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627A - 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627A
KR20110019627A KR1020090077246A KR20090077246A KR20110019627A KR 20110019627 A KR20110019627 A KR 20110019627A KR 1020090077246 A KR1020090077246 A KR 1020090077246A KR 20090077246 A KR20090077246 A KR 20090077246A KR 20110019627 A KR20110019627 A KR 20110019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tu
load
unit
sub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운
양창진
우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7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627A/en
Publication of KR2011001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6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PURPOSE: A remote control system of a structure by measuring load carrying capacity is provided to connect a RTU(Remote Terminal Unit) which a logger and a communication module area unified with a measuring sensor and successively input/store measuring load carrying capacity inform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 time interval. CONSTITUTION: A sensor unit(10)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measuring sensor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unit area comprising a dividing area which divides a whole area of a construction. A sub RTU unit(20) receives an input of each measuring load carrying capacity information of a structure from the measuring sensor. The sub RTU unit stores measuring load carrying capacity information which successively inputted according to a time interval which is determined from a measuring sensor of a fixed number. A main RTU unit(30) receives an input load carrying capacity information by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from the sub RTU and stores load carrying capacity information by each unit area of the inputted structure. The state of the structure is determined, a control signal transmits the external by calcula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ption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by measuring load capacity

본 발명은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내하력 정보만이 입력, 저장, 전송,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물의 상태 판단 및 구조물의 상태에 따른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성으로 시스템을 구현하여 시스템의 구축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anagement system of a structure by measuring the load capacity,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by inputting, storing, transmitting, and processing load capacity information 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tructure. It is related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measuring the load capacity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system by implementing the system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s well as the state determination and the respons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ructure can be made quickly.

건물, 교량, 교각, 축대, 터널과 같은 일정 규모 이상의 구조물은 상시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외력을 받게 되는데, 이에 따라, 구조물에 순간적으로 부가되는 과도한 외력이나, 반복되는 외력에 의해 피로에 의해 구조물은 손상과 파손의 위험에 노출되게 되므로, 일정 규모 이상의 구조물에 대해서는 구조물의 변형량, 변위, 부하하중, 간극수압과 같은 내하력 정보를 측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Structures of more than a certain scale, such as buildings, bridges, bridges, shafts, tunnels, etc. are constantly subjected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forces. Accordingly, the structure may be damaged by excessive external force or repeated external force. Since it is exposed to the risk of damage and damage, it is necessary to measure and manage load-bearing information such as deformation, displacement, load load and pore water pressure of a structure over a certain size.

이에 따라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관리시스템이 각종 구조물에 구축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관리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계측센서와, 계측센서와 연동되어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되는 데이터 로그와, 데이터 로그와 연동되어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통신모듈 및, 통신모듈로부터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를 전송받아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구조물의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산출하여 관리자에게 전달하게 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a structu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ad capacity measurement is often built on various structures. Such a structu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ad capacity measurement is generally linked to a plurality of measurement sensors installed on a structure and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sensor. Data log to receive and store load-bearing information,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linked with the data log to transmit the load-bearing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and receives the load-bearing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tructure an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ructure Comprising a control device that calculates a control signal and delivers to the manager.

그런데, 종래의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관리시스템에서는 계측센서로서 가속도센서가 사용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 로그에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요구되는 정보 이상의 정보량이 집적되어 데이터 로그와 통신모듈 및 제어장치로 유입되었다. 이로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 프로세스, 저장 프로세스, 전송 프로세스, 처리 프로세스 상에서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이 낮아지고, 정보 처리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management system of load-bearing load measurement, the acceleration sensor is used as a measurement sensor, and as the load-bearing load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is input to the data log in real time, the amount of information more than the information required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tructure is accumulated and the data log. And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 device. As a result, the load-bearing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cannot be smoothly progressed in the input process, the storage process, the transmission process, and the processing process for implementing the system. As a result, the stability of the system is low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takes a long time.

