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518A - 접이식 분배관을 구비한 분배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분배관을 구비한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518A
KR20110027518A KR1020090086472A KR20090086472A KR20110027518A KR 20110027518 A KR20110027518 A KR 20110027518A KR 1020090086472 A KR1020090086472 A KR 1020090086472A KR 20090086472 A KR20090086472 A KR 20090086472A KR 20110027518 A KR20110027518 A KR 20110027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bar
push bar
housing
tub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닉 이. 시아바렐라
스코트 티. 프로퍼
브렌트 헉스테이블
Original Assignee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2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7Dispensing from the bottom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65D83/753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characterised by details or accessories associated with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분배기는 하우징과, 대기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푸시바를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액체를 보유하며, 펌프는 액체에 연결된다. 펌프는 푸시바가 그 대기 위치로부터 그 작동 위치로 이동할 때, 액체의 1회 분량을 분배하도록 작동된다. 분배관은 펌프와 연결된 입구와, 푸시바와 연결된 출구 및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벨로스부를 포함한다. 푸시바가 그 대기 위치로부터 그 작동 위치로 이동할 때, 벨로스부는 팽창 상태로부터 압축 상태로 접어지며, 분배관의 출구는 푸시바와 함께 이동한다. 작동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푸시바가 복귀하면, 벨로스부는 압축 상태로부터 팽창 상태로 팽창되어, 분배관의 첨단에서 분배관 안쪽으로 액체가 끌어 당겨져, 적하가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핀치 부재는 분배관을 핀치하여 폐쇄하는데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분배기를 이용하지 않을 때 분배기로부터 제품이 적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분배기, 하우징, 푸시바, 벨로스부

Description

접이식 분배관을 구비한 분배기 {DISPENSER WITH COLLAPSIBLE DISPENSING TUBE}
본 발명은 액체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에 유체를 분배하도록 가압되는 푸시바(push bar)를 갖는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수년간, 액체를 보유하고 상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 기구를 제공하는 리필 유닛을 유지하는 분배기 하우징으로부터 비누, 살균제, 세정제, 소독제 등과 같은 액체를 분배하는 것이 알려져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분배기에 이용된 펌프 기구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소정량의 액체를 단순히 방출하는 액체 펌프였다. 최근, 효율성과 경제성을 목적으로, 공기를 액체에 주입함으로써 생성된 거품 형태로 액체를 분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표준 액체 펌프는, 원하는 거품을 생성하기 위하여 공기와 액체를 혼합하는 수단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거품 생성 펌프로 대체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개념은 액체 및 거품 분배기 모두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본원 발명이 특히 중점을 두는 것은 대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가압되어 펌프 기구를 작동하고 사용자의 손에 거품을 분배하는 푸시바를 구비하는 분배기이다. 일반적으로, 펌프 기구로부터 연장되는 분배관은 고정되어 있으며, 푸시바의 대기 위치에서 푸시바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출구를 구비한다. 액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손바닥으로 출구를 향해 푸시바를 가압하면서 분배관의 출구 아래에 그 손가락을 받친다. 액체가 출구를 통해 사용자의 손에 분배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구조는 손이 작은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푸시바를 가압하면서 출구에 손을 대기에 손이 충분히 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다소 불편하다. 손이 작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액체의 초기 1회 분량은 사용자의 손이 출구 아래에 정렬될 때까지 손에서 빗나가 바닥이나 옷에 분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분배기를 작동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있어서, 액체의 1회 분량은 사용자의 손이 푸시바가 이동함에 따라 출구에 대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손에 선을 따라 길게 분배된다. 사용자의 손의 동일한 위치에 액체의 1회 분량을 분배하기 위하여, 일부 분배기는 분배관 출구가 푸시바와 함께 이동하도록 푸시바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분배기의 예는 미국 특허 제5,556,005호, 제5,797,517호, 제5,992,698호, 제6,648,179호 및 제7,198,17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푸시바와 함께 이동하도록 분배관 출구를 연결하는 일반적인 개념을 개선하고자 한다.
