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65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655A
KR20110038655A KR1020107029903A KR20107029903A KR20110038655A KR 20110038655 A KR20110038655 A KR 20110038655A KR 1020107029903 A KR1020107029903 A KR 1020107029903A KR 20107029903 A KR20107029903 A KR 20107029903A KR 20110038655 A KR20110038655 A KR 20110038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request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라-아딘 모우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기지국 동작을 위한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블록 305), 단말기의 인가 요청을 컨트롤러에 발송하는 단계(블록 310), 인가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가 인가를 받았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블록 315), 및 단말기에 대해 액세스를 허가하는 단계(320)를 포함한다. 표시에는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성 제한 분류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RESTRI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IEEE 802.16 프로토콜이라고도 부르는 와이맥스(WiMax) 프로토콜 등의 전기통신 프로토콜 하에서 제공되는 고정 서비스(Fixed Service), 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제한(mobility restriction)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Method and System for Mobility Restriction in Wireless Networks"란 명칭으로 2008년 7월 1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077,28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업자(또는 서비스 제공자)는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해서 자신이 가입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가입자 단말, 가입자, 가입자 유닛, 모바일 스테이션, 사용자 단말장치 등이라고도 함)의 이동성(mobility)을 제어할 필요가 있거나 제어하길 원할 수 있다. 단말기의 이동성을 제어하고자 하는 요구는 사업자에게 허가된 주파수 면허(spectrum license)와 관련된 규제(regulatory restriction) 때문에[고정 서비스(Fixed Service)의 경우] 생긴다. 예를 들어, 사업자는 이동성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이동성 서비스[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의 경우]를 제공하지 못하는 고정 서비스(Fixed Service) 전용 면허만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사업자의 통신에 사용되는 단말기의 이동성은 규범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단말기의 이동성을 제어하고자 하는 요구는 상업 광고에서, 예를 들어 사업자가 단말기의 이동성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차등 요금을 부과하는 등의 계층화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 때문에도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서비스(Fixed Service)에 해당하는 요금을 내는 가입자의 단말기는 이동성이 제한되며, 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에 해당하는 요금을 지불(통상적으로 더 많은 요금을 요구함)하는 가입자의 단말기는 이동성에 제한이 없을 수 있다.
단말기 또는 가입자가 서비스를 받는 지역(geographical area)은 코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내의 단말기(또는 가입자)의 프로파일에 설정될 수 있다. 고정 서비스(Fixed Service)의 경우, 단말기는 단일 지역, 통상적으로 단일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기지국(BS: base station), 송수신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이라고도 함]에서만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될 수 있으며, 노메딕 서비스(Nomadic Service)의 경우에는, 단말기가 여러 지역에서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되지만, 서비스와 세션은 단말기/가입자가 개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해 있는 동안에만 유지된다. 그러나 무선 주파수(RF) 또는 다른 부정적 조건 때문에, 통신 시스템이 이동성 제한 요건을 위반하지 않고도 단말기를 다른 AP로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행할 필요가 있는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다. 종래의 방법 및 시스템은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다양한 단말기(가입자 유닛이나 이동국이라고 함)에 대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이동성 제한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상기 언급한 그리고 그외 다른 문제점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해결되며, 기술적으로 유리한 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base station)의 동작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단말기(terminal)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의 인가(authorization) 요청을 컨트롤러(controller)에 발송하는 단계, 인가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가 인가를 받았다는 표시(indic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에 대해 액세스를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에는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성 제한 분류(mobility restriction classification)가 포함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단말기의 인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 및 인가(authorization) 장치를 질의(query)하는 단계, 질의에 응답하여, 단말기가 인가를 받았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 인가완료 메시지(terminal authorized message)를 기지국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에는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성 제한 분류가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단말기의 리다이렉션 요청(redirect request)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의 이동성 제한 분류와 연관된 로컬 리다이렉션 존(local redirection zone)과 리다이렉션 요청의 타겟(target)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리다이렉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이동성 제한 분류(mobility restriction classification)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리한 점은 상이한 이동성 제한 요건을 갖는 단말기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유연성(flexibility)이 크게 향상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유리한 점은 단말기에 대하여 이동성 제한이 투명하다는 점이다. 또한, 단말기에 대하여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유리한 점은 이동성 제한이 사업자 통신 시스템 장비 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보안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에 대하여 다소 개략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특징이나 장점에 대해서 이하 설명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개시된 개념과 특정의 실시예를, 본 발명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나 프로세스를 변경 또는 설계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이러한 등가의 구성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는 메시지 교환을 나타낸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는 기지국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는 기지국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조 및 사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매우 광범위한 구체적인 경우에 구현될 수 있는 적용가능한 많은 독창적 개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조 및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인 경우, 즉 WiMAX에 기초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들어 기재한다. 본 발명은 IEEE 802.16 등과 같은 다른 통신 표준에 적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기(terminal; 간단히 "TE"라고 함)(105),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간단히 "BS"라고 함)(110, 111, 112), 및 기지국 컨트롤러(base station controller; 간단히 "BSC"라고 함)(115)를 포함한다. TE(105)는 BS(110)에 의해 무선으로 관할을 받는다. BS(110)는 TE(105)에 전송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E(105)에 전송 기회를 허가할 수 있다. TE(105)는 전송 기회 동안 BS(110)에 대하여 전송을 행할 수 있다. TE(105)와의 통신은 BS(110)를 통해 이루어진다. TE(105)가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BS(110)와 서비스를 개시하면, BS(110)를 TE(105)에 대한 개시 액세스 포인트(initial point of access)라고 할 수 있다.
