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619A - Plow apparatus for tractor - Google Patents

Plow apparatus for 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619A
KR20110040619A KR1020100002294A KR20100002294A KR20110040619A KR 20110040619 A KR20110040619 A KR 20110040619A KR 1020100002294 A KR1020100002294 A KR 1020100002294A KR 20100002294 A KR20100002294 A KR 20100002294A KR 20110040619 A KR20110040619 A KR 20110040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tractor
plow
support link
ou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3094B1 (en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ublication of KR2011004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36Ploughs mounted on tractors
    • A01B3/40Alternating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plow for a tractor is provided to easily adjust the working depth of a plow par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user without use of a cylinder. CONSTITUTION: A plow for a tractor comprises: a main frame(100)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to a tractor and is equipped with a tractor connection part; a plow part installed at the main frame; a support link(400) which is pivotally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a fixed plate(500) which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in which a fixed hole is formed; and a wheel(600) which is rotationally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support link.

Description

트랙터용 쟁기장치{PLOW APPARATUS FOR TRACTOR}Plow device for tractors {PLOW APPARATUS FOR TRACTOR}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쟁기부의 작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연속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트랙터용 쟁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or plow device that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to enable continuous operation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일반적으로 쟁기는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우마 등의 가축이나 기계 등을 이용하여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어 엎어 두둑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In general, plows are used to cultivate soil by using livestock or machinery such as horses, to cultivate crops, and to turn them upside down to make crops.

특히, 트랙터와 같은 기계에 장착되는 일반적인 쟁기장치는 소정 형상의 메인 프레임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링크의 하단에 보습과 볏으로 구성된 쟁기부가 설치되어 트랙터로 전진하면 이와 연결된 메인 프레임 및 쟁기부가 견인되면서 농경지의 흙을 갈아 엎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common plow device mounted on a machine such as a tractor has at least one lower link installe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a main frame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low part composed of moisturizing and crests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link to move forward to the tractor. The main frame and the plow connected to it can be towed and tilled the soil of the farmland.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랙터용 쟁기장치는 트랙터의 크기나 마력에 따라 복수의 쟁기부를 구비한 다련 쟁기장치로 이루어진다. 보통 트랙터용 쟁기장치는 쟁기부가 3 내지 8개까지 복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쟁기부가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설치되거나 견인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기도 한다.Conventional tractor plow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multiple plow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lows according to the size or horsepower of the tractor. Usually, a tractor plow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ow parts up to three to eight, each plow i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zigzag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or diagonally in the towing direction.

이러한 일반적인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작업시 하부링크를 내려 쟁기부가 흙을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며,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이동시 하부링크를 올려 쟁기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채 이동한다. When the work of the general tractor plow device lowers the lower link so that the plow can dig into the soil, and when the tractor plow device moves, the plow unit is lifted and moved upward.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작업시 하부링크를 내려 쟁기부가 흙을 파고 들어갈 때, 토질의 상태나 지대의 형태에 따라 쟁기부의 작업 깊이, 즉 쟁기부가 흙을 파고 들어가는 깊이를 다르게 해야 한다. 이때, 단순히 트랙터에 쟁기장치가 연결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트랙터 및 쟁기장치의 연결 높이를 조절하여 연결해야 한다.When working with tractor plows, lower the lower link and the plow digging into the soil, the working depth of the plow, ie the depth at which the plow digging into the soil, depends on the condition of the soil or the zone. At this time, when the plow device is simply connected to the tractor, the user must adjust the connection height of the tractor and the plow device to be connected.

쟁기장치의 연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8년 10월 23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04310호(트랙터용 쟁기장치)에서 유압 실린더에 의해 바퀴가 결합된 지지링크를 회동시키는 구조를 제안하였다.In order to adjust the connection height of the plow device, the applicant rotates the support link in which the wheel is coupled by a hydraulic cylinder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104310 filed October 23, 2008 (plow device for the tractor) A structure was proposed.

이러한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종래의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150)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된 쟁기부(2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링크(310)와, 상기 지지링크(3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320)와,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링크(3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링크(310)를 회동시키는 실린더(330)로 구성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ractor plow, Figure 2 and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the main frame 100 having a tractor connecting portion 150 is connected to the tractor towed in front; In the tractor plow device comprising a plow unit 200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0, the support link 310 and the support link 310 is installed rotatably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0. The wheel 32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ne end is hinged to the main frame 100,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link 310 to rotate the support link 310 It consists of the cylinder 330.

따라서 도 2 및 도 3과와 같이 실린더(330)의 작동에 의해 지지링크(310)의 상측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인해 하단에 설치된 바퀴(320)가 회동함으로써 바퀴(320)의 하단과 쟁기부(200)의 하단과의 높이가 달라지므로 결국 쟁기부(200)의 작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link 310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330, and as a result, the wheel 320 installed at the bottom rotates, thereby lowering the wheel 320. Since the height of the lower part of the plow part 200 is changed, and thus, the working depth of the plow part 200 can be adjusted.