분배기 분야에서, 특히 비누 및 살균제용 분배기에 있어서, 분배기로부터 종종 제품이 적하(drip)하는 것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 제품이 분배되면, 예를 들어 펌프의 출구 밸브로부터 제품이 분배기로부터 방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떨어지는 실제 출구까지의 분배 경로에 유지된 제품의 연속적인 흐름이 일반적으로 존재 한다. 이와 같이 남아 있는 제품은 분배기로부터 적하하여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는 거품 내의 수많은 기포가 모여 더 큰 기포를 형성함으로써 거품의 액체 부분도 함께 모여, 분배기로부터 적하하기 쉬운 액체 유동을 형성하기 때문에, 특히 거품 제품을 분배할 때에, 더욱이 거품 비누 또는 거품 살균제를 분배할 때에 확실해진다. 따라서, 분배기 내에 남아 있는 제품이 분배기로부터 적하하는 것을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는 이러한 적하 방지 기능(anti-drip function)을 실현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는, 하우징과, 대기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푸시바를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액체를 보유한다. 펌프는 상기 컨테이너 내의 액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푸시바가 그 대기 위치로부터 그 작동 위치로 이동할 때 액체의 1회 분량을 분배하도록 작동된다. 분배관은 펌프와 연결된 입구와, 출구와, 상기 입구 및 출구 사이의 벨로스부를 포함한다. 분배관은, 푸시바가 그 대기 위치로부터 그 작동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벨로스부는 팽창 상태(expanded volume)로부터 압축 상태(compressed volume)로 접어져, 출구가 푸시바와 함께 이동하도록 푸시바에 고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개념는, 분배관 내의 출구를 통해 용액의 1회 분량을 분배하기 위해 피벗식 푸시바에 의해 작동되는 펌프를 갖는 이들 분배기를 개선하는데 실용화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은, 분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벨로스로서 형성하고, 푸시바를 작동함에 따라, 상기 벨로스가 팽창 상태로부터 압축 상태로 접어져, 출구가 상기 푸시바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분배관을 푸시바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배기는 하우징과, 대기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푸시바를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액체를 보유한다. 펌프는 상기 컨테이너 내의 액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푸시바가 그 대기 위치로부터 그 작동 위치로 이동할 때 액체의 1회 분량을 분배하도록 작동된다. 분배관은 펌프와 연결된 입구와,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벨로스부를 포함한다. 분배관은, 푸시바가 그 대기 위치로부터 그 작동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출구도 이동하도록, 분배관의 출구에 근접한 푸시바에 고정되어 있다. 분배기는 하우징에 연결된 제 1 핀치 부재(pinch member)와, 푸시바에 연결된 제 2 핀치 부재를 더 포함한다. 푸시바가 대기 위치일 때, 제품이 분배관으로부터 적하할 수 없도록 분배관의 일부가 제 1 핀치 부재와 제 2 핀치 부재 사이에서 핀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도면부호는 10이다. 분배기(10)는 분배용 액체(S)를 보유하는 컨테이너(14)를 수용하는 하우징(12) 포함한다. 펌프(16)는 컨테이너(14) 내의 액체(S)에 연결되어 있으며, 펌프(16)와 연결된 분배관(18)을 통해 액체(S)의 1회 분량을 분배하도록 작동된다. 펌프(16)는 일반적으로 하우징(12)과 연결된 푸시바(20)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 또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서, 펌프(16)는 액체(S)만을 분배하거나 거품을 형성하기 위해 액체(S)와 공기의 혼합물을 분배하는 왕복 피스톤 펌프이다. 이러한 피스톤 펌프는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하는, 푸시바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는 타입의 펌프이면 된다. 예를 들어, 접이식 돔(dome)이나 벨로스(bellows)가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푸시바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는 돔 펌프나 벨로스 펌프도 적합하다. 따라서, 푸시바(20)는 힌 지(22; 도 4)에 의해 하우징(12)에 피벗식으로 고정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기 위치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대기 위치에서, 펌프(16)는 작동되지 않고, 대기 상태에 있다. 그러나, 푸시바(20)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펌프(16)가 작동되어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액체(S) 또는 액체(S)와 공기(펌프(16)가 거품 펌프인 경우)를 펌핑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핀(24; fin)이 푸시바(20)로부터 연장되어, 펌프(16)와 맞물리거나(engage), 펌프(16)와 맞물리는 보조 구조와 맞물리며, 이들 핀(24)은 푸시바(20)와 함께 회전하여, 푸시바(20)가 도 2의 대기 위치로부터 도 3의 작동 위치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펌프(16)를(직접 또는 보조 구조를 통해) 작동한다.
