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217A -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217A
KR20110036217A KR1020090093762A KR20090093762A KR20110036217A KR 20110036217 A KR20110036217 A KR 20110036217A KR 1020090093762 A KR1020090093762 A KR 1020090093762A KR 20090093762 A KR20090093762 A KR 20090093762A KR 20110036217 A KR20110036217 A KR 20110036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mitting diode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424B1 (ko
Inventor
김장규
김영록
이영림
Original Assignee
김장규
김영록
이영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규, 김영록, 이영림 filed Critical 김장규
Priority to KR102009009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4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투명 광학 필름층, (B) 상기 투명 광학 필름층의 저면에 도포되는 실리콘 코팅층, (C) 상기 투명 광학 필름층의 상부면에 접착되고, 격자 형태를 가지는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및 (D) 상기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면에 적층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리콘, 격자형, 유기발광다이오드, 봉지 필름

Description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Encapsulation Film for OLED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에 대한 접착 특성 및 수분 투과 억제력이 우수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유기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를 갖고 있어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달리 화면 각도에 따라 화질이 변하지 않으며 화면에 잔상이 남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 가장 각광받는 디스플레이 소자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OLED는 현재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등의 소형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가요성(Flexibility) 및 화질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 대면적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OLED는 수분 및 공기와 접촉하는 경우 발광시 유기 물의 열화 현상이 발생되어 제품 수명이 짧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에 장착된 OLED의 평균 수명은 3천 내지 5천시간이고, 일로 환산하면 125일 내지 208일에 불과하여 수요자가 요구하는 제품 기동시간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V 등의 OLED 대면적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공기의 차단이 더욱 어렵기 때문에 휴대폰 등 소형기기에 비해 제품 수명이 더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은 OLED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를 어렵게 하는 주요한 원인에 해당하며, 이에 따라 OLED 소자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공기와 차단하기 위한 봉지 기술(Encapsulation Technique)의 개발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종래 봉지 기술들 중 캔(Can) 봉지 기술은 OLED가 장착된 ITO 기판을 알루미늄 소재의 캔에 부착시키고, 상기 알루미늄 소재의 캔 내부에 게터(Getter)를 삽입하여 OLED 기판 내부에 수분 및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OLED 기판에 접착되는 캔 단면의 평탄도를 균일하게 제조할 수 없고, 제조 비용이 높으며, 플렉서블 시스템(Flexible System)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리(Glass)의 내부 전체면을 에칭하거나, 내부에 구획된 일부 영역을 에칭하여 에칭면을 형성한 후 에칭면 내에 게터를 삽입하고, 그 상부에 OLED 필름을 배치하여 외부에서 밀봉하는 글라스(Glass)기판 봉지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기 쉽고, 캔 봉지 기술과 마찬가지로 그 제조 비용이 높고, 플렉서블 시스템(Flexible System)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07029호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 양면에 구성된 서브 창 및 메인 창과 같이 2개의 디스플레이 소자가 동일 부재의 양 면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 2개의 소자를 동시에 밀봉시킬 수 있는 밀봉 캡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도 캡의 소재로 글라스(Glass)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고비용, 파손 및 접착 불량이라는 문제점이 역시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시스템(Flexible System)에 적용할 수 있는 박막 봉지 기술이 최근 개발되었다. 박막 봉지 기술은 유기/무기 다층 박막을 이용하여 박막을 제조하거나 다층의 무기 박막과 유기물 탑 코트(Top Coat)를 적용한 봉지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박막 봉지 기술은 플렉서블 시스템(Flexible System)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증착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OLED 기판에 대한 접착 특성이 우수하고, 파손의 염려가 없으며, 대면적 OLED 기판에 부착하여도 외부로부터 수분 및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며 제조비용이 낮은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OLED 기판에 대한 접착 특성이 우수하고, 파손의 염려가 없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면적 OLED 기판에 부착하여도 외부로부터 수분 및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낮은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은 (A) 투명 광학 필름층, (B) 상기 투명 광학 필름층의 저면에 도포되는 실리콘 코팅층, (C) 상기 투명 광학 필름층의 상부면에 접착되고, 격자 형태를 가지는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및 (D) 상기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면에 적층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 광학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은 각각의 격자 내부에 게터(Getter)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터(Getter)층은 실리카겔(silicagel),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탄산칼슘(CaCO3), 산화인(P2O5), 제올라이트(zeolite), 알루미나(alumin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지 필름은 그 측면에 도포된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투명 광학 필름층의 일면에 실리콘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S1), 상기 실리콘 코팅층이 도포된 투명 광학 필름층의 반대면에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을 접착시키는 단계(S2) 및 상기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을 적층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조방법은 S2 단계와 S3 단계의 사이에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의 격자 내부에 게터(Getter)층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S3 단계 이후에 상기 필름의 측면에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OLED 기판에 대한 접착 특성이 우수하고, 파손의 염려가 없으며, 대면적 OLED 기판에 부착하여도 외부로부터 수분 및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며 제조비용이 낮은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후술하는 내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광학 필름층의 상부면에 도포된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은 투명 광학 필름층(100)의 저면에 실리콘 코팅층(220)을 도포하고, 상기 실리콘 코팅층(220)이 도포된 투명 광학 필름층(100)의 반대면에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을 도포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투명 광학 필름층(100)의 소재로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ohol: PV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등의 투명 소재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를 사용한다. 