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410A -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410A
KR20110021410A KR1020090079194A KR20090079194A KR20110021410A KR 20110021410 A KR20110021410 A KR 20110021410A KR 1020090079194 A KR1020090079194 A KR 1020090079194A KR 20090079194 A KR20090079194 A KR 20090079194A KR 20110021410 A KR20110021410 A KR 20110021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file
broadcasting
conference
conferen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742B1 (ko
Inventor
한경식
김문기
임철호
최근환
노재연
유재황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7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에 기반하는 방송회의에 참석하는 여러 참석자들로부터 방송회의를 위해 촬영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방송파일을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방송파일을 공유하여 해당 방송회의에 지정된 시간대에 방송 실행함에 따라, 이를 수신함으로 인해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방송 채널을 지정된 시간 동안 참여자들이 공유하여 방송회의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참여자들은 미디어 송신을 원하는 경우에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송신 대역폭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화상회의, 방송

Description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CONFERENCE COMMUNICATION SERVICE BY MEANS OF BROADCASTING,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 및 통신의 융합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에 기반하는 방송회의에 참석하는 여러 참석자들로부터 방송회의를 위해 촬영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방송파일을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방송파일을 공유하여 해당 방송회의에 지정된 시간대에 방송 실행함에 따라, 이를 수신함으로 인해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를 구현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회의(Video Conferencing) 솔루션은 멀리 떨어진 상태와 화상회의 장비를 이용해 회의를 진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화상회의 시스템은 영상, 음성 그리고 각종 문서자료를 실시간 전송해 모니터 및 프로젝터 등 각종 장비를 이용한 음성, 영상, 문서를 디스플레이하여 공간 및 시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느 때나 원격지 회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화상회의를 가능하게 하는 기본요소는 회의 참석자의 영상과 음성을 전달하는 화상회의 시스템과 통신회선이 있다.
화상회의 시스템은 다양한 화상통신 프로토콜(H.323, SIP, H.324M)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디바이스들을 의미하며, 통신회선은 예전엔 ATM, ISDN 등도 쓰였으나 최근에는 IP의 발전에 따라 ADSL, 기업 전용선 등의 IP 회선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MCU(Multipoint Control Unit)는 화상회의를 위해 3개나 그 이상의 터미널과 게이트웨이들이 멀티포인트의 회의를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다중화 기술의 발전으로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내용 및 크기에 관계없이 동시에 묶어서 전송할 수 있게 되었고, 모뎀을 통한 리턴 채널이 형성되어 양방향 방송기술이 가능해졌으며, 수신기 내 프로세서와 운영체제의 장착은 다양한 수신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양방향 방송 기술은 시청자와 방송사 간의 정보 흐름이 지금의 아날로그 TV처럼 일방적이지 않고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시청자는 방송사로부터 각종 대화형 부가 정보를 제공받고 별도의 전용선을 통해 시청자가 제공받은 부가정보에 연결 표시된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기존에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MCU는 화상회의 참석자들이 전송한 정보를 먹싱하여 나온 결과를 화상회의 첨석자들에게 보내기 위해 모든 참석자들과 1:1 양방향 회선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참석자의 수가 많을수록 그만큼의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회상회의 참석자들이 자기가 정보를 보내고 싶지 않은 동안에도 MCU와 의 센션을 유지하고 엔코더(Encoder)를 통해 생성되는 미디어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에 기반하는 방송회의에 참석하는 여러 참석자들로부터 방송회의를 위해 촬영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방송파일을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방송파일을 공유하여 해당 방송회의에 지정된 시간대에 방송 실행함에 따라, 이를 수신함으로 인해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를 구현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참석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방송파일을 형성하여 저장한 후, 참석자인 사용자의 전송 설정에 따라 해당 방송파일을 방송회의 상에 방송하여 불필요한 대역폭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파일을 업 로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상기 방송파일의 수신에 따라 파일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한 후,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 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파일 수집 서버 및 상기 방송파일에 대응되는 방송회의를 판별하고, 상기 방송회의에 설정된 방송채널들 중에서 상기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 사용자에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방송파일이 유선 네트워크를 거쳐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되는 경우, 상기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무선 송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상기 방송회의를 진행하는 것 이외에,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방송회의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청자 단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파일 수집 서버 장치는,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파일을 업 로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수집하기 위한 방송파일 수신부 및 상기 방송파일의 수신에 따라 파일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한 후,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형성되는 파일전송 경로로 상기 방송파일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파일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유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파일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비주기적인 