또한, 종래의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관리시스템에서는 시스템에 설치되는 계측센서 각각에 대응하여 데이터로거와 통신모듈이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계측센서와 동일한 개수의 데이터로거와 통신모듈이 요구되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도 동시에 안고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management system for load-bearing load measurement, data loggers and communication modules are requir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measurement sensors installed in the system, so that the same number of data loggers and communication modules as the measurement sensors are required. At the same time, the complexity and the cost of building the system were also increased.

한편, 계측센서로서 가속도센서를 대신하여 진동현 센서가 사용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9-0086076호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진동현센서 변위량 자동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이 안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technique for using a vibrating string sensor in plac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s a measurement senso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9-0086076 "Automatic Vibration String Sensor Displacemen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Serial Communication" has been proposed. .

상기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진동현센서 변위량 자동 측정장치는 다수의 피측정 지점에 설치되어 각 지점의 물리적인 변위량에 따라 진동 주파수가 변화하는 다수의 진동현식 센서와, 상기 다수의 진동현식 센서와 함께 다수의 피측정 지점에 설치되어 각 센서로 부터 나온 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고, 다수의 변환 데이타를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전송을 하는 신호 변환 수단과,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수단에 순차적으로 주기적으로 제어 신호를 송부하여 변환된 계측데이타를 시리얼로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 제어 수단과, 상기 센서 제어 수단으로 부터 수신된 계측 데이타를 받아 분석하고 정보화하는 메인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vibration displacement sensors using the serial communic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ibration expression sensor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measurement points, the vibration frequency of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physical displacement amount of each point, and a plurality of vibration expression sensors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vibration expression sensors. It is installed at the point to be measured and converts the signal from each sensor to digita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plurality of signal conversion means sequentially and periodically to the signal conver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conversion data by serial communication method Senso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receiving and storing the converted measurement data in serial and a main computer for receiving and analyzing and informing th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control means.

이와 같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진동현센서 변위량 자동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은 진동현 센서의 사용으로 가속도센서에 비하여 데이터로거로 입력되는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량은 적어졌으나,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의 저장, 전송 및 처리에 있어서는 종래의 시스템을 준용함에 따라 여전히 구조물 상태의 판단, 제어신호의 산출, 산출된 제어신호의 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vibration string sensor automatic displacemen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serial communication",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input into the data logger is less than the acceleration sensor by the use of the vibration string sensor, but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storage, transmission and processing of th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al system,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structural state, the calculation of the control signal, and the transfer of the calculated control signal are not performed quickly.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구조물의 내하력 측정을 위한 계측센서로서 진동현 센서가 사용되고, 데이터로거와 통신모듈이 일체화된 RTU(Remote Terminal Unit)에 계측센서가 연동되어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가 정해진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되는 구성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물의 상태 판단 및 구조물의 상태에 따른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vibration string sensor is used as a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load capacity of the structure, the measurement sensor is interlocked to the RTU (Remote Terminal Unit) in which the data logg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integrated By providing a configuration in which load-bearing information is sequentially input and stor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stability of the system is improved, and a new type of load-bearing measurement can be made to quickly determine the state of a structure and respond to the state of the struct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the structure.

