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716A -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716A
KR20110033716A KR1020090091306A KR20090091306A KR20110033716A KR 20110033716 A KR20110033716 A KR 20110033716A KR 1020090091306 A KR1020090091306 A KR 1020090091306A KR 20090091306 A KR20090091306 A KR 20090091306A KR 20110033716 A KR20110033716 A KR 20110033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processors
information
queue
shared que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820B1 (ko
Inventor
신규환
백현기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8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11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 G06F9/5016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the resource being the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5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software capabilities, i.e. software resources associated or available to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멀티 프로세싱에서의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관리장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 프로세스와 상기 생성된 정보를 소비하는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며 상기 공유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공유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나 정보할당단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작업 큐의 접근을 적절히 제한함으로써, 멀티코어나 멀티프로세서 환경에서 멀티 프로세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멀티코어, 멀티프로세서, 프로세스, 메모리

Description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Method and memory manager for managing memory}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기술분야는 프로세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프로세싱에서의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코어(multicore)나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가 존재하는 멀티 프로세싱 환경에서, 각각의 코어나 프로세서에 할당되는 프로세스(process)나 쓰레드(thread)들은 큐(queue)와 같은 메모리를 서로 공유하면서 작업 큐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멀티 프로세싱 환경에서는 어떤 작업(workload)을 수행하는데 있어 다수의 프로세스(process)가 존재할 수 있다. 이들 프로세스 중에는 작업을 수행하면서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 프로세스(producer process)도 있고, 작업을 수행하면서 정보를 소비하는 정보소비 프로세스(consumer process)가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를 멀티 프로세스로 구현하는 경우, 가변장 디코딩(variable length decoding)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는 정보생성 프로세스에 해당되고, 매크로블록(macroblock)들을 처리하는 프로세스는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정보생성 프로세스와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함께 동작하도록 하는 producer-consumer 형태의 작업 처리시, 정보생성 프로세스와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공유하는 작업 큐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작업 효율(performance)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멀티 프로세싱 환경에서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일방적으로 늘려 처리속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작업 큐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만 늘이는 경우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될 수 있는 작업 큐 접근시간이 줄어들어 오히려 전체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일정한 수로 제한하거나 미리 결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또한 작업의 특성과 무관하게 일정한 수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특성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더 나아가 다른 전통적인 방법은, 메모리 버스 구조(architecture)의 변경을 필요로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멀티코어나 멀티프로세서와 같은 멀티 프로세싱 환경에서의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메모리 관리장치는, 멀티 프로세싱 환경에서의 메모리 관리장치에 있어서, 잡을 생성하는데 할당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 보생산 프로세서; 상기 생성된 잡을 소비하는데 할당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소비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들간의 대역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소비 프로세서들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들간의 대역상태를 체크하는 대역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멀티 프로세싱에서의 메모리 관리방법은, 정보생성 프로세스, 정보소비 프로세스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 환경에서의 메모리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와, 상기 정보생성 프로세서와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간의 대역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멀티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는, 잡을 생성하는 제1프로세스와 상기 제1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잡을 소비하는 제2프로세스에 의해 공유되는 공유 큐; 및 상기 공유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멀티 프로세싱에서의 관리장치는, 제1프로세스와 제2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며, 상기 제1프로세스가 생성하는 데이터는 상기 제2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되는 작업(job)이며, 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유 큐; 및 상기 공유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거나, 상기 