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895A - A mop - Google Patents

A m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895A
KR20110032895A KR1020090090632A KR20090090632A KR20110032895A KR 20110032895 A KR20110032895 A KR 20110032895A KR 1020090090632 A KR1020090090632 A KR 1020090090632A KR 20090090632 A KR20090090632 A KR 20090090632A KR 20110032895 A KR20110032895 A KR 2011003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rod
hinge
sleeve member
mo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광철
박성순
Original Assignee
조광철
박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철, 박성순 filed Critical 조광철
Priority to KR102009009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895A/en
Publication of KR2011003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8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Abstract

PURPOSE: A mop is provided to effectively dewater a dust cloth by smoothly rotating a mop body and a dewatering basket and to maintain the stable posture of a bar. CONSTITUTION: A mop(1) comprises a mot body(10), a bar(20), and a sleeve member(27). The mop body is coupled to a dust cloth. The bar is coupled to the mop body. The sleeve member is rotatably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bar. First and second hanging units are formed in the bar in order to control the sliding of the sleeve member. A connection unit is formed between the bar and the mop body and rotatably connects the bar to the mop body.

Description

봉 걸레{a mop}Rod mop {a mop}

본 발명은 봉 걸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레를 봉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도 회전 운동하는 탈수바스켓을 이용하여 걸레를 용이하게 탈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봉 걸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d mop,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d mop provided to easily dehydrate the mop by using a dewatering basket that rotates even when the mop is not separated from the rod.

일반적으로 가정의 거실이나 사무실과 같이 넓은 바닥을 청소할 때는 봉 걸레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a mop is often used to clean a large floor, such as a living room or office.

봉 걸레는 걸레가 결합된 걸레본체에 봉이 일체로 연결되어 마련된 것으로, 이러한 봉 걸레를 이용하여 바닥을 닦게 되면 작업자가 봉을 잡은 상태에서 허리를 과도하게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바닥을 닦아 낼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The rod mop is provided by connecting the rods integrally to the mop body combined with the mop. When using the rod mop to wipe the floor, the worker can wipe the floor even when the worker does not bend the waist excessively while holding the rod. It is convenient.

한편, 봉 걸레를 이용한 청소도중에는 걸레가 이물질이나 때로 인해 더러워질 수밖에 없으므로, 걸레를 다시 세척하고 탈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는데, 봉 걸레의 경우 걸레에 연결된 봉으로 인해 손으로 짜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탈수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또 통상의 봉 걸레의 경우 걸레본체를 봉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걸레본체를 봉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탈수할 수도 있겠으나, 이때는 걸레본체를 봉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과 걸레의 탈수가 완료된 걸레본체를 다시 봉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추가되어 봉 걸레의 세척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cleaning using the rod mop, the mop will inevitably get dirty due to foreign substances or occasions, so the process of washing and dehydrating the mop should be repeated. Not easy to do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ormal rod mop, the mop main body can be separated from the rod, so that the mop main body can be dehydrated in a state where the mop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rod. The process of bonding the mop body back to the rod is added, which increases the cleaning time of the rod mop.

따라서 최근에는 회전 운동하는 탈수바스켓을 이용하여 봉 걸레의 걸레를 봉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탈수 할 수 있도록 마련된 탈수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a dehydration device has been introduced, which is capable of dehydration without removing the mop of the rod mop from the rod using a dewatering basket that rotates.

이러한 탈수장치는 상부로 개방된 물통을 구비하고, 물통 상부 일측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다공성 내지는 격자형태로 마련되는 탈수바스켓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통의 하부 일측이 되는 물통 외부에는 발로 누를 수 있는 발판이 설치되고, 이러한 발판과 탈수바스켓의 축 사이에는 발판의 누름동작시 탈수바스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The dewater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bucket open to the top, the dewatering basket is provided in a porous or lattice form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ucket to discharge water. The outer side of the bucket, which is one side of the bucket, is provided with a footrest that can be pressed by the foot, and a gear device for rotating the dewatering basket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footrest between the foothold and the shaft of the dewatering basket may be connected.

