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383A - 매입형 플러그간편분리콘센트(220v) - Google Patents

매입형 플러그간편분리콘센트(220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383A
KR20110032383A KR1020090089847A KR20090089847A KR20110032383A KR 20110032383 A KR20110032383 A KR 20110032383A KR 1020090089847 A KR1020090089847 A KR 1020090089847A KR 20090089847 A KR20090089847 A KR 20090089847A KR 20110032383 A KR20110032383 A KR 20110032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g
button
pow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나라
Priority to KR102009008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383A/ko
Publication of KR2011003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2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having ejec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를 직접 손으로 빼지 않고 터미널(플러스, 마이너스)단자를 상호 분리시켜 전원을 완전 차단하거나 플러그를 쉽게 빼낼 수 있는 주기능 뿐만 아니라, 콘센트 몸체의 내부구조를 복잡하게 바꾸지 않고도 외형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로 변화시켜 제작이 용이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가 접속되는 부위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공이 평면을 이루는 바닥면에 형성되고, 플러그 접속단자에 있는 플러그접속대는 플러그 삽입시 바닥면으로 하부로 내려가고 이때 생기는 함몰부 양면에 접지단자가 형성된다. 외부에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과 내부에 터미널접지단자와 지렛대가 상호작용하여 외부의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을 한번(1회) 누르면 지렛대가 터미널B단자와 연결된 터미널A단자를 터미널접지단자가 강제적으로 분리시켜 전류의 흐름을 완전 차단되며, 다시 한번(2회) 버튼를 누르면 지렛대가 플러그접속대를 바닥면에서 상부로 올려 플러그가 자동으로 분리되며 이때 터미널B단자와 연결된 터미널A단자는 터미널접지단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분리되어 대기전력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초절전형 에너지 제품 및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센트, 플러그 ,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 플러그접속대, 터미널A단자, 터미널B단자, 터미널접지단자, 지렛대, 힌지공

Description

매입형 플러그간편분리콘센트(220V){One touch wall outlet(220v)}
본 발명은 플러그를 빼지 않고 전원을 완전 차단하거나 플러그를 쉽게 빼낼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콘센트 몸체의 내부구조를 복잡하게 바꾸지 않고도 외형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로 변화시켜 제작이 용이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가 접속되는 부위에 끼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콘센트는 가전제품 사용 후 플러그를 분리하지 않고 꽂은 상태로 방치한다. 이때 실제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플러그를 꽂은 상태이면 대기전력이 발생하여 많은 경제적 손실 및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를 뽑을 때, 단자공 내부에 있는 접속잭에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단단히 고정되기 때문에, 플러그를 쥐거나 플러그에 연결된 전선을 잡아당겨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고 있는데, 잘못되는 경우에는 플러그의 전선 연결부분이 떨어지거나 연결부분이 벗겨지게 되어 안전상 문제를 유발하기도 하였다.
종래의 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함몰부가 안쪽으로 깊게 들어가 있어서 먼지가 끼기 쉽고, 이로 인하여 스파크가 발생할 경우에는 화재로까지 확대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함몰부에 낀 먼지를 제거할 방법도 없었기 때문에 먼지로 인해서 더러워진 상태를 그대로 방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전원을 완전차단하거나 플러그를 쉽게 빼낼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콘센트 몸체의 내부구조를 복잡하게 바꾸지 않고도 외형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로 변화시켜 제작이 용이한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플러그가 꽂혀 있지 않을 때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함몰부와 단자공에 끼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공이 평면을 이루는 바닥면에 형성되고, 플러그 접속단자에 있는 플러그접속대는 플러그 삽입시 바닥면으로 하부로 내려가고 이때 생기는 함몰부 양면에 접지단자가 형성된다. 외부에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과 내부에 터미널접지단자와 지렛대가 상호작용하여 외부의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을 한번(1회) 누르면 지렛대가 터미널접지단자를 누르면서 터미널A단자와 터미널B단자를 분리시켜 전류의 흐름을 완전 차단되며, 다시 한번(2회) 버튼를 누르면 지렛대가 플러그접속대를 바닥면에서 상부로 올려 플러그가 자동으로 빠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부에 플러그통공안전대와 플러그통공안전 고정대가 형성되어 플러그 접속단자에 각종 이물질 및 젓가락같은 물체가 들어가 않도록 되어 있으며, 플러그가 꽂혀 있지 않을 때에는 플러그접속대가 바닥면으로 내려가 있지 않고 상부로 올라와 있어 함몰부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때 버튼 작동 하나로 손쉽게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콘센트는 플러그를 꽂고 사용 후에도 플러그를 꽂은 상태로 방치하여 많은 대기전력 손실 및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대기전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류의 흐름을 완전 분리하여 차단시켜주는 것이 효과적임에 분명한 이유가 있다.
