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707A - 멀티홉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홉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707A
KR20110020707A KR1020100001963A KR20100001963A KR20110020707A KR 20110020707 A KR20110020707 A KR 20110020707A KR 1020100001963 A KR1020100001963 A KR 1020100001963A KR 20100001963 A KR20100001963 A KR 20100001963A KR 20110020707 A KR20110020707 A KR 20110020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relay
terminal
base station
id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원
류기선
한진백
조희정
김용호
육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707A/ko
Priority to US13/389,406 priority patent/US8649318B2/en
Priority to PCT/KR2010/005654 priority patent/WO2011025231A2/en
Publication of KR20110020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통신 시스템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 단말의 페이징(paging)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수신하는 단계;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이격된 멀티홉 개수만큼 상기 슈퍼프레임 번호를 감소(staggering) 시켜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홉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PAGING AN IDLE MODE STATION IN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멀티홉 릴레이 시스템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페이징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지연을 방지하는 페이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셀룰러 네트웍은 기지국이 커버하는 셀 내에서 기지국과 단말간의 직접 링크(direct link)를 통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 중앙 집중적인 셀 설계를 통해서 상호 신뢰도가 높은 무선 통신링크를 구성한다. 그러나, 최근 통신망은 서비스 주파수 대역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고속 통신 및 더 많은 통화량을 수용하기 위해 셀들이 반경이 점차 작아지는 추세인 바, 기존의 중앙 집중적인 셀룰러 무선망 방식을 향후에도 그대로 운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무선링크 구성의 유연성(flexibility)이 떨어지므로 트래픽 분포나 통화 요구량의 변화가 심한 무선환경에서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세대 통신시스템은 분산적으로 제어되고 구축되면서도, 새로운 기지국의 추가와 같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릴레이 시스템은 셀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부분적인 음영 지역을 커버하여 셀 서비스 영역을 넓힐 수 있으며,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요구가 적은 초기 상황을 릴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초기 설치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릴레이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페이징(paging) 동작은 기지국과 단말간의 직접링크를 통한 페이징 동작과 비교하여 릴레이 노드의 존재로 인하여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추가적인 페이징 지연(delay)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페이징 지연을 고려하여, IEEE 802.16J 표준에서는, 매크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프레임 번호(Paging Frame Number)를 릴레이에 알려주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즉, 기지국은 페이징 광고 메시지(PAG-ADV)를 통해 릴레이 또는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프레임 번호 (Frame number)를 알려주고, 릴레이는 기지국이 알려준 프레임에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시켜 단말로 전달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릴레이가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와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가 다른 프레임 번호를 사용할 경우는, 기지국에서 릴레이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때마다 페이징 간격(Paging Interval TLV), 프레임 번호(Frame number)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에 페이징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멀티홉 릴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페이징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지연을 방지하는 페이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은,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 단말의 페이징(paging)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수신하는 단계;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이격된 멀티홉 개수만큼 상기 슈퍼프레임 번호를 감소(staggering) 시켜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은,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 단말의 페이징(paging)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수신하는 단계;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슈퍼프레임(Superframe) 번호 오프셋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슈퍼프레임 번호 오프셋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슈퍼프레임의 번호를 감소(staggering) 시켜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는,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 단말로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이격된 멀티홉 개수만큼 상기 슈퍼프레임 번호를 감소(staggering) 시켜서 상기 유휴모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슈퍼프레임은 하향링크 전송 구간(Downlink Transmit Zone)을 통해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송신하는 송신부;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 및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을 상기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존재하는 멀티홉 릴레이 개수 정보 및 릴레이 링크상의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이동(Shift)시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홉 릴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페이징 메시지의 오버헤드가 줄어들고,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지연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릴레이에서 전달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릴레이 및 단말에서 송수신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릴레이 노드상의 지연(RSdelay)과 홉 개수(Hop count)에 따른 지연(Hopcount)을 고려하여, 단말에서 암시적으로 릴레이가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릴레이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릴레이 간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릴레이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릴레이의 프레임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air link 상으로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음성 및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기지국, 릴레이 노드 및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릴레이 노드는 릴레이(Relay), 중계국, RS(Relay Station) 등으로 불릴 수 있으며, 한 위치에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말은 SS(Subscriber Station),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으로 불릴 수 있으며,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갖춘 휴대 가능한 기기 또는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지국은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을 말하며, BS(Base Station),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할 수 있으며, 기지국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통신 채널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채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접속 기법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공지된 다른 변조 기술들과 같은 다중 접속 기법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다중접속 방식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향링크는 OFDMA 기법을 사용하고 상향링크는 SC-FDMA 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휴모드(idle mode) 동작을 지원한다.
