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851A - Method of recognizing shape of welding zone, method of generating welding path adopting the same, and automatic welding robot adopting the same methods - Google Patents
Method of recognizing shape of welding zone, method of generating welding path adopting the same, and automatic welding robot adopting the same metho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2851A KR20110032851A KR1020090090568A KR20090090568A KR20110032851A KR 20110032851 A KR20110032851 A KR 20110032851A KR 1020090090568 A KR1020090090568 A KR 1020090090568A KR 20090090568 A KR20090090568 A KR 20090090568A KR 20110032851 A KR20110032851 A KR 201100328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erence point
- welding
- point
- profile
- straight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16—Seam profiling, e.g. weaving, multi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7—Means for tracking lines during arc welding or cut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ipulator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 선체 내에서 론지(longi.)와 론지의 맞대기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T바(T bar) 형상의 론지와 론지의 맞대기 용접 자동화를 위한 용접 부위 형상 인식 방법, 이를 적용한 위빙(weaving) 용접 경로 생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자동 용접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robot that performs butt welding of a longi and a longage in a double hu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lding site shape for automating butt welding of a T bar sha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gnition method, a weaving welding path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an automatic welding robo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선체 블록이나 철골 구조물 등의 용접작업은 협소한 작업공간과 유해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열악한 작업 환경 하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생산 현장 작업자를 보호하고 용접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자동화 장치를 고안하여 생산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general, welding works such as hull blocks or steel structures are carried out in a narrow working space and a harsh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harmful gases are generated. Therefore, various automation devices are devised to protect workers in the production site and to improve welding quality and productivity. It is applied to the production site.
조선소의 도크에서 이뤄지는 탑재 공정은 세팅(Setting), 취부, 용접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세팅은 블록을 도크에 옮기고, 이전에 도크에 놓인 블록과의 단차를 최소화하도록 블록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이다. 세팅 시에 블록과 블록이 맞닿는 부분에 가용접(이하 취부)을 하여 고정한다. 세팅 이후에 서로 맞닿는 부분의 론지 간의 단차를 최소화하여 원 패스(1 pass) 용접하는 초층 용접을 함으로써 론지와 론지를 고정하는 취부 작업을 수행 한다. 취부 작업 이후에 론지가 서로 맞닿는 부분, 블록이 서로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을 함으로써 탑재 공정이 완료된다.The shipyard docking process consists of three stages: setting, mounting and welding. Setting is the process of moving a block to the dock and adjusting the block position to minimize the step with the block previously placed in the dock. At the time of setting, it is fixed by welding (hereafter attaching) to the part where a block and abutment contact. After setting, the first stage welding is performed by minimiz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ongages of the part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ngage and the longage are fixed. After the mounting operation, the mounting process is completed by performing butt welding to weld the portions where the ronze abuts each other and the portions where the blocks abut each other.
도 1은 조선소에서 탑재 중인 블록의 사진이다. 사진에서 빨간색 실선으로 표시한 부분과 그 내부의 론지는 탑재 시에 맞대기 용접이 필요한 부분이다. 1 is a photograph of a block being mounted at the shipyard. The red line in the picture and the inside of the longage are the parts that need butt welding when mounted.
세팅 이후에 이중 선체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이 좁은 접근 통로(access hole)를 통과해야 한다. 접근 통로를 통과하여 들어간 이중 선체의 내부는 접근 통로를 제외하고, 모든 방향이 철판으로 막혀있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란한 론지와 론지 간의 간격이 좁다. 작업자는 나란한 론지와 론지 사이에 서거나 앉아서 용접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폐되고 좁은 공간, 불편한 자세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 탑재를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탑재 공정 중에 이중선체 내에서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로봇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도 2에서의 접근 통로를 통과할 정도로 작고 가벼우면서, 불규칙한 용접 개선면의 형상을 따라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의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After setting, the operator must pass through a narrow access hole as shown in FIG. 2 to enter the inside of the double hull. The interior of the double hull through the access passages is blocked by steel plates in all directions except the access passages. Also, as shown in FIG. 1, the spacing between side-by-side longines and longines is narrow. Workers are standing or sitting between side-by-side and longines to weld.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is performed in a poor environment such as a closed space, an uncomfortable posture, and so far, a welding robot that performs welding in the double hull during the mounting process has not been developed. The reas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robot that is small and light enough to pass through the access passage in FIG. 2 and that can perform welding along an irregular weld improvement surface.
본 발명은 특히 단면이 T자 형상인 론지가 서로 맞닿는 부분의 T자형의 용접 부위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로봇 및 그 방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도출되었다. T바를 용접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초층 용접은 용접할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한 층으로 용접 부위를 용접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외에 T바를 용접하는 것 을 맞대기 용접 또는 위빙 용접이라고도 한다. 맞대기 용접은 작업 대상물이 어떻게 놓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T바와 같이 서로 수평으로 맞닿아 있는 대상물을 용접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빙 용접은 용접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토치(torch)를 움직이면서 용접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T바에 대해 취부를 할 때는, 맞대기 용접(서로 수평하게 맞닿아 있는 대상물을 용접)을 하기 위해 위빙 용접(지그재그로 토치를 움직이면서 용접)이란 방법을 선택하여, 초층 용접(원 패스만 용접)을 하는 것이다. 초층 용접한 T바를 대상으로 용접을 할 때에도 작업 대상물의 배치가 동일하므로 맞대기 용접을 하는 것이고, 동일한 방법으로 위빙 용접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in the course of studying a robot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welding a T-shaped welding portion of a portion where a long cross section having a T-shaped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layer welding used in connection with welding a T-bar is a term used to mean welding a welding part in one layer to fix a part to be welded. In addition, welding the T bar is also called butt welding or weaving welding. Butt welding is an indication of how the workpieces are laid out and means welding the objects that are in horizontal contact with each other, such as the T-bars. Weaving welding refers to a welding method, which means welding while moving a torch in a zigzag shape. That is, when mounting on the T-bar, we select the method of weaving welding (welding while moving the torch in a zigzag) to perform butt welding (welding object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horizontally), and superlayer welding (one-pass welding only) To do. When welding the T-bar welded on the first floor, butt welding is performed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workpiece is the same, weaving welding is performed in the same way.
도 3a에는 탑재 작업 중 블록과 블록의 단차를 제거하는 세팅 작업을 하였을 때, 이중 선체 내부의 론지와 론지 간의 맞대기 용접을 수행할 부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는 론지와 론지 간의 맞대기 용접을 수행할 부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ure 3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of the portion to perform the butt welding between the longage and the inside of the double hull when the setting work to remove the step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during the mounting operation. In addition, Figure 3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ion to perform the butt welding between the long and long.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론지(10, 20)는 론지의 길이 방향에서 바라보면 그 단면 형상이 영문자 대문자 'T'자와 비슷하다고 하여 론지를 T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론지의 윗부분에 있는 넓적한 철판을 론지 전면(face)(11, 21)이라고 하며, 론지 전면 아랫부분을 론지 웹(web)(12, 22)이라 한다. 두 개의 론지(10, 20)가 마주하는 두 부분(30, 40)이 용접될 부분이다. The
마주하는 론지 전면들과 론지 웹들을 각각 한 번씩 용접하여 본 용접 전에 용접 부위를 고정하는 "취부" 작업을 수행한다. 취부 작업은 서로 맞닿아 있는 두 론지 간의 단차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초층 용접을 한 뒤, 슬래그(slag)를 제거하고, 단차 제거를 위해 설치했던 장비를 회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있다.Each of the facing long side and long side webs is welded once to perform a "mount" operation to fix the weld prior to main welding. The mounting work consists of removing the step between the two longine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elding the first floor, removing slag, and recovering the equipment installed for step removal.
서로 맞닿는 론지와 론지 간의 단차를 제거하는 작업은, (i) 체인 블록(chain block)을 이용하여 론지 전면을 평행하게 맞추는 작업, (ii) 론지 전면 위에 원기둥 형태의 핏업 론지 지그(fit-up longi. jig)를 올려놓아 론지 전면의 상하 단차를 제거하는 작업, (iii) 론지 웹의 단차를 제거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The step of removing the step between the longines and longine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cludes (i) the paralleling of the front side of the long side using a chain block, and (ii) a cylindrical fit-up long jig on the front side of the long side. jig) to remove the upper and lower steps on the front of the longines, and (iii) to remove the steps on the longines web.
론지 간의 단차를 제거한 뒤의 론지와 론지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초층 용접을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그와 같은 경우, 절단기를 이용하여 간격을 넓힌다. 이 작업으로 인하여, 간격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f the gap between the long paper and the long paper after removing the step between the long paper is too narrow,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first layer welding. In such cases, use a cutter to widen the gap. Due to this operation, irregular gaps are usually formed.
