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518A -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전력소모 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전력소모 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518A
KR20110036518A KR1020100095880A KR20100095880A KR20110036518A KR 20110036518 A KR20110036518 A KR 20110036518A KR 1020100095880 A KR1020100095880 A KR 1020100095880A KR 20100095880 A KR20100095880 A KR 20100095880A KR 20110036518 A KR20110036518 A KR 20110036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erminal
message
downlink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525B1 (ko
Inventor
이경석
김재흥
노태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8268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3651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03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6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8Automatic changing of the traffic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L5/26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combined with the use of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28/026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involving mapping traffic to individual bearers or channels, e.g. traffic flow template [T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2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in packet switch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according to average transmission signal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electively disabling softwar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04W52/028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with sequential power up or power down of successive circuit blocks, e.g. switching on the local oscillator before RF or mixer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와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로 이루어진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멀티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DRX 파라메터 그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하나의 파라메터 그룹 값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를 동일한 파라메터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은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의 멀티 캐리어 제어를 위한 시그널링을 줄여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절차를 단순화시킴으로써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전력소모 감소 방법{Methods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User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component carrier}
본 발명은 3GPP에서 표준화 중인 LTE-Advanced 시스템이 복수 개의 캐리어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조에서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멀티 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의 전력소모 감소 동작(DRX: Discontinuous Reception)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인 3GPP는 차세대 이동통신 규격 개발을 위하여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규격을 개발하였다. 또한, ITU-R에서 제안한 IMT-Advanced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LTE 규격을 확장한 LTE-Advanced 시스템 규격을 개발하고 있다.
LTE 규격은 이동통신을 위한 최대 무선 대역폭을 20MHz까지 지원하며, LTE-Advanced 규격은 최대 100MHz 대역폭을 지원하도록 대역폭 통합(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100MHz 대역폭은 최대 20MHz 크기의 캐리어(Component Carrier)로 구분하고, 기지국과 단말기는 복수 개의 캐리어를 동시에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대역폭 통합 구조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는 복수 개의 무선 채널을 광대역으로 수신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어 절차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멀티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DRX 파라메터 그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파라메터 그룹 값을 수신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를 동일한 파라메터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모든 캐리어가 동일하게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는 자신의 캐리어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을 해석하여 해당 데이터 채널을 복조하는 단계와, On Duration 동작을 유지하여 다음 서브프레임 시간에 새로운 제어 채널이 수신되기를 기다린 후, Inactivity Timer 시간까지 새로운 제어 채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슬립(sleep) 동작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에 캐리어 지시자(Carrier Indicator; CI)가 포함된 경우에는 캐리어 번호에 해당하는 캐리어의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에게 타 캐리어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Short DRX Cycle에서 Long DRX Cycle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 상기 단말기에게 타 캐리어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Long DRX Cycle에서 Short DRX Cycle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 상기 단말기에게 타 캐리어 송수신 동작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 및 상기 단말기에게 타 캐리어 송수신 동작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Long DRX period 상태일 때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PDSCH)을 복조하여 Short DRX period로의 상태 변경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Long DRX period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상기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Long DRX period 상태일 때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PDSCH)을 복조하여 데이터의 종류가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Long DRX period를 계속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Short DRX period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기지국이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하였지만 단말기의 버퍼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 기지국이 상향링크 시간 동기 유지를 위하여 상향링크 송신을 요청한 경우, 기지국이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탐색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송신을 요청한 경우 및 기지국이 하향링크 채널 상태 보고를 요청한 경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서 복수 개의 캐리어를 제어하도록 하는 설정(configur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설정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설정 메시지에서 설정하도록 지시된 해당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에 사용하지 않고 대기한 후 캐리어 활성화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캐리어 활성화(activation) 메시지에서 활성화를 지시하는 해당 캐리어를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에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은 