유휴모드(Idle Mode)를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 RN)들은 하나의 페이징 그룹(Paging Group)에 소속되어 페이징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페이징 그룹은 이동 단말(MS)을 타겟(target)으로 하는 트래픽이 있다면, 하향링크(DL: Down Link)로 페이징(paging)될 수 있는 인접범위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징 그룹에 속한 다수의 기지국 또는 릴레이는 하나의 페이징 영역(Paiging zone)을 구성하며, 같은 페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기지국 또는 릴레이들은 같은 값의 페이징 주기(paing cycle) 및 페이징 오프셋(paging offset)을 갖는다.
릴레이 노드(Relay Node)를 고려한 네트웍에서 페이징 동작은 릴레이를 고려하지 않은 네트웍에서의 페이징 동작과 비교하여, 매크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존재하는 멀티홉 릴레이들로 인해서,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추가적인 지연시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IEEE 802.16J 표준에서는, 매크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프레임 번호(Paging Frame Number)를 릴레이에 알려주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즉, 기지국은 페이징 광고 메시지(PAG-ADV)를 통해 릴레이(Intermediate RS) 혹은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프레임 번호 (Frame number)를 알려주고, 릴레이는 기지국이 알려준 프레임에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시켜 단말로 전달한다.
그러나, 릴레이가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와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가 다른 프레임 번호를 사용할 경우는, 기지국에서 릴레이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때마다 페이징 간격(Paging Interval TLV), 프레임 번호(Frame number)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에 페이징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Paging Interval TLV, Frame number)와 릴레이 설정 명령(RS_Config_CMD)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들을 최소화하여 페이징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페이징 컨트롤러(paging controller)가 릴레이를 통해 접속된 단말을 페이징 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달한 경우, 기지국이 릴레이로 페이징 메시지(PAG-ADV)를 전달할 때 페이징 간격 또는 페이징 프레임 번호를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하지 않고서도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멀티홉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릴레이는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며,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한 모든 유휴모드 단말들은 유휴모드 진입 시 할당받은 페이징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또는 릴레이가 전송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또는 멀티홉 릴레이들은 동일한 페이징 정보를 사용하여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동작을 지원하며, 기지국은 동일한 페이징 영역에 있는 모든 유휴모드 단말들을 페이징 하기 위하여 한 번만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의 멀티홉 개수는 1 홉(hop)이며, 단말은 릴레이에서 유휴모드로 동작중이며, 기지국과 릴레이는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지국과 릴레이가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므로 동일 페이징 그룹내에 있는 모든 유휴모드 단말은 동일한 페이징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한다.
단말은 릴레이로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전달한다(S101).
단말로부터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릴레이는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단말로 전송한다(S103).
상기 페이징 정보는 페이징 그룹ID, 페이징 주기, 페이징 청취구간 및 페이징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페이징 주기는 50 슈퍼프레임, 페이징 오프셋은 슈퍼프레임 번호 47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페이징 청취구간은 1 슈퍼프레임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기지국은 릴레이 영역에 있는 유휴모드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PAG-ADV)를 전달하기 위해서 페이징 메시지를 슈퍼프레임 번호 47 위치로 하여 릴레이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한다(S105).
릴레이가 수신하는 슈퍼프레임은 릴레이 링크를 통한 지연을 고려하여 홉 개수만큼 슈퍼프레임 번호가 감소(staggering) 하기 때문에 슈퍼프레임 번호 46 위치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따라서, 릴레이는 기지국이 전송한 페이징 메시지를 슈퍼프레임 번호 46에서 수신하여 단말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약속된 슈퍼프레임 번호 47을 페이징 오프셋으로 하여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한다(S107).
즉, 릴레이는 기지국이 전송한 페이징 메시지를 슈퍼프레임 번호 46 위치에서 수신하였기 때문에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사전에 알고 있는 paging offset (superframe number 47)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단말은 릴레이가 전송한 페이징 메시지를 유휴모드 진입시 할당받은 paging offset (superframe number 47) 시점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릴레이에서 전달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과 릴레이는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며, 유휴모드 단말은 동일한 페이징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한다.
