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075A -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075A
KR20110026075A KR1020090083814A KR20090083814A KR20110026075A KR 20110026075 A KR20110026075 A KR 20110026075A KR 1020090083814 A KR1020090083814 A KR 1020090083814A KR 20090083814 A KR20090083814 A KR 20090083814A KR 20110026075 A KR20110026075 A KR 20110026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agnetization
flow
permanent magnet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한
Original Assignee
오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한 filed Critical 오영한
Priority to KR102009008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6075A/ko
Publication of KR2011002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8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4Turbul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유체의 자화육각수로의 변환에 대한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체가 이송되는 관체의 일측에 연결되되, 내부에 상기 유체를 연통시키는 자화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체가 자화되도록 상기 자화유로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자화유로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유체가 상기 자화유로의 테두리에 골고루 접하도록 상기 유체에 난류가 형성되게 배치된 흐름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체의 자화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자화처리장치, 영구자석, 흐름안내부재, 탄소섬유, 활성탄

Description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magnetizing flui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체의 외면에 부착된 영구자석에 의한 유체의 자화육각수로의 변환에 대한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각수는 일반 물이 5각형의 고리구조인 것에 반해 물분자들이 6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열 용량이 커 DNA, RNA 생체분자들과 잘 어울려 생명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간의 체액과 가장 유사한 물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육각수는 인체의 건강은 물론 농업 및 축산업 등의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응용되어 생체활성 기능, 살균 기능, 성장촉진 기능, 스케일제거 기능 및 정화 기능 등을 발휘한다.
한편, 이러한 육각수를 제조하기 위해 물을 자화시키는 장치로서, 물이 흐르는 관체의 외면에 물이 흐르는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영구자석을 배치되는 장치가 있었다. 이에 따라, 물의 분자구조가 이온활성화되면서 물은 미네랄이 풍부한 약알칼리성의 6각형의 구조수(육각수)인 자화수를 생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자화처리장치는 영구자석의 자기장이 관체의 두께를 투사하여 형성됨에 따라 관체의 중앙부에는 낮은 자력으로 인해 물의 전체적인 자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자석의 특성이 크기에 따라 N극이나 S극 각 극단에서 대략 2cm만 떨어져도 그 세기(가우스)는 수분의 1 또는 수십분의 1까지 약해지는 것에 기인한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석의 크기를 크게 구비하는 것은 자화처리장치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비용상의 한계가 있었으며, 기존의 다른 대책으로 영구자석의 외부로 방출되는 자기장을 차단하는 방법 등은 근복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도관 등의 배수를 위해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자기장이 강하게 형성되는 영구자석의 극단에 물이 골고루 접하도록 함과 동시에 탄소에 의해 이를 활성시킴으로써 유체의 자화육각수로의 변환에 대한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체가 이송되는 관체의 일측에 연결되되, 내부에 상기 유체를 연통시키는 자화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체가 자화되도록 상기 자화유로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자화유로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유체가 상기 자화유로의 테두리에 골고루 접하도록 상기 유체에 난류가 형성되게 배치된 흐름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체의 자화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흐름안내부재는 상기 자화유로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며 테두리부에 통과홀이 형성된 타공판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흐름안내부재는 상기 자화유로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어 스크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는 카본박스가 구비되되, 상기 카본박스는 상기 영구자석의 저면에 배치되는 탄소섬유와, 상기 영구자석의 주 위로 충진되는 활성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체가 이송되는 관체의 외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 상기 유체를 자화처리하는 유체의 자화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흐름안내부재로 통과시켜 상기 영구자석에 골고루 근접하도록 하며 상기 영구자석을 탄소섬유와 활성탄을 포함하는 카본박스로 감싸며 부착하여 상기 유체의 자화를 활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자화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수도관 등의 배수를 위해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자기장이 강하게 형성되는 영구자석의 극단에 물이 골고루 접하도록 흐름안내부재로 안내함과 동시에 탄소의 원적외선에 의한 살균 및 강한 침투력으로 자화를 활성시킴으로써 유체의 자화육각수로의 변환에 대한 효율성과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자화유로의 중앙부에는 난류를 형성하는 흐름안내부재가 테두리부에 통과홀이 형성되며 유체의 이송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 개의 타공판체로 구비됨으로써, 타공판체의 외측에 개방된 유로를 통해 유체를 강한 자기장이 형성된 자화유로의 테두리 측으로 안내하며 통과홀의 회전에 따른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난류를 원활하게 형성하여 