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239A -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239A
KR20110022239A KR1020090079748A KR20090079748A KR20110022239A KR 20110022239 A KR20110022239 A KR 20110022239A KR 1020090079748 A KR1020090079748 A KR 1020090079748A KR 20090079748 A KR20090079748 A KR 20090079748A KR 20110022239 A KR20110022239 A KR 2011002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tool
intake
state
tool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405B1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일
Priority to KR102009007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4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45Utensils for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package, e.g. spoons, forks,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푼(Spoon), 포크(Fork), 스푼포크(Spoon-Fork)(이하, 모두 "섭취도구"라 칭한다.)가 내장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 혹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덮개의 내부 혹은 외부로 요철부가 형성된 환형턱을 갖는 환형의 수용홈내로 섭취도구를 탈착되게 내장할 수 있게 하여, 섭취도구의 내장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내장후에는 쉽게 이탈됨이 없는 견실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식품용기, 용기본체, 덮개, 스푼(Spoon), 포크(Fork), 스푼포크(Spoon-Fork), 요철부.

Description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FOOD CONTAINER WITH INTAKE IMPLEMENT}
본 발명은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섭취도구를 용기본체 혹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덮개의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된 요철부를 갖는 환형턱이 설치된 수용홈의 내부로 보다 쉽고 편리하게 내장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운반 및 보관중에는 섭취도구가 외부로 쉽게 이탈됨이 없게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샐러드, 셰이크 등)은 일정모양의 용기에 담아서 보관 및 유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로 하여금 수용된 음식물의 편리한 섭취를 위하여 식품을 판매할 때 별도의 섭취도구를 준비하여 고객에게 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매장에서 섭취도구를 별도로 준비하여 공급하는 노동력을 줄이기 위한 목적에서, 용기 자체 혹은 덮개에 섭취도구가 마련된 제품에 음식물을 담아서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기술로, 한국등록실용공보 등록 제236,870호, 일본공개실용 소63-097634호, 일본공개실용 평04-080829호 및 일본공개실용 평05-046739호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섭취도구의 수용부가 단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부의 내부로 섭취도구를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끼우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포크 및 스푼포크를 끼우는 작업시에는 예리한 선단부에 의해 수용부의 입구측의 주벽면 부위가 걸리는 등의 이유로 끼움에 장애를 줌은 물론 끼워진다고 해도 그 수용부의 입구측의 주벽면 부위가 손상을 입게 되어 불량 발생이 많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어느 섭취도구라도 용기본체 혹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덮개의 내부 혹은 외부에 형성된 수용홈의 내부로 제품의 손상없이 쉽게 내장할 수 있는 끼움작업의 편리성을 갖게 하고, 또한 보관 및 운반 시 섭취도구의 이탈됨이 없는 견실한 지지력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덮개를 갖는 용기본체; 상기 덮개 혹은 용기본체 중 어느 하나의 밀폐부에 내부 혹은 외부를 향하여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음식물을 떠서 섭취하기 위한 섭취도구를 수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섭취도구의 초기 삽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섭취도구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주면부와, 상기 경사주면부의 끝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섭취도구의 걸림부를 형성하는 환형턱과, 상기 환형턱에서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환형턱의 내경보다는 넓은 지름을 갖게 형성된 섭취도구 수용부로 이루어진 수용홈; 및 상기 환형턱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으로 상기 섭취도구의 삽입 시 상기 환형턱의 변형을 유도하는 일정 모양 변환 유도용 요철부를 포함하는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요철부는, 위에서 보아 파형(波形), 삼각 혹은 사각 모양의 치형(齒形)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은, 45°~90°의 범위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상기 용기본체나 상기 덮개와 함께 사출 성형, 압진공 성형 혹은 압공 성형 어느 하나에 의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섭취도구는, 스푼(Spoon), 포크(Fork) 및 스푼포크(Spoon-Fork)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섭취도구는, 손잡이부가 접히거나 뒤로 젖혀져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섭취도구는, 비닐필름에 씌워 포장한 상태로 상기 수용홈측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에 의하면, 어느 섭취도구라도 용기본체 혹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덮개의 내부 혹은 외부에 형성된 수용홈의 내부로 제품의 손상없이 쉽게 내장할 수 있는 끼움작업의 편리성을 갖게 하 고, 또한 보관 및 운반 시 섭취도구의 이탈됨이 없는 견실한 지지력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섭취도구를 식품용기와 함께 공급되게 함으로써 제작공정수 절감 및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낮출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덮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본 수푼 취식부의 둥근부분이 아래쪽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서 본 수푼 취식부의 둥근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비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포장 상태의 스푼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만이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에 2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에 4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수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가 납작하게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C-C'선에서 본 포장 상태의 스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D-D'선에서 본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아래쪽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D-D'선에서 본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마련된 환형턱만이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마련된 환형턱에 2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마련된 환형턱에 4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5는 도 24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포장 상태의 스푼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위쪽을 향하여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가 납작하게 마련된 덮개의 외부에 포장 상태의 수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F-F'선 단면도이며,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하부에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위쪽을 향하여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하부에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아래쪽을 향하여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납작하게 마련된 용기본체의 하부에 포장 상태의 섭취도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을 이루는 요철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형을 이루는 요철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을 이루는 요철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2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푼포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100)에 의하면, 용기본체(110) 혹은 용기본체(110) 에 결합되는 덮개(120)에 형성되어 섭취도구(130)를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수용홈(114, 124) 및 요철부(116, 126a, 126b)로 구성된다.
