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870A - Lighting system - Google Patents

Ligh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870A
KR20110023870A KR1020110012350A KR20110012350A KR20110023870A KR 20110023870 A KR20110023870 A KR 20110023870A KR 1020110012350 A KR1020110012350 A KR 1020110012350A KR 20110012350 A KR20110012350 A KR 20110012350A KR 20110023870 A KR20110023870 A KR 2011002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ight emitting
transistor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현구
김원일
류승렬
권유진
배상근
홍승식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2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3870A/en
Publication of KR2011002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8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Abstract

PURPOSE: A light emitting system is provided to supply a uniform current and a uniform voltage to a light emitting diode through a voltage regulator and a constant current unit, thereby making a light emitting diode stably emit light without a brightness change. CONSTITUTION: A power supply unit(PW) provides an AC voltage. A rectifying unit(100) generates an output voltage by rectifying the AC voltage. A voltage regulator(200) converts the output voltage into an operation voltage with a uniform voltage value. A constant current unit(300) generates a light emitting current with a uniform current value by the operation voltage. A light emitting diode(400) generates light by receiving the light emitting current from the constant current unit.

Description

발광 시스템{LIGHTING SYSTEM}Lighting system {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발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발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system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for generating light.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저전력으로 고휘도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로, 최근에 발광장치의 광원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직류전압을 인가해야 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외부전원이 교류전압을 제공하는 교류전원일 경우, 상기 교류전압을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직류전압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해 교류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시킬 수 있는 AC-DC 컨버터가 필요하다.Light emitting diodes (LEDs) are light emitting devices capable of generating high luminance light at low power, and have recently been widely used as light sources of light emitting devices. The light emitting diode generally generates light only when a direct current voltage is appli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providing an AC voltag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C voltage to a DC voltage that can be used in the light emitting diode. That is, to drive the light emitting diode, there is a need for an AC-DC converter capable of converting AC into direct current and outputting the same.

상기 AC-DC 컨버터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안정된 직류전압 및 직류전류를 공급시켜주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상기 AC-DC 컨버터에 사용되는 콘덴서와 같은 부품들의 수명 신뢰성(통상 10,000 ~ 15,000 hr)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수명 신뢰성(약 30,000 hr 이상)을 쫓아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C-DC 컨버터는 상당한 부피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 또한 높아,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실제제품에 적용하는데 있어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The AC-DC converter has an advantage of supplying a stable DC voltage and DC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but the lifetime reliability (typically 10,000-15,000 hr) of components such as a capacitor used in the AC-DC converter is emitted. The problem of not following the diode's lifetime reliability (about 30,000 hr or more) can occur. In addition, the AC-DC converter has not only a considerable volume but also a high price, which can be a big obstacle in applying the LED to a real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비용으로 안정적인 전력을 발생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킬 수 있는 발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system that can emit a light emitting diode by generating a stable power at low cost.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 시스템은 전원부, 정류부, 정전압부, 정전류부 및 발광 소자부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rectifying unit, a constant voltage unit, a constant current unit, and a light emitting device unit.

상기 전원부는 교류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정류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교류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출력전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정전압부는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출력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출력전압을 일정한 전압치를 갖는 구동전압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정전류부는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상기 구동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일정한 전류치를 갖는 발광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광 소자부는 상기 정전류부로부터 상기 발광전류를 인가받아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provides an AC voltage. The rectifier receives the AC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rectifies the AC voltage to generate an output voltage. The constant voltage unit receives the output voltage from the rectifier and changes the output voltage to a driving voltage having a constant voltage value. The constant current unit receives the driving voltage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and generates a light emitting current having a constant current value by the driving voltage.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includes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o generate light by receiving the light emitting current from the constant current unit.

상기 정전압부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 단자 및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 단자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 단자 사이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mitter)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형성된다.The constant voltage unit may include a transistor, a bias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and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a zener di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In this case, the cath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output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In addition, the driving voltage is formed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by the output voltage.

