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015A -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셋 분류에 기반한 주파수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셋 분류에 기반한 주파수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015A
KR20110033015A KR1020100076082A KR20100076082A KR20110033015A KR 20110033015 A KR20110033015 A KR 20110033015A KR 1020100076082 A KR1020100076082 A KR 1020100076082A KR 20100076082 A KR20100076082 A KR 20100076082A KR 20110033015 A KR20110033015 A KR 20110033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ub
sets
sharing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321B1 (ko
Inventor
강현덕
홍헌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888,946 priority Critical patent/US8725076B2/en
Publication of KR2011003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각 서브 주파수 자원을 이용 상황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주파수 셋들을 이용하여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주파수 환경에서 주파수 자원 관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종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주파수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주파수 공유를 위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셋 분류에 기반한 주파수 공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REQUENCY BASED ON CLASSIFICATION OF FREQUENCY SET IN INCUMBENT SYSTEM EXIST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9-F-035-01, 과제명: 10GHz 이하 대역에서 Dynamic Spectrum Access를 위한 상호 공존성(Coexistence) 기준 연구].
전파 통신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무선 통신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유한한 주파수 자원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주파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 최적화(다중 접속, 부호화 기술, 변조 효율, 정보 압축 기술 등)를 통한 스펙트럼 효율 극대화 방법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한편, 위의 방법들과는 다른 접근 방법으로 TV대역과 같이 이미 이용 중인 주파수 대역에서 주파수 이용 효율을 증가 시키기 위한 주파수 공유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1차 면허권 시스템 및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서브 주파수 자원 이용 상태에 따라 주파수 셋을 분류함으로써 효율적인 주파수 공유를 위한 주파수 자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서로 다른 무선 접속 방식(radio access technology)을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들이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공유하기 위해 상호 공존(coexistence)하는 경우, 효율적인 주파수 공유를 위한 주파수 자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은 1차 면허권 시스템에 할당된 대상 주파수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복수의 주파수 셋들(frequency sets)-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은 주파수 공유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의 특성을 나타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중 어느 하나의 셋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자원을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과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동작 셋(Operating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공존 셋(Coexistent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수준 이상의 채널 품질(channel quality)을 만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가용 셋(Available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이 불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보호 셋(Protecte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Regulation)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조건부 가용 셋(Restricted Available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주파수 공유와 관련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상태가 확인되지 않은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미분류 셋(Unclassifie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위치 정보, 스펙트럼 센싱 결과 또는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의 주파수 자원 사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은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동작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은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공존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수준 이상의 채널 품질(channel quality)를 만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이 가용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이 불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이 보호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은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Regulation)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조건부 가용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은 상기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장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에 할당된 대상 주파수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복수의 주파수 셋들(frequency sets)-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은 주파수 공유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의 특성을 나타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중 어느 하나의 셋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자원을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과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하는 할당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동작 셋(Operating Set) 및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공존 셋(Coexistent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수준 이상의 채널 품질을 만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가용 셋(Available Set) 및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에 의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조건부 가용 셋(Restricted Available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이 불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보호 셋(Protecte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위치 정보, 스펙트럼 센싱 결과 또는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의 주파수 자원 사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서브 주파수 자원을 이용 상황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 셋들로 분류함으로써 주파수 공유 장치 또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쉽게 가용 채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주파수 셋들을 이용함으로써 여러 주파수 공유 시스템들에 효율적으로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용 채널(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단독으로 해당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주파수 공유 시스템간 상호 공존(coexistence)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용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종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사용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보다 동종의 무선 접속 방식(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사용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주파수 공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종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서브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 시스템간 협력(collaboration)을 위해 더 많은 오버헤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1은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공유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셋들에 대한 밴 다이어그램(Venn diagram)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1차 면허권 시스템 및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서브 주파수 자원 사용 상황 변화에 따른 특정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주파수 셋 천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1차 면허권 시스템이 갖는 대상 주파수 자원 중 가용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되기 전과 후의 주파수 이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공유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파수 공유 기술로, 1차 면허권 시스템(Incumbent System)이 시간 및 지역에 따라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1차 면허권 시스템에게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비어있는 주파수를 공유하는 스펙트럼 오버레이(overlay) 방법이 있다. TV 시스템은 1차 면허권 시스템의 대표적 예이다. 인지 무선(Cognitive Radio) 기술은 스펙트럼 오버레이 공유 방식의 대표적인 기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차 면허권 시스템은 채널1, 채널6 및 채널 7을 사용하고 있다. 즉, 채널2 내지 채널5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이다. 따라서, 2차 사용자(주파수 공유 시스템)는 채널2 내지 채널5를 1차 면허권 시스템에 간섭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2의 경우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하고 있는 채널1과 인접하므로 1차 면허권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등 특별한 조건 하에서 사용 가능하다.
