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981A -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동안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동안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981A
KR20110021981A KR1020107029321A KR20107029321A KR20110021981A KR 20110021981 A KR20110021981 A KR 20110021981A KR 1020107029321 A KR1020107029321 A KR 1020107029321A KR 20107029321 A KR20107029321 A KR 20107029321A KR 20110021981 A KR20110021981 A KR 2011002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saving mode
silence
instructions
e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502B1 (ko
Inventor
패트릭 림
산 칭
톰 친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2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여기서 제시되는 기법들은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이동국, MS)로 하여금 모니터링되는 VoIP 전송들에 기초하여 사일런스를 검출할때 저전력 상태로 자동으로 진입하게 한다. 저전력 상태로의 자동 진입은 무선 디바이스가 전력을 보존하도록 도울 수 있다. 추가적으로, 대역폭이 시스템 내로부터 무선 서비스로 할당되는 특정 타입들의 스케줄링 서비스들(예를 들어, UGS(Unsolicited Grant Service 또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에 대해, 사일런스가 검출될 때 자동으로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것은 시스템 내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의 할당을 위한(즉, 그렇지 않은 경우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무선 디바이스로 할당되었을) 대역폭 역시 자유롭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동안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POWER SAVINGS MODE DUR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상황들이 이동국에서 검출되었을 때 자동으로 전력 절감 상태로 진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6 하에서의 OFDM 및 OFDMA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들의 직교성에 기초하여 시스템들에서의 서비스들에 대해 등록된 무선 디바이스들(즉, 이동국들)과 통신하기 위해 기지국들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다중경로 페이딩 및 간섭에 대한 저항성과 같은 광대역 무선 통신들에 대한 다수의 이점들을 달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BS)은 이동국들(MS)로부터 그리고 이동국들(MS)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들을 방출 및 수신한다.
BS와 MS 간의 RF 신호들은 데이터, 음성 또는 비디오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은 음성이 인터넷을 통해 MS로부터 BS로 전송될 수 있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다. VoIP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일부 시스템들은 UGS(Unsolicited Grant Service) 또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사용하여 VoIP 사용자에게 대역폭을 주기적으로 할당한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VoIP 통신은 또한 유선 접속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반적인 전화 통화들에서, 일반적으로 풀 듀플렉스 대역폭 중 거의 50%만이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서 사용된다. 이는 한 사람은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는 동안 일반적으로 리스닝(listen)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자연스러운 일시중지들, 호흡을 위한 그리고 단어들 사이에서의 일시중지들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연결하면, 대화를 위한 전체 요구되는 대역폭은 추가 10%만큼 감소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가용 대역폭이 50-60% 사이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일런스 억제 기법들은 대화 동안 사일런스의 갭이 존재하는 때를 검출하고, 상기 사일런스 동안 전송들을 억제함으로써 이를 사용한다. 이러한 사일런스 억제는 매체가 공유하는 패킷들이 더 적을수록 넌-사일런트 패킷들의 더 일관적인 전달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사일런스(silence)를 검출하기 위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검출된 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non-silence)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는 단계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계열 중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상기 IEEE 802.16 표준 계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로직; 사일런스(silence)를 검출하기 위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로직; 적어도 상기 검출된 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로직;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로직;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로직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제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치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계열 중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상기 IEEE 802.16 표준 계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수단; 사일런스(silence)를 검출하기 위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상기 검출된 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수단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용 장치를 제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치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계열 중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상기 IEEE 802.16 표준 계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저장된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들을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시하며,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명령들; 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들; 적어도 상기 검출된 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계열 중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상기 IEEE 802.16 표준 계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사일런스 억제 모드가 인에이블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호출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접속의 설정과 연관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는 단계; 및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는, 상기 VoIP 호출의 종료;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요청의 수신; 및 상기 VoIP 호출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만족될 수 없다는 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로직; 사일런스 억제 모드가 인에이블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호출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로직; 상기 접속의 설정과 연관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로직; 및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로직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제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는, 상기 VoIP 호출의 종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요청의 수신; 및 상기 VoIP 호출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만족될 수 없다는 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수단; 사일런스 억제 모드가 인에이블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호출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접속의 설정과 연관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 및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용 장치를 제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는, 상기 VoIP 호출의 종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요청의 수신; 및 상기 VoIP 호출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만족될 수 없다는 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저장된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며,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들을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시하며,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명령들; 사일런스 억제 모드가 인에이블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호출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접속의 설정과 연관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들; 및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이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는 상기 VoIP 호출의 종료;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요청의 수신; 및 상기 VoIP 호출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만족될 수 없다는 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본원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보다 특정한 설명은 실시예들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첨부 도면들에 예시된다. 그러나, 첨부 도면들은 본원의 특정한 통상적인 실시예들만을 예시하므로 본원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설명은 다른 동일하게 유효한 실시예들을 허용(admit)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송신기 및 예시적인 수신기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사일런스의 검출에 응답하여 슬립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MS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4A는 도 4의 예시적인 동작들에 상응하는 수단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UGS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BS와 MS 사이의 예시적인 교환들을 예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ertPS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BS와 MS 사이의 예시적인 교환들을 예시한다.
