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192A - Auto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 - Google Patents

Auto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192A
KR20110028192A KR1020090086167A KR20090086167A KR20110028192A KR 20110028192 A KR20110028192 A KR 20110028192A KR 1020090086167 A KR1020090086167 A KR 1020090086167A KR 20090086167 A KR20090086167 A KR 20090086167A KR 20110028192 A KR20110028192 A KR 20110028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late
water
support
hot f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8508B1 (en
Inventor
양승복
Original Assignee
양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복 filed Critical 양승복
Priority to KR102009008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508B1/en
Publication of KR2011002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1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5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7Special types of ge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7Flat presses, pressing plates or heating devices for pressing p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n automatic steam presser for adhering hot fix is provided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fabric. CONSTITUTION: An automatic steam presser for adhering hot fix comprises: a frame support(200), a press controller(300), a steam plate(500), and water supply tank(400). The frame support has at least one or more aligned steam plate. The press controller has a pressure plate(320) and pressure device(310). The steam plate comprises a steam generation plate, a steam supply board, and steam eruption plate. The water supply tank stores water supplied to the steam plate through a water pipe.

Description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AUTO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AUTO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

본 발명은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를 매개체로 공급되는 열에 의해 의복 등의 원단에 장식용으로 부착되는 핫 픽스를 원단 일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열에 의한 원단의 변형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를 나란히 배치하고 가압조절부를 이동시키면서 핫 픽스를 원단에 부착시키는 작업이 근거리 내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attaching a hot fix, and more particularly, by minimizing deformation of a fabric due to heat by attaching a hot fix attached to a fabric to a fabric, such as a garment, by heating the steam supplied as a medium to one side of the fabric.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ing the at least one vapor plate side by side and moving the pressure control while attaching the hot fix to the fabric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ithin a short distance.

일반적으로 핫 픽스(hot fix)는 의류의 표면에 부착하여 외관을 독특하고 미려하게 하기 위해 이용되며, 여러 개의 핫 픽스가 다양한 디자인 패턴으로 배열된 모티프를 이용하여 의류 등의 원단에 부착된다.In general, a hot fix is used to attach a surface of a garment to make the appearance unique and beautiful, and a plurality of hot fixes are attached to a fabric such as a garment by using motifs arranged in various design patterns.

이때, 모티프(motif)는 큐빅, 징(스톤), 또는 크리스탈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핫 픽스와, 상기 핫 픽스의 상부 외형면에 부착된 투명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와, 상기 핫 픽스의 하부 배면에 의류 등 원단에 부착되기 위해 응고상태로 도포되어 있는 열 융착성 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otif (motif) is a hot fix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ubic, gong (stone), or crystal, an adhesive sheet made of a transparent tape attach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hot fix, and the lower back of the hot fix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t-sealing adhesive that is applied in a solidified state to be attached to the fabric, such as clothing.

이러한 핫 픽스를 의류 등 원단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에는 상기 핫 픽스의 배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가열하여 녹일 수 있는 가열수단과, 핫 픽스 배면과 원단 표면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압수단 등이 구비된 핫 픽스 부착장치들이 제안되었다.As a means for attaching such a hot fix to a surface of a fabric such as clothing in a predetermined pattern, conventionally, heating means capable of heating and melting an adhesive appli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t fix, and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hot fix and the fabric surface. Hot fix attachment devices have been proposed which are provided with pressurizing means and the like which can be strengthened.

종래의 핫 픽스 부착장치는 핫 픽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가열판을 통하여 원단으로 직접 열 전도된 후 핫 픽스 배면의 접착제로 다시 열 전도되어 접착제를 녹일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상부에서 핫 픽스를 원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에 히터가 구비되어 상부에서 발생된 열이 핫 픽스를 통하여 직접 열 전도되어 배면의 접착제를 녹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Conventional hot fix attachment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t fix is directly heat conduction to the fabric through the heating plate and then heat conduction back to the adhesive on the back of the hot fix to melt the adhesive, or It was common that the heater is provided in the pressurizing means for pressurizing the hot fix in the distal direction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upper part is directly heat-conducted through the hot fix to melt the adhesive on the back sid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핫 픽스 부착장치는 히터와 같은 가열수단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원단이 직접 가열된 후 접착체로 열 전도되므로 해당 부분이 눌리게 되어 원단 등 섬유의 형태 변형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hot fix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fabric is directly heated by heat generated by a heating means such as a heater, and then heat conduction to the adhesive, caus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to be pressed, causing a deformation of the fiber such as the fabric.