따라서 세척이 완료된 봉 걸레의 걸레를 이러한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탈수할 때 이용자는 탈수바스켓에 봉 걸레의 걸레본체가 담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발로 발판을 밟아 탈수바스켓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걸레는 함유된 물기가 탈수바스켓의 원심력에 의해 물통으로 배출되면서 탈수된다. Therefore, when dehydrating the mop of the rod mop that has been cleaned using such a dehydration device, the user rotates the dehydration basket by stepping on the foot plate with the mop body of the rod mop contained in the dehydration basket. The mop is then dehydrated as the contained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bucket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dewatering basket.

그러나 상기 탈수장치를 이용한 봉 걸레의 탈수 작업시에도 종래 봉 걸레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어려움은 있었다.However, even in the dehydration operation of the rod mop using the dehydration device, due to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od mop, there were the following difficulties.

즉, 통상 적인 종래 봉 걸레는 걸레본체와 봉이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연결되는데, 이러한 봉 걸레의 걸레본체를 상기 탈수바스켓에 담은 상태에서 탈수바스켓을 회전시키게 되면, 봉 걸레의 회전시 봉이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작업자를 치게 되는 등 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힘들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탈수시 봉을 손으로 잡게 될 경우에는 걸레본체가 탈수바스켓과 함께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rod mop is connected to the mop body and the rod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when rotating the dewatering basket in the state of the mop body of the rod mop in the dewatering basket, when the rod mop is rotated to one side It is difficult to keep the posture stably such as hitting the worker as it is being built. In case of holding the rod by hand to prevent this, a problem occurs that the mop body does not rotate smoothly together with the dewatering baske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걸레본체를 봉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도 회전 운동하는 탈수바스켓을 이용하여 걸레를 용이하게 탈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봉 걸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d mop provided to easily dehydrate the mop by using a dewatering basket that rotates even without removing the mop body from the rod.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봉 걸레는 걸레가 결합된 걸레본체와, 상기 걸레본체에 결합된 봉과, 상기 봉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od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p body coupled to the mop, a rod coupled to the mop body, and a sleeve member rotatably fitted around the rod.

상기 슬리브부재는 상기 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ee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slidable over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상기 슬리브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구간 양단의 봉에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부재의 단부가 걸리도록 제1 및 제2걸림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필요시 상기 제1 내지 제2걸림부 중 대응하는 걸림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ds at both end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sleeve member is slid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atching portions, respectively, to hold the ends of the sleeve member so as to limit sliding of the sleeve member, and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sleeve member is necessa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orresponding locking portion of the first to second locking portion.

상기 봉과 걸레본체 사이에는 상기 봉을 상기 걸레본체에 각도조절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장치가 마련되되, 상기 연결장치는 필요시 상기 봉을 상기 걸레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Between the rod and the mop body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rod to the mop body to adjust the angle and rotatable, the connection device to fix the rod in a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if necessar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걸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걸레본체 상부로 돌출된 제1힌지부를 구비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제1힌지부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힌지부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와 상기 봉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2힌지부 사이의 연결부와 대향되는 상기 제1힌지부 외면에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 간의 힌지회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곡면레일과;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요홈에 수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 간의 힌지 회동 동작시 상기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기 곡면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된 볼부재와; 상기 봉이 상기 걸레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볼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곡면레일 상에 형성된 제1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upl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mop body and a first hinge part protruding from the mop body; A second connection member including a pair of second hinge parts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part and a connection part integrally connecting the pair of hinge parts and the rods so as to be hinged with the first hinge part; Wow; A curved rail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portion opposite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hinge portions along a hinge rotation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 ball member provided to move along the curved rail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during a hinge rotation ope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And a first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curved rail to seat the ball member in a state where the rod is perpendicular to the mop body.

상기 곡면레일 상에는 상기 봉이 상기 걸레본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볼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안착홈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curved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is furth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seating groove formed so that the ball member is seated in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상기 제2안착홈은 상기 제1안착홈 양측으로 상기 제1안착홈과 45도의 각을 이루는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seating groove may be provided in a pair forming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first seating groove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ating groove.

