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061A -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061A
KR20110037061A KR1020090094317A KR20090094317A KR20110037061A KR 20110037061 A KR20110037061 A KR 20110037061A KR 1020090094317 A KR1020090094317 A KR 1020090094317A KR 20090094317 A KR20090094317 A KR 20090094317A KR 20110037061 A KR20110037061 A KR 2011003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voltage value
voltage
changed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태
강원석
조영남
홍용승
최연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061A/ko
Publication of KR2011003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2Measuring effective values, i.e. root-mean-square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장치의 외부 기기 인식 방법은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내에 포함되는 타이머 기능의 코드를 실행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전압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 값이 변경되면,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 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압 값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기, 장치, 외부 기기, 인터럽트

Description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기기 연결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서 외부 기기의 연결을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연결 단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외부 기기를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되는 휴대 단말기는 여러 종류의 외부 기기가 연결 가능한 연결 단자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를 동일한 연결 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 기기를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에 연결하면, 휴대 단말기는 연결된 외부 기기를 인식하게 된다.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 내부에 전압 비교기(voltage comparator)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사용자가 외부 기기를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전압 비교기가 발생하는 하드웨어 인터럽트(hardware interrupt)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는 외부 기기의 연결 인식을 위한 전압 비교기가 설치되며, 이어 폰 등의 외부 기기에 부착된 리모콘의 동작 인식을 위해 또 하나의 전압 비교기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압 비교기의 설치는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며, 전압 비교기에 인가하는 바이어스(Bias) 전압과 소모 전류로 인해 배터리 전력이 낭비되며, 논리 회로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낳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압 비교기 없이도 외부 기기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장치의 외부 기기 인식 방법은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내에 포함되는 타이머 기능의 코드를 실행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전압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 값이 변경되면,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 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압 값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타이머 기능이 코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및 외부 기기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전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머 기능의 코드를 실행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전압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압 값이 변경되면,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전압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값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외부 기기 목록을 통해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판단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전압 비교기 설치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압 비교기에 인가하는 바이어스(Bias) 전압과 소모 전류를 낮춰 배터리 전력을 아낄 수 있고, 논리 회로 설계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기기가 연결 가능한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외부 기기가 연결 가능한 연결 단자를 구비하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가 연결 가능한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200)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200)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적용되는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200)를 도시하였으며, 그 외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생략하였다. 휴대 단말기(100)는 외부 기기 연결부(110), A/D 변환기(120), 저장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외부 기기(200)는 제2연결핀(pin)(201)과 제2저항(R2)(202)을 포함한다.
외부 기기 연결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200)를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에 해당한다. 외부 기기 연결부(110)는 제1연결핀(pin)(111), 제1저항(R1)(112) 및 전원(voltage source)(Vdd)(1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기기 연결부(110)를 구성하는 저항으로 제1저항(R1)(112)만을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저항들이 외부 기기 연결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연결핀(111)은 외부 기기(200)의 제2연결핀(201)과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제1연결핀(111)은 휴대 단말기(100)의 기기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핀 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연결핀(201)은 제1연결핀(111)과 결합 가능한 형태의 핀수를 가져야 한다. 제1연결핀(111)과 제2연결핀(201)이 결합되면, 제1연결핀(111)에 연결된 회로와 제2연결핀(201)에 연결된 회로가 서로 연결된다. 제1저항(R1)(112)은 보조 저항에 해당하며, 전원(Vdd)(113)은 A/D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120)의 입력 단자에 전압을 인가한다.