BSC(115)는 BS에 접속될 수 있으며, 채널의 할당, 핸드오프의 제어 등과 같은 동작을 책임질 수 있다. 또한, BSC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과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 및 과금(accounting) 서버, 정보 및 데이터 서버, 멀티미디어 서버, 다른 유선 및 무선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없는 서비스 및 장치에서 TE와 BS 간의 중재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TE(105)가 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를 갖는 경우, TE(105)가 주변으로 이동함에 따라, TE는 BS(110)의 서비스 구역을 벗어날 수 있으며, 다른 BS(112)의 서비스 구역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핸드오프(handoff)가 이루어지며, TE(105)는 BS(110) 대신에 BS(112)가 관할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핸드오프는 BS(110)에 의해 개시될 수 있지만, 어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TE(105)가 핸드오프를 원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b는 TE(105)가 BS(110) 대신에 BS(112)에 의해 관할되는 구역으로 이동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TE(105)는, 고정 서비스(Fixed Service) 또는 노매딕 서비스(Nomadic Service)를 갖는 경우, 이동이 계속 가능하지만, 자신의 개시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구역을 빠져나갈 때에 다른 BS로 핸드오프 되지 않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TE(105)는 BS(110)[TE(105)에 대한 개시 액세스 포인트]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F 또는 다른 부정적 조건에 의해, TE(105)에 완전한 이동성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사업자로 하여금 TE(105)가 다른 BS로 리다이렉션(또는 핸드오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개시 액세스 포인트[BS(110)]에서의 스포티 커버리지(spotty coverage)에 의해, 소정의 지역 내에서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BS(111)가 양호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TE(105)는 BS(110)에 바로 인접한 BS(111)와 리다이렉션에 참여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TE(105)가 리다이렉션할 수 있는 제한된 커버리지 영역은 로컬 리다이렉션 존(local redirection zone)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c는 TE(105)가 BS(110) 및 BS(111)를 포함하는 로컬 리다이렉션 존(120)에 제한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BS에 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리다이렉션에 참여하는 TE가 고정 서비스(Fixed Service) 또는 노메딕 서비스(Nomadic Service)를 갖는 경우라도, 다른 BS로의 리다이렉션이 허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BS의 리스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TE가 어떠한 BS로도 리다이렉션될 수 없는 경우에, 그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단일의 BS, 즉 개시 액세스 포인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TE가 하나 이상의 다른 BS로의 리다이렉션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로컬 리다이렉션 존이 둘 이상의 BS, 즉 TE의 개시 액세스 포인트 및 다른 하나의 BS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TE가 이동성 서비스를 갖는 경우에는, 로컬 리다이렉션 존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는 모든 BS의 리스트를 포함하거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이 없을 수 있다.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BS에 대해 정의될 수 있으며 해당 BS에 의해 관할되는 TE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TE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 동안 액세스 가능한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가동되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각각의 BS에 대한 로컬 리다이렉션 존이 검색되어 각각의 BS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여러 레벨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는 상이한 레벨의 서비스에 대해 BS마다 여러 개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서비스(Fixed Service)의 경우,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BS만을 포함한다. 이동성 서비스 레벨 1(Mobility Service level 1)의 경우,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하나 또는 2개의 BS를 포함한다. 이동성 서비스 레벨 2(Mobility Service level 2)의 경우,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몇 개의 B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성 서비스 레벨 3(Mobility Service level 3)의 경우,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추가로 몇 개의 BS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완전 이동성 서비스(Full Mobility Service)는 로컬 리다이렉션 존을 갖지 않거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모든 BS를 포함하는 로컬 리다이렉션 존을 갖지 않을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동안, BS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추가되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갱신될 수 있으며,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대한 모든 변경이 BS에 제공되는 갱신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BS 부근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신규 BS가 추가되면, 신규 BS는 기존의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추가될 수도 있고 추가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존의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신규 BS가 추가되면, 기존의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기존의 BS 뿐만 아니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수정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BS가 서비스로부터 제거되면, BS의 제거에 의해 영향을 받는 BS의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및 로컬 리다이렉션 존이 갱신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200)에서의 메시지 교환을 나타낸다. 동작(200)은 와이맥스(WiMAX)에 적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동작, 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TE에 대한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200)은 TE(105)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처음에 진입할 때 또는 TE의 행동에 의해 리다이렉션 또는 핸드오프가 생길 때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200)은 TE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진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TE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진입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E는 BS(110)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이벤트 1(250)]. TE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작동을 시작할 때에, 무선 통신 시스템에 진입할 수 있으며, 만료 또는 종료된 무선 통신 시스템과 이전에 확립한 서비스를 재확립하는 시도를 행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로밍된다.
