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185A -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185A
KR20110028185A KR1020090086157A KR20090086157A KR20110028185A KR 20110028185 A KR20110028185 A KR 20110028185A KR 1020090086157 A KR1020090086157 A KR 1020090086157A KR 20090086157 A KR20090086157 A KR 20090086157A KR 20110028185 A KR20110028185 A KR 2011002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virtual image
target device
image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2957B1 (en
Inventor
김종철
박종순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957B1/en
Priority to PCT/KR2010/005079 priority patent/WO2011019155A2/en
Priority to PCT/KR2010/005078 priority patent/WO2011019154A2/en
Priority to US12/856,455 priority patent/US8928452B2/en
Priority to US12/856,436 priority patent/US8539541B2/en
Publication of KR2011002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9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upply convenient user interface. CONSTITUTION: A camera unit(12) photographs a target device. A communication unit(13) transmits a control signal. A display unit(14) displays an synthesis image. A user input unit receives a user input. A control unit(11) controls a virtual image by operating and displaying the image.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타겟 장치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와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nd displaying a virtual image of a real image photographing a target device and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게임기, 오디오 등 가전 제품들을 제어하는 리모컨이 존재한다. 이러한 리모컨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가전 제품에 바이너리 코드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가전 제품의 볼륨, 채널, 동작 모드 등을 제어한다. There are remote controls that control home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s, DVD players, game consoles, and audio. The remote control transmits a binary code to the home appliance using infrared rays, and controls the volume, channel, operation mode, etc.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ly.

최근에는 일 가정에 구비되는 가전 제품의 종류 및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다수의 가전 제품들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이 출시되었다. Recently, as the type and number of home appliances provided in a home increase, a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with a single remote controller has been released.

하지만, 이러한 통합 리모컨도 다수의 가전 제품들에 대한 리모컨을 하나의 기기로 통합하였다는 것 외에는 별다른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However,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does not provide any convenience other than integrating a remote controller for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nto a single device.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가전 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원격 제어 장치가 요구된다. There is a need for new remote control devices that can more conveniently and intuitively control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사용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more intuitive and easy to use.

본 발명은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다수의 컨텐츠를 브라우징(browsing)하고,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re intuitively and easily browsing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by a target apparatus, and selecting and executing predetermined contents.

본 발명은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타겟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선택하고, 상기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a target device more intuitively and easily, and executing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on the target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타겟 장치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장치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타겟 장치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target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content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target devic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composite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re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and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input for manipulating the virtual imag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o display and manipulate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은 타겟 장치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 치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mot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the target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on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Generating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synthesizing and displaying the actu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사용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interface more intuitive and easy to use.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다수의 컨텐츠를 열람하고, 소정의 컨텐츠를 상기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by the target apparatus can be viewed more intuitively and easily, and predetermined contents can be executed on the target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타겟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선택하고, 상기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arget device more intuitively and easily, and to execute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on the target devic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는 타겟 장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12), 상기 타겟 장치에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타겟 장치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13), 상기 타겟 장치의 촬영된 실제 이미지 또는 그와 관련된 가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 상기 타겟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타겟 장치와 관련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실제 이미지와 상기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camera 12 and the target apparatus to capture an image of the target apparatus, and communicates with the target apparatu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 a display unit 14 displaying a photographed re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or a virtual image related there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arget device, and a virtual image associated with the target device And a controller 11 which controls to synthesize and display the real image and the virtual image.

타겟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장치로서, TV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영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타겟 장치는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VCR, PC, MP3 플레이어, 오디오, DVix 플레이어, 게임기 등 상기 방송 수신 장치 또는 영상 표시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일 수 있다.The target device is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such as a TV or an imag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display unit.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arget device may be a DVD player, a Blu-ray player, a VCR, a PC, an MP3 player, an audio device, a DVix player, a game device, or the like.

카메라(12)는 타겟 장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카메라는 휴대폰 등의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The camera 12 captures an image of the target device and transfers the image to the controller 11. The camera may be a camera module mounted on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근거리 통신 모듈(13)은 상기 타겟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원격 제어 장치(10)의 명령을 전달하고, 타겟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3)로는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직비(zigbee)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RF 통신 모듈 등 임의의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 communicates with the target device, transmits a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receives data from the target devic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 may use any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module, 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n RF communication module, or a combination thereof.

디스플레이부(14)는 카메라(12)가 촬영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2)가 촬영한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와 제어부(11)가 생성해낸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14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actu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 and the virtual imag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 is output.

디스플레이부(14)는 LCD, OLED, VFD, 전기 영동 장치 등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 may be any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n LCD, an OLED, a VFD, an electrophoretic device, and the like.

또한, 디스플레이부(14)는 전면에 터치 패널이 장착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전기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 용량 방식 등 널리 공지된 임의의 방식의 터치 패널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4 may be a touch screen on which a touch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The touch panel may be a touch panel of any type well known, such as an electric resistive film type or a capacitive type.

제어부(11)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면, 그 중에서도 카메라(12)가 촬영한 실제 영상에, 그와 관련된 가상 이미지를 합성한 이미지를 생성해 낸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상 이미지는 촬영된 타겟 장치와 관련된 이미지로서, 타겟 장치가 TV인 경우에는 복수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브라우징 이미지 또는 TV에 연결된 외부 장치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타겟 장치가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VCR, PC, MP3 플레이어, 오디오, DVix 플레이어, 게임기 등의 외부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외부 장치들이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When the controller 11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e controller 11 generates an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virtual image associated with the actual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 among other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virtual image is an image related to the captured target device. When the target device is a TV, the virtual image may be a channel browsing image for a plurality of channels or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V. When the target device is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player, a Blu-ray player, a VCR, a PC, an MP3 player, an audio, a DVix player, a game machine, or the like, the target device may be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on content that the external devices can provide.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내부에는 원격 제어 장치(1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가 장착될 수도 있다. 움직임 센서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 원격 제어 장치(10)의 움직임을 검출해낼 수 있는 임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gesture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may be mounted inside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s the motion sensor,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may be used.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에 인가되는 제스쳐를 검출하여 그 제스쳐에 다양한 명령을 맵핑할 수 있다. 제스쳐에 의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later, a gesture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may be detected and various commands may be mapped to the gesture. By inputting a command by the gesture, a user may be provided with a more intuitive and easy user interfac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a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정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후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의 정면은 사용자를 향할 수 있고, 후면은 제어하고자 하는 타겟 장치를 향할 수 있다.2A and 2B show an appearance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erspective view including the fro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including the back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ront sid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may face the user, and the rear side may face the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의 정면에는 디스플레이 부(14)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14)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display unit 14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The display unit 14 may be a touch screen.

