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588A -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588A
KR20110019588A KR1020090077190A KR20090077190A KR20110019588A KR 20110019588 A KR20110019588 A KR 20110019588A KR 1020090077190 A KR1020090077190 A KR 1020090077190A KR 20090077190 A KR20090077190 A KR 20090077190A KR 20110019588 A KR20110019588 A KR 20110019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sensor
chair
unit
m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
Original Assignee
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현 filed Critical 우현
Priority to KR102009007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588A/ko
Publication of KR2011001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6Detachable covers for 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5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illumination, e.g.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 또는 의자로 사용가능하며 실내외 공간에 안락한 조명을 발산하는 장식용 조명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광기능을 갖는 조명의자에 있어서, 몸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홀과 상기 홀 주변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조명의자몸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에 착탈결합되는 하단마개; 상기 하단마개의 하단에 장착되는 전원버튼이 구비된 유무선 호환이 가능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상기 하단마개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 홀 내부로 삽입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를 실내외 문화공간이나 공원, 일반가정, 행사장, 카페 등에 설치함으로써 경관조명을 아늑하게 조성할 수 있으며, 조명이 발광되는 제어부를 의자의 하단마개에 결속시켜 의자의 공간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의자의 재질을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안전성을 갖춘 의자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077190
조명의자, 온도센서, 조도센서, 소리센서, 딥스위치, 로타리스위치

Description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The functional illuminating chair having the illumin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 또는 의자로 사용가능하며 실내외 공간에 안락한 조명을 발산하는 장식용 조명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건물내 또는 실외공간에 설비되는 조명기구와 의자는 항상 분리되어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 또는 작업용 의자 등의 경우에는 사무 및 작업능률 향상을 위해 인체공학적인 설계에 의해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 및 음식점 또는 야외공간에서 공연용이나 식탁용으로 사용되는 의자의 경우에는 인체공학적인 구조의 설계보다는 주변의 분위기에 적합하도록 외관 및 색상이 반영되어야 하는데 실제적으로 이러한 기능을 갖춘 의자는 사실상 제한적인 실정이다.
다시 말해, 현재 사용되는 종래의 의자들은 단순히 그 의자의 본연의 기능에 적합하게 설계가 되어 있을 뿐, 생활환경이 변함에 따라 실내를 장식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는 현실적인 욕구에 단순히 의자기능만을 갖춘 의자보다는 현실적인 장식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의자 등이 필요시 되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공개공보 10-2009-0029010호에는 이러한 의자의 현실적인 장식측면을 반영한 조명등 의자를 제시하고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내부가 보이게 공간부(11)가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살대(12)로 이루어진 타원형의 몸체(10)가 형성되며, 몸체(10)의 상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13)가 형성되고 몸체의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결선된 조명등(20)이 내입되고 있다.
또한, 조명등(20)에는 반투명한 종이, 합성수지 등으로 다양한 색상의 조명등(20) 커버(21)를 씌워줌으로서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어 실내장식 효과를 배가시키는 이점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조명등 의자의 경우에는 내부에 설치된 조명등(20)을 견고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가 되지 않아 내부의 조명등(20)이 항상 움직일 수 있으며, 살대(12)가 인체의 무게로 인해 붕괴되는 경우에는 곧바로 조명등(20)과 신체의 접촉으로 화재 및 감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안전성의 문제점을 갖게 되며, 또한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조명등 커버(21)의 색상을 매번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명이 주변의 온도, 조도 또는 소리 등에 의해 반응하여 자동으로 바뀌는 기능성 조명의자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명의자 내부에서 발광하는 조명부는 조명의자 내부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흔들림이 없으면서 안전성을 갖춘 조명의자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광기능을 갖는 조명의자에 있어서, 몸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홀과 상기 홀 주변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조명의자몸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에 착탈결합되는 하단마개; 상기 하단마개의 하단에 장착되는 전원버튼이 구비된 유무선 호환이 가능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상기 하단마개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 홀 내부로 삽입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시한다.