페이징 주기는 50 슈퍼프레임이며, 페이징 오프셋(211)은 슈퍼프레임 번호 47이다. 또한, 페이징 청취구간은 1 슈퍼프레임이라고 한다.
기지국은 릴레이 영역에 있는 유휴모드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203)를 전달하기 위해서 페이징 메시지(203)를 슈퍼프레임 번호 47 위치에서 릴레이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한다(S105). 이때, 릴레이의 슈퍼프레임은 1홉 만큼의 릴레이 링크 지연을 고려하여 슈퍼프레임 번호 46 위치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따라서 릴레이는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사전에 알고 있는 paging offset (superframe number 47)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단말은 릴레이가 전송한 페이징 메시지를 유휴모드 진입시 할당받은 paging offset (superframe number 47) 시점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유휴모드 동작중 릴레이 영역에서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한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한 다른 릴레이 영역으로 이동하더라도 사전에 알고 있는 페이징 오프셋에 해당되는 슈퍼프레임 번호 47 위치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페이징 정보를 통하여 단말이 기지국 또는 릴레이가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모두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이 사전에 릴레이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릴레이에서 슈퍼프레임 번호를 감소(staggering)함으로써 동일한 페이징 그룹내에 있는 유휴모드 단말들로 한 번만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릴레이로 슈퍼프레임 번호 오프셋 정보가 포함된 RS_Config-CMD 메시지를 송신하여, 릴레이의 페이징 메시지 전달을 위한 페이징 오프셋을 지시할 수도 있다.
표 1은 RS_Config-CMD 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Name Size (bit) Description
SFH information TBD System information for MS
RS ID 48 RS identification for MS
RS mode TBD Duplexing division mode (FDD, TDD)
Scheduling mode, if needed
Security mode, if needed
TBD
RS frame configuration TBD 16m DL access zone
16m DL transmit zone
16m DL receive zone
16m UL transmit zone
16m UL receive zone
Super-frame number action 6 bit LSB of super-frame number
RS EIRP TBD
RS paging group TBD RS Paging group ID
SA-Preamble 9 bit 2bit: Segment Index,
7bit: preamble sequence index
Superframe number offset RS는 해당 offset 만큼 BS의 superframe number 로부터 자신의 superframe number를 decreasing order로 staggering 시킴
상기 RS_Config-CMD 메시지에는 릴레이의 ID 정보(RS ID), 듀플렉싱 방식, 스케쥴링 모드 및 시큐리티 모드 등의 릴레이 동작모드 정보(RS mode), 하향링크 억세스 존, 하향링크 전송 존, 하향링크 수신 존, 상향링크 전송 존, 상향링크 수신 존 등을 포함한 릴레이의 프레임 설정 정보(RS frame configuration), 슈퍼프레임 번호(Super-frame number action), 릴레이의 페이징 그룹 정보(RS paging group) 및 슈퍼프레임 번호 오프셋 정보(Superframe number offset)를 포함한다.
릴레이는 슈퍼프레임 번호 오프셋 정보가 포함된 RS_Config-CMD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오프셋만큼 기지국의 슈퍼프레임 번호로부터 릴레이의 슈퍼프레임 번호를 decreasing order로 감소(staggering)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릴레이 및 단말에서 송수신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과 릴레이는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며, 동일한 페이징 그룹 내에 있는 모든 유휴모드 단말은 동일한 페이징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한다.
앞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단말은 릴레이로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전송하고, 릴레이로부터 응답으로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수신한다.
릴레이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정보에서 페이징 주기는 50 슈퍼프레임이며, 페이징 오프셋은 슈퍼프레임 번호(superframe number) 47이다. 또한 페이징 청취구간은 1 슈퍼프레임이다.
기지국과 릴레이는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므로 동일한 페이징 정보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릴레이 영역(RS Zone)에 있는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우선 페이징 메시지를 superframe number 47 위치에서 릴레이로 전달한다.
