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421A -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영상 신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영상 신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421A
KR20110036421A KR1020090094082A KR20090094082A KR20110036421A KR 20110036421 A KR20110036421 A KR 20110036421A KR 1020090094082 A KR1020090094082 A KR 1020090094082A KR 20090094082 A KR20090094082 A KR 20090094082A KR 20110036421 A KR20110036421 A KR 20110036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white
peak
gamma curv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6421A/ko
Publication of KR2011003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예는, 입력되는 영상의 감마 커브 내 다수 개의 계조 영역 중 제1 계조 영역의 블랙 피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에 따른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제1 계조 영역에만 적용하는 단계; 제2 계조 영역의 화이트 피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화이트 피크에 따라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감마 커브의 모든 계조 영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상기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이 적용된 감마 커브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인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저계조 영역의 스트레치 과정에서 다른 계조에 영향을 주지않아 고계조 영역의 스트레치 과정을 통하여 저계조 영역은 더욱 낮은 레벨을 가지고 중계조와 고계조는 더욱 높은 레벨을 가져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 감마 커브, 계조 영역, 블랙 스트레치, 블랙 피크

Description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영상 신호 처리 장치{A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AND A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신호 처리 과정에서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를 개선하기 위해 저계조 영역과 고계조 영역을 스트레치(stretch)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중계조의 밝기 저하 현상을 방지하여 전체적이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의 디지털화는 이루어졌으나, 디스플레이 기술과 관련하여 PDP나 LCD TV는 고가에 비하여 사용자의 기대를 완전하게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그러한 실정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연계에는 수많은 종류의 색상이 존재하나, 현재의 기술로는 그러한 색상들을 전부 정의하지 못하고 있어 그것을 재현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영상 장치로 찍은 영상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는 다르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색을 정의할 수 있는 범위가 한층 넓어지고 그것들을 표준화하면서 색 재현성도 높아져 이전에 비하여 보다 실제에 가까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감마 특성에 따른 화질이나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의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하고자 다양한 방식을 도입하였다.
그러한 방식의 일 예로 스트레치 기법이 있다. 다만, 종래 스트레치 기법에 의할 경우, 특정 계조 영역에 대한 스트레치 과정에서 다른 계조 영역의 레벨까지 간섭하게 되어 오히려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저계조 영역과 고계조 영역의 차이를 크게 하기 위하여 중계조 영역 부분이 희생되어 어두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저계조 영역에 대한 스트레치 과정에서 다른 계조 영역의 레벨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중계조 영역의 밝기가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와 함께 저계조 영역의 레벨은 더욱 낮게 하고, 중계조와 고계조 영역의 레벨은 높여 전체적으로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를 개선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예는, 입력되는 영상의 감마 커브 내 다수 개의 계조 영역 중 제1 계조 영역의 블랙 피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에 따른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제1 계조 영역에만 적용하는 단계; 제2 계조 영역의 화이트 피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화이트 피크에 따라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감마 커브의 모든 계조 영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상기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이 적용된 감마 커브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인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은, 상기 제1 계조 영역 내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의 하위 영역에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기 정의된 레벨의 수준에 해당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정의된 레벨의 수준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0.5%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예는, 입력되는 영상의 감마 커브 내 다수 개의 계조 영역 중 제1 계조 영역의 블랙 피크를 검출하는 블랙 피크 검출부;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에 따라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적용하는 블랙 스트레치 게인 적용부; 제2 계조 영역의 화이트 피크를 검출하는 화이트 피크 검출부; 상기 검출된 화이트 피크에 따라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을 적용하는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 적용부; 및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제1 계조 영역에만 적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은 상기 모든 계조 영역에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이 적용된 감마 커브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인핸스하는 히스토그램 인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제1 계조 영역 내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의 하위 영역에만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되는 블랙 스트레치 게인이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기 정의된 레벨의 수준에 해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정의된 레벨의 수준으로,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0.5%에 해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계조 영역의 스트레치 과정에서 다른 계조에 영향을 주지않아 고계조 영역의 스트레치 과정을 통하여 저계조 영역은 더욱 낮은 레벨을 가지고 중계조와 고계조는 더욱 높은 레벨을 가져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특히, 본 발명은 영상 신호를 처리함에 있어서, 입력 영상 신호의 감마 커브(gamma curve)를 각 계조 영역(contrast area)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휘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서 명암비(contrast ratio) 또는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 ratio)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한 방법으로써 하나가 블랙 스트레치(black stretch: 흑신장)과 화이트 스트레치(white stretch: 백신장)이 있다.