또한, 종래의 핫 픽스 부착장치는 단일의 가열수단과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져, 원단에 핫 픽스를 부착시킨 후 작업이 완료된 원단을 빼어내고, 그 가열수단 상부에 다시 새로운 원단과 핫 픽스를 위치시킨 후 가압하여 핫 픽스를 부착시키게 되어 핫 픽스의 부착 작업이 극히 수동적이고 천천히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ot fix attachment device is composed of a single heating means and a pressing means, after attaching the hot fix to the fabric after removing the finished fabric, and placing the new fabric and hot fix on top of the heating means again Since the hot fix is attached by pressing, the hot fix is very passive and slow, and thus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significantly reduc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증기를 매개체로 열을 전달함으로써 미처 기화되지 못하고 과열된 물방울이 원단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중층 구조의 증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를 나란히 배치한 후 가압조절부를 증기 플레이트 상호간에 이동시키며 각 증기 플레이트에 놓인 원단에 핫 픽스를 부착시킴으로써 원단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작업 효율 및 진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를 제공함에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e-layered steam plate that can prevent the vaporized and superheated water droplets are not directly transferred to the fabric by transferring the heat to the steam medium, at least one or more steam After placing the plates side by side, the pressure control unit moves between the steam plates and attaches a hot fix to the fabric placed on each steam plate.The automatic steam press for attaching the hot fix can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and speed while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fabric. In providing.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가 나란히 배치되는 프레임 지지부; 원단 표면에 부착하고자 하는 모티프를 상부에서 원단방향으로 가압하는 넓은 판형의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에 배치된 증기 플레이트 상호간을 이동하며 상기 가압판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가압조절부;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급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생성판과, 상기 증기 생성판에서 생성된 수증기만을 상부로 전달하는 증기 공급구가 형성된 증기 공급판과, 상기 증기 공급판을 통하여 공급된 수증기를 분출시켜 열을 전달하는 증기 분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 및 상기 증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있는 물 공급구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증기 플레이트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 급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may include: a frame support having at least one steam plate disposed side by side; A wide plate-shaped pressure plate for pressurizing a motif to be attached to the fabric surface from the upper side to the original direction, and a pressure means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and moving between the steam plates disposed on the frame support part and providing a force for pressing the pressure plate. Pressure control unit comprising; A steam supply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support part and configured to generate water vapor by receiv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tank and heating the steam support plate; and a steam supply plate configured to transfer only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ion plate to the upper part; At least one steam plate including a steam ejecting plate for transferring heat by ejecting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plate; And a water supply tank in which water supplied to the steam plate is stor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steam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지지부가 다수의 증기 플레이트가 나란히 놓이는 저면 프레임; 상기 저면 프레임의 양 측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두 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어 가압조절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rame support is a bottom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steam plates side by side; Two support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ipe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guid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수단이 그 외형을 이루며 상기 가압판이 부착되는 부분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에 일단이 걸리는 부분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끼워지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essing means is the outer portion and the portion is attached to the pressing plate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is caught in the support pipe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made of a substantially 'b' shape The edge portion where the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and the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meet each other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 guide hole into which the guide pipe is fitted.

본 발명은 3중층 구조의 증기 플레이트를 통하여 증기를 매개체로 원단과 핫 픽스에 열을 전달하여 핫 픽스 배면의 접착제를 녹임으로써 수분이 원단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하여 원단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를 나란히 배치한 후 가압조절부만을 증기 플레이트 상호간에 이동시키면서 원단에 핫 픽스를 부착시켜 작업 효율 및 진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heat to the fabric and the hot fix via the steam plate of the triple layer structure to melt the adhesive on the back of the hot fix so that moistur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fabric, there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fabric. After arranging at least one of the steam plates side by side, the hot fix is attached to the fabric while moving only the pressure control unit between the steam plates,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spe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가 나란히 배치되는 프레임 지지부(200)와, 상기 프레임 지지부에 배치된 증기 플레이트 상호간을 이동하며 원단위에 놓인 모티프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가압조절부(300),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티프의 핫 픽스 배면에 있는 접착체에 열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증기를 분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ic steam press 100 for hot fix at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between a frame support part 200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vapor plates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a steam plate disposed in the frame support part, and moves in a circular unit. Pressure control unit 300 for pressing the placed motif from the top, and at least one steam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for ejecting steam which is a medium for transferring heat to the adhesive on the back of the hot fix of the motif ( 500).

또한,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의 일 측 또는 후방에는 별도의 스탠드가 구비되고, 이러한 스탠드에 걸려서 상기 증기 플레이트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통(400)과, 상기 급수통에서 증기 플레이트의 증기 생성판으로 연결되는 급수관(41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물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통의 위치를 높게 유지하기 위한 스탠드는 상기 증기 플레이트보다 높은 위치에 이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급수관의 일단은 상기 증기 생성판에 구비된 물 공급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 공급구에는 상기 급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side or the rear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tand, a water supply tank 4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plate by hanging on the stand, and steam generation of the steam plate in the water supply tank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pipe 410 connected to the plate. At this time, the stand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so that water is easily supplied is preferably installed to reach a position higher than the steam plate,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steam generating plate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or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olenoid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는 다수의 증기 플레이트가 나란 히 놓이는 저면 프레임(210)과, 상기 저면 프레임의 양 측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두 개의 지지대(230)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가이드 파이프(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30)의 일 측에는 상기 자동 증기 프레스의 온도, 압력 등이 표현되는 조작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the frame support 200 includes a bottom frame 210 in which a plurality of vapor plates are arranged side by side, two supports 230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frame, and the suppo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pipe 220 connected to.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support 230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to express the temperature, pressure, etc. of the automatic steam press.

상기 저면 프레임(210)은 프레임 지지부의 하부를 이루며 넓은 판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거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파이프를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상호 연결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저면 프레임을 이루는 파이프는 증기 플레이트(500)가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상부가 넓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frame 210 is formed of a wide plate-shaped plate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support, or may be configured by interconnecting pipes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so as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In addition, the pipe forming the bottom frame is preferably formed in a wide plate shape so that the steam plate 500 can be placed stably.