상기 봉이 상기 걸레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걸레본체에 접하게 되는 상기 제2힌지부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탄면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least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inge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op body in a state where the rod is perpendicular to the mop body is provided as a flat surfa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 걸레는 걸레본체에 연결된 봉의 둘레에 슬리브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od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member is rotatably fitted around the rod connected to the mop bod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봉 걸레는 봉과 연결된 걸레본체를 회전 동작되는 탈수바스켓에 넣어 탈수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슬리브부재를 손으로 파지하게 될 경우 걸레본체 및 탈수바스켓의 원활한 회전운동이 가능하면서도 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봉과 연결된 상태의 걸레를 회전 운동하는 탈수바스켓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rod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orker puts the sleeve member by hand in the process of dewatering the mop body connected to the rod into the dewatering basket that is rotated, the mop body and the dewatering basket can be smoothly rotated while the posture of the rod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can be more effectively dehydrated by using a dehydration basket to rotate the mop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rod.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of the rod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1)는 걸레(1a)가 결합된 걸레본체(10)와, 걸레본체(10)에 연결되는 소정길이의 봉(20)을 구비한다. 1 and 2, the rod mo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op body 10 coupled to the mop 1a and a rod 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to the mop body 10. ).

이러한 봉 걸레(1)는 걸레본체(10)를 봉(2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운동하는 탈수바스켓(2a)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탈수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먼저 상기 탈수바스켓(2a)을 구비하는 탈수장치(2)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rod mop 1 is provided to be easily dehydrated using the dewatering basket 2a that rotates in a state where the mop body 10 is not separated from the rod 20. First, the dewatering basket 2a is provided. Referring to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dewatering device (2) having a as follow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장치(2)는 상부로 개방된 물통(2b)을 구비하고, 물통(2b) 상부 일측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다공성 내지는 격자형태로 마련되고 상부로 개방된 탈수바스켓(2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통(2b)의 하부 일측이 되는 물통(2b) 외부에는 발로 밟아 누를 수 있도록 발판(2c)이 설치되고, 이러한 발판(2c)과 탈수바스켓(2a)의 축(2d) 사이에는 발판(2c)의 누름동작시 탈수바스켓(2a)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dewatering device 2 has a bucket 2b open to the top, and is provided in a porous or lattice form on one side of the bucket 2b so as to discharge water, and is opened upward. The dewatering basket 2a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ucket 2b, which is the lower side of the bucket 2b, a footrest 2c is provided to be stepped on, and the footrest 2c is provided between the footrest 2c and the shaft 2d of the dewatering basket 2a. A gear device (not shown) for rotating the dewatering basket 2a may be connect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따라서 세척이 완료된 봉 걸레(1)의 걸레(1a)를 이러한 탈수장치(2)를 이용하여 탈수할 때 이용자는 탈수바스켓(2a)에 봉 걸레(1)의 걸레본체(10)가 담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발로 발판(2c)을 밟아 탈수바스켓(2a)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걸레(1a)는 함유된 물기가 탈수바스켓(2a)의 원심력에 의해 물통(2b) 내부로 배출되면서 탈수된다. 또 물통(2b) 내부의 경우 탈수바스켓(2a)이 설치된 공간 측방으로 여유공간이 있어 이러한 여유공간에 깨끗한 물을 담아 놓을 경우 작업자는 걸레(1a)를 물통(2b) 속의 물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도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dewatering the mop (1a) of the rod mop (1) that has been cleaned using the dehydration device (2), the user is to put the mop main body 10 of the rod mop (1) in the dewatering basket (2a) In this state, the dehydration basket 2a is rotated by stepping on the footrest 2c with the foot. Then, the mop 1a is dehydrated while the contained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bucket 2b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dewatering basket 2a. In addition, inside the bucket (2b) there is a free space on the side of the space where the dehydration basket (2a) is installed, and when clean water is put in the free space, the worker can wash the mop (1a) using water in the bucket (2b). It can also be.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봉 걸레(1)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 1 and 2 again to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rod mop (1) in detail as follows.

