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868A -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 Google Patents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868A
KR20110021868A KR1020107027688A KR20107027688A KR20110021868A KR 20110021868 A KR20110021868 A KR 20110021868A KR 1020107027688 A KR1020107027688 A KR 1020107027688A KR 20107027688 A KR20107027688 A KR 20107027688A KR 20110021868 A KR20110021868 A KR 20110021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element
earphone
bridge
listener
hang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1320B1 (en
Inventor
마이클 제이. 펠란드
로날도 제이. 산티아고
제임스 제이. 포터
맨디 존슨
알란 로드지코스키
마이클 제이. 코스
Original Assignee
코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스 코퍼레이션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9/04434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9143055A1/en
Publication of KR2011002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8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3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조절가능한 듀얼 스피커 요소 이어폰이 기술된다. 스피커 요소들 중 한 스피커 요소(상대적으로 작은 것)는 청취자 귀의 이개강 내에 착용되도록 크기가 형성되며, 그 외의 다른 요소(상대적으로 큰 것)는 그렇지 못하다. 스피커 요소의 위치는 조절 가능해서 사용자가 편안함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피커 요소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힌지식 조인트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스피커 요소가 힌지식 조인트의 수직 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스피커 요소는 청취자의 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또는 이를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스피커 요소는 상대적으로 작은 스피커 요소에 대해 다수의 회전 자유도를 제공하는 조인트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스피커 요소에 대하여 조절가능하다.An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earphone is described. One of the speaker elements (relatively small) is sized to be worn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while the other (relatively large) is not. The position of the speaker element is adjustable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peaker element for increased comfort. Depending on the hinged joint, a relatively large speaker element can rotate around the vertical axis of the hinged joint, so that the relatively large speaker element can rotate in or against a direction away from the listener's ear. The relatively small speaker element is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relatively large speaker element by a joint that provides a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of rotation for the relatively small speaker element.

Description

조절식 듀얼 스피커 요소 인-이어폰{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phones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본 출원은 2008년 5월 19일에 출원된 "조절식 듀얼 스피커 요소 인-이어폰"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 61/054,238호 및 2009년 4월 6일에 출원된 "이어폰"이라는 명칭의 미국 출원 제 29/334,942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구성된다. This application is directed to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1 / 054,238, filed on May 19, 2008, entitled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phone," and US Application, entitled "Earphone," filed April 6, 2009. No. 29 / 334,942, which claims priority, the document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통상적으로, 본 발명은 높은 수준의 음향 재생을 위한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재생하고 비교적 높은 주파수를 재생하기 위한 귀의 용도의 2개의 변환기를 가진 조절식 듀얼 요소 인-이어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Typ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rphones for high levels of sound reproduction, more specifically adjustable dual element in-ear earphones with two transducers for in-ear use to reproduce relatively low frequencies and to reproduce relatively high frequencies. It is about.

"듀얼 요소 헤드폰"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33,206호는 통상적인 인간의 귀의 이개강보다 실질적으로 큰 하나의 변환기(a) 및 이개강 내에 착용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하나의 변환기(b)를 포함하는 듀얼 요소 헤드폰을 공개한다. 헤드밴드의 굴곡부 이외에 상기 문헌에서 공개된 헤드폰은 조절이 불가능하다. US Pat. No. 5,333,206, entitled “Dual Element Headphones,” includes a dual transducer (a) that is substantially larger than the ear canal of a typical human ear and a relatively small transducer (b) worn within the ear canal. Reveal the element headphones. In addition to the bend of the headband, the headphone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not adjustable.

"이어 행거를 가진 인-이어 타입의 이어폰"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729,615호는 샤프트에 연결된 하나의 인-이어 스피커 요소를 가진 이어폰을 공개한다. 스피커 요소는 샤프트에 대해 피벗회전가능하다. 게다가, 샤프트는 이의 축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이어폰의 위치는 샤프트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거나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이어폰은 롤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문헌에 공개된 이어폰이 이어폰의 방향과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몇몇의 메커니즘을 공개할지라도 이러한 조절은 제한된다. 추가로, 상기 문헌의 이어폰은 단지 하나의 스피커 요소만을 가진다. US Pat. No. 5,729,615, entitled “In-ear Type Earphones with Ear Hangers,” discloses earphones with one in-ear speaker element connected to a shaft. The speaker element is pivotable about the shaft. In addition, the shaft is slidably movable along its axis. Thus, the position of the earphone can be raised or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sliding the shaft. In addition, the earphone is rotatable only in the roll direction. Thus, although the earphone disclosed in this document discloses several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earphone, such adjustment is limited. In addition, the earphone of this document has only one speaker element.

전술한 기술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몇몇의 단점을 설명한 것이며, 청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은 아니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merely illustrates some disadvantages that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어폰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행거 바를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브리지의 제 2 단부에 나사산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행거 바의 제 2 부분은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의 귀의 일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In various embodiments, earphones are provided. In one or more embodiments, the earphone includes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and includes a bridge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aker element being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the first A hanger bar comprising a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being threaded to the second end of the bridg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is configured to be placed in a portion of the listener's ea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s.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이 제공되며, 상기 이어폰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행거 바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브리지의 제 2 단부는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에 대해 접근 가능한 회전식 노브를 포함한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행거 바의 제 1 부분은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부분이 브리지에 대해 적어도 병진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식 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추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행거 바의 제 2 부분은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의 귀의 일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In one or more embodiments, an earphone is provided, wherein the earphone includes a bridge including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the bridge includ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wherein the speaker element is pivotable at the first end of the bridge. And a hanger bar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end of the bridge includes a rotary knob accessible to the listene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s.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rotary knob such that the second portion can at least translate relative to the bridge as the knob rotates.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is configured to be placed in a part of the listener's ea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을 착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이어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단부는 회전식 노브를 포함하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행거 바를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행거 바의 제 2 부분이 브리지에 대해 적어도 병진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식 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브리지 및 행거 바의 제 2 부분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노브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브리지에 대해 스피커 요소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스피커 요소가 청취자 귀의 이개강과 정렬되도록 청취자 귀의 일부분 상에 행거 바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ne or more embodiments, a method of wearing an earphone is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n earphone, wherein the earphone comprises a bridge comprising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and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aker element pivotally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bridge, the second end including a rotary knob, a hanger bar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being a knob As it rotates,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rotary knob to at least translate relative to the bridge. In this embodiment, the method includes rotating a knob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comprising rotating the speaker element relative to the bridge, wherein the speaker element is connected to the listener's ear. Placing a hanger bar on a portion of the listener's ear to align with the opening.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이 제공되며, 상기 이어폰은 제 1 스피커 요소 및 제 1 스피커 요소로부터 연장된 제 2 스피커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피커 요소는 벽을 가진 인클로저, 상기 인클로저 내에 배열된 제 1 변환기 및 상기 제 1 변환기와 인클로저의 벽 사이에 형성된 제 1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환기는 제 1 음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스피커 요소는 청취자 귀의 이개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받침과 음향 방출 표면을 가지며, 상기 음향 방출 표면은 제 1 음향 개구부 및 제 2 음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제 2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변환기는 제 2 음향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되지만 제 1 음향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되지 못하는 제 2 음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및 제 2 변환기와 하우징의 받침 사이에 형성된 제 2 공동을 포함한다. 제 1 공동, 제 2 공동 및 제 1 음향 개구부는 제 1 음향이 음향 경로를 통과하고 제 1 음향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되지만 제 2 음향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되지 못하도록 제 1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제 1 음향을 위한 음향 경로를 형성한다. In one or more embodiments, an earphone is provided, the earphone including a first speaker element and a second speaker element extending from the first speaker elemen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peaker element comprises a walled enclosure, a first transducer arranged in the enclosure and a first cavity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ducer and the wall of the enclosure and the first transducer provides a first sound. Configured to generat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comprises a housing sized and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worn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the housing having a backing and an acoustic emitting surface, wherein the acoustic emitting surface is provided with A second transducer comprising a first acoustic aperture and a second acoustic aperture, the second transducer arrang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second transducer produces a second sound that is emitted through the second acoustic aperture but is not emitted through the first acoustic aperture. And a second cavity formed between the second transducer and the base of the housing. The first cavity, the second cavity, and the first acoustic opening receive the first sound generated by the first transducer such that the first sound passes through the acoustic path and is emitted through the first acoustic opening but not through the second acoustic opening. Form an acoustic path for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이 제공되며, 상기 이어폰은 청취자 귀의 이개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 및 스피커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행거 바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행거 바는 청취자 귀의 외이의 상측 부분 뒤에 그리고 청취자 귀의 상측 외부 굴곡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행거 바는 스피커 요소가 중력에 독립적으로 청취자 귀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형태를 가진다.
In one or more embodiments, an earphone is provided, the earphone including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worn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and a hanger bar operably connected to the speaker element. In this embodiment, the hanger bar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behi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ear of the listener's ear and at the upper outer bend of the listener's ear.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hanger bar is shaped such that the speaker element is configured to exert a force on the listener's ear independently of gravity.

