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797A -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797A
KR20110030797A KR1020090088396A KR20090088396A KR20110030797A KR 20110030797 A KR20110030797 A KR 20110030797A KR 1020090088396 A KR1020090088396 A KR 1020090088396A KR 20090088396 A KR20090088396 A KR 20090088396A KR 20110030797 A KR20110030797 A KR 20110030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file
picture
file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우
유병철
김경진
서승교
임민주
김건오
양재모
박명순
강석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0797A/ko
Publication of KR2011003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98Creation of a soft photo presentation, e.g. digital slide-sh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기기를 통해 녹음을 하면서 주변 사진을 촬영하면 해당 녹음시점을 매개로 사진을 결합하여 녹음파일을 생성하고 녹음파일의 재생 시에 해당 녹음시점에 사진이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생성부가 활성화되어 녹음파일을 생성하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녹음파일 안에 저장한다. 사진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녹음파일 생성부가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진을 캡처하고 녹음시점에 맞게 녹음파일에 결합시킨다. 녹음 재생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재생부가 활성화되어 녹음파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녹음파일에 결합된 사진을 녹음시점에 맞게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휴대기기, 녹음, 사진, 음성 데이터, 녹음시점, 사진폴더

Description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Method for Creating and Playing Sound-Recorded File Linked with Photograph and Portabl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휴대기기를 통해 녹음을 하면서 주변 사진을 촬영하면 해당 녹음시점을 매개로 사진을 결합하여 녹음파일을 생성하고 녹음파일의 재생 시에 해당 녹음시점에 사진이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이 상용화된 지는 이미 오래되었으며, 근래에는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다양한 유형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도 젊은 사용자 층을 중심으로 보편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휴대기기는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음성을 녹음하여 녹음파일을 생성하는 녹음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단순히 음성만 녹음된 녹음파일은 재생 중 사용자가 내용 검색을 원할 경우 빨리 감기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통해서만 검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녹음파일의 전체 내용을 직접 들어보지 않고서는 어떤 내용이 어느 시간대에 녹음되어 있는지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빠르게 찾아서 해당 시간대로 곧바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녹음 기능은 검색이 매우 불편하고 효율적인 검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녹음파일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녹음파일의 검색 효율성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기기를 통해 녹음을 하면서 주변 사진을 촬영하면 해당 녹음시점을 매개로 사진을 결합하여 녹음파일을 생성하고 녹음파일의 재생 시에 해당 녹음시점에 사진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녹음 내용의 재생, 검색, 분류 등의 편리성, 효율성, 활용도 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는 오디오 처리부, 카메라 모듈, 녹음파일 생성부, 녹음파일 재생부,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마이크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녹음재생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는 상기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활성화되어 녹음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녹음파일에 저장하며, 사진촬영 명령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진을 캡처하고, 상기 사진을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시킨다.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는 상기 녹음재생기능이 실행되면 활성화되어 상기 녹음파일의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전송하고,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녹음기능이 실행 중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녹음재생기능이 실행 중에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로부터 상기 사진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상기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는 상기 녹음파일을 생성할 때 녹음파일 ID를 부여하며, 상기 녹음파일에 최초로 결합되는 사진을 캡처할 때 상기 녹음파일 ID에 해당하는 폴더 이름을 가지는 사진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사진을 상기 사진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진은 상기 녹음파일 ID와 상기 녹음시점을 조합한 제목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는 상기 녹음파일을 재생할 때 상기 녹음파일 ID에 해당하는 폴더 이름을 가진 상기 사진폴더를 선택하여 참조하고, 상기 선택된 사진폴더 안의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할당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촬영 명령은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미리 설정된 촬영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녹음진행 또는 녹음재생 정도를 알려주기 위해 상기 녹 음파일에 해당하는 진행막대를 표시하며,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진행막대에 연결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은,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생성부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가 