여기서 제시되는 기법들은 이동국(MS)으로 하여금 모니터링되는 VoIP 전송들에 기초하여 사일런스가 검출될 때 저전력 상태로 자동으로 진입하게 한다. 저전력 상태로의 자동 진입은 MS에서 전력을 보존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대역폭이 시스템 내의 MS들에 자동으로 할당되는 특정 타입들의 스케줄링 서비스(예를 들어, UGS(Unsolicited Grant Service))에 대해, 사일런스가 검출될 때 저전력 상태로의 자동 진입은 다른 MS들로의 할당을 위해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MS에 할당되었던) 대역폭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본 발명의 방법들 및 장치들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광대역 무선"은 일반적으로는 주어진 영역에 대한 음성, 인터넷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서비스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지칭한다.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나타내는 WiMAX는 장거리에 대한 높은 스루풋 광대역 접속들을 제공하는 표준-기반 광대역 무선 기술이다. 현재 WiMAX의 2가지 주요 애플리케이션들인 고정형 WiMAX와 모바일 WiMAX가 존재한다. 고정형 WiMAX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포인트-대-멀티포인트, 홈(home)들 및 기업(business)들에 대한 광대역 액세스의 인에이블링이다. 모바일 WiMAX는 광대역 속도로 셀룰러 네트워크들의 풀 모빌리티(full mobility)를 공급한다.
모바일 WiMAX는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에 기반한다. OFDM은 최근 다양한 하이-데이터-레이트(high-data-rate) 통신 시스템들에서 널리 채택되는 디지털 멀티-캐리어 변조 기법이다. OFDM을 사용하여, 전송 비트 스트림은 다수의 더 낮은-레이트 서브스트림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서브스트림은 다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변조되고 복수의 병렬 서브채널들 중 하나를 통해 송신된다. OFDMA는 상이한 시간 슬롯들 내에서 서브캐리어들이 사용자들에게 할당되는 다중 액세스 기법이다. OFDMA는 광범위하게 가변하는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레이트들 및 서비스 품질 요건들로써 많은 사용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다중-액세스 기법이다.
무선 인터넷들 및 통신들에서의 고속 성장은 무선 통신 서비스들의 분야에서의 하이 데이터 레이트에 대한 요구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OFDM//OFDMA 시스템들은 오늘날 가장 전망있는 연구 영역들 중 하나로서, 그리고 차세대 무선 통신들에 대한 핵심 기술로서 간주되고 있다. 이는 OFDM/OFDMA 변조 방식들이 변조 효율성, 스펙트럼 효율성, 플렉시블함(flexibility) 및 종래의 단일 캐리어 변조 방식들에 대한 강력한 다중경로 내성(immunity)과 같은 많은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IEEE 802.16x는 고정형 및 모바일 광대역 무선 액세스(BWA) 시스템들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기 위한 통합 표준 기구이다. 이들 표준들은 적어도 4개의 상이한 물리층(PHY)들 및 하나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층을 정의한다. 상기 4개의 물리층들 중 OFDM 및 OFDMA 물리층이 각각 고정형 및 모바일 BWA 시스템들에서 가장 널리 쓰인다(popul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예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수의 셀들(102)에 대한 통신을 제공하며, 상기 셀들 각각은 기지국(104)에 의해 서비스된다. 기지국(104)은 사용자 단말들(106)과 통신하는 고정국일 수 있다. 기지국(104)은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시스템(100) 전반에 걸쳐 분산된 다양한 사용자 단말들(106)을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들(106)은 고정형(즉, 정지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106)은 대안적으로는 원격국들, 액세스 단말들, 단말들, 가입자 유닛들, 이동국들, 스테이션들, 사용자 장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106)은 셀룰러 전화들,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PDA)들,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무선 모뎀들, 랩톱 컴퓨터들, 개인용 컴퓨터들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다양한 알고리즘들 및 방법들이 기지국들(104)과 사용자 단말들(106) 사이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전송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들은 OFDM/OFDMA 기법들에 따라 기지국들(104)과 사용자 단말들(106) 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OFDM/OFDMA 시스템이라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4)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6)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108)라 지칭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6)로부터 기지국(104)으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110)라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운링크(108)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이라 지칭될 수 있고, 업링크(110)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이라 지칭될 수 있다.