상기 정전류부의 일단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정전류부의 타단은 상기 발광 소자부의 애노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소자부의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stant current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other end of the constant current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node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a cathode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may be connected to an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정전류부는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인가된 상기 구동전압이 기준범위 내의 전압치를 갖는다면, 일정한 전류치를 갖는 상기 발광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정전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류 소자는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일 수 있고,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는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stant current unit may include a constant current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the light emitting current having a constant current value if the driving voltage applied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has a voltage value within a reference range. In this case, the constant current device may be a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the emitter terminal of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상기 트랜지스터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및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류부는 브리지 회로(bridge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istor may be any one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nd a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The rectifying unit may include a bridge circuit.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 시스템은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발광 소자부, 교류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교류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출력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출력전압을 일정한 전압치를 갖는 구동전압으로 변경시키고 상기 구동전압을 상기 발광 소자부로 제공하여 구동시키는 정전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압부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 단자 및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 단자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 단자 사이에 인가되며,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mitter)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부로 제공된다.A light emit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unit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for generating light, a power supply unit for providing an AC voltage, and receiving the AC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rectify the AC voltage. And a rectifier for generating an output voltage, and a constant voltage part configured to receive the output voltage from the rectifier, change the output voltage to a drive voltage having a constant voltage value, and provide the drive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constant voltage unit includes a transistor, a bias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 collector terminal and a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a zener di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In this case, a cath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output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and the driving voltage Is formed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by the output voltage, and is provid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portion.

상기 발광 시스템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상기 구동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일정한 전류치를 갖는 발광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광전류를 상기 발광 소자부로 제공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정전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stant curren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driving voltage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generate a light emitting current having a constant current value by the drive voltage, and provide light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unit to generate light. have.

본 발명의 발광 시스템에 따르면, 가격이 비교적 낮고 신뢰성이 높은 정전압부 및 정전류부를 통해 발광 다이오드로 일정한 전류 및 전압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밝기의 변화없이 안정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nstant current and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diode through the constant voltage unit and the constant current unit having a relatively low cost and high reliability, the light emitting diode can emit light stably without changing the brightnes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교류전압 및 출력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4는 도 2의 출력전압 및 구동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정전류 소자의 전압 및 전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2의 정전류 소자에서 출력된 발광전류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교류전압 및 이차 교류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9는 도 7의 이차 교류전압 및 맥류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맥류전압 및 출력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출력전압 및 구동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ght emitt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light emitting system of FIG. 1 in detail.
3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AC voltage and an output voltage of FIG. 2.
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voltage and a driving voltage of FIG. 2.
FIG. 5 is a graph for describing voltage and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constant current device of FIG. 2.
6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current output from the constant current device of FIG. 2.
7 is a circuit diagram for describing in detail the light emi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AC voltage and the secondary AC voltage of FIG. 7.
FIG. 9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secondary AC voltage and the pulse current voltage of FIG. 7.
FIG. 10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pulse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of FIG. 7.
FIG. 11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voltage and a driving voltage of FIG. 7.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발광 시스템의 실시예 1><Example 1 of the light emit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광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light emitting system of FIG. 1 in detai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발광 시스템은 전원부(PW), 정류부(100), 정전압부(200), 정전류부(300) 및 발광 소자부(4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light emi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PW, a rectifying unit 100, a constant voltage unit 200, a constant current unit 300, and a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상기 전원부(PW)는 교류전압(V1)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교류전압(V1)은 60Hz 220V의 교류전압이거나 60Hz 120V의 교류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정류부(100)는 상기 전원부(PW)로부터 상기 교류전압(V1)을 인가받고, 상기 교류전압(V1)을 정류하여 출력전압(V2)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정류부(100)는 상기 교류전압(V1)을 출력전압(V2)로 변경시킬 수 있는 정류회로(110)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PW provides an AC voltage V1. For example, the AC voltage V1 may be an AC voltage of 60Hz 220V or an AC voltage of 60Hz 120V. The rectifier 100 receives the AC voltage V1 from the power supply PW, rectifies the AC voltage V1 to generate an output voltage V2. That is, the rectifier 100 includes a rectifier circuit 110 that can change the AC voltage V1 to the output voltage V2.