릴레이는 RS_Config-CMD 메시지를 통해서 슈퍼프레임 번호를 감소하기 위한 오프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참조하여 슈퍼프레임 번호를 감소(staggering)하여, superframe number 46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페이징 메시지(PAG-ADV)를 수신하고, 즉시 PAG-ADV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은 릴레이가 전송하는 슈퍼프레임 번호가 릴레이 링크 지연(Relay link delay) 만큼 staggering 되었기 때문에 자신의 paging offset (superframe number 47)에서 PAG-ADV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릴레이 노드상의 지연(RSdelay)과 홉 개수(Hop count)에 따른 지연(Hopcount)을 고려하여, 단말에서 암시적으로 릴레이가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하기 위한 페이징 프레임 번호(PagingFrameRS)를 알 수도 있다.
단말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암시적으로 릴레이가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하기 위한 페이징 프레임 번호(paging frame number)를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의 RS delay는 하나의 홉(hop)의 릴레이 링크 지연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릴레이의 지연(RS delay)은 Capability negotiation 과정에서 SBC-REQ(Relay Station's Basic Capability Negotiation Request) 및 SBC-RSP(Relay Station's Basic Capability Negotiation Response) 메시지 교환을 통해서 단말이 알 수 있다.
또한, Hop count 정보는 슈퍼프레임 헤더(SFH) 또는 네트웍 진입(network entry) 과정에서 단말이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두 파라미터인 RS delay 및 Hop count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은 암시적으로 릴레이가 억세스 링크(access-link) 상으로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PAG-ADV)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기지국의 페이징 오프셋에 PagingFrameRS만큼 shift 하여 릴레이가 전송하는 PAG-ADV 메시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의 페이징 오프셋은 단말이 릴레이 또는 기지국으로 유휴모드 진입을 요청하여 할당받은 페이징 오프셋을 지칭한다.
도 4는 릴레이 노드상의 지연(RSdelay)과 홉 개수(Hop count)에 따른 지연(Hopcount)을 고려하여, 단말에서 암시적으로 릴레이가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유휴모드 진입시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부터 전달받은 페이징 정보를 통해서 페이징 주기, 페이징 청취구간 및 페이징 오프셋을 할당받고, 릴레이가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PagingFrameRS 만큼 shift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PagingFrameRS를 알기 위해 필요한 릴레이 노드상의 지연(RSdelay)과 홉 개수(Hop count) 정보는 네트웍 등록 과정에서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릴레이 노드상의 지연(RSdelay)과 홉 개수(Hop count) 정보는 슈퍼프레임 헤더(SFH), 레인징 메시지(RNG-REQ/RSP) 또는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 등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릴레이 노드상의 지연(RSdelay)과 홉 개수(Hop count) 정보는 기지국 또는 릴레이가 전송하는 방송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로 전달될 수도 있다.
하기 표 2는 SFH 또는 RNG-RSP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Hop count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Syntax Size ( bit ) Notes Scope
Hop count TBD Number of relay links between the station transmitting this value and the BS SFH 또는 RNG - REQ / RSP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암시적으로 릴레이가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1의 RS delay는 하나의 홉(hop)의 릴레이 링크 지연을 의미하였으며, 수학식 2의 MRS delay는 단말이 attach된 릴레이에서 기지국까지의 모든 멀티홉 릴레이의 지연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attach된 릴레이는 유휴모드 단말에게 MRS delay 값을 SFH, NBR-ADV 또는 PAG-ADV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릴레이가 이동성이 없고 고정된 위치에 존재할 경우, MRS delay (multi-hop delay)는 고정된 값이 될 수 있으며, 단말은 MRS dealy 값을 알고 있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릴레이가 MRS delay (multi-hop delay)정보를 단말로 broadcast 할 필요가 없으며, 단말은 알고 있는 MRS delay 정보를 이용해 릴레이가 전송하는 PAG-ADV 메시지를 유휴모드 진입시 할당받은 페이징 오프셋에서 PagingFrameRS 만큼 shift 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하기 표 3은 RS delay 및 MRS delay 값을 나타낸 것이다.
