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322A -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322A
KR20110019322A KR1020100042644A KR20100042644A KR20110019322A KR 20110019322 A KR20110019322 A KR 20110019322A KR 1020100042644 A KR1020100042644 A KR 1020100042644A KR 20100042644 A KR20100042644 A KR 20100042644A KR 20110019322 A KR20110019322 A KR 20110019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view video
data
viewpoint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744B1 (ko
Inventor
이봉호
윤국진
이현
이광순
허남호
김진웅
이수인
김용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EP1081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69862A4/en
Priority to PCT/KR2010/003757 priority patent/WO2011021768A2/ko
Publication of KR2011001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시점의 데이터의 각각이 시간 차를 두고 수신된다. 영상 처리 장치의 저장부는, 상기 두 개의 시점의 데이터 중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이용하여 모노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후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하게는 비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준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통신위원회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11-01, 과제명: 차세대 DTV 핵심기술 개발(표준화연계)-무안경 개인형 3D 방송기술개발(계속)].
좌우 양안 시점의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는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하여 시청자에게 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현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는 지상파 DMB에 적용되려고 시도 중에 있다. 이 때,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는 시청자에게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모두 제공해야 하므로, 모노스코픽 서비스에 비해 최대 2배의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한정된 데이터 전송률 하에서 안정적으로 실시간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고, 따라서 지상파 DMB에 실시간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 용량을 작게 하면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시점 비디오 데이터의 각각이 시간 차를 두고 전송되는 경우, 이를 합성하여 비실시간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좌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우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시간 차를 두고 번갈아 전송되는 경우, 대응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식별하고 이를 합성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식별부, 및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노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는 시간 차를 두고 번갈아 가며 반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이다.
한편,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내의 비디오 동기화를 위한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제1 마커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 내의 제2 마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동기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노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률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
시간 차이를 두고 별도로 전송되는 서로 다른 시점의 비디오 데이터 간의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였다가 이를 후에 수신되는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합성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번갈아 가며 반복 전송되는 경우, 이를 합성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디지털 방송에 활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으로부터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및/또는 모노스코픽(Monoscopic) 비디오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는 인간의 좌우 양안 시점(view)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시점의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3D(3 Dimensional) 비디오이다.
이러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인간의 양안에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를테면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스크린을 통하여, 스크린을 중심으로 180 도의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영상을 확산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이는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를 세로로 배열시킨 렌티큘러 스크린을 통하여 좌, 우 영상을 굴절시켜 인간의 양 눈으로 서로 다른 영상을 보내는 디스플레이 방식이다.
그 밖에, 능동형 셔터 안경 방식 등 다양한 방식들이 소개되거나 상용화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인간의 좌우 양안에 전달하여 3D 비디오의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다양하게 언급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일부의 예시적 방법에 의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 중,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된다.
이러한 비디오 데이터들은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 내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일 수도 있고,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렇게 수신된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는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는 매체로서,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등 어느 형태의 것일 수도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NAND 타입 또는 NOR 타입 등), 하드 디스크(Hard disk), SSD(Solid State Disk)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한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별부(110)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시점 비디오 데이터인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부(120)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부(1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면, 처리부(130)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시점 비디오에 대응하는 제2 시점 비디오가 저장부(120)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처리부(130)가 모노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과정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였다가 이를 후에 수신되는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합성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비디오 스트림(200)은 다양한 컨텐츠를 위한 비디오 데이터의 집합이다.