디스플레이부(1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에는 기타 제어 버튼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버튼은 전원버튼(21), 채널 조정 버튼(24), 볼륨 조정 버튼(25), 뮤트 버튼(23), 이전 채널 버튼(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 버튼은 타겟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4)로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고, 제어 버튼들 중 한 두개만 남기고, 나머지 버튼들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도 있다.Other control buttons may be disposed in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display unit 14. The control button may include a power button 21, a channel control button 24, a volume control button 25, a mute button 23, a previous channel button 22,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button may include various button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and may vary according t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touch screen may be used as the display unit 14, only one or two of the control buttons may be left, and the remaining buttons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도 2b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10)의 후면에는 카메라(12)가 배치된다. 카메라(12)는 동작시에 타겟 장치를 촬영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12)와 디스플레이부(14)가 향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즉, 카메라(12)는 제어할 타겟 장치를 향하고, 디스플레이부(14)는 사용자를 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camera 12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The camera 12 may face the direction of photographing the target device during operation. Preferab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12 and the display unit 14 face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the camera 12 may face the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and the display 14 may face the user.

실시예에 따라서는, 카메라(12)에는 액추에이터가 연결되어 상하(27) 또는 좌우(28)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ctuator 12 is connected to the camera 12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the direction in the up and down 27 or left and right (28) direc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와 외부 장치 간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3 and 4 illustrate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는 타겟 장치 중 하나, 예컨대 TV(31)와 직접 통신을 하고, TV(31)는 기타 외부 장치들(32,33)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TV(31) 대신에 튜너가 없는 영상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one of the target devices, for example, the TV 31, and the TV 31 may communicate with other external devices 32 and 33 by wire or wirelessly. . Instead of the TV 31, a video display device without a tuner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10)는 TV(31)와 통신한다. TV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전송받은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들(32,33)에게 명령을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들(32,3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격 제어 장치(10)로 전송한다. TV(31)에는 원격 제어 장치(10)와 통신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되어야 하고, 외부 장치들(32,33)은 TV(31)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되면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communicates with the TV 31. The TV transmits a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s 32 and 33 or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s 32 and 33 according to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should be mounted on the TV 31, and the external devices 32 and 33 may be equipped wit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th the TV 31.

TV(31) 또는 영상 표시 장치는 외부 장치(32,33)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32)는 DVD 타이틀을 재생하여 TV(31)에 전송하며 TV(31)에 DVD 타이틀에 포함된 콘텐츠가 표시된다. 또한, 게임기(33)에 게임 타이틀을 재생시키면, 게임 화면이 TV(31)에 표시된다. 외부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에는 사운드만 TV(31)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The TV 31 or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receive and display content from the external devices 32 and 33. For example, the DVD player 32 plays the DVD title and transmits it to the TV 31, and the TV 31 displays the content included in the DVD title. In addition, when the game title is played back on the game machine 33, the game screen is displayed on the TV 31. FIG.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n MP3 player, only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TV 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는 TV(31) 뿐만 아니라, 기타 외부 장치들(32,33)과도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외부 장치들(32,33)에는 TV(31)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 외에도 원격 제어 장치(10)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may be configured to enable direct communication with not only the TV 31, but also other external devices (32, 33). .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s 32 and 33 should be equipp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n addition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th the TV 31.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 TV(31) 또는 외부 장치(32,33)에 장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직비(zigbee)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RF 통신 모듈 등 임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he TV 31, or the external devices 32 and 33 may b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module, or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 an RF communication module, or any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34)는 원격 제어 장치(10)를 제어하고자 하는 타겟 장치 쪽으로 카메라가 향하게 한 다음, 다양한 방법으로 타겟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user 34 may direct the camera toward the target device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then control the target device in various ways.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0)를 조작하여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원격 제어 장치(10)가 특정 동작 모드에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특정 동작 모드는 제어 모드, 메뉴 조작 모드, 화면 동기화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user can change the operation mode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performe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in a specific operation mode. The specific operation mode may include a control mode, a menu operation mode, a screen synchronization mode,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가 향하는 타겟 장치에서 표시되는 콘텐츠가 원격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원격 제어 장치가 예컨대, 화면 동기화 모드에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to which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directed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4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his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in a screen synchronization mode, for example.

도 3 또는 도 4에서 원격 제어 장치(10)가 턴온된 상태에서 TV(31)를 향하면, 현재 TV(31) 화면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 즉 TV 방송 프로그램 또는 DVD 플레이어에서 재생하고 있는 화면이 원격 제어 장치(10)의 화면에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3 or 4,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turned on to the TV 31,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on the TV 31 screen, that is, the screen being played on the TV broadcast program or the DVD player, is remote. I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device 10 as it is.

TV(31)는 튜너 또는 TV가 IPTV 또는 브로드밴드 TV인 경우에는 인터넷 케이블을 통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도 있고, 외부 장치들(32,33)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When the tuner or TV is an IPTV or a broadband TV, the TV 31 may display a broadcast program received through an internet cable or may display content received from external devices 32 and 33.

원격 제어 장치(10)가 TV(31)를 향하면,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어부(11)는 카메라(12)를 통해 현재 원격 제어 장치(10)가 TV(31)를 향하고 있음을 판단하고, 도 5와 같이, TV(31)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faces the TV 31, the control unit 11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etermines that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currently facing the TV 31 through the camera 12.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from the TV 31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14.

TV(31)는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술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해서 원격 제어 장치(10)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10)는 그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한다. The TV 31 transmits the displayed image data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using the above-mentioned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displays the image data on the display 14.