상기 캐리어 활성화(activ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며,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활성화 캐리어 번호, 비활성화 캐리어 번호, 활성화 식별자 및 비활성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하나의 데이터 채널에 복수 개의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저장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된 캐리어에 대해 상기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은 비활성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활성화 절차는 하향링크 캐리어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활성화 절차는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에 연동하여 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해 활성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에 연동하여 수행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활성화 절차는 상기 단말기에서 하향링크 캐리어가 활성화 지시를 받으면 상기 활성화 지시를 받은 해당 하향링크 캐리어에 매핑된 상향링크 캐리어를 활성화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에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설정 절차 메시지에 하향링크 캐리어와 연동되는 상향링크 캐리어의 매핑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와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로 이루어진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서 설정 메시지(configuration message)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에서 캐리어 활성화(activ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 메시지는 하향링크 캐리어와 연동되는 상향링크 캐리어간의 캐리어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에서 지시하는 하향링크 캐리어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매핑 정보를 상기 설정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단말기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에 연동되어 상기 상향링크 캐리어가 묵시적(implicitly)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향 링크 캐리어는 하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에 연동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매핑은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와 상기 상향링크 캐리어의 개수가 다르게 매핑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와 상기 상향링크 캐리어의 개수가 다르게 매핑되는 경우, 상기 캐리어 매핑 정보를 상기 설정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단말기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에 연동되어 상기 상향링크 캐리어가 묵시적(implicitly)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메시지는 추가되는 세컨더리 셀의 개수 및 멀티 캐리어(SCC)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MAC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MAC 제어 메시지내의 데이터 채널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상기 MAC 제어 메시지내의 데이터 채널에 복수 개의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저장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기 MAC 제어 메시지는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은 데이터 채널 헤더, 상기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 트래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캐리어에 대해 상기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은 캐리어 비활성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및 SRS의 송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의 멀티 캐리어 제어를 위한 시그널링을 줄여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절차를 단순화시킴으로써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간략화된 제어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호 처리 절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전력소모 감소(DRX)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I (Carrier Indicator)를 사용하는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DRX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Short DRX Cycle에서 Long DRX Cycle로 천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Long DRX Cycle에서 Short DRX Cycle로 천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의 캐리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의 캐리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기지국이 단말기로 송신하는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을 말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캐리어 통합(Carrier Aggregation)이 적용되는 경우의 캐리어(Carrier)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이하 'CC')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프라이머리 셀은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 도중에 초기에 구성되는 셀로서 보안, 상위 계층 시스템 정보 및 하위 계층의 기능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a cell that is initially configured during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that plays an essential role with regard to security, upper layer system information and some lower layer functions)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은 단순히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결 설정 후에 구성되는 셀(a cell that may be configured after connection establishment, merely to provide additional radio resources)이다.
서빙셀은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세컨더리 셀이 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리 셀 및 모든 세컨더리 셀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셀들의 집합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term 'serving cells' is used to denote the set of one or more cells comprising of the primary cell and all secondary cells, if configured).
캐리어 통합(Carrier Aggregation)의 경우,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핸드오버(handover)시 하나의 서빙 셀(serving cell)은 NAS(Non-access Stratum) 이동성 정보(mobility information)-예를 들어 TAI(Tracking Area Identity)-를 제공하고,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핸드오버(handover)시 하나의 서빙 셀은 보안 입력(security input)을 제공한다. 여기서, TAI (Tracking Area Identity)는 일정한 범위내에 위치한 기지국을 묶어서 관리하기 위한 트랙킹 영역을 의미하며, NAS에서 관리하는 단위로서 상기 트랙킹 영역이 속하는 PLMN 식별자 및 상기 트랙킹 영역의 TAC(Tracking Area Code)로부터 생성된다(TAI is used to identify tracking areas. The TAI is constructed from the PLMN identity the tracking area belongs to and the TAC (Tracking Area Code) of the Tracking Area) 이하, 이러한 서빙 셀을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이라고 정의한다.
캐리어 통합(Carrier Aggregation)의 경우, 캐리어는 프라이머리 콤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이하 'PCC'와 세컨더리 콤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 이하 'SCC')로 구분될 수 있다.
하향링크(downlink)의 경우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상응하는 캐리어를 하향링크 PCC라고 하고, 상향링크(uplink)의 경우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상응하는 캐리어를 상향링크 PCC라고 정의한다.