A/D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120)는 연속적인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를 부호화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A/D 변환기(120)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입력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고 출력 단자에서 ADC 값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D 변환기(120)는 전원(Vdd)(113)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ADC값으로 변환한다. ADC값은 A/D 변환기(120)의 비트 수 설정에 따라 값의 범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비트(bit) 수가 10으로 설정된 경우, ADC값은 '0'에서 '1023'까지의 값의 범위를 갖게 된다. 이 경우, A/D 변환기(120)는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0'에서 '1023' 사이의 ADC값으로 변환하게 된다. 예를 들어, A/D 변환기(120)는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최소 전압을 '0'으로 변환하며, 최대 전압을 '1023'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200)가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기 전에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는 최대 전압이 인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압은 전원(Vdd)(113)의 전압에 해당한다. 이 때, A/D 변환기(120)는 최대 전압을 ADC값으로 변환하며, 비트 수가 '1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A/D 변환기(120)는 '1023'의 ADC값을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D 변환기(120)는 제어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되며, 제어부(140)는 직접 외부 기기 연결부(110)와 연결된다. 외부 기기 연결부(110)의 전원(Vdd)(113)은 제어부(140)에 포함된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전압을 인가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14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의 구체적인 특징은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장부(130)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인 프로그램 저장부(131)와 데이터 저장 영역인 데이터 저장부(132)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31)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133)를 저장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33)는 하드웨어(hardware)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및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즉, 디바이스 드라이버(133)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하드웨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 및 상호동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드라이버(133)는 휴대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계층들(OSI 7 layer 기준으로 제1계층 내지 제7계층) 중 제1계층인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드라이버(133)는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200) 각각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코드(code)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외부 기기 1 코드', '외부 기기 2 코드' 등은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200)와 휴대 단말기(100)와의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코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드라이버(133)는 '타이머(timer) 코드'를 포함한다. '타이머 코드'는 A/D 변환기(120)로부터 출력되는 ADC값에 변경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구현된 코드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드라이버(133)는 외부 기기(200)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탈착되었을 때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지원하는 코드인 '기기 탈착 동작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132)는 외부 기기 목록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외부 기기 목록은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A/D 변환기(120)가 출력하는 ADC값과 이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정보로 구성되는 외부 기기 리스트에 해당한다. 외부 기기 목록은 제어부(140)가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200)의 종류를 판단하는데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저장부(131)에 저장된 디바이스 드라이버(133)에 포함된 코드들 중 타이머 코드를 실행한다. 제어부(140)는 타이머 코드에 설정된 주기로 A/D 변환기(120)로부터 출력되는 ADC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0)가 ADC값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외부 기기(200)가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외부 기기(200)가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면, 제어부(140)는 ADC값을 측정한다. 제어부(140)는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된 외부 기기 목록을 통해 측정된 ADC값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200)를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33)에 포함된 코드들 중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200)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시켜 외부 기기(200)와 휴대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200)가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설정된 주기로 ADC값 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를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에 의해 ADC값이 변경되면, ADC값이 최대 전압에 해당하는 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외부 기기(200)가 탈착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33)에 저장된 코드들 중 기기 탈착 동작 코드를 실행한다. 제어부(140)는 기기 탈착 동작 코드를 실행하여 외부 기기(200)가 탈착된 상태의 휴대 단말기(100)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기기(20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 가능한 기기로서, 이어폰, 데이터 케이블, 충전기, 리모콘 등이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200)는 제2연결핀(201)과 제2저항(R2)(202)을 포함한다. 제2연결핀(201)은 휴대 단말기(100)의 제1연결핀(111)과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제1연결핀(111)과 제2연결핀(201)이 결합되면, 제1연결핀(111)에 연결된 회로와 제2연결핀(201)에 연결된 회로가 서로 연결된다. 제2저항(R2)(202)은 ID(identification)저항으로서, 외부 기기(200)의 종류를 구별하는 식별자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제2저항(R2)(202)은 외부 기기(200)의 종류마다 고유의 저항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저항(R2)(202)은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규격에 따른 고유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외부 기기(2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제2저항(R2)(202)값에 따라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경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200)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외부 기기(200) 인식 과정은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기기(2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는 기 설정된 전압 값의 범위 중에서 최대값(전원(Vdd)(113)의 전압값)이 인가되어 있다.
301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저장부(131)에 저장된 디바이스 드라이버(133)에 포함된 코드들 중 타이머 코드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코드는 A/D 변환기(120)로부터 출력되는 ADC값이 변경되는지 또는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값이 변경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구현된 코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코드에는 ADC값 또는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값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가 설정되어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33)에 포함되는 타이머 코드의 예시는 표 1과 같다.
[표 1]
clk_def(&earjack_check_cb);
// earjack_check_cb 이란 명칭으로 타이머를 정의
clk_reg(&earjack_check_cb,(void(*)())earjack_periodic_check,25L,25L,TRUE);
// 처음 25msec 후에 주기적으로 25msec 단위로 earjack_periodic_check 함수를 실행함.