전송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파일 수신부는 상기 비주기적인 전송설정에 대응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대역폭 할당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파일은 방송회의를 위해 촬영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서버 장치는,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회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회의를 할 수 있는 지정 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이용 설정부, 상기 지정 시간대에 도래하면 상기 방송회의의 종료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시간카운팅부, 상기 방송회의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으로부터 상기 방송회의를 이루기 위한 방송파일을 수신하는 방송파일 수신부, 상기 방송회의에 설정된 방송채널들 중에서 상기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 사용자에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실행부는 양방향 방송리턴 채널을 통하는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제 1 방송실행부 및 단방향 방송 채널을 통하는 단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제 2 방송실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방송실행부는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제 1 방송의 제 1 서브실행부 및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영역과 대응되는 엑세스 포인트로 전달한 후, 상기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영역에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방송의 제 2 서브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가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파일을 업 로드하는 방송파일 업로드 단계, 방송파일 수집 서버가 상기 방송파일의 수신에 따라 파일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하여 상기 방송파일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파일 수집 단계, 방송 서버가 상기 방송파일에 대응되는 방송회의 및 상기 방송회의에 기 설정된 지정 시간대를 판별하기 위한 방송실행 판별 단계 및 상기 방송회의에 설정된 방송채널들 중에서 상기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 사용자에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 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상기 방송회의를 진행하기 위한 방송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회의를 진행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청자 단말장치가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방송회의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시청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실행 단계는 양방향 방송리턴 채널을 통하는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거나, 단방향 방송 채널을 통하는 단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실행 단계는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는 경우,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만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거나,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영역과 대응되는 엑세스 포인트로 전달한 후 상기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영역에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송에 기반하는 방송회의에 참석하는 여러 참석자들로부터 방송회의를 위해 촬영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방송파일을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방송파일을 공유하여 해당 방송회의에 지정된 시간대에 방송 실행함에 따라, 이를 수신함으로 인해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를 구현함으로써, 특정 방송 채널을 지정된 시간 동안 참여자들이 공유하여 방송회의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참여자들은 미디어 송신을 원하는 경우에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송신 대역폭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디어 송수신을 위한 양방향 1:1 통화로가 연결되어야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세션과 비교하여 볼 때, 참여자들은 방송을 통한 미디어 수신을 함으로써 수신 대역폭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방송회의를 위한 방송파일과 관련된 엔코더(Encoder) 및 디코더(Decoder)를 분리함에 따라,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방송회의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시청하는 것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하기 위한 방송파일(예컨대, 동영상 등)을 저장한 후 업 로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즉, 방송회의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각 단말장치), 업 로드되는 방송파일의 수신하여 수집한 후 이때에 이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한 후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형성되는 파일전송 경로로 수신한 방송파일을 송출하는 방송파 일 수집 서버(200),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방송파일과 대응되어 기 설정된 방송회의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 후 판별한 방송회의에 배정된 방송채널들(예컨대, 참여자들이 각각의 방송채널을 배정받음) 중에서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 사용자에 할당된 채널을 통해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 서버(30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파일이 유선 네트워크를 거쳐 지역별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되는 경우,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과 연결되고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무선 송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송을 기반으로 하여 회의석상의 화상을 제공받고 통신망을 통해서는 통화를 실행하는 방송회의에 참석하는 참석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만 어느 한 참석자가 형성한 방송파일(예컨대, 참석자가 웹캠 또는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동영상)을 방송 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방송회의의 진행과 관련이 없는 일반 시청자들도 방송되는 방송회의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 시청자의 시청자 단말장치로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송회의는, 회의를 위한 방송이 시작되면 안내 시스템이 동작하여 방송참여 대상인 각 사용자 단말장치(100)들에 SMS Push, WAP Push 등을 통해 안내 메시지를 통보하여 회의 멤버들에게 참여를 요청한다.