론지 간 단차를 제거하고, 경우에 따라 간격을 확장하는 작업을 한 뒤에는 용접을 하기 위해, 용접하는 면과 반대쪽 면에 후면재(backing)를 부착한다. 후면재는 론지와 론지 간의 틈을 막아주어, 용접 비드(비드)가 잘 쌓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후면재를 붙이는 작업은 론지 전면을 용접할 때도 수행하게 된다. 다만, 론지 전면을 용접할 때는 후면재 부착뿐만 아니라 철판을 덧대는 작업도 수행한다. 이는 론지 전면을 용접할 때, 생기는 용접물이 바닥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After removing the step between the longages and in some cases extending the gap, a backing is attach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welding side for welding. The backing material closes the gap between the long paper and the long paper, so that the weld beads (beads) are well accumulated. Attaching the backing material is also performed when welding the front side of the longage. However, when welding the front of the long side, as well as attaching the backing material, it also performs the work of padding the iron plate. This serves as a support to prevent the welds from flowing down to the floor when welding the front of the long piece.
후면재를 부착한 뒤, 론지 웹에 대하여 초층 용접을 수행한다. 사람이 직접 론지 웹과 론지 전면을 용접할 때에는 작업자는 좁은 공간에서 불편한 자세로 용접을 할 수밖에 없는데, 취부뿐만 아니라 취부 이후에 T바의 용접을 완료할 때까지 계속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하게 된다. After attaching the backing material, first layer welding is performed on the longage web. When a person directly welds the long web and the front of the long paper, the worker has no choice but to weld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in a narrow space, and continues to work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until the welding of the T bar is completed.
론지 전면과 론지 웹에 대해 각각 초층 용접을 마무리하면 작업자는 용접 비드 위에 쌓인 슬래그를 제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론지와 론지 간의 단차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했던 장비들을 회수함으로써 취부가 완료된다. Finishing the first floor welds for the long side front and long side webs respectively, the operator removes the slag accumulated on the weld bead. Finally,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by recovering the equipment installed to remove the step between the long and long.
도 4는 초층 용접이 완료된 후의 T바의 론지 전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5는 초층 용접이 완료된 후의 론지 웹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초층 용접한 론지 전면의 경우, 용접 비드가 비교적 고르게 쌓여 있고, 반면에 론지 웹의 경우는 용접 비드가 매우 울퉁불퉁하게 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두 경우 모두 개선의 형상이 나란한 직선이 아니라 울퉁불퉁한 곡선이다. 도 4의 론지 전면의 좌측 개선은 우측의 개선에 비해 울퉁불퉁한 데, 이와 같은 형상은 T바 간격의 확장 작업을 하면서 생긴 것이다.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front side of the longage of the T-bar after the first floor welding is completed,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hape of the longage web after the first floor welding is completed. In the case of the first floor welded long paper, the weld beads were relatively evenly stacked, while in the long web, the weld beads were very unevenly stacked. Also, in both cases, the shape of the improvement is not a straight line but a rugged curve. The left side improvement of the front side of the long side of Figure 4 is rugged compared to the improvement on the right side, such a shape is created while expanding the T bar spacing.
이와 같이 위빙 용접을 수행할 T바의 용접 부위는 그 형상이 일정하지 않아서 각각의 용접 수행에 앞서 그 형상을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인식된 형상을 바탕으로 용접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면, 사람이 직접 수행할 때에 작업자의 노고가 많이 필요한 T바의 용접을 자동 용접 로봇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초층 용접된 T바의 용접 부위의 형상을 인식하고 이로부터 용접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적용한 자동 용접 로봇을 개발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된다. As such, the welding portion of the T bar to perform the weaving welding is not constant in shape, 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hape before performing each welding. If the welding path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recognized shape, the welding robot can perform the welding of the T-bar, which requires much labor of the operator when the human is directly performing the welding. Therefore, there is a great need to develop a method of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welded portion of the T-bar welded to the first floor and generating a welding path therefrom and an automatic welding robot apply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로봇에 의한 자동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용접 부위의 형상 인식 방법과, 이 방법을 적용한 용접 로봇의 용접 경로 생성 방법, 그리고 이 용접 경로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용접 경로를 추종하여 용접 품질이 양호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용접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a shape of a welding part for enabling automatic welding by a welding robot, and a welding path of a welding robot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welding robot capable of performing a welding operation with good welding quality by following the generation method and the welding path generated by this welding path generation metho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판재가 초층 용접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홈의 형태를 가지는 용접 부위의 형상 인식 방법으로써,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welded site having the shape of a groove extending in one direction by welding two sheets of first layer,
홈의 연장된 길이 방향으로 용접 부위를 복수 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간에 대해, 두 개의 판재가 초층 용접된 용접 부위의 형상을 인식하기 위해, 1차원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용접 부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1차원 레이저 센서와 용접 부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복수 개의 용접 부위의 단면의 프로파일을 얻는 스캔 단계(a); The direction of traversing the weld using a one-dimensional laser sensor in order to divide the wel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extend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to recognize the shape of the welded section where the two plates are welded to each layer for each section. A scanning step (a) of obtaining a profile of cross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welded portions by performing a process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one-dimensional laser sensor and the welded portion while moving to;
상기 스캔 단계(a)에서 얻은 각각의 프로파일 곡선 데이터에서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노이즈 데이터를 제거하는 필터링 단계(b); 및 A filtering step (b) of removing noise data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a slope changes rapidly in each profile curve data obtained in the scanning step (a); And
상기 필터링 단계(b)에서 필터링 된 데이터로부터 용접 부위의 단면 형상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결정하는 기준점 생성 단계(c)를 포함하는 용접 부위의 형상 인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shape recognition method of a welded site including a reference point generation step (c) for determining a reference point that is a referenc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elded site from the data filtered in the filtering step (b).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판재가 초층 용접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홈의 형태를 가지는 용접 부위의 자동 용접 경로 생성 방법으로써,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a method of automatic welding path generation of the welded portion having the form of a groove extending in one direction by welding two sheets of first layer,
홈의 연장된 길이 방향으로 용접 부위를 복수 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간에 대해, 두 개의 판재가 초층 용접된 용접 부위의 형상을 인식하기 위해, 1차원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용접 부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1차원 레이저 센서와 용접 부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복수 개의 용접 부위의 단면의 프로파일을 얻는 스캔 단계(a); The direction of traversing the weld using a one-dimensional laser sensor in order to divide the wel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extend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to recognize the shape of the welded section where the two plates are welded to each layer for each section. A scanning step (a) of obtaining a profile of cross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welded portions by performing a process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one-dimensional laser sensor and the welded portion while moving to;
상기 스캔 단계(a)에서 얻은 각각의 프로파일 곡선 데이터에서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노이즈 데이터를 제거하는 필터링 단계(b); A filtering step (b) of removing noise data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a slope changes rapidly in each profile curve data obtained in the scanning step (a);
상기 필터링 단계(b)에서 필터링 된 데이터로부터 용접 부위의 단면 형상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결정하는 기준점 생성 단계(c); A reference point generation step (c) of determining a reference point which is a referenc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elded portion from the data filtered in the filtering step (b);
상기 기준점 생성 단계(c)에서 생성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위빙 용접 경로를 생성하는 용접경로 생성 단계(d)를 포함하는 용접 경로 생성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welding path generation method comprising a welding path generation step (d) for generating a weaving welding path using the reference point generated in the reference point generation step (c).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서 용접 부위를 향하여 배치된 센서 유닛; A sensor unit disposed from the main body toward the welding part;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용접봉을 구비하여 용접 부위에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용접 유닛; A welding unit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welding unit having a welding rod to perform welding to a welding site;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 유닛과 상기 용접 유닛 중 하나 이상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A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transfer one or more of the sensor unit and the welding unit; And
상기 센서 유닛, 용접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he welding unit, and the transfer unit,
상기 센서 유닛은 용접 부위에 레이저 광선을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광선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센서 유닛과 용접 부위의 특정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센서 유닛이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용접 부위의 주변에서 용접 부위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용접 부위 단면의 프로파일을 얻은 후, 다시 용접 부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전의 용접 부위의 프로파일과 이격된 위치에서의 용접 부위의 단면 프로파일을 얻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용접 부위의 단면 프로파일 데이터를 측정하며, The sensor unit may emit a laser beam at the welding site and receive the reflected light of the reflected laser beam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unit and a specific point of the welding site, and the sensor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welding site by the transfer unit. The distance is measured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ed portion to obtain the profil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elded portion, and then moved aga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ed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rofile of the previous welded portion. Measuring the cross-sectional profile data of a plurality of welds in such a way as to obtain a cross-sectional profile of the welded area,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에서 측정한 복수 개의 단면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기준점을 생성하고, 이 기준점으로부터 용접 경로를 생성하며, 생성된 용접 경로를 추종하도록 상기 이송 유닛이 상기 용접 유닛을 이송하도록 제어하여 자동 용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로봇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reference point constituting the profile from the plurality of cross-sectional profile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generates a welding path from the reference point, and the transfer unit transfers the welding unit to follow the generated welding path.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n automatic welding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enable automatic welding.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서 용접 부위를 향하여 배치된 센서 유닛; A sensor unit disposed from the main body toward the welding part;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용접봉을 구비하여 용접 부위에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용접 유닛; A welding unit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welding unit having a welding rod to perform welding to a welding site;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 유닛과 상기 용접 유닛 중 하나 이상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A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transfer one or more of the sensor unit and the welding unit; And