이러한 요약 내용은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들을 간략히 약술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약 내용에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항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변형예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이러한 요약 내요은 본 발명의 범위를 협소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읽혀서는 안된다.
This summary is for the purpose of briefly summarizing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ummary, but includes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Moreover, this summary should not be constructed or read in a way that narrows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청취자가 착용한 이어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이어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이어폰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이어폰의 상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이어폰의 트라겔 브리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이어폰의 전개도.
도 9는 이어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전개도.
도 10은 이어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이어폰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서의 선 12-12를 따라 절단한 도 10의 이어폰의 스피커 요소의 횡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이어폰의 스피커 요소의 전개도.
도 14는 청취자의 귀에 대하여 도 10의 이어폰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도시하는 상면도.
1 illustrates a non-limiting embodiment of an earphone worn by a listener.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earphone of Figure 1;
3 is a front view of the earphone of FIG.
4 is a top view of the earphone of FIG.
5 to 7 show a tragel bridge of the earphone of Fig. 1;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earphone of FIG.
9 is an exploded view of a non-limiting embodiment of an earphon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limiting embodiment of an earphone.
11 is a front view of the earphone of FIG. 10;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element of the earphone of FIG. 10 taken along line 12-12 in FIG.
1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peaker element of the earphone of FIG.
14 is a top view illustrating the force exerted by the earphone of FIG. 10 against the listener's ear;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과 방법들의 구성 원리, 기능, 제작 및 용도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특정의 대표 구체예들이 기술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에 이 구체예들 중 하나 이상의 예들이 예시된다.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술되었으며 첨부된 도면에서 예시된 이러한 장치들과 방법들이 비-제한적인 대표 구체예들이고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들의 범위는 오직 청구항에 의해서만 정의된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한 대표 구체예와 관련되어 기술되거나 또는 예시된 특징들은 그 외의 구체예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들과 변경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Specific representati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principles, functions, manufacture, and uses of the devices and methods described herein. Examples of one or more of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se devices and methods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and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n-limiting representati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claims. . In this regard, the features described or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one representative embodiment may be combined with the features of the other embodiments.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 설명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몇몇 도면들에 걸쳐 유사하거나 또는 해당하는 부분들을 가리킨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용어 "전방을 향해", "후방을 향해", "전방", "후방", "우측", "좌측", "상부방향으로", "하부방향으로" 및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편의상 구분 지은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여러 구체예들을 기술하기 위함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imilar or corresponding par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Fur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orward", "forward", "forward", "rear", "right", "left", "upward", "downward" and similar terms Are classified for convenience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intended to describ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not to limit the invention.

다양한 실시예들은 조절식 듀얼 스피커 요소 이어폰(dual speaker element earphone)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스피커 요소들 중 한 스피커 요소(비교적 작은 것)는 청취자 귀의 이개강(cavum concha) 내에 끼워 맞춰지도록 크기가 형성되며, 그 외의 다른 요소들은 그렇지 않다(비교적 큰 것). 스피커 요소의 위치는 사용자가 편안함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피커 요소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큰 스피커 요소는 힌지식 조인트(hinged joint)에 의해 힌지식 조인트의 수직 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스피커 요소는 청취자의 귀를 향해 또는 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추가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스피커 요소는 상대적으로 큰 스피커 요소에 대해 조절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스피커는 너클-볼 조인트(knuckle-ball joint), 볼 조인트 또는 상대적으로 큰 스피커 요소에 대한 상대적으로 작은 스피커 요소의 병진 운동을 방지하거나 또는 이를 제한하지만 다수의 회전 자유도를 제공하는 몇몇의 그 외의 다른 균등물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스피커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relate to an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earphone, wherein one of the speaker elements (comparatively small) is sized to fit within the cavity concha of the listener's ear. , Other factors are not (relatively large). The position of the speaker element is adjustable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peaker element to increase comfort.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relatively large speaker element can be rotated around the vertical axis of the hinged joint by a hinged joint, so that the relatively large speaker element is directed towards the listener's ear. Or rotate in a direction spaced therefrom.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relatively small speaker element is adjustable relative to the relatively large speaker element.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a relatively small speaker prevents or restricts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relatively small speaker element relative to a knuckle-ball joint, ball joint, or relatively large speaker element. It may be connected to a relatively large loudspeaker element by some other equivalent that provides multiple degrees of freedom of rotation.

추가로, 이어폰은 청취자의 귀에 이어폰을 배치시키기 위해 청취자가 이용하는 행거 바(hanger ba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행거 바는 외이(또는 귀바퀴)의 상측 부분 뒤에 청취자의 귀의 상측 외부 굴곡부에 배치되는 수평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은 사용자가 스피커 요소와 행거 바의 수평 섹션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널링처리된 노브(knurled kno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수단이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earphone may include a hanger bar that the listener uses to place the earphone in the listener's ear. Accordingly, the hanger bar may comprise a horizontal section disposed at the upper outer bend of the listener's ear behi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ear (or ear wheel). The earphone may include a knurled knob that allows the user to fin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element and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hanger bar, so that in this embodiment another means for user adjustment is provided. Is provided.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조절가능한 듀얼 스피커 요소 이어폰이 제공되며, 여기서 스피커 요소들 중 하나는 청취자 귀의 이개강 내에 끼워 맞춰지도록 크기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이어폰(10)이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청취자(14)의 귀(12)에 착용된 이어폰(1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어폰(1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이어폰(10)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이어폰(10)의 상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이어폰(10)은 그 외의 다른 요소들 중 제 1 스피커 요소(20), 제 2 인-이어 스피커 요소(in-ear speaker element, 22), 행거 바(hanger bar, 24) 및 트라겔 브리지(tragel bridge, 26)를 포함한다. In at least one embodiment, an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earphone is provided wherein one of the speaker elements is sized to fit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1 to 4 show an embodiment of the earphone 10.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10 worn on the ear 12 of the listener 14, FIG. 2 is a side view of the earphone 10,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earphone 10, and FIG. 4 is an earphone ( Top view of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the earphone 10 has a first speaker element 20, a second in-ear speaker element 22, a hanger bar 24, among other elements. ) And tragel bridge 26.

용어 "근위" 및 "원위"는 청취자의 머리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다. 따라서, 이어폰(10)의 근위 부품들은 청취자의 코를 향하고 원위 부품들은 청취자의 머리의 후방을 향한다. 또한, 공간적인 용어 "수직" 및 "수평"은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관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제한하거나 또는 전적인 것은 아니다. The terms "proximal" and "distal" are used herein with respect to the head of the listener. Thus, the proximal parts of the earphone 10 face the listener's nose and the distal parts face the back of the listener's head. Also, the spatial terms "vertical" and "horizontal" are us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se terms are not limiting or exhaustive.

제 1 스피커 요소(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청취자(14)의 이개강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충분히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피커 요소(22)는 통상적으로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 스피커 요소(20)의 내측 부분(28)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스피커 요소(22)는 제 1 스피커 요소(20)의 내측 표면(28)에 고정되어 제 1 스피커 요소와 제 2 스피커 요소간의 상대적 움직임이 수행되지 못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 요소(22)는 제 2 스피커 요소(20)가 통상적으로 제 1 스피커 요소(2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암(23)에 의해 제 1 스피커 요소(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스피커 요소(20)의 내측 표면(28), 암(23) 및 제 2 스피커 요소(22)의 받침(backing, 25)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의 단일의 부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어서 이들의 위치가 고정된다. The first loudspeaker element 20 may be formed in a generally circular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and may be formed in a size large enough not to enter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 14. In addition,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may be formed in a generally circular shape and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inner portion 28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28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such that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first speaker element and the second speaker element is not per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by an arm 23 such that the second speaker element 20 typically extends perpendicularly from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Can b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ner surface 28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the back 23 of the arm 23 and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are manufactured from a single portion of the injection molded plastic. So that their position is fix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바(24)는 실질적으로 L-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트라겔 브리지(26)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i) 제 1 근위 부분(30)을 가지며, 외이(또는 귓바퀴)의 상측 부분(13) 뒤에서 귀의 상측 외부 굴곡부 상에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제 1 부분(3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되고 제 1 부분에 수직하게 배열된 (ii) 제 2 원위 부분(32)을 가진다. 행거 바(24)는 원통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고, 플라스틱, 금속 또는 임의의 그 외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hanger bar 24 may be formed substantially in an L-shape, having (i) a first proximal portion 30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tragel bridge 26, the outer ear (Ii) a second distal portion configured to be arranged on the upper outer bend of the ear behind the upper portion 13 of the (or auricle) and extending horizontally away from the first portion 30 and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rtion; Has (32). Hanger bar 24 may have a cylindrical cross section and may be made of plastic, metal or any other suitable material.