다양한 타입의 푸시바 작동식 분배기가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펌프 또는 이러한 펌프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푸시바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형태는 왕복 펌프를 나타내며, 널리 공지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분배관에 관한 본 발명의 개념은, 예를 들어 유체의 1회 분량을 한정하는 가요성 돔이 접어져 유체를 분배하고, 팽창되어 유체의 1회 분량을 끌어당길 수 있는 돔 펌프로 알려진 펌프를 이용하는 다른 종류의 푸시바 작동식 분배기에 쉽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어떠한 형태의 푸시바 작동식 분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바(20)는 펌프(16)와 연결된 분배 관(18)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설치된 분배관 어댑터(26)를 포함한다. 분배관 어댑터(26)는, 분배관(18)의 출구(28)가 푸시바(20)와 함께 이동하도록 분배관(18)을 푸시바(20)에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푸시바(20) 내의 오목벽(30)은 푸시바(2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분배관(18)의 말단(34)용 마운트(32; mount)를 제공한다. 상기 마운트(32)는 마찰 결합(friction fit)을 통해 말단(34)을 수용하는 노치(36; notch)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적절히 선택가능한 고정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분배관(18)은 마운트(32)에 배치되어 유지되도록 탄성 재료(resilient material)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리필 유닛이 하우징에 장착되면, 분배관이 푸시바에 용이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분배관(18)이 컨테이너, 펌프, 보조 구조(사용하고 있는 경우) 및 분배관으로 구성되는 리필 유닛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분배관(18)은 펌프(16)와 연결된 입구(38)로부터 푸시바(20)와 연결된 출구(28)로 연장된다. 입구(38)와 출구(28) 사이에서, 분배관(18)은 벨로스부(4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분배관(18) 전체가 벨로스부(40)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분배관(18) 길이의 일부만 벨로스부(40)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배관(18)의 일부만이 벨로스로 형성된 경우, 벨로스부는 출구(28)에 근접하게 된다. 이로써 벨로스부(40)의 마루(ridge)와 골(valley)이 출구(28)에 근접하게 되어, 분배관 안쪽으로 다시 흡입된 액체 또는 거품을 유지하기 위한 채널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시바(20)가 대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 하면, 벨로스부(40)는 팽창 상태(도 2)로부터 압축 상태(도 3)로 접어지고, 출구(28)는 푸시바(20)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분배된 액체의 1회 분량은 사용자 손의 동일한 위치에 떨어진다.
푸시바(20)는 펌프(16)의 왕복운동 메커니즘 또는 별도의 바이어스(bias) 메커니즘에 의해 그 대기 위치로 편향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다. 푸시바(20)가 해제되면, 그 대기 위치로 복귀하여, 분배관(18)의 벨로스부(40)가 팽창 상태로 팽창된다. 벨로스부(40)가 팽창함에 따라, 진공이 형성되고, 출구(28)에 근접한 액체(또는 거품 펌프인 경우에는 거품)는 분배관(18)의 안쪽으로 다시 흡입되어, 액체가 출구(28)로부터 적하될 가능성이 최소화되거나 제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벨로스부(40)는 마루(42)와 골(44)과 같은 물결 모양으로 주름이 잡혀 있으며, 벨로스부(40)가 도시된 압축 상태와 팽창 상태 사이에서 가역 가능하게 접어지고 팽창될 수 있게 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마루(42)와 골(44)은 액체가 적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구(28)로부터 떨어져 액체를 보유하는 채널(46)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마루(42)와 골(44)은 분배기(10)가 작동함에 따라, 벨로스부(40)의 부피를 감소시키도록 서로를 향해 접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배관(18)의 말단(34)과 입구(38) 사이의 간격은 작동 위치에서보다 비작동 위치인 대기 위치에서 더 크고, 이에 따라 푸시바(20)가 대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분배관(18)의 주름진 길이의 적어도 일부가 접어진다. 유사하게는, 푸시바(20)가 작동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이들 접혀진 부분이 팽창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에서, 분배기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분배관을 핀치하여 제품이 분배관으로부터 적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제공된다. 대기 위치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작동 위치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에 100을 추가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 분배관(118)은, 푸시바(120)에 대한 피벗 연결부(153; pivotal connection)로부터 대향 트랙 레일(156 및 157; opposed track rails)을 갖는 트랙(155)에 대한 피벗 연결부(154)로 연장되는 푸시바 플레이트(152; push bar plate) 내의 구멍(150)을 통해 연장되며, 여기서 상기 대향 트랙은 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하우징(112)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도시된 단면도에서는, 하우징의 먼 쪽에 있는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트랙(155)의 일부만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가까운 쪽의 벽은 단면도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레일(156 및 157)과 유사한 레일 시스템은 트랙(155)을 완성하기 위하여 가까운 쪽 벽으로부터 연장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시바 플레이트(152)는 이들 레일쌍 사이에서 끼움결합되어, 그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한다.