TV 대역과 같이 이미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파수 공유는 1차 면허권 시스템에 간섭을 주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과 같이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주파수 공유와 다르다. 다시 말해,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자원은 ISM의 경우처럼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채널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의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1차 면허권 시스템의 채널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복수 개 존재할 때 주파수 공유 시스템간의 무선 접속 방식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상호 공존(coexistence)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사용하는 채널을 적절히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TV 대역의 경우와 같이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주파수 환경에서 다양한 주파수 공유 시스템(2차 사용자)들이 보다 간편하게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주파수 셋(frequency set)들을 정의한다.
'동작 셋(Operating Set)'은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한다. 서브 주파수 자원이란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는 전체 주파수 대역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서브 주파수 자원은 채널로 표현될 수도 있다.
'공존 셋(Coexistent Set)'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무선 접속 방식을 이용하는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한다.
'가용 셋(Available Set)'은 시간 및 지역에 따라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수준 이상의 채널 품질(channel quality)을 만족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한다. 가용 셋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은 아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도 할당되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보호 셋(Protected Set)'은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이 불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한다.
'조건부 가용 셋(Restricted Available Set)'은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regulation)에 의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접 서브 주파수 자원이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은 조건부 가용 셋에 속할 수 있다. 이때, 제F 서브 주파수 자원의 인접 서브 주파수 자원은 제F±1 서브 주파수 자원 또는 제F±2 서브 주파수 자원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물론 조건부 가용 셋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은 아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도 할당되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 경우의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하다는 것은 예를 들어 해당 주파수 대역의 인접 서브 주파수 자원에서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하는 전력과 충분히 구별될 수 있도록 낮은 전력을 사용할 것을 전제로 해당 주파수를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한다는 것을 말한다.
'불허 셋(Disallowed Set)'은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regulation)에 의해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사용이 금지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미분류 셋(Unclassified Set)'은 위의 여섯 가지 주파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서브 주파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한다. 즉,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상태가 확인되지 않은 서브 주파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한다.
허용 셋(Allowed Set)은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regulation)에 의해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사용이 금지되지 않은 서브 주파수 자원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즉, 불허 셋의 여집합이다. 또한 가용 셋, 조건부 가용 셋, 동작 셋, 공존 셋, 보호 셋 및 미분류 셋은 허용 셋의 부분집합들이다.
위와 같은 주파수 셋들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정보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위치 정보(geo-location), 스펙트럼 센싱 결과 또는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의 주파수 자원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셋들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정보는 업데이트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주기적인 주파수 셋들에 대한 업데이트를 통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의해 사용 중인 서브 주파수 자원을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주파수 공유 시스템은 즉시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셋들에 대한 밴 다이어그램(Venn diagram)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차 면허권 시스템에 할당된 전제 주파수 대역은 크게 불허 셋과 허용 셋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허용 셋은 가용 셋, 조건부 가용 셋, 보호 셋 및 미분류 셋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regulation)에 의해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사용이 금지되지 않은 서브 주파수 자원 중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 중인 서브 주파수 자원은 보호 셋에 속하고,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수준 이상의 채널 품질(channel quality)을 만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은 가용 셋에 속하고,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Regulation)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은 제한적 가용 셋이 속하고, 주파수 공유와 관련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상태가 확인되지 않은 서브 주파수 자원은 미분류 셋에 속한다.
