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261A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261A
KR20110024261A KR1020090082175A KR20090082175A KR20110024261A KR 20110024261 A KR20110024261 A KR 20110024261A KR 1020090082175 A KR1020090082175 A KR 1020090082175A KR 20090082175 A KR20090082175 A KR 20090082175A KR 20110024261 A KR20110024261 A KR 20110024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olar cells
amount
battery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2226B1 (en
Inventor
김홍주
이상욱
전병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226B1/en
Publication of KR2011002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2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prevent an electrical collision between solar cells arranged in the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CONSTITUTION: A first and a second solar cells(131,132) are installed to a first and a second sides of a mobile terminal. The first and the second solar cells change the light energy into the electrical energy. A charging unit(133) is connected to first and a second lines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first and the second solar cells. The charging unit charges the battery. If the generate current levels from the first and the second cel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control unit matches the current level from the first and the second lines to the same level.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의 면에 배치된 태양전지들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solar cells arranged on a plurality of surfaces.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and is realized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It is becoming.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while a mobi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device for expressing its individuality,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최근에는 친환경적 기술이 적용된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도 태양전지를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Recently, as interest in electronic devices to which eco-friendly technology is applied increases, the case of applying solar cells to portable terminals is increasing. Such a solar cell is configured to charge a portable terminal using sunligh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복수의 면에 배치된 태양전지 간의 전기적 충돌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전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electrical collision between the solar cells disposed on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terminal and to maximize the amount of charg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면을 구비하며 배터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면에 각각 장착되며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태양전지와,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라인이 집합 위치에서 집합되어 단일의 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에서 각각 생성된 전류량들이 서로 다른 경우 특정 조건에서 상기 집합 위치로 공급되는 제1 및 제2라인의 전류량을 동일하게 매칭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first and second surfac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terminal body having a battery, and a first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respectively, and converting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wherein the second solar cell and the first and second lin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are assembled at an assembly position and connected to a single line. 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ler for equally matching current amounts of first and second lines supplied to the assembly position under specific conditions when the amounts of current generated in the solar cel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에서 각각 생성된 제1 및 제2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합 위치로 공급되는 전류량들을 상기 제1 및 제2전류량 중 작은 값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monitor configured to measur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respectively,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supplied to the assembly position. It can be matched to the smaller of 2 currents.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전류량 중 큰 전류량이 작은 전류량의 2배가 되는 값보다 작게 되는 조건일 수 있다.The specific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in which a larger amount of current among the first and second amounts of electricity is smaller than a value twice as large as a small amount of current.

상기 제1 및 제2라인에는 상기 제1 및 제2라인을 각각 개폐하는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ine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lines,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량들이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turn of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when the amount of current does not satisfy the specific condi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 중 어느 하나가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urn of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when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does not generate electrical energy.

상기 제1 및 제2면에는 빛을 밝기를 센싱하는 제1 및 제2조도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조도센서의 센싱값을 근거로 제1 및 제2태양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류량들을 검출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lluminance sensors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to sense the brightness of light, and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illuminance sensors based on sensing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nce sensors.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in the solar cell can be detected.

상기 배터리는 상기 충전유닛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들에는 상기 배터리 셀들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 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harging unit, and a matching unit for impedance matching of the battery cells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s.

본 발명은 제1 및 제2태양전지에서 각각 생성된 전류량들이 서로 다른 경우 특정 조건에서 상기 집합 위치로 공급되는 제1 및 제2라인의 전류량을 동일하게 매칭시킴으로써, 제1 및 제2라인에 연결된 제1 및 제2태양전지의 전기적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전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ines by matching the current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to be supplied to the assembly position under specific conditions when the current amounts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are different. While preventing electric collision of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mount of charge.

또한, 본 발명은 충전유닛에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셀들을 펄스폭 변조 방식을 통해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power loss by performing impedance matching of the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harging unit through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mere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epa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ny particular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or the like. It can be implemented as.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서로에 대해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1에 개시된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하지 않으며, 슬라이드 타입, 스위블 타입, 스윙 타입, 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that are foldably coupled to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folder type" disclosed in FIG.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힌지 연결부(119)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 연결부(119)의 내부에는 제1바디(1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캠장치 및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19. Inside the hinge connector 119, a cam device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irst body 110 and a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be provided. Can be.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폴딩 상태(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언폴딩 상태(un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body 120 may be referred to as a folding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1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body 20.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may be referred to as an unfolding configuration.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the user's opera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5), 제1영상입력부(114)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body 113,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5,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4,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1.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 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module,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113 further includes a touch screen. It is also possible to enable the input of information.