자화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흐름안내부재가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어 스크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으로 구비됨으로써, 자기장이 강한 자화유로의 테두리부에 유체가 골고루 접하게 되어 자화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케이스의 내부에는 영구자석의 저면에 배치되는 탄소섬유와 영구자석의 주위에 충진되는 활성탄을 포함한 카본박스가 구비됨으로써, 탄소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극대화하고 이러한 원적외선에 의한 살균 및 자기장의 침투력을 강화시켜 자화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자화유로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극성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단위자석이 구비됨으로써, 자화유로 테두리 부근의 자기장을 더욱 강하게 함은 물론 단위자석 사이에 게재된 탄소섬유에 의해 강한 침투력으로 유체의 자화를 더욱 활성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10)는 케이스(1), 영구자석(2) 및 흐름안내부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는 유체가 이송되는 관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를 연통시키는 자화유로(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체는 수도관 등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말하 며, 상기 케이스(1)가 상기 관체에 연결되는 것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의 양측부에 연결관(1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11)의 단부에는 연결플랜지(12)가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플랜지(12)를 상기 관체의 플랜지에 볼트, 너트 체결함에 따라 상기 관체의 어느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2)와 상기 관체의 플랜지의 사이에는 유체가 외부로 새지않도록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케이스의 연결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유체의 이송 방향에 따른 유체처리장치(10)의 설치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표시부(1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표시부(14)는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된 돌기 형상이나 문구표시, 표시부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화유로(13)는 상기 관체의 유로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화유로(13)의 테두리는 스텐레스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영구자석(2)이 구비되는데, 상기 영구자석(2)은 상기 유체가 자화되도록 상기 자화유로(13)의 테두리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2)은 페라이트(ferrite) 영구자석, 알리코(alico) 영구자석 및 희토류(rare-earth) 영구자석 등에서 하나가 사용되는데, 보자력이 높은 희토류 영구자석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2)은 도 2처럼 상기 자화유로(13)의 테두리에 부착되 되, 카본박스(4)에 각각 내장된 한 쌍의 영구자석(2)이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극성을 달리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화유로(13)의 내부에 흐름안내부재(3)가 배치되는데, 상기 흐름안내부재(3)는 상기 유체가 상기 자화유로(13)의 테두리에 골고루 접하도록 상기 유체에 난류가 형성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흐름안내부재(3)는 상기 자화유로(13)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어 스크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3)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류팬(3)은 관형축류팬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축류팬(3)은 주지관용되는 구성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류팬(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유로(13)의 내부에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축류팬(3)은 상기 유체의 흐름에 회전가능한 프로펠러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어 유체에 스크류에 의한 난류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자화유로(13)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에는 순간적으로 난류가 발생되면서 유체는 자화유로(13)의 폭 방향으로 순환되고 강한 자기장이 형성된 자화유로(13)의 테두리 부근에 골고루 접함에 따라 자화가 원활하게 된다. 상기 축류팬(3)은 자화유로(13) 내의 강한 자기장을 위해서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축류팬(3)은 상기 자화유로(13)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유로(13)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류팬(3)의 전측 또는 후측에는 자화유로(13)의 테두리 측으로 원활한 이송을 위해서 자화유로(13)의 중앙부로 이송되는 유체를 외곽부로 유도하는 단면 삼각형 형상의 유도부재(3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흐름안내부재가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어 스크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3)으로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자기장이 강한 자화유로(13)의 테두리 부근에 유체가 골고루 접하게 되어 유체의 자화육각수로의 자화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상기 영구자석(2)을 감싸는 카본박스(4)가 구비되되, 상기 카본박스(4)에는 상기 영구자석(2)의 저면에 배치되는 탄소섬유(42)와, 상기 영구자석의 주위에 충진되는 활성탄(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카본박스(4)는 자화유로(13)에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영구자석을 내장하기 위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본박스(4)는 상기 케이스(1)의 내측에서 상기 자화유로(13)의 테두리를 감싸며 다수 개가 설치되는데, 이때 각각에 포함된 영구자석(2)들이 상기 자화유로(13)의 테두리에 배치된 탄소섬유(42) 상에 부착되며 자화유로(13)의 중심축 방향을 향하며 극성을 달리하는 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카본박스(4)가 상기 케이스(1)에 설치되는 것은 주지관용되는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카본박스(4)는 상기 케이스(1)에 내 장되며 상기 자화유로(13)에 접하는 면에 상기 영구자석(2)이 형합되는 형합홈(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카본박스(4)에는 상기 자화유로(13)의 테두리와 상기 영구자석(2) 사이에 탄소섬유(42)가 구비되고, 상기 영구자석(2)과 이격된 빈 공간에 활성탄(41)이 충진된다. 