또한, 안내 메시지를 통보받은 각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메시지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채널 정보를 근거로 방송회의와 관련한 프로그램을 문의하게 되 고, 고객이 참여를 선택한 경우 방송회의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세스가 가능하다. 아울러, 다른 방법으로도 방송 참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회의에 참여한 참여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저장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웹캠 혹은 단말 내에 장착된 카메라 등과 같은 엔코더를 통해 회의를 위한 영상정보를 저장하여 로컬 파일로 저장한다(a).
이후에, 참여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전송 버튼을 추가로 누르게 되면 저장중인 방송파일이 양방향 방송리턴 채널을 통해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로 전송된다(b).
이에,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는 업 로드된 방송파일이 수신된 것을 확인한 후 방송 서버(3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하여 수신한 방송파일을 전송한다. 그리고 방송파일을 전송한 후에는 방송 서버(300)와 연결중인 세션을 종료함에 따라 불필요한 대역폭의 낭비를 줄인다(c).
방송 서버(300)는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에서 전달된 방송파일이 방송 가능한 것으로 설정되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는 방송파일이 기 설정된 방송회의에 해당하는 것인지 여부 및 해당 방송회의가 방송되는 지정 시간대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을 나타낸다.
이후로, 방송 서버(300)는 방송회의에 배정된 방송채널들 중에서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 사용자에 할당된 채널을 통해 방송파일을 방송한다(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 실행하는 것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는 소정의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및 유선 네트워크를 거쳐 방송파일을 업 로드받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송 서버(300)가 상기의 방송파일을 방송하는 경로에 있어서도, 상기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거쳐 근거리 무선영역상의 무선 송출장치로 방송파일을 전달한 후 무선 송출장치로 하여금 전달받은 방송파일을 대응되는 근거리 무선영역에 방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외에도 유선 네트워크만을 통해 방송하는 방식이나, 무선 네트워크만을 통해 방송하는 방식 등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 실행하는 것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는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무선 인터넷 등)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방송파일을 수집한 후 통신 연결된 방송 서버(300)로 전달하고, 이에 방송 서버(300)는 유선 네트워크 및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하는 근거리 무선영역으로의 방송 실행을 할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는 방송회의에 참여중 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파일을 제공받기 위한 통신 연결을 하는 인터페이스부(210), 방송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파일 수신부(220), 및 방송파일의 수신에 따라 방송 서버(300)로의 파일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한 후,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형성되는 파일전송 경로로 방송파일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파일 송신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를 통해 통신 연결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방송 서버(30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서버(300)는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회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회의를 할 수 있는 특정 방송채널 및 지정 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이용 설정부(310), 지정 시간대에 도래하면 방송회의의 종료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시간카운팅부(320), 방송회의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방송회의를 이루기 위한 방송파일을 수신하는 방송파일 수신부(330), 및 수신한 방송파일에 대한 방송 가능 여부를 판별한 후 방송회의에 설정된 방송채널들 중에서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 사용자에 할당된 채널을 통해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실행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실행부(340)는 양방향 방송리턴 채널을 통하는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예컨대, 유선 네트워크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등)를 통해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제 1 방송실행부 및 단방향 방송 채널을 통하는 단방향 방송 네트워크(예컨대, 방송망 등)를 통해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제 2 방송실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방송실행부는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만을 통해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제 1 방송의 제 1 서브실행부 및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파일을 소정의 근거리 무선영역에 방송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방송의 제 2 서브실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하기 위한 방송회의에 참여중인 사용자 단말그룹(즉, 참여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동영상(즉, 방송파일)을 촬영하여 로컬 파일로 저장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및 S102).