제1음향출력부(115)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4)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an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4 may be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for a user. Can be implemented.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및 제2조작부(123,124)가 배치될 수 있다. Like the first body 110,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form a case of the second body 120.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 and 124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21.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5), 음향 입력부(126), 인터페이스(127)가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manipulation unit 125, the sound input unit 126, and the interface 127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제1 내지 제3조작부(123,124,125)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123, 124, and 12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a wheel that rotates keys, a jog method, or a method such as a joystick.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본 실시예는 키패드 형태의 제1 및 제2조작부(123,124)와, 사이드 키 형태의 제3조작부(125)를 예시하고 있다.This embodiment illustrates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 and 124 in the form of a keypad, and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25 in the form of a side key.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23)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4)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5)는 제1영상입력부(114)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he functional aspect, the first operation unit 123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4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25 may operate as a hot-key that performs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4.

음향입력부(12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microphon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127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7 is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인터페이스(12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127 may be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제1바디(120)의 제2영상입력부(116)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2,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of the first body 120 may be additionally mounted.

제2영상입력부(116)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16)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video input unit 115 has a low pixel so that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of a user and transmit it to a counterpart in a video call, and the second video input unit 116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영상입력부(116)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Whe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as to allow shooting up to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28)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28)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28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28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refer to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제1 및 제2바디(110,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빛의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센서(151,152)가 장착될 수 있다. 조도센서는 단말기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밝기, 제2 및 제3조작부(123,124)의 조명 밝기 등이 조절되도록 한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may be equipped with illumination sensors 151 and 152 for detecting the brightness of light. The illumination sensor senses the illumination around the terminal and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brightness of the second and third manipulation units 123 and 124 using the illumination.

조도센서(151,152)는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제1조도센서(151)와,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 장착되는 제2조도센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151,152)는 단말기의 열림 상태와 닫힌 상태에 관계 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며, 이들은 후술하는 태양전지와 연관되어 동작될 수 있다.The illuminance sensors 151 and 152 may include a first illuminance sensor 151 mounted on the rear case 112 of the first body 110 and a second illuminance sensor mounted on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152). The illuminance sensors 151 and 152 are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of the terminal, and they may be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solar cell described below.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9, 도 10 참조)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9)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 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리어 케이스(122)에는 배터리를 덮기 위한 배터리 커버(129a)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On the rear case 122 side, a power supply unit 129 (see FIG. 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he power supply unit 129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case 122 is detachably mounted with a battery cover 129a for covering the battery.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태양전지를 구비한다. 태양전지는 광전 효과(Photo Voltanic Effect)를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와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cell for converting opt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solar cell refers to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a photovoltaic effect. Solar cells can be classified into silicon solar cells and 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s, all of which will be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딘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개소에 복수의 태양전지들을 구비한다. 그 일예로서, 도 2와 같이 제1바디(110)에 제1태양전지(131)이 구비되고, 제2바디(120)에 제2태양전지(132)가 구비된다.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olar cell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solar cell 131 is provided i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solar cell 132 is provided in the second body 12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는 단말기 바디(110,120)의 서로 다른 면, 즉 제1 및 제2면(S1,S2)에 장착된다. 제1 및 제2면(S1,S2)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은 휴대 단말기의 열린 및 닫힌 상태에 관계 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태양광 등의 주변 빛에 노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are mount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terminal bodies 110 and 12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1 and S2.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1 and S2 may be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are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open and closed states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exposed to ambient light.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면(S1)과 제2면(S2)에는 제1 및 제2조도센서(151,152)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nce sensors 151 and 152 may be mounted on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면(S1,S2)의 예로서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외면(outer surface)들을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단말기 바디(110,120)의 서로 다른 면들이라면 모두 제1 및 제2면(S1,S2)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바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전면과 후면은 제1면(S1)과 제2면(S2)에 각각 해당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are illustrated as examples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1 and S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rminal bodies 110 and 120 may be used. If different surfaces of, all may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1, S2).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formed in a bar typ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correspond to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respectively.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는 입사된 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며,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129, 전원공급부)를 충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의 장착 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단말기가 놓이는 위치, 단말기의 자세 등에 따라 입사된 광 에너지의 양 또한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 예를 들어 전류량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generate electric energy using incident light energy, and the electric energy may be used to charge the battery 129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energy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the posture of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for example, the amount of curr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4는 제1 및 제2태양전지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related to battery charging using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는 충전유닛(133)이 연결되고, 충전유닛(133)은 배터리(129)에 연결된다. 충전유닛(133)은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서 발생한 전류를 배터리(129)에 공급하여 배터리(129)를 충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harging unit 133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and the charging unit 133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29. The charging unit 133 charges the battery 129 by supplying currents gene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to the battery 129.