그런데, 이러한 쟁기장치는 트랙터로부터 유압라인을 연결하여 실린더를 구동함으로써 유압 손실은 물론, 고가의 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쟁기장치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plow h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e plow is increased by using an expensive cylinder as well as a hydraulic loss by connecting the hydraulic line from the tractor to drive the cylind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쟁기부의 작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연속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트랙터용 쟁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using a cylinder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work can be improved work efficiency is improved To provide a plow device for a tractor that can b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트랙터용 쟁기장치는, Plow device for a 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쟁기부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에 있어서,In the tractor plow device comprising a main frame having a tractor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tractor towed in front and a plow provided on the 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링크와,
A support link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링크가 회동하는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과 선택적으로 핀 결합되도록 형성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판과,A fixing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the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link rotates, the fixing holes being selectively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상기 지지링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It comprises a wheel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link,

상기 지지링크는 The support link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 파이프와,An outer pipe fixedly rotatable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상기 외측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내측 파이프와,An inner pipe inserted into an inner side of the outer pipe and having a thread formed therein;

상기 외측 파이프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이 돌출되어 그 단부에 레버가 장착되면서 하측은 상기 내측 파이프의 내측에서 나사결합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 상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가 형성되어 외측 파이프의 상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볼트와,As the upper side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pipe and the lever is mounted at the end thereof, the lower side is screw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ipe, and a stopper is form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ipe so that it is caught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ipe. Bolts formed so that

상기 내측 파이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로 구성된다.
It is composed of a wheel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쟁기장치는, 고가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고 바퀴와 결합된 지지링크의 높낮이를 회동시켜 메인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쟁기부의 작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연속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며, 아울러 저가격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ractor plow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high-cost hydraulic cylinder to rotate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by rota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link coupled to the wheel can easily adjust the working depth of the plow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work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at low prices.

도 1은 종래의 트랙터용 쟁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지지링크의 세부 구조를 보인 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ractor plow.
2 and 3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low device for a 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upport link.
8 and 9 are sid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actor plow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지지링크의 상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tractor plow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 first view of the tractor plow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upport link.

본 발명의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본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된 구성인 지지링크(400)와 고정판(5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Since the bas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ow device for a 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alread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link 400 and the fixing plate 500, which are newl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Explain.

도 1 내지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00) 및 쟁기부(200)는 트랙터에 연결되어 트랙터의 전방 이동에 따라 쟁기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 조절을 통해 쟁기부(200)의 흙속을 파고 들어가는 작업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쟁기부(200)의 작업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후술할 지지링크(400), 고정판(500), 바퀴(600)를 설치하는 것이다.As described in FIGS. 1 to 3, the main frame 100 and the plow unit 200 are connected to a tractor to perform a plow operation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ctor,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main frame 100 is performed. Through the plow unit 200 can be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work to dig into the soil. In order to easily adjust the working height of the plow unit 200 is to install a support link 400, fixed plate 500, the wheel 600 to be described later.

지지링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메인 프레임(100)의 측부에는 금속으로 된 고정판(500)이 부착되고, 그 고정판(500)에 지지링크(400)의 일측이 힌지(4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link 400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0. To this end, a fixing plate 500 made of metal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main frame 100. One side of the support link 400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hinge 410 on the fixing plate 500.

또한, 지지링크(400)의 양측에는 체결공(421,422)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동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500)의 고정공(510)에 핀 결합되며, 상기 고정공(510)은 지지링크(400)가 회동하는 위치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이때 고정공(510)의 위치는 양측의 체결공((421,422)이 회동하는 위치에서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fastening holes 421 and 42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link 400 to be pin-coupled to the fixing holes 510 of the fixing plate 500 to fix the pivoted state, and the fixing holes 510 are supported. A plurality of link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link 400 rotates, and the positions of the fixing holes 51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positions where the fastening holes 421 and 422 of both sides rotate.

따라서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지지링크(400)를 고정판(500)으로부터 회동시키고 원하는 위치에서 핀으로 체결공(421,422)과 고정공(510)을 체결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rotates the support link 400 from the fixed plate 500 as shown in FIG. .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지지링크(400)의 측부에 하나의 체결공(423)이 형성되고, 고정판(520)에도 상기 체결공(423)의 회동 위치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준다.6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fastening hole 42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link 400, the fixed plate 52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423 Shows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is 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의 지지링크(400)의 상세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지지링크(400)를 회전시켜 고정판(500)에 고정시키는 구조로서 고정공(510)의 간격에 따라 메인 프레임(100)의 높낮이 위치가 큰 범위로서 결정되지만, 작업지의 여건에 따라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를 좀 더 정밀하게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upport link 400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simply by rotating the support link 400 in the fixed plate As the structure to be fixed to the 500, the height position of the main frame 100 is determined as a large range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fixing hole 510, but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100 is adjusted more precisel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work place. There is a need to do it.

