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900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900A
KR20110026900A KR1020090084746A KR20090084746A KR20110026900A KR 20110026900 A KR20110026900 A KR 20110026900A KR 1020090084746 A KR1020090084746 A KR 1020090084746A KR 20090084746 A KR20090084746 A KR 20090084746A KR 20110026900 A KR20110026900 A KR 2011002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cabinet
bracket
insertion spa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8991B1 (en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991B1/en
Publication of KR2011002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9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a shrinkage phenomenon of a front cabinet by the fastening force of a connecting member and to enhance the entir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CONSTITUTION: A cabinet(10) is included in a display module(30). A bracket(2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A pressurization member pressurizes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A first press unit is formed in the pressurization member. The pressurization member forms insertion space. A part of the pressurization member is opene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2차원 평면으로 그 형상이 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In general,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Recently, a number of flat panel display apparatuses capable of being shaped as a two-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have been released.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프런트 캐비닛 및 리어 캐비닛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front cabinet and a rear cabinet provided at front and rear of the display module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

한편,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Recentl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and VFD ( Display devices using various display modules such as Vacuum Fluorescent Display have been studied and used.

본 실시예는 내부 구성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aim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coupling between internal components is easily per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에 둘러지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면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캐비닛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을 상기 캐비닛의 내면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A cabinet surrounding the display module; A bracket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a pressurizing member configured to press the bracke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while at least a portion thereof penetrates the bracket while being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 브래킷이 프런트 캐비닛에 접착 고정되며, 접착 고정된 상태가 가압 부재에 의하여 유지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fixing bracket is adhesively fixed to the front cabinet and the adhesive fixing state is maintained by the pressing member, the coupling between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고정 브래킷이 프런트 캐비닛에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단순히 접착 고정됨에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력에 의한 프런트 캐비닛 전면에서의 수축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ixing bracket is simply adhesively fixed to the front cabinet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shrinkage in the front of the front cabinet due to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posed differently by the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but this also applies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clud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리어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1 is a rear view of a display device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cabinet is removed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둘러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런트 캐비닛(10)과 리어 캐비닛(미도시)을 포함한다.1 to 3,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30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n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1 surrounded by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30, respectively. It includes a front cabinet 10 and a rear cabinet (not shown) forming a.

보다 상세히,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방송 신호와 같은 외부 신호에 따라서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iquid Display display device module, 이하 LCD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Plasma display panel module, 이하 PDP 모듈), 발광 다이오드 모듈(Light emitting diode module, 이하 LED 모듈)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Organic ligit emitting diode module, 이하 OLED 모듈)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isplay module 30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such as a broadcast signal. The display module 30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LCD module), a plasma display panel module (PDP module),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LED module). Or it may be provided as a flat panel display modul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odule (OLED module).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프런트 캐비닛(10) 및 리어 캐비닛(20)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보호한다. Meanwhile, the front cabinet 10 and the rear cabinet 20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30, respectively,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 30.

프런트 캐비닛(10)에는 영상이 표시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사출물로 형성된 프레임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An opening for displaying an image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binet 10. For example, the front cabinet 10 may include a frame member formed of an injection molding.

또한, 프런트 캐비닛(10)이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투명 재질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it will be said that the front cabinet 10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opening.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프런트 캐비닛(10)의 내면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모듈(30) 및 내부 부품(41,42,43)에 대한 고정 위치를 제공하는 고정 브래킷(20)와, 고정 브래킷(20)을 프런트 캐비닛(10)의 내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5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10, and a fixing bracket 20 providing a fixing position for the display module 30 and the internal parts 41, 42, and 43. And a pressing member 50 for pressing the fixing bracket 20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ront cabinet 10.

고정 브래킷(20)은 중앙부가 개구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런트 캐비닛(10)의 내면과 상기 내면과 마주보는 고정 브래킷(20)의 일면 사이에는 일례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가 구비되어, 고정 브래킷(20)을 프런트 캐비닛(10)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bracket 2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having a central opening, and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tap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10 and one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20 facing the inner surface. The fixing bracket 20 may be fixed to the front cabinet 10.

본 실시예에서 고정 브래킷(20)은 내부가 개구된 단일의 사각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고정 브래킷(20)이 다수의 부재로 구비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bracket 2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rectangular frame with an internal opening, but it will be said that the fixing bracket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mbers.

한편, 가압 부재(50)는 프런트 캐비닛(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 돌기(12)에 고정된다.Meanwhile, the pressing member 5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10.