이후로,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전송 설정에 응답하여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로 저장중인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다(S104 및 S106). 업 로드가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 간의 통신 세션이 종료된다.
방송파일 수집 서버(200)는 업 로드되는 방송파일을 수신한 후, 이때에 방송 서버(3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이루어 업 로드된 방송파일에 대한 전송을 실행한다(S108 내지 S114).
이에, 방송 서버(300)는 전송되는 방송파일을 수신한 후, 수신한 방송파일을 방송회의에 방송할 수 있는 참여자의 파일인지 여부 및 방송회의가 지정 시간대에 도래하였는지 여부 등을 판별한다(S116 및 S118).
이후로, 방송 서버(300)는 다양한 방송경로를 통해 방송파일을 방송함에 따라, 방송회의에 참여중인 참여자들의 각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방송회의가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참여자들 이외의 일반 시청자들도 방송회의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S120 내지 S130).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과정 중에서 방송파일이 방송되는 경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파일이 방송되는 프로세스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방송 서버(300)가 해당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회의과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상으로 소정의 방송파일을 방송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200).
이후로,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경로가 1차적으로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지를 판별한다(S202).
S202 단계에서, 유선 네트워크로 방송파일을 방송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유선 네트워크만을 통해 방송파일에 대한 방송을 실행할 것인지, 유선 네트워크를 거쳐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파일에 대한 방송을 실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204).
S204 단계에서, 유선 네트워크만을 통해 방송파일에 대한 방송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에 따른 방송을 실행한다(S206).
S204 단계에서, 유선 네트워크를 거쳐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파일에 대한 방송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에 따라 해당하는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파일에 대한 방송을 실행한다(S208 및 S210).
한편, S202 단계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파일을 방송하는 경우에는 단방향의 방송망을 통해 방송 실행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별한 후, 단방향 방송망을 통해 방송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르는 방송 송출을 실행한다(S212 및 S214).
S212 단계에서, 단방향 방송망이 아닌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망인 경우에는 이에 따른 방송 송출이 실행된다(S216).
이와 같이, 다양한 경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방송이 실행된 후, 방송회의에 참여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방송회의에 대한 시청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청자 단말장치가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218 및 S22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에 기반하는 방송회의에 참석하는 여러 참석자들로부터 방송회의를 위해 촬영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방송파일을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방송파일을 공유하여 해당 방송회의에 지정된 시간대에 방송 실행함에 따라, 이를 수신함으로 인해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 실행하는 것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 실행하는 것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송파일 수집 서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방송 서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과정 중에서 방송파일이 방송되는 경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용자 단말장치 200 : 방송파일 수집 서버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방송파일 수신부
230 : 방송파일 송신부 300 : 방송 서버
310 : 서비스 이용 설정부 320 : 시간카운팅부
330 : 방송파일 수신부 340 : 방송실행부

Claims (16)

  1.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파일을 업 로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상기 방송파일의 수신에 따라 파일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한 후,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파일 수집 서버; 및
    상기 방송파일에 대응되는 방송회의를 판별하고, 상기 방송회의에 설정된 방송채널들 중에서 상기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 사용자에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방송파일이 유선 네트워크를 거쳐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방송되는 경우, 상기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영역으로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무선 송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상기 방송회의를 진행하는 것 이외에,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방송회의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청자 단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파일을 업 로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수집하기 위한 방송파일 수신부; 및
    상기 방송파일의 수신에 따라 파일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한 후,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형성되는 파일전송 경로로 상기 방송파일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파일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파일 수집 서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유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파일 수집 서버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파일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비주기적인 전송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파일 수집 서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파일 수신부는
    상기 비주기적인 전송설정에 대응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대역폭 할당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파일 수집 서버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파일은
    방송회의를 위해 촬영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파일 수집 서버 장치.