이때, 상기 저면 프레임(210)은 다수의 증기 플레이트(500) 앞부분을 가로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로프레임과, 다수의 증기 플레이트(500) 각각을 세로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약간 짧게 형성된 다수의 세로프레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증기 플레이트(500) 저면을 지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저면 프레임 전체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bottom frame 210 is a horizontal frame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fron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team plate 5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support each of the plurality of steam plate 5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formed slightly shor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may be install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vapor plate 500 as well as to maintain the entire bottom frame firmly.

상기 지지대(230)는 상기 저면 프레임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세로프레임 후방 외측에 설치되어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3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홀 등의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230 is installed on the rear out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bottom frame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top. At this time,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2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such as a hole that can be fixed by connecting the guide pipe.

상기 가이드 파이프(220)는 가압조절부(300)가 증기 플레이트(500) 상호간을 수평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 상부에 형성된 결합수단 등에 의해 상기 지지대(230) 사이에 연결되는 파이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파이프(220)는 가압조절부(300)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형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pipe 220 is a pipe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230 by a coupling mean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o that the pressure control unit 300 can guide the path to move horizontally between the steam plate 500. It is composed. At this time, the guide pipe 22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ircular pipe so that the pressure control unit 300 can move smoothly.

또한, 상기 지지대(230)의 하부에는 가압조절부에 구비된 가압수단(31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홈(312)이 걸리는 지지파이프(240)가 상기 지지대(230) 상호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파이프(240)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 상에서의 수평이동과 가압판을 아래로 누르는 가압작업 중 가압조절부의 무게중심이 과도하게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조절부가 이탈되거나 원상태로 복원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ipe 240 is caugh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groove 31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means 310 provided in the pressur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upport pipe 240 is to prevent the pressure control unit from being separated or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is excessively moved forward during the horizontal operation on the guide pipe and the pressing operation of pressing down the pressure plate.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에는 상기 가압조절부가 해당 위치로 이동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나 터치 센서 등의 근접스위치(25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ipe further includes a proximity switch 250 such as an infrared sensor or a touch sensor that can recognize that the pressure control unit has mov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조절부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조절부의 내부 구성도이다.3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조절부(300)는 핫 픽스 배면이 원단 표면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모티프를 상부에서 원단방향으로 가압하는 넓은 판형의 가압판(320)과, 상기 가압판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파이프 상에서 상기 저면 프레임(210) 상부에 놓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500) 상호간을 이동하며 가압판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가압수단(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판 상부와 가압수단(310)의 하부에 각각 연결부재(330)를 구비하고, 이러한 연결부재(330) 상호간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상기 가압판을 가압수단(31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3 to 5, the pressure control unit 300 is a wide plate-shaped pressure plate 320 for pressing the motif from the top to the fabric direction so that the back of the hot fix to the fabric surface more firmly, and the pressure plate At least one vapor plate 500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and placed on the bottom frame 210 on the guide pipe, and comprises a pressing means 310 for providing a force for pressing the pressure plate. At this time,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 33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means 310, and the connecting member 330 is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to be configured to couple the pressing plate to the pressing means 310. Of course you can.

상기 가압수단(310)은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11)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313)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가압판(320)이 상하로 이동하며 원단위에 놓인 핫 픽스를 가압하게 하는 실린더(314)와, 상기 가압수단 외부에 구비된 컴프레셔(317)에 연결되는 컴프레셔 연결부(315)와, 비상사태시 가압이나 증기 배출을 제어하여 강제 정지시키는 긴급정지버튼((3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surizing means 310 is a housing 311 forming an external shape, a solenoid valve 313 connected to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and housed in the housing, and the pressing plate 320 moves up and down and is placed in a circular unit. Cylinder 314 to pressurize the hot fix, the compressor connection portion 315 connected to the compressor 317 provided outside the pressurizing means, and emergency stop button for forcibly stopping by controlling the pressurization or steam discharge in an emergency ( And 316.

이때, 상기 하우징(311)은 상기 가압판(320)이 부착되는 부분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지지파이프(240)에 일단이 걸리는 부분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220)가 끼워지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housing 311 is a portion to which the pressing plate 320 is attache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ortion that takes one end to the support pipe 24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have a substantially '-' shape A guide hole into which the guide pipe 220 is fitted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where the inside of the cylinder is empty so that the cylinder and the like can be accommodated, and the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and the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meet each other.

또한,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지지파이프(240)가 끼워지게 되는 지지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312)에는 상기 지지파이프(240)가 끼워져 상기 가압조절부(300)의 수평이동에 따라 지지파이프(24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a support groove 312 into which the support pipe 240 is fitted is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The support pipe 24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312 to move horizontally on the support pipe 240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300.

이때, 상기 지지홈(312)은 지지파이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4에서는 상기 지지파이프(240)의 각 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와 같이 상기 지지파이프(240)의 각 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지지홈(312)의 각 면도 사각형의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지지파이프(240)의 양 측면이 상기 지지홈(312)의 양 측면에 접하여 걸리게 되어 무게 중심이 앞쪽에 있는 가압수단이 앞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groove 312 is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ipe. 4 shows that each surface of the support pipe 240 has a quadrangle, and thus, when each surface of the support pipe 240 has a quadrangle, the shaving quadrangle of the support groove 312 is forme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made of cotton. Accordingly,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pipe 240 are caught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upport groove 312, thereby preventing the pressurization means having the center of gravity from being excessively inclined forward.

