터링함으로써 공기 정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변 필터, 토출구, 오염도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미세한 먼지를 집진하거나 필터링하고 악취를 탈취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다. 공기 청정기(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면 커버(16)에 형성된 조작부(18)의 버튼을 조작하여 청정 기능을 작동시키면, 공기 청정기(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팬(미도시)이 회전을 시작하면서 전면 커버(12)에 형성된 흡입구(14)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10)의 내부로 흡입한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구(14) 뒤쪽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냄새가 필터링되고 깨끗한 공기로 정화된다. 이렇게 청정 공기로 변화한 공기는 팬의 회전력에 의해 토출구(20)를 통해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공기 청정기(10)에는 먼지 센서나 냄새 센서 등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고,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여 공기 오염도에 따라 토출되는 풍량 을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즉, 공기 오염도가 클수록 풍량을 높임으로써 신선한 공기를 다량으로 공급하여 공기가 정화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공기 오염도가 클수록 풍량을 증대하는 경우 소음이 증가하고 소비 전력이 상승하며 필터의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변 필터,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를 수신하고 그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필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변 필터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오염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변 필터가 상기 토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고, 오염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변 필터는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변 필터는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여재, 상기 필터 여재의 형상을 유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변 필터는 상기 토출구에 슬라이드 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도가 높은 경우 종래의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구 직전에서 추가로 필터링함으로써 공기 정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변 필터를 토출구에 배치하기 때문에, 송풍팬 등 공기 청정기 내부가 오염되더라도 가변 필터에 의해서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다. 또한, 가변 필터는 토출구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크기가 작고 가벼워서 구동이 용이하고 원가가 절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는 몸체부(120)와 필터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20)는 공기 청정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몸체부(120)의 전면에 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24)가 형성된 전면 커버(122)가 설치되고, 몸체부(120)의 상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6)가 형성된다.
몸체부(120)에는 다수의 필터들이 장착되는 필터 수용부(130)와, 회전력에 의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팬(132)이 설치되는 팬 수용부(134)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20)에는 먼지 센서나 냄새 센서 등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부착되어 공기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오염도 감지 센서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오염도 감지 센서는 먼저 센서나 냄새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필터부(140)는 다수의 필터를 구비하며, 흡입된 실내 공기는 필터부(14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필터부(140)는 프리 필터(142), 미디엄 필터(144), 활성탄 필터(146), 및 헤파 필터(148)를 구비할 수 있다.
프리 필터(142)는 항균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먼지, 곰팡이, 머리카락, 애완 동물의 털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미디엄 필터(144)는 항균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중간 크기의 먼지, 애완 동물의 털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프리 필터(142)와 미디엄 필터(144)는 상기한 필터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필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프리 필터(142)와 미디엄 필터(144) 중 적어도 하나는 황사 필터, 유아 전용 필터, 새집 전용 필터, 헌집 전용 필터 등 기능성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활성탄 필터(146)는 석탄이나 야자각의 탈취 필터로 담배 연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 기타 악취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헤파 필터(148)는 유입되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해로운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 곰팡이 등과 같은 유해 물질과 미립자 0.3 마이크론 크기의 오염 먼지를 99%까지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송풍팬(132)은 시로코팬(다익팬)을 적용한 원심형 송풍기를 사용하며, 공기가 전방의 흡입구(124)로 흡입되어 상방의 토출구(126)로 토출되게 한다.
토출구(126)에는 토출 그릴(127)이 설치된다. 토출 그릴(127)은 촘촘한 격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유아의 손가락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전하는 송풍팬(132)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가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토출구(126)에는 또한 가변 필터(160)가 설치된다. 가변 필터(160)는 토출 그릴(127)의 하방에서 토출구(126)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변 필터(160)는 토출구(126)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위치와 토출구(126)를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가변 필터(16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변 필터(160)는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여재(162), 필터 여재(162)의 형상을 유지하는 프레임(164), 프레임(164)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166), 및 회전축(166)을 구동하는 모터(16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모터(168)가 구동하면 회전축(166)이 회전하고 가변 필터(160)가 선회할 수 있다. 모터(16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에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필터 여재(162)는 항균 필터, 헤파 필터, 기타 기능성 필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a는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서와 같이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가변 필터(160)는 토출구(12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 중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도 5b에서와 같이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토출구(126)를 통과하는 공기는 필터링되지 않고 외부로 토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공기 청정기(100)가 자동 모드인지 수동 모드인지를 확인하고, 수동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변 필터(160)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고,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오염도 감지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가변 필터(160)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도록 절차를 개시한다.
제어부는 오염도 감지 센서로부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수신하는데, 오염도가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는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모터(168)를 구동한다. 오염도가 높지 않으므로, 송풍팬(132)의 상류측에 설치된 종래의 필터부(140)에 의해 실내 공기의 정화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오염도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모터(168)를 구동한다. 가변 필터(160) 가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토출구(126)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변 필터(160)에 의해 한번 더 필터링된다.
오염도가 높은 경우 종래의 필터부(140)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구(126) 직전에서 추가로 필터링함으로써 공기 정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변 필터(160)를 토출구(126) 직전에 배치하기 때문에, 송풍팬(132) 등 공기 청정기 내부가 오염되더라도 가변 필터(160)에 의해서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다. 또한, 가변 필터(160)는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크기가 작고 가벼워서 구동이 용이하고 원가가 절감된다.
한편, 기준값은 공기 청정기의 성능이나 공기 청정기가 배치되는 공간의 상태, 용도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공기 청정기가 자동 모드인 경우, 오염도가 소정의 기준값 미만이면, 제어부는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모터(168)를 구동하고, 송풍팬(132)의 회전 속도를 "저"로 설정하여 풍량을 감소시킨다.
오염도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이면, 제어부는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모터(168)를 구동하고, 송풍팬(132)의 회전 속도를 "고"로 설정하여 풍량을 증대시킨다.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토출구(126)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변 필터(160)에 의해 한번 더 필터링되지만, 가변 필터(160)의 저항에 의해 공기 유량이 적어지므로 원활한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32)의 회전 속도를 높임으로써 필터링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가변 필터(160)가 토출구(126)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변 필터(16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하는 등 토출구(126)에 대해 이동가능한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가변 필터가 토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가변 필터가 토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4 흡입구 126 토출구
160 가변 필터 162 필터 여재
164 프레임 166 회전축
168 모터