BS가 TE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BS는 TE에 대한 인증/인가 요청을 BSC(115)에 발송할 수 있다[이벤트 2(255)]. BSC에 전송된 인증/인가 요청에는, TE의 식별자, BS의 식별자, 및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BS가 가지고 있는 경우)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BSC는 인증/인가 질의에 의해 TE에 관하여 AAA 서버(205)(또는 일부 다른 인증/인가 서버)에 질의를 행한다. 인증/인가 질의가 성공하면, 즉 TE의 아이덴티티가 인증되고 TE가 서비스를 받을 권한을 가지면, AAA 서버는 TE에 대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BSC에 전송할 수 있다[이벤트 4(265)]. 가입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정보는, TE가 고정(Fixed)/노메딕 서비스(Nomadic Service) 또는 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 단말기 중 어떤 것인지에 대한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성 서비스의 다수의 레벨이 구현되면, 상기 분류에는 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의 TE의 레벨이 포함될 수 있다. 가입자 프로파일은 TE의 우선순위, 서비스 데이터 요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E의 분류는 이동성 제한이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과 로컬 리다이렉션 존이 사용 중이라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TE의 분류는 해당 TE에 대하여 세션 연속성이 가능한지 아니면 가능하지 않은지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BSC는 TE의 인증/인가가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BS에게 알려줄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에 따라, BS가 리다이렉션(핸드오프)을 수행하면, BSC는 TE의 분류(classification)를 BS에 제공할 수 있다. BSC가 리다이렉션(핸드오프)을 수행하면, BSC는 TE의 분류를 BS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BSC는 TE의 TE의 우선순위, 서비스 데이터 요금 등을 포함해서, 가입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다른 정보를 BS에 제공할 수 있다.
BS는 TE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완료할 수 있다[이벤트 6(275)]. 서비스 요청을 완료하면, TE는 전송을 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송 기회가 허가될 수 있다(이들 두가지 모두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초할 수 있음). BS는 TE의 개시 액세스 포인트가 된다.
TE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면, TE에 의해 개시된 과정에 의해 타겟 BS로의 리다이렉션(핸드오프)을 위한 요청이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TE에 의해 개시되는 행위가 리다이렉션을 위한 요청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TE 스스로는 리다이렉션을 위한 요청을 개시할 수 없다. BSC(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에 따라 BS가 될 수 있음)의 리다이렉션 컨트롤러는 리다이렉션 요청을,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과 비교하고, 타겟 BS가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있는 경우에만 리다이렉션 요청을 허가할 수 있다. 타겟 BS가 TE의 개시 액세스 포인트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없으면, 리다이렉션 요청은 거부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이벤트 7(280)].
타겟 BS가 TE의 개시 액세스 포인트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있으면, BSC는 리다이렉션 요청을 허가할 것이다. BSC가 리다이렉션 요청을 허가하면, BSC는 세션 연속성이 TE에 대해 인에이블 상태인지 디스에이블 상태인지에 따라, 세션을 유지하거나 세션 재확립을 트리거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이벤트 2(265)에서 BS로부터 BSC에 의해 취득되거나, 미리 구성되거나, BS의 식별자를 사용해서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도 3은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는 BS의 동작(3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BS의 동작(300)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BS(110)에서 생기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BS의 동작(300)은 TE(105)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처음 진입할 때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 동안에 이루어질 수 있다.