특히, 본 발명은 계측센서와 동일한 개수의 데이터로거와 통신모듈이 요구되었던 종래의 구조물 원격관리시스템과 달리 RTU의 사용으로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에 데이터로거와 통신모듈이 일체화된 하나의 RTU이 대응하여 시스템이 구성됨에 따라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structure remote management system that required the same number of data loggers and communication modules as the measurement sensor, one RTU in which the data logger and communication module are integrated to the number of measurement sensors determined by the use of the RTU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a structure by measuring a load capacity of a new type, which can be simplified as the system is configur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건물, 교량, 교각, 축대, 터널, 건설/토목현장의 각종 가설물을 포함하는 정해진 종류의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변형량, 변위, 부하하중, 간극수압과 같은 내하력 정보를 측정 하여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전체영역을 구획하는 각 분할영역을 이루는 단위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계측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구조물의 전체영역에 걸친 내하력 정보가 상기 계측센서에 의해 각 단위영역 별로 센싱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유니트와; 상기 구조물의 각 분할영역에 하나씩 할당되어 각 분할영역에 설치되는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와 접속하게 되는 서브 RTU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상기 계측센서로부터 입력받게 되되,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로부터 정해진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내하력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서브 RTU유니트와; 정해진 개수의 서브 RTU와 접속하게 되는 메인 RTU로 이루어져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상기 서브 RTU로부터 입력받게 되고, 입력되는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메인 RTU유니트 및; 상기 메인 RTU와 접속하게 되어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상기 메인 RTU로부터 입력받게 되고, 입력되는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구조물의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산출하여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formation amount, displacement, load load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type of structures including various constructions of buildings, bridges, bridges, shafts, tunnels, construction / civil works In the system for measuring and managing load-bearing information, such as pore water pressure,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measuring sensor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unit area forming each divided area partitioning the entire area of the structure, A sensor unit for allowing load capacity information to be sensed for each unit area by the measurement sensor; One sub-RTU is allocated to each partition area of the structure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measurement sensors installed in each partition area, and receives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from the measurement sensor. A sub-RTU unit for storing load-bearing information sequentially in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number of measuring sensors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outside; The main RTU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 RTUs to receive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from the sub RTU, and stores load information for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Main RTU unit and; The main RTU is connected to receive load capacity information of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from the main RTU, and the load state information of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is processed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tructur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ransfer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센서유니트를 이루는 계측센서는 진동현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ing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string sensor is us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계측센서와 서브 RTU는 RS482 방식의 유선통신, 지그비(ZigBee) 방식의 무선통신,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통신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ment sensor and the sub-RTU by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of RS482 wired communication,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group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서브 RTU와 메인 RTU는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와 접속하여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되는 데이터로거와; 상기 데이터로거와 접속하여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게 되고,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게 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데이터로거와 상기 통신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RTU and the main RTU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measuring sensors to receive and store the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data logger to transmit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to the outside an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data logg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서브 RTU의 통신모듈은 상기 메인 RTU와 통신하게 되는 RF통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RTU의 통신모듈은 상기 서브 RTU와 통신하게 되는 RF통신기와, 상기 제어유니트 및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기기와 통신하게 되는 CDMA통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ub RTU includes an RF communicator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RTU,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ain RTU is to communicate with the sub RTU And a CDM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manag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메인 RTU의 통신모듈을 이루는 CDMA통신기와 통신하게 되는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RTU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모듈과;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상기 서버 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된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구조물의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산출하며, 산출된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RTU로 전송하게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은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이상(異常) 상태로 판단하게 되면 알람신호를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CDMA communication unit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ain RTU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from the main RTU A server database module for receiving and storing load-bearing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o receive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stored in the server database modul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tructure, calcul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ructure, and calculate the calculated control signal to the main And a client terminal module to be transmitted to the RTU, wherein the client terminal module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manager'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structure is an abnormal state.

본 발명에 의한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에 의하면, 내하력 정보의 입력, 저장, 전송, 처리 프로세스 상에서 정보량이 과도하게 집적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된 프로세스 운용이 구현될 수 있음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ty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stable process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by preventing excessive accumulation of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inputting, storing, transmitting, and processing load-bearing information This will have an improved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은 구조물 상태의 판단과 제어신호의 산출 및 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구조물에 위한 위험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measuring the load capac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structure status and the calcul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quickly can minimiz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ccording to the effective risk management for the structure Will be.