트라겔 브리지(26)는 제 1 스피커 요소(20)의 근위 변부에서 제 1 스피커 요소(20)에 고정되게 연결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원위 축머리(gudgeon, 34)를 포함한다. 축머리(34)와 트라겔 브리지(26)는 원형의 제 1 스피커 요소(20)의 근위 변부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슬롯형 리테이닝 볼트 또는 핀틀(pintle, 36)은 제 1 스피커 요소(20)를 트라겔 브리지(26)에 힌지연결하기 위하여 축머리(34)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스피커 요소(20)는 축머리(34)의 수직 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스피커 요소(20)는 청취자의 귀(12)를 향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축머리(34)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축머리(34) 및 제 1 스피커 요소(20)의 외측 원주 받침(42)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의 일체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트라겔 브리지(26)의 높이는 제 1 스피커 요소(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라겔 브리지(26)의 높이는 제 1 스피커 요소(20)의 직경의 대략 절반일 수 있다. 대안으로, 도 10 및 도 11에 관해 언급하면, 트라겔 브리지(126)는 제 1 스피커 요소(120)의 직경의 절반보다 클 수 있지만 제 1 스피커 요소(120)의 직경보다 작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원통형의 널링처리된 노브(148)는 상기 언급된 노브(48)보다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취자는 노브(148)와 접촉하고 이를 회전시키며 행거 바(124)를 조절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The tragel bridge 26 comprises a distal gudgeon 34 arranged vertically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at the proximal edge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The shaft head 34 and tragel bridge 26 may be arrange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proximal edge of the circular first speaker element 20. Slotted retaining bolts or pintles 36 are inserted through openings formed by shaft heads 34 to hinge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to the tragel bridge 26. In this manner,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can rotate about the vertical axis of the shaft head 34 such that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is directed towards or away from the listener's ear 12. It can rotate in the direction of separation. The shaft head 34 can be made from metal or plastic,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shaft head 3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feet 42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may be made of an integral part of injection molded plastic. The height of the tragel bridge 26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tragel bridge 26 may be approximately half the diameter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tragel bridge 126 may be larger than half the diameter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120 bu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120. In such an embodiment, the cylindrical knurled knob 148 may be larger than the above mentioned knob 48 such that the listener is in contact with the knob 148 and rotates it to adjust the hanger bar 124. It can have a relatively large surface area.

도 5 내지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트라겔 브리지(26)의 양태들을 도시한다. 도 5는 핀틀(26)과 축머리(34)를 도시하는 트라겔 브리지(26)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트라겔 브리지(26)가 삭제되어 트라겔 브리지(26) 내의 그 외의 다른 부품들이 가시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마찰 O-링(38)이 축머리(34)의 상측 부분과 핀틀(36)의 헤드(40)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O-링(38)은 트라겔 브리지(26) 내측에 배열될 수 있어서 통상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O-링(38)의 기능은 트라겔 브리지(26)에 대한 제 1 스피커 요소(20)의 회전을 방지하고 트라겔 브리지(26)와 제 1 스피커 요소(20) 사이의 상대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핀틀(36)과 축머리(34) 사이에 마찰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트라겔 브리지(26)는 축머리(34) 위에 그리고 이의 아래에 상측 및 하측 플랜지(42, 44)를 가진다. 핀틀(36)은 상측 플랜지(42), 축머리(34) 및 하측 플랜지(44)를 통해 삽입되어 축머리(34)가 트라겔 브리지(26)에 힌지연결된다. 5-7 illustrate aspects of tragel bridge 26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gel bridge 26 showing the pintle 26 and the shaft head 34. 6 and 7, the tragel bridge 26 may be deleted so that other parts within the tragel bridge 26 may be visible. As shown in this figure, a plastic friction O-ring 38 may be arrang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head 34 and the head 40 of the pintle 36. The O-ring 38 may be arranged inside the tragel bridge 26 and thus may not normally be visible. The function of the O-ring 38 prevents rotation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relative to the tragel bridge 26 and maintain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tragel bridge 26 and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To provide friction between pintle 36 and shaft head 34. The tragel bridge 26 has upper and lower flanges 42, 44 above and below the shaft head 34. The pintle 36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flange 42, the shaft head 34 and the lower flange 44 so that the shaft head 34 is hinged to the tragel bridge 26.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틀(36)은 하측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하측 슬롯을 통해 스피커 와이어(46)가 트라겔 브리지(26) 및 제 1 및 제 2 스피커 요소(20, 22)로 공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7, the pintle 36 may comprise a lower slot through which the speaker wires 46 may pass through the tragel bridge 26 and the first and second speaker elements ( 20, 22).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트라겔 브리지(26)는 트라겔 브리지(26)의 근위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원통형의 널링처리된 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널링처리된 노브(48)는 이를 관통하는 수직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개구부는 개구부 주위에 널링처리된 노브(48)의 내측에 나사산을 포함한다. 행거 바(24)의 제 1 부분(30)의 하측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링처리된 노브(48)의 나사산과 정합되는 대응하는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널링처리된 노브(48)가 이의 수직 축 주위에서 회전함에 따라 행거 바(24)의 수평 부분(32)은 트라겔 브리지(26)(이에 따라 스피커 요소(20, 2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널링처리된 노브(48)를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행거 바(24)의 제 2 부분(32)에 대한 트라겔 브리지(26) 및/또는 스피커 요소(20, 22)의 상대 위치, 즉 청취자의 귀에 놓인 행거 바(24)의 일부분을 조절하는 도 2에 도시된 거리(H)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해 이어폰(10)의 착용 상태가 최적화되거나 또는 향상된다.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널링처리된 노브(48) 및 행거 바(24)의 나사산은 비교적 미세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미세한 조정을 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널링처리된 노브(48) 및 행거 바(24)의 나사산은 비교적 거칠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대략적인 조정을 할 수 있다. 널링처리된 노브(48)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7, the tragel bridge 26 may also include cylindrical knurled knobs 48 arranged vertically at the proximal end of the tragel bridge 26. The knurled knob 48 may be formed with a vertical opening therethrough that includes a thread inside the knob 48 that is knurled around the open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rtion 30 of the hanger bar 24 may have a corresponding thread that mates with the thread of the knurled knob 48 as shown in FIG. 5. As the knurled knob 48 rotates about its vertical axis, the horizontal portion 32 of the hanger bar 24 is perpendicular to the tragel bridge 26 (and thus the speaker elements 20, 22). Can be adjusted. That is, as the knurled knob 48 is rotated, the user can mov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ragel bridge 26 and / or speaker elements 20, 22 with respect to the second portion 32 of the hanger bar 24, That is, the distance H shown in FIG. 2, which adjusts a part of the hanger bar 24 placed on the listener's ear, can be adjusted, so that the wearing state of the earphone 10 is optimized or improved for the user. 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threads of the knurled knob 48 and hanger bar 24 are formed relatively finely so that the user can make fine adjustments. Alternatively, in at least one embodiment, threads of the knurled knob 48 and hanger bar 24 are formed relatively coarse to allow the user to make coarse adjustments. The knurled knob 48 may be made of plastic or metal, for example.

게다가,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노브(48)는 행거 바(24)가 널링처리된 노브(48)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행거 바(2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행거 바(24)는 행거 바(24)의 나사산들이 노브(48)로부터 분리되도록 노브(4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부분(30) 및/도는 제 2 부분(42)의 상이한 치수를 가진 또 다른 행거 바(도시되지 않음)는 노브(48)에서 트라겔 브리지(26)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치수의 행거 바가 상이한 치수의 귀를 가진 다수의 사람들에게 착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t least one embodiment knob 48 may rotate relative to hanger bar 24 to a position where hanger bar 24 is separated from nulled knob 48. Alternatively, 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hanger bar 24 may rotate relative to the knob 48 such that the threads of the hanger bar 24 are separated from the knob 48. In this embodiment, another hanger bar (not shown) with different dimensions of the first portion 30 and / or the second portion 42 can be inserted into the tragel bridge 26 at the knob 48. have. Thus, hanger bars of different dimensions can be provided to be worn by multiple people with ears of different dimensions.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바(24)의 제 1 부분의 하측 부분의 나사산은 근위 측면에서 트라겔 브리지(26)의 하측 부분에 인접한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strain relief member, 50) 내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다. 스피커 와이어(4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 트라겔 브리지(26) 및 핀틀(36) 내의 슬롯을 통하여 스피커 요소(20, 22)까지 관통될 수 있다.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5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shown in FIG. 5, the threa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24 may be a strain relief member proxima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gel bridge 26 at the proximal side. Pass through the opening in 50). The speaker wires 46 may penetrate to the speaker elements 20, 22 through slots in the strain relief member, tragel bridge 26, and pintle 36 as shown in FIG. 5. Strain relief member 50 may be made of plastic, for example.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관해 언급하면, 행거 바(24)는 트라겔 브리지(26)에 의해 스피커 요소(20, 22)에 착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10)이 청취자 귀(12)에 정확히 배치될 때 트라겔 브리지(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취자 귀(12)의 이주(tragus)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라겔 브리지(26)는 근위 단부에 널링처리된 노브(48) 및 근위 단부에 축머리(34)를 가진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트라겔 브리지(26)는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그 외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 및 도 14에 관하여, 이어폰(10, 110)이 청취자 귀(12)에 정확히 배치될 때,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행거 바(24, 124)는 청취자 귀(12)의 외이의 상측 부분(13) 뒤에 그리고 청취자 귀(12)의 상측 외부 굴곡부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행거 바(24, 124)는 제 1 스피커 요소(20, 120) 및/또는 제 2 스피커 요소(22, 122)가 청취가의 귀에 힘(도 14에서 Fin)을 가하는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referring to FIGS. 1-4, the hanger bar 24 may be movably connected to the speaker elements 20, 22 by a tragel bridge 26. Thus, the tragel bridge 26 is arranged adjacent to the tragus of the listener's ear 12 as shown in FIG. 1 when the earphone 10 is correctly placed in the listener's ear 12.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ragel bridge 26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le having a knob 48 knurled at the proximal end and a shaft head 34 at the proximal end. The tragel bridge 26 may be made of plastic or any other suitable material. In addition, with respect to FIGS. 1 and 14, when the earphones 10, 110 are correctly placed in the listener's ear 12, the hanger bars 24, 124, as mentioned above, are located in the outer ear of the listener's ear 12. And is disposed behind the upper portion 13 and on the upper outer bend of the listener's ear 1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hanger bars 24 and 12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peaker elements 20 and 120 and / or the second speaker elements 22 and 122 exert a force (F in in FIG. 14) on the listener's ear. It can have shape and size.