그리고 동작 셋은 허용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 중, 보호 셋과 미분류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제외한 서브 주파수 자원 중에서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동작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이 릴리즈되면 가용 셋 또는 제한적 가용 셋에 속하게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존 셋은 허용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 중, 보호 셋과 미분류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제외한 서브 주파수 자원 중에서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공존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에 할당된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하나만 남게 되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동작 셋에 속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1차 면허권 시스템 및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서브 주파수 자원 사용 상황 변화에 따른 특정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주파수 셋 천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6개의 주파수 셋들(동작 셋, 공존 셋, 가용 셋, 보호 셋, 조건부 가용 셋 및 미분류 셋)이 도시되어 있다. 특정 서브 주파수 자원은 1차 면허권 시스템 및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서브 주파수 자원 사용 상태에 따라 아래와 같이 소속 주파수 셋이 변경된다.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제2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공유하기 위해 할당(allocation) 받은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동작 셋에서 공존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01)로 표시되었다.
둘 이상의 공유 시스템들이 서브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다가,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만 남겨진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공존 셋에서 동작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02)로 표시되었다.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의한 서브 주파수 밴드 사용이 완료되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이 릴리즈(release)되고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품질이 미리 지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동작 셋 또는 공존 셋에서 가용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03)로 표시되었다.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새로운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 받는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가용 셋 또는 조건부 가용 셋에서 동작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즉, 해당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서브 주파수 자원이 할당됨으로써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이 해당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만 할당된 상태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화살표(304)로 표시되었다. 예를 들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제한적 사용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조건부 가용 셋에서 동작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동시에 동일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 받는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가용 셋 또는 조건부 가용 셋에서 공존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05)로 표시되었다. 예를 들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제한적 사용 조건을 만족하는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들에 동시에 할당된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조건부 가용 셋에서 공존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동작 셋, 공존 셋, 가용 셋, 조건부 가용 셋 또는 미분류 셋에 포함된 서브 주파수 자원에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출현한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동작 셋, 공존 셋, 가용 셋, 조건부 가용 셋 또는 미분류 셋에서 보호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06)로 표시되었다. 예를 들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인접 서브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던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인접 서브 주파수 자원 사용을 완료함과 동시에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에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출현하는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조건부 가용 셋에서 보호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동작 셋, 공존 셋, 가용 셋, 보호 셋 또는 미분류 셋에 포함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에 의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동작 셋, 공존 셋, 가용 셋, 보호 셋 또는 미분류 셋에서 조건부 가용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07)로 표시되었다. 예를 들어, 1차 면허권 시스템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사용을 완료한 동시에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인접 서브 주파수 자원에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출현하는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제한적으로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하므로 보호 셋에서 조건부 가용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1차 면허권 시스템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사용을 완료하여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이 릴리즈 되고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품질이 미리 지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보호 셋에서 가용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08)로 표시되었다.
1차 면허권 시스템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인접 서브 주파수의 사용을 완료하여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이 릴리즈 되고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의 품질이 미리 지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조건부 가용 셋에서 가용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09)로 표시되었다.
미분류 셋에 속했던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이 1차 면허권 시스템 또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서브 주파수 자원 품질이 미리 지정된 기준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미분류 셋에서 가용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10)로 표시되었다.
