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875A -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875A
KR20110033875A KR1020090090967A KR20090090967A KR20110033875A KR 20110033875 A KR20110033875 A KR 20110033875A KR 1020090090967 A KR1020090090967 A KR 1020090090967A KR 20090090967 A KR20090090967 A KR 20090090967A KR 20110033875 A KR20110033875 A KR 20110033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emotion
color
emotional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성
김관배
장중식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875A/ko
Publication of KR2011003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의 감성에 근거한 색채요소와 형태,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감성요소간의 상관관계를 조사·분석 및 체계화하여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Color & Emotion Standardization System)을 구축하기 위한 분류체계에 관련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성언어의 이미지 스케일을 분류하여 유니버셜 맵 포지셔닝을 도출하여 내며, 이를 바탕으로 한 색채-감성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독자적인 소비자 감성측정용 감성언어의 분류 및 체계화 확보가 가능하고, 한국 디자인국가 경쟁력 확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 감성 파악 관련 디자인리서치 전 분야에 걸쳐서 활용이 가능하다.
색채, 감성, 표준화, 디자인, 언어이미지

Description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Color-emotion standardization system and method to build it}
본 발명은 소비자의 감성에 근거한 색채요소와 형태,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감성요소간의 상관관계를 조사·분석 및 체계화하여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Color & Emotion Standardization System)을 구축하기 위한 분류체계에 관련 된 것이다.
디자인행위에 있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파악하지만 특히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은 오래전부터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언어 특히 인간의 감성을 대변하는 감성언어라고 하는 것은 다분히 자의적이고 정성적이기 때문에 그 활용성과 논리성이 부단히 요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소비자 감성의 파악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감성언어라는 것은 시대변화에 따라 그 의미와 사용 환경이 진화할 뿐만 아니라, 언어의 발달에 따라서 향후 소비자의 언어 및 감성 역시 진화한다는 것을 감안하여 볼 때 감성언어에 관한 연구가 한시적인 연구가 아닌 감성의 발달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디자인개발이나 색상이 갖는 이미지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측정ㅇ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일본색채연구소에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미지스케일을 무비판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도 1 참조)
그러나 소비자의 감성은 국가나 지역, 시대에 따라서 다를 뿐 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진보·변화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가 디자인 경쟁력 향상이라는 차원에서 볼 때도 한국인의 감성을 대변 할 수 있는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감성언어의 체계정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필요성으로는 크게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겠다. 첫째, 독자적 감성 창조 및 체계적인 관리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색채사용에 있어서 독자적 감성 창조 및 체계적인 관리 필요하기 때문이며 둘째, 디자인산업 경쟁력 확보로 디자인 분야별 색채 및 감성요소의 사용 정체성의 확립을 통한 디자인산업 경쟁력 확보와 기능, 가격 경쟁력을 넘어 사용자 감성을 만족시킴으로써 세계적 브랜드로 부각될 수 있는 제품, 서비스, 환경 개발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환경, 제품, 인터페이스 색채 및 감성요소 기준 확립이 필요하다. 사용자 감성 만족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환경, 제품, 인터페이스 색채 및 감성요소 기준 확립과 무분별한 색채 사용으로 국내 수많은 지역과 제품 정체성이 부재하고 감성이 조화롭지 못한 상태로 요구된다. 