제1태양전지(131)에는 제1라인(134)이 연결되고, 제2태양전지(132)에는 제2라인(135)이 연결된다. 충전유닛(133)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라인의 단일화를 위해 제1 및 제2라인(134,135)는 특정 집합 위치에서 집합된다. 제1 및 제2라인(134,135)는 집합 위치에서 집합되어 단일의 라인(136)으로서 충전유닛(133)에 연결된다.The first line 134 is connected to the first solar cell 131, and the second line 135 is connected to the second solar cell 132. In order to unify the lines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harging unit 133,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are assembled at a specific assembly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are assembled at an assembly position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133 as a single line 136.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서 각각 생성하는 전류량들이 서로 상이한 경 우, 제1 및 제2라인(134,135)에는 서로 상이한 전류량을 갖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라인(134,135) 중 어느 하나의 라인을 흐르는 전류가 다른 하나로 흘러 역류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역류된 전류는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When the amounts of current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urrents having different amounts of current flow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According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current flowing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flows to the other to flow backward. The reversed current may adversely affect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가능성을 미연해 방지하기 위해, 특정 조건에서 집합 위치로 공급되는 제1 및 제2라인(134,135)의 전류량을 동일하게 매칭시키는 제어부(170,도 10 참조)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70 (refer to FIG. 10) for equally matching the amount of currents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supplied to the assembly position under specific conditions.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태양전지(131)에서 생성된 전류의 전류량을 '제1전류량'이라 지칭하고, 제2태양전지(132)에서 생성된 전류의 전류량을 '제2전류량'이라 지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in the first solar cell 131 is referred to as a 'first current amount', and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in the second solar cell 132 is referred to as a 'second current amount'. Shall be.

이동 단말기는 제1 및 제2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 모니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전류 모니터는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전류량을 측정하여 이들을 제어부(170)로 인가한다.The mobile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a current monitor for measuri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The current moni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measures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and applies them to the controller 170.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전류량을 근거로 집합 위치로 공급되는 제1 및 제2라인(134,135)의 전류량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current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supplied to the assembly position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제1 및 제2전류량의 측정을 위해 전류 모니터 대신 제1 및 제2조도센서(151,152)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면(S1)의 주변 밝기가 제2면(S2)에 비해 밝으면, 제1면(S1)에 입사되는 광 에너지가 제2면(S2)보다 많을 것이다. 즉, 조도와 태양전지(131,132)의 전류 생성량은 비례 관계에 있음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서 생성되는 전류량을 검출할 수 있다. 주변 조도와 태양 에너지의 상대적인 관계 또는 비율은 미리 계산되어 메모리(174)에 저장되며, 제어부(170)는 조도센서(151,152)의 센싱값과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서 생성되는 전류량들을 검출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lluminance sensors 151 and 152 may be used instead of the current monitor to measure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If the peripheral brightness of the first surface S1 is brighter than the second surface S2, the light energy incident on the first surface S1 will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surface S2. That is,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may be detected by using the illuminance and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solar cells 131 and 132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The relative relationship or ratio between the ambient illuminance and the solar energy is calculat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memory 174, and the control unit 170 uses the sensing values of the illuminance sensors 151 and 152 and the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Can detect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제1 및 제2라인(134,135)에는 이들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141,142)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70)은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141,14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1 및 제2라인 중 어느 하나에 흐르는 전류만이 충전유닛(133)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141 and 14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to open and close them, respectively. The controller 170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141 and 142 so that only the current flowing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is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133.

아울러,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141,142)은 전류가 집합 위치에서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70)에 의한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141,142)은 다이오드, FET(Field Effect Transistor)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141 and 142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current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at an assembly position. This is to prevent the current from flowing backward even when no matching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70.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141 and 14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diode and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들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들이다.5 to 7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ng state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서 생성되는 전류량이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는 제1 및 제2전류량이 각각 50mA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is the same. 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are 50 mA, respectively.

