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622A -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622A
KR20110041622A KR1020090098535A KR20090098535A KR20110041622A KR 20110041622 A KR20110041622 A KR 20110041622A KR 1020090098535 A KR1020090098535 A KR 1020090098535A KR 20090098535 A KR20090098535 A KR 20090098535A KR 20110041622 A KR20110041622 A KR 2011004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antenna
light emitting
contac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348B1 (ko
Inventor
류진호
김현미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090098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3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g. LED, optocoup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9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electrical aspects, e.g. to voltage or current supply or stimuli or to electrical loa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1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ercu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과,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안테나와, 상기 유도 기전력을 정류하는 IC 칩과, Vcc 접점 및 GND 접점을 이용하여 상기 IC 칩으로부터 정류된 유도 전력을 공급받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콤비 카드; 및 상기 콤비 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카드 삽입구와, 상기 카드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콤비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정류된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검사 모듈;을 포함한다.
콤비 카드, 안테나, IC 칩, Vcc 접점, GND 접점

Description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PORTABLE APPARATUS FOR TEST CONNECTION OF ANTENNA OF THE COMBI CARD}
본 발명은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콤비 카드의 접촉 플레이트 중 특정 접점들 사이의 통전 상태를 검사함으로써 콤비카드의 IC 칩과 안테나 사이의 연결상태를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는 휴대형 콤비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카드는 IC 칩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식 신용카드이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는 IC 칩의 동작을 위한 전원과 클록 신호를 얻기 위하여 리더기(READER)와의 물리적인 접촉이 필요한 접촉식 카드와, 리더기와의 물리적인 접촉 대신에 내장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뿐만 아니라 리더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비접촉식 카드와, 접촉식 및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모두 가지나 상호 간 물리적인 연결이 없어 메모리의 공유가 불가능한 하이브리드 카드와, 접촉식 및 비접촉식 인터페이스가 상호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공유 데이터 영역을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콤비 카드로 대별된다.
상기 콤비 카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는 많은 양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 고, 위변조가 거의 불가능하고, 한 장의 카드로 여러 분야에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그 기능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신뢰성 테스트 장치가 필수적이다.
신뢰성 테스트 장치와 관련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045085호(스마트카드 신뢰성 테스트 장치)는 소정의 메시지 및 테스트상태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소정의 테스트선택사항을 입력시키는 키 입력장치(30)와, 소정의 테스트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60∼100)의 소정의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테스트결과를 출력시키는 테스트제어장치(40)와, 상기 키 입력장치(30)로부터의 키 입력신호에 따라 소정의 테스트제어명령을 출력시켜 상기 테스트제어장치(40)를 제어하여 복수의 스마트카드(60∼100)에 대해 소정의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0)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제조 과정에서의 신뢰성만을 테스트할 수 있을 뿐, 콤비 카드의 특유의 단점, 즉 사용 중 IC 칩과 안테나 사이의 접점 부위가 쉽게 훼손되어 작동 불능 상태로 된다는 단점을 손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더기를 접근시켰을 때 접촉 플레이트의 통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IC 칩과 안테나 사이의 접점 부위의 연결 상태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정상 작동 상태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과,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안테나와, 상기 유도 기전력을 정류하는 IC 칩과, Vcc 접점 및 GND 접점을 이용하여 상기 IC 칩으로부터 정류된 유도 전력을 공급받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콤비 카드; 및 상기 콤비 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카드 삽입구와, 상기 카드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콤비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정류된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검사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부는 상기 IC 칩과 안테나 사이의 접점 부위의 연결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상기 정류된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 부재; 상기 Vcc 접점과 GND 접점에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정류된 유도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발광 부재와 제1 전극, 상기 발광 부재와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시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정류된 유도 전력이 상기 발광 부재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 부재는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절연성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로부터 콤비 카드의 의도되지 않은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드 삽입구 내측에 부착된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패킹은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검사모듈은 추가적인 전원을 라인을 통해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공급하는 추가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에 부착되어 추가적인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추가 