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669A -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device of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device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7669A KR20110017669A KR1020090075258A KR20090075258A KR20110017669A KR 20110017669 A KR20110017669 A KR 20110017669A KR 1020090075258 A KR1020090075258 A KR 1020090075258A KR 20090075258 A KR20090075258 A KR 20090075258A KR 20110017669 A KR20110017669 A KR 201100176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device
- portable terminal
- main body
- input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에 추가적인 입력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an additional input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최근 소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전면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입력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터치팬 또는 손가락을 터치입력의 입력수단으로 사용한다.Recently introduced portable terminals often have a touch input of the front display unit. Therefore, in order to input letters or numbers into a portable terminal, a user uses a touch fan or a finger as an input means for touch input to enter numbers or letters.
터치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는 그 터치영역이 영역별로 구획되어 각각의 터치에 의하여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발생한다.The display unit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input is divided into regions of the touch area to generate different input signals by each touch.
이러한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여, 메시지 또는 이메일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다수의 분할된 입력영역이 구획되어 표시되며, 사용자는 분할된 입력영역을 구별하여 터치 또는 가압하여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When using a message or an e-mail function using the display unit capable of such touch input, the display unit displays a plurality of divided input regions, and the user distinguishes the divided input regions and touches or presses the divided input regions to display letters and numbers. Alternatively, you can enter a symbol.
그러나, 디스플레이부의 일부영역을 구획하여 그 일부영역을 터치입력을 위 하여 작은 격자형 입력영역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입력영역에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대응시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과정에서 의도하지 않는 입력영역이 가압 또는 터치되어 입력과정의 오타가 발생될 수 있으며, 입력과정의 속도 역시 저하될 수 있다.However, if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is partitioned and the partial area is divided into a small lattice input area for touch input, and different input signals are mapped to each input area, it is not intended to be input during the user's input process. If the input area is not pressed or touched, a typo in the input process may occur, and the speed of the input process may also decrease.
이러한 입력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타 또는 속도저하는 단지 문장 등을 입력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터치입력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이다.Typos or slowdowns that may occur in such an input process are not limited to inputting a sentence or the like, but are a problem that may occur widely in various touch input processes.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기능 이외에도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구분이 불명확해지는 추세이다. 멀티미디어를 사용하기 위한 요건으로서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입력작업의 정확성 및 속도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 전면의 일부분을 키패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이 줄어든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have become unclear as multimedia devices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functions. As a requirement for using multimedia,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is preferably lar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ccuracy and speed of the above-described input operation,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keypad, but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display is reduced.
따라서, 풍부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위한 디스플레이의 면적을 보장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 가능성을 증대하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ensuring the area of the display for rich multimedia functions.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장치를 장착 가능하게 하는 장착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and a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an input device o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무선통신 가능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입력키를 구비하는 입력장치,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입력장치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main body having a display unit, an inpu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and having at least one input key, and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and the input device respectively detachable. It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ounting member, possibly mounted.
이 경우, 상기 입력장치는 쿼티 키패드, 게임용 키패드 및 계산기 키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device may be any one of a qwerty keypad, a gaming keypad, and a calculator keypad.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상기 입력장치는 각각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적외선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장치에 입력된 신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제어부로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body and the input device may each inclu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or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signal input to the input device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여기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가 장착되는 본체 장착부와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입력장치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장착부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는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 main body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body is mounted and an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input device is mounted, and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and the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may b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를 구성하는 본체 장착부와 입력장치 장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 또는 입력장치가 슬라이드 삽입되며, 'ㄷ'자 형상을 갖을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a main body mounting portion and an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constituting the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 portable terminal body or an input device slide-injected and have a 'c' shape.
여기서, 상기 본체 장착부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가 전개된 상태로 거치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거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when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and the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in a deployed state, it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that protrudes selectively to support the mounting surface.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or slideably inserted.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힌지에 의하여 함께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may be fastened together by the hinge.
여기서, 상기 본체 장착부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는 각각 상기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와 각각의 수평바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and the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may each include a horizontal bar rotatably coupled by the hinge and a pair of vertical bar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each horizontal bar.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body having a display unit,
복수 개의 입력키를 구비하는 입력장치,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상기 입력장치가 적층되도록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재, 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An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control a display unit,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device, and the input device to be stack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It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member, which is mounted to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with the input device mounted.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상기 입력장치가 적층되도록 장착된 경우,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키가 가압되면 상기 입력키의 하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지점을 가압 또는 접촉할 수 있다.Here, when the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when the input key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the lower end of the input key may press or touch a specific point of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Can b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입력장치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controller may detect the mounting of the input device and change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입력장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가 장착되기 위한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가 그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장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장착부재의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가 대응되는 가이드돌기 또는 가이드홈이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or a guide protrusion for mounting the input device or the portable terminal body, the guide groove of the mounting member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put device or the portable terminal body or Guide protrusions or guide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가이드홈 내부에 상기 장착부재의 가이드돌기에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guide grooves are provid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uide protrusions are inserted and guided into the guide groov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and the guide grooves are mounted inside the guide grooves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It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that is selectively pressed to the guide projection of the member.