도 1 내지 도 4, 도 10 내지 도 11 및 도 14에 관하여 언급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행거 바의 형태는 하기와 같이 기술될 수 있다. 행거 바(24, 124)의 제 1 부분(30, 130)은 이어폰(10, 110)이 청취자의 귀 내에 및/또는 상에 적절히 배치될 때 청취자 및/또는 제 2 스피커 요소(22, 12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제 2 부분(32, 132)은 청취자 및/또는 제 2 스피커 요소(22, 122)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 2 부분(32, 132)은 제 2 부분(32, 132)이 제 1 부분(30, 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됨에 따라 하측, 후방 및 제 2 스피커 요소(22, 122)를 향하여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제 2 부분(32, 132)은 제 2 부분(32, 132)이 제 1 부분(30, 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됨에 따라 제 2 스피커 요소(22, 122)를 향해 수평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분(132)은 행거 바(124)의 중간 부분(131)에 의해 제 1 부분(130)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 부분(131)은 중간 부분(131)이 수직의 제 1 부분(130)으로부터 수평의 제 2 부분(132)까지 변이됨에 따라 제 2 스피커 요소(122)를 향해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될 수 있다. 즉, 중간 부분(131)은 제 1 부분(130)에 대한 주요 종방향 축이 제 2 부분(132)에 대한 주요 종방향 축과 교차하지 않도록 제 2 부분(132)으로부터 제 1 부분(130)을 오프셋설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ures 1-4, 10-11 and 14, the shape of the hanger bar in various embodiments may be described as follows. The first portions 30, 130 of the hanger bars 24, 124 are configured for the listener and / or second speaker elements 22, 122 when the earphones 10, 110 are properly placed in and / or on the listener's ears. It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s 32, 132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stener and / or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122. 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s 32, 132 are inclined toward the lower, rear and second speaker elements 22, 122 as the second portions 32, 132 exte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ions 30, 130. It can be built or curved. 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 32, 132 also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122 as the second portion 32, 132 extends away from the first portion 30, 130. Can be inclined or curved. Optionally, as best shown in FIG. 11, the second portion 13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130 by an intermediate portion 131 of the hanger bar 124. The middle portion 131 may be inclined or curved toward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as the middle portion 131 transitions from the vertical first portion 130 to the horizontal second portion 132. That is, the intermediate portion 131 is formed from the first portion 130 from the second portion 132 such that the major longitudinal axis for the first portion 130 does not intersect the major longitudinal axis for the second portion 132. Is provided for offset setting.

도 14에 관해 언급하면, 이어폰이 청취자의 귀(12)에 착용될 때 이어폰(11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나타내는 상면도가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력의 도움 없이, 행거 바(124)와 제 2 스피커 요소(122)는 서로에 대해 조절될 수 있으며(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이에 따라 행거 바(124)에 따라 제 2 스피커 요소(122)는 청취자의 귀(12)의 외이도(ear cannel, 16) 및/또는 이개강 상에 및/또는 이를 향하여 힘(Fin)을 가할 수 있다. 즉, 행거 바(124)는 행거 바(124)가 레버와 같이 기능을 하고 청취자의 머리(17)에 의해 지지부(fulcrum, 18)(청취자 귀(12)의 외이의 상측 부분(13)과 행거 바(124)의 제 2 부분 사이의 접촉 지점에 의해 형성됨) 주위에서 가압되도록 크기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 2 스피커 요소(122)는 청취자(12)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및/또는 이를 향하여 힘(Fin)을 가한다. Referring to FIG. 14, a top view is shown showing the force exerted by the earphone 110 when the earphone is worn on the listener's ear 12. In this embodiment, without the aid of gravity, the hanger bar 124 and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can be adjusted relative to each other (as mentioned above), and accordingly the second according to the hanger bar 124 Speaker element 122 may exert a force F in on and / or toward the ear canal 16 and / or ear canal of listener's ear 12. That is, the hanger bar 124 has a hanger bar 124 functioning as a lever and hanger fulcrum 18 (upper part 13 of the outer ear of the listener's ear 12 by the listener's head 17). Sized so as to be pressed around the second portion of the bar 124), such that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is forced onto and / or toward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stener 12. Add (F in )

수리적으로, 외이도(Fin) 및/또는 이개강(15) 상에 및/또는 이를 향하여 가해지는 힘은 하기와 같이 정해질 수 있다. 평형 상태 및 지지댜(18) 주위에서 행거 바(124)의 제 2 부분(132) 상에서 청취자의 머리(17)에 의해 가해지는 토크(Fh ·Dh)는 행거 바(124)의 제 1 부분(130)에 의해 가해지는 토크(Fe ·De)와 동일하다. 따라서, 힘 평형식은 하기와 같이 산출된다. Hydraulically, the force exerted on and / or towards the ear canal F in and / or the ear canal 15 may be determined as follows. Equilibrium and supporting the torque exerted by the listener's head (17) on the second portion 132 of hanger bar 124 around Shephatiah (18) (F h · D h) of the first of the hanger bar (124) is equal to the torque (F e · D e) exerted by the part (130). Therefore, the force balance is calculated as follows.

Fh ·Dh = Fe ·De F h · D h = F e · D e

제 1 부분(130) 상에 가해진 힘(Fe)을 산출하면,Calculating the force F e exerted on the first portion 130,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제 1 스피커 요소(120)에 의해 귀에 가해지는 힘(Fc)과 동일한 힘(Fe)을 설정하면, Setting the same force F e as the force F c exerted on the ear by the first speaker element 120,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c를 산출하면, If you calculate F c ,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이개강(15) 및/또는 외이도(16) 내에서 제 2 스피커 요소(122)에 의해 가해지는 힘(Fin)을 산출하면, Calculating the force F in exerted by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in the ear canal 15 and / or ear canal 16,

Fin = Fc·cos(β) F in = F c cos (β)

치환하면, 이어폰(110) 상의 머리로부터 가해진 힘(Fh), 사용자 정의 거리(user defined distance, Dh, De, Dl) 및 사용자 형성 각도(user configured angle, α, θ)와 같은 변수를 포함한 외이도 내에서의 제 2 스피커 요소(122)의 힘(Fin)에 대한 등식은 하기와 같다. Substituting, variables such as the force (F h ), the user defined distance (D h , D e , D l ) and the user configured angle (α, θ) applied from the head on the earphone 110 The equation for the force F in of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in the ear canal including is as follows.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따라서, 청취자의 귀에서 제 2 스피커 요소(122)에 의해 가해진 힘(Fin)은 상이한 크기의 귀를 가진 사람들이 중력 및/또는 중력에 의해 야기된 임의의 힘에 독립적으로 스피커 요소(120, 122)를 제 위치에 적절히 고정시키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힘을 경험하도록 각각의 청취자에 대해 맞춤구성될 수 있다. Thus, the force F in exerted by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at the listener's ear is independent of any force caused by gravity and / or gravity by people with different sized ears. It may be customized for each listener to experience the appropriate amount of force to properly secure 122 in place.

다양한 이어폰에서, 인-이어 스피커 요소는 외이도의 벽에 대한 스너그 피트(snug fit)를 형성함으로써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 요소(122)는 스피커 요소(122)가 외이도(122)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 요소(122)는 외이도 내부로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취자의 귀의 내벽에 의해 외이도 및/또는 이개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청취자의 귀에 대해 적절한 크기의 힘을 제공하기 위한 이어폰(110)의 기능은 청취자의 외이도 및/또는 이개강에 대해 제 1 및/또는 제 2 스피커 요소(120, 122)의 적절한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추가 중요 사항일 수 있다. In various earphones, the in-ear speaker element can be sized and configured to be secured in place by forming a snug fit against the wall of the ear canal. Howev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may be sized such that the speaker element 122 is formed larger than the ear canal 122.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may prevent insertion into the ear canal and may thus be urged in a direction spaced from the ear canal and / or the ear canal by the inner wall of the listener's ear. Thus, the function of the earphones 110 to provide an appropriately sized force to the listener's ear maintains the proper position of the first and / or second speaker element 120, 122 with respect to the listener's ear canal and / or ear canal. This may be an additional important point.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이어폰(10)의 전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라겔 브리지(26)는 예를 들어 나사(56)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전방 및 후방 피스(52, 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냅 피트(snap fit)와 같은 전방 및 후방 피스(52, 54)를 연결하는 그 외의 다른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 트라겔 브리지(26)는 2개의 개별 피스보다 많거나 적은 개수의 개별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도 8에 도시된 전방 및 후방 피스를 가지는 대신에 트라겔 브리지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트라겔 브리지의 전개도를 도시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피스(64, 66)를 포함할 수 있다. 8 is an exploded view of an earphon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shown in FIG. 8, the tragel bridge 26 may comprise front and rear pieces 52, 54 connected to each other by, for example, screws 56. In other embodiments, other means of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pieces 52, 54, such as a snap fit, may be used. In addition, in other embodiments, the tragel bridge 26 may include more or less than two individual pieces. In addition, instead of having the front and rear pieces shown in FIG. 8, the tragel bridge has upper and lower pieces 64, 66 as shown in FIG. 9, which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tragel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may include.