또한, 상기 가압수단(310)이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홈(312)의 저면이 상기 지지파이프(240)에 구비된 근접스위치(250)에 접하게 되어 가압조절부가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증기 플레이트에서 증기를 생성할 수 있는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pressing means 310 is moved horizontally,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groove 312 is in contact with the proximity switch 250 provided in the support pipe 240, so that the pressure control unit moves to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vapors from the steam plate. You will be ready to create a.

또한, 상기 가압수단에는 상기 하우징을 아래로 기울여서 가압판(320)을 아래로 누르는 가압과정이 진행되면서 증기 플레이트로의 물 공급과 증기의 생성을 제어하는 동작스위치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동작스위치는 가압판(320)을 누르는 과정 중 함께 눌리면서 물을 공급하고 증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동작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실린더(314)가 개방될 경우에만 소량의 물이 공급되면서 열선에 의해 가열되어 즉시 증기화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ration switch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to the steam plate and the generation of steam while the pressing process proceeds by pressing the pressure plate 320 down by tilting the housing, the operation switch is a pressure plat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supply water and generate steam while being pressed together during the pressing process. Therefore,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only when the cylinder 314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and is heated by a heating wire to vaporize immediatel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플레이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생성판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분출판의 배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증기의 이동은 화살표로 도시된다.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steam genera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rear view of the steam je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of the steam plate. In the figure the movement of steam is shown by arrows.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증기 플레이트(500)는 상기 급수통(4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생성판(510)과, 상기 증기 생성판에서 생성된 수증기만을 상부로 전달하는 증기 공급판(520)과, 상기 증기 공급판을 통하여 공급된 수증기를 분출시켜 핫 픽스 저면의 접착제를 녹이는 증기 분출판(530)을 포함하여 3개의 복층구조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team plate 500 receives steam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and heats the steam generating plate 510 to generate steam, and only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transferred upward. It consists of a three-layered plate including a steam supply plate 520 and a steam ejection plate 530 for ejecting the water vapor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plate to melt the adhesive on the bottom of the hot fix.

상기 증기 생성판(510)은 상기 증기 플레이트(500)의 하부판을 이루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중앙에 구비된 물 공급구(5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증기 생성판 내부를 이동하는 경로인 물 이동관이 형성된 넓은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증기 생성판(510)에는 상기 물 공급구(512)를 통하여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열원으로서 열선(513)이 내부 전체면에 걸쳐 넓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 생성판에서 지나치게 증가되는 증기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 증기압 배출관이 더 구비되어 내부 증기압이 과도할 경우 이를 강제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am generating plate 510 forms a lower plate of the steam plate 500, and 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provid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512 provided at the rear center as shown in FIG. 7. It consists of a wide plate formed with a water pipe, which is a path for moving inside. At this time, the steam generating plate 510 is provided with a heating wire 513 widely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512 to generate stea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eam pressur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excessively increased steam pressure from the steam generating plate to be forcibly discharged when the internal steam pressure is excessive.

또한, 상기 증기 생성판(510)은 상기 물 이동관(511)이 상면에서 일정 깊이 파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물 공급구(512)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이와 같이 일정 깊이 파인 물 이동관을 통하여 흐르면서 열선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기화하여 증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물 이동관이 일정한 직경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관 형상이 상기 증기 생성판(510)에 나선형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나선형 물 이동관의 측면을 통해서 물이 조금씩 공급되면서 기화되도록 구성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eam generating plate 510 is formed in the water moving pipe 511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512 flows through the water moving pipe dug a predetermined depth in this manner It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vapor by vaporiz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of course, the water moving tube is made of a tube having a constant diameter and this tube shape is spirally installed on the steam generating plate 510 and this spiral water moving tube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vaporize as the water is supplied little by little through the side of.

이와 같이 상기 물 이동관(511)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물 공급구(512)를 중심으로 하여 양 측면에 물 이동관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물 이동관은 가로관과 세로관이 수직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증기가 생성되는 영역을 가로관 또는 세로관만으로 특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pipe 511 is formed in a spiral shape, water pipes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water supply port 512, and the water pipes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ipes.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be able to specify the region in which the steam is formed to generate only the horizontal pipe or vertical pipe.

또한, 상기 물 이동관에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가 다수개 형성되고, 이러한 물 배출구는 실린더(314)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물이 기화되는 영역으로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transfer pip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water outle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charge to the area where the water is vaporized while being opened and closed by the cylinder 314.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가압수단을 조작하여 가압판(320)을 아래로 이동시킬 때 동작하는 동작스위치에 의해 상기 물 배출구가 개방되어 소량의 물이 기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olenoid valve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is evaporated by opening the water outlet by an operation switch which operates when the pressure plate 320 is moved downward by operating the pressure means.