BS의 동작(300)은 BS가 TE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블록 305). TE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은 TE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TE에 대한 식별자는 TE를 인증/인가의 식별에 사용될 수 있다. BS는 TE 인증/인가 요청을 BSC(115)에 전송할 수 있다(블록 310). TE 인증/인가 요청에는 TE의 식별자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BS가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면, BS는 TE 인증/인가 요청에 로컬 리다이렉션 존을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
BS는 BSC로부터 TE 인증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블록 315). TE 인증완료 메시지는 TE의 우선순위, 서비스 데이터 요금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S가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는 다른 예로서, TE 인증완료 메시지는 TE의 분류[고정 서비스(Fixed Service) 또는 노메딕 서비스(Nomadic Service), 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 이동성 서비스 레벨(Mobility Service level) 등]를 포함할 수 있다. TE의 분류는 BS가 필요에 따라 TE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BS는 TE 서비스 요청을 완료할 수 있다(블록 320). BS가 TE 서비스 요청을 완료하면, BS는 TE의 개시 액세스 포인트가 되고, BS의 동작(300)이 종료한다.
도 4는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는 BSC의 동작(4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BSC의 동작(400)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BSC(115)에서 생기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BSC의 동작(400)은 TE(105)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처음 진입할 때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 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BSC의 동작(400)은 BSC가 BSC(110)로부터 TE 인증/인가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블록 405). TE 인증/인가 요청은 TE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처음 진입할 때에 TE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의 결과로서 생길 수 있다. TE 인증/인가 요청은 식별자와 같은 TE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일례로, TE 인증/인가 요청은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을 포함할 수 있다.
BSC는 TE 인증/인가 요청을 AAA 서버(또는 다른 인증/인가 서버)에 전송한다(블록 410). TE 인증/인가 요청은 TE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BSC는 AAA 서버로부터 TE 인증/인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TE 인증/인가 요청은 TE에 대한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 415). TE에 대한 프로파일은 TE에 대한 분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TE에 대한 분류는 TE의 이동성 서비스, 고정/노메딕 서비스(Fixed/Nomadic Service) 또는 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를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TE에 대한 프로파일은 TE의 이동성 서비스가 Mobility Service인 경우에, 이동성 서비스 레벨(Mobility Service level)을 포함할 수 있다. BSC는 TE 인증완료 메시지를 BS에 전송하고(블록 420), BSC의 동작(400)이 종료된다.
도 5는 이동성 제한을 구현하는 BSC의 동작(5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BSC의 동작(500)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BSC(115)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BSC의 동작(50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다이렉션을 행하는 TE(105)의 동작으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 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BSC 동작(500)은 BSC가 BS(110)로부터 리다이렉션(핸드오프)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블록 505). 리다이렉션 요청은 TE에 의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E는 주변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TE가 BS(110)의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 새로운 BS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할 때에, 관할하는 BS로 하여금 리다이렉션 요청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BSC(예를 들어, BSC 내에서 동작하는 리다이렉션 컨트롤러)는 신규 BS의 로컬 리다이렉션 존을 가진 신규 BS와 이러한 리다이렉션이 진행하도록 허용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TE 프로파일 정보를 비교한다(단계 510). 예를 들어, BSC는 로컬 리다이렉션 존(있다는 가정하에) 내의 허용가능한 BS의 리스트와 신규 BS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성 서비스 레벨(Mobility Service levle)이 구현되는 경우, BSC는 허용가능한 BS의 적절한 리스트를 판정하기 위해 TE 프로파일 내의 TE 이동성 서비스 레벨(Mobility Service level)을 이용할 수 있다.