도 3은 도 2의 교류전압 및 출력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3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AC voltage and an output voltage of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류회로(110)는 상기 전원부(PW)로부터 인가된 상기 교류전압(V1) 중 음극성 전압을 양극성 전압으로 반전시켜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류회로(110)는 4개의 정류 다이오드들로 구성된 브리지 회로(bridge circuit) 인 것이 바람직하다.2 and 3, the rectifier circuit 110 may invert the negative voltage of the AC voltage V1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PW to a positive voltage. For example, the rectifier circuit 110 is preferably a bridge circuit composed of four rectifier diodes.

도 4는 도 2의 출력전압 및 구동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voltage and a driving voltage of FIG. 2.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전압부(200)는 상기 정류부(100)로부터 상기 출력전압(V2)을 인가받고, 상기 출력전압(V2)을 일정한 전압치를 갖는 구동전압(V3)으로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전압부(200)는 상기 출력전압(V2) 중 파도 형태로 진동하는 부분을 클리핑(clipping)하여, 상기 구동전압(V3)을 형성시킬 수 있다.2 and 4, 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receives the output voltage V2 from the rectifier 100 and changes the output voltage V2 into a driving voltage V3 having a constant voltage value. Let's do it. For example, 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may form the driving voltage V3 by clipping a portion of the output voltage V2 that vibrates in the form of a wave.

상기 정전압부(200)는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BT), 바이어스 저항(RS) 및 제너 다이오드(DZ)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저항(RS)은 상기 트랜지스터(BT)의 컬렉터(collector) 단자 및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캐소드(cathode) 단자는 상기 트랜지스터(BT)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지스터(BT)는 도 2와 같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다르게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BT)는 도 2에서와 같이 NPN 타입의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PNP 타입의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transistor BT, a bias resistor RS, and a zener diode DZ. The bias resistor RS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 collector terminal and a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The cath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DZ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istor BT is preferably a bipolar transistor as shown in FIG. 2, but may alternatively be a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In addition, the transistor BT is preferably an NPN type transistor as shown in FIG. 2, but may also be a PNP type transistor.

상기 정류회로(110)의 제1 및 제2 출력단들은 상기 트랜지스터(BT)의 컬렉터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애노드(anode)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로 인해 상기 출력전압(V2)은 상기 트랜지스터(BT)의 컬렉터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구동전압(V3)은 상기 출력전압(V2)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BT)의 이미터(emitter)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f the rectifier circuit 1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DZ, respectively, and thus the output voltage V2. Is appli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DZ. In this case, the driving voltage V3 may be formed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DZ by the output voltage V2.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전압(V3)이 형성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출력전압(V2)에 의한 정류 출력전류(Iin)가 상기 정전압부(200)로 인가된다고 할 때, 상기 정류 출력전류(Iin)는 상기 트랜지스터(BT)의 컬렉터 단자로 인가되는 컬렉터 전류(IC) 및 상기 바이어스 저항(RS)을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IS)로 분할된다. 상기 바이어스 전류(IS)는 상기 트랜지스터(BT)의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는 베이스 전류(IB)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DZ)로 흐르는 제너전류(IZ)로 분할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BT)의 이미터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터 전류(IE)는 상기 컬렉터 전류(IC) 및 상기 베이스 전류(IB)가 합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컬렉터 전류(IC)는 상기 베이스 전류(IB)에 의해 비례하여 증폭되는 전류로써, 상기 베이스 전류(IB)가 상당히 작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상기 이미터 전류(IE)와 거의 유사하다.Specifically, the process of forming the driving voltage V3 will be described briefly. First, when the rectified output current Iin by the output voltage V2 is applied to 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the rectified output current Iin is appli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And an bias current IS flowing through the IC and the bias resistor RS. The bias current IS is divided into a base current IB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and a zener current IZ flowing through the zener diode DZ. In addition, the emitter current IE output from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is formed by the sum of the collector current IC and the base current IB. In this case, the collector current IC is a current that is amplified proportionally by the base current IB, and is similar to the emitter current IE because the base current IB has a relatively small magnitude.