용기본체(110)는 그 내부에 식품(예를 들어, 떠먹는 아이스크림, 요크르트, 샐러드, 셰이크 등)을 담아 저장, (냉동·냉장)보관 및 유통하여 사용자(고객)에게 공급하고 있다.
용기본체(11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저장식품에 영향을 주지않는 재질(특히, 환경호르몬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용기본체(110)는 원통형, 사각박스형, 그릇, 높이가 낮은 납작한 모양 혹은 컵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품이 입출되는 용기본체(110)의 개구부(開口部, 112)에는 용기본체(110)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1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씌워진다.
이러한 용기본체용 덮개(120)는, 용기본체(110)와 동일유사한 재질로 마련하여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한다.
덮개(120)는 원통형, 사각박스형, 그릇 혹은 컵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외면에는 꽃 모양 등을 모티브로 한 다양한 무늬를 성형하여 외부에서 보아 심미감(深美感)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구조의 식품용기(100)를 이루는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마련된 밀폐부(113)의 밑면에는 음식물을 떠서 섭취하는 섭취도구(130)를 탈착되게 끼움결합하여 수용하는 수용홈(114)이 구비된다.
수용홈(114)은 섭취도구 수용부(111), 경사주면부(111a), 환형턱(115) 및 일정 모양 변환 유도용 요철부(116)으로 구성된다.
섭취도구 수용부(111)는 환형턱(115)에서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환형턱(115)의 내경보다는 넓은 지름을 갖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각은 45°~ 90°의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사주면부(111a)는 섭취도구(130)의 초기 삽입부에 형성되어 섭취도구(13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환형턱(115)은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사주면부(111a)의 끝지점에 형성되어 섭취도구(130)의 걸림부를 형성한다. 환형턱(115)은 요철부(116)를 매개로 연속되게 연장형성되어 경사주면부(111a)의 외주연부 전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환형턱(115)은 단면에서 보아 '〈'자형 혹은 '∠'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철부(116)는 대략 반구형(半球形)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를 이루어 상술한 바와 같이 환형턱(115)을 연속되게 연장되게 한다.
요철부(116)는 위에서 보아 환형턱(115)만으로 이루어진 원주 형태, 삼각 혹은 사각 모양의 치형(齒形) 및 파형(波形)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요철부(116)는 용기본체(110)와 함께 사출 성형, 압진공 성형 혹은 압공 성형 어느 하나에 의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수용홈(114)측에는 식품을 섭취하는 취식부(131a, 132b, 132c)와 취식부(131a, 132b, 132c)와 연장형성된 손잡이부(134a, 134b, 134c)로 이루어진 섭취 도구(130 : 131a, 131b, 131c)가 끼움결합된다.
섭취도구(130)는 스푼형(131a), 포크형(131b) 혹은 스푼포크형(131c)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섭취도구(130)의 손잡이부(134a, 134b, 134c)는 접히거나 뒤로 젖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는 용기본체(110)측에 비포장 상태로 끼움결합되거나 비닐필름(136)에 수납하여 용기본체(110)측에 끼움결합할 수도 있다.
수용홈(114)측에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를 끼움결합할 경우, 식품을 섭취하는 취식부(132a, 132b, 132c) 및 취식부(132a, 132b, 132c)에 연장형성된 손잡이부(134a, 134b, 134c)를 요철부(116)를 통해 안내되면서 끼워지게 한 후, 환형턱(115)측으로 약간 비틀어주게 되면 취식부(132a, 132b, 132c) 및 손잡이부(134a, 134b, 134c)가 환형턱(115)에 걸리게 되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수용홈(114)측에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의 결합 시, 환형턱(115)만이 구비된 경우 그 환형턱(115)이 초기의 상태로 복귀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나 손가락으로 환형턱(115)을 눌러 겹합부재(114)에 약간 억지끼움하듯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섭취도구(130) 중 특히, 스푼(131a)의 취식부(132a)는 둥근 부위(볼록한 부분)가 위쪽을 향하거나 혹은 아래쪽을 향하는 형태 중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수용홈(114)측에 결합될 수 있다.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를 수용홈(114)측으로 부터 이탈시킬 시 상기 방식과 역순으로 진행하여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용홈(114)이 용기본체(110)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수용홈(114)을 용기본체(110)의 하부에만 마련되도록 하여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고객이 원하는 대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2)측에 결합되는 덮개(120)측에도 수용홈(124)를 마련하여 섭취도구(130)를 탈착되게 끼움결합할 수 있다.