일단 TV(31)의 재생 중인 콘텐츠를 원격 제어 장치(10)에 표시하는 동작이 개시되면, 원격 제어 장치(10)(또는 카메라(12))가 다른 곳을 향하더라도, 사용자로부터 다른 입력이 있을 때까지 TV(31)로부터 콘텐츠를 계속 수신해서 표시할 수 있다.Once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TV 31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started, there may be other input from the user, even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or the camera 12) faces away. The content can continue to be received from the TV 31 until it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는 타겟 장치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2),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장치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13), 상기 타겟 장치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2 photographing a target device,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information of content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target device ( 13), a display unit 14 for displaying a composite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actu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manipulating the virtual image, and the received image. The controller 11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o display and manipulate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이하, 첨부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2.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와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72)가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예시도이다. FIG. 6A illustrates a remote control apparatus 10 for displaying a composite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real image 71 of the target apparatus and a virtual image 72 of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카메라부(12)는 타겟 장치를 촬영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6A, the camera unit 12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photographs a target device and provides an actu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to the controller 1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겟 장치는 TV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일 수 있으나, 상기 타겟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소정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 휴대용 단말기, USB 메모리, VCR, 컴퓨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외부 기기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arget device may be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such as a TV, but the target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image or video, an audio device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ice, and the broadcast reception. It may be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player, a Blu-ray player, a game machine, a portable terminal, a USB memory, a VCR, a computer, an MP3 player, etc., which is connected to the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to provide predetermined content.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겟 장치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이면, 상기 컨텐츠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방송 채널이며,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방송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채널의 채널 번호, 방송국 이름, 대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 receives information of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arget device is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may be a broadcast channel provid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be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That is,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 channel number of a channel provided by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a broadcast station name, a representative image, and the like.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겟 장치가 DVD 플레이어이면, 상기 컨텐츠는 상기 DVD 플레이어에 삽입된 DVD 타이틀일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DVD 타이틀의 타이틀, 장르, 재생 시간, 시청 등급, 대표 이미지, 주요 장면에 대한 스 냅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the target device is a DVD player, the content may be a DVD title inserted into the DVD player,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include a title, genre, play time, viewing rating, representative image, It can include snapshots of key scenes.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겟 장치가 컴퓨터이면,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영상, 음성, 이미지,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 대표 이미지 등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the target device is a computer, the content may be video, audio, image, and text data stored in the computer,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be a title, a representative image, or the like of the content.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11)로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1, the control unit 11 generates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In detail, the controller 11 generates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여기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된 실제 이미지와 달리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객체를 나타내는 이미지로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11)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이미지, 동영상 등일 수 있다. Here, the virtual image is an image representing an object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unlike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 The virtual image is a graphic, an image, a video, etc.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1. Can be.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는 상기 컨텐츠의 제목, 대표 이미지와 같은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 generates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image for the content may include content information such as a title of the content and a representative image.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72)는 상기 타겟 장치, 즉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방송 채널의 채널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72)는 해당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대표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A, the virtual image 72 of the content may include a channel number of a broadcast channel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that is,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virtual image 72 may further include a representative image of a program broadcast on a corresponding channel.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생성된 가상 이미지(72)를 상기 카메라부(12)가 촬영한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와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 플레이부(14)가 상기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 synthesizes the generated virtual image 72 with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 to generate a composite image, and the display unit 14 displays the synthesized image. You can control to display a composite image.

즉, 도 6a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이미지(71)는 카메라부(12)가 촬영한 실제 이미지이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이미지(71) 주변에 위치하는 이미지(72)는 상기 제어부(11)에 의해 생성된 가상 이미지이다. 각각의 가상 이미지(72)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채널에 대응하며, 사용자는 상기 실제 이미지(71) 주변에 표시된 가상 이미지(72)를 통해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채널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in FIG. 6A, the image 71 of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an actual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 and the image 71 of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The image 72 positioned around the circumference is a virtual imag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1. Each virtual image 72 corresponds to a channel provided by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a user can check a list of channels provided by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through the virtual image 72 displayed around the real image 71.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may be a plurality, and the display unit 14 may display a plurality of virtu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s in a predetermined pattern.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 즉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채널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72)를 소정 패턴, 예컨대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를 중심으로 파노라마 식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A, the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that is, the channel provided by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may be a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 display unit 14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s. The virtual image 72 may be displayed by being arranged in a panorama pattern around a predetermined pattern, for example,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도 6a에서 상기 가상 이미지(72)는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를 중심으로 좌우로 배열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72)는 상기 실제 이미지(71)를 중심으로 상하 또는 대각선으로도 배열될 수 있다. In FIG. 6A, the virtual image 72 is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about the re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image 72 is vertically or vertically centered on the real image 71. It can also be arranged diagonally.

실시예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72)는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 주변에 원형으로 배열되어 사용자가 상기 복 수의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72)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6B, the virtual image 72 of the content is arranged in a circle around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so that a user can view the virtual image 72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 At a glance.

도 6a 및 도 6b는 상기 타겟 장치가 방송 수신 장치인 경우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겟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상기 컴퓨터의 실제 이미지(73) 및 상기 컴퓨터가 제공하는 컨텐츠, 예컨대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74)를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6A and 6B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target device is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As shown in FIG. 6C, when the target device is a computer,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may display an actual image of the computer. 73 and a virtual image 74 of content provided by the computer, for example, content stored in the computer, may be synthesized and displayed.

마찬가지로,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컨텐츠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74)을 상기 컴퓨터의 실제 이미지(73) 주변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Similarly, the content stored in the computer may be plural.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4 assigns a plurality of virtual images 74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 to the periphery of the actual image 73 of the computer. It can be arranged in a pattern.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manipulating the displayed virtual image, and the controller 11 may control to manipulate and display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키 버튼 및 움직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 touch screen, a key button, and a motion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쳐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드래그 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72)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 unit is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detects a user's drag gesture, and the controller 11 responds to the detected drag gesture to the virtual image 72. Can be moved in the drag direction.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사용자 입력부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스크린이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쳐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드래그 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가상 이미지(72)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A,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may include a touch screen as a user input unit, and when the touch screen detects a user's drag gesture, the controller 11 may determine the touch screen. The displayed virtual image 72 may be moved in the drag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rag gesture.

그 결과, 상기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72)은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복수의 채널이 연속적으로 스캐닝(즉, 채널 브라우징)될 수 있다. 즉, 도 6a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CH 7부터 CH 13까지의 채널에 대한 가상 이미지(72)를 표시하였지만, 도 7a와 같은 드래그 제스쳐에 의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CH 7 내지 CH 13 외에 CH 2 내지 CH 6과 같은 다른 채널들을 연속적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virtual images 7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moved in the drag dir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continuously scanned (that is, channel browsing). That is, in FIG. 6A,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isplays the virtual image 72 for the channels CH 7 to CH 13, but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isplays the CH 7 by the drag gesture as shown in FIG. 7A. In addition to CH 13, other channels such as CH 2 to CH 6 may be continuously browsed.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목록을 보다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and intuitively check the list of content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by inputting the user inpu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키 버튼이고, 사용자가 소정의 키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키 버튼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들(72)을 연속적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 unit is a key button and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button, the controller 11 continuously displays the virtual images 72 in response to the key button input. You can brow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움직임 센서인 경우, 상기 움직임 센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움직임 방향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 unit is a motion sensor, the motion sensor detects a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unit 11 move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You can also move the virtual image.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 센서가 검출한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하는 예시도로서, (i)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정면도이고, (ii)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 및 타겟 장치(31)의 평면도이다. FIG. 7B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of a virtual image according to a movement direction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detected by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i) is a front view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Ii) is a plan view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the target device 31.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를 소정 방향, 예컨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에 내장된 움직임 센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틸팅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틸팅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72)를 원격 제어 장치(10)의 틸팅 방향, 즉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7B, when the user tilts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a motion sensor embed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may be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n response to the tilting of the controller 11, the controller 11 may move the virtual image 72 to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that is, to the right in response to the detected tilting.