상기 제너전류(IZ)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항복전압을 이기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역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이다. 이때,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양단에 형성된 제너전압(VZ)은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특성상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항복전압보다 큰 전압치를 갖지 못하므로, 상기 제너전류(IZ)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항복전압으로 거의 유지된다.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BT)의 베이스 단자 및 이미터 단자 사이에는 PN 접합 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약 0.7V 의 베이스-이미터 전압(VBE)만큼의 전압하강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BT)의 이미터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전압(V3)은 상기 제너전압(VZ)에서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이미터 전압(VBE)을 차감한 만큼의 크기 이하의 값을 가지게 된다.The zener current IZ is a current flowing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zener diode DZ after overcoming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zener diode DZ. At this time, the zener voltage (VZ) formed at both ends of the zener diode (DZ) does not have a voltage value greater than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zener diode (DZ)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zener diode (DZ), the zener current (IZ) Regardless of the magnitude,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zener diode DZ is almost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N junction diode is formed between the base terminal and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a voltage drop of about 0.7 V is applied by the base-emitter voltage VBE. Therefore, the driving voltage V3 formed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DZ is equal to the base-emitter voltage as shown in FIG. 4 in the zener voltage VZ. It will have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VBE).

도 5는 도 2의 정전류 소자의 전압 및 전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2의 정전류 소자에서 출력된 발광전류를 도시한 파형도이다.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voltage and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constant current device of FIG. 2, and FIG. 6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current output from the constant current device of FIG. 2.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정전류부(300)는 상기 정전압부(200)로부터 상기 구동전압(V3)을 인가받고, 상기 구동전압(V3)에 의해 일정한 전류치를 갖는 발광전류(ID)를 발생시킨다. 이후, 상기 발광 소자부(400)는 상기 정전류부(300)로부터 상기 발광전류(ID)를 인가받아 광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발광 소자부(400)는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2, 5, and 6, the constant current unit 300 receives the driving voltage V3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and emits light having a constant current value by the driving voltage V3. Generate (ID). Thereafter,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receives the light emitting current ID from the constant current unit 300 to generate light. 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connected in series, in parallel or in parallel.

구체적으로, 상기 정전류부(300)의 일단은 상기 트랜지스터(BT)의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부(300)의 타단은 상기 발광 소자부(400)의 애노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 소자부(400)의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DZ)의 애노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one end of the constant current un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stant current un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The cathode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DZ.