푸시바 플레이트(152)와 구멍(150)은 푸시바(12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분배관(118)을 핀치하여 폐쇄하기 위한 제 1 핀치 부재로서 기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배관(118)은 또한 제 1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 housing tube plate) 내의 구멍(158) 및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61) 내의 구멍(160)을 통해 연장된다. 제 1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 및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61)는 하우 징(1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하우징(112)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은 분배기 하우징(112)의 일부를 형성하는 배면 플레이트(148)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푸시바 플레이트(152)는 제 1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와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61)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 구성 요소 모두는 함께 튜브(118)를 핀치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 161) 및 그들 각각의 구멍(158, 160)은 제 2 핀치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핀치 부재의 기능을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분배관(18)과 펌프(24)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분배관(118)은 펌프(124)로부터 연장된다. 분배관(118)은 제 1 및 제 2 핀치 부재를 통해 연장되며,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마운트(32)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말단(134)은 실질적으로 마운트(132)에서 푸시바(120)에 고정된다. 제 1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는 푸시바 플레이트(152) 위에 배치되며,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61)는 푸시바 플레이트(152)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위치 정렬에 있어서, 분배관(118)은 제 1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 내의 구멍(158)을 통해 연장된 다음, 푸시바 플레이트(152) 내의 구멍(150)을 통해 연장되며, 마지막으로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61) 내의 구멍(160)을 통해 연장되어, 마운트(132)에서 고정된다. 푸시바(120)와 그에 연결된 푸시바 플레이트(152)는, 하우징(112)으로부터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플레이트인 제 1 및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 161)에 대해 이동하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5 및 도 6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시바(120)가 제품을 분배하도록 조작될 때, 분배관(118)은 제 1 및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 161)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도 5에서, 푸시바(120)는 배면 플레이트(148)로부터 이격된 대기 위치에 있으므로, 분배관(118)은 푸시바 플레이트(152) 내 구멍(150)의 오른편과 접촉되어 왼쪽으로 당겨진다. 그러나, 분배관(118)의 이러한 좌향 이동은, 제 1 및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 161) 내 구멍(158 및 160)의 좌측에 의해 방해를 받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관(118)은 푸시바 플레이트(152)와 제 1 및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 및 161) 및 관련된 구멍(150, 158 및 16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핀치되어 폐쇄된다. 즉 분배관(118)은 제 1 및 제 2 핀치 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핀치되어 폐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푸시바 플레이트(152) 및 그 구멍(150)은, 푸시바(120)가 대기 위치일 때, 구멍(150, 158 및 160)이 구멍(158, 150 및 160)을 관통하는 수직 경로가 충분히 구부러지도록 위치정렬로부터 충분히 벗어나, 이에 공급된 분배관(118)이 확실하게 핀치되어 폐쇄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분배관(118)이 이들 제 1 및 제 2 핀치 부재 사이에서 핀치되면, 분배관(118) 내 및 튜브가 핀치되는 위치 위쪽의 내용물은 분배관(118)으로부터 적하할 수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푸시바 튜브 플레이트(152) 및 구멍(150)은 또한 작동 위치에서, 구멍(158, 150 및 160)을 관통하는 수직 경로가 분배관(118)이 핀치되어 폐쇄되지 않고, 대신에 유체가 흐르도록 개방되기에 충분히 직선이 되도록 구멍(150, 158 및 160)이 충분히 정렬되어, 푸시바(120)가 대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할 때 제품이 분배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핀치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분배기는 대기 위치에서 제품이 적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분배관에 제공되는 벨로스 형상에 의해 분배관(118) 안쪽으로 남아 있는 제품을 다시 흡입하기 때문에, 본 분배기에 유리하다. 남아 있는 제품은, 특히 거품 제품인 경우에, 분배관에서 분해(break down)되어, 분배관이 폐쇄되지 않으면 적하하기 쉽다.
플레이트 부재와 구멍은 제 1 및 제 2 핀치 부재에 이용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필수 수직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제 1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59)는 푸시바 플레이트(152) 위에 배치되는 바와 같이 도시되어 있고, 제 2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161)는 푸시바 플레이트(152) 아래에 배치되는 바와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대기 위치에서 충분히 좁거나 구부러진 분배관 통로가 단일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와 푸시바 플레이트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 형성되도록 적절하게 크기가 정해진다면, 단일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가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은 액체 분배기 분야의 개선을 제공하는 것임이 명확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개념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 특정 실시형태가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구조로 한정되거나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배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분배기의 선 2-2를 따른 계단식 단면도.