단말의 능력(capability)에 따라서,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들)은 프라이머리 셀과 함께 서빙셀들의 집합(a set of serving cell)을 구성할 수 있다. 하향링크(downlink)의 경우 상기 세컨더리 셀에 상응하는 캐리어를 하향링크 SCC라고 하고, 상향링크(uplink)의 경우 상기 세컨더리 셀에 상응하는 캐리어를 상향링크 SCC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에 대하여 구성된 서빙셀들의 집합은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과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셀로 구성된다. 구성 가능한(configurable) 서빙셀들이 개수는 단말의 통합 능력(aggregation capability)에 따라서 설정(configuration) 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은 오직 핸드오버 절차(handover procedure)와 함께만 변경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전송에 사용된다. 프라이머리 셀은 비활성화(de-activated)될 수 없다는 점에서 세컨더리 셀과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전력소모 감소(DRX; 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I(Carrier Indicator)를 사용하는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DRX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단말기는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기간(On Duration, 12)과 수신 동작을 중지하고 전력소모를 줄이는 동작(sleep)을 수행하는 기간(14)으로 나뉘어 단말기를 제어한다. 단말기가 On Duration 수행 중에 기지국이 단말기로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으면, 단말기는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sleep 동작으로 전환한다. 단말기가 On Duration 동작을 수행하는 주기는 DRX Cycle(10)로 표시한다. DRX Cycle(10)은 Long DRX(20)와 Short DRX(40)로 나뉘어 표시되며, Long DRX(20)는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주기가 크기 때문에 전력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멀티캐리어(multiple carrier)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전력소모 감소 동작은 멀티 캐리어-하나의 PCC 및 적어도 하나의 SCC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캐리어-를 제어하기 위하여 병렬로 수행되며, 이에 따라 단말기는 각 캐리어(PCC 또는 SCC) 별로 DRX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말기로 DRX 제어를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DRX 제어 메시지에는 단말기의 DRX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On Duration, Long DRX Cycle, Short DRX Cycle, Inactivity Timer 등의 파라메터 값이 포함된다. 상기 DRX 제어 메시지는 MAC 계층에서 생성되는 MAC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AC 메시지는 예를 들어 N 비트(N은 자연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멀티캐리어(multiple carrier)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어 메시지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기지국은 단말기로 하나의 DRX 파라메터 그룹을 송신하며, 단말기는 하나의 파라메터 그룹 값을 수신하여 멀티 캐리어를 동일한 파라메터 값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각 캐리어(PCC 또는 SCC) 별로 필요한 파라메터를 송신할 때 필요한 복수 개의 DRX 파라메터 그룹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DRX 환경이 설정되면, 단말기는 DRX Cycle에 따라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각 캐리어(PCC 또는 SCC) 별로 수행하며, 자신의 캐리어(CC)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수신되면 데이터 채널 수신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On Duration 동작을 유지하여 다음 서브프레임(sub-frame) 시간에 새로운 제어 채널이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이 동작은 비활성화 타이머(Inactivity Timer)의 값에서 정한 시간만큼 대기(standby)하며, 비활성화 타이머(Inactivity Timer) 시간까지 새로운 제어 채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는 sleep 동작으로 전환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의 DRX 동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단말기로 다음 메시지를 송신한다.
1.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CC)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Short DRX Cycle에서 Long DRX Cycle로 천이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Long DRX 지시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자와 캐리어 식별자 등으로 구성되며, MAC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한다.
2.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CC)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Long DRX Cycle에서 Short DRX Cycle로 천이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Short DRX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자와 캐리어 식별자 등으로 구성되며, MAC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한다.
3.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 송수신 동작을 중지(deactivation)하도록 지시한다. 메시지는 RRC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한다.
4.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 송수신 동작을 시작(activation)하도록 지시한다. 메시지는 RRC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한다.
도 2의 CI (Carrier Indicator)를 사용하는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하나의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PCC)-예를 들어 도 2의 CC1-로 수신된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해석하여 해당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복조하게 된다. 만일, 수신된 제어 채널에 CI가 포함된 경우(도 2의 “PDCCH with CI”의 경우)에는 CI가 지시하는 캐리어 번호에 해당하는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SCC)-예를들어 도 2의 경우 CC2-의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이러한 동작에서,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단말기로 다음 메시지를 송신하여 DRX를 제어한다.
1.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타 캐리어(SCC)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Short DRX Cycle에서 Long DRX Cycle로 천이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Long DRX 지시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자와 캐리어 식별자 등으로 구성되며, MAC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한다.
2.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타 캐리어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Long DRX Cycle에서 Short DRX Cycle로 천이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Short DRX 지시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자와 캐리어 식별자 등으로 구성되며, MAC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한다.
3.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타 캐리어 송수신 동작을 중지(deactivation)하도록 지시한다. 메시지는 RRC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한다.