이에 본 발명품은 플러그를 꽂을 때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지 않아도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을 한번(1회) 누르면 플러그에 접속되어 있는 터미널A,B단자를 터미널접지단자가 분리되며 전원의 흐름을 완전 차단하여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지 않아도 대기전력 및 각종 안전사고 예방을 할 수 있는 제품이다.
또한 플러그를 꽂을 때 콘센트 몸체에서 튀어나오게 되는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을 다시 한번(2회) 눌러서 쉽게 플러그를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콘센트를 사용하면서 플러그의 전선 연결부분이 떨어지거나 연결부분이 벗겨지게 되어 누전되는 현상들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를 분리하지 않고 전류의 흐름을 완전 차단하거나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으로 낭비되는 전기를 아낄 수 있으며 분리하지 않아도 터미널 단자가 서로 분리되어 있어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제품이다.
또, 콘센트 몸체의 내부구조를 복잡하게 바꾸지 않고도 외형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플러그가 꽂혀 있지 않을 때에는 플러그통공안전대와 플러그통공안전 고정대가 형성되어 플러그 접속단자에 각종 이물질 및 젓가락 같은 물체가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있으며, 플러그가 꽂혀 있지 않을 때에는 플러그접속대가 바닥면으로 내려가 있지 않고 상부로 올라와 있어 함몰부가 발생되지 않아 별도로 먼지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고, 단자공에 들어간 먼지에 의해서 스파크가 발생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화재 위험 및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센트 몸체의 디자인을 보아서도 미관상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측단면도로서,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있는 상태에서 전원차단 및 플러그가 분리되는 자세한 사항을 기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콘센트 몸체는 몸체상부와 몸체하부 하나(4)로 형성되고, 상기 안쪽으로 들어간 함몰부(7)는 플러그(1) 삽입시 플러그접속대(3)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형성되며, 이때 플러그접속대(3)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이 상단으로 올라오며, 상단으로 올라온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을 밑으로 한번(1회) 누르면 지렛대(6)가 터미널B단자(5c)와 연결된 터미널A단자(5a)를 터미널접지단자(5b)가 누르면서 터미널A단자(5a)와 터미널B단자(5c)가 분리되며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원이 완전 차단되어 대기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시 한번 상단으로 올라온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을 밑으로 다시 한번(2회) 누르면 지렛대(6)가 플러그접속대(3)가 위로 올라오면서 플러그가 자동으로 콘센트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전원이 손쉽게 차단된다.
이와 같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을 한번 누르면 전류가 완전 차단되며, 다시 한번 누르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것을 구성으로 한다.
도 2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플러그(1)를 플러그통공(10)에 삽입 시 플러그접속대(3)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함몰부(7)가 형성되며,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은 위로 올라가 있고, 이때 플러그접속대(3)를 받치고 있는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은 터미널접지단자(5b)가 떠받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1)를 플러그통공(10)에 삽입된 플러그는 터미널A단자(5a) 와 터미널B단자(5c) 접점에 연결되어 있고, 터미널접지단자(5b)는 터미널B단자(5c)에 연결된 터미널A단자(5a)와 연결되어 접지된 상태에서 통전이 가능하며, 이때 터미널접지단자(5b)는 스프링같은 탄성을 지니고 있어 지렛대(6)가 누르지 않은 이상 터미널A단자(5a)와 터미널접지단자(5b)는 서로 접지되어 있다.
도 2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전류가 완전 차단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을 한번(1회) 누르면 전원이 완전 차단되어 실상 통전이 안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을 한번(1회) 누르면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이 터미널접지단자(5b)를 누르면서 밑으로 이동하고 이때 터미널A단자(5a)와 연결된 터미널접지단자(5b)는 터미널A단자(5a)와 분리되면서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원이 완전 차단된다.