  9.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회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회의를 할 수 있는 지정 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이용 설정부;
    상기 지정 시간대에 도래하면 상기 방송회의의 종료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시간카운팅부;
    상기 방송회의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으로부터 상기 방송회의 를 이루기 위한 방송파일을 수신하는 방송파일 수신부; 및
    상기 방송회의에 설정된 방송채널들 중에서 상기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 사용자에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서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실행부는
    양방향 방송리턴 채널을 통하는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제 1 방송실행부; 및
    단방향 방송 채널을 통하는 단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제 2 방송실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서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실행부는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제 1 방송의 제 1 서브실행부; 및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영역과 대응되는 엑세스 포인트로 전달한 후, 상기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영역에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방송의 제 2 서브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방송서버 장치.
  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가 방송 기반의 회의통화를 위한 방송파일을 업 로드하는 방송파일 업로드 단계;
    방송파일 수집 서버가 상기 방송파일의 수신에 따라 파일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하여 상기 방송파일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파일 수집 단계;
    방송 서버가 상기 방송파일에 대응되는 방송회의 및 상기 방송회의에 기 설정된 지정 시간대를 판별하기 위한 방송실행 판별 단계; 및
    상기 방송회의에 설정된 방송채널들 중에서 상기 방송파일을 업 로드한 사용자에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상기 방송회의를 진행하기 위한 방송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회의를 진행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청자 단말장치가 상기 방송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방송회의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시청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실행 단계는
    양방향 방송리턴 채널을 통하는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거나, 단방향 방송 채널을 통하는 단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실행 단계는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는 경우,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만을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거나, 상기 양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파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영역과 대응되는 엑세스 포인트로 전달한 후 상기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영역에 상기 방송파일을 방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90079194A 2009-08-26 2009-08-26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74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194A KR101574742B1 (ko) 2009-08-26 2009-08-26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194A KR101574742B1 (ko) 2009-08-26 2009-08-26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410A true KR20110021410A (ko) 2011-03-04
KR101574742B1 KR101574742B1 (ko) 2015-12-04

Family

ID=4393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194A KR101574742B1 (ko) 2009-08-26 2009-08-26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143A1 (ko) * 2011-08-05 2013-02-14 주식회사 유니파인테크 영상회의를 이용한 방송출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143A1 (ko) * 2011-08-05 2013-02-14 주식회사 유니파인테크 영상회의를 이용한 방송출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742B1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081B2 (ja) 常駐会議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8302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conference control, videoconferencing network equipment, and videoconferencing site
US6772436B1 (en) Interactive audio conferencing system
CN104580995B (zh) 一种用于视频会议的通讯方法和装置
US7884844B2 (en) System for conducting videoconferencing session over television network
KR20140098573A (ko) 영상 회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1198008A (zh) 一种实现多屏多画面的方法和系统
WO2015154608A1 (zh) 一种视频会议资料共享方法、系统及装置
WO2011063763A1 (zh) 一种包含远程呈现会场的会议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0722704B1 (ko) 방송 이벤트의 3차원 그래픽 모델을 이용하는 그룹 화상회의 방법 및 시스템
WO2013089423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a multimedia service
CN101656864A (zh) 视频选看的实现方法及视频会议系统
WO2015003532A1 (zh) 多媒体会议的建立方法、装置及系统
CN111131759B (zh) 一种实时多媒体传输系统及其使用方法
CN101345844A (zh) 一种多媒体码流传输方法和一种多点控制单元
US9013537B2 (en) Method, device, and network systems for controlling multiple auxiliary streams
CN108156413B (zh) 视频会议的传输方法及装置、mcu
KR20110021410A (ko) 방송을 이용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5915837B (zh) 一种视频切换方法、装置和系统
KR20150014785A (ko) 다자간 통신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222706B (zh) 一种视频预览方法及系统
US8384758B1 (en) Video management system over satellite
KR101691124B1 (ko)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61561B1 (ko) 복수 개의 영상회의용 단말을 이용하여 멀티 스크린 영상회의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회의 서버 및 그 방법
WO2012043290A1 (ja) ビデオ通話システム、主側端末、従側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