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693A -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693A
KR20110019693A KR1020100015625A KR20100015625A KR20110019693A KR 20110019693 A KR20110019693 A KR 20110019693A KR 1020100015625 A KR1020100015625 A KR 1020100015625A KR 20100015625 A KR20100015625 A KR 20100015625A KR 20110019693 A KR20110019693 A KR 20110019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cells
information
subframes
sign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정재훈
권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1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셀에서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기준 신호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Description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U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FOR POSITIONING A USER EUQ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 물리 구조
3GPP(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LTE(Long Term Evolution)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type 1) 무선 프레임 구조 (Radio Frame Structure)와 TDD (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 (Radio Frame Structure)를 지원한다.
도 1은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타입 1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며,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도 2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즉,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도 3은 LTE 하향링크의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슬롯(slot)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Figure pat00003
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로 구성되는 자원 격자 (Resource Grid)에 의해 묘사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04
은 하향링크에서의 자원 블록 (Resource Block; RB)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5
는 하나의 RB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6
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4는 LTE 상향링크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슬롯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개의 부반송파와
Figure pat00009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 격자에 의해 묘사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10
은 상향링크에서의 RB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1
는 하나의 RB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2
은 하나의 상향링크 슬롯에서의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는 상기 상향링크 슬롯과 하향링크 슬롯 내에서 인덱스 (a, b)로 정의되는 자원 단위로 1개의 부반송파와 1개의 OFDM심볼을 나타낸다. 여기서, a는 주파수 축 상의 인덱스이고, b은 시간 축 상의 인덱스이다.
도 5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5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안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에 위치한 최대 3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에 할당된 제어 영역에 대응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에 할당된 데이터 영역에 대응한다. 3GPP LTE 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예로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과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이 있다.
다중 안테나( MIMO ) 기술의 정의
MIMO는 Multiple-Input Multiple-Output의 준말로 지금까지 한 개의 송신안테나와 한 개의 수신안테나를 사용했던 것에서 탈피하여, 다중송신안테나와 다중수신안테나를 채택하여 송수신 데이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 즉,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transmitter) 혹은 수신 단(receiver)에서 다중안테나를 사용하여 용량을 증대시키거나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이다. 여기서는 MIMO를 다중안테나라고 칭하기로 한다.
다중안테나 기술이란,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단일 안테나 경로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안테나에서 수신된 단편적인 데이터 조각을 한데 모아 완성하는 기술을 응용한 것이다. 상기 다중안테나 기술은 특정 범위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거나 특정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해 시스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과 중계기 등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이다. 상기 기술은 데이터 통신 확대 등으로 인해 한계 상황에 이른 이동통신의 전송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도 6은 일반적인 다중 안테나(MIMO)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의 수를 NT개로, 수신 안테나의 수를 NR개로 동시에 늘리게 되면, 송신기나 수신기에서만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와 달리 안테나 수에 비례하여 이론적으로 채널 전송 용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전송률(transmission rate)를 향상시키고, 주파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채널 전송 용량의 증가에 따른 전송률은 이론적으로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의 최대 전송률(
Figure pat00013
)에 하기의 수학식 1의 증가율(
Figure pat00014
)이 곱해진 만큼 증가할 수 있다.
Figure pat00015
예를 들어, 4개의 송신 안테나와 4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MIMO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일 안테나 시스템에 대하여 이론상 4배의 전송률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중안테나 시스템의 이론적 용량 증가가 90년대 중반에 증명된 이후 실질적인 데이터 전송률 향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현재까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이들 중 몇몇 기술들은 이미 3 세대 이동 통신과 차세대 무선랜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의 표준에 반영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다중안테나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다양한 채널 환경 및 다중접속 환경에서의 다중안테나 통신 용량 계산 등과 관련된 정보 이론 측면 연구, 다중안테나 시스템의 무선 채널 측정 및 모형 도출 연구, 그리고 전송 신뢰도 향상 및 전송률 향상을 위한 시공간 신호 처리 기술 연구 등 다양한 관점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채널 추정
무선통신 시스템 환경에서는 다중경로 시간지연으로 인하여 페이딩(fading)이 발생하게 된다. 페이딩으로 인한 급격한 환경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여 전송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을 채널 추정이라고 한다. 채널 추정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송신 측과 수신 측이 상호간에 알고 있는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송신 측과 수신 측이 모두 알고 있는 신호를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혹은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이하 RS라 하기로 한다)라고 한다.
