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587A -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 - Google Patents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587A
KR20110029587A KR1020090087333A KR20090087333A KR20110029587A KR 20110029587 A KR20110029587 A KR 20110029587A KR 1020090087333 A KR1020090087333 A KR 1020090087333A KR 20090087333 A KR20090087333 A KR 20090087333A KR 20110029587 A KR20110029587 A KR 20110029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in
charging
gender
t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진
최성욱
윤동원
Original Assignee
(주)트루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루모바일 filed Critical (주)트루모바일
Priority to KR1020090087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587A/ko
Publication of KR20110029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TA(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gender)가 개시된다. 상기 젠더는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와 상기 TTA 충전기 커넥터의 배터리 아이디 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TTA 충전기가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하게 하는 아이디 저항 제공부 및 상기 TTA 충전기 커넥터의 충전 핀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용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의 충전 핀으로 공급하는 승압부를 포함한다.
TTA 충전기, 젠더, 충전, 아이팟(ipod)

Description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gender for charging external terminal using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adapter}
본 발명은 TTA 충전기를 이용한 외부 단말기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TA 충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의 충전 전압을 제공하는 젠더에 관한 것이다.
PDA, PMP, PSP,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들로 어떻게 전원을 공급할 것이냐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들은 고유의 어댑터(adapter)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어댑터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들 각각은 고유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필요한 전압으로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며, 소비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 각각의 고유 충전기를 휴대용 전자 장치와는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소비자들이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매할 때마다 그 휴대 장치용 충전기를 별도로 구매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현재 소비자들에게 널리 보급된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TTA(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는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와 상기 TTA 충전기 커넥터의 배터리 아이디(ID: IDentification) 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TTA 충전기가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하게 하는 아이디 저항 제공부; 및 상기 TTA 충전기 커넥터의 충전 핀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용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의 충전 핀으로 공급하는 승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디 저항 제공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의 접지 전압 핀과 상기 TTA 충전기의 배터리 아이디 핀 사이에 접속되는 아이디 저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지 전압 핀이 상기 젠더 내부의 접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TTA 충전기가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하게 하여 상기 TTA 충전기가 상기 충전 핀을 통하여 상기 충전용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아이디 핀이 상기 젠더 외부의 접지에 연결됨으로써, 상 기 TTA 충전기가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하게 하여 상기 TTA 충전기가 상기 충전 핀을 통하여 상기 충전용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젠더 외부의 접지는 상기 젠더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기 내부의 접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디 저항 제공부는 상기 TTA 충전기의 아이디 저항값인 1.5 킬로 옴(kΩ), 4.7 킬로 옴(kΩ), 27 킬로 옴(kΩ)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항값을 상기 TTA 충전기가 인식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압부는 상기 TTA 충전기 커넥터의 충전 핀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용 전압 4.2V를 5.0V로 승압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의 충전 핀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젠더는 상기 TTA 충전기의 전원 공급 핀에 접속되어 상기 TTA 충전기가 모사 배터리 전압을 인식하도록 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핀과 상기 전원 전압 핀은 회로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TTA 충전기가 상기 젠더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젠더가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경우에도 충전된 전압을 상기 승압부로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TTA 충전기가 상기 젠더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젠더가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충전된 전압을 상기 승압부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TTA 충전기는 상기 모사 배터리 전압의 레벨이 방전 배터리 전압보다 낮거나 과충전 배터리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충전 핀을 통한 충전용 전압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는 소비자들에게 널리 보급된 TTA 단말기를 이용하여 휴대폰 이외의 외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gender, 100)와 TTA(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10) 충전기 및 외부 단말기(20)의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TTA 충전기라 함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에서 800MHz 또는 1.8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 및 기타 외부 자치와의 연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도 1에서는 TTA 충전기(10)의 전선 부분과 커넥터 부분만 도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 단말기라 함은 휴대폰 이외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의미하며, 외부 단말기에는 PMP, PSP, PDA,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젠더(100)는 TTA 충전기(1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20)의 배터리 충전 전압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100)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TTA 충전기(10) 및 외부 단말기(20) 각각의 커넥터(10', 20') 부분만이 도시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단말기(20)는 충전 전압이 5V인 아이팟(IPOD) 제품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단말기(20)에는 젠더(100)가 TTA 충전기(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전압을 충전용 전압으로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젠더(100)는 아이디(ID: IDentification) 저항 제공부(110), 승압부(120), 및 배터리(130)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디 저항 제공부(110)는 외부 단말기 커넥터(20')와 TTA 충전기 커넥터(10')의 배터리 아이디(ID: IDentification) 핀(#1)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TTA 충전기가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 하게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아이디 저항 제공부(110)는 TTA 충전기(10)의 아이디 저항값인 1.5 킬로 옴(kΩ), 4.7 킬로 옴(kΩ), 27 킬로 옴(kΩ)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항값을 상기 TTA 충전기(10)가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TTA 충전기(10)는 상기 배터리 아이디 핀(#1)을 통하여 상기 저항 값을 인식하고, 그에 기초하여 휴대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압을 제공한다.