그 결과, 도 7a와 유사하게, 상기 복수의 가상 이미지(72)는 연속적으로 스캐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의 목록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similar to FIG. 7A, the plurality of virtual images 72 are continuously scanned to display virtual images for other content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so that the user can view a plurality of contents. You can see a list of at a glan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움직임 센서는 관성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움직임 방향, 회전 방향, 틸팅 방향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tion sensor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movement direction, a rotation direction, a tilting direction, and the lik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such as an inertial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도 7b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반시계 반대 방향으로 틸팅되고, 상기 가상 이미지(72)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컨텐츠가 브라우징 되었지만, 이와 반대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시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고, 상기 움직임 센서는 상기 시계 방향으로의 틸팅을 검출할 수도 있다.In FIG. 7B,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tilted counterclockwise, and the virtual image 72 is moved to the right to browse the contents. In contrast,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tilted clockwise. The motion sensor may detect til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시계 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에 내장된 움직임 센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틸팅 방향을 검 출하고, 상기 검출된 틸팅 방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표시된 가상 이미지(72)를 상기 틸팅 방향, 즉 좌측으로 이동시켜 컨텐츠를 브라우징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til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motion sensor built in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etects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detects the detected tilting direction. In response, the controller 11 may browse the contents by moving the displayed virtual image 72 to the tilting direction, that is, to the left.

이 경우, 상기 채널에 대한 가상 이미지들(72)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도 6a에 표시된 CH 7 ~ CH 13 외에 CH 14 이상의 다른 채널들에 대한 가상 이미지가 표시되고,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채널 목록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while the virtual images 72 for the channel are moved to the left, the virtual images for the other channels of CH 14 or more besides CH 7 to CH 13 shown in FIG. 6A are displayed, and as a result, the user can select the channel list. You can see at a gl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지 않고, 상기 카메라부(12)가 촬영한 실제 이미지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들을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does not receive a separate user input through a user input unit, and analyzes a change pattern of an actu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 to analyze the virtual image. Can manipulate them.

구체적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우측으로 움직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된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것이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C, whe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is moved to the right by a user,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apparatu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ll move left on portion 14.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된 영상, 예컨대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7c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카메라부(12)가 촬영한 영상 중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파악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우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 may determine a mo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by analyzing a change pattern of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 for example, an actual image of a target device. That is, in FIG. 7C, the controller 11 determines that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is moved to the left among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 so that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moves to the right. You may decide to move.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7c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가상 이미지(72)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이동 방향인 우측으로 이동시켜 채널을 브라우징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11 may move the virtual image in the determined movement direction. That is, in FIG. 7C, the controller 11 may browse the channel by moving the virtual image 72 to the right side, which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10)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카메라부(12)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가상 이미지(72)를 이동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the virtual image 72 by analyz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 without a user input through a user input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rtual image for a predetermined content, and the controller 11 causes the target device to execut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A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예를 들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가상 이미지들(72) 중 소정의 가상 이미지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D, when the user input unit is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detect a touch gesture of a user who touches a predetermined virtual image among the virtual images 72.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터치 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 예컨대 도 7d에서 CH 12를 상기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virtual image, for example, CH 12 in the target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touch gesture.

그리고 나서,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하고, 그 결과, 상기 타겟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출력할 수 있다. Then, 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target device, and as a result, the target device may output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선택할 가상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스쳐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virtual image may be a gesture for placing the virtual image to be selec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4.

예를 들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가상 이미지(즉, CH 12의 가 상 이미지)를 터치하는 대신, 상기 소정의 가상 이미지를 드래그 앤 드랍 제스쳐를 통해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로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해당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D, instead of touching a predetermined virtual image (ie, a virtual image of CH 12), the predetermined virtual image may be dragged and dropped to give an actu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 71, the control unit 11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arget device to execut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virtual image.

실시예에 따라, 도 7b에서, 상기 움직임 센서가 더 이상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틸팅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틸팅 전으로 복귀한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가상 이미지들(72)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위치에 위치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겟 장치에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FIG. 7B, when the motion sensor no longer detects the tilting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returns to before the tilting, the control unit ( 11)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virtual images 72 and controlling the target device to execut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mag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다시 말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틸팅 전으로 복귀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위치, 예컨대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가 표시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와 겹쳐진 가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타겟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returns to before the tilting, the control unit 11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at a position where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is displayed. The virtual image overlapped with the image 71 may be selected. Thereafter,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on the target devic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다수의 컨텐츠를 브라우징할 뿐만 아니라,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may not only browse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but also select and execute specific content on the target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타겟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further receive information on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arget device, and the display unit 14 may further display a virtual image of the external device. .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10)는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72) 외에 상기 타겟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를 더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A,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rtual image 81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arget device in addition to the virtual image 72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 Can be provided furth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72)와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는 함께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가상 이미지가 개별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image 72 for the content and the virtual image 81 for the external device may be displayed toge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virtual image may be displayed separately.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타겟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장치가 방송 수신 장치인 경우,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 예컨대 DVD 플레이어, 게임기, 컴퓨터, USB 메모리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는 외부 기기의 종류, 상기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타이틀, 장르, 재생 시간, 시청 등급, 대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 receives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when the target device is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player, a game machine, a computer, a USB memory, or the like, which is wirelessly or wired connected to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have.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the type of the external device, the title, genre, playback time, viewing grade, representative image, and the like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수신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생성된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를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와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n, the controller 11 generates a virtual image 81 for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en, the controller 11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synthesize the virtual image 81 of the generated external device with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를 통해 상기 타겟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arget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기기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e display unit 14 may arrange and display a plurality of virtu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in a predetermined pattern.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81)을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파노라마 식으로 배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8A, the display unit 14 displays a plurality of virtual images 8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Can be arranged in a panoramic manner.