이때 터미널접지단자(5b)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지니고 있어 터미널A단자(5a)와 접지하려는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버튼가이드(12) 내부 중간부분에 홈이 난 구멍에 버튼고정대(9)가 형성되어 있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을 한번(1회) 누르면 버튼고정대(9)에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걸려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은 1/4만 하면으로 이동하면서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에 하중을 가해 터미널접지단자(5b)로 그 하중이 전달되어 터미널A단자(5a)를 분리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지렛대(6)를 중심축을 떠받치고 있는 지렛대 힌지공(8)있으며, 지렛대 힌지공(8)은 지렛대(6)가 지렛대 힌지공(8)으로부터 탈선하지 않게 지렛대(6)를 고정시켜 주고 있다.
도 2 (다)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는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을 다시 한번 누르면 지렛대(6)의 왼쪽 부분이 지렛대 힌지공(8)을 중심으로 플러그접속대(3)를 들어올려 자동으로 플러그가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지렛대(6)의 왼쪽 부분이 지렛대 힌지공(8)을 중심으로 플러그접속대(3)를 들어올리고 다른 오른쪽부분은 터미널접지단자(5b)를 누르면서 밑으로 이동하면서 터미널B단자(5c)와 연결된 터미널A단자(5a)를 터미널접지단자(5b)가 강제적으로 분리시켜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원이 완전 차단된다.
이와 같이, 버튼가이드(12) 내부에 형성된 버튼고정대(9)의 1/4 하면으로 이동한 후 고정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은 버튼고정대(9)로부터 탈선하여 하면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에 하중을 가해 터미널접지단자(5b)로 그 하중이 전달되어 터미널B단자(5c)와 연결된 터미널A단자(5a)를 강제적으로 완전 분리되어 전류가 완전 차단되게 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단계 콘센트의 통전가능한 작동상태(도 2. 가), 2단계 콘센트의 전류를 완전 차단되어 통전이 안된 상태(도 2. 나), 3단계 전류가 완전 차단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도2. 다)를 이미지로 보 여주는 것으로서,
1단계 콘센트의 통전가능한 작동상태(도 2. 가)를 보면, 플러그(1)를 플러그통공(10)에 삽입 시 플러그접속대(3)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함몰부(7)가 형성되며,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은 위로 올라가 있고, 이때 플러그접속대(3)를 받치고 있는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은 터미널접지단자(5b)가 떠받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1)을 플러그통공(10)에 삽입된 플러그는 터미널A단자(5a)와 터미널B단자(5c)와 만나 힌지공(11)이 형성되어 있고, 터미널접지단자(5b)는 터미널B단자(5c)에 연결되어있는 터미널A단자(5a)에 접지된 상태에서 통전이 가능하며, 이때 터미널접지단자(5b)는 스프링같은 탄성을 지니고 있어 지렛대(6)가 누르지 않은 이상 터미널A단자(5a)와 항상 접지되어 있다.
또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은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하는 기능 및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스프링 탄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플러그 삽입시 플러그접속대(3)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함몰부(7)가 형성되는데 이때 플러그접속대(3)가 더 이상 밑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한계점을 만들어주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플러그(1)를 플러그통공(10)에 삽입된 플러그는 터미널A단자(5a)와 터미널B단자(5c)와 만나 형성된 힌지공(11)에 연결되어 있고, 터미널접지단자(5b)는 터미널B단자(5c)에 연결되어있는 터미널A단자(5a)에 접지된 상태에서 통전이 가능한 1단계 콘센트의 통전 가능한 작동상태이다.
2단계 콘센트의 전류를 완전 차단되어 통전이 안된 상태(도 2. 나)를 보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을 한번(1회) 누르면 전원이 완전 차단되어 실상 통전이 안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을 한번(1) 누르면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이 터미널접지단자(5b)를 누르면서 밑으로 이동하고 이때 터미널B단자(5c)와 상호 연결된 터미널A단자(5a)를 터미널접지단자(5b)가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면서 전원이 완전 차단되어 전류가 전혀 흐르지 않아 어떠한 대기전력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터미널접지단자(5b)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지니고 있어 지렛대(6)가 누르지 않은 이상 터미널A단자(5a)와 접지하려는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버튼가이드(12) 내부 중간부분에 홈이 난 구멍에 버튼고정대(9)가 형성되어 있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을 한번(1회) 누르면 버튼고정대(9)에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걸려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은 1/4만 하면으로 이동하면서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에 하중을 가해 터미널접지단자(5b)로 그 하중이 전달되어 터미널A단자(5a)를 강제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플러그(1)를 플러그통공(10)에 삽입된 플러그는 터미널A단자(5a)와 터미널B단자(5c)와 만나 형성된 힌지공(11)에 연결된 플러그는 0.2mm 정도 위로 이동하면서 터미널A단자(5a)와 터미널B단자(5c)간 접점 간격이 떨어져 있어 전류가 1차적으로 완전 차단되며, 터미널접지단자(5b)는 터미널B단자(5c)에 연결되어있는 터미널A단자(5a)에 접지된 상태를 분리시켜 2차적으로 전류를 완전 차단시켜 대기 전력 손실을 방지한다.