상기 정전류부(300)는 상기 정전압부(200)로부터 인가된 상기 구동전압(V3)이 기준범위 내에서 변동할 때 일정한 전류치를 갖는 상기 발광전류(ID)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정전류 소자(J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류 소자는 도2와 같이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는 상기 트랜지스터(BT)의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는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stant current unit 300 may generate a constant current device JT capable of generating the light emitting current ID having a constant current value when the driving voltage V3 applied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changes within a reference range. It may include. In this case, the constant current device is preferably a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as shown in Figure 2,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T), The emitter terminal of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상기 정전압부(200)로부터 출력된 상기 구동전압(V3)은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 및 상기 발광 소자부(400)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구동전압(V3)은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광 소자부(400)에 각각 배분하여 인가된다. 즉, 상기 구동전압(V3)은 상기 정전류 소자(JT)의 양단에 형성된 트랜지스터 동작전압과 상기 발광 소자부(400)의 양단에 형성된 발광전압의 합과 같다.The driving voltage V3 output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is appli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junction type transistor and the cathode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In this case, the driving voltage V3 is distributed and applied to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respectively. That is, the driving voltage V3 is equal to the sum of the transistor operating voltag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stant current device JT and the light emission voltag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한편,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에서의 전압-전류 특성은 도 7에서와 같이, 오믹영역(ohmic region), 포화영역(saturation region) 및 항복영역(breakdown region)의 세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오믹영역에서는 상기 트랜지스터 동작전압이 증가할 때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이하, 트랜지스터 통과전류)가 증가하는 영역을 말하고, 상기 포화영역은 상기 트랜지스터 동작전압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트랜지스터 통과전류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포화전류(IA)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을 말하며, 상기 항복영역은 상기 트랜지스터 동작전압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 통과전류가 급속히 다시 증가하는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는 제1 동작전압(VA1) 이전까지 상기 오믹영역의 특성을 갖고, 상기 제1 동작전압(VA1) 및 제2 동작전압(VA2) 사이에서는 상기 포화영역의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2 동작전압(VA2) 이후에서는 상기 항복영역의 특성을 갖는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 동작전압이 상기 제1 동작전압(VA1) 및 상기 제2 동작전압(VA2) 사이에서 형성될 때,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는 상기 트랜지스터 통과전류가 상기 포화전류(IA)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전류 특성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junction type transistor may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an ohmic region, a saturation region, and a breakdown region. The ohmic region refers to a region in which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junction type transis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nsistor through current) increases when the transistor operating voltage increases, and the saturation region refers to a transistor through current even though the transistor operating voltage increases. Is a region in which is no longer increased and remains substantially constant as the saturation current IA, and the breakdown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transistor operating current increases excessively and the transistor passing current rapidly increases again. Here, the junction type transistor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ohmic region until the first operating voltage VA1,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saturation region between the first operating voltage VA1 and the second operating voltage VA2. After the second operating voltage VA2, the breakdown reg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when the transistor operating voltag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perating voltage VA1 and the second operating voltage VA2,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has the transistor passing current substantially constant as the saturation current IA. Has a constant current characteristic that is maintained.

상기 발광전압은 상기 발광 소자부(400) 내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 하나에서 약 0.7V의 전압하강이 발생된다고 할 때,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의 개수가 20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발광전압은 약 14V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전압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온도가 증가될 경우, 상기 발광 다이오드 하나에서 발생되는 전압 하강값이 감소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발광전압도 감소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volt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iodes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For example, when a voltage drop of about 0.7V occurs in one light emitting diode, when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is connected in series, the light emitting voltage may be about 14V.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volt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in the light emitting diode, the voltage drop value generated in the single light emitting diode is reduced, and as a result, the light emitting voltage may be reduced.

이와 같이, 상기 발광전압이 위에서와 같은 경우를 포함한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변동할 경우, 상기 발광전압 및 상기 트랜지스터 동작전압의 합이 상기 구동전압(V3)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 동작전압은 상기 발광전압의 변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변한다. 그러나, 상기 트랜지스터 동작전압이 상기 제1 동작전압(VA1) 및 상기 제2 동작전압(VA2) 사이 내에서 변동하기만 한다면, 상기 발광 소자부(400)로 인가되는 상기 발광전류(ID), 즉 상기 트랜지스터 통과전류는 상기 포화전류(IA)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전류(ID)는 상기 트랜지스터(BJ)의 이미터 단자에서 출력되는 상기 이미터 전류(IE)와 동일한 전류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ght emission voltage fluctuates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the above case, since the sum of the light emission voltage and the transistor operating voltage is constant as the driving voltage V3, the transistor operation voltage is It chang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luctuation direction of the light emission voltage. However, as long as the transistor operating voltage only varies within the first operating voltage VA1 and the second operating voltage VA2, the light emitting current ID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unit 400, that is, The transistor pass current may be maintained at the saturation current IA. Here, the light emission current ID is the same current as the emitter current IE output from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BJ.