여기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키가 가압된 경우, 그 반대방향으로 탄성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input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elasticity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input key is pressed.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입력장치 배면에 구비된 고무판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may be a rubber plat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input device.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가 장착되는 본체 장착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입력장치 장착부, 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장착부 또는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또는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본체 장착부 또는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방법으로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body having a display unit is mounted, an input device mounting unit equipped with an input devic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a main body or an inpu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to the input device mounting unit may provide a mounting member mounted in such a manner as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mounting unit or the input device mounting unit.
여기서, 상기 본체 장착부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는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and the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may b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그리고, 상기 본체 장착부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가 특정 각도로 전개된 상태로 거치되는 경우,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거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상기 본체 장착부 또는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에 구비될 수 있다.And, when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and the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in a deployed state at a particular angle, a support member for protruding selectively to support the mounting surface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or the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to prevent falling. have.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바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membe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r, and may be rotatably mounted or slidably mounted to the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장치를 장착 가능하게 하는 장착부재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입력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he input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put device can be mounted as necessary, the us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장치를 장착 가능하게 하는 장착부재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다양한 입력장치를 장착하여 입력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he input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nput operation by mounting a variety of input devices in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와 별도의 입력장치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pu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ortability of the input device separate from the portable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 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Th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 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A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센싱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 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Some of these displays can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When th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a portable terminal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Proximity sensors have a longer lif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touch sensors.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41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proximity.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 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알람부(153)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Th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s are stored in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예를 도시한다. 2 show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무선통신 가능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입력키를 구비하는 입력장치(300),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입력장치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200)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장착부재(200) 및 입력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portable
도 2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는 바형태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portable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구분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portable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0)와 마이 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케이스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입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입력키를 구비하는 입력부(130)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구성하는 입력키 등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An input key constituting th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무선통신 가능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입력키를 구비하는 입력장치(300),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입력장치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200)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입력키를 구비하는 입력장치(300)를 구비함이 도시된다. 상기 입력장치(300)는 쿼티 키패드, 게임용 키패드 및 계산기 키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외에도 특정 용도의 사용자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라면 본 발명의 입력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2(a)에 도시된 입력장치(300a)는 쿼티 키패드 타입의 입력장치를 도시하며, 도 2(b)에 도시된 입력장치(300b)는 게임용 키패드 타입의 입력장치를 도시하며, 도 2(c)에 도시된 입력장치(300a)는 계산기용 키패드 타입의 입력장치를 도시한다.The
이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300a, 300b, 300c)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Such
도 2에 도시된 입력장치(300)들은 최근 많이 사용되는 풀터치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 이외에도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로서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에서 특히 유용하다.The
물론, 사용자 입력부로서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51)를 사용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을 가상으로 분할하여 구획된 영역이 각각 서로 다른 입력신호에 대응되므로, 사용자는 정확하게 구획된 영역을 터치해야 의도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Of course, the touch
그러나, 이와 같이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51)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입력작업은 속도 또는 정확도의 측면에서 일반적인 키패드를 사용한 입력작업에 비해 떨어진다.However, the input operation for pressing or touching the
또한, 최근 소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그 성능 및 활용도의 측면에서 컴퓨터와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입력장치를 제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recently introduced portable terminals are getting less from the computer in terms of performance and utilization. Therefore, by providing a separate input device to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user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입력장치(300)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200)를 구비한다.In order to mount such a separate input device o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상기 입력장치(300)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지만, 단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상기 입력장치(300)를 근접한 상태로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mounting