이때, 1차, 2차로 전력을 완전 차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 및 대기전력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초절전형 콘센트이다.
이때 지렛대(6)를 중심축을 떠받치고 있는 지렛대 힌지공(8)있으며, 지렛대 힌지공(8)은 지렛대(6)가 지렛대 힌지공(8)으로부터 탈선하지 않게 지렛대(6)를 고정시켜 주고 있다.
3단계 콘센트의 전류를 완전 차단되어 통전이 안된 상태(도 2. 다)에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는 상태를 보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을 다시 한번(2회) 누르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완전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을 다시 한번 누르면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이 터미널접지단자(5b)를 더 누르면서 밑 하단부분으로 완전히 이동하고 이때 터미널B단자(5c)와 상호 연결된 터미널A단자(5a)를 터미널접지단자(5b)가 완벽하게 분리시키면서 전원이 완전 차단되어 전류가 전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이 지렛대 힌지공(8)을 중심으로 지렛대(6)의 왼쪽 부분이 플러그접속대(3)를 들어올려 자동으로 플러그가 분리된다.
이때 터미널접지단자(5b)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지니고 있어 지렛대(6)가 누르지 않은 이상 터미널A단자(5a)와 접지하려는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버튼가이드(12) 내부에 형성된 버튼고정대(9)에 1/4 하면으로 이동한채 고정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은 버튼고정대(9)로부터 탈선하여 하면으로 완 전히 이동하여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에 하중을 가해 터미널접지단자(5b)로 그 하중이 전달되어 터미널B단자(5c)와 연결된 터미널A단자(5a)를 강제적으로 완전 분리되어 전류가 완전 차단되게 된다.
이때, 전류가 완전 차단되어 플러그를 꽂지 않은 상태에서도 콘센트 내부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이다.
이와 같이, 지렛대(6)를 중심축을 떠받치고 있는 지렛대 힌지공(8)이 있으며, 지렛대 힌지공(8)은 지렛대(6)가 지렛대 힌지공(8)으로부터 탈선하지 않게 지렛대(6)를 고정시켜 주고 있다.
또한 전원차단스위치는 플러그를 뽑지 않고도 전원스위치를 끄면 전원이 차단되며, 과전압 발생시 전원이 차단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측단면도 및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러그 2: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
3: 플러그접속대 4: 몸체
5a: 터미널A단자 5b: 터미널접지단자
5c: 터미널B단자 6: 지렛대
7: 함몰부 8: 지렛대 힌지공
9: 전원차단스위치 10: 플러그통공
11: 힌지공 12: 버튼가이드

Claims (2)

  1. 본 발명은 콘센트 몸체는 몸체상부와 몸체하부 하나(4)로 형성되고, 상기 안쪽으로 들어간 함몰부(7)는 플러그(1) 삽입시 플러그접속대(3)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형성되며, 이때 플러그접속대(3)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이 상단으로 올라온다.