또한, 상기 전원부(PW)에서의 문제, 상기 정류부(100)에서의 문제 또는 상기 정전압부(200)에서의 문제로 상기 구동전압(V3) 자체가 변동하거나 리플(ripple)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상기 트랜지스터 동작전압이 상기 제1 동작전압(VA1) 및 상기 제2 동작전압(VA2) 사이 내에서 형성되기만 한다면, 상기 발광 소자부(400)로 인가되는 상기 발광전류(ID)는 상기 포화전류(IA)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driving voltage V3 itself changes or a ripple occurs due to a problem in the power supply unit PW, a problem in the rectifying unit 100, or a problem in 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As long as a transistor operating voltag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perating voltage VA1 and the second operating voltage VA2, the light emitting current ID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is the saturation current IA. Can be kept constant.

<발광 시스템의 실시예 2><Example 2 of the light emitting system>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교류전압 및 이차 교류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며, 도 9는 도 7의 이차 교류전압 및 맥류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맥류전압 및 출력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며, 도 11은 도 7의 출력전압 및 구동전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8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AC voltage and a secondary AC voltage of FIG. 7, and FIG. 9 is a secondary AC of FIG. 7. FIG. 10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voltage and the pulse voltage, and FIG. 10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pulse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of FIG. 7, and FIG. 11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output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of FIG.

본 실시예에 의한 발광 시스템은 정류부(1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발광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정류부(10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light emi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ght emitting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except for the rectifying unit 100, a detailed description of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rectifying unit 100 is described.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류부(100)는 상기 전원부(PW)로부터 상기 교류전압(V1)을 인가받고, 상기 교류전압(V1)을 정류하여 출력전압(V2)을 발생시킨다. 상기 정류부(100)는 변압기(120), 정류회로(110) 및 평활회로(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rectifying unit 100 receives the AC voltage V1 from the power supply unit PW, and rectifies the AC voltage V1 to generate an output voltage V2. The rectifier 100 may include a transformer 120, a rectifier circuit 110, and a smoothing circuit 13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변압기(120)는 상기 전원부(PW)로부터 상기 교류전압(V1)을 인가받고, 상기 교류전압(V1)을 변압하여 이차 교류전압(V4)을 발생시킨다. 상기 이차 교류전압(V4)은 상기 교류전압(V1)으로부터 강압(drop)되어 형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부(400)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7 and 8, the transformer 120 receives the AC voltage V1 from the power supply unit PW, and transforms the AC voltage V1 to generate a secondary AC voltage V4. The secondary AC voltage V4 may be formed by dropping from the AC voltage V1 and have an appropriate size to drive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400.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정류회로(110)는 상기 변압기(120)로부터 상기 이차 교류전압(V4)을 인가받고, 상기 이차 교류전압(V4)을 정류하여 맥류전압(V5)을 발생시킨다. 상기 맥류전압(V5)은 상기 이차 교류전압(V4) 중 음극성 전압이 양극성 전압으로 반전되어 형성된 전압으로, 모두 양극성 전압만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정류회로(110)는 4개의 정류 다이오드들로 구성된 브리지 회로(bridge circuit) 인 것이 바람직하다.7 and 9, the rectifier circuit 110 receives the secondary AC voltage V4 from the transformer 120 and rectifies the secondary AC voltage V4 to generate a pulse voltage V5. Let's do it. The pulsating voltage V5 is a voltage formed by inverting the negative voltage of the secondary AC voltage V4 into the positive voltage, and both have only the positive voltage. For example, the rectifier circuit 110 is preferably a bridge circuit composed of four rectifier diodes.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평활회로(130)는 상기 정류회로(110)로부터 상기 맥류전압(V5)을 인가받고, 상기 맥류전압(V5)의 맥류분, 즉 진동되는 크기를 감소시켜 상기 출력전압(V2)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평활회로(130)는 상기 정류회로(110)로부터 인가되는 전하를 충전하여 상기 맥류전압(V5)의 피크치 전압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맥류전압(V5)의 맥류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10, the smoothing circuit 130 receives the pulse current voltage V5 from the rectifier circuit 110 and reduces the pulse flow rate, that is, the magnitude of vibration of the pulse voltage V5. The output voltage V2 is generated. For example, the smoothing circuit 130 may reduce the pulse rate of the pulse voltage V5 by charging the electric charge applied from the rectifier circuit 110 to maintain the peak voltage of the pulse voltage V5. It may include a rectifying capacitor.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정전압부(200)는 상기 평활회로(130)로부터 상기 출력전압(V2)을 인가받고, 상기 출력전압(V2)을 일정한 전압치를 갖는 구동전압(V3)으로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전압부(200)는 상기 출력전압(V2) 중 파도 형태로 진동하는 부분을 클리핑(clipping)하여, 상기 구동전압(V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전압(V2)은 맥류분이 제거된 전압이므로, 상기 구동전압(V3)은 도 4와 달리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압치를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발광전류(ID)도 도 6과 달리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값을 가질 수 있다.
7 and 11, 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receives the output voltage V2 from the smoothing circuit 130 and converts the output voltage V2 into a driving voltage V3 having a constant voltage value. Change it. For example, the constant voltage unit 200 may form the driving voltage V3 by clipping a portion of the output voltage V2 that vibrates in the form of a wave. 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voltage (V2) is a voltage from which the pulse flow is removed, the driving voltage (V3) may have a voltage value that is kept constant, unlike FIG. It may have a current value that is kept constant.