즉, 상기 아이디 저항 제공부(110)가 상기 아이디 저항값을 제공하면, 상기 TTA 충전기(10)는 상기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하고, 인식한 저항값에 따라 해당하는 전류를 출력한다.
그에 따라, 상기 TTA 충전기(10)는 배터리 충전 전압인 4.2V 전압을 상기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을 통하여 승압부(120) 및 배터리(130)에 제공한다.
상기 아이디 저항 제공부(110)는 외부 단말기 커넥터(20')의 접지 전압 핀(#15)와 상기 TTA 충전기의 배터리 아이디 핀(#1) 사이에 접속되는 아이디 저항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아이디 저항의 저항값은 1.5 킬로 옴(kΩ), 4.7 킬로 옴(kΩ), 27 킬로 옴(kΩ)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TTA 충전기(10)는 상기 배터리 아이디 핀(#1)이 상기 아이디 저항에 의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20')의 접지 전압 핀(아이팟 제품의 경우 15번 핀(#15))에 연결되고 상기 접지 전압 핀이 접지가 되는 경우, 상기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을 통하여 충전용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접지 전압 핀이 상기 젠더(100) 내부의 접지에 연결됨 으로써, 상기 TTA 충전기(10)가 상기 아이디 핀(#1)을 인식하여 상기 승압부(120)에 상기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을 통해 충전용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 전압 핀(#15)이 상기 젠더(100) 외부의 접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TTA 충전기(10)가 상기 아이디 핀(#1)을 인식하여 상기 승압부(120)에 상기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을 통해 충전용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젠더(100) 외부의 접지는 상기 외부 단말기(20) 내부의 접지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접지 전압 핀(#15)이 상기 외부 단말기(20) 내부의 접지에 연결되어 젠더(100)의 내부 접지와 공통 접지가 되는 경우에 상기 TTA 충전기(10)가 상기 아이디 핀(#1)을 인식하여 상기 승압부(120)에 상기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을 통해 충전용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승압부(120)는 TTA 충전기 커넥터(10')의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용 전압(즉, 4.2V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20)의 충전 핀으로 공급할 수 있다.
아이팟 제품을 예로 들면, 상기 승압부(120)가 4.2V 전압을 5.0V 전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하면, 아이팟 커넥터(20')는 충전 핀인 23번 핀(#23)을 통하여 5.0V 전압을 제공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30)는 TTA 충전기 커넥터(10')의 전원 공급 핀(#22)에 접속되어 상기 TTA 충전기(10)가 모사 배터리 전압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30)에 의하여 인식되는 전압을 모사 배터리 전압이라고 하는 이유는 배터 리(130) 전압이 TTA 충전기(10)에게는 마치 휴대폰 배터리의 전압과 같이 인식되기 때문이다.