제2프로세스에서 소비할 정보의 할당단위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작업 큐의 접근을 적절히 제한함으로써, 멀티코어나 멀티프로세서 환경에서 멀티 프로세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불필요한 프로세서는 쉬게 함으로써 전체 사용전력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작업이나 사용되는 정보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프로세서의 할당을 조정하므로 작업수행에 앞서 미리 프로세서의 수나 정보의 할당정도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10)와 메모리 관리장치(100)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메모리(110)는 공유 큐(111)와 데이터 영역(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관리장치는 메모리(110)를 액세스하며, 제어부(140)와 다수의 프로세서들(121, 132, 134, 136)을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대역 감시부(141)와 프로세스 조정부(144)를 더 포함한다. 대역 감시부(141)는 큐 상태 감시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유 큐(111)는 잡(job)과 잡(job)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생성 프로세스(producer process)(120)와, 잡을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를 소비하는 정보소비 프로세스(consumer process)(130)에 의해 서로 공유된다. 여기서 잡(job)은 예를 들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의해 처리될 잡에 대한 설명(description)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과정에서 정보생성 프로세스(120)에 의해 만들어진 잡(job)은 공유 큐(111)에 저장되고, 잡을 위한 데이터는 데이터 영역(112)에 저장될 수 있다. 정보소비 프로세스(130)는 공유 큐(111)에 저장된 잡에 따라, 메모리(110)의 데이터 영역(112)에 있는 잡을 위한 데이터를 읽고 처리할 수 있다. 정보생성 프로세스(120)는, 잡을 공유 큐(111)에 넣는다. 정보소비 프로세스(130)는 이 공유 큐(111)로부터 잡을 읽어, 잡 설명(description)에 따라 데이터 영역(112)으로부터 데이터를 처리한다. 따라서, 공유 큐(111)의 길이는 정보생성 프로세스(120)에 의해 생성되는 잡의 수와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의해 소비되는 잡의 수에 따라 가변된다.
예를 들어 정보생성 프로세스(120)가 10개의 잡을 생성하고 정보소비 프로세스(130)가 4개의 잡을 소비하였다면 공유 큐(111)의 길이는 6이 된다. 따라서 공 유 큐(111)의 길이는 정보생성 프로세스(120)가 잡을 생성하는 속도와 정보소비 프로세스(130)가 잡을 소비하는 속도에 따라 가변된다. 한편, 정보생성 프로세스(120)는 정보생성 프로세서(121)가 할당될 수 있고, 정보소비 프로세스(130)는 복수개의 정보소비 프로세서(132, 134, 136)가 할당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메모리(110)와 프로세서들(121, 132, 134, 136)간의 대역상태에 기초하여 정보소비 프로세스(130)를 관리한다.
일예로, 제어부(140)는 메모리(110)와 프로세서들(121, 132, 134, 136)간의 메모리 대역 상태에 기초하여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메모리 대역 상태는 공유 큐(111)의 상태를 보고 체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정보소비 프로세서가 상대적으로 별로 할당되지 않아 메모리 대역이 포화되지 않은 상태라고 하면, 공유 큐(111)의 길이가 길어지고, 제어부(140)는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개수를 늘인다. 그리고 예를 들어, 만일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정보소비 프로세서가 상대적으로 너무 많이 할당되어 메모리 대역이 포화되면, 공유 큐(111)의 길이가 짧아지고, 제어부(140)는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개수를 줄인다. 다시 말하면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공유 큐(111)에 쌓이면 이를 소비하는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킨다.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전술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40)는, 대역 감시부(141)와 프로세스 조정 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 감시부(141)는 큐 상태 감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 감시부(141)는 큐 상태 감시부(14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공유 큐(111)의 길이에 기초하여, 메모리와 프로세서들간의 대역을 체크한다. 그리고, 프로세스 조정부(144)는 체크된 공유 큐의 길이가 예를 들어 일정한 상한값 이상이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고 일정한 하한값 이하이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킨다. 상한값과 하한값은 여러가지 작업(workload)을 수행하여 최적의 성능이 나타나는 값을 평균값으로 하여 그보다 5%~30% 정도 위에 상한값을 설정하고 평균값보다 5%~30% 낮은 위치에 하한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정해진 수의 프로세서만 정보소비 프로세스(130) 작업에 참여하고, 그 외에 정보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프로세서들을 대기(sleep)시킴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공유 큐(111)의 길이의 변화량을 가지고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개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큐 상태 감시부(142)는 체크된 공유 큐의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계산하여 공유 큐 길이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이 변화량이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고,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킨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40)는 메모리(110)와 프로세서들(121, 132, 134, 136)간의 대역상태에 기초하여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메모리 대역의 상태는 공유 큐(111)의 상태에 기초하 여 체크될 수 있다. 할당단위의 크기 조정은 전술한 프로세서의 수 조정을 대신해서 또는 이에 추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공유 큐(111)의 길이가 길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전달할 데이터의 할당단위를 작게 하고, 길이가 짧아지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전달할 데이터의 할당단위를 크게 한다. 예를 들어, 공유 큐(111)에 저장된 데이터, 즉 엔트리(entry)들을 바로바로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읽어가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할당단위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그 단위가 되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공유 큐(111)에 데이터가 적은 개수만 쌓여도 바로 정보소비 프로세스(130)가 처리하게 하거나, 일정한 정도 쌓일 때까지 기다렸다가 처리하도록 데이터의 할당단위를 제어한다.