셀(102)은 다수의 섹터들(112)로 분할될 수 있다. 섹터(112)는 셀(102) 내의 물리적 커버리지 영역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의 기지국들(104)은 셀(102) 의 특정 섹터(112) 내의 전력의 플로우를 집중시키는 안테나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들은 지향성 안테나들이라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여기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예이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기지국(104) 또는 사용자 단말(106)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또한 중앙 처리 장치(CPU)라 지칭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06)는 프로세서(204)에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206)의 일부분은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통상적으로 메모리(2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초하여 로직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206) 내의 명령들은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2)와 원격 로케이션 간의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한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208)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는 트랜시버(214)로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216)는 하우징(208)에 부착되고 트랜시버(214)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미도시된)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트랜시버(21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 및 정량화(quantify)하기 위한 일환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218)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218)는 전체 에너지, 심볼당 서브캐리어 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와 같은 신호들 및 다른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신호들의 프로세싱 시에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데이터 버스에 추가하여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는 버스 시스템(222)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도 3은 OFDM/OFDMA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송신기(302)의 예를 예시한다. 송신기(302)의 부분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송신기(2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송신기(302)는 다운링크(108) 상에서 사용자 단말(106)로 데이터(306)를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104)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송신기(302)는 또한 업링크(110) 상에서 기지국(104)으로 데이터(306)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6)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송될 데이터(306)는 직렬-대-병렬(S/P) 변환기(308)로의 입력으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S/P 변환기(308)는 전송 데이터를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로 분할할 수 있다.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은 이후 맵퍼(310)로의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맵퍼(312)는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N개의 성상도(constellation) 포인트들로 맵핑할 수 있다. 상기 맵핑은 일부 변조 성상도, 예를 들어,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8상-시프트 키잉(8PSK), 직교 진폭 변조(QAM)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맵퍼(312)는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316)을 출력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심볼 스트림(316)은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320)의 N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이들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316)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표현되고, IFFT 컴포넌트(320)에 의해 N개의 병렬 시간 도메인 샘플 스트림들(318)로 변환될 수 있다.
용어에 대한 간략한 주지가 이제 제공될 것이다.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N개의 병렬 변조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N개의 변조 심볼들과 동일한데, 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N 매핑 및 N-포인트 IFFT와 동일하며, 이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유용한) OFDM 심볼과 동일하며, 이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N개의 샘플들과 동일하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OFDM 심볼인 Ns는 Ncp(OFDM 심볼당 가드 샘플들의 수) + N(OFDM 심볼당 유용한 샘플들의 수)와 동일하다.
N개 병렬 시간 도메인 샘플 스트림들(318)은 병렬-대-직렬(P/S) 변환기(324)에 의해 OFDM/OFDMA 심볼 스트림(322)으로 변환될 수 있다. 가드 삽입 컴포넌트(326)는 OFDM/OFDMA 심볼 스트림(322)에서의 연속적인 OFDM/OFDMA 심볼들 사이에 가드 구간을 삽입할 수 있다. 가드 삽입 컴포넌트(326)의 출력은 이후 무선 주파수(RF) 프론트 엔드(328)에 의해 원하는 전송 주파수 대역으로 상향변환될 수 있다. 안테나(330)는 이후 결과 신호(332)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또한 OFDM/OFDMA를 이용하는 무선 디바이스(202)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신기(304)의 예를 예시한다. 수신기(304)의 부분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수신기(212)에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304)는 다운링크(108) 상에서 기지국(104)으로부터 데이터(306)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304)는 또한 업링크(110) 상에서 사용자 단말(106)로부터 데이터(306)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104)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송된 신호(332)는 무선 채널(334)을 통해 이동(traveling)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신호(332')가 안테나(330')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신호(332')는 RF 프론트 엔드(328')에 의해 베이스밴드 신호로 하향변환될 수 있다. 이후 가드 제거 컴포넌트(326')는 가드 삽입 컴포넌트(326)에 의해 OFDM/OFDMA 심볼들 사이에 삽입되었던 가드 구간을 제거할 수 있다.