블랙 스트레치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낮은 레벨(level)의 신호 부분을 좀 더 낮게 변환하여 높은 레벨의 신호와의 대비를 높여주는 방식이다.
화이트 스트레치는, 상술한 블랙 스트레치와 반대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높은 레벨의 신호 부분을 조 더 높게 변환하여 낮은 레벨의 신호와의 대비를 높여주는 방식이다.
도 1은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히스토그램 분포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본 발명과 관련하여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를 개선시킨다.
도 1의 경우에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일반적인 히스토그램(histogram) 분포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로축은 휘도 레벨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각 휘도 레벨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데이터 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APL(average picture level)에 따른 감마 커브(gamma curve)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전술한 도 1에서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각 프레임에 대한 APL 값들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된 히스토그램 데이터와 상기 계산한 APL 값들로부터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의 비를 나타내는 감마 커브를 얻을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입력을 세로축은 출력을 의미한다.
도 2a의 점선은 선형적인(linear) 직선 형태의 기울기를 가진 감마 커브이다. 이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가 변화없이 그대로 출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의 색과 인간의 눈으로 구분 가능한 색의 특성, 그러한 색 재현성을 구현할만한 기술의 한계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실선과 같은 감마 커브(210)를 가진다.
즉, 감마 커브(210)를 살펴보면, 점선의 감마 커브를 기준으로 저계조 영역은 더 어둡고, 고계조 영역은 더 밝은 비선형(non-linear)의 곡선의 형태를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2b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블랙 스트레치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a에 따른 감마 커브(210)에 따라 그대로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가 좋지 않아 화질이 떨어져 보인다.
이에 따라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를 개선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보다 선명하게 즉,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도 2b에서는 그러한 예로 블랙 스트레치 기법을 사용한 감마 커브를 도시하고 있다.
블랙 스트레치 기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명암비 개선을 위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낮은 레벨의 신호 부분을 좀 더 낮게 변환하여 높은 레벨의 신호와의 대비를 높여주는 방식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최초 감마 커브(210)을 블랙 스트레치 기법에 의해 감마 커브를 변형하여 두번째 감마 커브(220)와 같이 만든다.
이는 결국 영상 신호의 낮은 레벨의 신호 부분 즉, 저계조 부분을 더욱 낮춤으로써, 블랙 영역을 더욱 블랙에 가깝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상술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스트레치 기법만을 적용하면, 저계조 부분뿐만 아니라 중계조와 고계조의 감마 커브 역시 전체적으로 낮아져 실질적으로 도 2b의 감마 커브(220)에 따라 출력하는 경우에는 도 2a에 비해 조금 선명할 수는 있으나, 전체적인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 개선의 효과는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블랙 스트레치 이후에 고계조에 대한 화이트 스트레치 기법까지 적용함으로써 그 개선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2c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화이트 스트레치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c에서는 상기 블랙 스트레치 기법까지 수행된 이후에 화이트 스트레치 기법을 적용한 감마 커브를 도시한 것이다.
화이트 스트레치 기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명암비 개선을 위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높은 레벨의 신호 부분을 좀 더 높게 변환하여 낮은 레벨의 신호와의 대비를 높여주는 기법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도 2a에 의한 감마 커브(210), 도 2b에 따른 블랙 스트레치 이후의 감마 커브(220)가 존재하고, 도 2c에 따라 화이트 스트레치 기법이 적용된 감마 커브(230)가 비교를 위해 도시되었다.
도 2c에서 보면, 화살표와 같이 도 2b에 도시된 감마 커브(220)에서 고계조 부분을 좀 더 높게 변환하고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도 2c의 감마 커브(230)와 도 2a의 감마 커브(210)를 비교하면, 저계조 부분에서의 감마 커브의 기울기는 더욱 낮고 고계조 부분의 감마 커브의 기울기는 더욱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라 블랙 스트레치 및 화이트 스트레치 과정을 거쳐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만, 제1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블랙 스트레치에 의해 중계조의 인핸스 양이 작아져 도 2c의 빗금 영역 즉, 중계조 영역에서 도 2a에 비해 오히려 더 레벨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중계조가 어두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전술한 제1 실시 예에 의할 경우, 중계조가 어두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바, 제2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 예에 의한 중계조의 레벨이 더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전체적인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가 개선된 감마 커브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블랙 스트레치 기법 적용시에 저계조 영역에 대한 명암비 개선 과정에서 다른 계조 영역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어하여 블랙 스트레치와 화이트 스트레치 이후의 감마 커브에 따른 출력시 중계조 영역에서도 어두워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저계조와 고계조의 레벨의 차이를 크게 하여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가 개선되도록 하고자 한다.