직교주파수분할 전송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는 모든 부반송파에 할당하는 방식과 데이터 부반송파 사이에 할당하는 방식이 있다.
채널추정 성능의 이득을 얻기 위하여 프리앰블(preamble) 신호와 같이 기준 신호만으로 이루어진 심볼을 이용한다. 이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기준 신호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데이터 부반송파 사이에 기준 신호를 할당하는 방식에 비하여 채널추정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의 전송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전송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 부반송파 사이에 기준 신호를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기준 신호의 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채널추정 성능의 열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배치가 요구된다.
수신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수신기는 기준 신호의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수신기와 송신기 사이의 채널 정보를 추정한다. 수신기는 추정된 채널 정보 값을 이용하여 송신기에서 보낸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송신기에서 보내는 기준 신호를
Figure pat00016
, 기준 신호가 전송 중에 겪게 되는 채널 정보를
Figure pat00017
,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열 잡음을
Figure pat00018
,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Figure pat00019
라고 하면 수신된 신호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기준 신호
Figure pat00022
는 수신기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채널 정보(
Figure pat00023
)를 추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24
이때 기준 신호
Figure pat00025
를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값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값에 따라서 그 정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정확한
Figure pat00028
값의 추정을 위해서는
Figure pat00029
이 0에 수렴해야만 하고, 따라서 많은 개수의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여야 한다. 많은 개수의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면
Figure pat00030
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GPP LTE 하향링크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전용 기준 신호 할당 방식
상기에서 설명한 3GPP LTE가 지원하는 무선 프레임 구조 중에서 FDD에 적용 가능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10msec 동안의 시간에 한 개의 프레임이 전송되는데 이 프레임은 10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1msec 동안의 시간에 전송된다.
한 개의 서브프레임은 14개 혹은 12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심볼로 구성되며 한 개의 OFDM심볼에서 부반송파의 개수는 128, 256, 512, 1024, 1536, 2048 중의 하나로 선정되어 사용된다.
도 7은 1TTI(Transmission Time Interval)가 14개의 OFDM 심볼을 갖는 표준 순환전치(normal Cyclic Prefix; normal CP)를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단말기 전용(user specific)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서 R5는 단말기 전용의 기준 신호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31
은 서브프레임 상의 OFDM 심볼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8은 1TTI가 12개의 OFDM심볼을 가지는 확장 순환 전치(extended Cyclic Prefix; extended CP)를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단말기 전용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1TTI가 14개의 OFDM 심볼을 갖는 경우 각각 1, 2, 4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을 위한 단말기 공통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내지 도 11에서, R0 는 송신안테나 0에 대한 파일럿 심볼을 나타내며, R1은 송신안테나 1, R2는 송신안테나 2 그리고 R3는 송신안테나 3에 대한 파일럿 심볼을 가리킨다. 각 송신안테나의 파일럿 심볼이 사용된 부반송파에는 파일럿 심볼을 전송하는 송신안테나를 제외한 다른 모든 송신안테나와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도 7과 도 8은 단말기 전용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의 구조로서 상기 도 9내지 도 11의 단말기 공통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첫 번째 슬롯의 OFDM 심볼 0, 1, 2번에서는 상기 도 9내지 도 11의 단말기 공통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를 사용하고, 나머지 OFDM 심볼에서는 단말기 전용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를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의된 시퀀스(예, Pseudo-random (PN), m-sequence 등)를 셀 별 하향링크 기준 신호에 곱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기에서 인접 셀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심볼의 신호의 간섭을 감소시켜 채널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N 시퀀스는 하나의 서브프레임내의 OFDM 심볼단위로 적용되며, PN 시퀀스는 셀 ID와 서브프레임 번호 그리고 OFDM심볼 위치, 단말기의 ID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일례로, 상기 도 9의 1Tx 파일럿 심볼의 구조의 경우 파일럿 심볼을 포함하는 특정 OFDM 심볼에 하나의 송신안테나의 파일럿 심볼이 2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여러 종류의 대역폭으로 구성된 시스템이 있는데 그 종류는 6RB(Resource Block) 내지 110 RB이다. 따라서, 파일럿 심볼을 포함하는 하나의 OFDM심볼에 1개의 송신안테나의 파일럿 심볼의 개수는
Figure pat00032
이며 각 셀 별 하향링크 기준 신호에 곱하여 사용되는 시퀀스는
Figure pat00033
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이때,
Figure pat00034
는 대역폭에 따른 RB의 개수를 나타내며 시퀀스는 이진시퀀스 또는 복소시퀀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 3의
Figure pat00035
은 복소시퀀스의 하나의 일례를 보이고 있다.