수용홈(124)은 섭취도구 수용부(121), 경사주면부(121a), 환형턱(125a, 125b) 및 요철부(126a, 126b)로 구성된다.
이러한 섭취도구 수용부(121), 경사주면부(121a), 환형턱(125a, 125b) 및 요철부(126a, 126b)는 상술한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마련된 것과 동일유사하다.
상기 수용홈(124)은 덮개(120)의 밀폐부(122)측 내부 혹은 외부 중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사주면부(121a)는 섭취도구(130)의 초기 삽입부에 형성되어 섭취도구(13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환형턱(125a, 125b)은 덮개(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사주면부(121a)의 끝지점에 형성되어 섭취도구(130)의 걸림부를 형성한다. 환형턱(125a, 125b)은 요철부(126a, 126b)를 매개로 연속되게 연장형성되어 경사주면부(121a)의 외주연부 전체에 마련될 수 있다.
요철부(126a, 126b)는 대략 반구형(半球形)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를 이루어 상술한 바와 같이 환형턱(125a, 125b)을 연속되게 연장되게 한다.
수용홈(124)은 환형턱(125a, 125b)에서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환형턱(125, 125b)의 내경보다는 넓은 지름을 갖게 형성된 섭취도구 수용부로 이루어진다.
요철부(126a, 126b)는 평면에서 보아 환형턱(125a, 125b)만을 이루어진 원주 형태, 삼각 혹은 사각 모양의 치형(齒形) 및 파형(波形)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환형턱(125a, 125b)은 단면에서 보아 '〈'자형 혹은 '∠'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요철부(126a, 126b)는 덮개(120)와 함께 사출 성형, 압진공 성형 혹은 압공 성형 어느 하나에 의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수용홈(124)측에는 식품을 섭취하는 취식부(131a, 132b, 132c)와 취식부(131a, 132b, 132c)와 연장형성된 손잡이부(134a, 134b, 134c)로 이루어진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가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섭취도구(130)는 상술한 용기본체(110)측에 결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수용홈(124)측에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를 끼움결합할 경우, 식품을 섭취하는 취식부(132a, 132b, 132c) 및 손잡이부(134a, 134b, 134c)를 요철부(126a, 126b)를 통해 안내되면서 끼워지게 한 후, 환형턱(125a, 125b)측으로 약간 비틀어주게 되면 취식부(132a, 132b, 132c) 및 손잡이부(134a, 134b, 134c)가 환형턱(125a, 125b)에 걸리게 되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수용홈(124)측에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의 결합 시, 환형턱(125a, 125b)만이 구비된 경우 그 환형턱(125a, 125b)이 초기의 상태로 복귀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나 손가락으로 환형턱(125a, 125b)을 눌러 겹합부재(114)에 약간 억지끼움하듯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섭취도구(130) 중 특히, 스푼(131a)의 취식부(132a)는 둥근 부위(볼록한 부분)가 위쪽을 향하거나 혹은 아래쪽을 향하는 형태 중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수용홈(124)측에 결합될 수 있다.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를 수용홈(124)으로부터 이탈시킬 시 상기 방식과 역순으로 진행하여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용홈(124)이 덮개(120)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수용홈(124)을 덮개(120)의 내부 혹은 외부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마련하여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고객이 원하는 대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요철부(116, 126a, 126b)는 용기본체(110) 또는 덮개(120)와 함께 사출 성형하여 한 몸체를 이루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10) 또는 덮개(120)와 한 몸체로 함께 사출 성형하게 되면, 섭취도구(130 : 131a, 131b, 131c)를 용기본체(110) 및 덮개(120)와 함께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섭취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공정수의 절감 및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 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덮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본 수푼 취식부의 둥근부분이 아래쪽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서 본 수푼 취식부의 둥근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비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내부에 포장 상태의 스푼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만이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에 2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에 4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수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가 납작하게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C-C'선에서 본 포장 상태의 스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D-D'선에서 본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아래쪽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D-D'선에서 본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마련된 환형턱만이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마련된 환형턱에 2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마련된 환형턱에 4개의 요철부가 형 성된 수용홈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포장 상태의 스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E-E'선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포장 상태의 스푼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위쪽을 향하여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외부에 비포장 상태의 스푼 포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가 납작하게 마련된 덮개의 외부에 포장 상태의 수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F-F'선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하부에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위쪽을 향하여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하부에 스푼 취식부의 둥근 부분이 아래쪽을 향하여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납작하게 마련된 용기본체의 하부에 포장 상태의 섭취도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을 이루는 요철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형을 이루는 요철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을 이루는 요철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2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푼포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식품용기, 110 : 용기본체,
111, 121 : 섭취도구 수용부, 111a, 121a : 경사주면부,
112 : 개구부(開口部), 114, 124 : 수용홈,
115, 125a, 125b : 환형턱, 116, 126a, 126b : 요철부,
120 : 덮개, 122 : 밀폐부,
130 : 섭취도구, 131a : 스푼(Spoon),
131b :포크(Fork), 131c : 스푼포크(Spoon-fork),
132a, 132b, 132c : 취식부, 134a, 134b, 134c : 손잡이부,
136 : 비닐필름.