이와 같이,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서 생성되는 전류량이 동일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라인(134,135)를 흐르는 전류량을 매칭시킬 필요가 없다. 제1 및 제2라인(134,135)에는 동일한 전류량이 흐르고, 전류 역류의 가능성이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170)은 매칭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As such, when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is the same, it is not necessary to match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The same amount of current flows in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current backflow.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does not perform a matching operation.

이와 반대로 도 6은 제어부(170)가 매칭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70)는 특정 조건에서 매칭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는 제1 및 제2라인(134,135)에서 공급되는 전류량, 즉 제1 및 제2전류량의 합산값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ontroller 170 performs a matching operation. The controller 170 performs a matching operation under a specific condi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sum of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that is, the sum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이러한 특정 조건은 제1 및 제2전류량이 상이한 전제 하에, 제1 및 제2전류량 중 큰 전류량이 작은 전류량의 2배가 되는 값보다 작게 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170)는 집합 위치로 공급되는 제1 및 제2라인(134,135)의 전류량들을 제1 및 제2전류량 중 작은 값으로 매칭시킨다.Such a specific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under which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are smaller than a value which is twice the amount of the small current amount amo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ler 170 matches the current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supplied to the assembly position to a smaller value amo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도 6은 제1전류량이 60mA이고, 제2전류량이 40mA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전류량이 서로 상이하고, 제1 및 제2전류량 중 큰 전류량인 60mA는 작은 전류량인 40mA의 2배(80mA)보다 작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전류량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매칭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라인(134,135)의 전류량들이 제1 및 제2전류량 중 작은 값인 40mA로 매칭되도록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를 제어한다.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current amount is 60 mA and the second current amount is 40 mA. Since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60 mA, which is the larger current amount amo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is smaller than twice (80 mA) the small current amount, 40 mA,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 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performs a matching operation, and the controller 170 may match the current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to 40 mA, which is the smaller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to match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The batteries 131 and 132 are controlled.

상기와 같은 매칭 동작에 의하여, 집합 위치로 공급된 전류량들의 합산값인 80mA가 충전유닛(133)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류의 역류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최대 전류량을 충전유닛(133)으로 공급할 수 있다.By the match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80 mA, which is the sum of the amount of currents supplied to the assembly position, is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133. Accordingly, the reverse current flow can be prevented and the maximum current can be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133.

도 7은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오프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7 shows a case in which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is selectively turned off.

제1 및 제2전류량이 서로 다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전류량이 상 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141,142)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141,142)를 선택적으로 오프시켜 제1 및 제2라인(134,135)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ler 170 may turn of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141 and 142 i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do not satisfy the specific condition. That is, the controller 170 selectively turns of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141 and 142 to selectively open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도 7은 제1전류량이 80mA이고, 제2전류량이 20mA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전류량이 서로 상이하고, 제1 및 제2전류량 중 큰 전류량인 80mA는 작은 전류량인 20mA의 2배(40mA)보다 크므로, 제1 및 제2전류량은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7 exemplifies a case where the first current amount is 80 mA and the second current amount is 20 mA. Since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larger current amount of 80 mA amo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is greater than twice (40 mA) the smaller amount of 20 mA,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do not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전류량 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제2라인(135)을 개방시키도록 제2스위칭 유닛(142)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1라인을 흐르는 80mA만이 충전유닛(133)으로 공급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econd switching unit 142 to be turned off to open the second line 135 through which a small current amo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flows. Therefore, only 80 mA flowing through the first line is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13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특정 조건에 따라 제1 및 제2라인(134,135)의 전류를 매칭시키고, 특정 조건을 벗어난 경우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141,142)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전류 역류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터리로 최대 전류량이 공급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s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are matched according to a specific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141 and 142 are selectively turned off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deviated, thereby causing no current backflow. Make sure that the maximum amount of current is supplied to the battery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한편,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 중 어느 하나가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141,142)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제2면(S2)이 바닥(지면)에 접하여 제2태양전지(132)에서 전류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제2스위칭 유닛(142)를 오프시켜 제2라인(135)이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태양전지(131)에서 생성되는 전류만이 충전유닛(133)으로 공급되게 된다.The controller 170 may turn of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141 and 142 even whe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does not generate electrical energy.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terminal contacts the bottom (ground) and no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econd solar cell 132,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second switching unit 142 to turn off the second line ( 135) to open. Accordingly, only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first solar cell 131 is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133.

도 8은 배터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매칭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tching unit.

배터리(129)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129a,129b,129c)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셀들(129a,129b,129c)은 충전유닛(133)에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129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The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133 in parallel.