그리고, 상기 동작스위치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후 물이 공급되는 시간과 증기에 의해 핫 픽스가 부착되는데 이용되는 시간을 체크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급수타이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 water supply tim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enoid valve is further provided by checking the time for supplying water and the time used for attaching the hot fix by steam after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by the operation switch. It is preferable to be.

또한, 상기 물 이동관에서 배출된 물이 접하여 기화되는 영역에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메쉬부를 설치하여 상기 물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방울의 표면이 과열되어 미처 기화하지 못하고 과열된 물방울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증기의 발생효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mesh portion made of a mesh structure in the area wher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moving tube is in contact with the vaporized water by preventing the surface of the water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is overheated to prevent vaporization and exist in the superheated droplet stat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아울러, 상기 증기 생성판에는 일단이 증기의 배출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안전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플레이트 내부의 증기압이 지나치게 높아질 경우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증기압 배출관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압력계에서 상기 증기 플레이트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안전밸브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eam pressure discharge pipe which is connected to a safety valve that is open and closed so as to control whether the steam is discharged so that the stea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steam pressure inside the steam plate is too high. desirable. For this purpose, the pressure inside the steam plate is measured by a pressure gauge provided separately, and when the measured pressure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he safety valv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open.

또한, 상기 열선을 통한 가열은 물이 공급되면 즉시 증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일정 상태의 예열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상기 증기 생성판에 저장된 물의 온도나 증기가 생성되는 영역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이러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외부에 구비된 온도계를 통하여 표출되어 예열 상태 여부를 증기 프레스 조작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증기 생성판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열선에의 전원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through the hot wir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to generate steam immediately when water is supplied, an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ing plate or the region where steam is generated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is provided,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expressed through a thermometer provided externally so that the steam press operator can be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preheating stat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hot wires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ing plate does not fall below a certai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by the temperature sensor.

상기 증기 공급판(520)은 상기 증기 생성판(5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기 플레이트의 중간 연결판을 이루며, 상기 증기 공급판에서 생성된 증기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증기 공급구(521)가 다수개 형성된 넓은 판으로 이루어진다.The steam supply plate 520 is positioned above the steam generating plate 510 to form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of the steam plate, and a steam supply hole 521 for moving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supply plate to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wide plates formed.

또한, 상기 증기 공급구(521)는 증기 생성판에서 증기가 생성되는 영역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증기 공급판(5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작은 홀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eam supply port 52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gion where the steam is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composed of a small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steam supply plate 520.

이때, 상기 증기 생성판(510)에 메쉬부가 구비된 경우 과열된 상태로 존재하 는 물방울 없이 모두 기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증기 생성판에서 증기가 생성되는 공간과 생성된 증기가 1차적으로 통과하는 증기 공급구와 상기 증기 분출판에 구비된 증기홀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므로 물방울이 원단에 직접 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steam generating plate 510 is provided with a mesh unit, not only all vaporized without water droplets that exist in a superheated state, but also a space in which steam is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plate and the generated steam pass first. Since the size of the steam hole provided in the steam supply port and the steam jet plate becomes smaller and small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droplets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fabric.

상기 증기 분출판(530)은 상기 증기 공급판(5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원단과 모티프가 놓이는 상기 증기 플레이트의 상부판을 이루며, 상기 증기 공급판(520)을 통하여 공급된 증기를 넓게 펼치는 증기 확산부(531)와, 상기 증기를 상부로 분출시켜 원단위에 놓인 핫 픽스 저면을 가열하는 증기홀(5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eam ejecting plate 53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am supply plate 520 to form an upper plate of the steam plate on which the fabric and the motif are placed, and the steam is widely spread through the steam supply plate 520. And a diffusion part 531 and a vapor hole 532 which blows the steam upward to heat the bottom of the hot fix placed in a unit.

상기 증기 확산부(531)는 상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기 분출판(530) 저면이 내측으로 움푹 파여서 그 외곽부와는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증기홀(532)은 상기 증기 확산부(531)에서 상기 증기 분출판 상부에 이르도록 관통된 다수의 작은 홀로 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the vapor diffusion part 531 is formed such that a bottom surface of the steam jet plate 530 is recessed inward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the outer part, and the steam hole 532. )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mall holes penetrated from the vapor diffusion part 53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eam jet plate.

이때, 상기 증기홀(532)은 상기 증기 공급구의 수직 상부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그 전후 또는 좌우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기 확산부를 통하여 상기 증기 공급구로부터 전달된 증기가 좌우로 분산되어 증기 분출판(530) 상부에서 고르게 분출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steam hole 532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steam supply port, as well a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and is transmitted from the steam supply port through the steam diffusion unit. The vaporized vapor is distributed from side to side and evenly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team jet plate 530.