따라서, 상기 입력장치(300)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30)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상기 입력장치(300)는 각각 동종의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transmit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상기 입력장치(300)는 각각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적외선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장치에 입력된 신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제어부로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적외선 통신모듈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specifically, may b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or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모듈 등을 구비한 상기 장착부재(200)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상기 입력장치(300)를 각각 장착한 뒤, 상기 장착부재(200)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서로 페어링(pairing)되면 상기 입력장치(300))에서 발생된 입력신호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30)로 전송된다.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도 3은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및 입력장치(300)가 장착부재(200)에 장착된 후 전개된 상태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다. 보다 자세하게, 도 2(a)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상기 입력장치(300)를 각각 장착된 후 거치면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b)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상기 입력장치(300)를 각각 장착된 상태로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다.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및 입력장치(300)가 장착부재(200)에 장착된 후 폴딩되면, 휴대용 단말기(100)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B, when the portable
즉, 입력장치(300)를 장착부재(200)에 장착하여,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함께 운반이 가능하므로, 입력장치(200) 또는 장착부재(200)를 별도로 휴대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That is, since the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장착되는 본체 장착부와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입력장치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장착부(210)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는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00)의 자세한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The mounting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부재(200)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a)는 상기 장착부재(200)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4(b)는 상기 본체 장착부의 일부구성을 생략한 구성도이며, 도 4(c)는 상기 장착부재(200)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다.4 shows a mounting
상기 장착부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장착되는 본체 장착부(210)와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입력장치 장착부(260) 을 구비하며, 본체 장착부(210) 및 입력장치 장착부(260)는 힌지(h)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상기 힌지(h)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장착되는 본체 장착부(210)와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입력장치 장착부(260)를 회전가능하게 결속한다.The hinge h rotatably couples the main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h)를 사용한다.As shown in FIG. 3 (a), the
또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장착되는 본체 장착부(210)와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적절한 각도로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특성상 운반 등의 편리성을 위하여 힌지를 채용하고 폴딩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장착부재(200)에 관한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main
상기 장착부재(200)를 구성하는 본체 장착부(210)와 입력장치 장착부(260) 중 적어도 하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또는 입력장치(300)가 슬라이드 삽입되며,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을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main
따라서, 상기 본체 장착부(210)와 입력장치 장착부(260)는 각각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으며, 각각의 내측면이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입력장치(30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갖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또한, 상기 본체 장착부(210)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를 장착하여 사용 또는 휴대 중에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장착부재(200)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main
즉,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를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 중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만 분리되어 낙하되면,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파손될 수 있다.That is, when only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상기 본체 장착부(2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장착된 후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조임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
또한, 상기 본체 장착부(210)은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제1부재(212)와 제2부재(2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212)와 제2부재(214)는 상기 힌지(h)를 구성하는 축방향으로 이격가능하게 장착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조임수단은 그 길이방향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그 일단에 구비된 고정휠(251)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h)를 구성하는 축과 평행하게 장착되는 고정바(25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ightening means may be a fixing
상기 고정바(250)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212)와 제2부재(214)의 내측의 관통홀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바(250)의 외측면에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250)의 고정휠(251)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본체 장착부(210)를 구성하는 제1부재(212)와 제2부재(214)의 간격을 줄여 상기 본체 장착부(210)에 장착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를 조일 수 있다.A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따라서, 상기 본체 장착부(210)에 장착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는 그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기 본체 장착부(210)의 제1부재(212)와 제2부재(214)에 의하여 가압되므로, 상기 본체 장착부(210)의 장착상태가 견고해지며, 쉽게 분리되 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since both ends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본체 장착부(210)의 제1부재(212)와 제2부재(214)는 상기 고정바(250)에 의하여 이격 또는 접합될 수 있는 구조이지만, 각각 힌지(h)를 구성하는 축과 상기 고정바(250)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본체 장착부(210)의 제1부재(212)와 제2부재(214)의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이드바(27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가이드바(270)은 상기 본체 장착부(210)의 제1부재(212)와 제2부재(214) 중 일측에 구비되어 타측에 단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270)에 의하여 상기 본체 장착부(210)의 제1부재(212)와 제2부재(214)의 비틀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부재(2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일정한 각도로 전개된 상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및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힌지(h)의 체결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의 전개상태가 유지되어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전개된 상태로 거치되지 못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설치면 측으로 쓰러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portable terminal
여기서,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전개된 상 태로 거치되는 경우,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거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90a, 290b)가 상기 본체 장착부(210) 또는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에 구비될 수 있다.Here, when the main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input device mounting portion or slideably inserted.