이러한 배터리 셀들(129a,129b,129c)은 미세하게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며, 이들에 동일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하여 임피던스 매칭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터리 셀들(129a,129b,129c)에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 유닛들(161a,161b,161c)이 연결된다. These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have slightly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nd impedance matching is required to charge them with the same power. Therefore, matching units 161a, 161b, and 161c for impedance matching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배터리 셀들(129a,129b,129c)에 가변 저항을 연결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펄스폭 변조 방식에 의해 배터리 셀들(129a,129b,129c)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매칭 유닛들(161a,161b,161c)을 적용하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였다.Impedance matching may be performed by connecting a variable resistor to the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but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by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161a, 161b, and 161c are applied to minimize power loss.

도 9는 펄스폭 변조 방식을 통한 전류량 조절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70)은 매칭 유닛들(161a,161b,161c)이 도 9와 같은 펄스 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9 illustrates a concept of current amount control through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matching units 161a, 161b, and 161c to repeatedly generate a pulse signal as shown in FIG. 9.

도 9에서, 펄스 신호의 주기는 'T'로 나타내었으며, 펄스폭을 'W'로 나타내었다. 주기(T)에 대한 펄스폭(W)의 비를 듀티율(duty ratio)이라 칭할 수 있다.In FIG. 9, the period of the pulse signal is represented by 'T' and the pulse width is represented by 'W'. The ratio of the pulse width W to the period T may be referred to as a duty ratio.

제어부(170)는 배터리 셀들(129a,129b,129c)의 저항값에 대한 정보를 매칭 유닛들(161a,161b,161c)에 인가하며, 매칭 유닛들(161a,161b,161c)은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듀티율의 펄스 신호가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매칭 유닛 들(161a,161b,161c)은 듀티율에 대응되게 라인을 반복적으로 개방 및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듀티율에 비례하는 전류량이 배터리셀들(129a,129b,129c)에 공급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applies information about resistance values of the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to the matching units 161a, 161b, and 161c, and the matching units 161a, 161b, and 161c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o generate a pulse rate duty cycle signal. The matching units 161a, 161b, and 161c are configured to repeatedly open and connect a line corresponding to the duty rate, so that a current amount proportional to the duty rate may be supplied to the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

예를 들어, 충전유닛(133)에서 출력되는 전류량이 100mA이고, 도 8의 매칭 유닛들(161a,161b,161c)의 듀티율이 각각 70%, 80%. 90% 라면, 각 배터리 셀들(129a,129b,129c)에 공급되는 전류량은 70mA, 80mA, 90mA가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amount of current output from the charging unit 133 is 100 mA, and the duty ratios of the matching units 161a, 161b, and 161c of FIG. 8 are 70% and 80%, respectively. If it is 90%,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each of the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becomes 70 mA, 80 mA, and 90 mA.

이와 같이, 본 발명에는 펄스폭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들(129a,129b,129c)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loss may be minimized by performing impedance matching of the battery cells 129a, 129b, and 129c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 scheme.

한편, 이상에서는 폴더 타입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가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의 서로 다른 면에 제1 및 제2태양전지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여기에는 이상에서 설명된 개념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Meanwhile,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ar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er typ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such as a bar type, a slide type, and a swing type, are illustrate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solar cell, and all the concept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hereto.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171), 조작부(123,124,125), 영상 입력부(115,116), 음향 입력부(126),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28), 센싱유닛(176), 인터페이스(127), 방송 수신 모듈(175), 메모리(174), 전원 공급부(129),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0,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an operation unit 123, 124, 125, an image input unit 115, 116, an audio input unit 126, a display unit 113, and an audio output unit. It includes the 114, 128, the sensing unit 176, the interface 127,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75, the memory 174, the power supply unit 129, the control unit 170.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 다.The controller 17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and so on.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태양전지(131,132)에서 각각 생성된 전류량들이 서로 다른 경우, 특정 조건에서 제1 및 제2라인(134,135)의 전류량을 동일하게 매칭시킨다.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amounts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131 and 1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ler 170 equally matches the current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134 and 135 under specific conditions.

무선 통신 모듈(17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7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72)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he transmitter 173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172).

조작부(123,124,12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조작부(123,124,125)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23, 124, and 125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the control unit 16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23, 124, and 125 are composed of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 입력부(115,11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16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영상 입력부(115,11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7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7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16 are stored in the memory 174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음향 입력부(12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 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7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The sound input unit 126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as electrical voice data. In the case of the call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and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74.