녹음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가 마이크와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녹음파일 안에 저장하는 단계; 사진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가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진을 캡처하는 단계; 및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가 상기 사진을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녹음파일 생성 방법은, 상기 사진 캡처 단계 이후, 상기 사진이 상기 녹음파일의 생성 후 최초 캡처 사진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진이 최초 캡처 사진이면 상기 녹음파일에 해당하는 사진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음파일의 생성 단계에서 상기 녹음파일에는 녹음파일 ID가 부여되고 상기 사진폴더의 생성 단계에서 상기 사진폴더의 폴더 이름은 상기 녹음파일 ID에 대응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되는 상기 사진은 상기 녹음파일 ID와 상기 녹음시점을 조합한 제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진촬영 명령은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촬영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녹음파일 생성 방법은, 상기 녹음파일에 해당하는 진행막대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진행막대에 연결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재생 방법은, 녹음 재생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재생부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가 녹음파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오디오 처리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가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사진을 녹음시점에 맞게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녹음파일 재생 방법에서,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사진을 녹음시점에 맞게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가 상기 녹음파일의 ID에 해당하는 사진폴더를 선택하여 참조하고 상기 사진폴더 내에 저장된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할당하여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상기 녹음파일에 해당하는 진행막대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진행막대에 연결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기기를 통해 녹음을 하면서 주변 사진을 촬영하여 녹음파일에 책갈피처럼 삽입하고 녹음파일의 재생 시에 사진이 녹음시점에 맞게 표시되도록 하므로, 청각적인 정보제공에 머무르던 휴대기기의 녹음기능에 시각적 정보제공이라는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진 태그를 통해 녹음파일에 대한 접근, 검색, 분류 등의 후속작업을 쉽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녹음기능의 활용 폭을 넓혀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곳곳의 녹음시점에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은 마치 동영상 파일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의 화면 구성은 단지 설명을 위한 하나의 예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기기 사용자가 휴대기기(100)를 통해 녹음기능을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 주변의 음성 데이터는 휴대기기의 마이크를 통해 녹음된다. 음성 데이터는 사람의 목소리만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음향을 포함하는 모든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한편,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이 생성되면서 녹음파일 ID가 부여된다.
휴대기기의 표시부(170) 화면에는 하나 이상의 녹음관련 항목들이 표시되는 데, 예를 들어 녹음 중임을 알려주는 문자 또는 기호(11), 녹음 진행 정도를 알려주는 진행막대(12), 녹음 소요시간(13), 녹음관련 제어버튼(14) 등이 표시된다. 녹음 중이 아니라 녹음된 파일을 재생할 때에는 녹음관련 항목들이 재생관련 항목들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11번은 재생 중임을 알려주는 문자 또는 기호로, 12번은 재생 정도를 알려주는 진행막대로, 13번은 전체 녹음시간 및 현재 재생시각으로, 14번은 재생관련 제어버튼으로 각각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녹음 중에 사용자가 휴대기기(100)에 내장된 카메라를 작동시키면, 표시부(170)의 영상표시 영역(15)에는 실시간 영상이 표시된다. 실시간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원할 때 사진을 촬영하고 저장을 선택하면, 녹음파일의 ID에 해당하는 사진폴더가 생성되고, 촬영된 사진은 생성된 사진폴더 안에 저장된다. 이때, 사진 파일의 제목은 녹음파일 ID와 녹음시점(또는 촬영시점)을 조합하여 정해진다. 계속해서 녹음 진행 중에 촬영되는 사진들은 동일한 녹음파일 ID에 녹음시점이 바뀌면서 같은 사진폴더 안에 차례로 저장된다.
녹음이 완료된 후 녹음파일을 재생하면,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녹음파일의 ID를 가지고 해당 사진폴더를 참조하여 폴더내의 사진들을 녹음시점에 맞게 할당하여 표시한다. 표시부(170) 화면상에서는 영상표시 영역(15)에 사진이 표시되고 진행막대(12)에 책갈피(16) 형태로 사진이 연결되어 나타난다. 진행막대(12)에 연결된 사진은 책갈피(16) 유형 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시각적 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숨김 기능이 부여되어 입력수단의 근접이나 선택에 의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통해 녹음을 하는 중에 사진을 촬영해 녹 음파일과 결합시킬 수 있다. 사진은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촬영되어 저장되므로, 하나의 녹음파일에는 여러 개의 사진들이 결합될 수 있다. 녹음파일에 결합되는 사진은 녹음시점에 해당하는 장면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각적인 정보제공에 머무르던 휴대기기의 녹음기능에 시각적 정보제공이라는 다양성을 부여하며, 녹음파일에 대한 접근, 검색, 분류 등의 후속작업을 쉽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녹음기능의 활용 폭을 넓혀준다. 예를 들어 곳곳에 사진이 삽입된 녹음파일은 마치 동영상 파일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기기(100)는 마이크(110), 스피커(120), 오디오 처리부(130), 카메라 모듈(140), 저장부(150), 키입력부(160), 표시부(170),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80)는 녹음파일 생성부(182)와 녹음파일 재생부(184)를 포함하며, 저장부(150)는 녹음파일(152)과 사진폴더(156)를 저장한다. 녹음파일(152)은 음성 데이터(154)를 포함하며, 사진폴더(156)는 하나 이상의 사진(158)을 포함한다.
