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565A - Control method of integration display button module for hmi in vehicle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integration display button module for hmi in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4565A KR20110024565A KR1020090082611A KR20090082611A KR20110024565A KR 20110024565 A KR20110024565 A KR 20110024565A KR 1020090082611 A KR1020090082611 A KR 1020090082611A KR 20090082611 A KR20090082611 A KR 20090082611A KR 20110024565 A KR20110024565 A KR 201100245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input
- module controller
- menu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HMI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메뉴 선택시 푸쉬 버튼의 확실한 조작감을 제공하면서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 및 통합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조작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 vehicle HMI. More specifically, in the input device for the car HMI, the integrated display button for the car HMI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by providing the display of the main menu, the sub-menu and the integrated image, while providing the operator with a certain feeling of push button when selecting a menu.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the modul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전장품들이 제공되고, 이 전장품들을 각각 제어해주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위치들은 대부분 운전자가 매우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electronic equipment for the driver and user convenience, and there are a plurality of switches to control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most of these switches are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is very comfortable for the driver to use. .
예를 들면, 통상적인 자동차에는 윈도우(Window)를 개폐하는 윈도우스위치와, 라이트(Light)를 온(On)/오프(Off)시키는 라이트스위치와, 와이퍼(Wiper)를 구동시키는 와이퍼스위치 및, 오디오를 제어해주는 오디오스위치등이 구비되는 바, 윈도우스위치는 자동차 도어(Door)의 내측에 주로 설치되어 있고, 라이트스위치와 와이퍼스 위치는 자동차 핸들의 하측에 주로 설치되어 있으며, 오디오스위치는 자동차의 내측전면이나 자동차의 핸들 상면에 주로 설치되어 있다.For example, a typical vehicle includes a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a light switch for turning a light on and off, a wiper switch for driving a wiper, and audio. Audio switch for controlling the bar is provided, the window switch is mainly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car door (Door), the light switch and the wiper position is main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r handle, the audio switch is the inside of the car It is mainly installed on the front or top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car.
그리고, 최근에는 전술한 스위치 외에도 히터와 에어컨과 같은 공조장치, A/V 장치, 주행안전장치, 네비게이션, 주차보조장치, 트립컴퓨터, 운전자 보조장치 등과 같은 각종 편의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Recently, various convenience devices such as air conditioners such as heaters and air conditioners, A / V devices, driving safety devices, navigation devices, parking assist devices, trip computers, driver assistance devices, etc.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witches. Providing.
이러한 각종 편의 장치들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중앙 콘솔 부위나 대쉬보드에 입력 콘솔이 장착되어 있다.These various devices are equipped with input consoles in the dashboard or the central console area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도 1은 차량 내 대쉬보드에 설치된 HMI용 입력 콘솔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put console for HMI installed in a dashboard in a vehic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I용 입력 콘솔(120)은 대쉬보드(110)에 장착되어 히터와 에어컨과 같은 공조장치, A/V 장치, 주행안전장치, 네비게이션, 주차보조장치, 트립컴퓨터, 운전자 보조장치 등과 같은 각종 편의 장치들의 기능을 구현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HMI용 입력 콘솔(120)은 수개의 푸쉬 버튼(140)과 LCD 터치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패널 버튼(130)을 통해 그 메인 메뉴들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패널 방식과 달리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중앙 콘솔 부위에 장착된 다이알 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기도 한다.The
그러나, 이와 같은 각종 편의 장치들의 입력 콘솔은, 푸쉬 버튼 방식의 경우 운전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가 한정되고, 사용자를 위한 전장품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운전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를 찾아 설치하는 것이 한계에 이른 문제점이 있었고, 터치 패널 방식의 경우 운전자의 장 갑 착용 여부나 피부상태 등에 따라 터치 인식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이알 버튼 방식의 경우 입력 콘솔과 모니터가 분리되어 커서를 스크롤하고 메뉴를 선택하는 많은 조작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ush button method, the input console of the various convenient devices is limited to a position that the driver can comfortably use, and the position where the driver can touch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as the electronic equipment increas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and the limit was reached, and in the case of the touch panel metho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ouch recognition rate was low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driver wore gloves or the skin condition, and in the case of the dial button method, the input console and the monitor were separated and the cursor There was a problem that required many operations to scroll through and select menus.