상기 비디오 스트림(200)은, 이를테면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용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스트림(200)의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 채널 중 어느 것에 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일부 비디오 스트림(200)의 전송 형태, 일부 비디오 스트림의 이용 형태 또는 구체적인 서비스의 종류에 국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비디오 스트림(200) 내의 다양한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비디오 데이터들(201, 202 등)은 컨텐츠의 동일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식별자는, 이를테면 비디오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크립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사용하는 '식별자'라는 용어는, 특정한 형태의 메타 데이터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컨텐츠의 동일성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로도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처리 장치(100)의 식별부(110)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200) 중 제1시점 비디오 데이터(201)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시점 비디오 데이터(201)와 동일한 식별자를 갖고,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지 않은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부(120) 내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부(120)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처리부(130)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201)를 이용하여 모노스코픽 비디오(21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실시간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노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최대 2 배의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나, 이는 제한된 대역폭에서 전송 시 부담을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좌안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우안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시간 차이를 두고 별도로 전송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좌안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우안 시점 비디오 데이터 중 임의의 하나를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다른 하나를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라고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스트림(200) 내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컨텐츠가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로 구성되는 경우, 좌안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우안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번갈아 가면서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100)는 좌안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우안 시점 비디오 데이터 중 기 수신된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노스코픽 비디오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그리고, 비디오 스트림(200) 내의 비디오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식별부(110)가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202)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부(110)는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202)의 식별자와 기존에 저장된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201)의 식별자를 비교하여, 이들이 동일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의 결과,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202)와 동일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201)가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201)와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202)를 합성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220)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합성 과정에서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던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201)와 현재 수신된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202) 사이의 동기화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201)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202)의 각각에 포함된 비디오 동기화를 위한 마커(Marker) 부분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번갈아가며 반복 전송되는 경우, 이를 합성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스트림(200)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시간 차를 두고 번갈아 가며 반복하여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2의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201)가 제1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컨텐츠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라면, 동일한 제1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컨텐츠의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인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202)가 다음에 전송되고, 그 후에는 다시 상기 제1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컨텐츠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인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301)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형태 때문에, 영상 처리 장치(100)는 임의의 순간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컨텐츠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301) 대신, 상기 제1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제3 시점 비디오 데이터(도시되지 않음)가 수신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한 경우와는 다른 시점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뿐만 아니라, 다시점(multi-view) 비디오 컨텐츠의 전송 및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디지털 방송에 활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방송은 이를 테면, 지상파 디지털 방송 또는 지상파 DMB 방송 등일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400)은 이러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방송사가 제공하는 본 방송 프로그램들인 본 프로그램 A, 본 프로그램 B, 본 프로그램 C 등의 사이에는 광고 컨텐츠들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광고 컨텐츠들은 각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스트림(400)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로 구성될 수 있는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 상기 광고 A의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402), 그리고 다시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3) 등이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포함된다.
영상 처리 장치(100)가 임의의 순간 상기 비디오 스트림(400)의 수신을 시작하고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을 수신하는 경우, 식별부(110)은 상기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에 대응하는 광고 A의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판단은 동일한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식별자 등에 의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만약, 상기 판단의 결과 광고 A의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부(130)는 상기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를 이용하여 모노스코픽 비디오(41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은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되는 유효 기간(expire date)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저장부(120)의 용량이나 비디오 스트림(400)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에 이어서 광고 B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며, 상기한 과정과 같은 판단 과정을 거쳐서 상기 광고 B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도 모노스코픽 비디오로써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광고 B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도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어느 한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아니라 모노스코픽 비디오 데이터로서 수신되는 광고 C의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는, 단순하게 모노스코픽 비디오로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120)에는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본 프로그램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다가, 비디오 스트림(400)에서 광고 A의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402)가 수신되는 경우, 식별부(110)는 상기 식별자 등을 비교하여,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가 미리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장부(120)에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처리부(130)는 수신되는 광고 A의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402)와 상기 저장되어 있던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를 합성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42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러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420) 합성 시의 동기화 과정은 마커를 이용하여 처리부(130)가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제 저장부(120)는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1) 대신 광고 A의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402)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다가 후에 비디오 스트림(400)에서 광고 A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403)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한 과정을 거쳐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430)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있어서, 비디오 스트림(400) 내에 포함된 모노스코픽 비디오 데이터들은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컨텐츠의 디코딩 및 디스플레이 과정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S510)에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 중,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된다.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좌시점 비디오 데이터일 수도 있고, 우시점 비디오 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는 도 1의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520)에서,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시점 비디오 데이터인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부(120)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식별부(110)에 의해 판단된다.
만약,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부(1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면, 처리부(130)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한다. (단계 S530)
그리고, 단계(S540)에서, 이렇게 생성된 스테레오 스코픽 비디오가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상기 단계(S520)에서, 상기 제1 시점 비디오에 대응하는 제2 시점 비디오가 저장부(120)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540)에서 처리부(130)가 모노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러한 각 단계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영상 처리 장치.