상기 센서 유닛, 용접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he welding unit, and the transfer unit,
앞서 언급한 용접 경로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용접 경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송 유닛이 상기 용접봉의 위빙 축의 위빙 각도와 용접 부위의 길이 방향 이송 간격에 맞게 상기 용접봉이 이송하면서 용접 부위를 용접하도록 하는 자동 용접 로봇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On the basis of the welding path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welding path generation method, the conveying unit automatically welds the welding portion while the welding rod is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weaving angle of the weaving axis of the electrode and the longitudinal feeding interval of the welding portion. By providing a welding robot.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부위의 형상을 용접 작업에 필요한 수준으로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 인식 방법을 적용하여 용접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자동 용접 로봇에 의한 용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부위의 형상 오차를 감안하여 용접 품질이 양호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welded por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at the level necessary for the welding operation. In addition, by applying the shape recognition method to generate a welding path it is possible to weld by the automatic weld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error of the welded portion, the wel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good quality.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1차원 레이저 센서로 스캔하여도 다차원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차원 레이저 센서에 비해 1차원 레이저 센서의 가격, 크기 및 무게가 더 적다는 점은 조선소의 이중 선체 블록 조립을 위한 용접 작업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무엇보다, 이중선체 구조에서 용접을 위해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는 매우 좁다. 또한, 대형 선박일수록 작업자가 용접 작업을 위해 장비를 들고 이동하여야 하는 거리는 매우 멀고 여러 개의 사다리를 거쳐야 한다. 작업자는 이러한 환경에서는 조금이라도 무거운 장비를 들고 이동하는 것이 매우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고, 조금이라도 가벼운 장비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1차원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여 3차원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용접 로봇의 개발 의의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using the multi-dimensional laser sensor even when scanning with a one-dimensional laser sensor, the price, size and weight of the one-dimensional laser sensor is less than the multi-dimensional laser sensor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welding work for assembling double hull blocks in shipyards. First of all,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worker moves for welding in a double hull structure is very narrow. In addition, the larger the ship, the farther the worker has to carry the equipment for the welding operation, and must go through several ladders. In such an environment, it is very burdensome to carry a piece of heavy equipment in such an environment and prefer to use a piece of light equip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a welding robot capable of recognizing a three-dimensional shape using the one-dimensional laser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larg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용접 경로 생성 알고리즘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T바 간격의 위치와 크기를 인식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1차원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을 스캔(scan)하여 T바 간격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용접 경로를 생성한다. To write a weld path generation algorithm, we need to know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bar spacing.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one-dimensional laser sensor to scan the work object (scan)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T-bar spacing, using this to generate a welding path.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경로 생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weld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경로 생성 방법은 1차원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과 레이저 센서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스캔 단계, 스캔하여 얻은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 단계, 필터링한 데이터로부터 T바 간격의 형상을 얻는 기준점(reference point: 이하 도면에서는 "Ref"로 약칭함) 생성 단계, 그리고 생성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위빙 용접 경로를 생성하는 용접경로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welding path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nning step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workpiece and a laser sensor using a 1D laser sensor, and filtering to remove noise included in the scanned data. Step, generating a reference point (abbreviated as "Ref" in the drawings below) to obtain the shape of the T-bar interval from the filtered data, and a weld path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weaving weld path using the generated reference point do.
용접 경로를 생성할 때는 T바 간격의 폭의 변화 및 T바 간격의 위치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T바 간격의 위치와 형상(이하, 프로파일(profile)이라 함)을 인식하기 해야 하기 위하여, 1차원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T바 간격의 깊이를 측 정한다. When creating the weld path, the change in the width of the T-bar spacing and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T-bar spacing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recogniz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T-bar spac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file), the depth of the T-bar spacing is measured using a one-dimensional laser sensor.
도 7에는 용접 부위의 프로파일 인식을 위한 스캔 방식과, 한 번의 1차원 스캔을 통해 얻는 용접 부위 단면의 프로파일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an method for profile recognition of a welded portion and a profile of a welded cross section obtained through one one-dimensional scan.
프로파일은 높이에 따라서 그 위치와 형상이 변하므로, 전체 T바의 높이를 대상으로 프로파일을 스캔해야 한다. 따라서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캔은 T바의 전체 높이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x축을 따라서 이동하며 스캔하고, z축을 따라서 위쪽으로 등간격 dz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ince the profile changes its position and shape according to the height, the profile should be scanned for the height of the entire T bar. Therefore, as shown in FIG. 7A, the scan is performed on the entire height of the T bar. The scan moves along the x- axis and repeats the upward movement along the z- axis at equal intervals dz .
도 7의 (b)에서 실제로 스캔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저부분의 프로파일을 스캔하는 경우, 센서를 x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움직인다. 그와 동시에 센서를 이용하여 등간격 dx로 센서와 T바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를 통하여 프로파일의 형상을 얻을 수 있다. In (b) of FIG. 7, the scanning process may be confirmed. For example, when scanning the lowest profile, move the sensor from left to right along the x axis. At the same time,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and the T bar at equal intervals dx using the sensor. Through this, the shape of the profile can be obtained.
도 8에서는 실제 시편에 대해 x축 방향으로 1차원 스캔을 수행한 결과 얻은 프로파일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위의 프로파일에서 빨간 색 타원 내의 부분을 확대한 것이 아래의 프로파일이다. 프로파일 스캔 결과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러(error)(잘못 스캔한 점)와 노이즈(noise)(프로파일이 매끄럽지 않고 튀는 부분들)가 포함되어 있다. 스캔한 결과 얻은 프로파일에 포함된 이러한 에러와 노이즈는 용접 기준점을 찾기 위해서는 미리 제거되어야 한다.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file obtaine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one-dimensional scan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actual specimen. In FIG. 8, an enlarged portion of the red ellipse in the upper profile is the lower profile. As shown in FIG. 8, the profile scan result includes an error (incorrect scan point) and noise (problems where the profile is not smooth and splashes). These errors and noises included in the scanned profile must be removed in advance to find the weld reference point.
도 9에는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한 프로파일에서 에러와 노이즈를 제 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9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removing errors and noise in a profile measured using a laser sensor.
먼저 에러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차원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 포함되는 에러는 도 9의 위의 프로파일에 보는 바와 같이 에러가 아닌 점들에 비하여 그 값이 크게 작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크기가 확연하게 차이나는 에러를 제거한다. First, how to remove the error will be described. The error included when using the one-dimensional laser sensor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non-error points as shown in the above profile of FIG. 9. By using these characteristics, errors that are noticeably different in size are eliminated.
우선, 스캔하여 얻은 점들의 y값들의 평균값 yavg를 구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약간의 margin을 주어, 에러인 점과 에러가 아닌 점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즉 직선 'y = y avg - margin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점들은 에러로 간주하여 제거할 수 있다. 물론 margin은 0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실제 레이저 센서와 용접 부위와의 거리를 감안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First, the average value yavg of the y values of the scanned points is obtained. If necessary, give a little margin to use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n error is an error or not. That is, points below the straight line ' y = y avg -margin' can be regarded as an error and removed. Of course, the margin can be set to 0, and the user can set an appropriate value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ctual laser sensor and the welding part.
에러를 제거하고 나면 에러인 데이터가 있던 위치는 비어있게 된다. 이후의 단계에서 가우시안 필터(Gaussian filter)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 빈 위치에도 적절한 값을 미리 채워 넣어야 한다. 이는 가우시안 필터가 현재의 위치의 점의 값을 주위에 있는 점들에 가중치를 곱하여 평균을 내는 방법으로 구하여 프로파일의 곡선을 매끄럽게 변화하도록 하기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에러가 있던 곳에는 주위의 에러가 아닌 점들을 선형 보간 하여 값을 넣는다. 즉, 빈 공간이 원래는 i번째 스캔한 점이라고 했을 때, i번째 y값 y i 를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하여 빈 공간에 채워 넣는다. After the error is removed, the location of the data in error is empty. In order to apply a Gaussian filter in a later step, it is necessary to pre-populate an appropriate value in this empty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Gaussian filter is used to smoothly change the curve of the profile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point at the current position by multiplying the weights of the surrounding points. Where there was an error, linearly interpolate the non-error points around it and enter the value. That is, when the empty space is originally referred to as the i- th scanned point, the i-th y value y i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and filled in the empty space.
[수학식 1][Equation 1]
여기서 (i - k)는 에러가 아니고, i보다 index가 작은 점 중에 i와 가장 가까운 점의 index이고, (i + t)는 에러가 아니고, i보다 index가 큰 점 중에 i와 가장 가까운 점이다. 도 9의 빨간 점이 이와 같은 과정으로 채워 넣은 점들을 나타낸 것이다.Where ( i - k ) is not an error and is the index of the point closest to i among points that are smaller than i, and ( i + t ) is not an error and is the closest point to i among points that are larger than i. . The red dots in FIG. 9 show the dots filled by this process.