동작 셋, 공존 셋, 가용 셋, 보호 셋 또는 조건부 가용 셋에 포함된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주파수 셋의 업데이트를 위한 서브 주파수 자원 상태 파악이 실패한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동작 셋, 공존 셋, 가용 셋, 보호 셋 또는 조건부 가용 셋에서 미분류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이는 화살표(311)로 표시되었다. 여기서 서브 주파수 자원 상태 파악의 실패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서브 주파수 자원의 상태 파악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와 같은 원리로 각 주파수 셋들 사이의 천이 과정의 응용은 당업자의 관점에서 충분히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브 주파수 자원들의 이용 상태를 나타내는 주파수 셋을 정의함으로써 서브 주파수 자원의 이용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1차 면허권 시스템이 갖는 대상 주파수 자원 중 가용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되기 전과 후의 주파수 이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차 면허권 시스템은 예를 들어 총 9개의 서브 주파수 자원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주파수 이용 상태표(301)는 가용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되기 전의 주파수 이용 상태를 보여준다.
제2 서브 주파수 자원 및 제3 서브 주파수 자원은 보호 셋에 속하므로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제1 서브 주파수 자원 및 제4 서브 주파수 자원은 조건부 가용 셋에 속하므로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에 의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이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주파수 자원 및 제4 서브 주파수 자원은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하고 있는 제2 서브 주파수 자원 및 제3 서브 주파수 자원과 인접하기 때문에 전력에 대한 조건에 따라 할당이 제한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제5 서브 주파수 자원 및 제6 서브 주파수 자원은 가용 셋에 속하므로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사용하지도 않고 어떠한 주파수 공유 시스템도 사용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5 서브 주파수 자원 내지 제6 서브 주파수 자원은 가용 셋에 속하므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할 정도의 미리 정의된 수준 이상의 채널 품질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제7 서브 주파수 자원은 동작 셋에 속한다. 따라서 이미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제7 서브 주파수 자원에 할당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8 서브 주파수 자원은 공존 셋에 속한다. 따라서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제8 서브 주파수 자원에 할당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9 서브 주파수 자원은 미분류 셋에 속한다. 따라서 제9 서브 주파수 자원의 할당과 관련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주파수 이용 상태표(402)는 가용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후의 주파수 이용 상태를 보여준다.
주파수 이용 상태표(402)에서 달라진 부분은 제6 서브 주파수 자원이다. 제6 서브 주파수 자원은 가용 셋에 속하였다가 동작 셋으로 변경되었다. 즉,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6 서브 주파수 자원이 할당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서브 주파수 자원의 할당은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대한 할당 요청이 있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주파수 할당 주체의 관점에서 보면, 주파수 이용 상태표(40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통하여 제5 주파수 대역 및 제6 주파수 대역이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임을 손쉽게 파악 수 있다.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은 가용 셋 또는 조건부 가용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을 말한다. 따라서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 중 하나인 제6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 주파수 자원들이 속하는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는 주파수 공유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조건부 가용 셋에 속하는 제1 서브 주파수 자원 및 제4 서브 주파수 자원도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일 수 있지만, 가용 셋에 속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이 우선적으로 할당됨이 타당하다.
만약 주파수 이용 상태표(402)에서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을 더 할당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제5 서브 주파수 자원이 가용 셋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주파수 공유 장치는 제5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제2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후 추가적으로 제3 주파수 공유 시스템을 할당하는 경우, 가용 셋은 더 이상 남아있지 않으므로, 조건부 가용 셋을 고려한다. 즉, 제1 서브 주파수 자원 또는 제4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규정을 만족할 수 있는 경우 제1 서브 주파수 자원 또는 제4 서브 주파수 자원이 제3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될 수 있다.