Syntax Size ( bit ) Notes Scope
RS delay - Relay link Delay ( Relay link delay between BS or RS and RS ) SFH ,
NBR - ADV ,
PAG - ADV
MRS delay - Relay link Delay ( link delay between attached RS and BS ) SFH ,
NBR - ADV ,
PAG - ADV
표 3을 참조하면, RS delay 값은 SFH, NBR-ADV 또는 PAG-ADV 등의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MRS delay 값은 SFH, NBR-ADV 또는 PAG-ADV 등의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PAG-ADV 메시지 전송의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이기 위해 기지국 또는 릴레이가 단말과 링크된 억세스 링크 (link between BS or RS and MS), 또는 기지국과 릴레이 또는 릴레이들 간의 릴레이 링크 (link between BS or RS and RS)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 존(DL Transmit Zone)으로 PAG-ADV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즉, 종래에는 PAG-ADV 메시지를 하향링크 억세스 존(DL Access Zone)을 통해서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였고, 기지국이 릴레이로는 하향링크 전송 존(DL Transmit Zone)을 통해 PAG-ADV를 전달하였다. 이 경우 기지국은 두 번의 PAG-ADV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DL Transmit Zone 을 통해 기지국이 릴레이 및 단말로 동시에 한번만 PAG-ADV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릴레이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릴레이 간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DL Transmit Zone을 통해서 페이징 메시지를 릴레이 1으로 전송하고, 릴레이 1은 DL Receive Zone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DL Transmit Zone에서 릴레이2 또는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한다.
도 6은 릴레이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릴레이의 프레임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DL Transmit Zone을 통해서 첫번째 홉의 릴레이(Odd-hop RS) 또는 유휴모드 단말에게 페이징 메시지(DL4)를 전달하며, 첫번째 홉(Odd-hop) 릴레이도 DL Transmit Zone을 통해서 두번째 홉의 릴레이(Even-hop RS) 또는 유휴모드 단말에게 페이징 메시지(DL3)를 전달한다. 또한, 두번째 홉(Even-hop) 릴레이도 DL Transmit Zone을 통해서 세번째 홉의 릴레이(Odd-hop RS) 또는 유휴모드 단말에게 페이징 메시지(DL4)를 전달한다.
도 7은 air link 상으로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의 유휴모드에서 기지국이 릴레이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페이징 그룹 ID 정보는 RS_Config-CMD 메시지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또는 릴레이가 Access link를 통해 전송하는 페이징 그룹 ID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A-MAP 영역 바로 다음 영역에서 브로드캐스드 될 수도 있다.
또한, 페이징 그룹 ID 정보 또한 PAG-ADV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DL Transmit Zone을 통해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유휴모드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는 릴레이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수신하는 수신부(801)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803)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기지국으로부터 이격된 멀티홉 개수만큼 상기 슈퍼프레임 번호를 감소(staggering) 시켜서 유휴모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5)를 포함하며, 슈퍼프레임은 하향링크 전송 구간(Downlink Transmit Zone)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된다.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로 동작하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송신하는 송신부(801)와,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 및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을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803)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존재하는 멀티홉 릴레이 개수 정보 및 릴레이 링크상의 지연시간을 기초로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이동(Shift)시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제어부(805)를 포함한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단말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단말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5)

  1.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 단말의 페이징(paging)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수신하는 단계;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이격된 멀티홉 개수만큼 상기 슈퍼프레임 번호를 감소(staggering) 시켜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멀티홉 릴레이는 하향링크 전송 구간(Downlink Transmit Zone)을 통해서 상기 슈퍼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홉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은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의 페이징 정보는,
    페이징 그룹ID, 페이징 주기(cycle), 페이징 청취구간(listening interval) 및 페이징 오프셋(offs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5.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 단말의 페이징(paging)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수신하는 단계;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슈퍼프레임(Superframe) 번호 오프셋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슈퍼프레임 번호 오프셋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슈퍼프레임의 번호를 감소(staggering) 시켜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멀티홉 릴레이는 하향링크 전송 구간(Downlink Transmit Zone)을 통해서 상기 슈퍼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홉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은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의 페이징 정보는,
    페이징 그룹ID, 페이징 주기(cycle), 페이징 청취구간(listening interval) 및 페이징 오프셋(offs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9.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 단말의 페이징(paging)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송신하는 단계;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상기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로부터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존재하는 멀티홉 릴레이 개수 정보 및 릴레이 링크상의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이동(Shift)시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홉 릴레이 개수 정보 또는 릴레이 링크상의 지연시간 정보는 네트웍 등록(network entry) 과정에서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릴레이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홉 릴레이 개수 정보 또는 릴레이 링크상의 지연시간 정보는 상기 슈퍼프레임 헤더 또는 상기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홉 릴레이 개수 정보 또는 릴레이 링크상의 지연시간 정보는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릴레이의 방송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의 페이징 정보는,