프로파일의 형상을 내타내는 기준점 생성에서는 미분계수를 이용한다. 그런데 도 9에서와 같이 노이즈가 있는 경우에는 미분계수가 급격히 변하게 되어 이 방법을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노이즈의 소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가우시안 필터를 사용한다.Differential coefficients are used to generate reference points that represent the shape of the profile. However, if there is noise as shown in Fig. 9, the derivative coefficient changes rapidly, and this method cannot be used. Therefore, noise cancellation is necessary. A Gaussian filter is used for this.
가우시안 필터는 가우시안 분포(Gaussian distribution)에 의해 결정되는 가중치(이하 mask)를 사용하여 기존 데이터의 값을 수정하는 것이다. 아래는 가우시안 분포를 나타내는 식이다. The Gaussian filter modifies values of existing data using weigh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sks) determined by a Gaussian distribution. Below is the equation for Gaussian distribution.
[수학식 2][Equation 2]
여기서, μ는 평균(average), σ는 표준편차(standard derivative)이다. Where μ is the average and σ is the standard derivative.
도 10에는 σ=1.5, μ=0일 때의 가우시안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가우시안 분포에서 mask 값들을 추출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0 is a graph illustrating a Gaussian distribution when σ = 1.5 and μ = 0, and FIG. 11 is a graph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mask values from a Gaussian distribution.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applying the Gaussian filter is as follows.
(1) 가우시안 분포에서 x = 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l개(홀수)의 값을 추출한다. 도 11에서 좌측의 (a)에는 도 10의 가우시안 분포를 대상으로 등간격을 1로 하여 5개의 값을 추출한 것을 나타낸다. (1) From the Gaussian distribution, l (odd) values are extracted at equal intervals around x = 0. In FIG. 11, (a) of the left side shows that five values were extracted with
(2) 추출한 값들 각각을 추출한 값들의 합으로 나눈다. 이 과정을 거쳐서 구한 값들의 집합을 mask라고 한다. mask의 성분의 합은 항상 1이 된다. 도 11의 우측의 (b)에 표시된 값들이 mask의 예이다. (2) Divide each extracted value by the sum of the extracted values. The set of value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is called mask. The sum of the components of the mask is always one. The values shown in (b) of the right side of FIG. 11 are examples of masks.
(3) 데이터에 mask를 곱하여 더함으로써 필터링을 완료한다.(3) Filtering is completed by multiplying and adding data to the mask.
i번째 값을 y i 라고 하고, m k 가 mask의 k번째 성분이고, l h = (l-1)/2이면, y i 를 Filtering하여 구한 값 Yi는 다음과 같다. If the i th value is y i , and m k is the k th component of the mask and l h = ( l −1) / 2, the value Yi obtained by filtering y i is as follows.
[수학식 3]&Quot; (3) "
도 12의 (a)와 같은 형태의 데이터를 도 11의 (b)의 mask를 이용하여 가우시안 필터링을 하면, 그 결과는 도 12의 (b)와 같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서 4 번째 값인 y3 = 8.2(index가 0부터 시작)는 다음 식으로부터 계산된다.When Gaussian filtering is performed on the data in the form of FIG. 12A using the mask of FIG. 11B, the result is as shown in FIG. 12B. For example, the fourth value y 3 = 8.2 (index starts from 0) in FIG. 12A i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4]&Quot; (4) "
y 3에는 가장 큰 값인 0.2921을 곱하였고, y 3 주위의 값들에는 y 3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은 값을 곱하여 더하였다. 즉, 현재의 값에 가장 큰 가중치를 주고, 멀어질수록 적은 가중치를 주어 더하는 것이다. y 3, the product had the largest value of 0.2921, the values of y 3 is surrounded by the more distant from the quality y 3 and further multiplied by a small value. That is, the largest weight is given to the current value, and the further weight is added as the distance increases.
도 13에는 도 9의 노이즈가 있는 프로파일에 대하여 l=29로 하고, 표준편차는 달리하면서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한 결과들을 보여주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표준편차 값이 커질수록, 필터링 된 프로파일(filtered profile)은 더 부드러워지지만, 동시에 폭도 넓어지게 되어, 그 값도 전체적으로 줄어들어 원래의 형상과는 달라진다. 따라서 noisy 프로파일의 노이즈는 제거하면서 그 형상의 변화는 적게 하는 적절한 표준편차 값의 선택이 필요하다. FIG. 13 is a graph showing results of applying a Gaussian filter with l = 29 for the noisy profile of FIG. 9 and different standard deviations. The larger the standard deviation value, the softer the filtered profile, but at the same time the width becomes wider, reducing the value as a whole and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hap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ppropriate standard deviation value to remove the noise of the noisy profile while minimizing the shape change.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이 인식된 프로파일로부터 용접 기준점(reference point)을 구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obtaining a welding reference point from the profile recogniz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4에는 맞대기 용접을 수행할 용접 부위의 이상적인 프로파일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기준점은 T바의 맞대기 용접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형상을 나타내는 점이 된다. 이러한 기준점을 구하기 전에 도 14의 이상적인 프로파일의 형상을 분석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 관심을 두는 T바의 맞대기 용접 부위의 프로파일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도 14의 4개의 녹색 점(이하 기준점)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준점들은 보는 바와 같이 직선의 기울기가 급격히 변하는 지점으로, 기준점[0]과 기준점[3]은 기울기가 급격히 증가하는 점이고, 기준점[1]과 기준점 [2]는 기울기가 급격히 감소하는 점이다. 기준점[0]과 기준점[1] 사이의 직선의 기울기는 전체 프로파일에서 최댓값을 갖고, 기준점[2]와 기준점[3] 사이의 직선의 기울기는 최솟값을 갖는다.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n ideal profile of a welded site to perform butt welding. A reference point becomes a point which shows the shape of a profile in the butt welding of T bar. Analyzing the shape of the ideal profile of FIG. 14 before obtaining this reference point, it is noted that four green poi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ference points) of FIG. 14 are needed to define the profile of the butt weld portion of the T-bar of interest in the present invention. Able to know. As shown, the reference point is a point where the slope of the straight line changes drastically, and the reference point [0] and the reference point [3] are points at which the slope is rapidly increased, and the reference point [1] and reference point [2] are points at which the slope is rapidly decreased. The slope of the straight line between the reference point [0] and the reference point [1] has a maximum value in the overall profile, and the slope of the straight line between the reference point [2] and the reference point [3] has a minimum value.
도 15에는 위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필터링 된 프로파일[0]을 대상으로 가(假)기준점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n]은 n번째 프로파일을 의미한다. 도 15의 (a)에서 프로파일의 1계 미분계수가 최대인 점 p와 최소인 점 q를 찾는다. p와 q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나눠서 2계 미분계수의 최대, 최솟값들을 구한다. 좌측에서 2계 미분계수의 최대점이 가기준점[0]이고, 최소점이 가기준점[1]이다. 우측에서 2계 미분계수의 최소점이 가가기준점[2]이고, 최대점이 가기준점[3]이다.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temporary reference point for a filtered profile [0] us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Here, the profile [n] means the nth profile. In FIG. 15 (a), the point p having the maximum first derivative of the profile and the point q having the minimum are found. Based on the center of p and q, divide the left and right sides to find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second derivative. On the left, the maximum point of the second derivative is the temporary reference point [0], and the minimum point is the temporary reference point [1]. On the right, the minimum point of the second derivative is the temporary reference point [2], and the maximum point is the temporary reference point [3].
도 16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필터링 된 프로파일[0]의 가기준점들을 생성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 16의 가기준점들은 도 14의 이상적인 프로파일의 형상에서의 기준점과는 그 배치가 다르다. 도 16의 가기준점[0]과 가기준점[3], 가기준점[1]과 가기준점[2]가 서로 나란하지 않고, 가기준점[3]의 경우에는 실제 프로파일보다 윗부분에 위치하였다. 따라서 현재 구한 가기준점들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FIG. 16 shows the results of generating temporary reference points of the profile [0] filtered in the above manner. However, the provisional reference points of FIG. 16 differ from their reference points in the shape of the ideal profile of FIG. 14. The provisional reference point [0], the provisional reference point [3], the provisional reference point [1] and the provisional reference point [2] of FIG. 16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in the case of the provisional reference point [3], they are located above the actual profi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current reference points.