그리고, 고정 브래킷(20)이 프런트 캐비닛(10)의 배면에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50)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 브래킷(20)에 형성된 제1고정홀(22)을 관통하여 고정 브래킷(20)에 대하여 프런트 캐비닛(10)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fixing bracket 20 is adhesive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10, at least a part of the pressing member 50 passes through the first fixing hole 22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20 to fix the fixing bracket. An elastic force is pressed against the front cabinet 10 toward the front cabinet 10.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캐비닛(10)의 내면에는 제2고정 돌기(13)가 형성되며, 고정 브래킷(20)에는 제2고정 돌기(13)가 걸리는 제2고정홀(23)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fixing protrusion 13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fixing bracket 20 further includes a second fixing hole 23 in which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3 is caught. Can be formed.

한편, 고정 브래킷(20)에 고정되는 내부 부품(41,42,43)은 외부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판(41)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고정 브래킷(20)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모듈 고정 부재(42)와, 음향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어셈블리(43)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parts (41, 42, 43) fixed to the fixing bracket 20 is a substrate 41 for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and for fixing the display module 30 to the fixing bracket 20 The module fixing member 42 and a speaker assembly 43 for producing sound may be included.

모듈 고정 부재(42)는 적어도 일부가 고정 브래킷(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30)과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고정 브래킷(20) 측으로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고정 브래킷(20)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module fixing member 42 is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30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20, or the display module 30 is pressed against the fixing bracket 20 to display the display module ( 30 may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bracket 20.

이하에서는 가압 부재(5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ss member 50 is demonstrated in detail.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S. 5 and 6 are side and front views of the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50)는 가압부재 몸체(51)와, 지지부(52)와, 제1 및 제2가압부(53,54)를 포함한다.4 to 6, the pressing memb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essing member body 51, a support 52, and first and second pressing parts 53 and 54.

보다 상세히, 가압 부재(50)는 일례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알루미늄과 같은 단일의 금속 부재 또는 합금 형태로 제공되며, 가압부재 몸체(51)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pressing member 5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metal member or alloy such as aluminum having, for exampl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is formed symmetrically about the pressing member body 51.

그리고, 가압부재 몸체(51)는 가압 부재(50)의 외형을 형성하며, 그 중앙에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삽입 공간(S)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member body 51 forms an outer shape of the pressing member 50, and an insertion space S in which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opened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삽입 공간(S)에는 제1고정 돌기(12)가 끼워져, 프런트 캐비닛(10)에 대하여 가압부재(50)가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rotrusion 1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and the pressing member 50 may be fixed to the front cabinet 10.

한편, 가압부재 몸체(51)에서 개구된 일측, 즉 삽입 공간(S)이 개구된 측에는 한 쌍의 지지부(52)가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support portions 52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n one side opened from the pressing member body 51, that is, the side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S is opened.

그리고, 제1가압부(53)는 가압부재 몸체(51)에 삽입 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내지 제3절곡부(531,532,533)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pressing part 53 protrude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S in the pressing member body 51, and includes first to third bent parts 531, 532, 533.

제1절곡부(531)는 일측이 가압부재 몸체(51)로부터 영장 형성되며, 삽입 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One side of the first bent portion 531 is warranted from the pressing member body 51, and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S).

그리고, 제2절곡부(532)는 제1절곡부(532)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삽입 공간(S)의 내측 방향, 즉 제1절곡부(531)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bent portion 532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ent portion 532, and intersects the inn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S,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ent portion 531 extends.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제1절곡부(531)의 타측 단부, 즉 제2절곡부(532)가 연장 형성되는 타측에는 삽입 공간(S)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더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534)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531, that is, the other side where the second bent portion 532 is formed is a protruding end 534 is further protruded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S) is formed.

제3절곡부(532)는 제2절곡부(532)의 타측에 형성되며, 제2절곡부(532)가 삽입 공간(S)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각도보다 완만한 각도로 제2절곡부(532)에 대하여 연장 형성된다.The third bent portion 53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ent portion 532, the second bent portion at a gentler angle than the angl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S) And extends with respect to 532.

한편, 제2가압부(54)는 가압부재 몸체(51)가 지지부(52)와 연결된 일측에 형성되며, 삽입 공간(S)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일례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5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body 5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52, bent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S), for example,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le have.

그리고, 제2가압부(54)는 삽입 공간(S)의 개구된 일측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part 54 is formed to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ed side of the insertion space S.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몸체(51), 지지부(52), 제1 및 제2지지부(53,54)는 일례로 금속편이 프레스 공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 몸체(51)는 삽입 공간(S)을 중심으로 대칭되며, 지지부(52), 제1 및 제2지지부(53,54)는 각각 한 쌍으로 대칭되어 구비된다.The support member body 51, the support portion 52,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53 and 5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tegrally by, for example, a metal sheet press method, the support member body 51 Is symmetrical about the insertion space S, and the support part 52 and the 1st and 2nd support parts 53 and 54 are provided in a pair symmetrically, respectively.