본 발명의 발광 시스템에 따르면, 종래의 AC-DC 컨버터와 같이 비싸고 부피가 큰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가격이 비교적 낮고 신뢰성이 높으며 간단한 정전압부 및 정전류부를 사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들로 일정한 전류 및 전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밝기의 변화없이 안정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ant current and voltage are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s by using a relatively low cost, high reliability, and simple constant voltage part and constant current part, without using expensive and bulky components as in the conventional AC-DC converter. By providing the light emitting diodes, the light emitting diodes can be stably emitted without changing the brightness.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W : 전원부 100 : 정류부
110 : 정류회로 120 : 변압기
130 : 평활회로 200 : 정전압부
BT : 트랜지스터 RS : 바이어스 저항
DZ : 제너 다이오드 300 : 정전류부
JT : 정전류 소자 400 : 발광 다이오드
V1 : 교류전압 V2 : 출력전압
V3 : 구동전압 V4 : 이차 교류전압
V5 : 맥류전압 VZ : 제너전압
VBE : 베이스-이미터 전압 Iin : 정류 출력전류
IC : 컬렉터 전류 IE : 이미터 전류
IB : 베이스 전류 IS : 바이어스 전류
IZ : 제너전류 ID : 발광전류
PW: power supply section 100: rectification section
110: rectifier circuit 120: transformer
130: smoothing circuit 200: constant voltage portion
BT: Transistor RS: Bias Resistor
DZ: Zener Diode 300: Constant Current Section
JT: constant current device 400: light emitting diode
V1: AC voltage V2: Output voltage
V3: drive voltage V4: secondary AC voltage
V5: Pulse voltage VZ: Zener voltage
VBE: Base-Emitter Voltage Iin: Rectified Output Current
IC: collector current IE: emitter current
IB: Base Current IS: Bias Current
IZ: Zener Current ID: Luminous Current

Claims (10)