넷째로 선호 감성에 대한 체계적 판별 및 그에 기반으로 디자인 기술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장 세분화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층의 선호 감성에 대한 체계적 판별 및 디자인 기술 필요하며 인간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인 색채 및 감성요소(형태, 소재)의 체계적 분석, 활용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디자인 프로세스 전개(Design Process Evaluation Procedure)에서 조사, 분석 등 소비자 특성이 정확한 이해가 창의적인 컨셉 도출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이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성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디자인 작업에 임하는 것으로 이것을 통해 적절한 디자인의 방향, 타겟 설정 등과 같은 컨셉 작업이 순조롭게 수행되어 디자인의 구체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곧 아이디어 발상 시 합리적이고 구체화된 문제해결안의 제시로 이어진다. 현대사회는 과거 대량생산과 소량소비시대와는 달리 다양한 제품이 생산 이루소비자의 요구를 적극 수렴하여 적정공급 되는 시대이다. 이 시대에 디자인 아이디어 작업에서 절실하게 요구되 문제은 다양한 소비 심성 특성의 인식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심성 측정 및 적용방법의 달리적 근거수립 및 체계 구현, 소비 심성의 기반인 기억특성, 추론, 의사결정 과정 등의 요인 분석된 문제, 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유비쿼터스 지향의 기술 및 환경요인에 적합한 심적 요인기준 인식하는 것, 다양한 소비자 특성의 효과적인 심성 측정 방안과 데이터 축적 방안 모색 및 사례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바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적합한 제품을 디자인하고 생산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이에 본 발명은 디자인 작업시 소비자의 여러 요구사항을 수렴하고 창조적인 컨셉도출을 위해서 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색상·감성디자인 검색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그 단계별 모듈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제품개발을 포함한 디자인 전 분야에서 소비자의 감성을 측정 혹은 파악하기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 선호 감성언어의 분류방법을 규정하고, 보다 합리적인 기준에 의하여 감성언어 이미지 스케일을 개발하여 소비자 감성측정용 감성언어 유니버설 스케일 맵(가칭)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성언어의 이미지 스케일을 분류하여 유니버셜 맵 포지셔닝을 도출하여 내며, 이를 바탕으로 한 색채-감성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독자적 감성언어 이미지 스케일을 확보할 수 있고, 소비자 감성파악의 합리성을 획득할 수 있다. 즉, 한국 독자적인 소비자 감성측정용 감성언어의 분류 및 체계화 확보가 가능하고, 한국 디자인국가 경쟁력 확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 감성 파악 관련 디자인리서치 전 분야에 걸쳐서 활용이 가능하다.
소비자의 색채-감성디자인 정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부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소비자의 감성타입을 측정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하기위하여 관련 연구를 진행하면서 각종 제품들에서 나타나는 여러 요인들을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통적으로 포함된 내용을 중심으로 제품의 분류별 내용에 따라서 가중치를 주게 되도록 감안하였다. 첫째로 기반연구 속에서 나타난 여러 요인들로 하여금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기를 기반으로 기 본 알고리즘을 개발하게 된다. 알고리즘을 가상으로 시연하기 위한 기본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둘째로 사용자의 감성타입별로 분류하고 셋째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사용자 감성언어를 추출하고 각 감성 언어별로 스케일 맵(가칭)을 적용하고 이를 추후 이미지 스케일에 적용한다. 넷째로는 각종 구성 요소조사와 분류를 기준으로 각 구성 요소별로 형상과 관련 상관관계를 사용자의 감성측정 실험을 통해서 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이행하기위한 감성 측정 실험을 이행하고 나서 각 구성요소별 측정 및 정보 축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추후 개발된 웹구현 DB에 저장하고 연동 알고리즘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는 단계로 설계한다.(도 8 참조)
사용자의 감성 타입으로는 [A축] 대사회 감성도 (대인, 사회변화, 트랜드), [B축] 자기 어필(표현), [C축] 정보 조합력(분석), [D축] 오감 감성도(색상, 소리, 촉감), [E축] TPO 감성도(시간, 장소, 환경), Color 지향형, Function 지향형, Material 지향형, Shape 지향형, Trend 지향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추후 각 시대별 내용에 차등이 있을 것을 감안하여 DB에서 유형별 추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9 참조)
1) 감성언어의 분류
감성 언어를 크게 조형에 기초를 둔 조형적 감성언어와 인간의 감각을 중심으로 한 오감적 감성언어, 인간의 감정에 기초한 감정적 언어를 중심으로 도 2와 같이 분류하였다.