도 17에는 가기준점들을 수정하여 최종 기준점을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기준점들의 좌표를 수정하여 최종 기준점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우선 가기준점[0]과 가기준점[3]의 평균값 y 0을 구하고 가기준점[1]과 가기준점[2]의 평균값 y 1을 구한다. 그리고 가기준점[0]과 점 p를 지나는 직선0(도 17의 line 0)을 구하고, 가기준점[3]과 가기준점[2]를 지나는 직선1(도 17의 line 1)을 구한다. 다음으로 y = y 0, y = y 1과 직선0, 직선1의 교점을 구하여 새로운 기준점으로 삼는다. 즉, y = y 0과 직선0의 교점이 기준점[0]이고, y = y 1과 직선0의 교점이 기준점[1]이며, y = y 1과 직선1의 교점이 기준점[2]이고, y = y 0과 직선1의 교점이 기준점[3]이다. 최종 기준점들은 도 17에 녹색 점으로 도시되어 있다.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final reference point by modifying provisional reference points. As illustrated in FIG. 17, the following method is used to generate the final reference point by modifying the coordinates of the temporary reference points. First, the average value y 0 of the temporary reference point [0] and the temporary reference point [3] is obtained, and the average value y 1 of the temporary reference point [1] and the temporary reference point [2] is obtained. Then, a straight line 0 (
직선0과 직선1을 구할 때, 가기준점[1]과 가기준점[2]를 사용하지 않고, 점 p와 점 q를 사용한 것은 프로파일의 형상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층 용접한 T바의 프로파일은 가기준점[1]과 가기준점[2] 부근에 불균일한 용접 비드가 쌓여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기준점[1]과 가기준점[2]가 부정확할 값이 될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가기준점[1]과 가기준점[2]를 대신하여 점 p와 점 q를 사용한 것이다. 점 p와 점 q는 각각 1계 미분계수가 최대이고 최소인 점이므로, 개선면에 위치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개선이 시작하고 끝나는 점을 나 타내는 가기준점[0]과 가기준점[3], 그리고 개선에 포함되어 있는 점 p와 점 q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 When the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구한 각 단면 프로파일의 기준점들을 이용하여 원 패스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a welding path for performing one pass welding using the reference points of the respective cross-sectional profiles obtain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위빙 축(θ축)을 결정한다. θ축은 위빙 용접을 할 때, 토치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축이다. 용접 로봇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θ축의 모터를 사용하여 토치를 위빙하게 된다. 여기서는 θ축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한 상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단면 프로파일이 놓인 평면과 동일한 xy평면상에서의 θ축의 x좌표와 y좌표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First, the weaving axis (θ axis) is determined. (theta) axis is an axis which becomes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rch at the time of weaving welding. The welding robot moves in the z- axis direction and uses the motor of the θ-axis to weav the torch. Here, a method of defining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θ-axis on the same xy plane as the plane on which the cross-sectional profile is placed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profile of the θ-axis.
도 18에는 앞서 결정한 기준점들을 토대로 좌우측 용접 기준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프로파일의 형상을 나타내는 기준점[1]과 기준점[2]를 이용하여 용접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용접 기준점 WL과 WR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WC를 계산한다. WL은 좌측 용접 기준점이고, WR은 우측 용접 기준점이며 WC는 WL과 WR을 잇는 선분의 이등분점이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파일에서, WL은 기준점[1]에서 오프셋(offset) 만큼 -y 방향으로 떨어진 직선과 기준점[0]과 기준점[1]을 잇는 직선의 교점이다. WR은 기준점[2]에서 오프셋만큼 -y 방향으로 떨어진 직선(수평선)과 기준점[2]와 기준점[3]을 잇는 직선의 교점이다. 여기서 오프셋은 토치의 와이어(wire)가 프로파일의 기준점[1]과 기준점[2]에서 떨어진 거리이며, 양호한 용접 품질을 위해서는 오프셋은 2mm 정도가 적당하다. 기준점을 기준으로 오프셋을 주었다고 하여 와이어의 끝단이 초층 용접 비드에 반드시 닿지 않는 것은 아니다. 물방울 형태로 초층 용접 비드가 맺힌 경우에는 토치가 용접 비드를 뚫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고, 초층 용접 비드와 닿지 않을 때도 있다. 그러나 불균일한 초층 용접 비드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해본 결과, 이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와 같은 사항은 무시할 수 있다.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left and right welding reference points based on previously determined reference points. Using reference points [1] and reference points [2] representing the shape of the profile, the welding reference points WL and WR representing the reference points of the welding are determined and the WC is calculated therefrom. WL is the left welding reference point, WR is the right welding reference point, and WC is the bisection of the line connecting WL and WR. As shown in Fig. 18, in each profile, WL is an intersection of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point [0] and the reference point [1] and a straight line separated in the -y direction by an offset from the reference point [1]. WR is an intersection of a straight line (horizontal line)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oint [2] in the -y direction by an offset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point [2] and the reference point [3]. Here, the offset is the distance that the wire of the torch is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oint [1] and the reference point [2] of the profile, and an offset of about 2 mm is suitable for good welding quality. The offset relative to the reference poin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end of the wire does not touch the superlayer weld bead. When the first layer weld beads are formed in the form of droplets, the torch may pass through the weld beads, or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layer beads. However, experiments with non-uniform superficial weld beads confirm that this effect does not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도 19에는 용접 토치의 위빙 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러 개의 프로파일들에 대해 각각의 프로파일에 대한 WL과 WR을 구한 뒤, 평균 프로파일에 대한 WL과 WR, 그리고 WC를 구한다. 도 19의 빨간색 기준점들은 전체 프로파일의 기준점들의 평균값이다. 평균 프로파일을 대상으로 WL과 WR을 구하고, 이들의 중심을 WC로 정의한다. θ축은 평균 프로파일을 대상으로 구한 WC에서 WL과 WR을 잇는 직선에 내린 수선 위에 존재한다. θ축은 WC에서 수선을 따라 WC에서 먼 쪽으로 와이어 길이와 토치와 위빙 축 사이의 길이만큼 이동한 곳에 위치한다. 여기서 토치와 위빙 축 사이의 길이는 용접 로봇의 기구부에서 토치의 어느 부분을 잡는 가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다. 이로써 토치의 위빙 축(θ축)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19 is a diagram showing the manner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weaving axis of the welding torch. After WL and WR for each profile for several profiles, WL and WR and WC for the average profile are obtained. The red reference points in FIG. 19 are average values of the reference points of the entire profile. WL and WR are obtained from the mean profile, and their center is defined as WC. The θ axis is on the waterline along the straight line between WL and WR at the WC of the mean profile. The θ axis is located along the waterline at WC, away from WC by the length of the wir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orch and weaving axis. The length between the torch and the weaving axis is a value determined by which part of the torch is held by the mechanism of the welding robot.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weaving axis (θ axis) of the torch can be determined.
토치는 z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프로파일의 WL과 WR 사이에서 위빙하게 된다. 용접 경로를 생성할 때는 위빙 속도 및 z 방향 이동 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위빙을 하면, 토치의 궤적이 원호를 그리게 되므로, xz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위빙 용접 시의 토치의 이동 경로는 직선의 형태가 아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실제로 토치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토치의 끝단이 위치할 타깃 포인트(타깃 포인트)들을 찾는다. 따라서 위와 같은 오차는 무시하고 타깃 포인트들은 일정한 기울기의 직선상에 존재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The torch moves in the z direction and weaves between WL and WR of each profile. When generating the welding path, it is assumed that the weaving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in the z direction are constant. When weaving, the torch's trajectory draws an arc, so when viewed from the xz plane, the torch's movement path during weaving welding is not a straight line. However, here we are not actually moving the torch, but looking for the target point where the tip of the torch is located. Therefore, the above error can be ignored and the target points can be assumed to exist on a straight line with a constant slope.
도 20에는 토치의 끝단이 위치할 타깃 포인트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타깃 포인트는 도 20에서와 같이 필터링 된 프로파일[0]의 좌측 용접 기준점 WL에서부터 시작된다. 필터링 된 프로파일[0]의 WL을 지나는 직선을 z = ax + b라고 한다면, 다음 타깃 포인트는, 필터링 된 프로파일[0]의 WR과 필터링 된 프로파일[1]의 WR을 잇는 직선과 직선 z = ax + b의 교점이다. 그 다음 타깃 포인트는 현재의 타깃 포인트를 지나고, 기울기가 -a인 직선 z = -ax + c와 필터링 된 프로파일[0]과 필터링 된 프로파일[1]의 WL들을 잇는 직선의 교점이다. 즉, 필터링 된 프로파일[0]의 WL을 0번 째 타깃 포인트라고 했을 때, 홀수 번째 타깃 포인트들은 'a의 기울기를 가진 직선'과 '용접 기준점 WR들을 잇는 직선'의 교점이고, 짝수 번째 타깃 포인트는 '-a의 기울기를 가진 직선'과 '용접 기준점 WL들을 잇는 직선'의 교점이다. 토치는 짝수 번째 타깃 포인트들과 홀수 번째 타깃 포인트들을 왕복하면서 위빙 용접을 하게 된다.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arget point at which the end of the torch is to be positioned. The target point starts from the left weld reference point WL of the filtered profile [0] as in FIG. If the straight line through WL of the filtered profile [0] is z = ax + b , the next target point is the straight line between the WR of the filtered profile [0] and the WR of the filtered profile [1] and the straight line z = ax is the intersection of + b . The next target point is the intersection of the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urrent target point and connecting the straight line z = -ax + c with the slope- a and the WLs of the filtered profile [0] and the filtered profile [1]. That is, when the WL of the filtered profile [0] when said 0th target point, the odd-numbered target points, a straight line with a slope of a 'and a cross point of the "connecting straight line of the welding reference point WR', even-numbered target point is - the intersection of "a straight line with a slope of a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point welding WL'. The torch performs weaving welding by reciprocating between even and odd target points.