실시예에 따라, 도 6a 및 도 6b와 유사하게, 상기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81)은 상하 방향 외에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 주변에 원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similar to FIGS. 6A and 6B, the plurality of virtual images 81 may be arrang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in addition to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arranged in a circle around the actual image 71 of.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72)와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를 동시에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72)의 배열 패턴(예컨대, 좌우 방향의 파노라마)과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의 배열 패턴(예컨대, 상하 방향의 파노라마)을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virtual image 72 for the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and the virtual image 81 for the external device are simultaneously provided, as illustrated in FIG. 8A, the remote control device ( 10 may be displayed by differently arrang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virtual image 72 for the content (for example, a panoram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virtual image 81 for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panorama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를 이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user input for moving the virtual image 81 for the external device, and the control unit 11 responds to the user input for the virtual device for the external device. Image 81 can be moved.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의 이동은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로 기술된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72) 이동과 유사하다. The movement of the virtual image 81 relative to the external device is similar to the movement of the virtual image 72 of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7C.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이 소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쳐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드래그 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2)를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8B, when the user input unit is a touch screen, when the touch screen detects a drag gestur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controller 11 responds to the detected drag gesture. The virtual image 82 for the external device may be moved in the drag direction.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움직임 센서인 경우, 상기 움직임 센서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움직임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원격 제어 장치(10)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2)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움직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8C, when the user input unit is a motion sensor, when the motion sensor detects a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he controller 11 may detect the detected remote control device 10. ), The virtual image 82 of the external device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도 8c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를 아래 방향으로 틸팅시킨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에 내장된 움직임 센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틸팅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틸팅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를 틸팅 방향인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C, when the user tilts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ownward, the motion sensor built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etects the tilting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 may move the virtual image 81 of the external device downward in a tilting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ed tilting.

마찬가지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윗 방향으로 틸팅된 경우, 상기 움직임 센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틸팅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틸팅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를 틸팅 방향인 윗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tilted upward, the motion sensor detects the tilting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11 responds to the detected tilting of the external device. The virtual image 81 for may be moved upward in a tilting direc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키 버튼을 통해 상기 가상 이미지(81)의 이동 방향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외부 기기의 가상 이미지(81)를 상기 입력받은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may receive a moving direction of the virtual image 81 through a key button, and the controller 11 inputs the virtual image 81 of the external device. It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receiv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도 7c와 유사하게 상기 카메라부(12)가 촬영한 영상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원격 제어 장치(1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가상 이미지(81)를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etermin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by analyzing a change pattern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 similarly to FIG. 7C. The virtual image 81 may be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그 결과,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10)는 복수의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81)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브라우징할 수 있어, 사용자는 상기 타겟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외부 기기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rowse while moving a plurality of virtual images 81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continuously, so that a user can view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arget device. I can grasp it at a gl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소정의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출력 신호가 상기 타겟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외부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rtual image for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and the control unit 11 outputs an output signal of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may be generated to control the output from the target device.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가상 이미지(81), 예컨대 컴퓨터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즉 컴퓨터의 출력 신호가 상기 타겟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외부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9A, when detecting a touch input of touching a predetermined virtual image 81, for example, a virtual image for a computer,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1 may detect the detected touch input. In response, an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for controlling an output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that is, a computer, may be output from the target device.

상기 생성된 외부 입력 전환 신호는 상기 통신부(13)에 의해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되고, 상기 타겟 장치는 상기 외부 입력 전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외부 기기, 즉 컴퓨터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외부 입력을 전환할 수 있다. The generated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3 to the target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receives an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to output an output signal of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that is, a computer. You can switch.

상술한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72)의 선택과 유사하게,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81)는 드래그 앤 드랍을 통해 선택될 수도 있고, 키 버튼을 통해 선택될 수도 있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틸팅 전으로 복귀한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위치에 위치한 외부 기기의 가상 이미지(81)를 선택하여 외부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imilar to the selection of the virtual image 72 for the above-described content, the virtual image 81 for the external device may be selected by drag and drop, may be selected via a key button, the remote control device When 10 returns to before the tilting,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may be generated by selecting the virtual image 81 of the external devic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입력 전환 신호가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되면,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receive information of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와 상기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11 may generate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en, the controller 11 may control to synthesize and display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입력 전환 신호가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되면,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선택된 외부 기기, 즉 도 9a에서 컴퓨터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컴퓨터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82)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와 합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9B, when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3 receives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mputer in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that is, the computer in FIG. 9A. The controller 11 may generate a virtual image 82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mput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control to display the synthesized image with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Can be.

그 결과, 상기 타겟 장치의 주변에는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 즉 채널에 대한 가상 이미지(72)가 표시되는 대신, 상기 컴퓨터가 제 공하는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82)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도 7a 내지 도 7의 입력을 통해 상기 컴퓨터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브라우징하고 원하는 컨텐츠를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instead of displaying the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that is, the virtual image 72 for the channel, the virtual image 82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mputer is displayed around the target device. The user may browse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computer through the inputs of FIGS. 7A to 7 and execute the desired contents on the target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합성 이미지, 즉 실제 이미지(71)와 가상 이미지(72)가 합성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카메라부(12)가 향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합성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further receives a user input for continuously displaying the composite image, that is, th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real image 71 and the virtual image 72, and the controller 11. ) May control to continuously display the composite imag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unit 12 faces.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외부에 'lock' 버튼(16)을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 및 그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72)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has a 'lock' button 16 on the outside, and from the user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and a virtual image of its contents ( User input to continuously display 72).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2)가 영상 수신 장치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실제 이미지(71) 및 상기 영상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72)를 합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상기 'lock' 버튼(16)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카메라부(12)가 향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실제 이미지(71) 및 가상 이미지(72)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when the camera unit 12 captures an image receiving apparatus, the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actual image 71 of the imag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image receiving apparatus. When the user presses the 'lock' button 16, the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actual image 71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unit 12 faces. ) And the virtual image 72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그 결과, 사용자가 'lock' 버튼(16)을 누르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를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더라도,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lock 버튼(16)을 누른 때 표시되었던 실제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lock' button 16 and points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n any direc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oes not display the actual image that was displayed when the lock button 16 was pressed. The virtual image can be displayed continuously.

이 경우에도,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타겟 장치로부터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타겟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Even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receive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target devic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target device.

따라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를 상기 타겟 장치로 향하지 않고도, 사용자는 도 7a 내지 도 7d의 입력을 입력하여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브라우징할 수 있으며,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browse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by inputting the inputs of FIGS. 7A to 7D without poin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o the target device, and select and execute the desired content.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합성 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줌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줌 명령에 따라 상기 합성 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zoom command for zooming in or out of the composite image, and the controller 11 controls to zoom in or zoom out of the composite image according to the zoom command. Can be.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합성 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줌 명령은 키 버튼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에 구비된 줌 버튼(24)을 누르는 경우, 예컨대 '-'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실제 이미지(71) 및 가상 이미지(72)가 합성된 합성 이미지는 줌아웃되어 축소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zoom command for zooming in or out of the composite image may be input through a key butt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zoom button 24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is pressed, for example, when the '-' button is pressed, the real image 71 and the virtual image ( The synthesized image 72 may be zoomed out and reduced.