마이크(110)는 주변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로 보내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110)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오디오 처리부(130)는 녹음기능 이 실행될 때 마이크(11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어부(180)의 녹음파일 생성부(182)로 전달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재생기능이 실행될 때 제어부(180)의 녹음파일 재생부(184)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한다.
카메라 모듈(140)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실시간으로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카메라 모듈(140)은 이미지 센서, 신호 처리부, 영상 처리부 등을 구비한다. 이미지 센서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신호 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는 디지털 신호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7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하기 위한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휴대기기(100)의 기능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기능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저장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저장부(150)는 녹음파일(152)과 사진폴더(156)를 저장한다. 녹음파일(152)은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생성부(182)에 의해 생성되며, 사진폴더(156)는 녹음 중 사진촬영 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생성부(182)에 의해 생성된다. 녹음파일(152)은 음성 데이터(154)를 포함하고, 사진폴더(156)는 하나 이상의 사진(158)을 포함한다. 이들에 대해서는 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키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부(180)로 전달한다. 키입력부(160)는 통상적인 키패드 외에 터치패드, 휠 키 등의 다양한 포인팅 입력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키입력부(160)는 녹음 또는 재생 기능의 실행, 사진촬영, 사진저장, 촬영간격 설정 및 변경 등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휴대기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70)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어 전술한 키입력부(16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표시부(170)는 카메라 모듈(140)을 통해 수신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며, 사진촬영에 의해 실시간 영상 데이터로부터 캡처된 정지영상 데이터, 즉 사진(158)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70)는 녹음기능 실행 중과 재생 중에 녹음/재생관련 항목들을 표시하며, 녹음파일(152)에 결합된 사진(158)을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휴대기기(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80)는 녹음파일 생성부(182)와 녹음파일 재생부(184)를 포함하며, 이들(182, 184)은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고, 녹음기능이 실행될 때와 녹음재생기능이 실행될 때 각각 제어부(18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마이크(110)와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녹음파일(152)을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녹음파일(152)을 생성할 때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녹음파일(152)에 ID를 부여하는데, 예를 들면 'aaa090901_001'과 같은 녹음파일 ID를 부여한다.
또한, 녹음 중 사진촬영에 의한 최초의 정지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사진폴더(156)를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사진폴더(156)는 녹음파일(152)에 부여된 ID에 해당하는 폴더 이름을 가진다. 예를 들어 녹음파일 ID가 'aaa090901_001'이면, 사진폴더는 'aaa090901_001_사진'과 같은 폴더 이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진폴더(156) 안에 저장되는 정지영상 데이터, 즉 사진(158)들은 녹음파일 ID와 녹음시점을 조합한 제목을 가진다. 예를 들어 녹음시작 후 27분 39초에 촬영된 사진은 'aaa090901_001_002739'와 같은 제목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 표 1은 녹음파일, 사진폴더, 사진의 예이다.
녹음파일 사진폴더 사진 녹음시점 촬영시각
aaa090901_001 aaa090901_001_사진 aaa090901_001_000000 00:00:00 15:04:50
aaa090901_001_000133 00:01:33 15:06:23
aaa090901_001_000618 00:06:18 15:11:08
aaa090915_008 aaa090915_008_사진 aaa090915_008_001332 00:13:32 10:57:42
aaa090915_008_001900 00:19:00 11:03:10
표 1에서 제목이 'aaa090901_001_000000'인 사진은 15시 4분 50초에 녹음시작과 함께 촬영된 사진이고, 제목이 'aaa090915_008_001900'인 사진은 녹음시작 후 19분만인 11시 3분 10초에 촬영된 사진이다. 그리고 이 두 사진은 서로 다른 녹음파일인 'aaa090901_001'과 'aaa090915_008'에 각각 결합된 사진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진 제목은 녹음시점 대신에 촬영시각을 녹음파일 ID와 조합하여 정할 수도 있다.