또한, 상기 증기 확산부(531)는 증기 분출판(530)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고 그 외곽부는 단차진 증기 분출판의 하부 저면에 의해 막히도록 구성되어, 증기가 넓게 분산되면서도 상기 증기 공급판과의 결합면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apor diffusion portion 531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eam jet plate 530 and the oute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blocked by the bottom bottom of the stepped steam jet plate, and the vapor supply plate and the steam supply plate is widely distributed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prevent leaka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upling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증기 분출판(530)은 열선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열선이 증기 분출판 전체 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증기 분출판 상면에 놓이는 원단과 모티프를 예열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증기홀(532)을 통하여 공급되는 증기가 외부 온도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핫 픽스 부착시 원단이 눌리면서 섬유의 형태 변형을 야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핫 픽스의 부착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증기 확산부(531)에서 증기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기 분출판에 구비된 열선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원단 상부에 위치한 핫 픽스 배면의 접착체에 열을 전달하는 열 매개체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team jet plate 530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heating wire. As such, the heating wire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team jet plate, thereby preheating the fabric and the motif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am jet plate, and preventing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hole 532 from being cool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You can do it. This improves the attachment efficiency of the hot fix while preventing the fabric from being pressed when the hot fix is attached, causing deformation of the fiber.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team diffusion in the steam diffusion unit 531 is again heated by a heating wire provided in the steam jet plate to function as a heat medium to transfer heat to the adhesive on the back of the hot fix located on the upper fabric It becomes possible.

이와 같이 상기 증기 분출판(530)에 형성된 다수개의 스팀홀(532)을 통하여 증기가 원단의 저면으로 공급되고, 상기 원단의 상부에 놓인 핫 픽스 저면으로 전달되어 접착제를 녹이면서, 원단 상부에서 가압판(32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핫 픽스 저면을 원단에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team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abric through a plurality of steam holes 532 formed in the steam jet plate 530, transferred to the bottom of the hot fix on the top of the fabric, to melt the adhesive, and the pressure plate on the fabric top.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320 allows the hot fix bottom to be firmly adhered to the fabric.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핫 픽스 부착용 증기 프레스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hot fix attachment steam pr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모티프의 가압 전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0 and 11 are block diagrams showing before and after pressing of a moti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증기 플레이트의 상부판을 이루는 증기 분출판(530)의 상부에 원단을 놓고, 원단에서 핫 픽스를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모티프를 위치시킨다.10 and 11, the fabric is placed on top of the steam jet plate 530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of the steam plate, and the motif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ere the hot fix is to be attached to the fabric.

이때, 상기 모티프는(motif)(10)는 큐빅, 징(스톤), 또는 크리스탈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핫 픽스(30)와, 상기 핫 픽스의 상부 외형면에 부착된 투명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20)와, 상기 핫 픽스의 하부 배면에 의류 등 원단에 부착되기 위해 응고상태로 도포되어 있는 열 융착성 접착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핫 픽스는 원단(50)에 부착하고자 하는 다양한 디자인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motif (motif) 10 is an adhesive sheet consisting of a hot fix 30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ubic, gong (stone), or crystal, and a transparent tape attach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hot fix. 20 and a heat-sealable adhesive 40 which is applied in a solidified state to be attached to a fabric such as clothing on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hot fix. The hot fix may be formed in a pattern of various designs to be attached to the fabric 50, of course.

그리고, 핫픽스와 원단이 놓인 증기 플레이트로 가압조절부(300)를 이동시킨 후 가압수단(310)을 조작하여 가압판(320)을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모티프의 점착시트를 원단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310)의 조작에 의해 동작 스위치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동작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면서 급수통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급수관을 따라 상기 증기 플레이트의 하부판을 이루는 증기 생성판으로 공급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시간은 미리 설정된 급수 타이머에서의 시간 계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일정시간 후 밸브가 폐쇄된다.Then, the pressure control unit 300 is moved to the steam plate on which the hot fix and the fabric are placed, and then the pressure plate 310 is moved by pressing the pressure plate 310 to pres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motif in the direction of the fabric. At this time, the operation switch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means 310,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to generate the steam forming the lower plate of the steam plate along the water supply pipe Supplied in plates. The opening time of the solenoid valv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time calculation in a preset water supply timer so that the valve is clo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증기 생성판으로 공급된 물은 열선으로부터 공급받는 열에 의해 신속하게 가열되어 증기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증기 생성판에서 생성된 증기는 상부에 있는 증기 공급판의 증기 공급구를 통하여 증기 분출판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quickly heated by the heat supplied from the heating wire to generate steam.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moved to the steam jet plate through the steam supply port of the steam supply plate in the upper portion.

이때, 상기 증기 생성판(510)에서 가열되면서 많은 운동에너지를 갖지만 미처 수증기로 기화되지 못한 물방울은 좁은 증기 공급구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증기 공급판(520)의 저면에 부딪힌 후 다시 증기 생성판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droplets having a lot of kinetic energy but not vaporized into water vapor while being heated in the steam generating plate 510 does not pass through the narrow steam supply port and hi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supply plate 520 and then again inside the steam generating plate. To fall.

또한, 상기 증기 생성판(510)에 메쉬부가 구비되고 이러한 메쉬부 위로 물이 공급될 경우 과열되어 물방울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현저히 줄어들어 증기 분출판으로 전달되는 물방울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team generating plate 510 is provided with a mesh portion and water is supplied over the mesh portion, the superheated water droplets are remarkably reduced so that there is no water droplet delivered to the steam jet plate.

상기 증기 공급구를 통하여 이동한 증기는 상기 증기 분출판(530) 하부의 증기확산부에서 넓게 퍼진 후 상부에 형성된 증기홀(532)을 통하여 분출된다.The steam moved through the steam supply port is spread through the steam diffusion part below the steam jet plate 530 and then ejected through the steam hole 532 formed thereon.