만약 조건부 가용 셋의 규정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라면, 동작 셋 또는 공존 셋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제5 서브 주파수 자원 내지 제8 서브 주파수 자원 중에서 제3 서브 주파수 공유 시스템과 동종의 무선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만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할당 방법은 우선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51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복수의 주파수 셋들을 통해 1차 면허권 시스템 및 주파수 공유 시스템들의 서브 주파수 이용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은 주파수 공유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의 특성을 나타낸다. 주파수 이용 정보의 획득은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위치 정보, 스펙트럼 센싱 결과 또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의 채널 사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복수의 주파수 셋들 중 어느 하나의 셋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자원을 1차 면허권 시스템과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한다. 즉, 가용 셋, 조건부 가용 셋, 동작 셋 또는 공존 셋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예로써 설명하겠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은 가용 셋에 포함되는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 또는 대역과 관련된 규정을 만족하는 조건부 가용 셋에 포함되는 조건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을 포함한다. 즉,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은 1차 면허권 시스템과 구별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단독으로 할당될 수 있는 서브 주파수 자원을 의미한다.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에 해당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자원이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다. 즉, 해당 서브 주파수 밴드는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단독으로 할당된다.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할 수 있다(521). 이 경우,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은 해당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조건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30). 조건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조건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대역과 관련된 규정이 만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40).
대역과 관련된 규정이 만족될 수 있는 경우, 해당 조건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은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될 수 있다(541). 이 경우,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은 해당 조건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건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조건부 가용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더라도 대역과 관련된 규정이 만족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단독으로 할당될 수 있는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과 동종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만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50).
동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만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할 수 있다(560). 즉, 동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과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은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게 된다. 이때,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들 중에서 적은 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우선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에 할당된 동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하나였던 경우,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이 할당됨으로써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동작 셋에서 공존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그리고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에서의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 및 동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은 자가 상호 공존 메커니즘(self-coexistence mechanism)에 의한 주파수 공유를 통하여 주파수 공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561).
동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만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이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70). 이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이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할 수 있다(580). 즉, 서로 다른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들이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게 된다. 이때,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들 중에서 적은 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우선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에 할당된 이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하나였던 경우,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이 할당됨으로써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은 동작 셋에서 공존 셋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그리고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에서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 및 이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은 시스템간 상호 공존 메커니즘(inter-system coexistence mechanism)을 통하여 주파수 공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581).
이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주파수 할당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할당 요청 등의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 주파수 자원의 할당은 주파수 셋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유 방법은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을 우선적으로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하고, 그 다음 동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사용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 이종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사용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의 순으로 주파수 자원을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한다.
따라서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이 넉넉하게 존재하는 경우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단독으로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주파수 공유 시스템 간에 생기는 상호 공존(coexistence)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동종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시스템 간 협력을 위해 필요한 오버헤드(제어 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자가 상호 공존 메커니즘에 의한 동종 주파수 공유 시스템간의 주파수 공유 효율이 시스템간 상호 공존 메커니즘에 의한 이종 주파수 공유 시스템간의 주파수 공유 효율보다 높은 것에 기인한다. 왜냐하면 이종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경우, 무선 전송 방식의 차이로 인해 동일한 서브 주파수 자원에서의 효율적 주파수 공유를 위한 시스템간의 협력에 더 많은 오버헤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공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유 장치는 업데이트부(610), 저장부(620), 정보 획득부(630) 및 할당부(640)를 포함한다.
정보 획득부(630)는 1차 면허권 시스템에 할당된 대상 주파수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은 주파수 공유와 관련하여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의 특성을 나타낸다. 정보 획득부(630)는 업데이트부(610) 또는 저장부(620)로부터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할당부(640)는 복수의 주파수 셋들 중 어느 하나의 셋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자원을 1차 면허권 시스템과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한다.
할당부(640)는 판단부(641) 및 서브 주파수 자원 할당부(642)를 포함한다.
판단부(641)는 1차 면허권 시스템과 구별되는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단독으로 할당될 수 있는 서브 주파수 자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단독으로 할당될 수 있는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과 동종의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서브 주파수 자원 할당부(642)는 상기 판단들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한다. 즉, 서브 주파수 자원 할당부(642)는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은 가용 셋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 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조건부 가용 셋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을 포함한다는 것은 상술한 바 있다.