재생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재생부(184)는 녹음파일(152)을 재생하면서 녹음파일의 ID에 해당하는 사진폴더(156)를 참조한다. 예를 들어 표 1의 예에서 녹음파일 'aaa090901_001'을 재생할 때 녹음파일 재생부(184)는 해당 사진폴더인 'aaa090901_001_사진'을 참조한다.
그리고 녹음파일 재생부(184)는 녹음시점에 맞게 사진폴더(156) 내의 사진(158)들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표 1의 예에서 사진 'aaa090901_001_000000'은 녹음시작 시점에 할당되고, 사진 'aaa090901_001_000133'은 녹음시작 후 1분 33초가 되는 시점에 할당된다.
그리고 각각의 사진(158)은 해당 녹음시점이 재생될 때 휴대기기 표시부 화면의 영상표시 영역(도 1의 15)에 표시되므로 녹음 순간의 장면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게 된다. 또한, 모든 사진은 표시부 화면상에 나타난 진행막대(도 1의 12)에 책갈피(도 1의 16) 형태로 연결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녹음파일을 재생하면서 어떤 내용이 어느 시간대에 녹음되었는지 알고자 할 때, 사진을 보면서 원하는 부분을 빠르게 찾아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휴대기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료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선택에 의해 휴대기기(100)의 녹음기능이 실행된다(S11 단계). 즉, 사용자가 키입력부(160)를 통해 녹음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키입력부(16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녹음파일 생성부(182)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ID를 부여하면서 녹음파일(152)을 생성한다(S12 단계). 녹음파일(152)의 ID 부여 방식은 특정 규칙에 제한되지 않으며 매우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 또한, 녹음파일(152)의 ID는 녹음파일의 파일명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생성된 녹음파일(152)은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이어서,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마이크(110)와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해 음성 데이터(154)를 수신하고 이를 녹음파일(152) 안에 저장한다(S13 단계). 또한, 이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녹음진행 상황 등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표시부(170)를 통해 녹음관련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녹음 중임을 알려주는 문자 또는 기호(11), 녹음 진행 정도를 알려주는 진행막대(12), 녹음 소요시간(13), 녹음관련 제어버튼(14)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생성된 녹음파일(152)과 녹음 중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154)를 버퍼에 임시 저장하고, 녹음이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 저장 여부를 확인한 뒤에 녹음파일(152)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녹음기능이 실행되는 중에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모듈(140)을 구동한다(S14 단계). 카메라 모듈(140)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실시간으로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70)에 표시한다(S15 단계).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70)에 표시하면서 제어부(180)는 사진촬영 여부를 확인한다(S16 단계). 즉, 제어부(180)는 키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진촬영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사진촬영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캡처한다(S17 단계). 즉, 키입력부(160)로부터 사진촬영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정지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녹음파일 생성부(182)에 제공한다.
이어서,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정지영상 데이터가 녹음파일(152) 생성 후 최초 캡처된 사진인지 확인한다(S18 단계). 만일 최초 캡처 사진이면,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녹음파일(152)에 해당하는 사진폴더(156)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19 단계). 이때, 사진폴더(156)의 폴더 이름은 녹음파일(152)에 부여된 ID와 대응하도록 정해진다.
이어서,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캡처 사진(158)을 사진폴더(156) 안에 저장한다(S20 단계). 이때, 사진(158)의 제목은 녹음파일 ID와 녹음시점을 조합한 제목을 가진다. 사진폴더(156)의 폴더 이름이 이미 녹음파일 ID와 대응하므로, 사진(158)의 제목은 사진폴더와 녹음시점을 조합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또는 녹음시점 대신 촬영시점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진(158)이 녹음파일(152)에 결합되었음을 표시부(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녹음 진행 정도를 알려주는 진행막대(12)에 사진 책갈피(16)를 결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진행막대(12)는 녹음파일(152)에 해당하며 사진 책갈피(16)의 연결 위치는 녹음시점 또는 촬영시점이 된다. 한편, 녹음이 완료되기 전에는 전체 녹음파일(152)의 크기가 확정되기 전이므로 진행막대(12)의 길이가 고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녹음이 진행되면서 진행막대(12)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변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진 책갈피(16)의 위치는 진행막대(12)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비례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는 사용자의 사진촬영 명령이 있으면 바로 정지영상 데이터를 캡처하고 이를 사진폴더 안에 저장하는 경우이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캡처한 후 사용자의 저장명령이 있어야 비로소 사진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사진촬영 명령이 있을 때(즉, 키입력부로부터 사진촬영 명령이 수신될 때) 사진이 저장되는 방식이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지는 도 4를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선택에 의해 휴대기기(100)의 자동촬영 녹음기능이 실행된다(S21 단계). 자동촬영 녹음기능이란 녹음 중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진이 촬영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촬영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녹음 중에 사진이 자동 촬영되고 저장되는 것을 말한다. 자동촬영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녹음파일 생성부(182)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카메라 모듈(140)을 구동한다(S22 단계).