Claims (7)

  1.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덮개를 갖는 용기본체; 및
    상기 덮개 혹은 용기본체 중 어느 하나의 밀폐부에 내부 혹은 외부를 향하여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음식물을 떠서 섭취하기 위한 섭취도구를 수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섭취도구의 초기 삽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섭취도구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주면부와, 상기 경사주면부의 끝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섭취도구의 걸림부를 형성하는 환형턱과, 상기 환형턱에서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환형턱의 내경보다는 넓은 지름을 갖게 형성된 섭취도구 수용부로 이루어진 수용홈; 및
    상기 환형턱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으로 상기 섭취도구의 삽입 시 상기 환형턱의 변형을 유도하는 일정 모양 변환 유도용 요철부를 포함하는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위에서 보아 파형(波形), 삼각 혹은 사각 모양의 치형(齒形)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은,
    45°~90°의 범위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용기본체나 상기 덮개와 함께 사출 성형, 압진공 성형 혹은 압공 성형 어느 하나에 의해 한 몸체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섭취도구는,
    스푼(Spoon), 포크(Fork) 및 스푼포크(Spoon-Fork)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섭취도구는,
    손잡이부가 접히거나 뒤로 젖혀져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섭취도구는,
    비닐필름에 씌워 포장한 상태로 상기 수용홈측에 끼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KR1020090079748A 2009-08-27 2009-08-27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KR10110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748A KR101104405B1 (ko) 2009-08-27 2009-08-27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748A KR101104405B1 (ko) 2009-08-27 2009-08-27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239A true KR20110022239A (ko) 2011-03-07
KR101104405B1 KR101104405B1 (ko) 2012-01-16

Family

ID=4393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748A KR101104405B1 (ko) 2009-08-27 2009-08-27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170A (ko) * 2016-03-10 2017-09-20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0829A (ja) * 1990-07-24 1992-03-13 Fuji Electric Co Ltd 割込み信号の調停回路および通信回路
US5705212A (en) 1995-09-08 1998-01-06 Atkinson; Patrick J. Food package with an enclosed eating utensil
AUPO931597A0 (en) * 1997-09-19 1997-10-09 Vaupotic, Vladimir Lid and container with l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170A (ko) * 2016-03-10 2017-09-20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405B1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12240S1 (en) Stainless steel container with cap
ES2425194T3 (es) Cierre con utensilio
ES2498923T5 (es) Contenedor con utensilio tipo pala y retenedor de pala en el cierre
USD616752S1 (en) Bottle container
US20100326848A1 (en) Clip Scoop
USD646754S1 (en) Insert for a closure for a container
WO2010125433A2 (en) Combination carrier and insulated food containers
US20130133288A1 (en) Adaptive cover for sealing multiple objects having irregular shapes and method of us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04405B1 (ko) 섭취도구가 내장된 식품용기
USD517405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D618061S1 (en) Dispensing closure
RU170426U1 (ru) Крышка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A2749773C (en) Container assembly with removable lid
CN105615467B (zh) 冲泡容器、盖体、冲泡料的储存方法及冲泡方法
CN203555299U (zh) 一种可存放药液的头套
CN207292715U (zh) 一种高筒双层饮品杯
KR20110011324U (ko)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
TWI689452B (zh) 封口膜及具有該封口膜的容器
KR200418272Y1 (ko) 캔 뚜껑용 보호커버
KR101775614B1 (ko) 포장 용기
KR100661495B1 (ko) 캔 뚜껑용 보호커버
EP3010328B1 (en) Portable water container
CN216735508U (zh) 一种饮品原料包装瓶及包装饮品
CN201894500U (zh) 一种餐勺
CN210902476U (zh) 一种杯盖及包含其的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