전원 공급부는 수은전지, 리튬이온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 중인 콤비 카드의 IC 칩과 안테나 사이의 연결 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기반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에 관하여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에 관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콤비 카드의 저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는 검사 대상인 콤비 카드(110) 및 검사 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콤비 카드(110)는 통상의 콤비 카드로서, 기판(110), 안테나(120), IC 칩(130) 및 접촉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IC 칩, 안테나 및 접촉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일반적인 신용 카드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일 수도 있고 또는 복합 라미네미트 필름 재질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120)는 별도의 리더기로부터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IC 칩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IC 칩과 별도의 리더기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IC 칩(130)은 상기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유도 기전력을 정류(이 하, "유도 전력"이라 함)하고, 사용자 개인정보, 금융정보, 기타 상거래 또는 개인 식별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며, 별도의 리더기(READER)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 플레이트(140)는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정류된 유도 전력을 제공하는 Vcc 접점(141), 공급받는 전력의 접지 기능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하는 유도 전력의 접지 기능도 수행하는 GND 접점(142), 리셋 신호를 수신하는 RST 접점(143), 프로그램을 하는 전압을 공급받는 Vpp 접점(144), 클록 신호를 수신하는 CLK 접점(145) 및 데이터를 입출력시키는 I/O 접점(146)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촉 플레이트 중 Vcc 접점(141) 및 GND 접점(142)은 물리적으로 접촉된 리더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Vcc 접점(141) 및 GND 접점(142)을 전력 공급단으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모듈(200)은 상기 콤비 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장방형의 몸체(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카드 삽입구(220), 상기 카드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콤비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부(230), 상기 수용부로부터 콤비 카드의 의도되지 않은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드 삽입구 내측에 부착된 패킹(240) 및 상기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콤비 카드가 정상 작동 상태인 경우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설정하였고, 상기 패킹은 고무 또는 기타 마찰력이 큰 합성수지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몸체 및 패킹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부(250)는 상기 콤비 카드가 정상 작동 상태, 즉 IC 칩과 안테나 사이의 접점 부위의 연결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상기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 부재(251), 삽입된 콤비 카드의 Vcc 접점과 GND 접점에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에 의해 유도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전극(252V)과 제2 전극(252G), 그리고 상기 발광 부재와 제1 전극, 상기 발광 부재와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시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통해 공급된 상기 유도 전력이 상기 발광 부재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리드선(253V)과 제2 리드선(253G)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 부재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발광 부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의 작동 순서를 도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콤비 카드(100)가 검사 모듈(200)의 카드 삽입구(220)를 통해 삽입된다(S2). 콤비 카드가 검사 모듈의 수용부(230)에 삽입되면 Vcc 접점(141)은 검사 모듈의 제1 전극(252V)과, GND 접점(142)은 검사 모듈의 제2 전극(252G)과 접촉되어 통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검사 모듈의 패킹(240)은 콤비 카드를 지지하여 삽입된 콤비 카드의 의도되지 않은 배출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별도의 리더기를 상기 콤비 카드로 접근시키면, 안테나에 의해 유도 기전력이 발생된다(S4).
상기 안테나에 의한 유도 기전력은 IC 칩(130)을 통해 정류되고 정류된 유도 전력은 Vcc 접점(141) 및 GND 접점(142)에 공급된다.
Vcc 접점(141) 및 GND 접점(142)에 공급된 유도 전력은 상기 Vcc 접점(141) 및 GND 접점(142)과 접촉되어 있는 검사 모듈의 제1 전극(252V), 제1 리드선(253V), 발광 부재(251), 제2 리드선(253G) 및 제2 전극(252G)을 통전 상태로 만들어 결과적으로 발광 부재(251)가 빛을 발산하도록 한다(S8).
상기 발광 부재가 빛을 발산한다는 것은 상기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기전력이 IC 칩을 경유하여 발광 부재까지 도달됨을 의미하므로, 이로써 IC 칩과 안테나 사이의 접점 부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모듈에 대하여 도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모듈에 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모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 모 듈(200)은 카드 삽입구(220), 수용부(230), 패킹(240), 발광부(250), 상기 발광부(250)의 상태 점검 등에 필요한 추가적인 전원을 라인(L1, L2)을 통해 제1 전극(252V)과 제2 전극(252G)으로 공급하는 추가 전원 공급부(260) 및 상기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에 부착되어 추가적인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26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전원 공급부(260)는 공지의 수은전지, 리튬이온전지 또는 태양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수정 및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스마트 카드 신뢰성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에 관한 개략적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콤비 카드의 저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모듈에 관한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콤비카드 200: 검사 모듈
110: 기판 120: 안테나
130: IC 칩 140: 접촉 플레이트
141: Vcc 접점 142: GND 접점
143: RST 접점 144: Vpp 접점
145: CLK 접점 146: I/O 접점
210: 몸체 220: 카드 삽입구
230: 수용부 240: 패킹
250: 발광부 251: 발광 부재
252V: 제1 전극 252G: 제2 전극
253V: 제1 리드선 253G: 제2 리드선
260: 추가 전원 공급부 261: 스위치