가드 제거 컴포넌트(326')의 출력은 S/P 변환기(324')로 제공될 수 있다. S/P 변환기(324')는 OFDM/OFDMA 심볼 스트림(322')을 N개의 시간-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8')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N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고속 푸리에 변환(FFT) 컴포넌트(320')는 N개의 병렬 시간-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8')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시켜서 N개의 병렬 주파수-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6')을 출력할 수 있다.
디맵퍼(312')는 맵퍼(312)에 의해 수행되어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출력했던 심볼 맵핑 동작의 역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S 변환기(308')는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단일 데이터 스트림(306')로 결합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데이터 스트림(306')은 송신기(302)로의 입력으로서 제공되었던 데이터(306)에 대응한다. 엘리먼트들(308', 310', 312', 316', 320', 318' 및 324')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340')에서 모두 발견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전력 절감 모드의 자동적 활성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P)은 MS로부터 BS로 그 다음엔 인터넷을 통해 음성을 전송하기 위해 WiMAX 네트워크들을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다. VoIP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WiMAX는 VoIP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고정된 대역폭을 할당하기 위해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주지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종단에서, 사일런스에 대응하는 VoIP 대화의 상당한 비율(percentage)이 종종 존재한다.
여기서 제시되는 기법들은 MS로 하여금 사일런스 기간이 검출될 때 전력 절감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하는 것은 사일런스 억제에 대한 향상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MS에서의 전력 절감 뿐만 아니라, 일부 상황들에서, 여기서 개시되는 바와 같은 전력 절감 모드로의 자동 진입 역시 전체 시스템 성능의 개선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S가 전력 절감 모드인 경우, BS는 또한 시스템 내의 다른 MS들로의 할당을 위해,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MS에 할당되었을, 대역폭을 복원할 수 있다.
전력 소모는 대부분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의 관심분야인데, 몇몇 전력 절감 규격들은 802.16e 표준에서 설명되었다. 예를 들어, 전력 절감 클래스 타입 II (PSC-II)가 802.16e 표준에서 설명된다. 본질적으로, PSC-II 모드는 MS로 하여금 시간 기간 동안 슬립 윈도우로 진입하게 허용하고, 리스닝 윈도우 동안 액티비티(activity)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게 허용한다. 리스닝 윈도우 동안, MS는 다시 슬립으로 리턴하기 이전에 수신 또는 전송할 트래픽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MS는 사일런스 기간이 검출될 때 자동으로 PSC-II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MS는 다수의 조건들 중 임의의 조건이 발생하면 PSC-II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올 수(그리고 정상 동작으로 리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S는 VoIP 호출이 종료할 때, MS가 PSC-II 모드를 빠져나가기 위한 요청을 BS로부터 수신할 때, 또는 PSC-II가 활성화된 동안 MS가 VoIP 호출의 QoS 파라미터들이 만족될 수 없다고 결정하는 경우, PSC-II 모드를 빠져나갈 수 있다. VoIP의 QoS 파라미터들이 정상 동작으로의 리턴 이후에도 여전히 만족되지 않는 경우, MS는 추가 대역폭을 요청하기 위해 802.16 표준에 아웃라인된(outlined) 프로시저들을 따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MS는 사일런스 억제 특징이 인에이블된 VoIP 접속이 설정될 때 PSC-II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할 수 있다. VoIP 호출이 관여(engage)되자마자 PSC-II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은 사일런스 기간이 검출될 때마다 PSC-II 활성화를 요청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MS가 VoIP에 대한 QoS 요건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동안, MS는 PSC-II 모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MS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400)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동작들이 특정 예로서 PSC-II를 포함하지만, 당업자는 유사한 기법들이 상이한 타입들의 전력 절감 모드들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동작들이 사일런스 검출의 응답으로 PSC-II 모드의 활성화를 설명하지만, PSC-II 모드는 또한 사일런스 억제가 인에이블된 VoIP 접속이 설정될 때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동작들(400)은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시작한다(402). MS는 예를 들어, 모니터링되는 아웃고잉(outgoing) VoIP 트래픽에 기초하여 사일런스 기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404). 사일런스 기간은 MS가 음성 트래픽(예를 들어, 상대방이 대화하고 있음) 또는 자연스러운 일시중지들(예를 들어, 호흡을 위한 그리고 단어들 사이의 일시중지들)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된 시간 기간들에 대응할 수 있다. MS가 사일런스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MS는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정상 동작들을 계속할 수 있다.