도 21에는 최종 토치 끝단의 위치를 결정할 때 토치의 위빙 운동을 고려할 필요성을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need to consider the weaving motion of the torch wh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final torch tip.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빙 용접 시 토치는 원호를 그리게 되므로, 토치 끝단의 위치를 어떻게 결정하든지, 토치 끝단과 타깃 포인트들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도 20에서 결정된 타깃 포인트들은 토치 끝단의 위치가 될 수 없다. 토치 끝단의 위치는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치를 회전하여서 토치가 정확히 타깃 포인트를 가리킬 때의 토치의 위치로 정한다. θ축 즉, 토치의 회전축의 위치는 정해져 있으므로, 토치 끝단의 위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위빙 각도 θ와 z축 방향 위치 z로 정한다. As shown in FIG. 21, since the torch draws an arc during weaving welding, there is a gap between the torch tip and the target points no matter how the position of the torch tip is determined. Therefore, the target points determined in FIG. 20 may not be the position of the torch tip. The position of the torch tip is set to the position of the torch when the torch rotates exactly as shown in FIG. 21 and the torch points exactly at the target point. Since the position of the θ axis, that is, the rotation axis of the torch, is determined,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torch is determined by the weaving angle θ and the z axis direction position z around the rotation axis.
타깃 포인트들의 x좌표를 T x , 타깃 포인트들의 y좌표를 T y , 타깃 포인트들의 z좌표를 T z 라 하고, θ축의 x좌표를 W x , θ축의 y좌표를 W y 라고 할 때, 토치의 위빙 각도 θ 및 토치 끝단의 높이 z는 다음과 같다. When the x coordinate of the target points is T x , the y coordinate of the target points is T y , the z coordinate of the target points is T z , and the x coordinate of the θ axis is W x , and the y coordinate of the θ axis is W y . Weaving angle θ and height z of the end of the torch are as follows.
[수학식 5][Equation 5]
[수학식 6]&Quot; (6) "
도 22에는 필터링 된 프로파일[0]부터 필터링 된 프로파일[3]의 토치 끝단의 위치, 즉 위빙 용접 경로 생성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토치는 용접 경로를 따라 지그재그 모양으로 위빙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22 shows the position of the torch tip of the filtered profile [0] through the filtered profile [3], that is, the weaving weld path generation result. The torch performs zigzag weaving along the welding path.
도 23에는 본 발명의 용접 부위 형상 인식 방법 및 용접 경로 생성 방법을 적용한 자동 용접 로봇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도 23에 도시된 자동 용접 로봇을 이용하여 론지 웹 측의 용접 부위를 용접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welding robot to which the welding site shape recognition method and the welding path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and FIG. 24 shows a side of a long web using the automatic welding robot shown in FIG. 23. A drawing showing the operation of welding a welded portion of is shown.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접 로봇(100)은, 본체, 제1 가이드 부재(140), 슬라이딩 블록 및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상기 본체는 기본적으로 용접봉(155)을 구비하는 부재이다. 상기 본체는 도 23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접봉(155)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회전축 둘레로 용접봉(155)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용접 유닛(160), 용접 부위에 대향한 상태에서 용접 부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상기 용접 유닛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용접 유닛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커플링 유닛(170)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4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플링 유닛(170)과 연결되며, 용접 부위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 유닛(150)을 포함하고 있다. The body is basically a member having a
선체 제조에 있어서 용접 부위는 폭이 커서 한 번 용접봉(155)이 지나가면서 용접하는 동작(one pass)만으로 용접 작업이 완료될 수 없다. 즉, 깊이 방향으로도 여러 층으로 용접 비드(bead)를 쌓아야 하고, 한 층의 비드를 쌓을 때에도 23번 이상으로 나누어서 작업하여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용접봉(155)은 용접 부위에 대해 좌우측으로 위빙(weaving)하면서 용접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용접봉(155)은 위빙이 가능하도록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In the hull manufacture, the welding site is large, the welding operation can not be completed by only one pass of the
상기 센서 유닛(150)은, 용접 부위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와, 용접 작업 중에 상기 레이저 센서의 빔 방사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저 센서가 내장된 부분을 겉에서 덮는 커버(159)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대형의 선체 블록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육안으로도 식별 가능할 정도의 큰 형상 오차나 치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부분의 형상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용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용접 부위의 형상을 인식하고 이를 분석하여 용접 경로를 설정하고 용접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 유닛에 레이저 센서를 구비하도록 하여 레이저 센서로 용접 부위를 스캔하면서 용접 부위의 형상을 인식하도록 한다. When connecting large hull blocks to each other, there may be a large shape error or a dimension error that can be visually identified. Even in this case, in order to perform welding without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part automaticall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hape of the welded part and analyze the shape to set the welding path and perform the welding.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is provided with a laser sensor so as to recognize the shape of the welded portion while scanning the welded portion with the laser sensor.
또한, 용접 작업 중에는 불똥이 튈 수 있다. 이에 정밀한 부품인 레이저 센서를 각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어 레이저 센서가 용접 부위를 인식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커버로 레이저 센서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parks may break out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laser sensor, which is a precise part, so that it is desirable to protect the laser sensor with a cover when the laser sensor does not perform the task of recognizing the welded portion.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40)는 용접 부위에 대향한 상태에서 용접 부위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기 본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40)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40),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40)를 따라 움직이는 상기 센서 유닛, 상기 커플링 유닛 및 상기 용접 유닛은 모두 함께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 레일(111, 112)과, 상기 가이드 레일(111, 1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11, 112) 각각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크로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member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111, 112)은 일측에는 슬라이딩 블록(131, 132)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 유닛(121, 122, 123, 124)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111, 112)은 소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부재로써, 두께 방향의 일면에 슬라이딩 블록(131, 132)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반대 면에 슬라이딩 블록(131, 132)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Guide rails (111, 112) constituting the second guide memb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liding blocks (131, 132),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unit (121, 122, 123, 124) Rails may be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슬라이딩 블록(131, 132)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40)와 고정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부재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의 가이드 레일(111, 112)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131, 132)도 각각의 가이드 레일(111, 1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나씩의 슬라이딩 블록(131, 132)이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131, 132)은 두 개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두 개가 일체로 연결되어 움직이며, 모터(134)와 롤러(133) 등의 구성을 사용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11, 1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제1, 제2 가이드 부재를 따라 움직이는 모든 구성들과, 용접 유닛의 전후 방향의 이동도 모터 등을 활용한 공지의 이송 수단에 의해 그 움직임이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liding
상기 슬라이딩 블록(131, 132)이 두 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부는 두 개의 슬라이딩 블록(131, 132)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wo sliding
상기 지지 유닛(121, 122, 123, 124)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상에서 제2 가 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용접 부위에 고정한다. 상기 지지 유닛(121, 122, 123, 124)은, 단부에 자석(121a, 122a, 123a, 124a)을 각각 구비하여 자성체인 금속 재료를 용접할 때 해당 금속 재료에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부재가 고정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자동 용접 로봇(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지지 유닛(121, 122, 123, 124)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111, 112)들에 각각 2개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유닛(121, 122, 123, 124)은 론지의 전면 측의 용접 부위를 용접할 때에는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111, 112)들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로 말단에 배치된 자석을 이용하여 론지 웹에 본 발명의 자동 용접 로봇(100)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wo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자동 용접 로봇(100)은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론지의 전면에서 용접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된 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론지 웹의 용접 부위를 용접하게 된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과 함께 용접 부위가 크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하면서 용접을 수행하게 되고, 용접 부위의 깊이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여 용접 작업을 여러 층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용접봉(155)이 위빙할 수도 있어서, 전체적으로 용접봉(155)의 4자유도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4자유도는 도 24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다. The
본 발명의 자동 용접 로봇의 기구부에는 센서 유닛으로 1차원 레이저 센서(laser sensor)와 4개의 축(x, y, z, θ)에 해당하는 스텝 모터(step motor) 및 이 모터들을 구동하는 드라이버(driver)가 존재한다. 또한, 각각의 축마다 2개의 근접센서가 있어, 좌우(x), 전후(y), 상하(z), 시계-반시계(θ) 방향의 리미트 센서(limit sensor)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밖에 용접을 하기 위해 θ축 밑에 토치(용접봉)가 설치되어 있다. The mechanical part of the automatic weld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motor corresponding to a one-dimensional laser sensor and four axes ( x , y , z , θ) as a sensor unit, and a driver for driving the motors ( driver). In addition, there are two proximity sensors on each axis, and serve as limit sensors in the directions of left and right ( x ), front and rear ( y ), up and down ( z ), an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θ). In addition, a torch (welding rod) is installed under the θ axis for welding.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4자유도 자동 용접 로봇에 앞서 설명한 용접 부위 형상 인식 방법 및 용접 경로 생성 방법을 적용한다. The welding degree shape recognition method and the welding path generation method described above are applied to the four degree of freedom automatic welding robot illustrated in FIGS. 23 and 24.