2) 감성언어 맴핑 포지셔닝 기준방법
가. X축_period [시대적 특성, 신구 old & new]
언어는 항상 고정되어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즉, 새 말이 생기기도 하고 있던 말의 뜻이나 형태가 달라지기도 하면, 쓰이지 않아 소멸되기도 하며, 언어는 개인이 마음대로 변개할 수는 없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언중의 약속이 달라지면 언어도 변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언어의 특성을 '언어의 역사성' 또는 '언어의 가역성(可逆性)'이라고 한다. X축의 범위를 언어의 특성인 역사성을 토대로 오래되고, 진부하고, 상투적인 느낌의 Old, 익숙하고 잘 알려진 느낌의 Present, 미래의, 새롭고, 생소한 느낌의 New의 세가지 분류기준을 정한다. 그 분류를 통해 감성언어를 세분화시켜 단어 간의 신구(Old & New) 정의 내려 섬세하고 미묘한 느낌을 분류한다.(도 4참조)
나. Y축_gender [성별적 특성, manlike, neuter, womanlike]
언어의 기본적인 특성과 함께 감성적 측면에서는 성별에서도 그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도 5참조)
다. Z축_weight [무게감, light, medial, heavy]
언어에서 모든 기호는 일정한 형식에 일정한 의미를 담고 있다. 언어도 하나의 기호로서, 그 형식은 음성(문자)이고, 내용은 의미(뜻, 내용)로 즉, 언어는 일정한 의미(뜻, 내용)를 일정한 형식(음성, 문자)으로 기호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단어의 음성에서 오는 느낌이나, 의미에서 느껴지는 언어의 무게를 Z축을 중심으로 Light, Medial, Heavy의 세분화된 범위내에서 미묘하고, 섬세한 언어의 비중을 구별하여 3_D axis에 배치한다.
3) 감성언어 분류 및 감성언어 유니버셜 맵 포지셔닝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하여 도 6과 같은 유니버셜 맵 포지셔닝 결과가 생성된다. 그리고 그러한 결과를 3차원 형상으로 도식화하면 도 7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이용한 색채-감성 디자인 프로그램의 개발방법은 다음과 같다.
색채 감성 디자인 프로그램은 첫째, 사용자의 감성 타입의 분류와 시스템 체계화를 하고 둘째로 유저감성 타입별 감성언어를 추출하고, 셋째로 알고리즘 및 인터페이스 개발과 함께 넷째로 웹기반 솔루션 개발 DB구축하여 국내 디자이너들을 위한 소비자 색채감성 정보를 공유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및 거주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경험, 서비스 구현을 위한 색채-감성 측정 및 표준화, 정량화 기술개발하고 디자인 과정에서 체계적인 방법으로 이것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색채-감성 분석 및 지원 기술 개발과 디자인분야별(환경디자인, 제품디자인, 인터페이스디자인) 유저감성에 근거한 색채, 배색, 형태, 소재 사용 가이드라인 구축하였다. 형태, 재료 등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의 분석을 통하여 통합적 감성 디자인 및 적절한 조화 기법의 제시하고 색채 이미지 분석을 통한 표준화/정량화, 감성 이미지 분석을 통한 표준화/정량화를 진행하고 차후 과제로는 색채-감성 연동 알고리즘개발 및 인터페이스 개발하게 되며 색채-감성 데이터베이스 정보공유를 위한 웹 구현을 하게 된다.
색채-감성 디자인 시스템 개념도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다.
UET 프로그램에 있어서, UET 측정에 관하여 살펴보면 User Segment, Life Stage, Life Style 등을 Emotion-question Sheet를 이용해 판별하게 된다. 이는 User Emotion Test의 일환으로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Quantitative analysis를 걸쳐 User Emotion Type를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UET DB)는 User Emotion Type에 따라 분류되어 Emotion Factor로 저장되어 진다.