    페이징 그룹ID, 페이징 주기(cycle), 페이징 청취구간(listening interval) 및 페이징 오프셋(offs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14.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 단말로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이격된 멀티홉 개수만큼 상기 슈퍼프레임 번호를 감소(staggering) 시켜서 상기 유휴모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슈퍼프레임은 하향링크 전송 구간(Downlink Transmit Zone)을 통해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15. 멀티홉 릴레이(Multi-Hop Relay) 통신시스템에서 유휴모드(idle mode)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DREG-REQ)를 송신하는 송신부;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 및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된 슈퍼프레임을 상기 기지국 또는 릴레이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존재하는 멀티홉 릴레이 개수 정보 및 릴레이 링크상의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신된 슈퍼프레임을 이동(Shift)시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100001963A 2009-08-24 2010-01-08 멀티홉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KR20110020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963A KR20110020707A (ko) 2009-08-24 2010-01-08 멀티홉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US13/389,406 US8649318B2 (en) 2009-08-24 2010-08-24 Method and apparatus of paging an idle mode station in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0/005654 WO2011025231A2 (en) 2009-08-24 2010-08-24 Method and apparatus of paging an idle mode station in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615709P 2009-08-24 2009-08-24
US61/236,157 2009-08-24
US23685809P 2009-08-25 2009-08-25
US61/236,858 2009-08-25
US24062309P 2009-09-08 2009-09-08
US61/240,623 2009-09-08
US24065509P 2009-09-09 2009-09-09
US61/240,655 2009-09-09
KR1020100001963A KR20110020707A (ko) 2009-08-24 2010-01-08 멀티홉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07A true KR20110020707A (ko) 2011-03-03

Family

ID=4362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963A KR20110020707A (ko) 2009-08-24 2010-01-08 멀티홉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49318B2 (ko)
KR (1) KR20110020707A (ko)
WO (1) WO20110252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7732B1 (en) * 2013-12-19 2017-06-14 Sony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radio network
US10045394B2 (en) * 2015-05-04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aging in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EP3580995B1 (en) * 2017-02-07 2023-08-30 Sony Group Corporation Relay-mediated paging
WO2020017855A1 (ko) * 2018-07-20 2020-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99661C (en) * 1996-03-12 2001-08-14 Takehiro Nakamura Scheme for intermittent reception of paging sig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590421B2 (en) * 2004-06-07 2009-09-15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idle mode of mobile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8605570B2 (en) * 2006-03-07 2013-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uperframe preamble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network
US8457260B2 (en) * 2006-12-04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cqui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953590B1 (ko) * 2007-03-02 2010-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기지국과 중계국간 프레임 오프셋 교섭 장치 및 방법
KR20090127031A (ko) * 2008-06-04 200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유휴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231A3 (en) 2011-07-07
WO2011025231A2 (en) 2011-03-03
US20120134318A1 (en) 2012-05-31
US8649318B2 (en)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7352B (zh) 在通信系统中进行中继
KR100866023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레인징 메시지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929275B1 (ko) Mmr 확장된 802.16e 시스템을 위한 중앙집중식스케줄러 중계국
KR100872413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및 인접 중계국 정보 획득 방법
US20050054389A1 (en) Method for a fast state transition from a sleep mode to an awake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8734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relay communication system
JP2012124897A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いて位置更新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1524109A (ja)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ページング方法
KR100871338B1 (ko)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2009465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ase station and terminal
EP1931158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042346B2 (en) Mobile relay station and handover method thereof
US88621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le mode operation in femto-cell
KR20110020707A (ko) 멀티홉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US8169925B2 (en) Mapping of preamble sequence sets with frame control header (FCH) location for multi-hop wireless broadband access communications
KR100725770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스캐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67896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화된 기지국 내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349788B1 (ko)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멀티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498056B1 (ko) 릴레이를 지원하는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KR20080034263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스캐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116930A1 (en) Methods and apparatus of si acquisition for sidelink relay operation
CN101415225B (zh) 一种调度类型通知方法和装置
US911257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hop relay system
KR20130048187A (ko) 단말 및 그 통신 방법
KR20130048147A (ko) 중계기 통신 방법, 단말 및 단말의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