상기 활성탄은 가루 형태나 알갱이 형태로 충진되며, 상기 탄소섬유(42)와 함께 자화유로(13)의 내부로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자화유로(13)를 통과하는 유체에 작용하여 정화, 살균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영구자석(2)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자기장의 강한 침투력으로 자화유로(13) 내의 자화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2)의 자기장과 탄소섬유(42) 및 활성탄(41)의 원적외선이 자화유로(13)의 내부에 방사된다. 이를 통하여, 탄소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살균 및 자기장의 침투력을 강화시켜 자화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유체의 정화효율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소섬유(42)의 저면에는 살균 및 오염방지를 위해서 은으로 된 은막부재(44)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은막부재(44)는 은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자화유로(13)의 외면에 부착된다. 물론, 상기 은막부재(44)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2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영구자석의 배치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자화유로의 테두리 부위의 자기장을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자화유로의 길이 방향으로 극성을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이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은 자화유로(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되는 단위자석(202)으로 구비되고 상기 단위자석(202)들의 상부에는 철 등의 고정부재(43)가 단위자석(202)들의 위치가 쉽게 변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단위자석(202)들의 저면 및 단위자석(202)들의 측면 사이에는 탄소섬유(42)가 배치되고 단위자석(202)들의 주위에는 활성탄이 충진된 카본박스(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수 개의 영구자석이 극성이 엇갈리게 배치되어 자화유로(13) 테두리 부근의 자기장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30)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3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흐름안내부재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흐름안내부재는 자화유로(13)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며 테두리부에 통과홀(301)이 형성된 타공판체(303)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타공판체(303)는 상기 자화유로(13)를 가로지르도록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타공판체가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면 영구자석의 극성을 자화유로(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자기장에 의한 타공판체의 회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판체(30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체(303)의 단면이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곡선을 가지게 되므로 타공판체(30)가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된다. 타공판체(30)의 전측 또는 후측에는 원활한 공기방울 형성을 위해서 유체를 타공판체(3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통과홀(301)로 유도하는 단면 삼각형 형상의 유도부재(34)가 구비된다. 타공판체(303)들은 자화유로(13)의 중심축에 설치된 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데,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주지관용되는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자화유로(13)의 중앙부에는 난류를 형성하는 흐름안내부재가 테두리부에 통과홀(301)이 형성되며 유체의 이송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 개의 타공판체(30)로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타공판체(30)의 외측에 개방된 유로를 통해 유체를 강한 자기장이 형성된 자화유로(13)의 테두리 측으로 안내하며 통과홀(301)의 회전에 따른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난류를 원활하게 형성하여 자화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4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흐름안내부재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유체의 효율적인 자화를 위해서 자화유로(13) 테두리 부근의 자기장을 강하게 형성하도록 영구자석이 다수 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단위자석(202)으로 구비되는 것과 원활한 난류 형성을 위해 흐름안내부재가 다수 개의 타공판체(303)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5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5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자화처리장치가 가정용으로 전용될 시 카본박스만을 사용하도록 변형되는 예시적인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흐름안내부재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카본박스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카본박스(4)가 직경이 작은 세관(P)을 감싸되, 카본박스(4)의 내부에는 단일 개 또는 다수 개의 영구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의 저면에는 탄소섬유가 배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주위에는 활성탄이 충진된다. 2개의 카본박스(4)를 고정시키는 것은 주지관용되는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본박스(4)만으로 구성된 자화처리장치 역시 탄소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자기장의 침투력이 증가되므로 유체의 자화육각수로의 변환에 대한 자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화처리장치의 작동과정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수도관 등의 관체로부터 물이 이송되어 유화처리장치의 연결관(11)을 통해 자화유로(13)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물은 외부의 힘에 의해 이송되는 특성상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는 직선적인 이동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상기 자화유로(13)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자화유로(13)의 테두리에 극성을 달리하며 배치된 한 쌍의 영구자석이 물의 흐름방향에 수직하게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형성시키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수가 된다. 