상기 PET 및 PEN 수지는 필름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강도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내충격강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증기나 기체 투과율이 적기 때문에 수분 침투율이 매우 낮아 봉지 필름의 기판으로 사용되는 경우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실리콘 코팅층(220)은 수분침투 방지특성, 도포성 및 밀도가 우수하고, 실리콘 자체의 수분 함유율이 거의 없는 실리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에 사용하는 실리콘 바인더 수지는 접착력 및 수분침투 방지특성이 매우 우수한 물질로, 실리콘 수지와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실리콘 바인더 수지는 일반적으로 직선형의 실리콘 고분자와 실리콘 고무를 혼합하여 제조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직선형 실리콘 고분자의 비율이 서로 다른 실리콘 바인더 수지를 2종 이상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고무의 성분비가 많을수록 경화도는 증가하고, 응집력은 높아져 접착력이 낮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직선형 실리콘 고분자의 비가 증가하면 접착력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의 제조시 실리콘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실리콘 고무/직선형 실리콘 고분자의 비율은 제품에 적합한 실리콘 바인더 수지의 경도 및 접착력을 고려하여 그 제조공정 및 제품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은 마이크로 단위를 가지는 격자 형태를 가지더라도 형태 유지성, 내구성 및 접착 능력이 우수하고, 실리콘 자체의 수분 함유율이 거의 없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투명 광학 필름층 상부에 실리콘 바인더 수지를 격자형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및 수분의 침투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각각의 격자 내부에 게터(Getter)를 삽입하기 때문에 미량의 공기 및 수분이 침투되더라도 효과적으로 수분으로 인한 열화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하더라도 안정성이 우수하고, 화소 불량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광학 필름층의 저면에 도포된 실리콘 코팅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광학 필름층(100)의 일면에는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이 접착되고, 그 반대면에는 실리콘 코팅층(220)이 도포된다. 투명 광학 필름층(100)의 저면에 도포되는 실리콘 코팅층(220)은 제품의 전체 무게, 수분 침투율 및 크랙(Crack) 발생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한다. 또한, 실리콘 코팅층(220)은 미도포면이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2회 이상의 도포 공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코팅층(220)은 얇게 도포하여도 수분 및 공기 침투에 대하여 우수한 차단력을 가져야 하므로 밀도가 높고, 실리콘 자체의 수분 함유율이 거의 없는 실리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의 격자 내에 게터가 삽입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의 격자 내에는 수분 침투로 인한 열화 현상 발생율을 더욱 저하시키기 위해서 격자와 격자 사이에 게터(300)를 삽입할 수 있다. 게터(300)는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20)이 도포된 투명 광학 필름층(10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게터(300)는 격자 내부에 유입되는 기체를 흡수하거나 그 기체와 화합물을 만드는 물질로 흡습 능력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silicagel),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탄산칼슘(CaCO3), 산화인(P2O5), 제올라이트(zeolite), 알루미나(alumin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에 유기발광다이오드층을 적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은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20)이 저면에 도포된 투명 광학 필름층(100) 상부에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을 접착시키고, 그 상부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을 적층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도 4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품의 내구도 및 수분침투 방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의 격자 내부에 게터를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면적화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을 적층하여도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에 단위면적당 접착되어 접착능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적은 단위면적당 개별적으로 수분 및 공기 침투가 방지되기 때문 에 전체적인 제품의 수분 및 공기 침투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에 픽셀이 형성된 유기발광다이오드층을 적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에 다수의 픽셀(Pixel)이 형성될 수 있다. 픽셀의 수는 디스플레이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이 도포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은 실리콘 코팅층(220)이 도포된 투명 광학 필름층(100)의 상부에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을 접착시키고, 그 상부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을 적층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적층된 필름들의 측면에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230)을 도포하여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230)은 투명 광학 필름층(100)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에 외부로부터의 수분 내지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충분히 밀봉한다. 도 6에서는 실리콘 코팅층(220), 투명 광학 필름층(100) 및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210)의 측면에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230)이 도포된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400)의 측면에도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230)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230)이 도포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은 수분 차단율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제품의 내구성 및 품질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투명 광학 필름층의 일면에 실리콘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S1 단계), 상기 실리콘 코팅층이 도포된 투명 광학 필름층의 반대면에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을 접착시키는 단계(S2 단계) 및 상기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을 적층하는 단계(S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그 이외에도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의 격자 내부에 게터(Getter) 층을 삽입하는 단계, 및/또는 필름의 측면에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낮고, 제조공정이 단순하며, 대면적 OLED 제품에 사용할 경우 수분침투 억제 능력 및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경쟁력있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광학 필름층의 상부면에 도포된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광학 필름층의 저면에 도포된 실리콘 코팅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의 격자 내에 게터가 삽입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에 유기발광다이오드층을 적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에 픽셀이 형성된 유기발광다이오드층을 적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이 도포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투명 광학 필름층 210: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220: 실리콘 코팅층 230: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
300: 게터 400: 유기발광다이오드층
410: 픽셀