Claims (6)

  1.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24)와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26),
    상기 토출구(126)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토출구(126)를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변 필터(160),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를 수신하고 그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필터(16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변 필터(160)가 상기 토출구(126)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오염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변 필터(160)가 상기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고, 오염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필터(160)는 상기 토출구(126)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변 필터(160)는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여재(162), 상기 필터 여재(162)의 형상을 유지하는 프레임(164), 상기 프레임(164)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166), 및 상기 회전축(166)을 구동하는 모터(1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필터(160)는 상기 토출구(126)에 슬라이드 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090098639A 2009-10-16 2009-10-16 공기 청정기 KR20110041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639A KR20110041691A (ko) 2009-10-16 2009-10-16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639A KR20110041691A (ko) 2009-10-16 2009-10-16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691A true KR20110041691A (ko) 2011-04-22

Family

ID=4404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639A KR20110041691A (ko) 2009-10-16 2009-10-16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16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47135A2 (ja) 空気清浄機
JP5800652B2 (ja) 空気清浄機
KR10124949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00089605A (ko) 공기 청정기의 필터의 교환 시기 산정 방법
JP2016099090A (ja) 空気調和機
KR101158576B1 (ko) 공기청정기
JP6725213B2 (ja) 空気清浄機
KR101765663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방법
JP2005016841A (ja) 空気清浄機
KR101647641B1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076957B1 (ko) 공기청정기
KR20100019824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TW201314140A (zh) 空氣清淨機
KR20110041692A (ko) 공기 청정기
JP2004069157A (ja) 空気清浄機
KR20200000159U (ko) 정화 기능을 구비한 기류팬
JP5800617B2 (ja) 空気清浄機
JP4201956B2 (ja) 空気清浄機
KR20110041691A (ko) 공기 청정기
JP7109109B2 (ja) 空気清浄装置
WO2020079789A1 (ja) 空気清浄装置
KR20100089604A (ko) 공기 청정기
JP2013070791A (ja) 空気清浄機
KR101157669B1 (ko) 공기청정기
KR102414699B1 (ko) 복합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