Figure pat00036
위의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37
는 최대 대역폭에 해당하는 RB의 개수이므로 위의 설명을 따르면 110으로 결정할 수 있고
Figure pat00038
는 PN 시퀀스로 길이-31의 골드 시퀀스(Gold sequence)로 정의될 수 있다. 전용 기준신호(Dedicated Reference Signal; DRS)의 경우 상기 수학식 3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39
상기 수학식 4에서,
Figure pat00040
는 특정 단말기가 할당 받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해당하는 RB의 개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단말기가 할당 받는 양에 따라 시퀀스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기기 위치 결정 방법( User Equipment positioning method )
사용자 기기 위치 결정은 최근 실제 생활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인해 여러 오퍼레이션으로부터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 기기 위치 결정 방법 중 널리 알려진 방법은 크게 GPS 기반(Global Positioning System based) 방식과 지상 위치결정 기반(Terrestrial positioning based)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GPS 기반 방식은 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상기 GPS 기반 방식은 최소 4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필요하고, 실내 환경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지상 위치 결정 기반 방식은 기지국들로부터의 신호의 시간 격차(timing difference)를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상기 지상 위치 결정 기반 방식은 최소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필요하다. 상기 지상 위치 결정 기반 방식은 GPS 기반 방식에 비해 위치 추정 성능이 떨어지나, 거의 모든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상 위치 결정 기반 방식은 주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추정한다. 상기 지상 위치 결정 기반 방식은 표준 별로 다음과 같은 용어로 정의된다.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는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로 정의되고, GERAN(GSM/EDGE Radio Access Network)에서는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로 정의되며, CDMA2000에서는 AFLT (Advanced Forward Link Trilateration)으로 정의된다.
도 12는 3GPP 표준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상 위치 결정 기반 방식의 일종인 하향링크 OTDOA 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재 사용자 기기는 현재 서빙 셀(current serving cell)에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준 클럭(reference clock)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웃 셀(neighboring cell)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은 서로 다른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가지고 수신되게 된다.
도 13은 OTDOA를 이용한 사용자 기기의 위치 결정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기기의 위치는 테일러 급수 확장(Taylor series expansion)을 이용한 선형 방정식(linearlized equation)을 풀어서 계산될 수가 있다(Y. Chan and K. Ho, "A simple and efficient estimator for hyperbolic location," IEEE Trans. Signal Processing, vol. 42, pp. 1905-1915, Aug. 1994 참고).
상기에서 언급한 사용자 기기 위치 결정 방법은 통상적으로 공통 기준 신호(Common Reference Signal: CRS) 혹은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SSS)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통신사(operator)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LCS(Location Service)를 위한 위치 측정(measurement) 용 기준신호(Reference Signal; RS)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때,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상기 위치 측정 용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네트워크의 셀 플래닝(cell planning)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 기기가 수행하는 위치 측정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구조 설계 방법 및 시그널링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복수의 셀에서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기준 신호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슈도 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 방법은 복수의 셀에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로부터 상기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슈도 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는, 복수의 셀에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 패턴에 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셀로부터 상기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unit)과; 상기 RF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신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 유닛(process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슈도 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셀 플래닝에 따라 최적의 성능을 보장하는 위치결정(positioning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LTE 하향링크의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LTE 상향링크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다중 안테나(MIMO)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1TTI(Transmission Time Interval)가 14개의 OFDM 심볼을 갖는 표준 순환전치(normal Cyclic Prefix; normal CP)를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단말기 전용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1TTI가 12개의 OFDM심볼을 가지는 확장 순환 전치를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단말기 전용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1TTI가 14개의 OFDM 심볼을 갖는 경우 각각, 1, 2, 4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을 위한 단말기 공통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단말기 전용 파일럿 심볼이 데이터 복조를 위해서 사용될 때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OTDOA를 이용한 사용자 기기의 위치 결정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는 OTDOA 용 LCS를 위한 RS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두 셀간에, 시간에 따라 변하는(time-varying)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non time-varying)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6개의 셀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6개의 셀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6개의 셀에 있어서, 셀 설계가 잘 된 경우에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6개의 셀에 있어서, 셀 설계가 잘 된 경우에, 시간에 다라 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기지국과 사용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일정 용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들 용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용어로서 지칭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결정 방식을 지상 위치 결정 기반 (Terrestrial positioning based)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상기 방법은 통상적으로 공통 기준 신호(Common Reference Signal: CRS) 혹은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SSS)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LCS(Location Service)를 위한 위치 결정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LCS를 위한 위치결정 서브프레임(positioning subframe)을 정의하여 해당 위치 결정 서브프레임에는 데이터 스케줄링(scheduling)을 수행하지 않고 PRS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는 OTDOA 용 LCS를 위한 RS(즉, PRS)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4는 표준 순환 전치의 경우이고, 상기 도 15는 확장 순환 전치의 경우이다. 상기 도 14와 도 15에서, E-IPDL(Evolded-Idle Period Downlink) RS는 LCS를 위한 RS에 해당한다.