도 8의 실시예에 관해 언급하면, 트라겔 브리지(26)의 후방 피스(54)는 각각 축머리(34) 위에 그리고 아래에 위치된 플랜지(42, 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라겔 브리지(26)는 널링처리된 노브(48)의 위에 그리고 아래에 위치된 상측 및 하측 근위 플랜지(58, 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측 근위 플랜지(58)는 2개의 피스, 즉 트라겔 브리지(26)의 전방 피스(52) 상의 한 피스(58a)와 트라겔 브리지(26)의 후방 피스(54) 상에서의 한 피스(58b)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마찰 O-링(39)은 상측 근위 플랜지(58)의 2개의 피스(58a, 58b)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O-링(39)은 트라겔 브리지(26) 내에 배열될 수 있어서 통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O-링(39)의 기능은 트라겔 브리지(26)에 대한 행거 바(24)의 회전이 방지되고 트라겔 브리지(26)와 행거 바(24) 사이에 상대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트라겔 브리지(26)의 플랜지(58)와 행거 바(24)의 제 1 부분(30) 사이에 마찰을 제공하는 데 있다. 게다가, 제 2 스피커 요소(22)는 행거 바(24)가 트라겔 브리지(2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한 뒤 청취자 귀를 향하여 편향되도록 O-링(39)은 저항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거 바(24)의 제 2 부분(32)은 청취자의 귀를 향하여 그리고 트라겔 브리지(2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이 종료된 후, O-링(39)은 행거 바(24)의 제 2 부분(32)이 트라겔 브리지(26)를 향하여 후방으로 편향되도록 저항 회전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행거 바(24)의 제 2 부분(32)과 제 2 스피커(22)는 청취자의 귀에 착용 시 서로에 대해 편향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O-링(39)이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측 근위 플랜지(58)는 이를 통과하는 행거 바의 움직임에 대해 회전 마찰을 직접적으로 제공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 O-링(39) 및/또는 플랜지(58)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 마찰로 인해 사용자는 행거 바(30)의 제 2 부분(32)이 실질적으로 회전하지 않지만(마찰로 인해) 트라겔 브리지(26)에 대해 병진운동하도록 노브(48)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트라겔 브리지(26)는 제 위치에 핀틀(36)을 수용하는 축머리(34)의 하측면에 리테이닝 너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the rear pieces 54 of the tragel bridge 26 may each include flanges 42, 44 located above and below the axle head 34. The tragel bridge 26 may also include upper and lower proximal flanges 58, 60 located above and below the knurled knob 48.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proximal flange 58 is on two pieces, one piece 58a on the front piece 52 of the tragel bridge 26 and on the rear piece 54 of the tragel bridge 26. One piece 58b. In various embodiments, the plastic friction o-ring 39 may be arranged between two pieces 58a and 58b of the upper proximal flange 58. O-ring 39 may be arranged within tragel bridge 26 and is not typically visible. The function of the O-ring 39 is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hanger bar 24 relative to the tragel bridge 26 and to maintai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tragel bridge 26 and the hanger bar 24. To provide friction between the flange 58 of the bridge 26 and the first portion 30 of the hanger bar 24. In addition, the O-ring 39 may provide resistance deflection such that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gel bridge 26 and then deflects toward the listener's ear. have. For example, the second portion 32 of the hanger bar 24 may rotate towards the listener's ear a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gel bridge 26. After the end of the rotation, the O-ring 39 may store the resistance rotational energy such that the second portion 32 of the hanger bar 24 deflects backwards towards the tragel bridge 26. Thus, the second portion 32 and the second speaker 22 of the hanger bar 24 may be biased against each other when worn on the listener's ear. Alternatively, O-ring 39 may be omitted in various embodiments.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roximal flange 58 may be sized and configured to directly provide rotational friction against the movement of the hanger bar through it. In any case, due to the rotational friction provided by the O-ring 39 and / or the flange 58, the user does not substantially rotate the second part 32 of the hanger bar 30 (due to friction). Knob 48 may be rotated to translate relative to tragel bridge 26. The tragel bridge 26 may also include a retaining nut 62 on the underside of the shaft head 34 which receives the pintle 36 in place.

각각의 제 1 및 제 2 스피커 요소(20, 22)는 가청 범위의 음파를 생성하기 위한 다이나믹 드라이버를 포함한 각각의 음향 변환기(acoustic transduc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변환기는 상이한(비록 잠재적으로 중첩된) 주파수 범위를 가진 음향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스피커 요소(22)보다 큰 제 1 스피커 요소(20)는 가청 범위에서의 낮은 주파수로부터 중간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고, 제 2 스피커 요소(22)는 중간부터 높은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스피커 요소(20)는 대략 20 mm 직경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스피커 요소(22)는 대략 12 mm 직경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스피커 요소(20)는 20.0 mm의 직경일 수 있고, 제 2 스피커 요소(22)는 대략 13.5 mm의 직경일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peaker elements 20, 22 may include respective acoustic transducers including a dynamic driver for generating sound waves in the audible range. Such acoustic transducers can produce acoustic energy with different (though potentially overlapping) frequency ranges. For example, a first speaker element 20 that is larger than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may generate an intermediate frequency from a low frequency in the audible range, and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may generate an intermediate to high frequency. can do.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may comprise a transducer of approximately 20 mm diameter and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may be approximately 12 mm diameter. Alternatively,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may be 20.0 mm in diameter and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may be approximately 13.5 mm in diameter.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피커 요소(20)는 이의 내측 부분(28)(즉 귀(12)를 마주보는 부분) 상에 저주파수 변환기 인클로저(low frequency transducer enclosure, 70)(LFT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주파수 변환기 인클로저는 제 1 스피커 요소(20)에 대한 드라이버의 출력으로부터 고주파수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제 1 스피커 요소(20)를 위한 저역 통과 음향 필터(low pass acoustical filter)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추가로, 음향은 제 2 스피커 요소(22)의 근위 표면(72)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추가로, 제 2 스피커 요소(22)의 개구부는 청취자 귀(12)의 이개강 내의 가장 먼 곳까지 연장되는 제 2 스피커 요소(22)의 내측 부분에 집중될 수 있다. 듀얼 요소 스피커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사항이 "듀얼 요소 헤드폰"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18,248호 및 5,333,206호에 기술되며, 이는 본 발명의 참조 문헌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has a low frequency transducer enclosure 70 on its inner portion 28 (ie the portion facing the ear 12) ( LFTE, wherein the low frequency converter enclosure is a low pass acoustical filter for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that effectively removes high frequency components from the output of the driver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Can function as). In addition, sound may be emitted from the proximal surface 72 of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may be concentrat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that extends to the furthest point 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12. More details on dual element speakers are described in US Pat. Nos. 4,418,248 and 5,333,206, entitled “Dual Element Headphones,” which are made up of the refere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게다가,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도 12 및 도 13에 관해 언급하면, 예를 들어 제 2 스피커 요소(122)를 통해 청취자의 외이 및/또는 외이도 내에서 제 1 스피커 요소(120)의 제 1 변환기(120a)에 의해 생성된 음향을 전달하는 음향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변환기(120a)에 의해 생성된 음향은 제 1 변환기(120a)와 내측 벽(170a) 사이에 형성된 제 1 공동(120b) 내부로 초기에 안내될 수 있다. 그 뒤, 이러한 음향은 암(123) 내의 채널(123a)을 통하여, 제 2 스피커 요소(122)의 받침(125)의 전방에 그리고 제 2 변환기(122d) 뒤에 형성된, 제 2 공동(122c)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부터, 제 1 변환기(120a)에 의해 생성된 음향은 제 1 음향 개구부(122a)를 통해 제 2 스피커 요소(122)의 근위 표면(172)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게다가, 제 2 변환기(122d)에 의해 생성된 음향은 제 2 음향 개구부(122b)를 통해 제 2 스피커 요소(122)의 근위 표면(172)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변환기(120a)에 의해 생성된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음향은 이어폰의 외측에서지만 청취자의 귀 내에서, 예를 들어 청취자의 이개강 및/또는 외이도 내에서 제 2 변환기(122d)에 의해 생성된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음향과 믹스된다. 이어폰의 외측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음파와 낮은 주파수의 음파를 믹싱함에 따라 제 1 변환기(120a)에 의해 생성된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음향이 제 2 변환기로부터 유입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음향의 생성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제 2 변환기는 통상적으로 공동(122c)과 근위 표면(172) 사이에서 제 2 스피커 요소(122)의 하우징 내에서 제 2 변환기를 밀봉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음파로부터 감쇄된다. 따라서, 또한 음향 경로는 제 2 변환기(122d)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음향을 변조시키고 생성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음파 에너지가 제 2 변환기(122d)를 교란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referring to FIGS. 12 and 13 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first transducer (1)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120 within the outer ear and / or ear canal of the listener, for example, via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An acoustic path may be provided that delivers the sound generated by 120a). In such an embodiment, the sound produced by the first transducer 120a may be initially directed into the first cavity 120b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ducer 120a and the inner wall 170a. This sound is then passed through the channel 123a in the arm 123 to the second cavity 122c, which is formed in front of the base 125 of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and behind the second transducer 122d. Can be delivered. From this, the sound produced by the first transducer 120a may be emitted from the proximal surface 172 of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through the first acoustic opening 122a. In addition, the sound produced by the second transducer 122d may be emitted from the proximal surface 172 of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through the second acoustic opening 122b. Thus, the relatively low frequency sound produced by the first transducer 120a is directed to the second transducer 122d outside of the earphone but within the listener's ear, for example within the listener's ear cavity and / or ear canal. It is mixed with the relatively high frequency sound produced by it. The generation of relatively high frequency sound from the second transducer is generated by the relatively low frequency sound generated by the first transducer 120a by mixing the relatively high frequency sound wave with the low frequency sound wave outside of the earphone. An advantage can be provided in which interference is prevented. Thus,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transducer is typically attenuated from relatively low frequency sound waves by sealing the second transducer in the housing of the second speaker element 122 between the cavity 122c and the proximal surface 172. . Thus, the acoustic path may also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relatively low frequency sound wave energy from disturbing the second transducer 122d as the second transducer 122d modulates and produce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sound.