이와 같이 상기 증기홀을 통하여 분출된 증기는 그 상부에 놓인 원단을 통하여 그 상부에 위치한 핫 픽스 배면의 접착제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원단과 핫 픽스가 미리 예열된 증기 분출판(530)의 저면에 의해 가열되어 있고, 증기를 통하여 열이 원단으로 전달되므로 섬유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단 자체를 통한 열전도가 아니라 증기를 매개로하여 열이 전달되므로 열 전달효율이 크게 향상된다.As such, the steam blown out through the steam hole is transferred to the adhesive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t fix through the fabric placed thereon. At this time, the fabric and the hot fix is heated by the bottom of the pre-heated steam jet plate 530,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fabric through the stea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fiber. 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greatly improved because heat is transmitted through steam rather than heat conduction through the fabric itself.

상기 원단(50)과 핫 픽스 배면의 접착제(40)로 전달된 열에 의해 접착제가 녹게 되고, 상기 가압판(22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핫 픽스(30)가 원단(50)에 견고히 부착된다.The adhesive melts by heat transferred to the fabric 50 and the adhesive 40 on the back of the hot fix, and the hot fix 30 is firmly attached to the fabric 50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ressure plate 220. .

이후, 상기 가압수단을 조작하여 가압판(220)을 상부로 올리면 접착제가 녹으면서 원단 상면에 견고히 부착된 핫 픽스를 제외한 점착시트(20)만이 상기 가압판 하면에 부착된 상태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 분출판으로부터 가압판을 분리할 때,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증기 공급이 완료된 후 증기의 생성이 정지되어 상기 증기 분출판 상부에서 원단을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pressure plate 220 is raised to the top by operating the pressing means, only the adhesive sheet 20 except for the hot fix firm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while the adhesive is melted is separated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When the pressure plate is separated from the steam jet plate, or after the steam supply for a predetermined time is completed, the generation of steam is stopped to safely separate the fabric from the upper part of the steam jet plat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면 프레임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의 측면 구성도.Figure 3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조절부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press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조절부의 내부 구성도.Figure 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플레이트의 분리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생성판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steam genera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분출판의 배면도.8 is a rear view of the steam je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플레이트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a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모티프의 가압 전후를 나타내는 구성도.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before and after pressing of a moti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자동 증기 프레스 200 - 프레임 지지부100-automatic steam press 200-frame support