상기 하단마개에는 상기 제어부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가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어부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환경에 따라 반응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모듈; 상기 LED모듈을 제어하는 LED제어 장치;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내장된 ADC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LED제어장치로 전달하는 MCU; 및 상기 MCU에 설정되는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에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MCU에는 상기 센서부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의 감지신호와 연동되어 발생된 LED-R, LED-G, LED-B 제어신호를 상기 LED제어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ED제어장치에는 상기 LED모듈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상기 LED-R, LED-G, LED-B 제어신호의 전압이 일정전압이상을 갖는 경우에 각각 통전되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제너다이오드에 의해 통전된 전압이 인가되면서 스위칭되는 스위칭소자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에는 상기 센서부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면서 상기 MCU에서 발생된 LED-R, LED-G, LED-B 제어신호에 의해 LED모듈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모드를 설정하는 딥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딥스위치에는 상기 센서부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소리센서에 연동되지 않는 수동모드가 구성되며, 상기 수동모드 상에서 상기 MCU에서 상기 LED모듈의 색상을 조정하거나 색상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로타리 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 번째로,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를 실내외 문화공간이나 공원, 일반가정, 행사장, 카페 등에 설치함으로써 경관조명을 아늑하게 조성할 수 있으며, 조명이 발광되는 제어부를 의자의 하단마개에 결속시켜 의자의 공간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의자의 재질을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안전성을 갖춘 의자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로,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와 연동되어 색상이 변하면서 발광하는 RGB-LED모듈을 갖는 조명부를 구성함으로써 주변환경과 조화되어 발광하는 기능성 있는 의자를 구성할 수 있다.
세 번째로, RGB모듈을 사용함으로서 다양한 빛을 연출시켜 변화하는 공간에 대응하여 분위기를 용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으며, LED를 이용한 조명이므로 친환경적이며 저소비전력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에 대한 형상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의 조명의자몸체와 하단마개의 분해결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단마개에 장착되는 제어부의 결합상 태도이다.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기능을 갖는 조명의자는 몸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홀(120)과 상기 홀(120) 주변으로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40)를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조명의자몸체(1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40)에 착탈결합되도록 마찬가지로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된 하단마개(200)가 구성된다.
상기 하단마개(200)의 하단에는 전원버튼(320)이 구비된 전원부(30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부(300)에는 어댑터나 배터리, 충전식 2차전지 등으로 유/무선으로 호환되면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압조절부(Regulatior)를 두어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마개(200)에는 지지대(220)가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220)에는 LED모듈과 센서등이 내장된 제어부(400)가 장착,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220)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어부(400)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22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220)의 개수에 대해서는 당업자 입장에서 용이하게 치환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며, 상기 하단마개(200)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 홀(12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명의자몸체(100)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의 하중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없으며, 제어부를 장착하기 위해 종래의 조명등의자와 같이 몸체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한 덮개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며, 살대의 붕괴에 의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의 제어부에 대한 블럭도이며,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LED모듈(500)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400)는 센서부(420), MCU(440), LED제어장치(460) 및 스위치부(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420)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 등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센서에서 외부환경에 따라 반응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LED모듈(500)은 전원부(30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며, RGB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색상의 변환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센서부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 등과 연동되어 외부의 온도, 소리, 조도 등에 따라 점등조절 및 밝기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LED제어장치(460)를 LED모듈(500)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MCU(440)는 상기 센서부(42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내장된 ADC(Analog digital converter)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MCU(440)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상기 LED제어장치(460)로 전달되면서 LED모듈(500)이 발광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480)는 상기 MCU(440)에 설정되는 프로세스를 조정하는데, 상기 스위치부(480)에는 상기 MCU(440)에 상기 센서부(420)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를 선택적으로 연동시켜 연동된 센서에 의해 LED모듈(500)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모드를 설정하는 딥스위치(480a)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딥스위치(480a)에는 상기 센서부(420)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소리센서와 연동되지 않는 수동모드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상기 LED모듈(500)의 색상을 로타리 스위치(480b)를 이용하여 조정하거나 주기적으로 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의 제어부의 작동원리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의 제어부의 MCU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부의 LED 제어장치의 회로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부의 스위치부의 회로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LED모듈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처럼 제어부(400)의 MCU(440)에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소리센서 등이 포함된 센서부(420)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도록 구성되는데, 즉 각각의 센서를 통해 외부환경을 감지하면서 생성된 감지신호가 MCU(440)에 전달된다.