4.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타 캐리어 송수신 동작을 시작(activation)하도록 지시한다. 메시지는 RRC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Short DRX Cycle에서 Long DRX Cycle로 천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Long DRX Cycle에서 Short DRX Cycle로 천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Short DRX Cycle에서 Long DRX Cycle로 천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은 단말에게 하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한다(단계 301).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는 CI(Carrier Indicator)가 포함될 수 있다. CI를 사용하는 크로스-캐리어 스케쥴링(Cross-carrier scheduling)에 의해 서빙셀의 PDCCH는 다른 서빙셀의 자원을 스케쥴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는 CI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 중의 하나의 캐리어(CC)의 PDSCH 또는 PUSCH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에서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해석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CI가 지시하는 캐리어 번호에 해당하는 캐리어(PCC 또는 SCC)의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단계 303). 즉, 단말은 수신된 제어 채널에 CI가 포함된 경우(도 2의 “PDCCH with CI”의 경우)에는 CI가 지시하는 캐리어 번호에 해당하는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SCC)-예를들어 도 2의 경우 CC2-의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조 한다.
기지국은 버퍼에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만큼 존재하는 경우 Long DRX로 천이할 것을 지시하는 Long DRX 지시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고(단계 305), 단말은 상기 Long DRX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Long DRX로 천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307). 상기 Long DRX 지시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자와 캐리어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ong DRX 지시 메시지는 MAC 계층에서 생성된 MAC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AC 메시지는 예를 들어 N 비트(N은 자연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에 대한 DRX 동작 주기를 Long DRX Cycle에서 Short DRX Cycle로 천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은 단말에게 하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한다(단계 401).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는 CI(Carrier Indicator)가 포함될 수 있다. CI를 사용하는 크로스-캐리어 스케쥴링(Cross-carrier scheduling)에 의해 서빙셀의 PDCCH는 다른 서빙셀의 자원을 스케쥴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는 CI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 중의 하나의 캐리어(CC)의 PDSCH 또는 PUSCH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에서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해석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CI가 지시하는 캐리어 번호에 해당하는 캐리어(PCC 또는 SCC)의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단계 403).
기지국은 버퍼에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만큼 존재하다가 임계값 이상으로 데이터가 존재하게된 경우 Short DRX로 천이할 것을 지시하는 Short DRX 지시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고(단계 405), 단말은 상기 Short DRX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Short DRX로 천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407). 상기 Long DRX 지시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자와 캐리어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hort DRX 지시 메시지는 MAC 계층에서 생성된 MAC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AC 메시지는 예를 들어 N 비트(N은 자연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CI를 사용하는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는 한 캐리어(CC)의 DRX 동작이 다른 캐리어(CC)의 제어 채널 수신에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한 캐리어가 다른 캐리어로부터 데이터 채널 수신을 지시받게 되면, 자신의 캐리어로부터 제어 채널을 받은 것과 동일한 절차로 천이하여 동작한다.
단말기가 DRX 시간을 긴 주기(long period)로 하향링크 채널을 수신하는 Long DRX period 상태일 때, 하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이 수신되면 단말기는 즉시 짧은 시간 주기(short period)의 Short DRX period 상태로 변경하여 빠른 주기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절차에서, 단말기가 무의미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Long DRX period에서 Short DRX period로 변경함으로써 발생하는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가 Long DRX period 상태일 때 하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를 수신하면, PDCCH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PDSCH)을 복조하여 Short DRX period로의 상태 변경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Long DRX period를 계속 유지하는 절차를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 단말기는 PDCCH를 수신한 후 PDCCH 및 PDSCH를 복조하여 데이터의 종류가 연속적인(continuous) 데이터 통신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Short DRX period로의 천이(transition)를 수행한다.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다음과 같다.
- 기지국이 상향링크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을 할당하였지만 단말기의 버퍼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
- 기지국이 상향링크 시간 동기 유지를 위하여 상향링크 송신을 요청한 경우
- 기지국이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탐색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송신을 요청한 경우
- 기지국이 하향링크 채널 상태 보고를 요청한 경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절차에 따라, 단말기는 Long DRX period 동작을 계속 유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의 캐리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의 캐리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기지국이 단말기로 송신하는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의 캐리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말기는 휴지 상태(idle mode)로 동작할 때와 기지국에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상태에서는 단일 캐리어(single component carrier)-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DL)로는 CC #1을 사용하고 상향링크(UL)로는 CC #1 사용함-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멀티 캐리어 구조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지 상태(idle mode) 또는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상태에서 기지국은 단말기가 복수 개의 캐리어(CC)를 제어하도록 설정 메시지(configuration message)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설정(configuration) 절차를 수행한다(단계 501). 상기 설정 메시지는 기지국이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추가되는 세컨더리 셀의 개수 및 멀티 캐리어(SCC)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메시지는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세컨더리 셀(Scell)을 추가(add)하거나, 수정(modify)하거나, 해제(release)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기는 상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 메시지로서 설정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단계 503). 그 결과,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DL) CC #2 및 CC #3에 대해 설정 절차가 완료된다.