도 2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접 로봇의 용접 작업의 플로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25 is a flow chart of the weld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weld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접 로봇의 용접 작업은 Stage A 내지 Stage D의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된다. Stage A는 용접 로봇을 설치하는 단계로, 용접 로봇을 T바의 T바 간격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고, 토치를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한다. z축의 2개의 리미트 센서의 스토퍼(stopper)의 위치를 결정한다. 하부 리미트 센서는 z축의 0점 설정을 하는데 사용되고, 상부 리미트 센서는 작업을 어디까지 할 것인지 작업 영역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리미트 센서들을 이용해 각 축을 초기화 한다. Stage B에서는 1차원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n개의 구간의 프로파일을 스캔한다. 스캔하여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준점을 생성하고, 이 기준점들을 이용하여 다음 층을 스캔할 때의 영역을 계산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다가 Stage A에서 설정한 상부 리미트 센서에서 신호가 오면, 용접 로봇은 스캔을 정지한다. Stage B에서 생성한 기준점을 이용하여 Stage C에서는 n번째 프로파일과 n + 1 번째 프로파일 사이의 용접 경로를 생성하고 해당 용접 경로를 추종하도록 4자유도 자동 용접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용접을 수행한다. 마지막 층의 프로파일까지 용접하면, 슬래그를 제거하고, Stage D에서 용접 로봇을 철수한다.As shown in FIG. 25, the weld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weld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stages, Stage A to Stage D. Stage A installs the welding robot, placing the welding robot adjacent to the T-bar spacing of the T-bar, connecting the torch, and supplying power.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opper of the two limit sensors on the z axis. The lower limit sensor is used to set the zero point on the z axis, and the upper limit sensor is used to set the work area to where the work will be done. Initialize each axis with limit sensors. Stage B scans the profiles of n sections using a one-dimensional laser sensor. A reference point is creat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scan, and the reference points are used to calculate the area when scanning the next layer. After repeating the above operation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upper limit sensor set in Stage A, the welding robot stops scanning. Use a base point generated by the Stage B to perform welding while in Stage C generates a welding path between the n-th profile and the (n + 1) th profile and controlling movement of the four degrees of freedom automatic welding robot so as to follow the weld path. Welding to the profile of the last layer removes slag and withdraws the welding robot from Stage D.
Stage A부터 Stage D까지 중에, 본 발명의 용접 부위의 형상 인식 방법과 직접 관련이 있는 부분은 Stage B이고, 본 발명의 용접 경로 생성 방법과 직접 관련된 부분은 Stage B와 Stage C이다. Of stages A to D, por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shape recognition method of the welde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ge B, and por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weld path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ge B and Stage C.
도 26에는 도 25의 Stage B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플로 차트로써 레이저 센서를 사용한 스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 차트가 도시되어 있고, 도 27에는 용접 부위의 스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 2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anning method using a laser sensor as a flowchart illustrating Stage B of FIG. 25 in detail, and FIG. 2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anning method of a welded portion.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용접 부위의 형상 인식 방법에서는, 초기 위치에서 x축을 따라서 0부터 1000까지 스캔을 한다. 여기서 0과 1000은 index로 전체 스캔 구간을 1000개로 나눈 것이다. n번째 층(스캔한 위치를 나타냄, n번째 층을 스캔하여 얻은 결과가 n번째 프로파일임)에서 스캔하고, 스캔하여 얻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필터링한 뒤, 기준점을 생성한다. As shown in FIG. 26, in the shape recognition method of the welde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an is performed from 0 to 1000 along the x axis at an initial position. Where 0 and 1000 are indexes divided by the total scan interval by 1000. Scan at the nth layer (indicating the scanned position, the result of scanning the nth layer is the nth profile), store the data obtained by the scan, filter it, and generate a reference point.
n번째 프로파일인 프로파일[n]의 기준점 생성이 성공하였을 경우, n + 1번째 층을 스캔할 때에는, 프로파일[n]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스캔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스캔 범위를 줄임으로써 계산 속도를 빠르게 하고, 메인 CPU의 부하도 줄이게 하기 위함이다. n + 1번째 층의 스캔 범위를 [SINCE(시작)]과 [UNTIL(끝)]로 표현했을 때, 도 27과 같이 [SINCE]는 프로파일[n]의 기준점[0]보다 일정 간격(ADDGAP) 좌측에 위치하고, [UNTIL]은 프로파일[n]의 기준점 [3]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만약 n번째 프로파일의 기준점 생성이 실패하였다면, n + 1번째 층을 스캔할 때는 n번째 층을 스캔하였을 때의 스캔 범위를 그대로 사용한다. T바의 진직도가 1mm이내로 작으므로, ADDGAP을 충분히 크게 한다면, 항상 스캔 범위 내에 T바의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When the reference point generation of the profile [ n ], which is the nth profile, is successful, the scan range may be determined using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ofile [ n ] when scanning the n + 1th layer. This is intended to speed up computation by reducing the scan range and reduce the load on the main CPU. When the scan range of n + 1st layer is expressed as [SINCE] and [UNTIL], as shown in FIG. 27, [SINCE] is a certain interval (ADDGAP) from the reference point [0] of profile [ n ]. 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UNTIL]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ference point [3] of the profile [ n ]. If the reference point generation of the nth profile fails, the scan range when the nth layer is scanned is used when scanning the n + 1st layer. Since the straightness of the T bar is small within 1 mm, if the ADDGAP is made large enough, there will always be a gap of the T bar within the scan range.
도 28에는 프로파일 데이터의 필터링부터 기준점 생성까지의 용접 경로 생성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CPU는 서브 CPU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저장을 하고,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된다. FIG. 2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welding path from filtering of profile data to generating a reference point. The main CPU receives data from the sub CPU, stores the data, and executes an algorithm.
메인 CPU에서는 데이터의 에러를 제거하고,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한 뒤, 데이터를 미분을 하여 1계 미분계수의 최대, 최소를 구한다. 그런데 앞서 설명했듯이, 전체 스캔 가능한 범위는 0부터 1000까지인데, 실제 스캔 범위를 [SINCE]부터 [UNTIL]까지로 줄였다. 따라서 [SINCE]이전과 [UNTIL]이후의 index에는 거리 값이 들어있지 않고, 다른 임의의 값이 들어가 있다. 이로 인하여 1계 미분계수의 최대, 최소를 구할 때, [SINCE]부터 [UNTIL]까지 고려할 경우, [SINCE] 또는 [UNTIL]에서 최대 또는 최소가 존재한다는 결과를 얻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1계 미분계수의 최대, 최소를 구할 때는 데이터의 양쪽 끝 부분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SINCE + alpha]부터 [UNTIL - alpha]까지 고려하며, 1계 미분계수의 최대, 최소를 구한다.The main CPU eliminates data errors, applies a Gaussian filter, and derivatives the data to find the maximum and minimum of the first derivative. However, as explained earlier, the total scannable range is from 0 to 1000, and the actual scan range is reduced from [SINCE] to [UNTIL]. Therefore, indexes before [SINCE] and after [UNTIL] do not contain distance values, but other arbitrary values. This may result in the maximum or minimum in [SINCE] or [UNTIL], when considering the maximum and minimum of the first derivative. Therefore, to prevent this, when calculating the maximum and minimum of the first derivative, do not include both ends of the data. That is, considering [SINCE + alpha] to [UNTIL-alpha], the maximum and minimum of first derivative are calculated.
1계 미분계수를 구한 뒤, 1계 미분계수들을 한 번 더 미분하여 2계 미분계수를 구한다. 2계 미분계수에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하여서 부드러운 2계 미분계수 곡선을 얻는다. 이를 대상으로 2계 미분계수의 극소, 극대를 구하기 전에, AVR이 정수를 계산할 때보다 소수를 계산할 때 더 많은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이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전체 2계 미분계수의 값을 1000배 한다.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 부분(left part)과 우측 부분(right part)을 나눠서 최대, 최소를 구한다. 그리고 각 부분(part)의 최대, 최소를 임시 기준점으로 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준점을 구한다.After obtaining the first-order derivatives, the first-order derivatives are differentiated once more to find the second-order derivatives. A smooth second derivative curve is obtained by applying a Gaussian filter to the second derivative. In order to reduce the load, the AVR calculates 1000 times the value of the second derivative before reducing the minimum and the maximum of the second derivative. Thereafter, as described above, the left part and the right part are divided into maximum and minimum values. Then, the maximum and minimum of each part is set as a temporary reference point, and the reference point is obtained using the reference point.
지금까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조선소에서 탑재 중인 블록의 사진. 1 is a photograph of a block being mounted at the shipyard.