상기 도 14와 도 15에서, 가로 축은 OFDM 심볼 인덱스일 수 있고, 세로 축은 주파수 인덱스 또는 부반송파 인덱스일 수 있다. 상기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IPDL RS는 하나의 셀 입장에서 대각 행렬(diagonal matrix) 형태를 가진다. 상기 E-IPDL RS는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골고루 퍼트리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E-IPDL RS의 원소를(element)를 합칠 경우 전체 자원 요소 내에서 빠짐없이 전송되는 형태이다. 이때, 일정 자원 단위(주파수x심볼)에만 E-IPDL RS를 전송할 수 있고, 혹은 전 대역에 걸쳐서 E-IPDL RS를 골고루 전송할 수가 있다.
다른 셀에서는, E-IPDL RS를 주파수 축으로 하나씩 순환 천이(circular shift)시켜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기기(Use Equipment) 입장에서 볼 때, 두 셀에서 전송하는 E-IPDL RS가 완전히 동기가 맞아서 수신되는 경우에 셀 간 충돌 없이 사용자 기기의 위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셀 간에 E-IPDL RS의 패턴은 상이하게 구성하여 셀 간 RS 신호의 충돌 없이 사용자 기기의 위치 측정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때, 충돌이라 함은 두 셀에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상의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상에 동일한 RS 신호의 패턴이 위치하여 서로 간섭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E-IPDL RS는 슈도 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PRS는 셀 고유의(cell specific) 소정의 천이값(v_shift; 예를 들어, v_shift=0, 1, ..., 5일 수 있음)을 이용한 시간-주파수 재사용을 통해 간섭을 상호 감쇄 시킴으로써 수신능력(hearability)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PRS 패턴을 시간 영역(time domain) 상에서 변경시킴으로써 간섭을 랜덤화(randomization)할 수 있다. 즉, 셀 간에 서로 충돌하는 패턴을 시간 축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단말이 시간 축으로 충돌을 평균화할 때 충돌을 랜덤화하여 특정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측정할 때,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6은 두 셀간에, 시간에 따라 변하는(time-varying)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6은 셀 #0와 셀 #6에서 사용자 기기로 각각 전송하는 연속된 3개의 서브프레임을 도시한다. 각 셀에서 3개의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을 결정하는 v_shift는 서로 상이하다. v_shift가 다르면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의 부반송파 단위로 신호가 구분된다고 가정하면 간섭이 랜덤화될 수 있다.
셀 #0와 셀#6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v_shift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PRS 패턴의 충돌이 발생한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PRS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 있을 때, 서브프레임 단위로 PRS 패턴을 변화시켜 준다면 충돌을 평균화(averaging)시킬 수가 있다. 충돌을 평균화 시킨다는 의미는 중심 극한 정리(Central Limit Theorem)에 근거하여, 임의의 신호를 무한 평균하였을 때, 앙상블 평균은 0, 분산은 1에 수렴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17은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non time-varying)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7은 셀 #0와 셀 #6에서 사용자 기기로 각각 전송하는 연속된 3개의 서브프레임을 도시한다.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non time-varying) PRS가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 연속된 3개의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v_shift 값을 갖는다. 각 셀에 적용되는 v_shif값이 상이한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지만, 상기 도 17과 같이, 셀 간 동일한 v_shift 값이 적용되고, 시간에 따라 PRS 패턴이 불변하는 경우,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위치추정 성능의 열화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간에 따라 변하는 PRS 패턴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41
상기 수학식 5에서
Figure pat00042
는 기준신호 시퀀스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43
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슬롯 번호를 나타내고, l은 해당 슬롯에서의 OFDM 심볼 번호를 나타낸다. 기준 신호 시퀀스
Figure pat00044
는 슬롯
Figure pat00045
에서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기준신호로 사용되는 복수 변조 심볼
Figure pat00046
에 매핑된다. 상기,
Figure pat00047
는 최대 대역폭에 해당하는 RB의 개수이면, (k,l)은 기준신호를 위해 사용되는 자원 요소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수학식 5에서, k, l, m'는 표준순환 전치의 경우에 다음의 수학식 6을 만족하고, 확장순환전치의 경우에, 수학식 7을 만족한다.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상기 수학식 6과 7에서
Figure pat00050
는 하향링크 최대 대역폭에 해당하는 RB를 나타낸다.