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HMI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메뉴 선택시 푸쉬 버튼의 확실한 조작감을 제공하면서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 및 통합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조작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n operation convenience by providing a display of the main menu, sub-menu, and integrated image while providing a firm feeling of operation of a push button when the driver selects a menu in an input device for a car HMI.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n automotive HMI that can be provid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듈 콘트롤러에 전원이 공급되면 서로 인접되어 대쉬보드에 장착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에 메인 메뉴들을 문자 또는 이미지로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메뉴 표시단계와; 상기 메인 메뉴 표시단계 후 모듈 콘트롤러에서 운전자가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푸쉬버튼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 신호를 확인하는 메인 메뉴 입력 확인단계; 및 상기 메인 메뉴 입력 확인단계에서 신호 입력이 확인되면 모듈 콘트롤러에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에 서브 메뉴를 재설정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로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서브 메뉴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menu display step of displaying main menus as text or images on a plurality of display buttons mounted on a dashboard adjacent to each other when power is supplied to a module controller; A main menu input checking step of checking, by a module controller, an in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pushbutton switch by a module controller to determine whether a signal for pressing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buttons is input by a module controller; And a sub-menu displaying step of sending a signal to a display driver from a module controller to reset the sub-menus on the plurality of display buttons and displaying them as text or images in the main menu input checking step.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the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utomotive HMI.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 HMI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메뉴 선택시 푸쉬 버튼의 확실한 조작감을 제공하면서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 및 통합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조작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vice for a vehicle HMI provides a comfortable operation of a push button when a driver selects a menu, and provides a display of a main menu, a submenu, and an integrated imag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n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n automotive HM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n automotive HM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Is an image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n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 vehicle HM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은, 모듈 콘트롤러(3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서 로 인접되어 대쉬보드(도 1의 110 참조)에 장착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에 메인 메뉴들을 문자 또는 이미지로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메뉴 표시단계(S210)와; 상기 메인 메뉴 표시단계(S210) 후 모듈 콘트롤러(340)에서 운전자가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410)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푸쉬버튼 스위치(320)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 신호를 확인하는 메인 메뉴 입력 확인단계(S220); 및 상기 메인 메뉴 입력 확인단계(S220)에서 신호 입력이 확인되면 모듈 콘트롤러(340)에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에 서브 메뉴를 재설정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로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서브 메뉴 표시단계(S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ontrol method of the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n automotive HMI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module controller 340 (see 110 in FIG. 1). A main menu displaying step (S210) of displaying the main menus as text or images on the plurality of
먼저 운전자가 차에 승차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각종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데, 이때 모듈 콘트롤러(340)에도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모듈 콘트롤러(340)가 대쉬보드에 장착된 복수개의 서로 인접된 디스플레이 버튼(410)에 메인 메뉴들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메인 메뉴 표시단계(S210)를 진행한다.First, when a driver rides a car and applies power, power is supplied to various devices. At this time, power is also supplied to the
메인 메뉴는 상위 기능을 나타내고 서브 메뉴는 하위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운전자의 주차를 보조해 주는 기능인 주차보조기능은 메인 메뉴에 해당되고, 주차보조기능의 세부 기능인 모드, 스타트, 스톱, 주차상태 등의 기능은 서브 메뉴에 해당된다.The main menu indicates the upper level function and the sub menu indicates the lower level function. For example, the parking assist function, which assists the driver's parking, corresponds to the main menu, and 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parking assist function are mode, start, stop, and parking. Functions such as status correspond to the submenu.