따라서, 큐 상태 감시부(142)는 공유 큐(111)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공유 큐의 길이를 체크한다. 그리고, 프로세스 조정부(144)는 체크된 공유 큐의 길이가 특정한 상한값 이상이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특정한 하한값 이하이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다시 말하면, 공유 큐(111)에 남은 엔트리(entry)의 크기가 현재 할당단위가 될 때까지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들은 휴지(sleep) 상태로 들어가도록 하여 정보생산 프로세스(120)가 메모리를 보다 원활하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프로세서를 쉬게 하여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할당단위를 조정함으로써 정보소비 프로세스의 휴지 상태 지속여부를 조정하여 정보생산 프로세스(120)가 메모리를 보다 원활하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공유 큐의 길이가 아니라 공유 큐의 길이의 변화량을 가지고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조정부(144)는 체크된 공유 큐의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계산하여 공유 큐 길이의 변화량이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정보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도 2a 및 도 2b는 공유 큐의 길이에 따라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최초에 공유 큐(111)의 길이가 상한값 이상이면, 예를 들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적은 수의 정보소비 프로세서가 할당되어, 메모리와 프로세서간의 대역이 포화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공유 큐(111)의 길이가 하한값 이하로 떨어지면, 이는 예를 들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너무 많은 프로세서가 할당되어 메모리와 프로세서간의 대역이 포화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최적의 수로 조정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공유 큐(111) 길이의 변동분이 0보다 작으면, 예를 들어 정보생산 프로세스(120)가 생산하는 잡보다 정보소비 프로세스(130)가 소비하는 잡이 더 많아 공유 큐(111)의 길이가 계속 감소하는 경우에는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고, 정보생산 프로세스(120)가 생산하는 잡보다 정보소비 프로세스(130)가 소비하는 잡이 더 적어 공유 큐의 길이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에는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도 3은 공유 큐의 길이에 따라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정보할당단위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최초에 공유 큐(111)의 길이가 상한값 이상이므로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되는 데이터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다가, 하한값 이하로 떨어지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되는 데이터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되는 데이터 할당단위의 크기를 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관리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메모리 관리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메모리 관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잡을 생성하는 정보생산 프로세스와 이렇게 생성된 잡을 소비하는 다수의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며, 공유하는 잡을 저장하는 공유 큐의 길이 또는 길이의 변동분을 파악한다(S310).