그리고, 본 발명의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관리시스템은 RTU의 사용으로 구성이 단순화되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load capacity measur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constructing the system is simplified by the use of the RTU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100)은 건물, 교량, 교각, 축대, 터널 및 건설/토목현장의 각종 가설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변형량, 변위, 부하하중, 간극수압과 같은 내하력 정보를 측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The remote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structure by measuring the load capa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including various constructions of buildings, bridges, piers, shafts, tunnels, and construction / civil works, It is a system for measuring and managing load capacity information such as deformation amount, displacement, load load, and pore water pressur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100)은 구조물의 내하력 측정을 위한 계측센서(12)로서 진동현 센서(122)가 사용되고, 데이터로거(221)와 통신모듈(222)이 일체화된 서브 RTU(Remote Terminal Unit)(22)에 계측센서(12)가 연동되어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가 정해진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bration string sensor 122 is used as the measurement sensor 12 for measuring the load-bearing force of the structure, the data logger 22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22 The measurement sensor 12 is interlocked with the integrated sub-remote unit (RTU) 22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ad-bearing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is sequentially input and sto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에 따라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내하력 정보의 입력, 저장, 전송, 처리 프로세스 상에서 정보량이 과도하게 집적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된 프로세스 운용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xcessive amount of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inputting, storing, transmitting, and processing load-bear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structure, thereby enabling stable process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100)은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12)에 데이터로거(221)와 통신모듈(222)이 일체화된 하나의 서브 RTU(22)가 대응하여 시스템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 다. 이에 따라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100)의 구성이 단순화된다.In addition,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sub-RTU 22 in which the data logger 22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22 is integrate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measurement sensors 12 Correspondingly,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system is configured. 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structure by the load capacity measurement is simplifi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measuring the general load capacity is briefly or omitted. In particular,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only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riefly shown or described. It wa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서브 RTU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을 이루는 메인 RTU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and (b) is a block diagram for giving a block diagram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 RTU constituting a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and (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RTU constituting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100)은 도 1와 도 2에서와 같이 센서유니트(10), 서브 RTU유니트(20), 메인 RTU유니트(30), 제어유니트(40)를 포함한다.Remote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nsor unit 10, the sub RTU unit 20, the main RTU unit 30, the control unit 40 as shown in FIG. It includes.

센서유니트(10)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정해진 종류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를 측정하기 위하 유니트로서 다수개의 계측센서(12)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sensor unit 10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type of structure to which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is made of a plurality of measurement sensors 12 as a unit for measuring load-bearing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구조물의 전체영역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분할영역으로 구획되고, 각 분할영역은 다시 다수개의 단위영역으로 구획되는데, 센서유니트(10)를 이루는 계측센서(12)는 구조물의 전체영역을 구획하는 각 분할영역을 이루는 단위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구조물의 전체영역에 걸친 내하력 정보가 계측센서(12)에 의해 각 단위영역 별로 센싱될 수 있도록 한다.The entire area of the structure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s as shown in FIG. 1, and each partition is further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The measurement sensor 12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10 partitions the entire area of the structure. It is installed in each unit area forming each divided area so that the load-bearing information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tructure can be sensed for each unit area by the measurement sensor 12.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12)로는 진동현 센서(vibrating wire sensor)(122)가 사용된다.Here, a vibrating wire sensor 122 is used as the measurement sensor 12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진동현 센서(122)는 물리량의 변화에 따라 탄성체의 고유진동수가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한 센서로서 진동현(vibrating wire)을 센서 구조에 맞게 플랜지 등의 고정단에 일정한 장력을 가하여 고정시키고, 전자력을 형성시킬 수 있는 마그네틱 코일(flucking coil)을 진동현에 위치시켜 출력장치에서 마그네틱 코일에 신호를 입력하면 순간 강한 전자력이 형성되어 진동현을 튕겨주게 되는데, 이에 따라 진동현에 발생되는 진동을 공진주파수로 측정하여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통해 하중, 압력, 변위, 각도, 변형률 등의 변화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The vibrating string sensor 122 is a sensor us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elastic body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physical quantity. The vibrating wire is fixed by applying a constant tension to a fixed end, such as a flange, in accordance with the sensor structure to form an electromagnetic force. When a magnetic coil (flucking coil) is placed on the vibrating string and the signal is input to the magnetic coil in the output device, a strong electromagnetic force is formed at the moment, and the vibrating string is bounced. Accordingly,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ng string is measured by the resonant frequency. By measuring the change of load, pressure, displacement, angle, strain and so on.