상기 MCU(440)로 전달된 감지신호는 ADC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기설정된 MCU(440)의 프로세스에 의해 감지신호가 데이터처리된다.
상기의 MCU(440)에 설정되는 프로세스는 조도센서에 의해 전달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감지신호의 전압을 통해 주위가 어두워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LED제어장치(460)에 LED-R, LED-G, LED-B 제어신호를 각각 전달하여 상기 LED모듈(500)이 켜지도록 하며, 주위가 밝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LED제어장치(460)에 제어신호를 보내지 않거나 LED-R, LED-G, LED-B 제어신호를 통해 일정전압미만의 전압이 LED모듈(500)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LED모듈(500)이 꺼지도록 프로세스가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ED-R 제어신호는 1.9V, LED-G 제어신호는 3.6V, LED-B 제어신호는 3.5V 이상의 전압을 LED모듈(500)에 인가하는 경우에 상기 LED모듈(500)이 켜지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부의 LED 제어장치의 회로구성도인데, 이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LED제어장치(460)에서는 LED모듈(500)의 각각의 RGB모듈을 구동하기 위하여 MCU(440)에서 전달되는 LED-R, LED-G, LED-B 제어신호를 각각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제어신호에 포함된 전압이 LED모듈(500)의 각각의 RGB모듈을 구동하기 위하여 제너다이오드와 FET가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LED-R, LED-G, LED-B 제어신호에 포함된 전압이 제너다이오드에 설정된 일정전압이상이 되는 경우에 제너다이오드가 통전되면서 FET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시켜 FET가 스위칭되면서 LED모듈(500)의 각각의 RGB모듈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LED모듈(500)의 RGB모듈은 각각의 LED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각각 발광하게 되며, 이를 테면 MCU(440)에서 전달하는 LED-R, LED-G, LED-B 제어신호의 전압이 각각 2V인 경우라면 R-LED만 발광하게 되며, G-LED와 B-LED의 경우는 그대로 오프상태가 되면서 전체적인 LED모듈(500)의 색깔은 적색조의 색깔을 발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의 MCU(440)에 설정되는 프로세스는 온도센서에 의해 전달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감지신호의 전압을 통해 주변온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차가운 느낌의 청색조로 변화하도록 하며, 주변온도가 낮아지면 따뜻한 느낌의 적색조로 변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소리센서의 소리와 연동되어 주변의 소리 주파수 또는 크기에 따라 조명의 색상 또는 밝기가 연동되어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부의 스위치부의 회로구성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480)에는 상기 센서부(420)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면서 선택된 센서에 의해 발생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MCU(440)에서 발생되는 LED-R, LED-G, LED-B 제어신호에 의해 LED모듈(500)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모드를 설정하는 딥스위치(480a)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딥스위치(480a)에서 모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센서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MCU(440)에서 발생되는 LED-R, LED-G, LED-B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LED모듈(500)의 색상이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딥스위치(480a)에는 상기 센서부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소리 센서에 연동되지 않는 수동모드가 구성되며, 상기 수동모드 상에서 상기 MCU(440)에서 상기 LED모듈(500)의 색상을 조정하거나 색상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로타리 스위치(480b)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스위치(480b)는 일반적으로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저항값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어서 스위치를 구동시 다른 전압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도 10은 본 발명의 LED모듈의 회로구성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제어장치(460)와 LED모듈(500)은 도시된 도면의 J1,J2 커넥터로 연결되면서, LED제어장치(460)의 제어에 따라 LED모듈(500)의 RGB모듈의 전압이 제어되면서 색상이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딥스위치(480a)의 설정을 통해 조도, 온도, 소리와 연동되어 발광하는 조명의자를 구성할 수 있으며, 딥스위치(480a)의 수동모드에서는 온도, 조도, 소리와 연동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고정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로타리 스위치(480b)를 통해 색상이 일정주기로 변화하도록 변화주기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명등 의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조명등 의자의 조명등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에 대한 형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의 조명의자몸체와 하단마개의 분해결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단마개에 장착되는 제어부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의 제어부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의 제어부의 MCU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부의 LED 제어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부의 스위치부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LED모듈의 회로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100: 조명의자몸체 120: 홀