상기 전원 공급 핀(#22)은 외부로부터 전압을 제공받기 위한 핀이며, 상기 TTA 충전기(10)는 상기 전원 공급 핀(#22)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30)에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130)는 상기 젠더(100)와 상기 TTA 충전기(10)가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TTA 충전기(10)에게 배터리 전압을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 젠더(100)와 상기 TTA 충전기(10)가 분리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충전 핀(#21)과 상기 전원 공급핀(#22)은 내부적으로 분리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130)는 더 이상 전원 공급을 하지 않고, 부하에 의한 방전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배터리(130)가 상기 TTA 충전기(10)가 상기 젠더(1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젠더(100)가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20)에 접속되는 경우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승압부(12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배터리(130)가 외부 단말기(20)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TTA 충전기(10)는 상기 모사 배터리 전압의 레벨이 방전 배터리 전압보다 낮거나 과충전 배터리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을 통한 충전용 전압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모사 배터리 전압이 상기 방전 배터리 전압과 상기 과충전 배터리 전압 사이의 전압인 경우에는 상기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을 통하여 상기 충전용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방전 배터리 전압이라 함은 상기 TTA 충전기(10)가 휴대폰 배터리가 방전되었다고 판단하는 전압이며, 상기 과충전 배터리 전압이라 함은 상기 TTA 충전기(10)가 휴대폰이 과충전되었다고 판단하는 전압을 의미한다.
이하, 상기 TTA 충전기(10)의 외부 단말기(20) 및 배터리(130) 충전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TTA 충전기(10)는 상기 모사 배터리 전압의 레벨이 과충전 배터리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을 통하여 상기 충전용 전압을 상기 승압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모사 배터리 전압의 레벨이 과충전 전압보다 낮은 경우는 상기 외부 단말기(20) 충전이 필요하여 상기 배터리(130)가 충전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외부 단말기(20)의 충전 완료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상기 외부 단말기(20)로 공급되는 전류는 점점 감소한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130)는 외부 단말기(20)로 공급되는 전류의 감소에 기초하여 충전되기 시작하여 목표 충전 전압까지 충전된다.
상기 모사 배터리 전압이 과충전 배터리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TTA 충전기(10)는 상기 충전용 전압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모사 배터리 전압이 과충전 배터리 전압보다 높은 경우는 상기 외부 단말기(20) 충전이 완료되었으며, 상기 배터리(130)가 과충전되어 상기 TTA 충전기(10)로부터 충전용 전압이 출력될 필요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모사 배터리 전압이 방전 배터리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상기 TTA 충 전기(10)는 상기 충전 핀(#21) 및 전원 공급 핀(#22)을 통한 충전용 전압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젠더(100)는 외부 단말기(20)와 TTA 충전기(10)와의 접속 여부 및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젠더(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100)를 이용한 외부 단말기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그 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TTA 충전기(10)는 젠더(100)로부터 제공되는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아이디 저항값이 인식되면, 상기 TTA 충전기(10)는 배터리(130)로부터 모사 배터리 전압을 인식하며(S41), 인식된 모사 배터리 전압에 기초하여 외부 단말기(20)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2).
배터리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이 되면, TTA 충전기(1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하고, 이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20)를 충전한다(S43 및 S44).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TTA 충전기(10)는 모사 배터리 전압이 방전 배터리 전압과 과충전 배터리 전압 사이의 값인 경우에만 외부 단말기(20) 배터리 충전을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130)로부터 인식되는 모사 배터리 전압에 기초하여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S42 및 S43)은 TTA 충전기(10)에 따라서 선택적인 과정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100 또는 100')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5V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아이팟 제품들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100 또는 100')를 이용할 수 있는 아이팟 제품들에는 현재 출시된 아이팟 나노(iPod nano), 아이팟 터치(iPod touch), 아이팟 클래식(iPod classic), 아이팟 포토(iPod photo), 아이팟 비디오(iPod video), 아이팟 미니(iPod mini), 아이팟 셔플(iPod Shuffle) 및 아이폰(iPhone) 등이 포함됨을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가 이용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일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와 TTA 단말기 및 외부 단말기의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외부 단말기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5V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아이팟 제품을 나타낸다.