즉, 메인 메뉴 표시단계(S210)에서는 공조장치, A/V 장치, 주행안전장치, 네비게이션, 주차보조장치, 트립컴퓨터, 운전자 보조장치 등과 같은 자동차의 각종 편의장치의 메인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서브 메뉴 표시단계(S230)에서는 이들 메인 메뉴들의 하위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각각의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in the main menu display step (S210), a main menu for selecting main functions of various convenient devices of the vehicle such as an air conditioning device, an A / V device, a driving safety device, a navigation device, a parking assist device, a trip computer, a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the like. Is displayed, and in the sub-menu display step S230, respective sub-menus for selecting sub-functions of these main menus are displayed.
자동차의 중앙제어부(350)와 넷트웍으로 연결된 모듈 콘트롤러(340)는, 디스플레이 버튼(410)의 조작시 눌림을 인식하는 푸쉬버튼 스위치(320)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 신호로 디스플레이 버튼(410)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버튼(410)에 디스플레이될 문자나 이미지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로 신호를 보낸다.The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310)은, 운전자의 푸쉬 조작시 눌려지면서 인식되는 푸쉬 버튼의 표면에 LCD나 OLED 등의 얇은 패널과 투명 커버가 결합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이 서로 인접되어 일체로 대쉬보드에 장착되어 멀티비젼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이렇게 운전자의 메인 메뉴 표시단계(S210)에서 디스플레이 버튼(410)에 메인 메뉴들을 문자 또는 이미지로 각각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메인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푸쉬 조작을 하게 되면 메인 메뉴 입력 확인단계(S220)를 진행하게 된다.When the driver selects any one of the main menus while the main menus are displayed as text or images on the
즉, 메인 메뉴 입력 확인단계(S220)는 메인 메뉴 표시단계(S210) 후 모듈 콘트롤러(340)에서 운전자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410)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That is, the main menu input checking step (S220) is a step of checking whether a signal for the driver pressing one of the plurality of
푸쉬버튼 스위치(320)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 신호로 메인 메뉴 입력 확인단계(S220)에서 운전자가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을 누른 신호 입력이 확 인되면 서브 메뉴 표시단계(S230)가 진행된다.If the driver inputs any one of the
서브 메뉴 표시단계(S230)는, 메인 메뉴 입력 확인단계(S220)에서 신호 입력이 확인되면 모듈 콘트롤러(340)에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에 신호를 보내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에 각각 서브 메뉴를 재설정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In the sub menu displaying step S230, when a signal input is confirmed in the main menu input checking step S220, the
즉, 도 4와 같이 메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디스플레이 버튼(410)에 운전자가 선택한 메인 메뉴(예를 들어 Air Cond.)의 세부 기능을 나타내는 서브 메뉴들(예를 들어 온도, 풍향, 외기순환, 모드 등)을 각각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sub-menus (for example, temperature, wind direction, air circulation, etc.) representing detailed functions of the main menu (for example, Air Cond.) Selected by the driver on the
이때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서브 메뉴 표시단계(S230) 후 모듈 콘트롤러(340)에서 운전자가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410)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푸쉬버튼 스위치(320)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 신호를 확인하는 서브 메뉴 입력 확인단계; 및 상기 서브 메뉴 입력 확인단계(S240)에서 신호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모듈 콘트롤러(340)에서 확인된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각각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으로 분할된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여 이들 이미지가 하나의 통합된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310)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이미지 표시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the sub-menu display step (S230), the
서브 메뉴 입력 확인단계(S240)에서 운전자가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을 누른 신호 입력이 확인되면 통합 이미지 표시단계(S250)가 진행된다.In the sub-menu input confirmation step S240, when the driver inputs a signal of pressing one of the
통합 이미지 표시단계(S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메뉴의 기능이 실행되는 상태를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로, 전체 이미지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이 차지하는 영역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튼(410)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310) 전체가 하나의 통합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된다.In the integrated image display step S250, as shown in FIG. 5, a state in which a function of a sub menu is executed is displayed in a multi-vision display mode. The integrated image display step S250 is performed by dividing an entire image into an area occupied by a plurality of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 HMI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메뉴 선택시 푸쉬 버튼의 확실한 조작감을 제공하면서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 및 통합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조작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put device for an automotive HMI, a user can provide a convenience of operation by providing a display of a main menu, a sub-menu, and an integrated image while