반면, 사일런스가 검출되면, MS는 40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PSC-II 슬립 모드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고정된 시간 기간동안 슬립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활성화 프로세스의 일부분으로서, MS는 BS로 슬립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MS는 BS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할 때 PSC-II 모드로 실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협상동안, 슬립 윈도우 및 리스닝 윈도우의 사이즈와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설정될 수 있다. BS가 언제 MS가 슬립상태로 진입하는지를 통지받으므로, BS는 심지어 UGS 데이터 할당 메커니즘이 그렇게 요구한다 할지라도, 슬립 윈도우 동안 MS로 어떠한 대역폭 할당도 스케줄링하지 않을 것이다.
주기적으로, MS는 시간 기간 동안 웨이크업하고 리스닝할 수 있다(408). 리스닝은 슬립 윈도우들 사이의 고정된 리스닝 윈도우 동안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지수적으로 증가함으로써) 달라지거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410에서, MS는 넌-사일런스(non-silence)가 리스닝 윈도우동안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넌-사일런스는, 예를 들어, MS에서 사용자에 의한 대화의 참여의 재개에 대응할 수 있다. 넌-사일런스는 또한 BS로부터의 데이터 트래픽의 대기를 표시하는 신호, BS로부터의 데이터 트래픽 대기를 포함하는 신호, 또는 일부 다른 타입의 신호의 수신에 대응할 수 있다. MS가 넌-사일런스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또는 다시 말해 MS가 사일런스의 검출을 계속하는 경우, MS는 4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슬립 윈도우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후 단계들(408 및 410)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 MS가 넌-사일런스를 검출하는 경우, MS는 PSC-II 슬립 모드를 즉시 비활성화시키고 정상 동작들을 재개할 수 있다. MS는 사일런스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할 수 있으며, 다시, 사일런스가 검출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동작들(400)은 UGS 또는 ertPS QoS 모드들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 모드들에서 동작할 때 MS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UGS 경우에 있어서, 전력 절감 모드로의 자동 진입은 그렇지 않은 경우 사일런스의 검출 이후 전송들을 억제하는 MS에 낭비적으로 할당되었을 대역폭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5A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UGS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는 BS 및 사일런스 이벤트의 검출 이후 PSC-II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MS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송들의 예시적인 교환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예에서, BS와 MS사이에서 VoIP 교환들이 존재하는 정상 동작들이 예시된다. 주기적으로, BS는 전체 가용 대역폭(BW), 서비스 플로우 특정 스케줄링 정책들, 서비스 플로우 QoS 파라미터들, 접속 무선 링크 품질,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 자신이 서빙하는 다양한 MS들 사이에 BW(520)를 할당할 수 있다.
55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시점에서, MS는 사일런스를 검출할 수 있다. 사일런스의 검출에 응답하여, MS는 BS로 슬립_요청(532)을 즉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확인응답하는 슬립_응답(534)을 BS로부터 수신한 후, MS는 PSC-II 슬립 모드로 진입하고, 슬립 윈도우(530) 동안 특정 컴포넌트들을 파워다운 시킬 수 있다. MS로부터 슬립_요청(532)을 수신한 후, BS는 VoIP 접속이 주어진 경우, UGS 데이터 할당 메커니즘이 BS가 그렇게 할 것을 요청했었을 수 있다 할지라도, 어떠한 BW도 슬립 중인 MS로 할당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슬립 중인 MS로 할당되었을 이러한 대역폭은 520'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내의 다른 MS들로 할당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시스템 성능을 도울 수 있다.