설정 절차가 완료된 상태의 단말기는 기지국이 전송한 설정 메시지내에 포함된 멀티 캐리어의 제어 정보를 저장하지만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설정 메시지에서 지정된 캐리어(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하향링크(DL) CC #2, 하향링크(DL) CC #3)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설정된 캐리어(DL CC #2, CC #3)의 제어 채널을 수신하지 않으며, 채널 상태도 측정하지 않는다.
설정(configuration) 절차가 완료된 후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캐리어 활성화(carrier activation) 메시지를 전송하여 캐리어 활성화(activation) 절차를 수행한다(단계 505). 단말기는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캐리어를 활성화시킨다(단계 507).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DL) CC #2 및 CC #3가 활성화 된다. 단말기는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한 후 ACK/NACK를 기지국에 전송한다(단계 509). ACK/NACK는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바로 보낼 수 있고 또는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캐리어를 활성화(단계 507)시킨 후 보낼 수도 있다. 활성화 절차가 완료되면 단말기는 활성화된 캐리어를 기지국과의 통신에 실제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 활성화 절차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는 기지국이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720)을 통하여 전송하며, 도 7과 같이 MAC 제어 메시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MAC 제어 메시지는 제어 채널(710) 및 데이터 채널(720)으로 구성되며, 데이터 채널(720)은 데이터 채널 헤더(721),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723), 트래픽 데이터(727)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723)는 MAC 제어 메시지의 데이터 채널(7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723)는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 캐리어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723)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는 기지국이 단말기로 송신하는 트래픽 데이터에 피기백(piggyback) 방식으로도 전송될 수 있다.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는 하나의 데이터 채널에 복수 개의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저장하여 송신할 수 있다.
캐리어 활성화 절차가 완료되어 복수 개의 캐리어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모든 캐리어는 도 1과 도 2에서 기술한 DRX 절차를 사용하여 전력소모 감소 동작을 수행하며, 단말기는 모든 활성화된 캐리어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활성화된 캐리어는 기지국이 캐리어 비활성화 메시지(deactivation message)를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 비활성화 메시지는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캐리어 비활성화 메시지는 MAC 제어 메시지의 데이터 채널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비활성화(deactivation) 캐리어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 절차는 전술한 하향링크 캐리어 활성화 절차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에서 단말로 설정 메시지 및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향링크 캐리어 활성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상향링크 캐리어 활성화 절차의 경우에는 기지국에서 상향링크 채널 제어 동작에 필요한 물리 제어 채널(예: PUCCH, SRS)의 송신 주기 또는 송신 개시를 별도로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설정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물리 제어 채널(예: PUCCH, SRS)의 송신 주기 또는 송신 개시를 별도로 지시하기 위한 정보는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또는 SRS의 송신 주기는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상향링크 캐리어 활성화를 위한 설정 메시지는 도 6의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와 유사한 형식을 사용하여 기지국이 단말기로 송신하는 트래픽 데이터에 피기백(piggyback) 방식으로도 전송될 수 있으며, 하나의 데이터 채널에 복수 개의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저장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또는, 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 절차를 하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와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제어를 하향링크 제어와 연동하여 처리할 경우에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제어 메시지 전달 횟수 및 제어 데이터 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캐리어의 설정(configuration) 절차는 하향링크 캐리어의 설정 절차와 연동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하향링크 캐리어 설정 절차 후에 수행하는 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activation) 절차는 하향링크 활성화 절차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기술하면, 단계 501의 하향링크 설정 절차 메시지에 하향링크 캐리어와 연동되는 상향링크 캐리어의 매핑 정보를 포함시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캐리어 매핑 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 CC #2가 UL CC #2와 연동되어 HARQ ACK/NACK 송신 자원이 상호 연관되어 동작됨을 지시할 수 있으며, 또한, DL CC #3과 UL CC #3가 연동되어 HARQ ACK/NACK 송신 자원이 상호 연관되어 동작됨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매핑 정보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PUSCH)의 자원 정보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허가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이 상호 연관되어 동작됨을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매핑 정보는 기지국이 설정(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기에게 미리 전달함으로써, 상향링크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는 별도로 직접 단말기에게 송신하지 않고 하향링크 활성화 메시지가 단말기로 도착하면 동시에 상향링크 캐리어 활성화를 묵시적(implicitly)으로 시작할 수 있다(단계 511, 도 5).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단계 505의 캐리어 활성화(activation)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하향링크 캐리어(하향링크(DL) CC #2 및 CC #3)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묵시적(implicit)으로 상향링크(UL) CC #2 및 CC #3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말기는 하향링크 캐리어가 활성화 지시를 받으면 해당 하향링크 캐리어에 매핑된 상향링크 캐리어를 활성화하여 통신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이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을 지시하면 활성화가 이루어진 상향링크 캐리어는 단말기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때 사용하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 PUCCH, SRS)의 송신도 설정(configuration)된 조건에 따라 송신할 수 있다. 활성화된 상향링크 캐리어의 비활성화 절차도 기 매핑된 하향링크 캐리어의 비활성화 절차가 완료되면 동시에 비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 절차를 완료한 상향링크 캐리어는 기지국과 단말기의 시간 동기가 유지되어 동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기지국과 단말기는 상향링크 시간 동기 타이머를 관리하여 시간 동기를 관리한다. 기지국은 단말기의 시간 동기를 유지한 시점에 타이머를 설정하여 최대 동기 유지 시간을 저장한 후, 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에 타이머의 값이 만료되어 시간동기가 손실된 경우에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해당 캐리어의 시간 동기를 복구한 후 활성화 동작을 수행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가 성공하면 기지국과 단말기는 타이머를 최대 동기 유지 시간으로 다시 설정하며,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서는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동기 유지 절차를 수행한다.