먼저 걸레본체(10)는 중앙이 관통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외곽 쪽에 복수개의 걸레걸이구(3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레고정판(30)과, 걸레고정판(30)의 상면과 측면을 덮도록 걸레고정판(30)에 끼워져 결합되는 원판형의 덮개판(40)을 구비한다. 걸레(1a)는 섬유다발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개가 매듭을 통해 각 걸레걸이구(3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걸레고정판(30)에 고정될 수 있다. First, the mop body 10 is provided in a ring shape with a center penetrat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mop hooks 31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to cover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mop fixing plate 30 and the mop fixing plate 30. It has a disk-shaped cover plate 40 which is fitted to the mop fixing plate 30 so as to be coupled. The mop 1a may be fixed to the mop fixing plate 30 in such a manner that the plurality of mops provided in the form of fiber bundles are fitted to the respective mop hangers 31 through knots.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20)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1열로 배열되는 3개의 봉부재(21,22,23)가 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24,25)를 통해 3단으로 분리될 수 있는 분리형으로 마련되며, 최 상부 쪽 봉부재(21)의 상단에는 손잡이(26)가 결합된다. 봉부재(21,22,23)와 연결구(24,25)는 상호 나사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봉(20)과 걸레본체(10)는 후술하는 연결장치(50)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d 20 is separated into three stages through the connector (24, 25) connecting the three rod members (21, 22, 23) arranged in one row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between them It is provided as a detachable type, and the handle 26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rod member 21. Rod members (21, 22, 23) and the connector (24, 25)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such a rod 20 and the mop body (10) through a connecting device 5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1)는 봉(20)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리부재(27)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rod mo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leeve member 27 that is rotatably fitted around the rod (20).

이러한 슬리브부재(27)는 걸레본체(10)를 봉(2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도 전술한 탈수장치(2)를 이용하여 걸레(1a)를 용이하게 탈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슬리브부재(27)는 상기 봉부재(21)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The sleeve member 27 is provided to easily dewater the mop 1a by using the above-described dehydration device 2 even when the mop body 10 is not separated from the rod 20. The sleeve member ( 27 is provid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d member 21.

따라서 상기 봉(20) 외부에 이러한 슬리브부재(27)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걸레(1a)가 결합된 봉 걸레(1)의 걸레본체(10)를 상기 탈수바스켓(2a)에 담은 상태에서 탈수바스켓(2a)을 회전시킬 때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슬리브부재(27)를 파지하게 되면, 작업자가 파지한 슬리브부재(27)는 고정된 상태에서 봉(20)이 슬리브부재(27)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걸레(1a)의 탈수과정에서 봉(20)이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일이 없이 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레본체(10) 및 이에 연결된 봉(20)의 회전동작이 자유로워져 봉 걸레(1)의 걸레(1a)를 상기 탈수장치(2)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탈수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sleeve member 27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rod 20, the dehydration basket in the state in which the mop main body 10 of the rod mop 1 coupled with the mop 1a is contained in the dewatering basket 2a. When the worker grips the sleeve member 27 by hand when rotating 2a), the rod 20 can freely rotate inside the sleeve member 27 while the sleeve member 27 held by the operator is fixed. Since it is possible, in the dehydration process of the mop (1a) can not only stably maintain the posture of the rod 20 without tilting to one side, as well as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mop body 10 and the rod 20 connected thereto It becomes free, and the mop 1a of the rod mop 1 can be dewatered more easily using the said dehydration apparatus 2.

그리고 슬리브부재(27)는 봉 걸레(1)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그 키에 상관없이 슬리브부재(27)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봉(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슬리브부재(27)는 작업자의 키 높이에 따라 작업자가 잡기 편한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The sleeve member 27 is slidable over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20 so that an operator using the rod mop 1 can easily grip the sleeve member 27 regardless of its height. In this case, the sleeve member 27 may be moved to a position that is easy for the worker to catch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ork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부재(27)의 슬라이딩 구간은 상기 손잡이(26)와 연결구(24) 사이가 되며, 손잡이(26)의 하단과 연결구(24)의 상단은 각각 슬리브부재(27)의 양단부가 걸리게 되는 제1 및 제2걸림부(26a,24a)를 형성하게 된다. 슬리브부재(27)가 제1 및 제2걸림부(26a,24a)에 걸릴 수 있도록 제1 및 제2걸림부(26a,24a)는 슬리브부재(27)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ing section of the sleeve member 27 is between the handle 26 and the connector 24, and the lower end of the handle 26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24 are both ends of the sleeve member 27,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26a and 24a are forme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26a and 24a are provid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member 27 so that the sleeve member 27 can be caught by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26a and 24a.