Claims (8)

  1. (A) 투명 광학 필름층;
    (B) 상기 투명 광학 필름층의 저면에 도포되는 실리콘 코팅층;
    (C) 상기 투명 광학 필름층의 상부면에 접착되고, 격자 형태를 가지는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및
    (D) 상기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면에 적층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광학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은 각각의 격자 내부에 게터(Getter)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터(Getter)층은 실리카겔(silicagel),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탄산칼슘(CaCO3), 산화인(P2O5), 제올라이트(zeolite), 알루미나(alumin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필름은 그 측면에 도포된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6. 투명 광학 필름층의 일면에 실리콘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S1);
    상기 실리콘 코팅층이 도포된 투명 광학 필름층의 반대면에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을 접착시키는 단계(S2); 및
    상기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 상부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층을 적층하는 단계(S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S2 단계와 S3 단계의 사이에 격자형 실리콘 바인더 수지층의 격자 내부에 게터(Getter)층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의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S3 단계 이후에 상기 필름의 측면에 마감용 실리콘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90093762A 2009-10-01 2009-10-01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064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762A KR101064424B1 (ko) 2009-10-01 2009-10-01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762A KR101064424B1 (ko) 2009-10-01 2009-10-01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217A true KR20110036217A (ko) 2011-04-07
KR101064424B1 KR101064424B1 (ko) 2011-09-14

Family

ID=4404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762A KR101064424B1 (ko) 2009-10-01 2009-10-01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108A1 (ko) * 2011-08-31 2013-03-07 (주)엘지하우시스 복합 게터제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696A (ja) 2002-10-08 2004-05-27 Oji Paper Co Ltd 液晶偏光板保護用透明粘着フィルム
KR100656999B1 (ko) * 2005-01-19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 격자 편광필름 및 선 격자 편광필름의 격자제조용 몰드제작방법
KR100624307B1 (ko) 2005-02-23 2006-09-19 제일모직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저반사율의 휘도 향상 다층 광학필름 및 이를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033382B1 (ko) * 2008-04-15 2011-05-09 나니와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과 자기수복성을 갖춘 표면기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108A1 (ko) * 2011-08-31 2013-03-07 (주)엘지하우시스 복합 게터제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KR101360474B1 (ko) * 2011-08-31 2014-02-11 (주)엘지하우시스 복합 게터제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424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9271B (zh) 環境敏感電子元件之封裝體及其封裝方法
CN1226700C (zh) 卡形数据载体及其制造方法
JP7274102B2 (ja) 封止構造、表示デバイス及び表示装置
CN107068907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0643891B1 (ko) 봉지 캡을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 패널
TW200417281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337549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ー用基板、表示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および液晶表示素子
US986584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30236713A1 (en) Transparent flexibl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12723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US8711308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0547825C (zh) 显示装置
KR101064424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498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KR101524365B1 (ko) 다기능성 봉지막을 갖는 플렉시블 oled
KR101124557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활용한 유기전계 발광장치
KR20140065171A (ko) Oled용 전도성 봉지필름
KR20070121982A (ko) 표시장치의 제조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표시장치
KR100462469B1 (ko) 접착식 유기-무기 복합막을 갖춘 엔캡슐레이션 박막과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101038329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KR20140065178A (ko) 접착층을 가지는 oled용 봉지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패널
KR101023132B1 (ko) 평판표시장치
KR101124558B1 (ko) 광추출효율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기판
JP2010205506A (ja) El素子
CN1851925A (zh) 有源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