Vshift는 다음의 수학식 8을 만족한다.
Figure pat00051
PRS를 위한 대역폭과
Figure pat00052
는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고, PN(Pseudo-random) 시퀀스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로 각 무선 프레임의 시작에서 초기화될 것이다.
이러한 시간에 따라 변하는 PRS 패턴은 셀 플래닝이 잘못된 경우에 특히 큰 이득을 가져다 준다. 예를 들어 6개의 셀을 가정하였을 때 모든 셀이 같은 v_shift를 갖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8은 6개의 셀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6개의 셀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는 각 셀의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반면, 상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은 충돌이 평균화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셀 설계가 잘 된 경우에는 반대의 효과가 나타난다. 도 20은 6개의 셀에 있어서, 셀 설계가 잘 된 경우에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6개의 셀에 있어서, 셀 설계가 잘 된 경우에, 시간에 다라 변하는 PRS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0과 도 21을 비교하면, 상기 도 20에서는 셀 간에 PRS 패턴이 충돌하는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반면, 상기 도 21에서는 셀 #0와 셀 #2의 두 번째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이 충돌하고, 셀 #1과 셀 #4에서 세 번째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이 충돌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20과 도 21에 의할 때, 셀 설계(cell planning)이 잘 된 경우에는 비시변 PSR 패턴이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혹은 일정 범위 내의 셀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PRS 패턴을 사용하여 전송할 것인지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PRS 패턴을 사용하여 전송할 지를 결정하여 시그널링을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1 비트(bit)를 이용하여 상기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0은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PRS 패턴을 나타낼 수 있고, 1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PRS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0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PRS 패턴을, 1은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PRS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은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SI(System Information) 또는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signaling)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은 PRS 구성(configuration)을 위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 정의되거나 L1/L2 시그널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네트워크는 어느 일정 범위 내의 셀 들이 셀 플래닝이 잘 되어 있는 경우, 셀 근처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PRS 패턴을 사용할 것을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반면에, 네트워크는 어느 일정 범위 내의 셀 들의 셀 플래닝이 잘 안되어 있을 경우, 셀 근처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시간에 따라 변하는 PRS 패턴을 사용할 것을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도 22는 기지국과 사용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처리 유닛(101), 메모리 유닛(102), RF(Radio Frequency) 유닛(103), 디스플레이 유닛(1044)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5)을 포함한다. 물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상기 처리 유닛(101)에서 수행된다. 상기 처리 유닛(101)은 제어 플레인(plane)과 사용자 플레인(plane)을 제공한다. 각 계층의 기능은 처리 유닛(101)에서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02)은 처리 유닛(0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및 일반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만약 상기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기기라면, 디스플레이 유닛(104)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공지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5)은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공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유닛(103)은 처리 유닛(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는 이동 단말(MS: Mobile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또는 단말(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UE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기지국, 또는 기타 다른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셀에서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기준 신호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슈도 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인,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6.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 방법으로서,
    복수의 셀에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로부터 상기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슈도 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인,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 방법.
  11.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는,
    복수의 셀에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 패턴에 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셀로부터 상기 위치 추정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unit)과;
    상기 RF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신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 유닛(process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사용자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1비트 값이 1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1비트 값이 0이면,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에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슈도 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인,
    사용자 기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기기.
KR1020100015625A 2009-08-20 2010-02-22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196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567209A 2009-08-20 2009-08-20
US61/235,672 2009-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93A true KR20110019693A (ko) 2011-02-28

Family

ID=4377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625A KR20110019693A (ko) 2009-08-20 2010-02-22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6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1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4472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user equipmen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03860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10004057B2 (en) Method for performing OTDOA-relat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2639B2 (en) Method for pilot symbol transmission in downlink MIMO system
US84831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3790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mmon reference signal in downlink MIMO system
KR20100069556A (ko) 하향링크 mimo 시스템에 있어서, 파일럿 심볼 전송 방법
KR20110019693A (ko)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10733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