서브 RTU유니트(20)는 구조물에 설치된 계측센서(12)로부터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를 메인 RTU유니트(30)로 전달하게 되는 유니트로서, 이와 같은 서브 RTU유니트(20)는 다수개의 서브 RTU(22)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sub RTU unit 20 is a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from the measurement sensor 12 installed in the structure, and transfers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of the stored structure to the main RTU unit 30, such a sub RTU unit 20 consists of a plurality of sub RTUs 22.

여기서, 각 서브 RTU(22)는 구조물의 각 분할영역에 하나씩 할당되어 각 분할영역에 설치되는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12)와 접속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가 계측센서(12)를 통해 각 분할영역 별로 할당된 서브 RTU(22)로 입력되게 된다.Here, each sub RTU 22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measurement sensors 12 which are allocated to each partition of the structure and installed in each partition, so that the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is measured. Inputted to the sub RTU 22 allocated to each partition area through (12).

이와 같이 서브 RTU유니트(20)를 이루는 각각의 서브 RTU(22)는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12)로부터 정해진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내하력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100)에서는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내하력 정보만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each sub RTU 22 constituting the sub RTU unit 20 stores load-bearing load information sequentially in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a predetermined number of measurement sensors 12 and transmits them to the outside. In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structure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only the load-bearing information 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tructur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 RTU(22)는 도 3의 (a)와 (b)에서와 같이 데이터로거(data logger)(221), 통신모듈(222), 전원모듈(2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데이터로거(221)는 정해진 개수의 진동현 센서(122)와 접속하여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되는 것으로, 진동현 센서(122)로부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게 되는 미들 보드(middle board), 진동현 센서(122)로부터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입력되는 내하력 정보를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변환하게 되는 AD 컨버터(AD converter)(2212), 입력되는 내하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CPU(2213)와 RAM(221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서브 RTU(22)를 이루는 데이터로거(221)의 미들 보드(2211)와 진동현 센서(122)는 RS482 방식의 유선통신으로 통신하게 되는데, RS482방식의 유선통신은 하나의 신호선에 다수개의 진동현 센서(122)가 공유되도록 함에 따라 정해진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해진 개수의 진동현 센서(122)로부터 구조물의 내하력 정보가 서브 RTU(22)로 입력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sub RTU 22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logger 221, a communication module 222, and a power module 223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data logger 221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vibration string sensors 122 to receive and store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and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from the vibration string sensor 122. Middle board to receive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AD converter (2212) for converting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input in the form of an analog signal from the vibration string sensor 122 in the form of a digital signal,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input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PU (2213) and a RAM (2214) for storing. Here, the middle board 2211 of the data logger 221 constituting the sub RTU 22 and the vibrating string sensor 12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RS482 wired communication. As the sensor 122 is shared, load-bearing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may be input to the sub RTU 22 from a predetermined number of vibration string sensors 122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와 달리 지그비(ZigBee) 방식의 무선통신,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통신으로 진동현 센서(122)가 내하력 정보를 서브 RTU(22)로 입력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vibration string sensor 122 may input load-bearing information to the sub RTU 22 through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or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통신모듈(222)은 데이터로거(221)와 접속하여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메인 RTU(32)로 전송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서브 RTU(22)의 통신모듈(222)은 RF통신기(2221)를 구비하여 RF통신방식으로 메인 RTU(32)와 통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서브 RTU(22)의 통신모듈(222)은 메인 RTU(32)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22 is connected to the data logger 221 to transmit the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to the main RTU 32,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ub RTU 2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2 includes an RF communicator 2221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RTU 32 in an RF communication manner. The communication module 222 of the sub RTU 22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RTU 32.

전원모듈(223)은 데이터로거(221)와 통신모듈(222)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223)은 직류전원을 데이터로거(221)와 통신모듈(222)에 공급하게 된다.The power module 223 is to supply power to the data logger 22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22, the power module 22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C power supply to the data logger 22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22 is supplied.

