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327A -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 - Google Patents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327A
KR20110040327A KR20090097544A KR20090097544A KR20110040327A KR 20110040327 A KR20110040327 A KR 20110040327A KR 20090097544 A KR20090097544 A KR 20090097544A KR 20090097544 A KR20090097544 A KR 20090097544A KR 20110040327 A KR20110040327 A KR 20110040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motor
cylindrical case
coupl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9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720B1 (ko
Inventor
엄재학
Original Assignee
로스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스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로스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090097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7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04D29/242Geometry, shape
    • F04D29/245Geometry, shape for special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04D7/04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는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속형성되는 경사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가 구비되는 폭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 도중에는 둘레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두 개 이상의 배출공,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배출공(gate)이 형성되며, 하부 내면에는 모터 지지링이 장착되는 원통 케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원통 케이스를 구성하는 배출공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축이 회전축과 결합되고,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부가 상기 모터 지지링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모터를 장착하며, 상기 모터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결합되고, 다수개의 유수공이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선통로가 형성되는 유속플레이트를 장착하고,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연결축에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는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속형성되는 경사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가 일체로 형성되는 임펠러를 장착하며,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위치한 원통 케이스의 내부에는 부채꼴 형상의 공기 조절공이 일정간격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조절판을 장착하고, 상기 원통 케이스의 상부 끝단에는 공기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공기호스가 연결장착되는 상부 케이스를 결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면을 가지면서 끝단 부분으로 공기통로를 구비한 경사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부하를 줄이고 전력 소비량을 절감시키면서, 미세기포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임펠러의 회전으로 인하여, 공기 흡입호스를 통하여 흡입되어 감압된 저압의 공기를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조절밸브와 공기조절판으로 조절하여 무수한 미세기포들을 발생시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기존의 폭기장치 보다 수질정화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임펠러, 폭기장치, 원통 케이스, 모터, 유속플레이트, 공기조절판, 상부 케이스, 모터 지지링, 연결축.

Description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A BM-impeller and the aeration apparatus to use the BM-impeller}
본 발명은 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모터나 일반 모터 등에 장착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구비하면서 폐수, 하수 오수, 양식장, 수경재배 등에 설치되고 수중에서 공기를 공급하여 액체에 기체를 혼합시켜 사용되는 폭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하수종말처리장, 공단폐수종말처리장, 축산폐수공동처리장, 분뇨처리장,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처리장, 골프장 오수처리장, 아파트단지 오수종합처리장 및 민간기업체 공장폐수처리장 등의 폐수, 하수 및 오수 등을 정화시키기 위해 미생물을 이용한 활성오니 처리법이 이용된다.
활성오니 처리법은 활성오니 폭기조 내부로 산소를 공급해 미생물이 잘배양되도록 한 것으로서 폭기조 내부에 급기관과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되고 각 노즐에는 공기를 잘게 부서 공기방울을 만드는 폭기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폭기장치는 상기와 같은 정화용도 이외에도 양식장, 지하수 수질개선 및 수경재배 등의 장소에서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종래의 정화조용 폭기장치의 한 예로서, 미국 특허 제5,194,144호, 제5,951,867호 및 제6,245,237호에 개시된 정화조용 폭기장치에서, 공기는 샤프트의 상부 단부에서 유입하여 프로펠러에 인접하여 유출되고, 프로펠러는 폐수 내에서 고속 회전에 의해 공기를 대기로부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여 작은 기포들로서 물에 주입된다.