이어서,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녹음파일(152)과 사진폴더(156)를 생성한다(S23 단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녹음파일(152)은 소정의 규칙에 따라 ID가 부여되고, 사진폴더(156)는 녹음파일 ID에 대응하도록 폴더 이름이 정해진다.
이어서,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마이크(110)와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녹음파일(152)에 저장한다(S24 단계). 도 4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 모듈(140)은 실시간 영상을 표시부(170)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어부(180)는 설정된 촬영시각이 되었는지 확인한다(S25 단계). 예를 들어, 촬영간격을 3분으로 설정하였다면, 제어부(180)는 녹음시작 후 3분, 6분, 9분 등이 경과하여 촬영시각이 되었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촬영간격에 의해 사진촬영 명령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촬영간격은 사용자가 설정,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된 시각이 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캡처한다(S26 단계).
이어서, 제어부(180)는 캡처한 정지영상 데이터를 녹음파일 생성부(182)에 제공하고, 녹음파일 생성부(182)는 촬영된 사진(158)을 사진폴더(156) 안에 저장한다(S27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사진(158)의 제목은 녹음파일 ID와 녹음시점을 조합한 제목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의 실시예와 도 4의 실시예를 혼합한 형태로 녹음파일 생성 방법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녹음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선택에 의해 휴대기기(100)의 재생기능이 실행된다(S31 단계). 즉, 사용자가 키입력부(160)를 통해 녹음 재생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키입력부(16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녹음파일 재생부(184)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녹음파일 재생부(184)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녹음파일(152)을 재생하기 시작한다(S32 단계). 즉, 녹음파일 재생부(184)가 녹음파일(152)로부터 음성 데이터(154)를 추출하여 오디오 처리부(130)와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재생진행 상황 등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표시부(170)를 통해 재생관련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녹음파일 재생부(184)는 녹음파일(152)의 ID에 해당하는 사진폴더(156)를 선택하고 이를 참조한다(S33 단계). 아울러, 녹음파일 재생부(184)는 선택한 사진폴더(156) 내의 사진(158)들을 추출하여 녹음시점에 맞게 할당하고 표시부(170)에 표시한다(S34 단계). 이때 사진(158)은 녹음파일(152)의 해당 녹음시점이 재생될 때 휴대기기 표시부 화면의 영상표시 영역(도 1의 15)에 표시되는 한편, 진행막대(도 1의 12)에 책갈피(도 1의 16) 형태로 연결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녹음파일(152)의 음성 데이터(154)를 들으면서 녹음이 이루어진 순간의 장면들을 사진(158)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어떤 내용이 어느 시간대에 녹음되었는지 알고자 할 때에도 사진(158)을 검색하여 원하는 부분을 빠르게 찾아갈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는 녹음기능과 카메라 촬영 기능을 겸비한 각종 휴대기기, 이동통신단말, 무선단말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휴대기기 110: 마이크
120: 스피커 130: 오디오 처리부
140: 카메라부 150: 저장부
152: 녹음파일 154: 음성 데이터
156: 사진폴더 158: 사진
160: 키입력부 170: 표시부
180: 제어부 182: 녹음파일 생성부
184: 녹음파일 재생부

Claims (17)

  1.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마이크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녹음재생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활성화되어 녹음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녹음파일에 저장하며, 사진촬영 명령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진을 캡처하고, 상기 사진을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시키는 녹음파일 생성부;
    상기 녹음재생기능이 실행되면 활성화되어 상기 녹음파일의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전송하고,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출력하는 녹음파일 재생부; 및
    상기 녹음기능이 실행 중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녹음재생기능이 실행 중에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로부터 상기 사진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는 상기 녹음파일을 생성할 때 녹음파일 ID를 부여하며, 상기 녹음파일에 최초로 결합되는 사진을 캡처할 때 상기 녹음파일 ID에 해당 하는 폴더 이름을 가지는 사진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사진을 상기 사진폴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진은 상기 녹음파일 ID와 상기 녹음시점을 조합한 제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는 상기 녹음파일을 재생할 때 상기 녹음파일 ID에 해당하는 폴더 이름을 가진 상기 사진폴더를 선택하여 참조하고, 상기 선택된 사진폴더 안의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할당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 명령은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 명령은 미리 설정된 촬영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녹음진행 또는 녹음재생 정도를 알려주기 위해 상기 녹음파일에 해당하는 진행막대를 표시하며,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진행막대에 연결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8. 녹음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생성부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가 녹음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가 마이크와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녹음파일 안에 저장하는 단계;
    사진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가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진을 캡처하는 단계; 및