도 2는 세팅 이후에 이중 선체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기 위한 좁은 접근 통로(access hole)를 보여주는 사진. 2 is a photograph showing a narrow access hole for the operator to enter the double hull after setting.
도 3a는 탑재 작업 중 블록과 블록의 단차를 제거하는 세팅 작업을 하였을 때, 이중 선체 내부의 론지와 론지 간의 맞대기 용접을 수행할 부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Figure 3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of the part to perform the butt welding between the long and the inside of the double hull when the setting work to remove the step of the block and the block during the mounting operation.
도 3b는 론지가 접하는 T자형의 용접 부위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Fig. 3b schematically shows the shape of a T-shaped weld site in contact with the longage;
도 4는 초층 용접이 완료된 후의 T바의 론지 전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of the front side of the T bar after the first floor welding is completed.
도 5는 초층 용접이 완료된 후의 론지 웹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진.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hape of the longage web after the first floor welding is comple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경로 생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Figure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elding path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용접 부위의 프로파일 인식을 위한 스캔 방식과, 한 번의 1차원 스캔을 통해 얻는 용접 부위 단면의 프로파일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an method for profile recognition of a welded portion and a profile of a welded section cross section obtained through one one-dimensional scan.
도 8은 실제 시편에 대해 x축 방향으로 1차원 스캔을 수행한 결과 얻은 프로파일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8 shows an example of a profile obtaine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one-dimensional scan in the x-axis direction on an actual specimen.
도 9는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한 프로파일에서 에러와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9 illustrates a method of removing errors and noise from a profile measured using a laser sensor.
도 10은 표준편파(σ)가 1.5이고, μ=0일 때의 가우시안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10 is a graph showing a Gaussian distribution when the standard polarization σ is 1.5 and μ = 0.
도 11은 가우시안 분포에서 mask 값들을 추출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그래프. 11 is a graph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mask values from a Gaussian distribution.
도 12는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하기 전후의 프로파일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12 shows changes in profile before and after applying a Gaussian filter.
도 13은 도 9의 노이즈가 있는 프로파일(noisy profile)에 대하여 l=29로 하고, 표준편차는 달리하면서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한 결과들을 보여주는 그래프. FIG. 13 is a graph showing results of applying a Gaussian filter with l = 29 for the noisy profile of FIG. 9 and having different standard deviations. FIG.
도 14는 맞대기 용접을 수행할 용접 부위의 이상적인 프로파일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14 shows the shape of an ideal profile of a welded site to perform butt welds.
도 15는 필터링 된 프로파일[0]을 대상으로 가기준점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temporary reference point for a filtered profile [0].
도 16은 필터링 된 프로파일[0]의 가기준점들을 생성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16 shows the results of generating temporary reference points of the filtered profile [0].
도 17은 가기준점들을 수정하여 최종 기준점을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1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a final reference point by modifying temporary reference points.
도 18은 앞서 결정한 기준점들을 토대로 좌우측 용접 기준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18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left and right welding reference points based on previously determined reference points.
도 19는 용접 토치의 위빙 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19 shows a way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weaving axis of a welding torch.
도 20은 토치의 끝단이 위치할 타깃 포인트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20 illustrates a method of determining a target point at which an end of a torch is to be positioned.
도 21은 최종 토치 끝단의 위치를 결정할 때 토치의 위빙 운동을 고려할 필요성을 설명하는 도면. 21 illustrates th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weaving motion of the torch wh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final torch tip.
도 22는 필터링 된 프로파일[0]부터 필터링 된 프로파일[3]의 토치 끝단의 위치, 즉 위빙 용접 경로 생성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Fig. 22 shows the position of the torch tip of the filtered profile [0] through the filtered profile [3], i.e., the result of weaving weld path generation.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접 로봇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weld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자동 용접 로봇을 이용하여 론지 전면 측의 용접 부위를 용접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FIG. 2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welding a welding part on the front side of the longage using the automatic welding robot shown in FIG. 23.
도 25는 자동 용접 로봇의 용접 작업의 플로 차트. 25 is a flowchart of a welding operation of an automatic welding robot.
도 26은 도 25의 Stage B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플로 차트로써 레이저 센서를 사용한 스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 차트. FIG. 26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tage B of FIG. 25, illustrating a scanning method using a laser sensor. FIG.
도 27은 용접봉의 움직임과 함께 용접 부위의 스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2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anning method of a welded portion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도 28은 프로파일 데이터의 필터링부터 기준점 생성까지의 용접 경로 생성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 차트. 2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welding path from filtering of profile data to generating a reference poi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20: 론지 11, 21: 론지 웹10, 20:
12, 22: 론지 전면 30: 수평 방향 용접 부위12, 22: long side front 30: horizontal welding area
40: 상하 방향 용접 부위 100: 자동 용접 로봇40: up and down direction welding part 100: automatic welding robot
111, 112: 가이드 레일 113, 114: 크로스 바111, 112:
121, 122, 123, 124: 지지 유닛 121a, 122a, 123a, 124a: 자석121, 122, 123, 124:
131, 132: 슬라이딩 블록 133: 롤러131, 132: sliding block 133: roller
134: 모터 140: 제1 가이드 부재134: motor 140: first guide member
150: 센서 유닛 155: 용접봉150: sensor unit 155: welding rod
156: 회전축 159: 커버156: axis of rotation 159: cover
160: 용접 유닛 170: 커플링 유닛160: welding unit 170: coupling unit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0568A KR101098894B1 (en) | 2009-09-24 | 2009-09-24 | Method of recognizing shape of welding zone, method of generating welding path adopting the same, and automatic welding robot adopting the same metho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0568A KR101098894B1 (en) | 2009-09-24 | 2009-09-24 | Method of recognizing shape of welding zone, method of generating welding path adopting the same, and automatic welding robot adopting the same metho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2851A true KR20110032851A (en) | 2011-03-30 |
KR101098894B1 KR101098894B1 (en) | 2011-12-26 |
Family
ID=4393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0568A KR101098894B1 (en) | 2009-09-24 | 2009-09-24 | Method of recognizing shape of welding zone, method of generating welding path adopting the same, and automatic welding robot adopting the same metho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889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9076A (en) * | 2018-06-07 | 2019-12-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 welding robot and a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
CN112455841A (en) * | 2020-11-26 | 2021-03-09 |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outer ring belt head of steel coil |
KR20240031464A (en) * | 2022-08-29 | 2024-03-08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ork path according to welding bead intersection dete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5415A (en) | 2022-05-27 | 2023-12-05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welding beads |
-
2009
- 2009-09-24 KR KR1020090090568A patent/KR10109889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9076A (en) * | 2018-06-07 | 2019-12-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 welding robot and a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
CN112455841A (en) * | 2020-11-26 | 2021-03-09 |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outer ring belt head of steel coil |
CN112455841B (en) * | 2020-11-26 | 2024-05-14 |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outer ring belt head of steel coil |
KR20240031464A (en) * | 2022-08-29 | 2024-03-08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ork path according to welding bead intersection dete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8894B1 (en) | 2011-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hang et al. | A new seam-tracking algorithm through characteristic-point detection for a portable welding robot | |
EP386379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weld path generation | |
KR101098894B1 (en) | Method of recognizing shape of welding zone, method of generating welding path adopting the same, and automatic welding robot adopting the same methods | |
EP1486283B1 (en) | Method of controlling the welding of a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by taking a two-dimensional image of the construction and adjusting in real time in the third dimension | |
Huang et al. | Fabrication and engineering technology for lightweight ship structures, part 1: distortions and residual stresses in panel fabrication | |
KR20130055667A (en) | Arc-weld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US9533377B2 (en) | Weld bead shaping apparatus and weld bead shaping method | |
JP5642819B2 (en) |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having taper angle correction function using contact detector and taper angle correction method | |
CN108883487B (en) | Arc copying welding method and arc copying welding device | |
KR20190121334A (en) | Acquisition method of welding pass information and welding robot system | |
KR101724424B1 (en) | The automatic equipment for welding ship's curve block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20090034426A (en) | Automatic welding device and method for joining block | |
WO2018215592A1 (en) |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ed seam welding of a work piece comprising a base plate with a pattern of upstanding profiles | |
US11517992B2 (en) | Assembly apparatus | |
Bandari et al. | Compensation strategies for robotic motion errors for additive manufacturing (AM) | |
JP2010136563A (en) |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pantograph type current collector | |
KR20140099021A (en) | 3d curved welding apparatus with auto changing function for welding conditions as per slope angle | |
JP2022020339A (en) | Machine learning apparatus, lamination molding system, machine learning method for welding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of welding condition, and program | |
KR101111257B1 (en) | Automatic welding robot | |
KR2009003994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iron plates formed round for vessel | |
KR102037783B1 (en) | Surface profile measurement system | |
JP7066630B2 (en) | Bending beam for swivel bending machines | |
JP2008260043A (en) |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tepped portion | |
JP2010115677A (en) | Laser machining device equipped with more than one carriage having machining head | |
JP5952577B2 (en) | Welding control apparatus, welding control method, and welding control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