즉, 상기 폭기장치는 기포를 생성하고 이동시키기 위해 프로펠러로서 폐수를 교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미국특허 제6,461,500호 및 제6,884,353호에 개시된 정화조용 폭기장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러와, 임펠러 및 모터 사이에 위치하고 일련의 동심 개구들을 갖는 공기판을 포함하고, 공기는 임펠러가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공기판의 개구를 통해 폐수로 주입된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6,461,500호 및 제6,884,353호의 폭기장치는 공기판의 개구가 쉽게 막히고, 임펠러의 균형을 잡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에 따라 일어나는 진동으로 모터가 쉽게 고장 나고, 더 큰 부압을 얻기 위해 임펠러의 피치를 증가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사면을 가지면서 연결부분으로 공기통로를 구비한 경사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부하를 줄이고 전력 소비량을 절감시키면서, 미세기포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임펠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임펠러의 회전으로 인하여, 공기 흡입호스를 통하여 흡입되어 감압된 저압의 공기를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조절밸브와 공기조절판으로 조절하여 무수한 미세기포들을 발생시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기존의 폭기장치 보다 수질정화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통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를 상, 하에 장착되는 모터 지지링과 유속 플레이트를 이용해서 고정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모터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중모터나 공기모터 등에 장착되는 임펠러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는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속형성되는 경사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폭기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 도중에는 둘레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두 개 이상의 배출공,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하부 내면에는 모터 지지링이 장착되는 원통 케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원통 케이스를 구성하는 배출공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축이 회전축과 결합되고,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부가 상기 모터 지지링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모터를 장착하며, 상기 모터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결합되고, 다수개의 유수공이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선통로가 형성되는 유속플레이트를 장착하고,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연결축에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는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속형성되는 경사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가 일체로 형성되는 임펠러를 장착하며,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위치한 원통 케이스의 내부에는 부채꼴 형상의 공기 조절공이 일정간격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조절판을 장착하고, 상기 원통 케이스의 상부 끝단에는 공기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공기호스가 연결장착되는 상부 케이스를 결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면을 가지면서 끝단 부분으로 공기통로를 구비한 경사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부하를 줄이고 전력 소비량을 절감시키면서, 미세기포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임펠러의 회전으로 인하여, 공기 흡입호스를 통하여 흡입되어 감압된 저압의 공기를 공기조절밸브와 공기조절판으로 조절하여 무수한 미세기포들을 발생시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기존의 폭기장치 보다 수질정화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통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를 상, 하에 장착되는 모터 지지링과 유속 플레이트를 이용해서 고정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모터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구성하는 원통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구성하는 임펠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인 임펠러(50)를 도시된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임펠러(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51)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는 경사면(53)과 수직면(54)이 연속형성되는 경사부(5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53)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55)가 일 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임펠러(50)는 정·역회전작동시, 공기는 상기 경사부(52)를 구성하는 경사면(53)을 따라 이동한 후 수직면(54)에 부딪치면서 상기 경사면(53) 도중에 형성되는 공기통로(55)와 연속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미세 기포를 연속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임펠러(50)는 수중모터뿐만 아니라 대기중에서 사용하는 일반 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임펠러(50)는 도시된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임펠러(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51a)이 형성되고, 저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끝단에 다수개의 안내홈(5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연장부(52a)가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 결합공(51a)과 연장부(52a) 사이에는 다수개의 공기통로(54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연결부분(55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임펠러(50)는 정·역회전작동시, 공기는 상기 공기통로(54a)를 통해 유입된 후 경사진 연결부분(55a)을 따라 가장자리 둘레로 이동한 다음 연장부(52a)에 형성되는 안내홈(53a)을 거치면서, 연속적으로 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무수한 미세기포들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폭기장치(10)는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면서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원통 케이스(20)와,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의 상부에 장착되는 유속플레이트(40)와, 상기 모터(30)와 결합되어 회전작동하는 임펠러(50)와, 상기 임펠러(50)의 상부에 위치한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되는 공기조절판(60)과,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고 공기조절밸브(130)가 구비되는 공기호스(120)가 연결장착되는 상부 케이스(70) 등으로 구성된다.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원통 케이스(20)는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 도중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두 개 이상의 배출공(21),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배출공(gate)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 케이스(20)는 단면 형상이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 다각, 타원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원통 케이스(20)에 형성되는 배출공(21)의 개수 또한 상황에 따라 다수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도중과 상면에는 공기조절판(60), 유속플레이트(40), 모터 지지링(80) 및 상부 케이스(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30)는 상부 중앙에 회전축(31)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외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00)가 결합되고 일측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단자(33)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둘레를 따라 장착부(32)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00)는 모터(30)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32)는 저면 둘레를 따라 원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원통 케이스(20)는 도시된 도 6과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배출공(21)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판(150)을 경사지게 장착한 것이다.