그리고, 파악된 공유 큐(111)의 상태에 기초하여 정보소비 프로세스(130)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가 공유 큐(111)를 더 이상 접근할 수 없을 정도로 메모리 대역이 포화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20). 그리고, 메모리 대역이 포화상태이면, 예를 들어 공유 큐(111)의 길이가 일정한 하한값 이하이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킨다(S33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큐(111)의 길이가 아니라 공유 큐(111)의 길이의 변화량이 일정한 시간동안 음인 경우에도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메모리 대역이 포화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으로 공유 큐(111)를 관찰하여 메모리 대역이 여유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40). 여유있는 상태(under-saturated)이면, 예를 들어 공유 큐(111)의 길이가 일정한 상한값 이상이면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킨다(S350). 한편, 공유 큐(111)의 길이가 아니라 공유 큐(111)의 길이의 변화량이 일정한 시간동안 양인 경우에도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정보소비 프로세스(130)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정보생산 프로세스(120)의 동작이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더 판단하여(S360), 정보생산 프로세스(120)의 동작이 정지하였으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 면 다시 처음 단계(S310)으로 돌아가 공유 큐(111)의 상태를 파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와 메모리 관리장치(100)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공유 큐의 길이에 따라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3은 공유 큐의 길이에 따라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정보할당단위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관리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0 : 메모리 111 : 공유 큐
120 : 정보생성 프로세스 130 : 정보소비 프로세스
140 : 제어부 141 : 대역 감시부
142 : 큐 상태 감시부 144 : 프로세스 조정부

Claims (30)

  1. 멀티 프로세싱 환경에서의 메모리 관리장치에 있어서,
    잡을 생성하는데 할당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생산 프로세서;
    상기 생성된 잡을 소비하는데 할당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소비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들간의 대역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소비 프로세서들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들간의 대역상태를 체크하는 대역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감시부는
    상기 프로세서들이 서로 공유하는 공유 큐에서 처리되는 잡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공유 큐의 길이를 체크하는 큐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감시부는
    상기 프로세서들이 서로 공유하는 공유 큐에서 처리되는 잡의 수와 소정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공유 큐의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계산하는 큐 상태 감 시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들간의 대역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잡을 소비하는데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들이 서로 공유하는, 상기 체크된 공유 큐의 길이가 소정의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고 소정의 하한값 이하이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는 프로세스 조정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들이 서로 공유하는, 상기 체크된 공유 큐의 길이가 소정의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서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정의 하한값 이하이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서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프로세스 조정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들이 서로 공유하는 공유 큐 길이가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고,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는 메모리 관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들이 서로 공유하는 공유 큐 길이가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서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서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메모리 관리장치.
  10. 정보생성 프로세스, 정보소비 프로세스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 환경에서의 메모리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와, 상기 정보생성 프로세서와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간의 대역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생성 프로세서와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공유하는 공유 큐에서 처리되는 잡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공유 큐의 길이를 결정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정보생성 프로세서와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는, 상기 체크된 공유 큐의 길이가 소정의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고 소정의 하한값 이하이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는 메모리 관리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정보생성 프로세서와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는 공유 큐 길이가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고,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는 메모리 관리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생성 프로세서와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는, 상기 체크된 공유 큐의 길이가 소정의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정의 하한값 이하이면 상기 정보 소비 프로세스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메모리 관리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생성 프로세서와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는 공유 큐 길이가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메모리 관리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상태를 체크하는 것은, 상기 정보생성 프로세서와 상기 정보소비 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는 공유 큐의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계산함으로써 공유 큐의 길이 변화량을 결정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18. 잡을 생성하는 제1프로세스와 상기 제1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잡을 소비하는 제2프로세스에 의해 공유되는 공유 큐; 및
    상기 공유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큐에서 처리되는 잡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공유 큐의 길이를 체크하는 큐 상태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큐의 길이가 소정의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2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고, 소정의 하한값 이하이면 상기 제2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는 프로세스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큐의 길이가 소정의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2프로세스에 소비되는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정의 하한값 이하이면 상기 제2프로세스에서 소비되는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프로세스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큐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잡의 수와 소정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공유 큐의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계산하는 큐 상태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큐 길이가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상기 제2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고,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상기 제2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는 프로세스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큐 길이가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상기 제2 프로세스에서 소비되는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상기 제2프로세스에 소비되는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프로세스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
  26. 제1프로세스와 제2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며, 상기 제1프로세스가 생성하는 데이터는 상기 제2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되는 작업(job)이며, 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유 큐; 및
    상기 공유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거나, 상기 제2프로세스에서 소비할 정보의 할당단위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의 관리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큐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잡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공유 큐의 길이를 체크하는 큐 상태 감시부; 및
    상기 체크된 공유 큐의 길이가 소정의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2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거나 상기 제2프로세서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를 감소시키고, 소정의 하한값 이하이면 상기 제2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제2프로세서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를 증가시키는 프로세스 조정부를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의 메모리 관리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된 공유 큐의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계산하여 공유 큐 길이의 변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상기 제2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2프로세스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상기 제2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제2프로세스에서 소비할 데이터의 할당단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멀티 프로세싱에서의 메모리 관리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슬립모드로 둠으로써 상기 제2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로세서의 수를 조정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의 메모리 관리장치.