음향 입력부(12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6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1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and output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When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13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14,128)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7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are provided to the sound data or the memory 174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tored sound data is conver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28)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28)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유닛(17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폴딩 상태 또는 언폴딩 상태인지의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9)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76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detec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For example, by sensing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 folded state or an unfolded state, the sensing result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7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29 is powered, whether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인터페이스(12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27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such as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or the like.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7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within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17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7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7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또한, 메모리(17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In addition, the memory 174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메모리(17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is memory 174 includes concepts such as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ly known.

방송 수신 모듈(17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28),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75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7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7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4.

전원 공급부(129)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9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배터리 커버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cover is removed;

도 4는 도 3의 Ⅳ-Ⅳ 라인을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long the IV-IV line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brightness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들.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0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서로 다른 제1 및 제2면을 구비하며, 배터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A terminal body having different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having a battery; 상기 제1 및 제2면에 각각 장착되며,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태양전지;First and second solar cell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respectively, and converting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라인이 집합 위치에서 집합되어 단일의 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유닛; 및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in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are collected at an assembly position and connected to a single line; And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에서 각각 생성된 전류량들이 서로 다른 경우, 특정 조건에서 상기 집합 위치로 공급되는 제1 및 제2라인의 전류량을 동일하게 매칭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qually match current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supplied to the assembly position under specific conditions when the current amounts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에서 각각 생성된 제1 및 제2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current monitor for measuring first and second amounts of current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합 위치로 공급되는 전류량들을 상기 제1 및 제2전류량 중 작은 값으로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matches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assembly position to a smaller value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전류량 중 큰 전류량이 작은 전류량의 2배가 되는 값보다 작게 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specific condition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arger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amount is smaller than the value of twice the small current amou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라인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라인을 각각 개폐하는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lines, respectively,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nd second lines,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량들이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ler turns of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when the amount of current does not satisfy the specific condi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 중 어느 하나가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turns of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whe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does not generate electrical energ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유닛은 전류가 집합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를 향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are configured to prevent current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at an assembly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면에 각각 장착되며, 빛을 밝기를 센싱하는 제1 및 제2조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first and second illuminance sensor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respectively, to sense brightness of light.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조도센서의 센싱값을 근거로 제1 및 제2태양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류량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 unit detects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s based on the sensing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nce sensor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는 상기 충전유닛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고,The battery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harging unit, 상기 배터리 셀들에는 상기 배터리 셀들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 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matching unit for impedance matching of the battery cells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s.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매칭 유닛은 펄스폭 변조 방식을 통해 상기 배터리셀들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atching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cells through a pulse width modulation sche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바디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The terminal body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상기 제1 및 제2면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respectively.
KR1020090082175A 2009-09-01 2009-09-01 Portable terminal KR101602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75A KR101602226B1 (en) 2009-09-01 2009-09-01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75A KR101602226B1 (en) 2009-09-01 2009-09-01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61A true KR20110024261A (en) 2011-03-09
KR101602226B1 KR101602226B1 (en) 2016-03-10

Family

ID=4393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75A KR101602226B1 (en) 2009-09-01 2009-09-01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2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755U (en) * 1990-02-16 1991-11-01
KR20020060821A (en) * 2001-01-12 2002-07-19 김재민 Power supply for charging a storage battery by solar cells
KR20030053988A (en)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Folder-type charging battery using solar-battery
KR20060057115A (en) * 2004-11-23 2006-05-26 한전기공주식회사 Solar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755U (en) 2004-06-07 2004-11-25 株式会社エム・エステクノロジー Portable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755U (en) * 1990-02-16 1991-11-01
KR20020060821A (en) * 2001-01-12 2002-07-19 김재민 Power supply for charging a storage battery by solar cells
KR20030053988A (en)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Folder-type charging battery using solar-battery
KR20060057115A (en) * 2004-11-23 2006-05-26 한전기공주식회사 Solar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226B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934B1 (en)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liing method of the same
KR10160606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13953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2243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67886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displaying method of charging thereof
KR20090102242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0222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18284B1 (en)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983728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46617A (en) Mobile terminal having operating portion of thin film structure
KR101594437B1 (en)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31082B1 (en)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80107178A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KR20090034659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62117A (en) Portable terminal
KR101360214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01517239B1 (en) Connecto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421162B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KR20110011060A (en)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KR10141347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930564B1 (en) Handheld terminal
KR20090093670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118874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92169A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10005554A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