void earjack_periodic_check(void)
{
EAR_ADC_TEST = bEar(); //bEar() 함수는 ADC값의 변경을 판독하는 Boolean 함수

if(EAR_ADC_TEST!=OLD_EAR_ADC_TEST) // 만약 상태 변화가 있으면
{
(void) rex_set_sigs( &hs_tcb, HS_EXTERNAL_DEVICE_DETECT_SIG );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인식
}

OLD_EAR_ADC_TEST = EAR_ADC_TEST;
}
표 1의 코드에는 타이머가 정의('earjack_check_cb')되어 있으며, 타이머가 설정된 주기(25msec)마다 ADC값의 변경을 판독하는 함수('bEar()')를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DC값의 변경을 판독하는 함수는 불린 함수(Boolean function)에 해당할 수 있다. 표 1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33)에 포함된 타이머 코드를 실행하고, 302단계에서 설정된 주기(25msec)마다 ADC값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40)가 A/D 변환기(120)로부터 출력되는 ADC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40)는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외부 기기(200)가 휴대 단말기(100)에 제1연결핀(111) 및 제2연결핀(201)을 통해 연결되면,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값이 변경된다. 변경되는 전압값은 외부 기기(200)의 제2저항(R2)(202)의 저항값에 따라 달라진다. A/D 변환기(120)는 최대 전압의 ADC값을 출력하다가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값이 변경되면 변경된 전압값에 해당하는 ADC값을 출력하게 된다. 303단계에서 ADC값이 변경되면, 304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200)가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었다고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302단계에서 ADC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며, 구체적인 ADC값은 측정하지 않는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40)는 ADC값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A/D 변환기(120)로부터 ADC값을 수신하여 ADC값을 측정하게 된다. 이어 306단계에 서 제어부(140)는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된 외부 기기 목록에 관한 데이터를 통해 측정된 ADC값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200)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목록은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A/D 변환기(120)가 출력하는 ADC값과 이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목록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도 4는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규격에 따른 외부 기기 목록의 예시에 해당한다. 도 4에는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과 이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가 표시되어 있다. A/D 변환기(120)의 입력 전압이 0에서 0.2(V)에 해당하는 경우, A/D 변환기(120)는 상기 입력 전압을 ADC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하고, 제어부(140)는 비-지능형(non-intelligent) 오디오 기기가 외부 기기(200)로 연결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비-지능형 오디오 기기에는 이어 마이크(ear mic), 이어 스피커(ear speak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D 변환기(120)는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ADC값으로 변환하고, 제어부(140)는 변환된 ADC값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200)를 외부 기기 목록에서 확인한다.
307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저장부(131)에 저장된 디바이스 드라이버(133)에 포함되는 코드들 중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외부 기기(200)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가 휴대 단말기(100)에 비-지능형 오디오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디바이스 드라이버(133)에 포함된 비-지능형 오디오 기기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시켜 휴대 단말기(100)와 비-지능형 오디오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307단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설정된 주기로 ADC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외부 기기(20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된 상태이며,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값 또는 ADC값은 외부 기기(200)의 제2저항(R2)(202)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외부 기기(200)가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값 또는 ADC값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때,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를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분리하면 A/D 변환기(120)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최대 전압(fulll scale)으로 복구된다. 제어부(140)는 ADC값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하며, ADC값이 최대 전압에 대한 값(예를 들어, 10비트의 경우에 1023(full scale))에 해당함을 확인하면 외부 기기(200)가 탈착되었다고 판단한다. 이어 제어부(140)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33)에서 기기 탈착 동작 코드를 실행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200)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탈착되었을 때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지원하는 코드인 기기 탈착 동작 코드를 실행하여 외부 기기(200)가 탈착된 상태의 휴대 단말기(100)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내에 타이머 코드가 구현되어 있으며, 타이머 코드를 실행하여 주기적으로 ADC값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외부 기기의 연결 또는 탈착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 연결 또는 탈착의 인식을 위한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전압 비교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생산 단가를 절약할 수 있으며, 회로 설계도 간단해진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가 연결 가능한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200)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200)의 연결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목록의 예시를 나타낸다.