또 슬리브부재(27)가 봉(20) 외부에서 항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있게 되면, 봉 걸레(1)를 이용한 청소 도중 슬리브부재(27)가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슬라이딩구간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소리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슬리브부재(27)의 슬라이딩동작을 필요시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부재(27)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상기 제1 내지 제2걸림부(26a,24a) 중 대응하는 걸림부(26a,24a)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sleeve member 27 is always slidable from the outside of the rod 20, during the cleaning using the rod mop 1, the sleeve member 27 slides in the sliding section irrespective of the operator's intention, thereby making a sound. It may cause. Accordingly,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sleeve member 27 may correspond to one of the first to second locking portions 26a and 24a so as to restrain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eeve member 27 when necessary.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to be fixed to).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1)의 경우 슬리브부재(27)의 상단에는 제1걸림부(26a)의 외경에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내경이 확장된 확관부(27a)가 마련되며, 작업자는 필요시 상기 확관부(27a)를 제1걸림부(26a)에 외측에 끼움으로써 슬리브부재(27)의 슬라이딩동작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in the case of the rod mo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 expansion pipe 27a having an inner diameter expanded to be coupl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atching portion 26a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member 27. If necessary, the operator can restrain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eeve member 27 by fitting the expansion pipe 27a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26a on the outside.

또한 슬리브부재(27)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걸레본체(10)를 봉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 상기 걸레(1a)를 회전 운동하는 탈수바스켓(2a)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탈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레본체(10)와 봉(20)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청소작업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봉(20)은 걸레본체(1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sleeve member 27 is damaged, the mop main body 10 can be easily dehydrated using a dewatering basket 2a for rotating the mop 1a without removing the mop main body 10 from the ro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d 20 and the rod 2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rod 20 is preferably angle-adjustably connected to the mop body 10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cleaning.

이를 위해 걸레본체(10)와 봉(20)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장치(50)는 상기 봉(20)과 걸레본체(10)를 상호 각도조절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마련된다. To this end, the connecting device 50 for connecting the mop main body 10 and the rod 20 is provided to connect the rod 20 and the mop main body 10 to each other so as to be mutually adjustable and rotatable.

또 상기 봉(20)이 걸레본체(1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면, 상기 탈수장치(2)를 이용한 걸레(1a)의 탈수 작업시 작업자가 굳이 슬리브부재(27)를 파지하지 않게 되더라도 걸레(1a)의 탈수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연결장치(50)는 필요시 봉(20)을 걸레본체(1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f the rod 20 can be fixed in a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10, when the dewatering operation of the mop (1a) using the dewatering device (2) the operator dares to remove the sleeve member (27) Dehydration operation of the mop (1a) is possible even if not held, the connection device 50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rod 20 can be fixed in a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10, if necessary. Do.

이러한 연결장치(50)의 구조를 도 1과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device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to 8 as follows.

연결장치(50)는 걸레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60)와, 상기 봉부재(23) 하단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60)와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70)를 구비한다. The connecting device 50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0 rotatably coupled to the mop body 10 and the lower end of the rod member 23,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0 can be hinged.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ng member 70 is coupled to.

제1연결부재(60)는 걸레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61)와, 걸레본체(10) 상부로 돌출되는 제1힌지부(62)를 구비한다.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0 includes a coupling part 61 rotatably coupled to the mop body 10 and a first hinge part 62 protruding upward from the mop body 10.

결합부(61)는 원반형태로 마련되고 제1힌지부(62)는 결합부(61) 상부 중앙에 입설된 반원반 형태로 마련된다. 제1힌지부(62) 중앙에는 측방으로 제1힌지부(62)를 관통하는 제1힌지홀(62a)이 형성된다. Coupling portion 61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disc and the first hinge portion 6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emi-circle plac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61. A first hinge hole 62a penetrating the first hinge portion 62 laterally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hinge portion 62.

결합부(61)의 설치를 위해 상기 덮개판(40) 상면 중앙에는 결합부(61)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는 설치홈(41)이 형성되며, 결합부(61)가 수용된 설치홈(41)에는 결합부(61)의 상면 테두리를 지지하여 결합부(61)가 덮개판(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80)이 결합된다. 고정링(80)은 하부 외주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걸림턱(81)을 설치홈(41) 외곽 쪽에 형성된 걸림홈(41a)에 끼움으로써 설치홈(41)에 고정되며, 고정링(80) 중앙에는 제1힌지부(62)의 통과를 위한 구멍(82)이 형성된다. An installation groove 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40 to install the coupling portion 61 to accommodate the coupling portion 61 in a rotatable state, and an installation groove 41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61 is accommodated. ) Is coupled to the fixing ring 80 for supporting the upper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61 to prevent the coupling portion 6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plate 40. The fixing ring 80 is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41 by inserting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81 radially dispos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thereof into the locking groove 41a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ounting groove 41, and the fixing ring 80. In the center thereof, a hole 82 for passing the first hinge part 62 is formed.