이때, 관체의 중앙부를 흐르는 물을 강한 자기장이 흐르는 자화유로(13)의 테두리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스크류에 의한 난류를 형성하는 축류팬(3)이 구동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축류팬(3)을 거친 물은 난류가 형성되어 자화유로(13)의 폭 방향으로 순환되는 일시적인 흐름을 갖게 되므로 자화유로(13)의 테두리에 형성된 강한 자기장이 자화유로(13)를 통과하는 물을 거의 빠짐없이 자화시켜 물에 포함된 자화수의 양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가 이송되는 관체의 외면에 영구자석(2)을 부착하여 상기 유체를 자화처리하는 유체의 자화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흐름안내부재(3, 303)로 통과시켜 상기 영구자석(2)에 골고루 근접하도록 하며 상기 관체의 외면에 탄소섬유(42)와 활성탄(41)이 포함된 카본박스(4)를 더 부착하여 상기 유체의 자화를 활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자화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수도관 등의 배수를 위해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자기장이 강하게 형성되는 영구자석(2, 202)의 극단에 물이 골고루 접하도록 흐름안내 부재(3, 303)로 안내함과 동시에 탄소의 원적외선에 의한 살균 및 강한 침투력으로 자화를 활성시킴으로써 유체의 자화육각수로의 변환에 대한 효율성과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자화처리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화처리장치 1: 케이스
13: 자화유로 14: 방향표시부
2: 영구자석 3: 축류팬
34: 유도부재 4: 카본박스
41: 활성탄 42: 탄소섬유
43: 고정부재 44: 은막부재
301: 통과홀 303: 타공판체
202: 단위자석 11: 연결관
12: 연결플랜지

Claims (5)

  1. 유체가 이송되는 관체의 일측에 연결되되, 내부에 상기 유체를 연통시키는 자화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체가 자화되도록 상기 자화유로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자화유로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유체가 상기 자화유로의 테두리에 골고루 접하도록 상기 유체에 난류가 형성되게 배치된 흐름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안내부재는 상기 자화유로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며 테두리부에 통과홀이 형성된 타공판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안내부재는 상기 자화유로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어 스크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는 카본박스가 구비되되, 상기 카본박스는 상기 영구자석의 저면에 배치되는 탄소섬유와, 상기 영구자석의 주위로 충진되는 활성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5. 유체가 이송되는 관체의 외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 상기 유체를 자화처리하는 유체의 자화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흐름안내부재로 통과시켜 상기 영구자석에 골고루 근접하도록 하며 상기 영구자석을 탄소섬유와 활성탄을 포함하는 카본박스로 감싸며 부착하여 상기 유체의 자화를 활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자화처리방법.
KR1020090083814A 2009-09-07 2009-09-07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 KR20110026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814A KR20110026075A (ko) 2009-09-07 2009-09-07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814A KR20110026075A (ko) 2009-09-07 2009-09-07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075A true KR20110026075A (ko) 2011-03-15

Family

ID=4393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814A KR20110026075A (ko) 2009-09-07 2009-09-07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60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6307A (zh) * 2015-05-22 2015-09-02 宜兴市宙斯泵业有限公司 一种灭菌极化器
KR20220144519A (ko) 2021-04-20 2022-10-27 최경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6307A (zh) * 2015-05-22 2015-09-02 宜兴市宙斯泵业有限公司 一种灭菌极化器
KR20220144519A (ko) 2021-04-20 2022-10-27 최경기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춘 살균수 희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6075A (ko) 유체의 자화처리장치 및 방법
KR101241310B1 (ko) 다기능성 자화육각수 공급장치
JP2008149255A (ja) 磁性体含有液体の活性化方法及び装置
KR20090076736A (ko) 자화처리기
HU0402221D0 (en) Magnetic treating unit on fluid and gaseous materials
KR200381587Y1 (ko) 자화수 생성기
KR20110029985A (ko) 카본과 초음파를 이용한 자화처리장치
KR101969911B1 (ko) 자화수 생성장치
JP2010253415A (ja) 磁気処理装置
US8252178B2 (en) Magnetic treatment of fluids
CN207576369U (zh) 一体式磁化空气装置
KR101489293B1 (ko) 배관 스케일 방지 장치
KR101363629B1 (ko) 산업용 자화수 처리장치
CN2791021Y (zh) 用于流体的磁化处理装置
AU2008200797B2 (en) Magnetic treatment of fluids
JP4476924B2 (ja) 磁気処理装置
KR101363631B1 (ko)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가정용 자화수 처리장치
KR200305705Y1 (ko) 자화 육각수기
CN207576368U (zh) 磁化空气装置
KR101363628B1 (ko) 가정용 자화수 처리장치
CN104478100A (zh) 一种便携式永久强磁流体磁化装置
KR0119359Y1 (ko) 음료수 자화기구
KR200423898Y1 (ko) 특고자성 자기화수기
RU20973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гнитной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ей
RU5284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гнитной обработки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