1차 색채 ㅇ 감성 측정에 있어서는 Clade-Classification을 통해 도출된 Word와 Image DB를 대입함으로써 Color Map, Color combination Map, Shape Map, Material Map으로 구성된 Morphological Image Map을 이루게 된다. 이때 UET 측정에서 얻어낸 Emotion Type별로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11 참조)
감성언어 조사분류에 있어서는 Primary research를 통하여 Classification된 데이터를 Human, Society, Community, Network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Verification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도출되는 데이터베이스는 Clade-Classification으로서 Joy, Anger Sorrow, Pleasure, Hate, Desire, Love, Neologism, Loanword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이렇게 얻어진 감성언어 이미지스케일 DB의 분류에 따라 UET 측정결과에 대입하여 계측장비로 색채ㅇ 감성 측정을 실시하게 된다. 측정된 결과로 Morphological Image Map을 구성하여 판별된 데이터는 저장되어진다.(도 12 및 도 13 참조)
Filed Survey Measurement는 UET 프로그램에서 얻어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Subject를 계측장비를 통해 측정하여 Color, Color Combination, Shape, Material 로 분류한다. Color / Color Combination은 Target Document, Town Watching, Product Clinic을 실시하여 Video decoding, Be-gaze decoding, Verification, Database로 Analysis한다. Shape에 있어서는 Analysis-Cognitive psychology, Morphological Image board로 Material은 Research, Environment-product-Interface, Image board을 실시/도출한다. Field checking을 통한 기초분석단계에서는 환경, 제품, 인터페이스로 분류된 데이터를 각각 컬러, 배색, 형태, 재질로 분류되어 Morphological Image Map으로 색채·감성 기초자료로 데이터베이스화된다.(도 14 참조)
본 시스템을 개발한 뒤 활용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수 있다. 첫째로 디자인 교육적 측면으로는 색채-감성 연계 기술의 정확한 이해와 응용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디자인 작업능률 향상이 가능하다. 우리나라 색채-감성 연계 분야의 초 전문적인 인적, 양적 가시적인 인프라 구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디자인 산업의 발전과 디자인 역량의 극대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가 가능해진다. 둘째로 국제Network화를 통한 Globalization 실현으로는 색채-감성연계 기반기술의 국제Network화를 통한 Globalization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국내외의 색채-감성 관련 전공 대학 및 부설연구소, 감성측정 전문기업, 감성측정기기 개발 기업, 전문가그룹, 학회 등과의 국제 네트워크화 및 글로벌 컨소시엄 구성을 통하여 색채-감성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진행를 공유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를 것이다. 셋째로 디자인산업 측면으로는 환경디자인적 측면에서 국가·지역성을 나타내기 위해 독자적 감성 창조 및 체계적 관리 지원과 거주자 및 이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키 는 경험, 서비스를 제공출할 수 삶의 질 향상, 무분별한 트워크사용의 방지를 통한 지역 정체성 확립을 할수 있다. 제품디자인적 측면에서는 감성에 따른 트워크사용 가이드라인 제공을 통한 사용자 만족감 증대될 것이며 기능, 가격 경쟁력을 넘어 사용자 감성을 만족시킴할 수 세계적 브랜드로 부각 가능한 제품 개발이 수월해진다. 또한 영역별 매칭·분류된 색채-감성 소스를 통한 디자인작업 효율성이 향상 될 것이다. 인터페이스 설계적 측면으로는 표준화된 색채-감성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서 인터페이스 설계로의 적용이 수월해지며 시장 세분화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층의 선호 감성에 대한 체계적 판별이 가능해짐으로서 사용자 감성 만족도 향상되고 색채와 함께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형태, 재료, 구성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해진다.(도 15 참조)
도 1은 일본색채연구소의 언어 이미지 스케일
도 2는 기초적 감성언어의 분류표
도 3은 소비자 감성 대표 언어 81
도 4는 감성언어 맵핑 포지셔닝 기준에 있어서의 X축 정의
도 5는 감성언너 맵핑 포지셔닝 기준에 있어서의 Y축 정의
도 6은 소비자 감성언어 분류 및 감성언어 유니버설 맵
도 7은 감성언어 분류체계의 3차원 도식도
도 8은 색채-감성디자인 시스템 설계방법을 도식화한 도면
도 9는 사용자 감성타입의 분류
도 10은 색채-감성 디자인시스템 개념도
도 11은 사용자 감성 테스트 방법의 도식도
도 12는 색채-감성 디자인시스템 DB구축을 위한 선행 연구조사 방법
도 13은 색채-감성 디자인시스템 구성요소측정 및 정보축적 방법
도 14는 색채-감성 디자인시스템을 구현한 웹의 운영 도식도
도 15는 색채-감성 디자인시스템의 활용방안

Claims (1)

  1. 통합적 감성디자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시대적특성, 성별적특성 및 무게감을 기준으로 분류된 조형적언어, 오감언어 및 감정언어를 포함하는 감성언어;
    UET의 일환인 Quantitative analysis를 거쳐 도출된 Emotion factor;
    단어와 이미지 DB를 대입하여 형성되는 Morphological Image Map; 및
    상기 Emotion factor를 계측장비로 측정하여 축적되는 색채-감성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색체-감성 표준화 시스템.