추가로, 도 12 및 도 13에 관해 언급하면, 제 1 공동(120b), 채널(123a), 제 2 공동(122c) 및/또는 제 1 음향 개구부(122a)는 제 1 변환기(120a)에 대한 드라이버의 출력으로부터 고주파수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제 1 변환기(120a)를 위한 저역 통과 음향 필터(low pass acoustical filter)로서 기능을 하는 음향 경로가 형성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경로가 음향 필터로서 기능을 하도록 선택되기 때문에,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 2 변환기(122d)로 전달된 전기 신호와 제 1 변환기(120a)로 전달된 전기 신호는 전자 필터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어폰의 전자 부품들은 변환기의 드라이버에 대해 신호 필터링을 제공하는 전자 칩 또는 그 외의 다른 전자 부품들이 제공될 필요가 없음으로써 단순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단순화는 음향 경로 자체가 그리고 이의 형성된 표면들이 저역 통과 음향 필터로서 기능을 하도록 제 1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음향에 대한 크기형성(sizing) 및 구성(configuring)으로 인한 일부이다. 12 and 13, the first cavity 120b, the channel 123a, the second cavity 122c and / or the first acoustic opening 122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ducer 120a. It may be sized and configured to form an acoustic path that functions as a low pass acoustical filter for the first transducer 120a that effectively removes high frequency components from the driver's output. Thus, since the acoustic path is selected to function as an acoustic filter, 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electrical signal delivered to the second transducer 122d and the electrical signal delivered to the first transducer 120a do not require an electronic filter. Can be. That is,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earphone can be simplified by not having to be provided with an electronic chip or other electronic components that provide signal filtering for the driver of the converter. This simplification is partly due to the sizing and configuring of the sound produced by the first transducer such that the acoustic path itself and the formed surfaces thereof function as a low pass acoustic filter.

몇몇의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 요소(22)는 제 1 스피커 요소(20)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스피커 요소(22)는 제 1 스피커 요소(20)에 힌지 연결될 수 있어서 제 2 스피커 요소(22)는 제 1 및 제 2 스피커 요소를 연결하는 힌지의 수직 축 주위에서 피벗회전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스피커 요소(22)는 도 4에 도시된 곡선(C)을 따라서 제 1 스피커 요소(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In some of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can be hinged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such that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is a vertical axis of the hing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peaker elements. You can pivot around it.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may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according to the curve C shown in FIG. 4.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스피커 요소(22)는 너클-볼 조인트 또는 볼 조인트와 같은 다수의 회전 자유도를 가진 피벗회전식 조인트에 의해 제 1 스피커 요소(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스피커 요소(22)는 임의의 3개의 수직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즉 제 1 스피커 요소(20)에 대한 상대 피치(relative pitch), 요우(yaw) 및/또는 롤 모션(roll motion)이 허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서 선(C)을 따라 피벗회전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하여, 제 2 스피커 요소(22)는 제 2 스피커 요소(22)와 제 1 스피커 요소(20) 사이의 조인트에서 수평 축에 대해(즉 도 3에서 곡선(E)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수평 축(즉, 도 3에서 곡선(D)을 따라)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수의 움직임 자유도에 따라 사용자는 편안함이 증대되도록 스피커 요소(20, 22)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by a pivoting joint having a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of rotation, such as a knuckle-ball joint or a ball joint. That is,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can rotate around any three vertical axes, ie relative pitch, yaw and / or roll motion relative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motion may be allowed. In this cas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pivot along line C in FIG. 4,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has a horizontal axis at the joint between the second speaker element 22 and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It can rotate about (ie along curve E in FIG. 3) and around the horizontal axis (ie along curve D in FIG. 3). According to the multiple degrees of freedom of movement, the user can adjus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peaker elements 20, 22 to increase comfort.

추가로,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 요소(20)는 다수의 회전 자유도를 허용하지만 병진 운동을 방지하거나 또는 이를 제한하는 너클-볼 조인트 또는 볼 조인트와 같은 조인트에 의해 트라겔 브리지(26)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스피커 요소(20)는 임의의 3개의 수직 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즉 트라겔 브리지(26)에 대한 상대 피치, 요우 및/또는 롤 모션이 허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어폰(10)의 편안함을 추가로 증대시키기 위해 제 1 스피커 요소(20)의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is provided with a tragel bridge 26 by a joint, such as a knuckle-ball joint or ball joint, which allows multiple degrees of freedom of rotation but prevents or restricts translational motion. ) Can be connected. That is,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can rotate around any three vertical axes, ie relative pitch, yaw and / or roll motion relative to the tragel bridge 26 can be allowed. As such, the user can adjust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irst speaker element 20 to further increase the comfort of the earphone 10.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례들은 실시예들의 잠재적 및 특정의 실시를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실례들은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설명을 하기 위한 주요 목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례들의 특정의 특징들은 기술된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potential and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embodiments. These examples are intend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ertain features of these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실시예들의 도면 및 기술 내용은 실시예들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요소들을 도시하는데 있어서 간략화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종래 기술에서 잘 공지되고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은 설명되지 않는다.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simplified in showing elements for clarity of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hese elements are not described herein because these element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 다양한 실시예가 기술되었지면,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 변경예 및 적용예들이 적어도 몇몇의 장점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공개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변형예, 변경예 및 적용예들 모두를 포함한다. While various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erein, various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appl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implementing at least some advantages. The disclosed embodiments include all such variation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어떠한 특허, 문헌, 또는 그 외의 개시물들은 전체적으로도 또는 부분적으로도 본 명세서에 의해 통합될 수 있는데 오직 기존의 정의된 사항, 언급된 사항, 또는 이 명세서에 설명된 그 외의 사항들과 상반되지 않는 범위에서 통합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리고 필요한 정도까지, 본 명세서에 구성된 공개 내용은 참조 문헌에 구성된 상반된 내용을 대신한다.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구성되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정의, 표현 또는 그 외의 다른 공개 내용과 상반되는 임의의 내용 또는 이의 일부분은 현존하는 공개 내용과 참조 문헌으로 구성되는 내용 간의 모순됨이 없을 정도로만 구성된다. Any patent, document, or other disclosure may be incorporated in whole or in part by this specification, only to the extent that it is not contrary to existing definitions, references, or other matters described herein. It can be said to be integrated in. As such and to the extent necessary, the disclosures set forth herein supersede any contradictions set forth in the references. Any configuration constituted herein by reference, but contrary to the definitions, expressions, or other disclosures described herein. The contents of, or portions thereof are only so far as to ensure that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the content of the existing publications and the references.