즉, 상기 원통 케이스(20)를 통해서 배출되는 기포가 수평이 아닌 하부를 향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물질이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 유입되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30)의 상부에 장착되는 유속플레이트(40)는 상기 모터(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돌기(10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결합공(41)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유수공(42)이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모터(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110)이 통과하여 상기 모터(30)의 단자(33)에 접속될 수 있도록 전선통로(4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속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유수공(42)은 원형 형상으로 원형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30)와 결합되어 회전작동하는 임펠러(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내부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모터(30)의 회전축(31)과 결합되는 연결축(90)이 중앙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임펠러 결합공(51)이 형성되며, 상면 둘레에는 수직면(54)과 경사면(53)이 연속형성되는 경사부(5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3)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5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축(9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양측을 대칭되게 절단하여 형성되고 끝단에는 고정결합을 위한 외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연결결합부(91)가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50)는 임펠러 결합공(51)이 형성되는 저면으로 상기 연결축(90)의 연결결합부(91)를 수용하면서 너트를 통해 고정결합시 지지될 수 있도록 단턱부(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50)는 도시된 도 2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임펠러(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51a)이 형성되고, 저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끝단에 다수개의 안내홈(5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연장부(52a)가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 결합공(51a)과 연장부(52a) 사이에는 다수개의 공기통로(54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연결부분(55a)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축(9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양측을 대칭되게 절단하여 형성되고 끝단에는 고정결합을 위한 외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연결결합부(91)가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50)는 임펠러 결합공(51a)이 형성되는 저면으로 상기 연결축(90)의 연결결합부(91)를 수용하면서 너트를 통해 고정결합시 지지될 수 있도록 단턱부(56a)가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50)의 상부에 위치한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되는 공기조절판(60)은 내부에 부채꼴 형상의 공기 조절공(61)이 일정간격으로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부채꼴 형상의 공기 조절공(61)은 원형 형상의 공기 조절공(61)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공기 조절공(61)과 공기 조절공(61)을 연결하는 부분은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이 곡면지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7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을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크기에 맞춰 절단하여 형성되고, 일측에는 공기조절밸브(130)가 구비되는 공기호스(120)가 연결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 연결공(71)이 형성된다.
이때, 공기호스(120)에 장착되는 공기조절밸브(130)는 제거된 상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70)의 상부 케이스 연결공(71)에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하부에 장착되어 모터(30)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링(80)은 원형링(81)과 다수개의 연결바(82)를 나사 또는 용접결합하거나 상기 원형링(80)과 다수개의 연결바(82)를 용접결합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 지지링(80)은 상기 모터(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부(32)의 형상에 따라 원형링(81)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서 모터(30)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폭기장치(10)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 도중에는 둘레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두 개 이상의 배출공(21)이 형성되며, 외면 도중에는 유속플레이트(40), 모터 지지링(80) 및 상부 케이스(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결합공(22)이 형성되는 원통 케이스(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하부에는 원형링(81)과 다수개의 연결바(82)를 나사 결합하여 형성되는 모터 지지링(80)을 삽입한 후 하부에 위치한 케이스 결 합공(22)에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140)를 체결하여 상기 원통 케이스(20)에 모터 지지링(80)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 지지링(80)의 원형링(81)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축(90)이 회전축(31)과 결합되고, 저면에 장착부(32)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00)가 결합되는 모터(30)를 장착한다.
즉, 상기 모터 지지링(80)의 원형링(81)에 상기 모터(30)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부(32)를 끼움 장착하여 상기 모터(30)의 하부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형링(81)과 별도로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는 가이드 링을 더 장착하여 모터(30)를 고정지지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1)과 연결축(90)의 결합은 상기 회전축(31)의 상부와 연결축(90)의 하부에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140)를 고정결합하여 일체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30)의 상부에 상기 고정돌기(10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결합공(41)이 형성되어 결합되고, 다수개의 유수공(42)이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모터(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1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선통로(43)가 형성되는 유속플레이트(40)를 장착한다.
즉, 상기 고정돌기(100)에 유속플레이트(40)의 결합공(41)을 끼움 삽입한 후 중간에 위치한 케이스 결합공(22)에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40)를 체결하여 유속플레이트(40)를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30)와 결합되는 연결축(90)에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 펠러 결합공(51)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는 수직면(54)과 경사면(53)이 연속형성되는 경사부(5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53)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55)가 형성되는 임펠러(50)를 장착한다.