반대로, '+'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합성 이미지는 줌인되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 button is pressed, the composite image may be zoomed in and enlarged to be display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줌 명령은 터치 스크린 상의 멀티 터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을 터치 스크린에 접촉시키고, 두 손가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해당 멀티 터치 제스쳐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멀티 터치 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합성 이미지를 줌인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zoom command may be multi-touch on a touch screen. For example, if a user touches two fingers to the touch screen and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ngers, the touch screen detects the corresponding multi-touch gesture, and the controller 11 responds to the multi-touch gesture. To zoom in on the composite image.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의 가상 이미지(81)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를 선택하는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의 실제 이미지를 통해 외부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Unlik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external device is selected through the virtual image 81 of the external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9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may be selected through the actual image of the external devic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외부 기기의 출력 신호를 타겟 장치로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외부 입력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외부 입력 전환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를 '외부 입력 전환 모드'로 설정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n 'external input change command' for transmitting and outputting an output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to a target device. Then, the control unit 11 sets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o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mode' in response to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command.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타겟 장치로 출력 신호를 전송할 외부 기기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를 상기 선택할 외부 기기로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In this case, the user places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t the external device to be selected in order to select an external device to transmit an output signal to the target devic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의 출력 신호를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를 상기 컴퓨터로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send an output signal of a computer to the target device, the user can pos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o face the computer.

이 경우, 상기 카메라부(12)는 상기 선택될 외부 기기, 즉 컴퓨터를 촬영할 수 있고,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촬영된 컴퓨터의 실제 이미지(73)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mera unit 12 may photograph the external device to be selected, that is, the computer, and as shown in FIG. 12A, the display unit 14 displays an actual image 73 of the photographed computer. can do.

도 12a의 상단에 표시된 메시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현재 '외부 입력 전환 모드'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이다. The message displayed at the top of FIG. 12A is a message for notifying the user that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is currently in an 'external input switching mode'.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상기 촬영된 외부 기기의 실제 이미지(73)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n, the user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actual image 73 of the photographed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컴퓨터의 실제 이미지(73)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실제 이미지(73)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된 실제 이미지(73)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즉 컴퓨터의 출력 신호를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시켜 상기 타겟 장치에서 출력시키는 외부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외부 입력 전환 신호는 통신부(13)를 통해 타겟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B, when a user touches an actual image 73 of a computer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detects a touch input of the actual image 73, and the controller (11) transmits an output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actual image 73, that is, a computer, to the target device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to generate an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for outputting from the target device, The external input switch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

상기 타겟 장치는 상기 외부 입력 전환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컴퓨터를 외부 기기로 설정하여 상기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target device may receive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and accordingly set the selected computer as an external device to receive and output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2)가 상기 선택될 외부 기기, 즉 컴퓨터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촬영된 외부 기기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출력 신호를 타겟 장치로 전송시켜 출력시키는 외부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amera unit 12 photographs the external device to be selected, that is, the computer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ler 11 automatically selects the photographed external device to select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signal may be generated by transmitting an output signal to the target device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즉,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를 선택하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선택할 외부 기기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외부 기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utput signal of the photographed external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and output by photographing the external device to be sel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a separate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external devi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선택될 외부 기기의 실제 이미지(73)를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가 표시된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아, 외부 기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하여 출력 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receives a user input of dragging and dropping the actual image 73 of the external device to be selected to the point where the actu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is displayed, and outputting the external device.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and output.

예를 들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선택할 외부 기기 및 타겟 장치가 디스플레이부(14)에 모두 표시되도록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술한 줌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2C, the user may adjust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such that both the external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to be selected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In this case, the user may enlarge or reduc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by inputting the above-described zoom command.

상기 디스플레이부(14)가 상기 외부 기기 및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3,71)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상기 외부 기기의 실제 이미지(73)를 상기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71)로 드래그 앤 드랍시킬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4 displays real images 73 and 71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the user drags and drops the real image 73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real image 71 of the target device. You can.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드래그 앤 드랍 제스쳐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출된 드래그 앤 드랍 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 예컨대 컴퓨터의 출력 신호를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detects the drag and drop gesture, and the controller 11 transmits and outputs an output signal of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computer, to the target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rag and drop gesture. You ca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91)은 타겟 장치를 촬영한다. 즉,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10)에 구비된 카메라부(12)는 상기 타겟 장치를 촬영하여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를 제공한다. Step S91 photographs the target device. That is, the camera unit 12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the target device to provide an actu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겟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arget device may be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that provides a broadcast program.

단계(S92)는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한다. 즉, 통신부(13)는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겟 장치가 방송 수신 장치이면 상기 컨텐츠는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다수의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다. Step S92 receives information of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3 receives information of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target device is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the content may be a broadcast program of a plurality of channels provid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hav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채널의 채널 번호, 방송국,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대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include a channel number of the channel, a broadcasting station, a representative image of a broadcast program provided in the channel, and the like.

단계(S93)은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In operation S93,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content. That is, the controller 11 generates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content.

단계(S94)는 상기 타겟 장치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와 상기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생성된 가상 이미지와 상기 카메라부(12)가 촬영한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In operation S94, the actual image captured by the target device and the virtual image are synthesized and displayed. That is, the controller 11 controls to display the generated virtual image and the actu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 and display them on the display unit.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tents, a plurality of virtu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arranged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단계(S95)는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가상 이미지와 실제 이미지가 합성된 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tep S95 receives a user input for manipulating the virtual image. For example, the user may move the virtual image through a user input unit or receive a user input of zooming in or out of an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virtual image with the actual imag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키 버튼 및 움직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screen, a key button, and a motion sensor.

단계(S96)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여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아웃시킬 수 있다. Step S96 manipulates and displays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That is, the controller 11 may move the virtual image or zoom in or zoom ou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 예컨대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다수의 채널들의 목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check a list of content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a plurality of channels provid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단계(S97)은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가상 이미지들을 이동시켜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채널들을 브라우징한 후, 사용자는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한다. Step S97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rtual image. That is, after the user browses the channels provid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by moving the displayed virtual images, the user input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hannel to be watched.