캐리어 매핑은 하향링크 캐리어와 상향링크 캐리어의 개수가 다르게 매핑될 수도 있다. 하향링크 캐리어와 상향링크 캐리어의 개수가 다르게 매핑될 경우에도 상향링크 캐리어의 설정(configuration) 절차는 하향링크 캐리어의 설정 절차와 연동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하향링크 캐리어와 상향링크 캐리어의 개수가 다르게 매핑될 경우에도 매핑 정보를 기지국이 설정(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기에게 미리 전달함으로써, 상향링크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는 별도로 직접 단말기에게 송신하지 않고 하향링크 활성화 메시지가 단말기로 도착하면 동시에 상향링크 캐리어 활성화를 묵시적(implicitly)으로 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DRX Cycle 20: Long DRX
40: Short DRX 601: 설정 메시지
603: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

Claims (19)

  1.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와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로 이루어진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멀티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DRX 파라메터 그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파라메터 그룹 값을 수신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를 동일한 파라메터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상기 멀티캐리어의 모든 캐리어가 동일하게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상기 멀티캐리어의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캐리어 지시자(Carrier Indicator; CI)가 포함된 경우에는 캐리어 번호에 해당하는 캐리어의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상기 멀티캐리어의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Long DRX period 상태일 때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PDSCH)을 복조하여 Short DRX period로의 상태 변경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Long DRX period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RX Cycle에 따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상기 멀티캐리어의 각 캐리어 별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Long DRX period 상태일 때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PDSCH)을 복조하여 데이터의 종류가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Long DRX period를 계속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연속적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Short DRX period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6.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와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로 이루어진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설정 메시지(configuration message)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캐리어 활성화(activ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메시지는 하향링크 캐리어와 연동되는 상향링크 캐리어간의 캐리어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에서 지시하는 하향링크 캐리어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매핑 정보를 상기 설정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단말기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에 연동되어 상기 상향링크 캐리어가 묵시적(implicitly)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하향링크 캐리어는 하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에 연동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매핑은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와 상기 상향링크 캐리어의 개수가 다르게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와 상기 상향링크 캐리어의 개수가 다르게 매핑되는 경우, 상기 캐리어 매핑 정보를 상기 설정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단말기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하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에 연동되어 상기 상향링크 캐리어가 묵시적(implicitly)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메시지는 추가되는 세컨더리 셀의 개수 및 멀티 캐리어(SCC)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MAC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MAC 제어 메시지내의 데이터 채널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상기 MAC 제어 메시지내의 데이터 채널에 복수 개의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를 저장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MAC 제어 메시지는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은 데이터 채널 헤더, 상기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 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캐리어에 대해 상기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은 캐리어 비활성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활성화 메시지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및 SRS의 송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KR1020100095880A 2009-10-01 2010-10-01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전력소모 감소 방법 KR101746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895 2009-10-01
KR20090093895 2009-10-01
KR1020100001516 2010-01-08
KR20100001516 2010-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518A true KR20110036518A (ko) 2011-04-07
KR101746525B1 KR101746525B1 (ko) 2017-06-14

Family

ID=4382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880A KR101746525B1 (ko) 2009-10-01 2010-10-01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전력소모 감소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7) US9191179B2 (ko)
KR (1) KR101746525B1 (ko)