Claims (10)

  1. TTA(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와 상기 TTA 충전기 커넥터의 배터리 아이디(ID: IDentification) 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TTA 충전기가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하게 하는 아이디 저항 제공부; 및
    상기 TTA 충전기 커넥터의 충전 핀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용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의 충전 핀으로 공급하는 승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gend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저항 제공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의 접지 전압 핀과 상기 TTA 충전기의 배터리 아이디 핀 사이에 접속되는 아이디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 전압 핀이 상기 젠더 내부의 접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TTA 충전기가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하게 하여 상기 TTA 충전기가 상기 충전 핀을 통하여 상기 충전용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저항 제공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의 접지 전압 핀과 상기 TTA 충전기의 배터리 아이디 핀 사이에 접속되는 아이디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아이디 핀이 상기 젠더 외부의 접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TTA 충전기가 아이디 저항값을 인식하게 하여 상기 TTA 충전기가 상기 충전 핀을 통하여 상기 충전용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 외부의 접지는 상기 젠더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기 내부의 접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저항 제공부는 상기 TTA 충전기의 아이디 저항값인 1.5 킬로 옴(kΩ), 4.7 킬로 옴(kΩ), 27 킬로 옴(kΩ)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항값을 상기 TTA 충전기가 인식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는 상기 TTA 충전기 커넥터의 충전 핀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용 전압 4.2V를 5.0V로 승압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의 충전 핀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는 상기 TTA 충전기의 전원 공급 핀에 접속되어 상기 TTA 충전기가 모사 배터리 전압을 인식하도록 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핀과 상기 전원 전압 핀은 회로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TTA 충전기가 상기 젠더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젠더가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경우에도 충전된 전압을 상기 승압부로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TTA 충전기가 상기 젠더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젠더가 상기 외부 단말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충전된 전압을 상기 승압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KR1020090087333A 2009-09-16 2009-09-16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 KR20110029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33A KR20110029587A (ko) 2009-09-16 2009-09-16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33A KR20110029587A (ko) 2009-09-16 2009-09-16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587A true KR20110029587A (ko) 2011-03-23

Family

ID=4393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333A KR20110029587A (ko) 2009-09-16 2009-09-16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9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37Y1 (ko) * 2012-11-09 2014-04-10 최규택 이동 단말기 충전을 위한 범용 젠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37Y1 (ko) * 2012-11-09 2014-04-10 최규택 이동 단말기 충전을 위한 범용 젠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8136B (zh) 用於提供電力之設備、電子裝置及非暫態電腦可讀取媒體
TWI609543B (zh) 集線器
TWI583090B (zh) 具有複合式電源之集線器
US9997939B2 (en) Hub
US105740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US8450979B2 (en) Power adapter with internal battery
US9490652B2 (en) Wireless charger equipped with auxiliary power supply and auxiliary power device
TWI559122B (zh) 通用電力介面
CN105518967B (zh) 改变电流限制的装置和方法
US20100060233A1 (en) Charger with USB detection
CN108123520A (zh) 高电压专用充电端口
TW201525702A (zh) 第一電子裝置利用具有usb連接的第二電子裝置充電之方法及設備usb埠之裝置
CN109494822B (zh) 一种终端设备、充电器、充电系统和充电方法
KR20210014356A (ko) Usb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864714B2 (en) Electronic system for performing re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TWI559125B (zh) 行動電源裝置及其電源控制方法
US20170063105A1 (en) Charging method, charging controller and charging system
US972244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interface
KR20110029587A (ko) Tta 충전기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젠더
US20140247015A1 (en) Batter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30221904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sub terminal connected to main terminal
KR20150002779U (ko) 외부의 전자기기를 식별하여 급속충전하는 시거잭 충전기
JP2015207155A (ja) 電子装置
KR20130062888A (ko) 멀티 시리즈 셀 배터리들을 포함한 이용에 적합한 전력 관리 시스템
CN106532790B (zh) 移动电源装置及其电源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