단계(S98)은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원하는 채널의 가상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채널을 방송 수신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Step S98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on the target device. That is, when the virtual image of the desired channel is selected, the controller 11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in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단계(S99)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한다. Step S99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target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10)를 통해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 예컨대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하는 채널들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브라우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browse content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channels provid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에 표시된 채널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을 원하는 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annel of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may be switched to a desired channel by selecting a virtual image of the channel displayed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가 외부 장치를 향하는 경우에는 그 외부 장치의 정보를 가상 이미지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도 원격 제어 장치(10)가 제어 모드에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faces an external devic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as a virtual image. This embodiment may also be performe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in the control mode.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가 외부 장치, 예컨대 DVD 플레이어(32)를 향한다고 가정한다. 원격 제어 장치(10)의 카메라는 DVD 플레이어(32)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어부는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원격 제어 장치(10)가 DVD 플레이어(32)를 향하고 있음을 판단한다. As shown in FIG. 14, it is assumed that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faces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player 32. The camera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captures an image of the DVD player 32, and the controller analyzes the captured image to determine that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is facing the DVD player 32.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어부는 DVD 플레이어(32)로부터 DVD 플레이어(32)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여 DVD 플레이어의 이미지(62) 주변에 가상 이미지(61)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32)에 삽입되어 있는 DVD 타이틀에 인어공주와 쿵푸팬더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DVD 플레이어(32)로부터 인어공주와 쿵푸팬더의 제목을 수신하여 가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5와 같이 DVD 플레이어의 실제 이미지(62)의 주변에 가상 이미지(61)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는 DVD 플레이어(31)에서 재생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The controller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may receive a list of playable contents stored in the DVD player 32 from the DVD player 32 and display the virtual image 61 around the image 62 of the DVD player. . For example, when the mermaid and the kung fu panda are included in the DVD title inserted into the DVD player 32, the mermaid and the kung fu panda title may be received from the DVD player 32 to generate a virtual image. . Then, as shown in FIG. 15, the virtual image 61 may be displayed around the actual image 62 of the DVD player. From the image displayed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list of contents playable in the DVD player 31.

또한, DVD 플레이어 이미지(62)의 주변에 재생 가능한 컨텐츠 목록의 가상 이미지(61)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virtual image 61 of the reproducible content list around the DVD player image 62,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contents.

컨텐츠 목록의 가상 이미지(61)는 컨텐츠들의 제목 등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DVD 타이틀의 겉표지 이미지, 컨텐츠들을 나타내는 캐릭터나, 광고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virtual image 61 of the content list may include text such as titles of contents, a cover letter image of a DVD title, a character representing contents, or an advertisement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가 향하는 타겟 장치의 메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원격 제어 장치(10)가 예컨대, 메뉴 조작 모드에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used to control a menu of a target device to which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directed. This embodiment can be performe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s in the menu operation mode, for example.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가 TV(31)를 향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즉 원격 제어 장치(10)의 카메라가 TV(31)를 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원격 제어 장치(10)가 TV(31)를 향한 상태에서, 도 16과 같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의 일측에 장착된 버튼(65)을 누르면, 원격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14)에 TV(31)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66)를 표시할 수 있다. 3 or 4, assume that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faces the TV 31, that is, the camera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faces the TV 31. As shown in FIG.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facing the TV 31, as shown in FIG. 16,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65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he displa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 14 may display a menu 66 for controlling the TV 31.

TV(31)의 제어 메뉴는 화면 조정, 예약 녹화, 볼륨 조정, 시간 조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nu of the TV 31 may include screen adjustment, reservation recording, volume adjustment, time adjustment, and the like.

위와 같은 동작은 TV(31) 뿐만 아니라, 다른 외부장치들(32,3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할 수 있다.The above operation may be similarly performed on the TV 31 as well as other external devices 32 and 33.

원격 제어 장치(10)의 버튼(65)은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를 통상적인 카메라의 촬영 버튼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로 타겟 장치를 촬영하는 것과 유사하게, 원격 제어 장치(10)를 향한 상태에서, 카메라의 촬영 버튼을 누르는 것과 동일하게 버튼(65)을 누르면, 촬영되고 있는 타겟 장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button 65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may allow the user to place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t the position of a shooting button of a conventional camera. The user can display a menu of the target device being photographed by pressing the button 65 in the same way as pressing the photographing button of the camera while fac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similarly to photographing the target device with the camera. Can be.

메뉴(66)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메뉴를 선택하고 TV(31)의 메뉴를 제어할 수 있다.With the menu 66 displayed, the user can touch the display to select the menu and control the menu of the TV 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에 타겟 장치들의 위치를 입력하면, 원격 제어 장치(10)의 카메라가 타겟 장치를 향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타겟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10)에 움직임 센서가 장착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ations of the target devices are inpu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he target devices may be controlled even when the camera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oes not face the target device. In this case, the motion sensor is mounted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34)가 원격 제어 장치(10)의 카메라가 타겟 장치들, 즉 TV(31) 및 외부 장치들(32,33)을 스캔하도록 한다. 스캔된 타겟 장치들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미지는 원격 제어 장치(1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원격 제어 장치(10)는 타겟 장치들의 이미지 및 그 위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7, the user 34 causes the camera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o scan the target devices, namely the TV 31 and the external devices 32, 33. The relative positions and images of the scanned target devices are stored in a memory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may display an image of the target devices and the location thereof on the display.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를 좌우로 움직이면, 원격 제어 장치(10) 내의 움직임 센서가 그 움직임을 검출하여 원격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side to side, the motion sensor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etects the movemen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즉, 원격 제어 장치(10)가 제어하고자 하는 타겟 장치를 향하지 않아도, 움직임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에 인가하는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고, 그 움직임에 따라 표시되는 타겟 장치를 변경할 수 있다. 표시되는 타겟 장치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동작들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does not face the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a motion sensor can be used to detect a motion that the user applies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splayed target device, the same ope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본 실시예는 원격 제어 장치(10)가 일단 타겟 장치들을 촬영하여 타겟 장치들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미지를 저장하고 나면, 원격 제어 장치(10)가 타겟 장치를 향하지 않아도, 또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카메라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도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ce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photographs the target apparatuses and stores the relative positions and images of the target apparatuses,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does not face the target apparatus, or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Even when the camera is disabled, the operations of the aforementioned various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타겟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 를 제어할 타겟장치를 향하게 할 필요가 없다. 단지, 원격 제어 장치가 제어할 타겟 장치들과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있기만 하면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does not need to point the target device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device in order to control the target devices. The remote control device only needs to be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th the target devices to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로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장착하기만 하면,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이 장착된 전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 등의 이동 단말기에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장착하면, 원격 제어 장치(10)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출시된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터치 스크린폰은 원격 제어 장치(10)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As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a display,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used as long as appropriate software is installed. For example, when appropriate software is attached to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it can be used as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In particular, recently released touch screen phon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is suitable for use as a remote control device (10).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로 사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8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100 usable as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not only a mobile phone but also a smart phone, an MP3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notebook computer, a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illustrat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1 shows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components.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required.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or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MediaFLO).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도 1의 근거리 통신 모듈(13)로 사용될 수 있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be used a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 of FIG. 1.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heck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ne example is 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The GPS modul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represented by latitude and longitude. For example, the GPS module can measure the exact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by triangulating three different distances.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with one satellite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GPS module can obtain not only the location of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but also accurate time together with three-dimensional speed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는 도 1의 카메라(12)로 사용될 수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terminal. The camera 121 may be used as the camera 12 of FIG. 1.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 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도 1에서, 디스플레이부(14)에 터치 패널을 장착한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FIG. 1,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a touch screen in which a touch panel i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14.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s, Video I / O (Input / Output) port, earphone port, etc. may be included.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nd a 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sound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14)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The display unit 151 may be the display unit 14 of FIG. 1.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3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n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and key signal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to inform this. Alternatively, when a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Of course, the signal for notification of event occurrence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voice output module 152.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the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도 1의 제어부(11)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ler 180 may be the controller 11 of FIG. 1.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It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낸다.2A and 2B show an appearance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와 외부 장치 간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3 and 4 illustrate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5 to 12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14 and 15 illustrate an external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16 illustrates a target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가 타겟 장치를 향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FIG. 17 illustrates a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control device without facing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다.18 shows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used as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6)