KR1020090090967A 2009-09-25 2009-09-25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20110033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67A KR20110033875A (ko) 2009-09-25 2009-09-25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67A KR20110033875A (ko) 2009-09-25 2009-09-25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875A true KR20110033875A (ko) 2011-04-01

Family

ID=4404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967A KR20110033875A (ko) 2009-09-25 2009-09-25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73A1 (ko) * 2013-01-30 2014-08-07 Kong Mi-Sun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방법,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진단 방법, 및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73A1 (ko) * 2013-01-30 2014-08-07 Kong Mi-Sun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방법,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진단 방법, 및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N104981829A (zh) * 2013-01-30 2015-10-14 孔美善 优选图像标识码生成方法、优选图像标识码诊断方法及利用优选图像标识码的信息提供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liestik et al. Live shopping in the metaverse: Visual and spatial analytics, cogni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and algorithms, and immersive digital simulations
Cautela et al.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design thinking practice: insights from the ecosystem of startups
Bhave A process model of entrepreneurial venture creation
Hanafi et al. Modelling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 a literature review
CN107506928A (zh) 一种综合的职业定位测评装置及方法
De Nisco et al. From international travelling consumer to place ambassador: Connecting place image to tourism satisfaction and post-visit intentions
CN109815955A (zh) 题目辅助方法及系统
Haug Acquiring materials knowledge in design education
Kantola et al. Knowledge service engineering handbook
KR20220092471A (ko) 상품의 비주얼 스키마를 이용한 수요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
Gordon Virtual navigation and geospatial mapping tools, customer data analytics, and computer vision and simulation optimization algorithms in the blockchain-based metaverse
Chen et al.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A meta-analysis
Magni et al. Digital humanis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ole of emotions beyond the human–machine interaction in Society 5.0
Narrei et al. Assessment of personal preferences concerning the social impacts of mining with choice experiment method
Zelianskaia et al. Naive geography: geoconceptology and topology of geomental maps
Krayem et al. Machine learning for buildings’ characterization and power-law recovery of urban metrics
Smeda et al. Factors affecting the e-book adoption amongst mathematics and statistics students at universities in Libya: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KR20110033875A (ko) 색채-감성 표준화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Akça et al. A comprehensive appraisal of perceptual visual complexity analysis methods in GUI design
Sitepu et al. Analysis of the competency of fresh graduated higher education in supporting industrial era 4.0
Martínez et al. Using MatLab's fuzzy logic toolbox to create an application for RAMSET in software engineering courses
Arreza The quality of service and user satisfaction of airline chatbots
Haines-Gadd et al. Creating a taxonomy of value for a circular economy
Al-Barakat et al. The Impact of Strategic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t the Hotels Sector in Jordan
Dell'Ovo et al. Modelling the Spatial Decision Problem.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SitHealth Evaluatio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