교류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교류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출력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출력전압을 일정한 전압치를 갖는 구동전압으로 변경시키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상기 구동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일정한 전류치를 갖는 발광전류를 발생시키는 정전류부; 및
상기 정전류부로부터 상기 발광전류를 인가받아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발광 소자부를 포함하는 발광 시스템.
A power supply unit providing an AC voltage;
A rectifying unit receiving the AC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rectifying the AC voltage to generate an output voltage;
A constant voltage unit receiving the output voltage from the rectifier and changing the output voltage to a driving voltage having a constant voltage value;
A constant curren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driving voltage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and generate a light emitting current having a constant current value by the drive voltage; And
And a light emitting devic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o generate light by receiving the light emitting current from the constant curren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 단자 및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 단자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 단자 사이에 인가되며,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mitter)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tant voltage unit
A transistor, a bias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 collector terminal and a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a zener di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The cath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the output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And the driving voltage is formed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by the output volt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부의 일단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부의 타단은 상기 발광 소자부의 애노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 소자부의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ne end of the constant current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The other end of the constant current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portion,
And a cathode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부는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인가된 상기 구동전압이 기준범위 내의 전압치를 갖는다면, 일정한 전류치를 갖는 상기 발광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정전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stant current unit
And a constant current element capable of generating the light emitting current having a constant current value if the driving voltage applied from the constant voltage portion has a voltage value within a reference ran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소자는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이고,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는 상기 접합형 전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stant current device is a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emitter terminal of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junction field transistor.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및 금속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nsistor
A light emit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a bipolar transistor (transistor) and a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브리지 회로(bridge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The light emitting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ectifier comprises a bridge circuit.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발광 소자부를 구비하는 발광 시스템에 있어서,
교류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교류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출력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출력전압을 일정한 전압치를 갖는 구동전압으로 변경시키고, 상기 구동전압을 상기 발광 소자부로 제공하여 구동시키는 정전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압부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 단자 및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A light emitting system comprising a light emitting element portion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for generating light, the light emitting system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providing an AC voltage;
A rectifying unit receiving the AC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rectifying the AC voltage to generate an output voltage; And
A constant voltage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output voltage from the rectifying unit, change the output voltage to a driving voltage having a constant voltage value, and provide the driving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for driving;
The constant voltage unit includes a transistor, a bias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 collector terminal and a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a zener di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 단자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 단자 사이에 인가되며,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mitter) 단자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ath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output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
And the driving voltage is formed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anod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by the output voltage, and is provid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상기 구동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일정한 전류치를 갖는 발광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광전류를 상기 발광 소자부로 제공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정전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10. The device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nstant curren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driving voltage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generate a light emitting current having a constant current value by the drive voltage, and provide light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unit to generate light. Light emit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10012350A 2011-02-11 2011-02-11 Lighting system KR201100238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350A KR20110023870A (en) 2011-02-11 2011-02-11 Ligh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350A KR20110023870A (en) 2011-02-11 2011-02-11 Light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398A Division KR101032850B1 (en) 2009-08-28 2009-08-28 Ligh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870A true KR20110023870A (en) 2011-03-08

Family

ID=4393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350A KR20110023870A (en) 2011-02-11 2011-02-11 Ligh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387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9076A (en) * 2011-04-09 2012-10-17 赵文志 Direct current stabilized voltage supp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9076A (en) * 2011-04-09 2012-10-17 赵文志 Direct current stabilized voltage supp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778B2 (en) Single-segment linear constant-power LED driving circuit and method
JP2012216766A (en) Led drive device and led lighting apparatus
CN105307324B (en) Possesses the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ng apparatus in multiple drive power stage
US20150216006A1 (en) Multi-stage led lighting systems
US20190098717A1 (en) Ballast system, luminaire, lighting control system, light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4968399B2 (en) LED driving device and LED lighting device
US9420645B2 (en) Constant current control buck converter without current sense
CN104170099A (en) Led drive circuit
KR101266284B1 (en) Lighting Circuit for LED
TW201701723A (en) Low-flicker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JP2012084580A (en) Led drive circuit
US9516710B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device with control based on LED setting resistance
CN104168688B (en) Possesses the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ng apparatus in multiple drive power stage
KR20110023870A (en) Lighting system
KR101032850B1 (en) Lighting system
KR20110136577A (en) Led driving circuit and method based on constant current of sine wave
US9723670B2 (en) Power supply device with control based on setting resistor
KR20140084732A (en) Power supplies for LED modules
US9445467B2 (en) Backlight driving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backlight driving method
KR20100002474A (en) Luminous device
KR20160043760A (en) Driving circuit for light emitting diode
US9225257B2 (en) Power supply circuit
TWI437918B (en) Light device and power control circuit thereof
JP2014225360A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ng device
CN212992653U (en) Linear constant-current LED lamp circuit working at wide vol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