Claims (53)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행거 바를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브리지의 제 2 단부에 나사산 연결되며, 행거 바의 제 2 부분은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의 귀의 일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In the earphone, the earphone is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A bridge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aker element being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A hanger bar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being threaded to a second end of the bridge,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being placed in a portion of the listener's ea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s; Earphon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제 1 항에 있어서, 브리지는 청취자에 대해 접근가능한 회전식 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노브가 회전함에 행거 바의 제 2 부분이 브리지에 대해 병진운동하도록 행거 바의 제 1 부분과 나사산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The hanger of claim 1, wherein the bridge further comprises a rotary knob accessible to the listener, the knob threaded engagement with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such that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translates relative to the bridge as the knob rotates.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브리지 및 행거 바의 제 2 부분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회전식 노브는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The earphone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portions of the bridge and hanger bars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and the rotary kno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nce varies as the knob rotates.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는 제 1 스피커 요소 및 상기 제 1 스피커 요소로부터 연장된 제 2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제 2 스피커 요소는 청취자 귀의 이개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되며, 제 1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comprise a first speaker element and a second speaker element extending from the first speaker ele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being sized to be at least partially worn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And a first speaker element pivotally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bridge.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스피커 요소는 피벗회전식 조인트에 의해 제 1 스피커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The earphone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speaker element is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by a pivoting joint. 제 5 항에 있어서, 피벗회전식 조인트는 제 1 스피커 요소에 관하여 제 2 스피커 요소에 대해 3 회전 자유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The earphone of claim 5, wherein the pivot joint is configured to provide three degrees of freedom with respect to the second speaker el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제 5 항에 있어서, 피벗회전식 조인트는 볼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The earphone of claim 5, wherein the pivotal joint is a ball joint.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스피커 요소는 제 1 사전정해진 방향으로 제 1 음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스피커 요소는 제 2 사전정해진 방향으로 제 2 음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사전정해진 방향은 제 2 사전정해진 방향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peaker element is configured to produce a first sound in a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second speaker elemen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sound in a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wherein the first dictionary And the predetermined direction crosses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스피커 요소는 볼 조인트에 의해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The earphone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peaker element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by a ball joint.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스피커 요소는 힌지식 조인트에 의해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The earphone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peaker element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by a hinged joint. 제 10 항에 있어서, 힌지식 조인트는 제 1 축을 형성하고, 제 1 스피커 요소는 상기 제 1 축 주위에서 회전만 할 수 있으며, 브리지의 제 2 단부는 제 2 축을 형성하고, 행거 바는 행거 바가 제 2 축 주위에서 회전만 할 수 있도록 브리지의 제 2 단부에 나사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1. The hinged joint of claim 10, wherein the hinged joint forms a first axis, the first speaker element can only rotate around the first axis, the second end of the bridge forms a second axis, and the hanger bar is Earphones threadedly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bridge so as to only rotate about a second axis.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2. The earphone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substantially parallel. 제 1 항에 있어서, 행거 바의 제 1 부분은 브리지에 대해 행거 바의 제 2 부분이 상대 회전을 함에 따라 행거 바의 제 2 부분이 브리지에 대해 적어도 병진운동하도록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comprises a thread such that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at least translates relative to the bridge as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makes relative rotation relative to the bridge. earphone. 제 1 항에 있어서, 브리지는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 귀의 이주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The earphone of claim 1, wherein the bridge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migration of the listener's ea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 제 1 항에 있어서, 브리지 내에 배열된 O-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행거 바의 제 1 부분은 O-링을 통과하며, 상가 O-링은 이를 통과하는 행거 바의 제 1 부분에 대해 회전 마찰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The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ring arranged in the bridge, wherein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passes through the O-ring, and the malleable O-ring rotates relative to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passing therethrough. Earphones characterized in size and configured to provide friction.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단부는 회전식 노브를 포함하며, 회전식 노브는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에 대해 접근 가능하고,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행거 바를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부분이 브리지에 대해 적어도 병진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식 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행거 바의 제 2 부분은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의 귀의 일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In the earphone, the earphone is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A bridge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aker element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the second end including a rotary knob, the rotary knob being connected to the earphone by the listener. Accessible to the listener when worn,
A hanger bar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being operably connected to the rotary knob such that the second portion can at least translate relative to the bridge as the knob rotates; And the secon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listener's ea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
제 1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는 제 1 스피커 요소 및 상기 제 1 스피커 요소로부터 연장된 제 2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제 2 스피커 요소는 청취자 귀의 이개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되며, 제 1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comprise a first speaker element and a second speaker element extending from the first speaker ele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being sized to be at least partially worn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And a first speaker element pivotally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bridge. 제 17 항에 있어서, 제 2 스피커 요소는 피벗회전식 조인트에 의해 제 1 스피커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8. The earphone of claim 17, wherein the second speaker element is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by a pivoting joint. 제 18 항에 있어서, 피벗회전식 조인트는 제 1 스피커 요소에 관하여 제 2 스피커 요소에 대해 3 회전 자유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9. The earphone of claim 18, wherein the pivot joint is configured to provide three degrees of freedom with respect to the second speaker el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speaker element. 제 18 항에 있어서, 피벗회전식 조인트는 볼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9. The earphone of claim 18, wherein the pivotal joint is a ball joint.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스피커 요소는 제 1 사전정해진 방향으로 제 1 음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스피커 요소는 제 2 사전정해진 방향으로 제 2 음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사전정해진 방향은 제 2 사전정해진 방향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speaker element is configured to produce a first sound in a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second speaker elemen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sound in a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wherein the first dictionary And the predetermined direction crosses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스피커 요소는 볼 조인트에 의해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8. The earphone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speaker element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by a ball joint.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스피커 요소는 힌지식 조인트에 의해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8. The earphone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speaker element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by a hinged joint. 제 23 항에 있어서, 힌지식 조인트는 제 1 축을 형성하고, 제 1 스피커 요소는 상기 제 1 축 주위에서 회전만 할 수 있으며, 회전식 노브는 제 2 축을 형성하고, 행거 바는 행거 바가 제 2 축 주위에서 회전만 할 수 있도록 브리지의 제 2 단부에 나사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4. The hinged joint of claim 23, wherein the hinged joint forms a first axis, the first speaker element can only rotate about the first axis, the rotary knob forms a second axis, and the hanger bar is formed by the hanger bar. Earphones threaded to the second end of the bridge so that it can only rotate around. 제 24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5. The earphone of claim 24,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substantially parallel. 제 16 항에 있어서, 브리지는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 귀의 이주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The earphone of claim 16, wherein the bridge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migration of the listener's ea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 제 16 항에 있어서, 브리지 내에 배열된 O-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행거 바의 제 1 부분은 O-링을 통과하며, 상가 O-링은 이를 통과하는 행거 바의 제 1 부분에 대해 회전 마찰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7. The apparatus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an O-ring arranged in the bridge, wherein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passes through the O-ring, and the mallement O-ring rotates relative to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passing therethrough. Earphones characterized in size and configured to provide friction. 이어폰을 착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어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단부는 회전식 노브를 포함하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행거 바를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행거 바의 제 2 부분이 브리지에 대해 적어도 병진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식 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브리지 및 행거 바의 제 2 부분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노브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브리지에 대해 스피커 요소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스피커 요소가 청취자 귀의 이개강과 정렬되도록 청취자 귀의 일부분 상에 행거 바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wearing the earphone, the method
Providing an earphone, wherein the earphone comprises a bridge comprising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the bridge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aker element pivotally pivoting to a first end of the bridge; Connected, the second end comprises a rotary knob, the hanger bar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translating at least a translation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relative to the bridge as the knob rotate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rotary knob
Rotating the knob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Rotating the speaker element relative to the bridge,
Placing the hanger bar on a portion of the listener's ear such that the speaker element is aligned with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시키는 단계는 브리지가 청취자 귀의 이개강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청취자 귀의 일부분 상에 행거 바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placing further comprises placing a hanger bar over a portion of the listener's ear such that the bridge is disposed adjacent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제 28 항에 있어서, 브리지에 대해 행거 바의 제 2 부분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further comprising rotat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relative to the bridge. 제 28 항에 있어서,
이어폰의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는 제 1 스피커 요소 및 상기 제 1 스피커 요소로부터 연장된 제 2 스피커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 2 스피커 요소는 청취자 귀의 이개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되며, 제 1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청취자의 이개강 내에 제 2 스피커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of the earphone further comprise a first speaker element and a second speaker element extending from the first speaker ele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being sized and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worn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And wherein the first speaker element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and further comprises at least partially placing the second speaker element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제 1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피커 요소는
-벽을 가진 인클로저,
-상기 인클로저 내에 배열된 제 1 변환기 및
-상기 제 1 변환기와 인클로저의 벽 사이에 형성된 제 1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환기는 제 1 음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스피커 요소로부터 연장된 제 2 스피커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피커 요소는
-청취자 귀의 이개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받침과 음향 방출 표면을 가지며, 상기 음향 방출 표면은 제 1 음향 개구부 및 제 2 음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제 2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변환기는 제 2 음향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되지만 제 1 음향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되지 못하는 제 2 음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및
-제 2 변환기와 하우징의 받침 사이에 형성된 제 2 공동을 포함하고, 제 1 공동, 제 2 공동 및 제 1 음향 개구부는 제 1 음향이 음향 경로를 통과하고 제 1 음향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되지만 제 2 음향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되지 못하도록 제 1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제 1 음향을 위한 음향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In the earphone, the earphone is
A first speaker element, the first speaker element
Walled enclosures,
A first transducer arranged in the enclosure and
A first cavity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ducer and a wall of the enclosure, the first transducer configured to produce a first sound,
A second speaker element extending from the first speaker element, the second speaker element
A housing sized and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worn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the housing having a backing and an acoustic emitting surface, the acoustic emitting surface comprising a first acoustic opening and a second acoustic opening,
A second transducer arranged in the housing, the second transducer configured to produce a second sound emitted through the second acoustic opening but not emitted through the first acoustic opening; and
A second cavity formed between the second transducer and the base of the housing, wherein the first cavity, the second cavity and the first acoustic opening are second though the first sound passes through the acoustic path and is emitted through the first acoustic opening Earphones characterized by forming an acoustic path for the first sound produced by the first transducer so as not to be emitted through the acoustic opening.
제 32 항에 있어서, 제 1 스피커 요소를 제 2 스피커 요소에 연결하는 암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암은 이 내에 채널이 형성되며, 제 1 공동은 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채널은 제 2 공동에 연결되며, 제 2 공동은 제 1 음향 개구부에 연결되어 제 1 공동, 채널, 제 2 공동 및 제 1 음향 개구부가 음향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3. The apparatus of claim 32, further comprising an arm connecting the first speaker element to the second speaker element, the arm having a channel formed therein, the first cavity being connected to the channel, the channel being the second cavity. And the second cavity is connected to the first acoustic opening such that the first cavity, the channel, the second cavity and the first acoustic opening form an acoustic path. 제 32 항에 있어서, 음향 경로는 제 1 변환기에 대한 저역 통과 음향 필터로서 기능을 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3. The earphone of claim 32, wherein the acoustic path is sized and configured to function as a low pass acoustic filter for the first transducer. 제 34 항에 있어서, 제 1 음향이 제 1 음향 개구부로부터 방출될 때 제 2 음향 개구부로부터 방출되는 제 2 음향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도록 제 1 음향이 음향 경로에 의해 음향적으로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first sound is acoustically filtered by the acoustic path so that when the first sound is emitted from the first acoustic opening, the first sound has a frequency lower than the frequency of the second sound emitted from the second acoustic opening. Featuring earphone. 제 32 항에 있어서,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브리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행거 바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브리지의 제 2 단부에 나사산 연결되며, 행거 바의 제 2 부분은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의 귀의 일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3. The apparatus of claim 32, further comprising a bridge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wherein the speaker element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and compris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hanger bar, the first portion being threaded to the second end of the bridge,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being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listener's ea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 제 32 항에 있어서,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브리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요소는 브리지의 제 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단부는 회전식 노브를 포함하며, 회전식 노브는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에 대해 접근 가능하고,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행거 바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 1 부분은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부분이 브리지에 대해 적어도 병진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식 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행거 바의 제 2 부분은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청취자의 귀의 일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3. The device of claim 32, further comprising a bridge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aker element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bridge, the second end including a rotary knob, The rotary knob is accessible to the listene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s and further includes a hanger bar that includ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being rotated relative to the bridge as the knob rotates. And at least translationally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rotatable knob, wherein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listener's ear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 제 37 항에 있어서, 브리지 내에 배열된 O-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행거 바의 제 1 부분은 O-링을 통과하며, 상가 O-링은 이를 통과하는 행거 바의 제 1 부분에 대해 회전 마찰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8. The apparatus of claim 37, further comprising an O-ring arranged in the bridge, wherein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passes through the O-ring, and the mallement O-ring rotates relative to the first portion of the hanger bar passing therethrough. Earphones characterized in size and configured to provide friction.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청취자 귀의 이개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 및
-스피커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행거 바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바는 청취자 귀의 외이의 상측 부분 뒤에 그리고 청취자 귀의 상측 외부 굴곡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행거 바는 스피커 요소가 중력에 독립적으로 청취자 귀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In the earphone, the earphone is
At least one speaker element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worn within the ear canal of the listener's ear and
A hanger bar operably connected to the speaker element, wherein the hanger bar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behi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ear of the listener's ear and at the upper outer bend of the listener's ear, the hanger bar providing a force to the listener's ear independently of gravity Earphones having a form configured to apply.
제 39 항에 있어서, 행거 바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스피커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행거 바의 제 2 부분은 청취자 귀의 외이의 상측 부분 뒤에 그리고 청취자 귀의 상측 외부 굴곡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청취자가 이어폰을 착용할 때 제 1 부분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피커 요소를 향하여 하향 만곡되고, 제 2 부분은 스피커 요소를 향하여 내측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40. The hanger bar of claim 39, wherein the hanger bar compris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being operably connected to a speaker element,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being behi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ear of the listener's ear and the listener. The first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nd the second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nd curved downward toward the speaker element when the listener wears the earphones and the second portion is directed to the speaker element. Earphones, characterized in that curved toward the inside. 제 40 항에 있어서, 행거 바는 제 2 부분과 제 1 부분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중간 부분은 스피커 요소를 향하여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41. The earphone of claim 40, wherein the hanger bar further comprises a middle portion arranged between the second portion and the first portion, wherein the middle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speaker element. 제 40 항에 있어서, 행거 바의 제 2 부분은 비평면형의 곡선을 포함하는 종방향 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41. The earphone of claim 40, wherein the second portion of the hanger bar defines a longitudinal axis that includes a non-planar curve. 제 41 항에 있어서, 제 1 부분은 제 1 종방향 축을 형성하고, 제 2 부분은 제 2 종방향 축을 형성하며, 제 1 종방향 축과 제 2 종방향 축은 교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42. The earphone of claim 41, wherein the first portion defines a first longitudinal axis, the second portion defines a second longitudinal axis, and wherein the first longitudinal axis and the second longitudinal axis do not intersect. 제 1 항에 있어서, 브리지의 제 1 단부는 제 1 축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스피커 요소는 제 1 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며, 브리지의 제 2 단부는 제 2 축을 형성하고, 행거 바는 제 2 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브리지의 제 2 단부에 나사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The hanger ba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bridge forms a first axis, the one or more speaker elements are rotatable about the first axis, the second end of the bridge forms a second axis, and the hanger bar is a second axis. And earphone threaded to the second end of the bridge to be rotatable about. 제 44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45. The earphone of claim 44,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 45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46. The earphone of claim 45,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substantially parallel.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12. The earphone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13. The earphone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 16 항에 있어서, 브리지의 제 1 단부는 제 1 축을 형성하고, 제 1 스피커 요소는 제 1 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며, 회전식 노브는 제 2 축을 형성하고, 행거 바는 제 2 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식 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bridge forms a first axis, the first speaker element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axis, the rotary knob forms a second axis, and the hanger bar rotates around the second axis. Earphone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rotary knob to enable. 제 49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50. The earphone of claim 49,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 50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51. The earphone of claim 50,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substantially parallel. 제 24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25. The earphone of claim 24,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축과 제 2 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27. The earphone of claim 25, 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straight line.
KR1020107027688A 2008-05-19 2009-05-18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KR10152132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23808P 2008-05-19 2008-05-19
US61/054,238 2008-05-19
US33494209A 2009-04-06 2009-04-06
US29/334,942 2009-04-06
PCT/US2009/044340 WO2009143055A1 (en) 2008-05-19 2009-05-18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868A true KR20110021868A (en) 2011-03-04
KR101521320B1 KR101521320B1 (en) 2015-06-16