  30. 데이터와 엔트리를 생성하는 제1프로세스와 상기 생성된 데이터와 엔트리를 소비하는 제2프로세스가 서로 공유하며, 상기 공유되는 데이터와 엔트리를 저장하는 공유 큐의 길이 또는 길이의 변동분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공유 큐 길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프로세싱에서의 메모리 관리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
KR1020090091306A 2009-09-25 2009-09-25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533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06A KR101533820B1 (ko) 2009-09-25 2009-09-25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06A KR101533820B1 (ko) 2009-09-25 2009-09-25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716A true KR20110033716A (ko) 2011-03-31
KR101533820B1 KR101533820B1 (ko) 2015-07-09

Family

ID=4393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306A KR101533820B1 (ko) 2009-09-25 2009-09-25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8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877B1 (ko) * 2014-10-23 2015-03-30 (주)누스코 매니 코어를 이용한 프로그램 처리 장치 및 방법
US9323717B2 (en) 2011-09-19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 and system for processing stream data at high spee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984A (ja) * 1992-12-05 1994-06-24 Hitachi Ltd 計算機システムにおける負荷分散方法
JP3541212B2 (ja) * 1993-12-28 2004-07-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セッサ割当て装置
JP2776338B2 (ja) * 1995-10-03 1998-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ジョブスケジューリング方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3717B2 (en) 2011-09-19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 and system for processing stream data at high speed
KR101504877B1 (ko) * 2014-10-23 2015-03-30 (주)누스코 매니 코어를 이용한 프로그램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820B1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7909B2 (ja) メモリ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11231966B2 (en) Closed loop performance controller work interval instance propagation
US10331192B2 (en) Distributed power budgeting
US10509677B2 (en) Granular quality of service for computing resources
KR102110812B1 (ko) 멀티 코어 시스템 및 멀티 코어 시스템의 작업 스케줄링 방법
Sridharan et al. Holistic run-time parallelism management for time and energy efficiency
TW200426688A (en) Performance scheduling using multiple constraints
JP2008287592A (ja) マルチプロセッサ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20140134190A (ko) 멀티 코어 시스템 및 멀티 코어 시스템의 작업 스케줄링 방법
Sawada et al. Energy-aware clusters of servers for storage and computation applications
JP561652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10073631A (ko) 멀티 코어 프로세서의 전력 관리 방법, 멀티 코어 프로세서의 전력 관리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실행하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 시스템
Zhan et al. CARB: A C-state power management arbiter for latency-critical workloads
WO2016057335A1 (en) Operation parameter control based upon queued instruction characteristics
JP4620768B2 (ja) 複数のコアを含むプロセッサ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制御
JP2010160565A (ja) タスク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タスクスケジューリング制御方法、及びタスクスケジューリング制御プログラム
JP2007172322A (ja) 分散処理型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制御方法、マルチプロセッサ割り込み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33716A (ko)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468286B1 (ko) 대칭형 다중 처리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한 장치 및 방법
US20240004453A1 (en) Techniques for reducing processor power consumption
Park et al. DVFS method of memory hierarchy based on CPU microarchitectural information
KR100953968B1 (ko) 멀티 프로세서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절감 방법
WO2024005996A1 (en) Rest-of-chip power optimization through data fabric performance state management
KR20110062926A (ko) 우선순위 기반의 저전력 프로세서 스케줄링 방법 및 시스템
Kayiran Parallelism-aware resource management techniques for many-core archite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18

Effective date: 2015060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