이 때, 한 쌍의 제2지지부(53,54)의 단부는 일정 거리 이격되며, 이격 거리는 제1지지 돌기(12)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ends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parts 53 and 54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

이하에서는 가압 부재(50)가 고정 브래킷(20)을 프런트 캐비닛(10) 측으로 가압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50 presses the fixing bracket 20 toward the front cabine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도 3의 B-B 선도에 따른 절개도이다.FIG. 7 is a cutaway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브래킷(2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을 향하여 일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브래킷(20)의 전면부(21)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부재(60)에 의하여 프런트 캐비닛(10)의 내면에 접착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7, the fixing bracket 2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20 is bent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and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portion 21 of the fixing bracket 20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member ( 60) is adhesiv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10).

그리고, 전면부(21)에는 제1고정홀(22)이 구비되며, 제1고정홀(22)에는 가압 부재(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220)과,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수용 공간(220)을 둘러싸는 제1고정홀 내벽(221)과, 제1고정홀 내벽(221)의 하측부에서 수용 공간(22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재 걸림부(222)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part 21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hole 22, and the first fixing hole 22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220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50 is accommodated, and the display device 1. Protruding toward the rear of the first fixing hole inner wall 221 surrounding the receiving space 220 and the press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receiving space 220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ixing hole inner wall 221 Part 222 is formed.

한편, 가압 부재(50)의 삽입 공간(S)에는 제1고정 돌기(12)가 삽입되며, 제1 고정 돌기(12)는 한 쌍의 제2지지부(54)의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Meanwhil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of the pressing member 50,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2 is positioned between the ends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ing portions 54.

이 때, 제2지지부(54)들은 제1고정 돌기(12)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여, 삽입 공간(S)에서 제1고정 돌기(12)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portions 54 provide an elas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2 to prevent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2 from being removed from the insertion space S.

그리고, 가압 부재(50)의 적어도 일부가 제1고정홀(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지지부(53)의 걸림단(534)는 가압부재 걸림부(222) 및 제1고정홀 내벽(221)과 접촉되어, 고정 브래킷(20)이 프런트 캐비닛(1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hole 22, the locking end 534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53 is the pressing member locking portion 222 and the first fixing hole inner wall. In contact with 221, the fixing bracket 20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ront cabinet 10.

또한,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532)는 가압부재 걸림부(222)와 접촉되어, 고정 브래킷(20)에 대하여 프런트 캐비닛(10) 측으로 가압하는 일정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ent portion 532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engaging portion 222 to provide an elastic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to press the fixing bracket 20 toward the front cabinet 10.

이 때, 고정 브래킷(20)의 전면부(21) 측에는 가압 부재(50)의 지지부(52)가 위치되어, 고정 브래킷(20)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원활하게 고정 브래킷(2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52 of the pressing member 50 is located on the front portion 21 side of the fixing bracket 20,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fixing bracket 20 can b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fixing bracket 20 side. Make sure

따라서, 가압 부재(50)에 의하여 일정 크기의 탄성력이 제공됨으로써, 고정 브래킷(20)이 접착 부재(60)에 의하여 프런트 캐비닛(10)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elastic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by the pressing member 50, so that the fixing bracket 2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10 by the adhesive member 60 can be maintained firmly.

또한, 가압 부재(50)에 고정 브래킷(20)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으로써, 고정 브래킷(20)이 프런트트 캐비닛(1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bracket 20 is caught by the pressing member 50, the fixing bracket 2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from the front cabinet 10.

도 8은 도 1의 C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D-D 선도에 따른 절개도이다.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C of FIG. 1, and FIG. 9 is a cutaway view taken along the D-D diagram of FIG. 8.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래킷(20)의 제2고정 홀(23) 및 프런트 캐비닛(10)의 제2고정 돌기(1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각각 제1고정홀(22) 및 제1고정 돌기(12)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8 and 9, the second fixing hole 23 of the fixing bracket 20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3 of the front cabinet 1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irst fixing hole 22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2 are respectiv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2고정 돌기(13)는 프런트 캐비닛(10)의 내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제2고정 돌기(13)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2고정돌기 몸체(131)와, 제2고정돌기 몸체(131)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단(23)을 포함한다.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3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10,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body 131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3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body It includes a locking end 23 formed at the end of the (131).

제2고정돌기 몸체(131)는 걸림단(23)에 가해지는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하여, 프런트 캐비닛(10)에 연결된 일측은 두껍게 형성되며, 걸림단(23)측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The second fixing protrusion body 131 is stably support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locking end 23, and in order to prevent damage, one side connected to the front cabinet 10 is formed to be thick, and toward the locking end 23. Increasingly, at least a part of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그리고, 제2고정홀(23)에는 제2고정 돌기(13)가 삽입되는 고정돌기 삽입공간(230)과, 고정돌기 삽입공간(230)의 내벽 측에 위치되며 걸림단(23)이 걸리도록 고정돌기 삽입공간(230)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 걸림부(231)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hole 23 is located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fixing protrusion insertion space 230 and the fixing protrusion insertion space 230 into which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3 is inserted, so that the locking end 23 is caught. The fixing protrusion locking part 231 protruding toward the fixing protrusion insertion space 230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래킷(10)은 다른 내부 부품(41,42,43)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 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동시에 고정 브래킷(10)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체적인 미관이 향상되도록 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bracket 10 is described as providing a fixing position for fixing the other internal parts 41, 42, and 43, but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bracket 10 may be used in the display device 1. It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configuration exposed to the outside to improve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display device (1).