일정한 간격으로 MS는 슬립으로부터 슬립으로부터 웨이크업하여 MS가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리스닝 윈도우(540)로 진입할 수 있다. 넌-사일런스가 검출되지 않으면, MS는 사일런스 기간(550)의 듀레이션 동안 슬립 윈도우(530)로의 진입을 계속할 수 있다. 일부 시점에서, MS는 리스닝 윈도우 동안 넌-사일런스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S는 모바일 사용자가 사일런스 기간 이후의 대화시 스피킹을 재개했음을 표시하는 아웃고잉 트래픽을 검출할 수 있다. 넌-사일런스가 검출되면(554), 후속적인 리스닝 윈도우(540) 동안, MS는 즉시 PSC-II 슬립 모드를 빠져나와서 정상 동작들을 재개할 수 있다. 다음 BS에 의한 BW 할당 주기(520) 동안, BS는 MS로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고, 이 때 MS는 VoIP 데이터 교환들(510)을 재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사용함으로써, MS는 전력을 절감시켜서 결과적으로 MS가 충전 사이클들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는 시간을 확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UGS QoS를 공급하는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때, MS는 MS가 슬립 모드인 동안 BS가 MS에 불필요하게 BW를 할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UGS BW 할당 메커니즘의 사용은 요청하는 BW의 오버헤드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시스템으로 하여금 더 많은 VoIP 사용자들을 지원하도록 허용한다.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사용하여, BS는 UGS를 사용하는 것과 매우 비슷하게, 주기적으로 MS로 고정된 대역폭을 할당한다. 그러나, MS는 할당의 사이즈를 변경시키기 위한 대역폭 요청을 송신할 수 있지만, 대역폭 요청들을 통한 UGS에서의 할당 사이즈의 변경은 허용되지 않는다. MS는 할당될 제로(zero) 대역폭을 요청할 수 있고, 그 응답으로, BS는 MS로의 대역폭 할당을 중지할 수 있다. MS가 대역폭을 다시 요구하는 경우, (MS로 할당되는 어떠한 가용 대역폭도 없다고 가정하면) 경쟁 대역폭 요청이 BS로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가용 대역폭이 상이한 경쟁에 할당된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헤더는 BS로 송신될 수 있다.
도 5B는 ertPS QoS를 제공하는 BS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송들의 교환을 예시한다. 예시된 예에서,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MS는 사일런스의 검출 이후 PSC-II 슬립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사용하여, BS는 주기적으로 BW(520)를 할당한다.
BW가 할당된 후, MS 및 BS는 VoIP 데이터(510)를 교환할 수 있다. 일부 시점에서, MS는 사일런스 이벤트(552)를 검출할 수 있다. 이전 예에서와 같이, MS는 슬립 요청(532)을 송신하고 이후 응답 메시지(534)의 형태로 확인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슬립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MS는 또한 MS로 할당되었던 대역폭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BS로 제로 대역폭 요청(522)을 송신할 수 있다. 그 응답으로, BS는 후속적인 BW 할당들(520')에서 MS로의 대역폭 할당을 중지할 수 있다.
위의 UGS 예에서와 같이, MS는 슬립 윈도우(530)로 진입하고,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리스닝 윈도우(540)에 진입할 수 있다. 554에서 sjs-사일런스를 검출한 이후 MS는 PSC-II 모드를 즉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시간에서, MS는 다시 대역폭을 요청할 수 있고, 따라서, (제로) 대역폭 할당을 수정하고 (예를 들어, 경쟁 대역폭 요청을 통해) 대역폭을 요청하기 위해 대역폭 요청(518)을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일런스가 검출될 때 MS가 대역폭 할당을 제로로 감소시키도록 선택하는 경우, MS는 넌-사일런스가 검출된 이후 오리지널 대역폭 할당을 재개하기 위한 경쟁 대역폭 요청을 송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위의 설명이 MS가 사일런스가 검출되었을 때 제로 대역폭 요청을 송신하는 확률을 지칭하지만, 특정 실시예들에서, MS는 제로 대역폭 요청을 송신하지 않으나 일부 다른 동작 또는 동작 정지(inaction)을 취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S는 임의의 변경이 없는 것으로서 (사일런스가 검출될 때 자신의 현재 상태에서) ertPS 대역폭을 남겨두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S는 넌-사일런스가 검출될 때 오리지널 할당을 재개하기 위해 어떠한 타입의 대역폭 요청도 송신할 필요가 없다.