메인 RTU유니트(30)는 서브 RTU유니트(20)로부터 구조물 전체영역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제어유니트(40)로 저장된 내하력 정보 를 전달하며, 제어유니트(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유니트로서, 구조물의 전체영역을 구획하는 각 분할영역에 할당되는 정해진 개수의 서브 RTU(22)와 각각 접속하게 되는 메인 RTU(32)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main RTU unit 30 receives and stores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entire structure area from the sub RTU unit 20, transfers load capacity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unit 40,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40 from the control unit 40. As a unit to receive a signal, it is composed of a main RTU (32) which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RTU (22) allocated to each partition that partitions the entire area of the structur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RTU(32)는 도 4의 (a)와 (b)에서와 같이 데이터로거(data logger)(321), 통신모듈(322), 전원모듈(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데이터로거(321)는 구조물의 전체영역을 구획하는 각 분할영역에 할당된 다수개의 서브 RTU(22)로부터 입력되는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것으로,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되는 CPU(3212)와 RAM(321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main RTU 32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 logger 321, a communication module 322, and a power module 323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data logger 321 stores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a structure input from a plurality of sub-RTUs 22 allocated to each partition area that partitions the entire area of the structure.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PU (3212) and RAM (3211) to receive and store the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통신모듈(322)은 서브 RTU(22)와 통신하여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게 되고, 데이터로거(321)와 접속하여 입력되는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전달하게 되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메인 RTU(32)의 통신모듈(322)은 RF통신기(3221)와 CDMA통신기(3222)를 구비하여 RF통신기(3221)를 통해서는 서브 RTU(22)와 통신하게 되고, CDMA통신기(3222)를 통해서는 인터넷망과 연동되어 제어유니트(40)와 통신하여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제어유니트(40)로 전송하거나 제어유니트(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게 된다.The communication module 322 receives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by communicating with the sub RTU 22, and transfers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input by connecting to the data logger 321, The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22 of the main RTU 32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RF communicator 3221 and a CDMA communicator 3222. The communicator 3221 communicates with the sub RTU 22, and the CDMA communicator 3222 communicates with the Internet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40 to control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40 or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여기서, 통신모듈(322)의 CDMA통신기(3222)는 관리자가 소지하게 되는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와도 통신하여 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관리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Here, the CDMA communicator 3322 of the communication module 322 also communicates with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notebook which the administrator possesses, so as to transmit information required by the administrator or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administrator. do.

전원모듈(323)은 데이터로거(321)와 통신모듈(322)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323)은 직류전원을 데이터로거(321)와 통신모듈(322)에 공급하게 된다.The power module 323 is to supply power to the data logger 32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22, the power module 32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rect current power supply to the data logger 321 and communication module 322 is supplied.

제어유니트(40)는 CDMA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메인 RTU유니트(30)와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어유니트(40)는 메인 RTU(32)와 접속하게 되어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메인 RTU(32)로부터 입력받게 되고, 입력되는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처리하여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게 되며, 구조물의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산출하여 메인 RTU(32)나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달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the main RTU unit 30 through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such a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the main RTU 32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Is received from the main RTU 32,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to be input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tructure, the control signal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ructure to the main RTU 32 or It is deliver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니트(4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모듈(42)과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44)을 포함하는데, 서버 데이터베이스 모듈(42)은 메인 RTU(32)의 통신모듈(322)을 이루는 CDMA통신기(3222)와 통신하게 되는 CDMA통신망과 연동되는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메인 RTU(32)로부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된다.Here, the control unit 4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database module 42 and a client terminal module 44, the server database module 42 is the communication module 322 of the main RTU (32) It is connected to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ommunicates with the CDMA communication unit 3222, which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nd receives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from the main RTU (32).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44)은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서버 데이터베이스 모듈(42)에 저장된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통해서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된 구조물의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산출하게 된다.The client terminal module 44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o receive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stored in the server database module 42, and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region of the received structure. The control signal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of the structure.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44)은 산출된 제어신호를 메인 RTU(32)로 전 송하게 되는데, 특히 구조물의 상태가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44)에 의해 이상(異常) 상태로 판단될 시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44)가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기기나 메인 RTU(32), 서브 RTU(22)에 알람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구조물의 이상 상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lient terminal module 44 transmits the calculated control signal to the main RTU 32. In particular, when the state of the structure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by the client terminal module 44, the client terminal. The module 44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manager'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e main RTU 32 and the sub RTU 22 so that the manager can respond to an abnormal state of the structur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 capacity measur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서브 RTU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Figure 3 (a) and (b) is a block diagram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RTU constituting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을 이루는 메인 RTU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4 (a) and 4 (b)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RTU constituting a remote management system of a structure by measuring a load capac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센서유니트10: sensor unit