도 3은 푸시바의 핀(fin)에 의해 펌프가 작동되는 작동 위치에서의, 도 2와 유사한 계단식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바의 일 실시형태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액체가 적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배관을 핀치하는 구조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의 선 2-2를 따른 도 2와 유사한 계단식 단면도.
도 6은 도 3과 유사한 작동 위치에서의 분배기를 나타내지만, 도 5의 적하 방지 특징을 도시한, 도 5와 유사한 계단식 단면도.

Claims (10)

  1. 분배기로서,
    하우징;
    대기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푸시바(push bar);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고 액체를 보유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내의 상기 액체에 연결된 펌프로서, 상기 푸시바가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액체의 1회 분량을 분배하도록 작동되는 펌프;
    분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관은,
    상기 펌프와 연결된 입구;
    출구;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의 벨로스부(bellows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관은, 상기 푸시바가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벨로스가 상기 팽창 상태(expanded volume)로부터 압축 상태(compressed volume)로 접어지고 상기 출구가 상기 푸시바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푸시바에 고정된,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는 상기 하우징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에 연결된 제 1 핀치 부재(pinch member);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제 2 핀치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바가 상기 대기 위치일 때, 상기 분배관의 일부가 상기 제 1 핀치 부재와 상기 제 2 핀지 부재 사이에서 핀치되어, 상기 분배관이 핀치되는 위치 위쪽의 상기 분배관 내의 내용물이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적하하지 않는, 분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가 상기 작동 위치일 때, 상기 분배관은 상기 제 1 및 제 2 핀치 부재에 의해 맞물리지 않아, 제품이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는, 분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치 부재는 상기 푸시바와 함께 이동하는, 분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핀치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하우징 튜브 플레이 트(housing tube plate)인, 분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치 부재는 상기 푸시바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바 플레이트(push bar plate)를 포함하는, 분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푸시바 플레이트는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관은 상기 구멍 모두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분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 내의 상기 구멍은 상기 작동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푸시바 플레이트 내의 구멍과 함께 정렬되어, 상기 분배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영향을 받지 않으며,
    상기 하우징 튜브 플레이트 내 구멍은 상기 대기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푸시바 플레이트 내의 구멍과의 위치 정렬로부터 벗어나, 상기 구멍을 한정하는 주변이 상기 분배관을 핀치하여, 상기 분배관을 통한 유체 흐름을 저지하는, 분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 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푸시바에 피벗식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트랙 부재 내에서 피벗식으로 유지되는, 분배기.
KR1020090086472A 2009-09-10 2009-09-14 접이식 분배관을 구비한 분배기 KR20110027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56,966 2009-09-10
US12/556,966 US8387834B2 (en) 2009-09-10 2009-09-10 Dispenser with collapsible dispensing tu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18A true KR20110027518A (ko) 2011-03-16

Family

ID=4330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472A KR20110027518A (ko) 2009-09-10 2009-09-14 접이식 분배관을 구비한 분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87834B2 (ko)
EP (1) EP2294958A2 (ko)
JP (1) JP2011057280A (ko)
KR (1) KR20110027518A (ko)
CN (1) CN102018466A (ko)
AU (1) AU2009213092A1 (ko)
BR (1) BRPI0903428A2 (ko)
CA (1) CA2678633A1 (ko)
MY (1) MY180658A (ko)
TW (1) TW2011089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4923B2 (en) 2010-07-15 2018-12-18 Eyenovia, Inc. Drop generating device
WO2012159026A1 (en) * 2011-05-18 2012-11-22 Nigel Kelly Indexable fluid dispenser
US8991648B2 (en) * 2011-07-12 2015-03-31 Gojo Industries, Inc. Shut-off system for a dispenser
TWI473589B (zh) * 2011-08-30 2015-02-21 Harvest Cosmetic Industry Co Ltd 給液器
US8550131B1 (en) 2013-01-02 2013-10-08 Liquid Squeeze, LLC Liquid dispensing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15108827A1 (en) * 2014-01-15 2015-07-23 Gojo Industries, Inc. Pumps with angled outlet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having angled outlets
EP3099418A1 (en) * 2014-01-27 2016-12-07 Gojo Industries, Inc. Dispenser and refill unit having collapsible outlet tube
WO2016081955A2 (en) * 2014-11-19 2016-05-26 Nigel Kelly Dosage delivery in miniature dispensing pumps
US10022023B2 (en) 2015-04-07 2018-07-17 Vi-Jon, Inc. Dispenser assembly
MX2018003522A (es) * 2015-09-25 2018-09-11 Sca Hygiene Prod Ab Bomba con un muelle de polimero.