도 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예에 대한 구성 블록도이다. 또한, 도 4a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APL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5b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블랙 스트레치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며, 도 5c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화이트 스트레치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예는, 선 처리부(310), 블랙 피크 검출부(320), 블랙 스트레치 게인 적용부(330), 화이트 피크 검출부(340),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 적용부(350), 히스토그램 인핸스부(36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 처리부(31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하여 기본적인 선 처리를 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모듈(module)로서,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히스토그램 검출/분석부, APL 계산부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 처리부(310)을 거쳐 도 4a와 같은 감마 커브를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a의 감마 커브는 아직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가 적용되는 않은 감마 커브(410)로서 전술한 도 2a의 설명을 원용한다.
블랙 피크 검출부(320)는, 입력 신호의 낮은 레벨의 신호 중 신호의 레벨이 낮은 순으로 미리 정의된 레벨의 지점 즉, 블랙 피크(black peak)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의된 레벨의 지점은 예를 들어, 신호의 레벨이 낮은 순으로 0.5%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블랙 스트레치 게인 적용부(330)는,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에 따라 블랙 스트레치 게인(black stretch gain)을 설정하고 적용한다.
예를 들어, 도 4b의 경우가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이 적용된 예이다. 도면 부호 410의 경우에는 도 4a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가 적용되기 전의 감마 커브이고, 도면 부호 420의 경우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랙 스트레치 게인이 적용된 예이다.
도 4b를 참조할 때, 전체적으로 가로축의 Y 입력을 저계조, 중계조 및 고계조로 구분하면, 상술한 블랙 피크를 검출하는 이유는 저계조 영역의 감마 커브만을 더욱 낮은 레벨로 제어하고 그에 따라 중계조 영역의 감마 커브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 실시 예에서는 블랙 스트레치 게인은 검출된 블랙 피크의 하위 영역에 대해서만 적용하고 상위 영역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중계조와 고계조의 감마 커브는 도 4a의 감마 커브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이트 피크 검출부(340)는, 전술한 블랙 피크 검출부(320)의 기능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계조에서의 화이트 피크를 검출한다.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 적용부(350)는, 검출된 화이트 피크를 근거로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을 설정하고 적용한다. 이렇게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이 적용된 감마 커브가 도 4c에 도시되었다.
도 4c를 참조하면, 블랙 스트레치 게인 적용된 감마 커브(420)과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 적용된 감마 커브(430)가 도시되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Y 입력을 저계조 영역(440), 중계조 영역(450)과 고계조 영역(460)으로 구분할 때, 전체적으로 감마 커브가 저계조 영역(440)에서는 미미하게 인핸스되었으나 중계조 영역(450)과 고계조 영역(460)에서는 인핸스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도 4a의 최초 감마 곡선(410)과 도 4c의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 적용된 감마 커브(430)을 비교하면, 더욱 극명하게 나타난다. 즉, 도 4a의 최초 감마 곡선(410)을 기준으로 감마 커브는 저계조 영역에서는 더욱 낮은 레벨에 위치하고 중계조 영역과 고계조 영역에서는 더욱 높은 레벨에 위치한다.
이는 결국 저계조 영역과 고계조 영역의 레벨의 차이가 더욱 커져 전체적인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가 개선된 것을 나타낸다. 동시에 중계조 영역 역시 이전 에 비해 더욱 높은 레벨을 유지하여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가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370)는, 검출된 블랙 피크에 근거하여 블랙 스트레치 게인의 정도를 설정하여 적용하도록 하고, 검출된 화이트 피크에 근거하여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의 정도를 설정하여 적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제1 계조 영역 내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의 하위 영역에만 적용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70)는 그 밖에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히스토그램 인핸스부(360)은 상술한 바에 따라 블랙 스트레치 기법과 화이트 스트레치 기법이 적용되어 개선된 감마 커브에 기초하여 히스토그램을 인핸스하여 출력한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도 3에 도시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S501),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선 처리한여 최초 감마 커브를 구한다.