또한 서브 주파수 자원 할당부(642)는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지 않고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과 동일한 무선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만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서브 주파수 자원을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할당부(640)는 여유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지 않고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과 동일한 무선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과 상이한 무선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상기 제1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610)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위치 정보, 스펙트럼 센싱 결과 또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의 주파수 자원 사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 결과는 저장부(620)에 저장될 수 있다. 업데이트부(610)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또는 할당 요청 등의 필요에 따라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부(610)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위치 정보, 스펙트럼 센싱 결과 또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의 주파수 자원 사용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20)는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유 장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주파수 공유 시스템과는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주파수 공유 장치에는 앞서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401: 주파수 이용 상태표

Claims (20)

1차 면허권 시스템에 할당된 대상 주파수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복수의 주파수 셋들(frequency sets)-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은 주파수 공유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의 특성을 나타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중 어느 하나의 셋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자원을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과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동작 셋(Operating Set)을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공존 셋(Coexistent set)을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수준 이상의 채널 품질(channel quality)을 만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가용 셋(Available Set)을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이 불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보호 셋(Protected Set)을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Regulation)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조건부 가용 셋(Restricted Available Set)을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주파수 공유와 관련된 서브 주파수 자원의 상태가 확인되지 않은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미분류 셋(Unclassified Set)을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위치 정보, 스펙트럼 센싱 결과 또는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의 주파수 자원 사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동작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이 공존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수준 이상의 채널 품질(channel quality)를 만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이 가용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이 불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이 보호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Regulation)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이 조건부 가용 셋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방법.
1차 면허권 시스템에 할당된 대상 주파수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서브 주파수 자원에 대한 복수의 주파수 셋들(frequency sets)-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은 주파수 공유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각각에 포함되는 서브 주파수 자원의 특성을 나타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 중 어느 하나의 셋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자원을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과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하는 할당부
를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동작 셋(Operating Set) 및 둘 이상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공존 셋(Coexistent set)
을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수준 이상의 채널 품질을 만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가용 셋(Available Set) 및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규정에 의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조건부 가용 셋(Restricted Available Set)
을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은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어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 할당이 불가능한 서브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보호 셋(Protected Set)
을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 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위치 정보, 스펙트럼 센싱 결과 또는 상기 1차 면허권 시스템의 주파수 자원 사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공유 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셋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공유 장치.
KR1020100076082A 2009-09-24 2010-08-06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셋 분류에 기반한 주파수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404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8,946 US8725076B2 (en) 2009-09-24 2010-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requency based on classification of frequency set in environment where incumbent system exis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0378 2009-09-24
KR1020090090378 200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015A true KR20110033015A (ko) 2011-03-30
KR101404321B1 KR101404321B1 (ko) 2014-06-05

Family

ID=439376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082A KR101404321B1 (ko) 2009-09-24 2010-08-06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주파수 셋 분류에 기반한 주파수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20100076081A KR101404317B1 (ko) 2009-09-24 2010-08-06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공유 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0130167704A KR101550111B1 (ko) 2009-09-24 2013-12-30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공유 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할당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081A KR101404317B1 (ko) 2009-09-24 2010-08-06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공유 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0130167704A KR101550111B1 (ko) 2009-09-24 2013-12-30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공유 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48790B2 (ko)