210 - 저면 프레임 220 - 가이드 파이프210-Bottom Frame 220-Guide Pipe

230 - 지지파이프 300 - 가압조절부230-support pipe 300-pressure regulating part

310 - 가압수단 311 - 하우징310-Pressing means 311-Housing

312 - 지지홈 320 - 가압판312-Supporting groove 320-Pressure plate

400 - 급수통 410 - 급수관400-Water bottle 410-Water pipe

500 - 증기플레이트 510 - 증기생성판500-Steam Plate 510-Steam Generator

511 - 물 이동관 512 - 물 공급구511-Water Transfer Tube 512-Water Supply Port

513 - 열선 520 - 증기공급판513-Hot Wire 520-Steam Supply Plate

521 - 증기공급구 530 - 증기분출판521-Steam Supply 530-Steam Jet Plate

531 - 증기확산부 532 - 증기홀531-Steam Diffusion Unit 532-Steam Holes

Claims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가 나란히 배치되는 프레임 지지부;A frame support having at least one vapor plate disposed side by side; 원단 표면에 부착하고자 하는 모티프를 상부에서 원단방향으로 가압하는 넓은 판형의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에 배치된 증기 플레이트 상호간을 이동하며 상기 가압판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가압조절부;A wide plate-shaped pressure plate for pressurizing a motif to be attached to the fabric surface from the upper side to the original direction, and a pressure means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and moving between the steam plates disposed on the frame support part and providing a force for pressing the pressure plate. Pressure control unit comprising;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급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생성판과, 상기 증기 생성판에서 생성된 수증기만을 상부로 전달하는 증기 공급구가 형성된 증기 공급판과, 상기 증기 공급판을 통하여 공급된 수증기를 분출시켜 열을 전달하는 증기 분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플레이트; 및A steam supply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support part and configured to generate water vapor by receiv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tank and heating the steam support plate; and a steam supply plate configured to transfer only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ion plate to the upper part; At least one steam plate including a steam ejecting plate for transferring heat by ejecting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plate; And 상기 증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있는 물 공급구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증기 플레이트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 급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Hot water attachment automatic steam pr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supply reservoir for sto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plate through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steam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The frame support portion, 다수의 증기 플레이트가 나란히 놓이는 저면 프레임;A bottom frame on which a plurality of vapor plates are placed side by side; 상기 저면 프레임의 양 측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두 개의 지지대;Two support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frame;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어 가압조절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The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ipe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서 지지대 상호간을 연결하며, 상기 가압수단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홈에 끼워져 가압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And a support pip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inserted into a support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mean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ressing mean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홈의 저면이 접하여 상기 가압조절부가 접근하였음을 인지하는 근접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One side of the support pipe is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of the support groove is in contact with the proximity switch further recognizes that the pressure control unit is approach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압수단은 외형을 이루며 상기 가압판이 부착되는 부분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에 일단이 걸리는 부분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끼워지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The pressing means forms an outer shape, and the portion to which the pressing plate is attache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pip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have an approximately '-' shape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housing in which a guide hole into which the guide pipe is fitted is formed at a corner portion where a portion and a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meet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증기 생성판은 상기 증기 플레이트의 하부판을 이루며, 후방 중앙에 구비된 물 공급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상기 증기 생성판 내부를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물 이동관이 형성된 넓은 판으로 이루어지며, 물을 가열하는 열원으로서의 열선이 내부 전체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The steam generating plate forms a lower plate of the steam plate, and is formed of a wide plate formed with a water moving tub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ort provided at the rear center mov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side the steam generating plate.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characterized in that a heating wire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heat is provid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증기 생성판은 상기 물 이동관이 일정한 직경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관 형상이 상기 증기 생성판에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나선형 물 이동관의 측면을 통해서 물이 조금씩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made of a pipe having a constant diameter of the water moving tube and the tubular shape is installed in the steam generating plate in a spir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s supplied little by little through the side of the spiral water moving tube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증기 생성판은 상기 물 공급구를 중심으로 하여 양 측면에 물 이동관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물 이동관은 가로관과 세로관이 수직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물 이동관에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가 다수개 형성되고, 이러한 물 배출구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물이 기화되는 영역으로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provided with water moving pipes on both sides of the water supply port, respectively, and the water moving pipes ar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horizontal pipes and vertical pipes are vertically connected, a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moving pipes.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are formed, the water outlets are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 fix attach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charge to the area where the water is vaporized while opening and closing by the solenoid valv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증기 생성판은 상기 물 이동관에서 배출된 물이 접하여 기화되는 영역에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메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The steam generating plate is an automatic steam press for hot-fix attach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portion made of a mesh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moving tube is in contact with the vaporization.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증기 분출판은 상기 증기 공급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원단과 모티프가 놓이는 상기 증기 플레이트의 상부판을 이루며, The steam jet plate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am supply plate to form an upper plate of the steam plate on which the fabric and the motif are placed. 상기 증기 분출판 저면이 내측으로 움푹 파여서 그 외곽부와는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증기 공급판을 통하여 공급된 증기를 넓게 펼치는 증기 확산부; 및A vapor diffusion part formed to have a lower surface of the steam jet plate inwardly to have a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an outer part of the steam jet plate to widen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plate; And 상기 증기 공급구의 수직 상부에서 일정 거리 전후 또는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증기를 상부로 분출시키는는 증기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픽스 부착용 자동 증기 프레스.And a steam hole which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before and afte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steam supply port or is spaced from the left and right to eject the steam to the upper portion.
KR1020090086167A 2009-09-11 2009-09-11 Auto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 KR1011385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167A KR101138508B1 (en) 2009-09-11 2009-09-11 Auto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167A KR101138508B1 (en) 2009-09-11 2009-09-11 Auto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192A true KR20110028192A (en) 2011-03-17
KR101138508B1 KR101138508B1 (en) 2012-04-25

Family

ID=4393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167A KR101138508B1 (en) 2009-09-11 2009-09-11 Auto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50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454B1 (en) * 2014-04-23 2014-07-18 주식회사 성남디알디 Jing fixing system
KR101467279B1 (en) * 2013-07-02 2014-12-01 이노이엔지주식회사 Steam press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103B1 (en) * 2022-09-16 2023-02-07 이병호 Mehtod of fabricat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and landscape by using plastic was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9767A (en) 1993-05-10 1994-09-27 The Singer Company N.V. Steam ironing press including pump and heating control circuits
KR100312701B1 (en) * 1998-11-11 2002-02-28 유 희 춘 Forming and partially joining method for decoration materials on the internal parts of an automobile
KR200332545Y1 (en) 2003-07-31 2003-11-10 이창근 Steam pres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279B1 (en) * 2013-07-02 2014-12-01 이노이엔지주식회사 Steam press apparatus
KR101419454B1 (en) * 2014-04-23 2014-07-18 주식회사 성남디알디 Jing fix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508B1 (en)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508B1 (en) Auto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
KR101992243B1 (en) Steam iron with pressurized water reservoir
JP2007313115A (en) Steam iron
JP5276752B1 (en) Beverage extractor
JP3006440B2 (en) Steam iron
JP6268201B2 (en) Steam equipment
JP7010677B2 (en) iron
JP5035758B2 (en) Steam iron
KR100947459B1 (en) Steam press for bonding of hot fix
JP2007130143A5 (en)
CN116419996A (en) Iron assembly of hybrid garment steamer
KR101133022B1 (en) Adhesion machine
JP2001204998A (en) Iron
JP2014131773A (en) Iron
KR102224062B1 (en) Control method of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20230094138A1 (en)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12834663U (en) Heating plate
JP2020137619A (en) Steam jetting unit and steam iron
JP2007089640A (en) Steam iron
KR20220055255A (en) Control method of beverage extracting machine exclusively for coffee capsules and tea capsules using dual nozzles
JP2007322047A5 (en)
JP4544193B2 (en) Steam iron
KR101624082B1 (en) A installing machine of seatback pocket
KR200462246Y1 (en) Composite press for setting accessories
KR101621697B1 (en) Extended electric heating unit for steam iron, intelligent steam iron and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