    이때 플러그(1)를 플러그통공(10)에 삽입된 플러그는 터미널A단자(5a)와 터미널B단자(5c)와 만나 형성된 힌지공(11)에 연결되어 있고, 터미널접지단자(5b)는 터미널B단자(5c)에 연결되어있는 터미널A단자(5a)에 접지된 상태에서 통전이 가능한 1단계 콘센트의 통전 가능한 작동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단으로 올라온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은 버튼가이드(12) 내부 중간부분에 홈이 난 구멍에 버튼고정대(9)가 형성되어 있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을 한번(1회) 누르면 버튼고정대(9)에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걸려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은 1/4만 하면으로 이동하면서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에 하중을 가해 터미널접지단자(5b)로 그 하중이 전달되어 터미널A단자(5a)를 강제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플러그(1)를 플러그통공(10)에 삽입된 플러그는 터미널A단자(5a)와 터미널B단자(5c)와 만나 형성된 힌지공(11)에 연결된 플러그는 0.2mm 정도 위로 이동하면서 터미널A단자(5a)와 터미널B단자(5c)간에 접점 간격이 떨어져 있어 전류가 1차적으로 완전 차단되며, 터미널접지단자(5b)는 터미널B단자(5c)에 연결되어있 는 터미널A단자(5a)에 접지된 상태를 분리시켜 2차적으로 전류를 완전 차단시켜 플러그를 뽑지 않아도 대기전력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초절전형 에너지 제품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본 발명은 콘센트의 전류를 완전 차단되어 통전이 안된 상태에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는 것으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을 다시 한번(2회) 누르면 전원이 완전 차단되어 실상 통전이 안된 상태에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완전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을 다시 한번(2회) 누르면 버튼가이드(12) 내부에 형성된 버튼고정대(9)에 1/4 하면으로 이동한채 고정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은 버튼고정대(9)로부터 탈선하여 하면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지렛대(6)의 오른쪽 부분에 하중을 가해 터미널접지단자(5b)로 그 하중이 전달되어 터미널B단자(5c)와 연결된 터미널A단자(5a)를 강제적으로 완전 분리되어 전류가 완전 차단되어 있다.
    또한, 전류가 전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차단 및 분리버튼(2)이 하나로 형성된 구조물이 지렛대(6)에 하중을 가해 지렛대 힌지공(8)을 중심으로 지렛대(6)의 왼쪽 부분이 플러그접속대(3)를 들어올려 자동으로 플러그가 분리된다.
    이때, 전류가 완전 차단되어 플러그를 꽂지 않은 상태에서도 콘센트 내부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초절전형 콘센트 제품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1020090089847A 2009-09-23 2009-09-23 매입형 플러그간편분리콘센트(220v) KR20110032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47A KR20110032383A (ko) 2009-09-23 2009-09-23 매입형 플러그간편분리콘센트(220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47A KR20110032383A (ko) 2009-09-23 2009-09-23 매입형 플러그간편분리콘센트(220v)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383A true KR20110032383A (ko) 2011-03-30

Family

ID=4393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847A KR20110032383A (ko) 2009-09-23 2009-09-23 매입형 플러그간편분리콘센트(220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23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75B1 (ko) * 2012-05-18 2013-06-28 주식회사 스필 매입식 접지 2구 버튼형 플러그 분리 콘센트
KR200485406Y1 (ko) 2017-06-05 2018-01-04 장지환 종속콘센트를 포함하는 플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75B1 (ko) * 2012-05-18 2013-06-28 주식회사 스필 매입식 접지 2구 버튼형 플러그 분리 콘센트
KR200485406Y1 (ko) 2017-06-05 2018-01-04 장지환 종속콘센트를 포함하는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1563B (zh) 一种防触电插座
KR20110032383A (ko) 매입형 플러그간편분리콘센트(220v)
CN203056297U (zh) 一种智能插座插头组合
KR101179290B1 (ko) 탈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KR101147151B1 (ko) 플러그의 착탈이 용이한 콘센트
CN204088791U (zh) 一种旋转开关插座
WO2021146822A1 (zh) 插座灭弧结构
CN212434520U (zh) 一种可强制断电的漏电保护器
CN202840100U (zh) 防脱落式插头插座
KR20110137226A (ko) 플러그 연결수단과 자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멀티탭
CN206148735U (zh) 宿舍用停电来电自动断电安全插座
CN201490482U (zh) 具有漏电保护功能的电源插头
CN212517736U (zh) 一种防触电自锁紧安全装置及插座
CN209709276U (zh) 一种自动遮挡插电口的拖线板
CN203617501U (zh) 厨房专用触控式大功率供电系统
CN202712626U (zh) 带开关的安全插头
KR200214743Y1 (ko) 플러그 탈거 장치를 가진 콘센트
KR20110096208A (ko) 콘센트
CN201352655Y (zh) 带开关的电源线插头
CN210607024U (zh) 一种具有安全挂锁结构的隔离触头
RU2343608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соединение
CN201503976U (zh) 双状态插头
CN219659097U (zh) 一种带开关的插座
CN106602354A (zh) 一种方便控制的安全插座
KR100734888B1 (ko)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