또한, 고정 브래킷(10)이 다른 내부 부품(41,42,43)의 고정 위치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제공되지 않고, 단순히 외부로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미관이 향상되도록 하는 장식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10 is not provided in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 fixed position of the other internal parts 41, 42, 43, but simply exposed to the outside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display device 1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고정 브래킷(20)은 접착 부재(60)에 의하여 프런트 캐비닛(10)에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60) 및 제2고정 돌기(13)에 의하여 접착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프런트 캐비닛(10)에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 fixing bracket 20 of the display device 1 is fixed to the front cabinet 10 by the adhesive member 60, and the pressing member 60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3 are fixed. The adhesive fixed state is maintained by)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from the front cabinet 10.

또한, 고정 브래킷(20)이 프런트 캐비닛(10)에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단순히 접착 고정됨에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력에 의한 프런트 캐비닛(10) 전면에서의 수축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체적인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ixing bracket 20 is simply adhesively fixed to the front cabinet 10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shrinkage in the front of the front cabinet 10 due to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can be prevented.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display device 1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리어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1 is a rear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cabinet is removed from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의 측면도 및 정면도.5 and 6 are side and front views of the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은 도 3의 B-B 선도에 따른 절개도.7 is a cutaway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8은 도 1의 C 부분의 확대 사시도.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1;

도 9는 도 8의 D-D 선도에 따른 절개도.9 is a cutaway view taken along the D-D diagram of FIG. 8.

Claims (11)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디스플레이 모듈에 둘러지는 캐비닛;A cabinet surrounding the display module; 상기 캐비닛의 내면에 고정되는 브래킷;A bracket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캐비닛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을 상기 캐비닛의 내면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press the bracke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while at least a portion thereof penetrates the bracket while being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브래킷과 상기 캐비닛의 내면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n adhesiv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고정 위치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bracket provides a fixed position relative to the displa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비닛의 내면에는 상기 가압 부재가 끼워지는 제1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first fixing protrusion to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fit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비닛의 내면에는 상기 가압 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브래킷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는 걸림단을 포함하는 제2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including a locking end that is caught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가압 부재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bracket to accommodate the press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압부재는,The pressing member,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가압부재 몸체;A pressing member body having an insertion spa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opened; 상기 가압부재 몸체에 상기 삽입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first pressing part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to the pressing member body.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 몸체에서 상기 삽입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press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pair of second pressing parts which are bent from the pressing member body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삽입 공간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pressing member is symmetric about the insertion spac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가압부는The first pressing unit 일측이 상기 가압부재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부; 및A first ben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body and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And 상기 제1절곡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econd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bent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절곡부에는 상기 제2절곡부와 연결된 타측에서 외측 방향을 향하여 더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protruding end formed at the first bent portion to protrude further from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bent portion toward the outer side.
KR1020090084746A 2009-09-09 2009-09-09 Display apparatus KR1016089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46A KR101608991B1 (en) 2009-09-09 2009-09-0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46A KR101608991B1 (en) 2009-09-09 2009-09-09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00A true KR20110026900A (en) 2011-03-16
KR101608991B1 KR101608991B1 (en) 2016-04-04

Family

ID=4393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746A KR101608991B1 (en) 2009-09-09 2009-09-09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99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991B1 (en)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5139B2 (en) Curved display device
US9509938B2 (en) Display unit
US1088427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TWI501003B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chassis
US823310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16569B1 (en) HOUSING FOR BEZELlESS DISPLAY DEVICE
JP2013218117A (en) Display apparatus
JP2012168257A (en) Display device
KR101488235B1 (en) Fixing Structure of Optical Sheets for Backlight Unit
US20160309598A1 (en) Display apparatus
EP3051335B1 (en) Display apparatus
US11204517B2 (en) Display device
JP2016033526A (en) Display device
US20180307085A1 (en) Display device
WO2019146333A1 (en) Display device
KR20110026900A (en) Display apparatus
JP2012252784A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4071368A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using the display device
KR101590642B1 (en) A display apparatus
KR20040009338A (en) Monitor
JP2015090816A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110019501A (en) A display apparatus
KR101557110B1 (en) Hous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housing, taping memb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housing using the taping member
JP2012114952A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JP2012037671A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