110: 식별부
120: 저장부
130: 처리부

Claims (8)

  1.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식별부; 및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노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는 시간 차를 두고 번갈아 가며 반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인, 영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내의 비디오 동기화를 위한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제1 마커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 내의 제2 마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동기화 하는, 영상 처리 장치.
  6.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노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 내의 비디오 동기화를 위한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제1 마커 및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 내의 제2 마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시점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제2 시점 비디오 데이터를 동기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KR1020100042644A 2009-08-19 2010-05-06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4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810076A EP2469862A4 (en) 2009-08-19 2010-06-11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CT/KR2010/003757 WO2011021768A2 (ko) 2009-08-19 2010-06-11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901 2009-08-19
KR20090076901 2009-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322A true KR20110019322A (ko) 2011-02-25
KR101347744B1 KR101347744B1 (ko) 2014-01-03

Family

ID=4377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644A KR101347744B1 (ko) 2009-08-19 2010-05-06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469862A4 (ko)
KR (1) KR101347744B1 (ko)
WO (1) WO201102176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258A1 (ko) * 2012-04-23 2013-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878218B1 (ko) * 2011-03-10 2018-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2 ts 기반 방송 서비스 환경에서 전달 시간이 다른 콘텐츠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61B1 (ko) * 2005-06-14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수신장치
KR100716142B1 (ko) * 2006-09-04 2007-05-11 주식회사 이시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법
KR100864826B1 (ko) * 2006-09-29 2008-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기반의 3차원 정지영상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905723B1 (ko) * 2006-12-08 2009-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실시간 기반의 디지털 실감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419979B1 (ko) * 2008-01-29 2014-07-16 톰슨 라이센싱 2d 이미지 데이터를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06217B1 (ko) * 2008-01-31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부분 데이터 구간 재생을 위한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과 장치, 및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부분 데이터 구간 재생 방법과 장치
KR100972792B1 (ko) * 2008-11-04 2010-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동기화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18B1 (ko) * 2011-03-10 2018-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2 ts 기반 방송 서비스 환경에서 전달 시간이 다른 콘텐츠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WO2013162258A1 (ko) * 2012-04-23 2013-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743061B2 (en) 2012-04-23 201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view video encoding method and device, and multiview video decoding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1768A2 (ko) 2011-02-24
EP2469862A2 (en) 2012-06-27
WO2011021768A3 (ko) 2011-04-14
KR101347744B1 (ko) 2014-01-03
EP2469862A4 (en)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06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tigue resulting from viewing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stream of low visual fatigue three-dimensional image
US89296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view camera parameters for stereoscopic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view camera parameters for stereoscopic image
US88248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video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8514275B2 (en) Three-dimensional (3D) display method and system
CN106303573B (zh) 一种3d视频图像处理方法及服务器和客户端
US20110229106A1 (en) System for playback of ultra high resolution video using multiple displays
CA2819141C (en)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view three-dimensional broadcast signal
US96547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eoscopic video with motion sensors
US10979689B2 (en) Adaptive stereo scaling format switch for 3D video encoding
KR20120011573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WO2017198143A1 (zh) 视频处理方法、视频播放方法、机顶盒以及vr设备
US9491435B2 (en) Image synchronizatio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TW201242336A (en) Transferring of 3D image data
KR101347744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46485A (ko) 관심 영역 깊이 정보 기반의 3차원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2590419A2 (en) Multi-depth adaptation for video content
CN110198457B (zh) 视频播放方法及其设备、系统、存储介质、终端、服务器
JP201213865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20140340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lay in receiving three-dimensional (3d) image
FR2979514A3 (fr) Dispositif d'affichage video
CN114040184A (zh) 图像显示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JP2014022947A (ja) 立体視映像伝送装置、立体視映像伝送方法及び立体視映像処理装置
JP201213488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102848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3D image
KR101746538B1 (ko) 입체영상 처리 시스템, 입체영상 처리 방법 및 액정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