12 : 계측센서 122 : 진동현 센서12: measurement sensor 122: vibration string sensor

20 : 서브 RTU유니트 22 : 서브 RTU20: sub RTU unit 22: sub RTU

221 : 데이터로거 2211 : 미들 보드221: data logger 2211: middle board

2212 : AD 컨버터 2213 : CPU2212: AD converter 2213: CPU

2214 : RAM 222 : 통신모듈2214: RAM 222: communication module

2221 : RF통신기 223 : 전원모듈2221: RF communication unit 223: power supply module

30 : 메인 RTU유니트 32 : 메인 RTU30: main RTU unit 32: main RTU

321 : 데이터로거 3211 : RAM321: data logger 3211: RAM

3212 : CPU 322 : 통신모듈3212: CPU 322: communication module

3221 : RF통신기 3222 : CDMA통신기3221: RF communication unit 3222: CDMA communication unit

323 : 전원모듈 40 : 제어유니트323: power supply module 40: control unit

42 : 서버 데이터베이스 모듈 44 :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 42: server database module 44: client terminal module

100 :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100: structure remote management system

Claims (6)

건물, 교량, 교각, 축대, 터널, 건설토목현장의 각종 가설물을 포함하는 정해진 종류의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변형량, 변위, 부하하중, 간극수압과 같은 내하력 정보를 측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for measuring and managing load capacity information such as deformation amount, displacement, load load and pore water pressure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type of structure including various constructions of buildings, bridges, bridges, shafts, tunnels, construction works, etc. 상기 구조물의 전체영역을 구획하는 각 분할영역을 이루는 단위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계측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구조물의 전체영역에 걸친 내하력 정보가 상기 계측센서에 의해 각 단위영역 별로 센싱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유니트와;Comprising a plurality of measuring sensors are provided in each unit area forming each divided area for partitioning the entire area of the structure, so that the load-bearing information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tructure can be sensed for each unit area by the measuring sensor A sensor unit; 상기 구조물의 각 분할영역에 하나씩 할당되어 각 분할영역에 설치되는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와 접속하게 되는 서브 RTU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상기 계측센서로부터 입력받게 되되,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로부터 정해진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내하력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서브 RTU유니트와;One sub-RTU is allocated to each partition area of the structure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measurement sensors installed in each partition area, and receives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from the measurement sensor. A sub-RTU unit for storing load-bearing information sequentially in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number of measuring sensors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outside; 정해진 개수의 서브 RTU와 접속하게 되는 메인 RTU로 이루어져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상기 서브 RTU로부터 입력받게 되고, 입력되는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메인 RTU유니트 및;The main RTU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 RTUs to receive load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from the sub RTU, and stores load information for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Main RTU unit and; 상기 메인 RTU와 접속하게 되어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상기 메인 RTU로부터 입력받게 되고, 입력되는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구조물의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산출하여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The main RTU is connected to receive load capacity information of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from the main RTU, and the load state information of each unit region of the structure is processed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tructure.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ransfer to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유니트를 이루는 계측센서는 진동현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The measurement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is a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 capacity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string sensor is us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계측센서와 서브 RTU는 RS482 방식의 유선통신, 지그비(ZigBee) 방식의 무선통신,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통신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The measurement sensor and the sub-RTU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y one selected from a group of RS482 wired communication,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group structure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브 RTU와 메인 RTU는 정해진 개수의 계측센서와 접속하여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되는 데이터로거와;A data logger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measurement sensors and receiving and storing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상기 데이터로거와 접속하여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게 되고,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게 되는 통신모듈 및;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data logger to transmit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to the outside an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상기 데이터로거와 상기 통신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내하력 특정에 의해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And a power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data logg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서브 RTU의 통신모듈은 상기 메인 RTU와 통신하게 되는 RF통신기를 포함하고,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ub RTU includes an RF communication device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RTU, 상기 메인 RTU의 통신모듈은 상기 서브 RTU와 통신하게 되는 RF통신기와, 상기 제어유니트 및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기기와 통신하게 되는 CDMA통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ain RTU includes an RF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b RTU and a CDM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manager.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메인 RTU의 통신모듈을 이루는 CDMA통신기와 통신하게 되는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RTU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모듈과;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CDMA communication unit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ain RTU server database module for receiving and storing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from the main RTU;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상기 서버 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된 상기 구조물의 각 단위영역 별 내하력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구조물의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산출하며, 산출된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RTU로 전송하게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을 포함하되,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o receive load-bearing information for each unit area of the structure stored in the server database modul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tructure, calcul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ructure, and calculate the calculated control signal to the main Including a client terminal module to be transmitted to the RTU,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모듈은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이상(異常) 상태로 판단하게 되면 알람신호를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 When the client terminal module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the structure is an abnormal state,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by the load-bearing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manager.
KR1020090077246A 2009-08-20 2009-08-20 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KR201100196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46A KR20110019627A (en) 2009-08-20 2009-08-20 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46A KR20110019627A (en) 2009-08-20 2009-08-20 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27A true KR20110019627A (en) 2011-02-28