또다른 예에서, MS는 대역폭 요청을 통한 임의의 넌-제로 할당량에 대한 대역폭 할당을 감소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넌-사일런스가 검출될 때, MS는 경쟁 대역폭 요청 없이 오리지널 할당을 재개하기 위해 감소된 할당을 가지는 대역폭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PSC-II는 VoIP 접속이 설정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MS는 넌-사일런스 기간들 동안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ertPS에 대해, 사일런스 기간들 동안, MS는 감소된 대역폭을 요청하기 보다는, 단지 대역폭 할당을 무시할 수 있다. MS가 사일런스 기간으로부터 넌-사일런스 기간으로 트랜지션할 경우, PSC-II는 전술된 조건들 중 하나가 만족될 때까지(예를 들어, VoIP 호출이 종료한다, BS가 MS로 하여금 PSC-II를 빠져나가도록 요청한다, 또는 QoS 파라미터들이 만족될 수 없다) 계속(still)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역폭을 감소시키기 위한 어떠한 요청도 송신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할당된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역폭 요청을 다시 송신할 필요가 없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도면들에 예시된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상대(counterpart) 수단-플러스-기능 도면들을 가지는 도면들에 예시된 방법들이 존재하는 경우, 동작 블록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가지는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블록들(402-414)은 도 4A에 예시된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402A-414A)에 대응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결정하는"은 광범위한 동작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은 계산, 컴퓨팅, 프로세싱, 구동, 검사(investigating), 룩업(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또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룩업),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결정(resolving), 선택(selecting), 선택(choosing),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 등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또는 자기 입자, 광학장 또는 광학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원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및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신호(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이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몇몇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을 통해,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다수의 저장 매체에 걸쳐 분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방법들은 전술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특정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수정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또는 저장 매체 상에 명령들 또는 하나 이상의 명령들의 세트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시 디바이스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써,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disk) 저장소, 자기 디스크(disk)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소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disk 및 disc는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학 disc, 디지털 다목적 disc(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disc들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웹사이트, 서버, 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들은 적용가능할 경우,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드되거나 그리고/또는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여기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컴팩트 disc(CD) 또는 플로피 disk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은 디바이스로 저장 수단을 제공하거나 커플링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이 위에서 예시된 특정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수정들, 변경들 및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전술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상세항목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56)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사일런스(silence)를 검출하기 위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는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non-silence)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할당되는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송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PSC 타입(Power Saving Class Type) Ⅱ 저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계열 중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상기 IEEE 802.16 표준 계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르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10.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로직;
    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로직;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장치에는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로직;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할당되는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송신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로직;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이전에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PSC 타입(Power Saving Class Type) Ⅱ 저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로직;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계열 중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상기 IEEE 802.16 표준 계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르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9.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용 장치로서,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수단;
    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장치에는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는,
    무선 통신용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non-silence)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할당되는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이전에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PSC 타입(Power Saving Class Type) Ⅱ 저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계열 중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상기 IEEE 802.16 표준 계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르는,
    무선 통신용 장치.
  28. 저장된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며,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들을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명령들;
    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는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할당되는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송신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이전에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PSC 타입(Power Saving Class Type) Ⅱ 저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이후 넌-사일런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VoIP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재-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적어도 상기 검출된 넌-사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자동으로 빠져나오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계열 중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상기 IEEE 802.16 표준 계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7.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사일런스 억제 모드가 인에이블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호출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접속의 설정과 연관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는 단계; 및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는,
    상기 VoIP 호출의 종료;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요청의 수신; 및
    상기 VoIP 호출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만족될 수 없다는 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는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할당되는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송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PSC 타입(Power Saving Class Type) Ⅱ 저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42.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로직;
    사일런스 억제 모드가 인에이블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호출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로직;
    상기 접속의 설정과 연관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로직; 및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는,
    상기 VoIP 호출의 종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요청의 수신; 및
    상기 VoIP 호출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만족될 수 없다는 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장치에는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할당되는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송신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PSC 타입(Power Saving Class Type) Ⅱ 저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7.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용 장치로서,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수단;