Claims (7)

  1.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장치의 외부 기기 인식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내에 포함되는 타이머 기능의 코드를 실행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전압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압 값이 변경되면,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압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 값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기기 인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전압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압 값이 변경되면, 상기 전압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 값이 기설정된 전압 값의 범위 중 최대값에 해당할 때, 외부 기기의 탈착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의 탈착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기기 인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전원(voltage source), 상기 외부 기기와 결합하는 연결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기기 인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값 변경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전압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은 기 설정된 전압 값의 범위 중 최대값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기기 인식 방법.
  5.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부;
    타이머 기능이 코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및 외부 기기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전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머 기능의 코드를 실행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전압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압 값이 변경되면,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전압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값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외부 기기 목록을 통해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판단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한 후,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전압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압 값이 변경되면, 상기 전압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값이 기설정된 전압 값의 범위 중 최대값에 해당할 때, 외부 기기의 탈착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외부 기기의 탈착에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전원(voltage source), 상기 외부 기기와 결합하는 연결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94317A 2009-10-05 2009-10-05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37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17A KR20110037061A (ko) 2009-10-05 2009-10-05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17A KR20110037061A (ko) 2009-10-05 2009-10-05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061A true KR20110037061A (ko) 2011-04-13

Family

ID=4404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317A KR20110037061A (ko) 2009-10-05 2009-10-05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0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172B1 (ko) * 2020-06-10 2021-01-1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의 전원 분배장치 및 전원 분배방법
WO2023224143A1 (ko) * 2022-05-17 2023-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172B1 (ko) * 2020-06-10 2021-01-1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의 전원 분배장치 및 전원 분배방법
WO2023224143A1 (ko) * 2022-05-17 2023-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9687C (zh) 具有多用途耳机插口的便携式终端
CN104081368B (zh) 移动设备自动检测装置和方法
KR101729106B1 (ko) 모바일 기기
WO2014094295A1 (zh) 电源供电方法及装置
US926872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device thereof,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202127B1 (en) Electronics interface for device headset jack
EP2632177A1 (en) Electronic device, accessory,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ccessory
CN100371728C (zh) 用于识别电池正确性的识别系统及其方法
KR102091508B1 (ko)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CN103208829A (zh) 用于终端的电池充电控制的方法和系统
US20060223579A1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and data transfer system
JPH11127110A (ja) 移動通信端末機のバッテリ寿命延長方法
JP2012205007A (ja) 入出力回路
CN105187631A (zh) 基于耳机接口的智能终端按键设备及其控制方法
CN107770759A (zh) 蓝牙语音链路的建立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WO2019182350A1 (ko) 전자 장치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속성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력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10711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KR20110037061A (ko)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1517166A (ja) バッテリの取り外し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2860501B (zh) 检测方法、检测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4969568B (zh) 用于检测耳机按键动作的电路、终端及耳机
CN215300886U (zh) 实现tws耳机防止仓内按键误触电路及蓝牙耳机
CN103312842A (zh) 用于附件检测和控制的终端、附件及系统
CN112710893B (zh) 电子设备和底电流测试设备
KR2006004420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