CA3048230C (en) 2017-02-22 2023-09-26 Gojo Industries, Inc. Dispensers, refill units and pumps having vacuum actuated anti-drip mechanisms
WO2018177519A1 (en) 2017-03-29 2018-10-0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Plastomer spring with captive valve
EP3634550A4 (en) 2017-06-10 2021-03-03 Eyenovi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HANDLING A FLUID AND DELIVERING THE FLUID TO THE EYE
WO2019191060A1 (en) 2018-03-28 2019-10-03 Gojo Industries, Inc.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with differential bore suck-back mechanism
US10722080B2 (en) 2018-04-25 2020-07-28 Gojo Industries, Inc Foam-at-a-distance systems and anti-drip mechanisms for such systems
EP4228485A1 (en) * 2020-10-14 2023-08-23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n adaptor assembly for a fluid disp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8329A (en) 1980-12-09 1984-05-15 Vilaseca Hilario S Dispenser for tubes of fluent material
US4715517A (en) 1986-06-26 1987-12-29 Go-Jo Industries, Inc. Dispenser having a roller for squeezing material from a tube
US4978036A (en) * 1988-11-15 1990-12-18 Koller Enterprises, Inc. Dispensing valve
US5556005A (en) 1995-01-09 1996-09-17 Sprintvest Corporation Nv Collapsible soap dispenser
US5992698A (en) 1995-08-07 1999-11-30 Ecolab Inc. Liquid soap dispenser
US5725131A (en) * 1996-05-24 1998-03-10 Gojo Industries, Inc. Powder dispensing dispenser valve and dispensing assembly
US5797517A (en) 1996-10-25 1998-08-25 Primary Delivery Systems, Inc. Liquid pump dispenser with tri-purpose nozzle
FR2767799B1 (fr) * 1997-08-27 2000-05-12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liquide ou semi-liquide
US6053370A (en) * 1998-06-02 2000-04-25 Koller Enterprises, Inc. Fluid dispensing valve assembly
FR2802187B1 (fr) * 1999-12-13 2002-02-22 Techniplast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produit, comportant un flacon loge dans un recipient
US6273297B1 (en) 2000-02-18 2001-08-14 Advanced Food Products, Llc Dispenser for viscous liquid and flexible viscous liquid containing bag
US6598765B2 (en) * 2000-06-30 2003-07-29 Brewer Science, Inc. Disposable syringe dispenser system
US6543651B2 (en) 2000-12-19 2003-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NL1020641C2 (nl) 2001-11-12 2003-05-15 Bentfield Europ Bv Dispenser voor afgifte van een vloeistof en huis voor een dergelijke dispenser.
GB0401361D0 (en) * 2004-01-22 2004-02-25 Robertson Stewart Dispenser
US20090184134A1 (en) * 2008-01-18 2009-07-23 Ciavarella Nick E Foam dispenser with liquid tube pump refill unit
US7874463B2 (en) * 2008-03-14 2011-01-25 Gojo Industries, Inc. Dispenser with collapsible dispensing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8982A (en) 2011-03-16
US20110056990A1 (en) 2011-03-10
US8387834B2 (en) 2013-03-05
BRPI0903428A2 (pt) 2011-05-10
JP2011057280A (ja) 2011-03-24
AU2009213092A1 (en) 2011-03-24
EP2294958A2 (en) 2011-03-16
CA2678633A1 (en) 2011-03-10
CN102018466A (zh) 2011-04-20
MY180658A (en)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7518A (ko) 접이식 분배관을 구비한 분배기
US4895276A (en) Dual liquid cartridge dispenser
US8777062B2 (en) Manual skin-care product dispenser
US5042691A (en) Dual liquid cartridge dispenser
JP5546827B2 (ja) 個人使用用の手持ち型ディスペンサー
US8479951B2 (en) Pressure activated automatic source switching dispenser system
US8499982B2 (en) High velocity foam pump
US7874463B2 (en) Dispenser with collapsible dispensing tube
US9578996B2 (en) Pumps with angled outlet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having angled outlets
EP0336953B1 (en) Dual liquid cartridge dispenser
EP3773100B1 (en)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with differential bore suck-back mechanism
JP7287976B2 (ja) ポンプ効率向上のための出口バルブ配列
KR910008180B1 (ko) 점성액체 카아트리지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