WO (1) WO2011040791A2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763A3 (ko) * 2011-04-18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169046A1 (ko) * 2012-05-09 2013-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170230A1 (en) * 2012-05-11 2013-11-14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4017767A1 (ko) * 2012-07-23 201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23948A3 (en) * 2013-02-05 2014-12-18 Apple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EP2903351A4 (en) * 2012-09-28 2016-05-25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RADIO BASE STATION
US10129830B2 (en) 2012-05-11 2018-11-13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0022694A1 (ko) * 2018-07-25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79349B2 (en) 2012-01-09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information
US10791480B2 (en) 2012-05-21 2020-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887919B2 (en) 2012-05-0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959172B2 (en) 2012-01-27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11832229B2 (en) 2011-08-22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525B1 (ko) 2009-10-01 2017-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전력소모 감소 방법
US9480098B2 (en) * 2010-08-16 2016-10-25 Htc Corporation Handl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configur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716619B2 (en) 2011-03-31 2017-07-25 NextPlane, Inc.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media traffic for a hub-based system federating disparate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s
CN102740444B (zh) * 2011-04-04 2016-03-23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蜂窝通信系统中初始化从小区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101520712B1 (ko) 2011-04-25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병합을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420587B2 (ja) * 2011-05-06 2014-02-1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US10736087B2 (en) * 2013-03-15 2020-08-04 Apple Inc. Secondary component carrier future scheduling in LTE carrier aggregation
US20140359457A1 (en) * 2013-05-30 2014-12-04 NextPlane, Inc. User portal to a hub-based system federating disparate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s
US9705840B2 (en) 2013-06-03 2017-07-11 NextPlane, Inc. Automation platform for hub-based system federating disparate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s
WO2015034403A1 (en) * 2013-09-03 2015-03-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in
US9877285B2 (en) * 2014-04-25 2018-01-23 Aruba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aware power save
US9622289B2 (en) * 2014-06-20 2017-04-11 Apple Inc. End-to-end delay adaptation with connected DRX in a cellular voice call
CN111953468B (zh) * 2014-12-26 2023-12-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上下行载波的配置方法及装置
JP6414322B2 (ja) * 2015-03-23 2018-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0104256B2 (en) * 2015-07-31 2018-10-16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Electronic device that ensures reduced power consumption, electric powe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3375245B1 (en) 2015-11-09 2021-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suring multiple carriers under discontinuous activity
CN106899941B (zh) * 2015-12-18 2020-08-07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集群通信系统中非连续监听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EP3459303B1 (en) * 2016-05-16 2020-04-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vehicle, network node and user equipment for enabling efficient paging
CN108307547A (zh) * 2016-09-30 2018-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非连续接收配置信息的方法及装置
CN113541904A (zh) * 2017-06-16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Drx配置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和通信系统
CN109842923B (zh) * 2017-09-20 2023-01-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寻呼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0107402A1 (zh) * 2018-11-30 2020-06-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载波唤醒方法及装置
EP3905773A4 (en) * 2018-12-28 2022-01-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ARRIER CONFIGURATION PROCESS AND DEVICE
CN111278171B (zh) * 2019-01-31 2022-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非连续接收drx配置方法及终端
US20220322485A1 (en) * 2019-05-27 2022-10-06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3994922A4 (en) * 2019-07-03 2023-08-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 DISCONTINUOUS RECEIVING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CARRIER AGGREGATION SCHEME IS APPLIED
WO2021016958A1 (zh) * 2019-07-31 2021-02-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省电信号的参数动态变更方法、装置、终端和介质
US11012936B2 (en) * 2019-10-16 2021-05-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adjustment of intermittent reception parameters in a radio acc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0713B2 (en) 2005-05-12 2009-08-2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 active set of carriers for a receiver
ES2376284T3 (es) * 2005-12-22 2012-03-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rocedimiento para operación de transmisión/recepción discontinua para reducir el consumo de energ�?a en un sistema celular.