타겟 장치를 촬영하는 카메라부;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target device;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장치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content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target device; 상기 타겟 장치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composite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re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and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input for manipulating the virtual image; And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display and manipulate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타겟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이며,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정보인 원격 제어 장치.The target device is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is the remote control device channel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는 복수 개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원격 제어 장치.The plurality of contents, the display unit remote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virtu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을 이동시키는 원격 제어 장치.The control unit i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moving the plurality of virtual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키 버튼 및 움직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원격 제어 장치.And the user input unit is at least one of a touch screen, a key button, and a motion senso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user input unit comprises a touch screen, 상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쳐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제스쳐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원격 제어 장치.The touch screen detects a user's drag gesture, and the controller moves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drag gestur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움직임 센서를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user input unit comprises a motion sensor, 상기 움직임 센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원격 제어 장치.The motion sensor detects a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ler moves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겟 장치에서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rtual image for a predetermined content,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on the targe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되는 타겟 장치의 실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원격 제어 장치.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nalyze the actu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to be photographed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o move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vem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타겟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원격 제어 장치.The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arget device, and the display unit further displays a virtual image for the external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외부 기기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원격 제어 장치.And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plurality of virtu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소정의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출력 신호가 상기 타겟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외부 입력 전환 신호 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rtual image for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and the controller controls an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for controlling an output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to be output from the target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to produce.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외부 입력 전환 신호가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장치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와 상기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When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the actual image photographing the target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composite image for the displa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합성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하고, The user input unit further receives a user input to continuously display the composite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향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합성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The control unit i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o continuously display the composite imag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facing the camera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합성 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줌 명령을 수신하고,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zoom command for zooming in or out of the composite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줌 명령에 따라 상기 합성 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the composite image by zooming in or out according to the zoom command. 원격 제어 장치에서 실행되는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remote control method execu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타겟 장치를 촬영하는 단계;Photographing the target device; 상기 타겟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information on content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상기 타겟 장치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Synthesizing and displaying the actual image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virtual image of the content; 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 user input for manipulating the virtual image; And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여 표시하는 단계;Manipulating and displaying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타겟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이며,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채널 정보인 원격 제어 방법.The target device is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is channel information.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컨텐츠는 복수 개이며,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이미지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The content is a plurality, and the display step comprises the step of arrang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virtu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 in a predetermined pattern.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쳐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The receiving of the user input includes detecting a user's drag gesture through a touch screen,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드래그 제스쳐에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Manipulating and displaying the virtual image comprises moving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drag gesture. 제 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는 움직임 센서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he receiving of the user input includes detecting a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through a motion sensor, 상기 가상 이미지를 조작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Manipulating and displaying the virtual image comprises moving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제 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rtual image for predetermined content; 상기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겟 장치에서 실행시키 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on the target device; And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target device;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실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Analyzing the actual image to determin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상기 결정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단계;Moving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vement;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타겟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arget device; And 상기 수신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virtual image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소정의 외부 기기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rtual image for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상기 선택된 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출력 신호가 상기 타겟 장 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외부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n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for controlling an output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image to be output from the target device; And 상기 외부 입력 전환 신호를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signal to the target device;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25항에 있어서, 26.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information of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And 상기 타겟 장치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와 상기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Synthesizing and displaying a virtual image of the actual image photographing the target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KR1020090086157A 2009-08-14 2009-09-11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 KR1016129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157A KR101612957B1 (en) 2009-09-11 2009-09-11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
PCT/KR2010/005079 WO2011019155A2 (en) 2009-08-14 2010-08-02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10/005078 WO2011019154A2 (en) 2009-08-14 2010-08-02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12/856,455 US8928452B2 (en) 2009-08-14 2010-08-13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12/856,436 US8539541B2 (en) 2009-08-14 2010-08-13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157A KR101612957B1 (en) 2009-09-11 2009-09-11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185A true KR20110028185A (en) 2011-03-17
KR101612957B1 KR101612957B1 (en) 2016-04-26

Family

ID=4393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157A KR101612957B1 (en) 2009-08-14 2009-09-11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9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7394A1 (en) * 2013-06-03 2014-12-11 Daqri, Llc Data manipulation based on real world object manipul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63B1 (en) 2018-10-12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A mobile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3726A (en) 2006-03-09 2007-09-20 Fujifilm Corp Remote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7394A1 (en) * 2013-06-03 2014-12-11 Daqri, Llc Data manipulation based on real world object manipulation
US9639984B2 (en) 2013-06-03 2017-05-02 Daqri, Llc Data manipulation based on real world object manip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957B1 (en)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9541B2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9201470B2 (en) Mobile terminal and three-dimensional (3D) multi-angle view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68699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6531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EP217828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related to external devices
KR101592033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dividing screen thereof
US896640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of sending inform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ystem
US1033134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9874312B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audio data
CN109729378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ethod and device for getting benefits in live broadcast platform
KR20120117219A (en) Mobile twrminal and 3d imag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081287A1 (en)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in
KR2018007987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4546227B (en) Virtual lens control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medium
KR20170099088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4338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12957B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
KR101608990B1 (en) A remote conrol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and a remote controlling method using it
EP41252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s
KR101612958B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the same
KR2017003575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0974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elevis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US2017022811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014417B1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46734A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interfa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