140: 결합부
200: 하단마개 220: 지지대
220a: 걸이부 300: 전원부
320: 전원버튼 400: 제어부
420: 센서부 440: MCU
460: LED제어장치 480: 스위치부
480a: 딥스위치 480b: 로타리 스위치
500: LED모듈

Claims (8)

  1. 발광기능을 갖는 조명의자에 있어서,
    몸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홀과 상기 홀 주변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조명의자몸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에 착탈결합되는 하단마개;
    상기 하단마개의 하단에 장착되는 전원버튼이 구비된 유무선 호환이 가능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상기 하단마개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 홀 내부로 삽입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마개에는 상기 제어부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가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어부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환경에 따라 반응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모듈;
    상기 LED모듈을 제어하는 LED제어장치;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내장된 ADC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LED제어장치로 전달하는 MCU; 및
    상기 MCU에 설정되는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MCU에는 상기 센서부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의 감지신호와 연동되어 발생된 LED-R, LED-G, LED-B 제어신호를 상기 LED제어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LED제어장치에는 상기 LED모듈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상기 LED-R, LED-G, LED-B 제어신호의 전압이 일정전압이상을 갖는 경우에 각각 통전되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제너다이오드에 의해 통전된 전압이 인가되면서 스위칭되는 스위칭소 자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는 상기 센서부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또는 소리센서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면서 상기 MCU에서 발생된 LED-R, LED-G, LED-B 제어신호에 의해 LED모듈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모드를 설정하는 딥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딥스위치에는 상기 센서부의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소리센서에 연동되지 않는 수동모드가 구성되며, 상기 수동모드 상에서 상기 MCU에서 상기 LED모듈의 색상을 조정하거나 색상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로타리 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
KR1020090077190A 2009-08-20 2009-08-20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 KR20110019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190A KR20110019588A (ko) 2009-08-20 2009-08-20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190A KR20110019588A (ko) 2009-08-20 2009-08-20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588A true KR20110019588A (ko) 2011-02-28

Family

ID=4377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190A KR20110019588A (ko) 2009-08-20 2009-08-20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5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569B2 (en) Lamp holder has built-in night light
CN201198984Y (zh) 声控情境灯
CN203586071U (zh) 多功能led音乐射灯
US20110031889A1 (en) Ac-powered led lighting system
US8398258B1 (en) Cylindrical light fixture
WO2013020439A1 (zh) 遥控蜡烛灯及其电路
CN107211511A (zh) 照明装置
US20110121971A1 (en) Illuminated wall-mountable object controlled by pir sensor
CN204665152U (zh) 一种智能灯具
CN211959611U (zh) 一种带有可拆卸式控制器的led灯具
CN103747582B (zh) 微型舞台灯系统
KR100912120B1 (ko) 지피에스(gps)와 연동되는 능동형 감성 조명장치
CN203801124U (zh) 照明装置及其控制器
CN212361871U (zh) 白噪音小夜灯
CN103929850A (zh) 照明装置及其控制器
KR101597778B1 (ko) 다기능 베개장치
KR20110019588A (ko) 조명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명의자
JP6811424B2 (ja) 照明制御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TWM588935U (zh) 情境照明燈具
KR20110042683A (ko) 감성조명 시스템
CN204578827U (zh) 一种具备环境光线感应和自动亮度调节功能的开关
KR200442202Y1 (ko) 천장 직부형 인테리어 조명장치
CN215061463U (zh) 一种自动调光的智能台灯
CN210153707U (zh) 可容易安装任意灯罩及多功能太阳能控制系统光源模组
CN217153911U (zh) 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