Family

ID=4377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246A KR20110019627A (en) 2009-08-20 2009-08-20 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62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605B1 (en) * 2012-03-27 2014-05-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tructure management system
WO2016204989A1 (en) * 2015-06-17 2016-12-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splacement of a remote terminal unit (rtu)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605B1 (en) * 2012-03-27 2014-05-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tructure management system
WO2016204989A1 (en) * 2015-06-17 2016-12-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splacement of a remote terminal unit (rtu)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A wireles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with multithreaded sensing devices: design and validation
US118994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using internet of things and machine learning
Hou et al. A low-cost IoT-based wireless sensor system for bridge displacement monitoring
JP2010197154A (en) Slope monitoring system
CN107701236B (en) A kind of multiple information data monitoring system of skip loading pocket
KR20110086997A (en) 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RU2009110986A (en)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OF LOAD-BEARING STRUCTURES, STRUCTURAL ELEMENTS OF BUILDINGS AND CONSTRUCTIONS AND SYSTEM FOR ITS IMPLEMENTATION
KR20120114439A (en) System for intelligent monitoring and safety evaluation of bridge based on usn
CN107966228B (en) Wireless intelligent cable force monitoring method
CN102435853A (en) Intelligent electromechanical impedance sensor used for structure health status monitoring
CN110832879B (en) Remote sta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CN103913338A (en) Hybrid monitoring defective cable load generalized displacement identification method
CN103852331A (en) Progressive recognition method for problem cable load generalized displacement based on mixing monitoring
KR20110019627A (en) 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CN103852289A (en) Problem cable load generalized displacement recognition method based on space coordinate monitoring
KR100851412B1 (en) Electronic scale system and control method having transmission/receiving function of wireless data for power saving model
CN103017824A (en) Monitoring system using measurement robot
CN105181218B (en) A kind of device for pressure measurement and system
CN105069182A (en) Method monitoring fatigue service life of crane beam
CN110530323A (en) The asymmetric big Span Continuous bridge TERM DEFORMATION monitoring system of overlength connection and control method
CN103852308A (en) Recognition method for problem cable load linear displacement based on mixing monitoring
CN210180423U (en) Subway shield constructs construction settle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G cloud
CN103868737A (en) Angle monitoring problem cable load linear displacement identification method
CN103852296A (en) Strain monitoring error cable load linear displacement identification method
JP2013108870A (en) Dense water level observ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