제2연결부재(70)는 제1힌지부(62)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제1힌지부(62)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힌지부(71)와, 상기 한 쌍의 제2힌지부(71)와 상기 봉부재(23)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72)를 구비한다. 제2힌지부(71)에는 제2힌지홀(71a)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힌지(62,71)는 상호 일치된 제1 및 제2힌지홀(62a,71a)에 체결되는 힌지핀(90)을 통해 힌지 결합된다.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70 includes a pair of second hinge portions 7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portion 62 so as to be hinged with the first hinge portion 62, and the pair of second hinges. A connecting portion 72 is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branch portion 71 and the rod member 23. A second hinge hole 71a is formed in the second hinge portion 71,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s 62 and 71 are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holes 62a and 71a which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It is hinged through the pin 90.

따라서 걸레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결부재(60)와 봉(20) 하단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70)가 힌지결합됨에 따라 상기 봉(20)과 걸레본체(10)는 연결장치(50)를 통해 상호 각도조절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rod 20 and the mop main body 10 are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0 rotatably coupled to the mop body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7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d 2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device 50 to adjust the angle and rotatable.

연결장치(50)를 통해 봉(20)과 걸레본체(10)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봉 걸레(1)는 부주의로 슬리브부재(27)가 손상되거나 분실된 경우에도 작업자가 봉(20) 직접 파지한 상태에서 걸레본체(10)가 탈수바스켓(2a)과 함께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되어 걸레(1a)의 탈수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rod mop 1 coupled to the rod 20 and the mop main body 10 through the connecting device 50 so as to be mutually rotatable is inadvertently damaged or lost by the worker even when the sleeve member 27 is damaged. The mop body 10 can be smoothly rotated together with the dewatering basket 2a in a state of being directly held, thereby effectively performing the dewatering operation of the mop 1a.

또한 한 쌍의 제2힌지부(71) 사이의 연결부(72)와 대향되는 제1힌지부(62) 외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62,71) 간의 힌지회동 방향을 따라 홈 형태의 곡면레일(63)이 형성되고, 곡면레일(63)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72)에는 탄성부재(100)의 수용을 위한 요홈(72a)이 형성되는데, 연결장치(50)는 제1 및 제2힌지부(62,71) 간의 힌지 회동 동작시 탄성부재(100)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기 곡면레일(63)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된 볼부재(110)를 더 구비하도록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portion 62 which faces the connecting portion 72 between the pair of second hinge portions 71 has a groove shape along the hinge rotation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62 and 71. The curved rail 63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portion 72 corresponding to the curved rail 63 is formed with a recess 72a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member 100, the connecting device 50 is the first and the It is provided to further include a ball member 110 provided to move along the curved rail 63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00 during the hinge rotation operation between the second hinge portion (62, 71).

또 상기 곡면레일(63) 상의 중앙에는 봉(20)이 상기 걸레본체(1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볼부재(1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제1안착홈(63a)이 형성되고, 제1안착홈(63a) 양측의 곡면레일(63) 상에는 봉(20)이 상기 걸레본체(10)에 대하여 45도 정도의 예각을 이룬 상태에서 볼부재(110)가 안착되도록 한 쌍의 제2안착홈(63b)이 마련된다. In addition, a first seating groove 63a is formed at the center on the curved rail 63 so that the ball member 110 is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od 20 is perpendicular to the mop body 10. On the curved rails 63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grooves 63a, a pair of second seating grooves are mounted so that the ball member 110 is seated in a state where the rod 20 forms an acute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10. 63b is provided.

따라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본체(1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의 봉(20)은 볼부재(110)가 제1안착홈(63a)에 안착되어 걸리게 되면서 다시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봉 걸레(1)는 스스로 바르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의 봉 걸레(1)는 작업자가 봉(20)이나 슬리브부재(27)를 잡지 않은 상태로 걸레본체(10)를 탈수 바스켓(2a)에 넣고 탈수바스켓(2a)을 회전시키더라도 봉(20)이 한 쪽으로 기울어 지지 않고 바르게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us, as shown in Figure 6 and 7, the rod 20 in a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10 is the ball member 110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63a) and the external force agai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until it is applied, the rod mop (1) is able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upright itself, the rod mop (1) of this state is the worker 20 or sleeve member (27) Put the mop main body 10 in the dehydration basket (2a) without holding the), even if the dewatering basket (2a) is rotated, the rod 20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being inclined to one side.