즉, 상기 임펠러(50)를 구성하는 단턱부(56)에 상기 연결축(90)를 끼움 삽입한 후 상기 임펠러(50)를 돌출하는 연결결합부(91)에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40)를 체결함으로써 고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50)의 상부에 위치한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는 부채꼴 형상의 공기 조절공(61)이 일정간격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조절판(60)을 장착한 후,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상부에 위치한 케이스 결합공(22)에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40)를 체결하여 공기조절판(60)을 고정한 다음,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상부 끝단에 공기조절밸브(130)가 구비되는 공기호스(120)가 연결장착되는 상부 케이스(70)를 결합하면 폭기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조절판(6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140)의 외측 끝단에는 이동과 운반을 위하여 고리(142)가 더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폭기장치(10)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른 과정을 거쳐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폐수처리, 양식장, 지하수 수질 개선, 수경재배 등과 같은 장소에서 상기 폭기장치(10)를 설치하고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70)에 장착되는 공기호스(120)를 이용해서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후 상기 연결선(110)을 이용해서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30)의 단자(33)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30)를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선(110)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30)의 회전력은 회전축(31)을 통해 연결축(90)에 전달되고, 상기 연결축(90)은 연결결합부(91)에 결합된 임펠러(50)를 정·역 회전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50)가 회전작동하면,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부(52)가 상기 공기호스(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하부로 유도하고, 상기 임펠러(50)는 공급되는 공기를 경사부(52)의 수직면(54)과 경사면(53) 및 회전력을 이용해서 무수한 미세 기포를 연속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부케이스(70)와 공기조절판(60)을 거쳐 임펠러(50)에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임펠러(5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면(53)을 따라 유입되면서 수직면(54)에 맞닿으면 형성되는 반력과 연속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경사면(53)의 도중에 형성되는 공기통로(55)를 이용해서 무수히 많은 미세기포를 연속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임펠러(50)에서 발생한 무수한 미세 기포는 공기통로(55)를 통해 하부로 전달되어 폐수와 혼합되어 배출공(21)을 통해 외부로 이동하는 연속과정을 통해서 수질을 정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50)를 통해 발생하는 기포의 크기는 50 ㎛의 내외이고, 체류시간은 2시간 이상, 평균 10시간 이상을 유지하여, 액체중에 무수한 미세기포 들을 공급하면서, 호기성 미생물들이 유기질 폐수들을 정화시키기에 충분한 용존 산소를 공급해 준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50)에 공급되는 공기량은 상기 임펠러(50)와 상부 케이스(70) 사이에 장착되는 공기조절판(60)의 공기 조절공(61)의 크기를 통해서 조절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구성하는 원통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를 구성하는 임펠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폭기장치, 20 : 원통 케이스,
30 : 모터, 40 : 유속플레이트,
50 : 임펠러, 51 : 임펠러 결합공,
52 : 경사부, 53 : 수직면,
54 : 경사면, 55 : 공기통로,
60 : 공기조절판, 70 : 상부 케이스,
80 : 모터 지지링, 90 : 연결축.

Claims (7)

  1. 수중모터나 공기모터에 장착되는 임펠러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51)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는 수직면(54)과 경사면(53)이 연속형성되는 경사부(5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53)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5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2. 수중모터나 공기모터에 장착되는 임펠러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51a)이 형성되고, 저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끝단에 다수개의 안내홈(5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연장부(52a)가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 결합공(51a)과 연장부(52a) 사이에는 다수개의 공기통로(54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연결부분(55a)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3. 폭기장치(1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 도중에는 둘레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두 개 이상의 배출공(21)이 형성되며, 하부 내면에는 모터 지지링(80)이 장착되는 원통 케 이스(20)를 구성하고,
    상기 원통 케이스(20)를 구성하는 배출공(21)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축(90)이 회전축(31)과 결합되고,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부(32)가 상기 모터 지지링(80)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00)가 결합되는 모터(30)를 장착하며,
    상기 모터(3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10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결합공(41)이 형성되어 결합되고, 다수개의 유수공(42)이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모터(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1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선통로(43)가 형성되는 유속플레이트(40)를 장착하고,
    상기 모터(30)와 결합되는 연결축(90)에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51)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는 수직면(54)과 경사면(53)이 연속형성되는 경사부(5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53)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55)가 일체로 형성되는 임펠러(50)를 장착하며,
    상기 임펠러(50)의 상부에 위치한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는 부채꼴 형상의 공기 조절공(61)이 일정간격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조절판(60)을 장착하고,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상부 끝단에는 공기조절밸브(130)가 구비되는 공기호스(120)가 연결장착되는 상부 케이스(70)를 결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장치.
  4. 폭기장치(1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 도중에는 둘레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두 개 이상의 배출공(21)이 형성되며, 하부 내면에는 모터 지지링(80)이 장착되는 원통 케이스(20)를 구성하고,
    상기 원통 케이스(20)를 구성하는 배출공(21)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축(90)이 회전축(31)과 결합되고,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부(32)가 상기 모터 지지링(80)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00)가 결합되는 모터(30)를 장착하며,
    상기 모터(3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10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결합공(41)이 형성되어 결합되고, 다수개의 유수공(42)이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모터(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1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선통로(43)가 형성되는 유속플레이트(40)를 장착하고,
    상기 모터(30)와 결합되는 연결축(90)에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임펠러 결합공(51a)이 형성되고, 저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끝단에 다수개의 안내홈(5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연장부(52a)가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 결합공(51a)과 연장부(52a) 사이에는 다수개의 공기통로(54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연결부분(55a)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임펠러(50)를 장착하며,
    상기 임펠러(50)의 상부에 위치한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는 부채꼴 형상의 공기 조절공(61)이 일정간격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조절판(60)을 장착하고,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상부 끝단에는 공기조절밸브(130)가 구비되는 공기 호스(120)가 연결장착되는 상부 케이스(70)를 결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장치.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9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양측을 대칭되게 절단하여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50)는 상기 연결축(90)을 수용하면서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단턱부(56, 56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장치.