    상기 녹음파일 생성부가 상기 사진을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진 캡처 단계 이후, 상기 사진이 상기 녹음파일의 생성 후 최초 캡처 사진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진이 최초 캡처 사진이면 상기 녹음파일에 해당하는 사진폴더를 생성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녹음파일의 생성 단계에서 상기 녹음파일에는 녹음파일 ID가 부여되고 상기 사진폴더의 생성 단계에서 상기 사진폴더의 폴더 이름은 상기 녹음파일 ID에 대응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되는 상기 사진은 상기 녹음파일 ID와 상기 녹음시점을 조합한 제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 명령은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 명령은 미리 설정된 촬영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녹음파일에 해당하는 진행막대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진행막대에 연결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생성 방법.
  15. 녹음 재생기능이 실행되면 녹음파일 재생부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가 녹음파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오디오 처리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가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사진을 녹음시점에 맞게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재생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사진을 녹음시점에 맞게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녹음파일 재생부가 상기 녹음파일의 ID에 해당하는 사진폴더를 선택하여 참조하고 상기 사진폴더 내에 저장된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할당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재생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녹음파일에 해당하는 진행막대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녹음파일에 결합된 상기 사진을 상기 녹음시점에 맞게 상기 진행막대에 연결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한 녹음파일 재생 방법.
KR1020090088396A 2009-09-18 2009-09-18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 KR20110030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96A KR20110030797A (ko) 2009-09-18 2009-09-18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96A KR20110030797A (ko) 2009-09-18 2009-09-18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797A true KR20110030797A (ko) 2011-03-24

Family

ID=4393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396A KR20110030797A (ko) 2009-09-18 2009-09-18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07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5914A (zh) * 2013-01-15 2013-05-15 陕西理工学院 具有防盗报警功能的笔记本散热架
KR20140058968A (ko) * 2012-11-07 2014-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80098175A (ko) * 2017-02-24 2018-09-03 토드핀(주) 멀티 콘텐츠 노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968A (ko) * 2012-11-07 2014-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3105914A (zh) * 2013-01-15 2013-05-15 陕西理工学院 具有防盗报警功能的笔记本散热架
CN103105914B (zh) * 2013-01-15 2016-08-03 陕西理工学院 具有防盗报警功能的笔记本散热架
KR20180098175A (ko) * 2017-02-24 2018-09-03 토드핀(주) 멀티 콘텐츠 노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8201B2 (ja) ビデオ撮影方法、装置、端末機器及び記憶媒体
KR100765764B1 (ko)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재생 장치 및 그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3615195B2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KR102078136B1 (ko) 오디오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028801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6119600A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KR2012006807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연결 방법
CN106412645A (zh) 向多媒体服务器上传视频文件的方法和装置
KR10143449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관리 방법
JPWO2011158487A1 (ja) 操作支援装置及び操作支援方法
US1097281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20040816A (ko) 파일 통합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23971B1 (ko)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10030797A (ko) 사진이 결합된 녹음파일의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
JP2016063477A (ja) 会議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30746B1 (ko) 음악데이터와 동시 출력을 위한 동기화된 영상데이터 생성방법과 그 동기화 출력을 위한 재생 방법
WO2020038290A1 (zh) 一种书签展示的方法及装置
JP2009232114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画像再生プログラム
JP5424300B2 (ja) 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023317A (ja) 画像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7148788B2 (ja) 情報処理装置、動画合成方法及び動画合成プログラム
CN113473224A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5191892A (ja) 情報取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マルチメディア情報作成システム
JP2004343392A (ja) 議事録機能付き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議事録生成処理方法
JP20132149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