    사일런스 억제 모드가 인에이블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호출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접속의 설정과 연관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 및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는,
    상기 VoIP 호출의 종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요청의 수신; 및
    상기 VoIP 호출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만족될 수 없다는 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장치에는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는,
    무선 통신용 장치.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할당되는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PSC 타입(Power Saving Class Type) Ⅱ 저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52. 저장된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스케줄링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명령들;
    사일런스 억제 모드가 인에이블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 호출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접속의 설정과 연관하여, 전력 절감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들; 및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의 세트는,
    상기 VoIP 호출의 종료;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요청의 수신; 및
    상기 VoIP 호출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만족될 수 없다는 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는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는 ertPS(Extended Real Time Polling Service)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할당되는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송신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PSC 타입(Power Saving Class Type) Ⅱ 저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KR1020107029321A 2008-05-27 2009-05-20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동안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101224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7,387 2008-05-27
US12/127,387 US8797928B2 (en) 2008-05-27 2008-05-27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power savings mode dur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PCT/US2009/044705 WO2009151906A2 (en) 2008-05-27 2009-05-20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power savings mode dur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981A true KR20110021981A (ko) 2011-03-04
KR101224502B1 KR101224502B1 (ko) 2013-01-23

Family

ID=4120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321A KR101224502B1 (ko) 2008-05-27 2009-05-20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동안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97928B2 (ko)
EP (1) EP2298012B1 (ko)
JP (1) JP5237442B2 (ko)
KR (1) KR101224502B1 (ko)
CN (1) CN102017733A (ko)
TW (1) TW201014405A (ko)
WO (1) WO20091519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5505B2 (en) * 2010-03-12 2015-05-05 Clearwire Ip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to voice-over-IP traffic on a wireless radio access network
US8817639B2 (en) 2010-09-24 2014-08-26 Broadcom Corporation Comfort noise generation by a headset that is associated with a VoIP-enabled device
US20130215857A1 (en) * 2010-10-09 2013-08-22 Huaming Wu Method of Downlink Power Allocation
CN102457945A (zh) * 2010-10-20 2012-05-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用户端设备及其省电方法
US8787230B2 (en) * 2011-12-19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Voice activity detection in communication devices for power saving
CN103379044A (zh) * 2012-04-26 2013-10-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网络装置及其动态调整带宽的方法
US20140122078A1 (en) * 2012-11-01 2014-05-01 3iLogic-Designs Private Limited Low Power Mechanism for Keyword Based Hands-Free Wake Up in Always ON-Domain
US9036526B2 (en) 2012-11-08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Voice state assisted frame early termination
GB2523544A (en) * 2014-01-30 2015-09-02 Cellnovo Ltd Handset device
US9588574B2 (en) 2015-01-28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mode fallback during concurrency scenarios
US9374786B1 (en) 2015-02-17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improving opportunistic envelope tracking in a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X2019001434A (es) 2016-08-10 2019-09-06 Idac Holdings Inc Metodos y aparato para ahorrar energía de manera eficiente en redes inalámbricas.
CN109413738A (zh) * 2017-08-17 2019-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分配语音业务空口资源的方法、装置及基站
US11160117B2 (en) * 2018-09-19 2021-10-26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techniques for idle mode requests
US11800552B1 (en) * 2020-06-05 2023-10-24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Cor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medium access control schedul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5764A (ja) 1995-08-14 1997-02-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
CA2379412C (en) 1999-07-19 2007-06-05 At&T Corp. A multiple-access scheme for packet voice that uses voice activity detection
US7126945B2 (en) 2001-11-07 2006-10-24 Symbol Technologies, Inc. Power saving function for wireless LANS: methods, system and program products
US7684380B2 (en) 2002-01-22 2010-03-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synchronous data in a wireless network
CN100417039C (zh) 2002-05-06 2008-09-03 美商威睿电通公司 透过控制停持状态至活跃状态的转换过程以减少码分多重存取行动台消耗功率的方法与装置
US6788963B2 (en) 2002-08-08 2004-09-07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a states
US6961595B2 (en) * 2002-08-08 2005-11-0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states
US20060072522A1 (en) * 2004-09-29 2006-04-06 Praphul Chandra Call parameter selection and self-enforced admission control for optimiz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performance in wireless networks
IL164576A (en) * 2004-10-14 2006-10-05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systems
US7450975B2 (en) 2005-09-28 2008-11-11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battery life of a mobile station
US8284707B2 (en) * 2006-11-07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power-saving mechanism for VoIP services
US20090010243A1 (en) * 2007-07-03 2009-01-08 Motorola, Inc. EXTENDED REAL-TIME POLLING SERVICE (ertPS) SCHEDULING SERVICE
US7801066B2 (en) * 2007-07-31 2010-09-2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transitioning a wide area network modem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a power saving mode and a scan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97928B2 (en) 2014-08-05
US20090296616A1 (en) 2009-12-03
WO2009151906A3 (en) 2010-03-25
EP2298012B1 (en) 2015-09-09
KR101224502B1 (ko) 2013-01-23
CN102017733A (zh) 2011-04-13
TW201014405A (en) 2010-04-01
EP2298012A2 (en) 2011-03-23
JP2011523543A (ja) 2011-08-11
JP5237442B2 (ja) 2013-07-17
WO2009151906A2 (en)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502B1 (ko)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동안 전력 절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84229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ation and activation of power saving classes by a mobile station in a sleep mode
KR101284763B1 (ko) 메시지 표시 헤더를 사용한 전력 절감 방법 및 시스템
US85997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plit timer L3 P2P communications
KR101182875B1 (ko) 무선 통신을 위해 보안 키들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EP231401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ticky region allocation in map-based communication systems
EP2396998A1 (en) Waking a mobile station from a power saving mode to receive a mac management message
US8654737B2 (en) Methods and systems using fast connection setup procedure for WiMAX networks
KR101284090B1 (ko) Wimax 네트워크들에서 슬립 모드 동안 전송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