Claims (8)

  1.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에 있어서,
    기판(110)과,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안테나(120)와, 상기 유도 기전력을 정류하는 IC 칩(130)과, Vcc 접점(141) 및 GND 접점(142)을 이용하여 상기 IC 칩으로부터 정류된 유도 전력을 공급받는 접촉 플레이트(140)를 포함하는 콤비 카드(100); 및
    상기 콤비 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몸체(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카드 삽입구(220)와, 상기 카드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콤비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부(230)와,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정류된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50)를 포함하는 검사 모듈(200);을 포함하는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50)는,
    상기 IC 칩과 안테나 사이의 접점 부위의 연결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상기 정류된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 부재(251);
    상기 Vcc 접점과 GND 접점에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정류된 유도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전극(252V)과 제2 전극(252G); 및
    상기 발광 부재와 제1 전극, 상기 발광 부재와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시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정류된 유도 전력이 상기 발광 부재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리드선(253V)과 제2 리드선(253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251)는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는 절연성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콤비 카드의 의도되지 않은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드 삽입구 내측에 부착된 패킹(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40)은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모듈(200)은 추가적인 전원을 라인(L1, L2)을 통해 제1 전극(252V)과 제2 전극(252G)으로 공급하는 추가 전원 공급부(260); 및
    상기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에 부착되어 추가적인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2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전원 공급부(260)는 수은전지, 리튬이온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 장치.
KR1020090098535A 2009-10-16 2009-10-16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KR10105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535A KR101052348B1 (ko) 2009-10-16 2009-10-16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535A KR101052348B1 (ko) 2009-10-16 2009-10-16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622A true KR20110041622A (ko) 2011-04-22
KR101052348B1 KR101052348B1 (ko) 2011-07-27

Family

ID=4404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535A KR101052348B1 (ko) 2009-10-16 2009-10-16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0298A (zh) * 2018-05-25 2018-09-04 北京中电华大电子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金属箔贴片式天线触点设计的纸线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299Y1 (ko) 2001-12-03 2002-02-21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Ir 및 접촉식/비접촉식 IC카드 방식 일체형 단말기
KR20020022081A (ko) * 2002-02-06 2002-03-23 최백영 콤비형 아이씨카드
KR100643611B1 (ko) * 2003-08-05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콤비형 스마트 카드 시험장치 및 방법
KR20050054374A (ko) * 2003-12-04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메모리 카드 슬롯의 상태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0298A (zh) * 2018-05-25 2018-09-04 北京中电华大电子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金属箔贴片式天线触点设计的纸线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348B1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2912B2 (en) Smart card capable of independently displaying information
US20100308976A1 (en) Radio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timer
EP1279140B1 (en) Integrated circuit card and case therefor
US8777116B2 (en) Display-enabled card with security authentication function
RU2006135395A (ru) Кредитная карта и система активации защищенных данных
US11769030B2 (en) Enrolment device for a biometric smart card
KR101568814B1 (ko) 접촉식 및 비접촉식으로 전원 충전이 가능한 카드
WO2009063386A1 (en) Chip card comprising a display
EP3929816A1 (en) Smart card
US20090206994A1 (en) Card having rfid tag
US20220147786A1 (en) Smart card enrollment device
JP4599081B2 (ja) メモリカードアダプタ及びメモリカード
KR101052348B1 (ko) 휴대형 콤비 카드의 안테나 접속 검사장치
JP2004265176A (ja) Icカード及びその情報表示方法
JP2004094561A (ja) Icカード
US20120235958A1 (en) Chip card display system
US8944319B2 (en) IC card
MX2012014154A (es) Tarjeta bancaria con pantalla.
JP2005222097A (ja) 携帯機器
KR20100036851A (ko) Usb형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칩카드 장착방법
US8950663B2 (en) Display electronic tagging and setting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0299300Y1 (ko) 데이타처리상태를 표시하는 발광소자를 구비한 비접촉형스마트카드
KR200344170Y1 (ko) 스위칭 액세스 카드
KR100465440B1 (ko) 포터블데이터매체와통신을수행하기위한장치
US11803713B2 (en) Charging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