  6.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배출공(21)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판(150)을 경사지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장치.
  7.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모터 지지링(80)은 원형링(81)과 다수개의 연결바(82)를 나사 또는 용접결합하거나 상기 원형링(80)과 다수개의 연결바(82)를 용접결합하여 상기 원통 케이스(20)의 내부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장치.
KR20090097544A 2009-10-14 2009-10-14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 KR101217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7544A KR101217720B1 (ko) 2009-10-14 2009-10-14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7544A KR101217720B1 (ko) 2009-10-14 2009-10-14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327A true KR20110040327A (ko) 2011-04-20
KR101217720B1 KR101217720B1 (ko) 2013-01-10

Family

ID=4404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97544A KR101217720B1 (ko) 2009-10-14 2009-10-14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7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1990A (zh) * 2014-09-12 2014-12-24 江苏现代渔业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浮式叶轮增氧机
CN106186141A (zh) * 2016-08-15 2016-12-07 亚太水处理(天长)有限公司 一种浮动曝气机的伞状气流增量喷发装置
KR101712381B1 (ko) * 2016-11-21 2017-03-16 고일영 맨홀펌프용 임펠러
US10202296B2 (en) 2013-07-18 2019-02-12 Sun Won Jang Aeration device
CN110117089A (zh) * 2019-06-28 2019-08-13 江苏远宏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黑臭水体微纳米曝气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7114A (en) * 1976-08-26 1978-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peller
JPH0633798B2 (ja) * 1986-04-09 1994-05-02 日本ピラ−工業株式会社 ポンプのインペラ
JP3576081B2 (ja) * 2000-08-02 2004-10-13 太産工業株式会社 排水ポンプ
JP2003293976A (ja) * 2002-04-08 2003-10-15 Taisan Kogyo Kk 排水ポンプ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2296B2 (en) 2013-07-18 2019-02-12 Sun Won Jang Aeration device
CN104221990A (zh) * 2014-09-12 2014-12-24 江苏现代渔业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浮式叶轮增氧机
CN106186141A (zh) * 2016-08-15 2016-12-07 亚太水处理(天长)有限公司 一种浮动曝气机的伞状气流增量喷发装置
KR101712381B1 (ko) * 2016-11-21 2017-03-16 고일영 맨홀펌프용 임펠러
CN110117089A (zh) * 2019-06-28 2019-08-13 江苏远宏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黑臭水体微纳米曝气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720B1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9351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biological activity in waste treatment in bodies of water
US6811296B2 (en) A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9486751B2 (en) Mixing apparatus
KR101217720B1 (ko)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
KR101012273B1 (ko) 고효율의 선회와류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03011390A (zh) 一种新型的潜水射流式曝气生物滤池
WO2012158014A1 (en) A system for biological treatment
FI120234B (fi) Laite ja menetelmä veden ilmastamiseksi/sekoittamiseksi
CN102674533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旋转式微孔曝气圆环盘管系统
CN202766353U (zh) 一种曝气装置
CN108423827B (zh) 黑臭水体处理一体化净化设备
KR100753439B1 (ko) 폭기장치
US94573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and purification of liquid through aeration
CN211078590U (zh) 一种mbr膜曝气器及mbr膜曝气装置及mbr膜污水处理设备
CN210394075U (zh) 一种射流曝气生物反应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107651753B (zh) 污水脱氮除磷装置
US20040055960A1 (en) Directional wastewater aerator and method
WO2016035079A1 (en) Airlift oxygenating system
US10683221B2 (en) Gas injection and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s
US6224041B1 (en) Splash plate structure for aerators
KR101274532B1 (ko) 수중 에어레이터
CN208249991U (zh) 黑臭水体处理一体化净化设备
CN110563131A (zh) 一种mbr膜曝气器及mbr膜曝气装置及mbr膜污水处理设备
US20090206497A1 (en) Liquid waste aeration system and method
KR101084061B1 (ko) 호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