EP (2) EP2482579A4 (ko)
KR (3) KR101404321B1 (ko)
WO (1) WO201103738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075A1 (ko) * 2012-02-08 2013-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3342A (zh) * 2012-11-06 2014-05-21 华为技术有限公司 动态频谱管理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60095114A1 (en) 2014-09-26 2016-03-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llocation and usage of radio resourc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unlicensed band chann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of radio resource
US9585155B2 (en) * 2015-03-20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ing the allocation of spare resources
US10439767B2 (en) 2015-08-13 2019-10-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unlicensed band
US10362574B2 (en) * 2016-11-18 2019-07-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s for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9201A1 (en) * 2005-09-16 2008-09-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Clustering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785799B1 (ko) * 2005-10-14 200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주파수채널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스펙트럼 센싱을이용한 채널 할당 방법
JP5178536B2 (ja) 2006-03-01 2013-04-10 ライオン ブラザーズ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ジタル印刷したアップリケ表像体
KR20080036879A (ko) * 2006-10-24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시스템의 신호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신호를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FR2916919B1 (fr) * 2007-05-31 2009-09-0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Terminal radio opportuniste
IL184490A (en) 2007-07-09 2011-06-30 Mariana Goldhamer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ing transmissions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932919B1 (ko) * 2007-09-05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채널 할당을 위한 채널 집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38685B1 (ko) * 2007-11-01 2010-01-25 뮤텔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의 대역폭과 송신전력 할당 방법
KR101408929B1 (ko) * 2008-02-27 201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지 무선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1401111B1 (ko) * 2008-03-19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지 라디오 시스템에서 간섭온도 인지 기반의 적응전송장치 및 방법
US8451917B2 (en) * 2008-06-30 2013-05-2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ignals by cognitive radios
US8131304B2 (en) 2009-03-30 2012-03-06 Motorola Solutions, Inc. Dynamic spectrum allocation (DSA)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660498B2 (en) * 2009-06-29 2014-02-25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database driven channel quality estimation in a cognitive radio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075A1 (ko) * 2012-02-08 2013-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445434B2 (en) 2012-02-08 2016-09-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7386A3 (ko) 2011-07-14
KR101404321B1 (ko) 2014-06-05
EP2482579A2 (en) 2012-08-01
KR20140010918A (ko) 2014-01-27
WO2011037386A2 (ko) 2011-03-31
US20120208582A1 (en) 2012-08-16
EP3220675B1 (en) 2019-11-06
EP3220675A1 (en) 2017-09-20
KR101404317B1 (ko) 2014-06-05
KR101550111B1 (ko) 2015-09-04
US9148790B2 (en) 2015-09-29
KR20110033014A (ko) 2011-03-30
EP2482579A4 (en)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111B1 (ko) 1차 면허권 시스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공유 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할당 방법 및 장치
JP6777184B2 (ja) 周波数スペクトル管理装置と方法、地理位置データベース及びセカンダリシステム装置
KR102196950B1 (ko) 이차 시스템들을 위한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 리소스들의 활용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EP2822311B1 (en) Dynamic spectrum allocation method on the basis of channel management and device
KR20090089036A (ko) 다중 채널을 지원하는 인지무선 시스템에서 채널관리를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139747A (ko) 복수 무선망들 간에 스펙트럼 공유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078274B2 (en) De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network resource usage
KR101955172B1 (ko) 동적 스펙트럼 폴리시 실시를 이용한 스펙트럼 공유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4126286B (zh) 向无线网络系统分配来自频带组的频带
CN104025637B (zh) 用于在共存网络中选择主控cm的方法
US201400165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operating channel priority between frequency sharing systems
US20110250846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11751280B2 (en) Spectrum usage protection in a shared wireless network
US20170318469A1 (en) Method, apparatuses and system for managing dynamic network resource pools
US87250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requency based on classification of frequency set in environment where incumbent system exists
Dludla et al. Overview of spectrum sharing models: A path towards 5G spectrum toolboxes
US97063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backup channels for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CN107920391B (zh) 物理上行控制信道的调度方法、系统以及设备
Misiunas et al. Spectrum sharing with adjacent channel constraints
KR101634379B1 (ko) 주파수 공유 시스템 간 동작 채널 우선 순위 할당 방법 및 장치
Mueck et al. SPECTRUM SHARING AS A MEANS TOWARDS MEETING FUTURE WIRELESS MOBILE BROADBAND CAPACITY DEMANDS.
CN103596185A (zh) 基于共享基站建立频谱池数据库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