정밀한 조절을 위해 고정공(510)의 간격이 좁혀 더 많은 고정공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Although the spacing of the fixing holes 510 may be narrowed to form more fixing holes for precise adjustment, this is not a preferable metho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지링크(400)에 설치된 레버를 돌려 땅에 지지된 바퀴(600)로부터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지지링크(400)는 고정판(500)에 힌지(410)에 의해 회동되거나 또는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는 외측 파이프(401)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파이프(401)의 내측으로는 내측 파이프(402)가 삽입되는데, 상기 내측 파이프(402)의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urning the lever installed on the support link 400 to finely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100 from the wheel 600 supported on the ground,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link 400 is fixed plate 500 ) Is provided with an outer pipe 401 that can be rotated or fixed by a hinge 410, and an inner pipe 402 is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401. A thread is formed inside 402.

또한, 상기 내측 파이프(402)의 내측으로는 볼트(430)가 삽입되어 그 상측이 외측 파이프(40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그 돌출된 상단에는 레버(432)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bolt 4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pipe 402 so that an upper side thereof protrudes above the outer pipe 401, and a lever 432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pipe 402.

그리고, 볼트(430)의 상측은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431)가 형성되어 있어서, 외측 파이프(401)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볼트(430)가 외측 파이프(401)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bolt 430 is formed with a stopper 431 protruding to the outside, so that the bolt 43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bove the outer pipe 401 by being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outer pipe 401. .

상기 내측 파이프(402)의 하측에는 바퀴(6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wheel 600 is rotatably installed below the inner pipe 402.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432)의 돌리는 방향에 따라서 내측 파이프(402)가 외측 파이프(401)의 내부에서 상하 승강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100 by raising and lowering the inner pipe 402 up and down inside the outer pipe 401 according to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lever 432.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지지링크(400)의 측부에 너트(450)가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도 9에서와 같이 너트(450)의 측부에 샤프트(451)가 형성되어 지지링크(400)에 형성된 관통공(403)에 삽입되며, 그 단부에는 스토퍼(452)가 고정결합됨으로써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된다.8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450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link 400 so as to be free to rotate, as shown in FIG. 9 the shaft ( A 451 is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03 formed in the support link 400, and the stopper 452 is fixedly coupled to the end thereof to enable free rotation.

상기 너트(450)에는 장볼트(460)가 나사결합되는데, 그 장볼트(460)의 후단에는 레버(461)가 장착되고, 또한 장볼트(460)의 후방 즉 레버(461)의 바로 앞에는 지지링(470)이 끼워져 관통공(471)내에서 장볼트(460)가 자유회동하도록 구성된다.A long bolt 460 is screwed into the nut 450, and a rear end of the long bolt 460 is mounted with a lever 461, and is supported behind the long bolt 460, that is, in front of the lever 461. The ring 470 is fitted so that the long bolt 460 freely rotates in the through hole 471.

상기 지지링(470)의 측부에는 샤프트(471)의 일단이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메인 프레임(100)에 샤프트 지지구(480)에 의해 고정된다.One end of the shaft 471 is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ring 47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main frame 100 by the shaft support 480.

따라서, 레버(461)를 한쪽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장볼트(460)가 너트(450)쪽으로 전진하여 지지링크(400)를 후방으로 기울여 바퀴(600)가 전방으로 회전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가 낮아지며, 레버(461)를 다른쪽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지지링크(400)가 다시 세워져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lever 46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long bolt 460 is advanced toward the nut 450 to incline the support link 400 to the rear so that the wheel 600 rotates forward to rotate the front of the main frame 100. When the height is lowered and the lever 461 is rotated to the other direction, the support link 400 is erected again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100.