신규 BS가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없다면, BSC는 BS로부터의 리다이렉션 요청을 차단할 것이다(블록 515). 리다이렉션 요청이 차단되면, TE는 BS(110)에 계속 유지되며, TE가 계속해서 BS(110)의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면, TE는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된다. 신규 BS가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있다면, BSC는 BS로부터의 리다이렉션 요청을 허용하고(블록 520), 리다이렉션을 진행할 것이다. BSC 동작(500)은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장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공정, 머신, 제조, 조성물, 수단, 방법 및 단계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상세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존 또는 향후 개발될 공정, 머신, 제조, 조성물, 수단, 방법 및 단계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이러한 공정, 머신, 제조, 조성물, 수단, 방법 및 단계가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기지국(base station)의 동작을 위한 방법으로서,
    단말기(terminal)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인가(authorization) 요청을 컨트롤러(controller)에 발송하는 단계;
    상기 인가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가 인가를 받았다는 표시(indic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해 액세스를 허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에는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성 제한 분류(mobility restriction classification)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세션 연속성 값(session continuity value)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 요청은 상기 기지국에 대한 로컬 리다이렉션 존(local redirection zone)을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분이며, 상기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에 의해 구성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리다이렉션 존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한 분류는 고정 서비스 표시자(Fixed Service indicator)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한 분류는 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 표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는 상기 기지국과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IEEE 802.16 프로토콜에 적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분인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와이맥스(WiMAX) 프로토콜에 적합한(compliant) 것인,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단말기의 인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 및 인가(authorization) 장치를 질의(query)하는 단계;
    상기 질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가 인가를 받았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 인가완료 메시지(terminal authorized message)를 상기 기지국에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에는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성 제한 분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세션 연속성 값(session continuity value)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가 인가를 받지 못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가완료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성 제한 분류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가완료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세션 연속성 값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이동성 제한 분류(mobility restriction classification)를 갖는 단말기의 리다이렉션 요청(redirect request)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제한 분류와 연관된 로컬 리다이렉션 존(local redirection zone)과 상기 리다이렉션 요청의 타겟(target)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리다이렉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다이렉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이 상기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위치한다는 판정에 따라 상기 리다이렉션 요청을 허가(grant)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이 상기 로컬 리다이렉션 존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따라 상기 리다이렉션 요청을 거부(deny)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다이렉션 요청은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성 제한 분류에 기초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상기 이동성 제한 분류에 의해 상기 단말기가 이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를 가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판정에 기초해서 상기 리다이렉션 요청을 허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세션 연속성 값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연속성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해서, 리다이렉션 동안 세션을 유지하거나 세션을 재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29903A 2008-07-01 2009-07-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8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28808P 2008-07-01 2008-07-01
US61/077,288 2008-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655A true KR20110038655A (ko) 2011-04-14

Family

ID=4146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903A KR20110038655A (ko) 2008-07-01 2009-07-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28599B2 (ko)
KR (1) KR20110038655A (ko)
WO (1) WO2010002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2181A4 (en) * 2009-12-07 2015-12-09 Fujitsu Lt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TRANSFER EXECUTION METHOD
US9426696B2 (en) 2010-08-24 2016-08-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s, apparatuses, system,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over procedures
US20120157049A1 (en) * 2010-12-17 2012-06-21 Nichola Eliovits Creating a restricted zone within an operating system
CN102202411B (zh) 2011-06-01 2013-10-0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数据的调度方法及相关设备
US20140018076A1 (en) * 2012-07-16 2014-01-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high mobility users in wireless networks
CN107690149B (zh) * 2016-08-04 2019-12-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触发网络策略更新的方法、管理功能实体及核心网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8260B2 (en) * 2003-04-02 2007-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ccess network (AN) authentication
US7343158B2 (en) * 2003-04-16 2008-03-11 Nortel Networks Limited Home agent redirection for mobile IP
US7602918B2 (en) * 2005-06-30 2009-10-13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distributing security keys during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54942B2 (en) * 2006-04-03 2009-06-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Geographical restriction of services in a packet dat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086235B2 (en) * 2006-12-06 2011-12-27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mobility in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2629A1 (en) 2010-01-07
US8428599B2 (en) 2013-04-23
WO2010002967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6989B2 (en) Controlling and enhancing handoff between wireless access points
US11564158B2 (en) Service provider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81198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reation of associ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an access point
CN112913283A (zh) 配置路由选择策略
JP4624785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インターワーキング機能
US20200099697A1 (en) Secure group creation in proximity based service communication
EP1993309A1 (en) Method and Structures for Mobility Policy in a WiMAX communications system
KR20110091305A (ko) Mocn에서 긴급 호를 위한 plmn 선택 방법 및 장치
US20160219625A1 (en) Method for detecting camp-on and camp-off of mobile terminal for zone based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21082527A1 (zh) 通信方法、系统以及基站、终端
KR2011003865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7490A (ko) 수동 로밍 및 데이터 이용권
CN114071656A (zh) 支持独立非公共网络的网络选择方法及装置
US9078199B2 (en) Methods and user equipments for granting a first user equipment access to a service
EP2269405A2 (en) Restricting handover of a mobile station
KR101460766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기능을 이용한 보안설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60337922A1 (en) RAN-WLAN Traffic Steering
EP2092714B1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HANDOVER AND AUTHENTICATION IN A PACKET DATA NETWORK
US109590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private network services
US11564193B2 (en) Authentication in public land mobile networks comprising tenant slices
US201000144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ultiple Mobility Profiles per Subscriber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22171099A1 (zh) 用户设备移动性管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61999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전 인증 방법 및 시스템
GB2458102A (en) Providing authorised access to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100) via an access point using the transmitted ident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EP3416438B1 (en) Enhanced management of the access of a user equipment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