WO2008084938A1 (en) * 2007-01-12 2008-07-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 method of reporting measurement information in packet based cellular system
WO2008111823A1 (en) * 2007-03-15 2008-09-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ceiving packe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260663B1 (en) 2008-03-25 2013-07-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rx functionality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8711785B2 (en) * 2008-03-25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Fast carrier allocation in multi-carrier systems
HUE049903T2 (hu) * 2008-04-25 2020-11-30 Blackberry Ltd Eljárás és rendszer nem-folytonos vétel vezérlésre vezeték nélküli hálózatban
US8184599B2 (en) * 2008-06-23 2012-05-22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UE opera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8929396B2 (en) * 2008-07-07 2015-01-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Ethernet media access control organization specific extension
US8514793B2 (en) * 2008-10-31 2013-08-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processing component carriers
US8432859B2 (en) * 2009-06-22 2013-04-30 Alcatel Lucent Indicating dynamic allocation of component carriers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s
KR101746525B1 (ko) * 2009-10-01 2017-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캐리어 구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전력소모 감소 방법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2467B2 (en) 2011-04-18 2016-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dopting a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and apparatus for same
WO2012144763A3 (ko) * 2011-04-18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832229B2 (en) 2011-08-22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696356B2 (en) 2012-01-09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information
US10779349B2 (en) 2012-01-09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information
US10959172B2 (en) 2012-01-27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10129005B2 (en) 2012-05-09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3169046A1 (ko) * 2012-05-09 2013-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544896B2 (en) 2012-05-09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21498A (ko) * 2012-05-09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683838B2 (en) 2012-05-09 2023-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405169B2 (en) 2012-05-09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778402B2 (en) 2012-05-09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887919B2 (en) 2012-05-0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515757B2 (en) 2012-05-11 2016-12-06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3170230A1 (en) * 2012-05-11 2013-11-14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129830B2 (en) 2012-05-11 2018-11-13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363489B2 (en) 2012-05-21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791480B2 (en) 2012-05-21 2020-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4017767A1 (ko) * 2012-07-23 201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65572B2 (en) 2012-07-23 2017-02-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serv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carrier aggregation scheme is applied and device for same
EP2903351A4 (en) * 2012-09-28 2016-05-25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RADIO BASE STATION
WO2014123948A3 (en) * 2013-02-05 2014-12-18 Apple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US9414315B2 (en) 2013-02-05 2016-08-09 Apple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WO2020022694A1 (ko) * 2018-07-25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17053B2 (en) 2017-07-25
KR101746525B1 (ko) 2017-06-14
WO2011040791A3 (ko) 2011-07-28
US20240155497A1 (en) 2024-05-09
US20230132732A1 (en) 2023-05-04
US9191179B2 (en) 2015-11-17
US20210092680A1 (en) 2021-03-25
WO2011040791A2 (ko) 2011-04-07
US20160050628A1 (en) 2016-02-18
US20120314635A1 (en) 2012-12-13
US10863439B2 (en) 2020-12-08
US20170325168A1 (en) 2017-11-09
US11570714B2 (en) 2023-01-31
US20190373550A1 (en) 2019-12-05
US10405277B2 (en) 2019-09-03
US11877243B2 (en)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7243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arrier structure
US11212747B2 (en) Power saving operations for communication systems
US10863571B2 (en) Failure detection and recovery for multiple active resources
US20230199890A1 (en)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EP3648368A1 (en) Beam management for cel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00029316A1 (en) Resource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 Power Saving State
KR1014358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82422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039055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uring DRX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1184142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for carrier aggregation
US11582015B2 (en) Enhancement for bandwidth part (BWP) operation towards secondary cell (SCELL) dormancy indication
KR20190076834A (ko) 세컨더리 셀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94774B1 (ko) 세컨더리 셀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