providing a firm feeling of operation of a push button when a driver selects a menu. It is effecti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차량 내 대쉬보드에 설치된 HMI용 입력 콘솔을 나타내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put console for an HMI installed in a dashboard in a vehicl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n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 vehicle HM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 vehicle HM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4 and 5 are images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n integrated display button module for a vehicle HM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0: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 320: 푸쉬버튼 스위치310: display button module 320: pushbutton switch
330: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340: 모듈 콘트롤러330: display driver 340: module controller
350: 자동차의 중앙제어부 410: 디스플레이 버튼350: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2611A KR101307617B1 (en) | 2009-09-02 | 2009-09-02 | Control Method of Integration Display Button Module for HMI in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2611A KR101307617B1 (en) | 2009-09-02 | 2009-09-02 | Control Method of Integration Display Button Module for HMI in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4565A true KR20110024565A (en) | 2011-03-09 |
KR101307617B1 KR101307617B1 (en) | 2013-09-12 |
Family
ID=4393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2611A KR101307617B1 (en) | 2009-09-02 | 2009-09-02 | Control Method of Integration Display Button Module for HMI in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761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0491A (en) * | 2018-02-05 | 2019-08-29 |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 Vehicle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92783A (en) * | 1986-05-07 | 1988-12-20 | Electro-Mechanical Products | Vehicular function controller having alterable function designators |
KR20050013332A (en) * | 2003-07-28 | 2005-02-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
US20060092129A1 (en) | 2004-10-20 | 2006-05-04 |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 Human machine interface for vehicle |
KR100757587B1 (en) | 2006-07-18 | 2007-09-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uman machine interface pseudo-display switch and operation method using it |
-
2009
- 2009-09-02 KR KR1020090082611A patent/KR10130761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0491A (en) * | 2018-02-05 | 2019-08-29 |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 Vehicle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7617B1 (en) | 2013-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025561B (en) |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 |
US9283829B2 (en) | Process and device for displaying different information for driver and passenger of a vehicle | |
US8910086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device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 |
US11001145B2 (en) | Assembly, transportation vehicle and method for assisting a user of a transportation vehicle | |
US20140070933A1 (en) | Vehicle user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a vehicle command | |
JP2013129352A (en) | In-vehicle display system | |
CN103863216B (en) |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 |
WO2004053661A3 (en) | Dual haptic vehicle control and display system | |
JP4228781B2 (en) | In-vehicle device operation system | |
JP2012113684A (en) | Method for differentiating haptic feelings by select menu of rotary switch | |
US2014006294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display images | |
CN103338964A (en) |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different functions of a motor vehicle | |
CN111971191A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 |
US20190263439A1 (en) | Steering wheel having operator control elements,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for a vehicle | |
JP2015062092A (en) | Touch switch module | |
JP2014203348A (en) | Input device for in-vehicle equipment | |
KR101307617B1 (en) | Control Method of Integration Display Button Module for HMI in Vehicle | |
CN106598349A (en) | Vehicle-mounted touch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6375715B2 (en) | Line-of-sight input device | |
JP2005115822A (en) | Input device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 |
CN206741452U (en) | A kind of vehicle-mounted touch display unit and vehicle | |
EP2338720B1 (en) | Management system of on-board vehicle instruments, especially for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s | |
KR100537460B1 (en) | A car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of the monitor which uses a CAN communication | |
KR101148981B1 (en) |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installation on steering wheel | |
CN114919513A (en) | Rearview mirror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