이후 영상에 대한 저계조 영역의 블랙 피크를 검출하고(S502), 검출된 블랙 피크에 근거하여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설정(S503)하고 적용한다(S504).
상기 S504 단계에서 저계조 영역에 대한 블랙 스트레치 기법을 적용한 이후, 영상 신호의 고계조 영역의 화이트 피크를 검출하고(S505), 검출된 화이트 피크에 근거하여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을 설정하고 적용하여 화이트 스트레치한다(S506).
전술한 블랙 스트레치 과정과 화이트 스트레치 과정을 거쳐 개선된 감마 곡선을 얻고, 상기 얻은 감마 곡선의 특성에 따라 히스토그램 인핸스 알고리즘에 따른 최종 히스토그램 커브를 적용한다(S507).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저계조 영역의 스트레치 과정에서 다른 계조에 영향을 주지않아 고계조 영역의 스트레치 과정을 통하여 저계조 영역은 더욱 낮은 레벨을 가지고 중계조와 고계조는 더욱 높은 레벨을 가져 명암비 또는 동적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히스토그램 분포도,
도 2a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APL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2b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블랙 스트레치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2c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화이트 스트레치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예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4a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APL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4b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블랙 스트레치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4c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화이트 스트레치에 따른 감마 커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의 일 예이다.

Claims (10)

  1. 입력되는 영상의 감마 커브 내 다수 개의 계조 영역 중 제1 계조 영역의 블랙 피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에 따른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제1 계조 영역에만 적용하는 단계;
    제2 계조 영역의 화이트 피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화이트 피크에 따라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감마 커브의 모든 계조 영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이 적용된 감마 커브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인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은,
    상기 제1 계조 영역 내 내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의 하위 영역에만 적용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기 정의된 레벨의 수준에 해당하도록 설정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레벨의 수준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0.5%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6. 입력되는 영상의 감마 커브 내 다수 개의 계조 영역 중 제1 계조 영역의 블랙 피크를 검출하는 블랙 피크 검출부;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에 따라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적용하는 블랙 스트레치 게인 적용부;
    제2 계조 영역의 화이트 피크를 검출하는 화이트 피크 검출부;
    상기 검출된 화이트 피크에 따라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을 적용하는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 적용부; 및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제1 계조 영역에만 적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은 상기 모든 계조 영역에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 스트레치 게인이 적용된 감마 커브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인핸스하는 히스토그램 인핸스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랙 스트레치 게인을 상기 제1 계조 영역 내 상기 검출된 블랙 피크의 하위 영역에만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되는 블랙 스트레치 게인이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기 정의된 레벨의 수준에 해당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정의된 레벨의 수준으로,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0.5%에 해당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1020090094082A 2009-10-01 2009-10-01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20110036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082A KR20110036421A (ko) 2009-10-01 2009-10-01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영상 신호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082A KR20110036421A (ko) 2009-10-01 2009-10-01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영상 신호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421A true KR20110036421A (ko) 2011-04-07

Family

ID=4404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082A KR20110036421A (ko) 2009-10-01 2009-10-01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영상 신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64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889A (ko) * 2014-12-29 2016-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6971695A (zh) * 2017-03-27 2017-07-2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Rgbw液晶显示装置的亮度调节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889A (ko) * 2014-12-29 2016-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6971695A (zh) * 2017-03-27 2017-07-2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Rgbw液晶显示装置的亮度调节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5792B1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JP4277773B2 (ja) 映像表示装置
EP2833317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or method therefor
JP4991949B1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JP5197858B1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JP5284444B2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KR20060081536A (ko) 영상의 rgb 정보를 이용한 블랙/화이트 스트레칭 시스템
TW201246164A (en) Method for adjusting a backlight of a display device and device thereof
JP2013161018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0061493A1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US20140348428A1 (en) Dynamic range-adjus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JP5165076B2 (ja) 映像表示装置
KR20110036421A (ko)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100997159B1 (ko) 콘트라스트 개선장치 및 방법
KR102370400B1 (ko) 영상 처리 장치
JP200304680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0732676B1 (ko) 콘트라스트 향상장치 및 그 방법
JP5174982B1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JP4831173B2 (ja) 映像表示装置
KR20100027317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JP2009086222A (ja) 映像補正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2008015207A (ja) 表示装置及び画面輝度制御方法
JP5330552B2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10043082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콘트라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23532083A (ja) Pqシフトを用いた周囲光補償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