또한 봉(20)의 각도조절 동작시 걸레본체(10) 상면에 지지되는 제2힌지부(71) 외면은 봉의 원활한 각도조절을 위해 걸레본체(10) 상면과 선접촉하도록 전체적으로 곡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걸레본체(1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봉(20)의 고정력을 더 보조할 수 있도록 봉(20)이 걸레본체(1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걸레본체(10)에 접하게 되는 상기 제2힌지부(71)의 하부 외면은 적어도 일부가 걸레본체(10) 상면과 면접촉되는 평탄면(71b)으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inge portion 71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p body 10 during the angle adjustment operation of the rod 20 is preferably curved in overall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op body 10 for smooth adjustment of the rod. One, the mop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rod 20 is perpendicular to the mop main body 10 so as to further assist the fixing force of the rod 20 for maintaining the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mop main body 10.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inge portion 71 which is in contact with 10) may be provided as a flat surface 71b at least partial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op body 10.

이와 같이 볼부재(110)가 제1안착홈(63a)에 안착된 상태에서 다시 외력을 가하여 봉(20)을 곡면레일(63)을 따라 어느 한 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볼부재(110)는 탄성부재(100)를 가압하면서 제1안착홈(63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볼부재(110)가 다시 곡면레일(63)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되면서 상기 봉(20)은 걸레본체(10)에 대하여 다른 기울기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When the ball member 110 is pushed to either side along the curved rail 63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gain in the stat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63a), the ball member 110 is elastic While pressing the member 100 is released from the first seating groove (63a), in this state, the ball member 110 is naturally moved along the curved rail 63 again while the rod 20 is the mop body (10) It can be tilted at different slopes with respect to.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본체(10)에 대하여 45도 정도의 예각을 이룬 상태의 상기 봉(20)은 볼부재(110)가 제2안착홈(63b)에 안착되어 걸리게 되면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봉 걸레(1)의 봉(20)은 걸레본체(10)에 대하여 바닥을 닦기에 용이한 예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rod 20 in the acute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10 is caught by the ball member 110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63b) The state can be maintained, and thus, the rod 20 of the rod mop 1 can maintain a state inclined at an acute angle to facilitate wiping the floor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10.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od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d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가 회전운동 하는 탈수바스켓을 구비하는 탈수장치에 의해 탈수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d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ing dehydrated by a dewatering apparatus having a dewatering basket to rotat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의 요부 측면도로, 슬 리브부재의 슬라이딩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rod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liding operation state of the sleeve member.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의 요부 단면도로, 슬리브부재가 슬라이딩동작이 구속되도록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rod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eeve member is fixed to restrain the sliding opera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의 요부 단면도로, 봉이 걸레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rod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d is fixed perpendicular to the mop body.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의 요부 측면도로, 봉이 걸레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7 is a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rod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d is fixed perpendicular to the mop body.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 걸레의 요부 단면도로, 봉이 걸레본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rod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d is fix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봉 걸레 2: 탈수장치1: rod mop 2: dehydrator

2a: 탈수바스켓 10: 걸레본체2a: dewatering basket 10: mop body

20: 봉 27: 슬리브부재20: rod 27: sleeve member

50: 연결장치 60: 제1연결부재50: connecting device 60: first connecting member

63: 곡면레일 63a: 제1안착홈63: curved rail 63a: first seating groove

63b: 제2안착홈 70: 제2연결부재63b: second seating groove 70: second connecting member

71b: 평탄면 100: 탄성부재71b: flat surface 100: elastic member

110: 볼부재110: ball member

Claims (8)