Family

ID=4338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688A KR101521320B1 (en) 2008-05-19 2009-05-18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277321B1 (en)
KR (1) KR101521320B1 (en)
DK (1) DK2277321T3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09433C2 (en) * 2015-05-15 2019-12-17 Саунд Индастриз Интернэшнл Аб Headset with pair of listening devices and elastic cord passing behind he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8540C2 (en) * 2015-05-15 2016-09-13 Zound Ind Int Ab An ear support audio listening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678U (en) * 1989-12-08 1991-08-14
JP3079678B2 (en) 1991-09-20 2000-08-21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Process for producing octahydrocoumarins
US5333206A (en) * 1992-03-18 1994-07-26 Koss Corporation Dual element headphone
CA2194641C (en) * 1996-12-28 2005-05-03 Bill Yang In-ear type earphone having an ear hanger
US20040125976A1 (en) * 2002-12-30 2004-07-01 Reneker Brian Scott Headphones or earmuffs with a user operated mechanical device that controls the volume of exterior sound entering the ear of the user
TWI282246B (en) * 2005-11-09 2007-06-01 Cotron Corp In-ear type earphone having an ear hanger
US7613292B2 (en) * 2006-09-29 2009-11-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djustable earpie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09433C2 (en) * 2015-05-15 2019-12-17 Саунд Индастриз Интернэшнл Аб Headset with pair of listening devices and elastic cord passing behind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7321B1 (en) 2015-08-26
KR101521320B1 (en) 2015-06-16
EP2277321A4 (en) 2013-01-09
EP2277321A1 (en) 2011-01-26
DK2277321T3 (en) 201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3040B2 (en)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JP5399482B2 (en)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type in-ear earphone
JP4930382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ar speaker device
US10911858B2 (en) Earphone
WO2016092817A1 (en) Headphone
US8447060B2 (en) Earphone
JP2009545263A (en) Improvement of headphone
US10791390B2 (en) Flex-fit ear tip for headphones
CN101106831A (en) Earphone for placement in an ear
JP2005323363A (en) Soft earpiece for hearing aid
CN201039439Y (en) An angle-adjustable earphone device
KR20110021868A (en)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CN106060697B (en) Knob rod-pulling type earphone fine tuning structure and earphone
CN106851458A (en) A kind of sound-producing device
EP1071309A3 (en) Headphone with adjustable localization of the sound presentation generated by it
JP2008141690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ar speaker apparatus
US8548187B2 (en) Multi-channel sound producing structure for headphones
US9445176B1 (en) Earpiece apparatus for in-ear headphones
CN220325785U (en) Horn matrix arrangement type earphone
TWM400170U (en) Replaceable acoustic duct earphone structure
KR101123867B1 (en) Piezoelectric element type bone conduction earphone supported by surround
JP3210655U (en) Headphone structure
CN105979429A (en) Ball head self-locking headset fine-tuning structure and headset
JP4826454B2 (en) Ear speaker device
TW200908770A (en) Headphon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