100 : 메인 프레임 150 : 트랙터 연결부
200 : 쟁기부
400 : 지지링크 401 : 외측 파이프
402 : 내측 파이프 410 : 힌지
421,422 : 체결공 430 : 볼트
431 : 스토퍼 432 : 레버
450 : 너트 460 : 장볼트
461 : 레버 470 : 지지링
471 : 관통공 472 : 샤프트
480 : 샤프트 지지구
500 : 고정판 600 : 바퀴
100: main frame 150: tractor connection
200: plow
400: support link 401: outer pipe
402: inner pipe 410: hinge
421,422 fastener 430 bolt
431: stopper 432: lever
450: nut 460: long bolt
461: lever 470: support ring
471: through hole 472: shaft
480: shaft support
500: fixed plate 600: wheels

Claims (4)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쟁기부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링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링크가 회동하는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과 선택적으로 핀 결합되도록 형성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지지링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
In the tractor plow device comprising a main frame having a tractor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tractor towed in front and a plow provided on the main frame,
A support link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A fixing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the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link rotates, the fixing holes being selectively pinned to the fastening holes;
Tractor plow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heel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link.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쟁기부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외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내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이 돌출되어 그 단부에 레버가 장착되면서 하측은 상기 내측 파이프의 내측에서 나사결합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 상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가 형성되어 외측 파이프의 상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볼트와,
상기 내측 파이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
In the tractor plow device comprising a main frame having a tractor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tractor towed in front and a plow provided on the main frame,
An outer pipe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 inner pipe inserted into an inner side of the outer pipe and having a thread formed therein;
As the upper side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pipe and the lever is mounted at the end thereof, the lower side is screw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ipe, and a stopper is form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ipe so that it is caught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ipe. Bolts formed so that
Tractor plow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heel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쟁기부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링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링크가 회동하는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과 선택적으로 핀 결합되도록 형성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지지링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링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내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이 돌출되어 그 단부에 레버가 장착되면서 하측은 상기 내측 파이프의 내측에서 나사결합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 상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가 형성되어 외측 파이프의 상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볼트와,
상기 내측 파이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
In the tractor plow device comprising a main frame having a tractor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tractor towed in front and a plow provided on the main frame,
A support link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A fixing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the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link rotates, the fixing holes being selectively pinned to the fastening holes;
It comprises a wheel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link,
The support link
An outer pipe fixedly rotatable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 inner pipe inserted into an inner side of the outer pipe and having a thread formed therein;
As the upper side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pipe and the lever is mounted at the end thereof, the lower side is screw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ipe, and a stopper is form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ipe so that it is caught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ipe. Bolts formed so that
Tractor plow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wheel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쟁기부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의 측부에 자유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너트와,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며, 후단에 레버가 장착된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의 후측을 자유회동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메인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지지링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쟁기장치.
In the tractor plow device comprising a main frame having a tractor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tractor towed in front and a plow provided on the main frame,
A support link rotat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frame;
A nu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link to enable free rotation;
Long bolts are screwed to the nut, the rear end is equipped with a lever,
A support ring for supporting the rear side of the long bolt so as to freely rotate;
One end is fixed to the support ring,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main frame shaft,
Tractor plow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heel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link.
KR1020100002294A 2009-10-14 2010-01-11 Plow apparatus for tractor KR10119309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38 2009-10-14
KR20090097838 2009-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619A true KR20110040619A (en) 2011-04-20
KR101193094B1 KR101193094B1 (en) 2012-10-19

Family

ID=4404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294A KR101193094B1 (en) 2009-10-14 2010-01-11 Plow apparatus for 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0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330B1 (en) * 2012-01-20 2014-01-02 제트스타 주식회사 A harrow for tra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330B1 (en) * 2012-01-20 2014-01-02 제트스타 주식회사 A harrow for 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094B1 (en) 201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401B1 (en) ridger for rotary
KR20200044657A (en) Cultivator with harrow
CN206585902U (en) Subsoiling rotary tillage plow structure equipment
KR101056401B1 (en) Tractor Plows
KR101193094B1 (en) Plow apparatus for tractor
KR102185477B1 (en) Plow rotary
KR101106075B1 (en) Plow apparayus for a farm machine
CN206923245U (en) A kind of new deep ploughing rooter
KR20170014325A (en) agricultural liner for drawing line and making method of furrow
KR102234091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ounting agricultural work machines
KR101556569B1 (en) Splitting soil distribution apparatus of furrow ride plow
CN211184863U (en) Crop scarifier
KR200384643Y1 (en) Double plow structure
KR20120016774A (en) Height adjustment apparatus of a plow
CN107027354A (en) A kind of mounting bracket for rotary cultivator smoother
CN202697197U (en) Novel adjustable suspension machine frame of tillage implement
KR200475597Y1 (en) Plow apparatus for excavator
CN111919551A (en) Foldable broad width rice direct seeder
KR200423693Y1 (en) Earthing and Ridge Making Machine
CN216017629U (en) Rotary tillage head assembly convenient to adjust
JP2004159527A (en) Ditching implement for guiding transplanter
KR200454326Y1 (en) Plow moisturizing for tractors
CN211210420U (en) Novel agricultural machinery frame is used in scientific research based on profiling mechanism
KR200199115Y1 (en) Tractor ridging plow having ridge hilling plate
KR102627100B1 (en) High-speed plow with improved working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