걸레가 결합된 걸레본체와, Mop body combined with mop, 상기 걸레본체에 결합된 봉과,A rod coupled to the mop body, 상기 봉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걸레. Rod mo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eeve member rotatably fitted around the ro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리브부재는 상기 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걸레.The sleeve member is a rod mo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slidable over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슬리브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구간 양단의 봉에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부재의 단부가 걸리도록 제1 및 제2걸림부가 각각 마련되고, The rods at both end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sleeve member slide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atching portions, respectively, to hold the ends of the sleeve member to limit sliding of the sleeve member. 상기 슬리브부재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필요시 상기 제1 내지 제2걸림부 중 대응하는 걸림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걸레. At least one end of the both ends of the sleeve member is provided with a rod mo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orresponding locking portion of the first to second locking portion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봉과 걸레본체 사이에는 상기 봉을 상기 걸레본체에 각도조절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장치가 마련되되,Between the rod and the mop body is provided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the rod to the mop body to adjust the angle and rotatable, 상기 연결장치는 필요시 상기 봉을 상기 걸레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걸레.The connecting device is a rod mop,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fix the rod in a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if necessary.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걸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걸레본체 상부로 돌출된 제1힌지부를 구비하는 제1연결부재와;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upl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mop body and a first hinge part protruding from the mop body; 상기 제1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제1힌지부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힌지부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와 상기 봉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재와; A second connection member including a pair of second hinge parts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part and a connection part integrally connecting the pair of hinge parts and the rods so as to be hinged with the first hinge part; Wow; 상기 제2힌지부 사이의 연결부와 대향되는 상기 제1힌지부 외면에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 간의 힌지회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곡면레일과;A curved rail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portion opposite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hinge portions along a hinge rotation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요홈에 수용되는 탄성부재와;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 간의 힌지 회동 동작시 상기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기 곡면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된 볼부재와;A ball member provided to move along the curved rail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during a hinge rotation ope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상기 봉이 상기 걸레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볼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곡면레일 상에 형성된 제1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걸레.And a first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curved rail to seat the ball member in a state where the rod is perpendicular to the mop body.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곡면레일 상에는 상기 봉이 상기 걸레본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볼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안착홈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걸레.The rod mop,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cond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curved rail so that the ball member is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od is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mop body.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2안착홈은 상기 제1안착홈 양측으로 상기 제1안착홈과 45도의 각을 이루는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걸레.The second seating groove is a rod mop,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air forming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first seating groove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ating groov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봉이 상기 걸레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걸레본체에 접하게 되는 상기 제2힌지부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탄면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걸레. The rod mop,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inge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op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rod is perpendicular to the mop body is provided as a flat surface.
KR1020090090632A 2009-09-24 2009-09-24 A mop KR201100328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32A KR20110032895A (en) 2009-09-24 2009-09-24 A m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32A KR20110032895A (en) 2009-09-24 2009-09-24 A mo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895A true KR20110032895A (en) 2011-03-30

Family

ID=4393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632A KR20110032895A (en) 2009-09-24 2009-09-24 A m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289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644B1 (en) * 2012-06-12 2014-03-06 주식회사 리빙휴 Rotary device, Rotary mob and cleaning device utiliz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644B1 (en) * 2012-06-12 2014-03-06 주식회사 리빙휴 Rotary device, Rotary mob and cleaning device utiliz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6287B2 (en) Protruding refracted laundry rack drying apparatus and laundry drying platform including the same
KR101024627B1 (en) Washing bucket assembly with rotation washing and dehydration functions for a wet mop
CN110522379A (en) A kind of clean method of flat mop
WO2011150617A1 (en) Mop cleaning device
KR20110032895A (en) A mop
JP2012081209A (en) Cleaning tool
JP2013138849A (en) Cleaning mop and its washing bucket
US5976266A (en) Method for cleaning and wringing mop
JP2013138849A5 (en)
AU2009100652A4 (en) Floor Cleaning Utensil
KR200268623Y1 (en) Washing machine only for cleaning a mop
KR101184633B1 (en) A mop cleaner
CN201879632U (en) Centrifugal dewatering mop system
JP2011251112A (en) Rotating bucket for mop
CA2708621C (en) Mop with wringing device
KR100883551B1 (en) A push stick for a cleaning
KR200459855Y1 (en) Rotary dehydration device for mop
CN201822823U (en) Cleaning device
CN104159493A (en) Rotatably wrung mop for washing by beating
RU2622800C2 (en) Device for cleaninng carpets
KR20100120095A (en) Device for washing the duster
KR200487622Y1 (en) Pad type flat mop having a head for dehydrating and supporting
KR100604648B1 (en) device for washing and dehydration of dustcloth
KR101210109B1 (en) The push-type cleaning tools
KR101154281B1 (en) Washing device for dustcl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