도 5(a)는 상기 지지부재(290a)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에 힌지 근방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며, 도 4(b)는 상기 지지부재(290b)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에 힌지 근방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다.FIG. 5 (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도 5(a)에 도시된 상기 지지부재(290a)는 도시된 화살표 범위에서만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면에 대한 지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그 회전가능한 범위는 제한될 수 있다.The
도 5(b)에 도시된 지지부재(290b)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에 힌지 근방에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가 도시된다.FIG. 5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들(290)은 상기 장착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장착부재(200)의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지지부재(290)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전개된 상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및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되어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등의 무게에 의한 쓰러짐을 예방할 수 있다.Even if the portabl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duplicated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hrough 5 will be omitted.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200)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장착되는 본체 장착부(210) 및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별개로 구성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는 점에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공통된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mounting
그러나,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각각 한번 더 폴딩될 수 있도록 힌지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장착부(210)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는 각각 상기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와 각각의 수평바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를 구비할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main
즉, 상기 본체 장착부(210)는 상기 힌지(h)에 결속되는 수평바(213)와 상기 수평바(213) 양단에 본체 장착부 힌지(210h)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바(215)를 구비한다.That is, the main
마찬가지로,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는 상기 힌지(h)에 결속되는 수평바(263)와 상기 수평바(263) 양단에 입력장치 장착부 힌지(260h)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바(265)를 구비한다.Similarly, the input
따라서, 각각의 본체 장착부(210) 및 입력장치 장착부(260)를 구성하는 수평바와 수직바를 상기 본체 장착부 힌지(210h)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 힌지(260h)에 대하여 전개한 뒤, 다시 상기 힌지(h)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를 전개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및 상기 입력장 치(300)를 장착할 수 있다.Therefore, the horizontal bar and the vertical bar constituting the main
상기 본체 장착부 힌지(210h)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 힌지(260h)는 단순히 각각의 수평바와 수직바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 이외에도 적당한 탄성을 갖을 수 있도록 각각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mounting
즉, 상기 본체 장착부 힌지(210h)와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 힌지(260h)는 각각의 수평바와 수직바가 접히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 body mounting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를 구성하는 수평바와 수직바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이 인가되면, 상기 장착부재(200)에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또는 입력장치(300)를 탈거함과 동시에 폴딩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증가되고, 상기 장착부재(200)에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또는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면, 상기 수직바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또는 입력장치(300)를 가압하여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할 수 있다.When elasticity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bars and the vertical bars constituting the mai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부재(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장착부재(200)와 관련된 설명 중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도 7에 도시된 장착부재(200) 역시, 휴대용 단말기 본체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본체 장착부(210)와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힌지(h)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The mounting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장착부재(2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를 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힌지(h)에 조임휠(253)이 구비된다.However, 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2 to 5, the mounting
상기 힌지(h) 양단에 조임휠(253)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h)는 양 조임휠(253)에서 연장된 삽입축(미도시)과 관통축(미도시)으로 구성되며, 삽입축의 외측면과 관통축의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축과 상기 삽입축의 중첩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조임휠(253)을 회전시키면,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의 전개각도를 조절한 뒤 그 각도로 고정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및 입력장치(300)를 어느 정도 조일 수 있다.Fastening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h)에 의해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와 함께 체결되며,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전개된 상태로 거치되는 경우,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9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7, the hinge (h) is fastened together with the main
상기 지지부재(290)는 상기 조임휠(253)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의 전개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함께 조여질 수 있다.The
물론, 상기 지지부재(290)를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외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상기 입력장치 장착부(260)가 거치면과 평행하게 거치될 것이기 때문이다.Of course, the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상기 장착부재(200) 및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다.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process of mounting the portable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복수 개의 입력키를 구비하는 입력장치(300),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장치(300)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디스플레이부(151) 상부에 상기 입력장치가 적층되도록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장착되는 장착부재(200)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8 illustrates a portable terminal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 또는 그 장착부재(200)와 달리,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되는 입력장치(300)는 장착부재(200)에 장착되어 다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장착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적층된 상태가 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상기 입력장치(300)는 복수 개의 입력키를 구비한다. 상기 입력장치(300)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입력장치(200)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가 장착되기 위한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가 그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장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장착부재의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가 대응되는 가이드돌기 또는 가이드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mounting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부재(200)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200)의 내측면에 가이드돌기(p) 또는 가이드홈(g)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8,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상기 가이드돌기(p)와 상기 가이드홈(g)은 상기 입력장치(300)를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시키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상기 장착부재(200)를 장착하는 경우에 장착과정을 안내한다.When the guide protrusion (p) and the guide groove (g) to mount the
도 8에 도시된 상기 장착부재(200)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200)는 그 상부에 가이드홈(g)을 구비하고, 그 하부에 가이드돌기(p)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g)은 상기 입력장치(300) 양단의 돌기가 삽입되어 장착과정이 안내되며, 상기 가이드돌기(p)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형성된 가이드홈(105g)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재(20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장착되는 과정을 안내한다.Therefore, the guide groove (g)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s on both ends of the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형성된 가이드홈(105g)은 그 홈 내부에 상기 장착부재(200)의 장착을 감지하는 스위치(s)를 구비할 수 있다.The
정리하면,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가이드홈(g)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재(200)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g)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p)가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가이드홈(g) 내부에 상기 장착부재(200)의 가이드돌기(p)에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스위치(s)를 구비할 수 있다.In summary,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 is provided with guide grooves g on both sides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스위치(s)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상기 장착부재(200)가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스위치(s)의 가압 또는 접촉에 의한 상기 휴대용 단 말기의 제어방법은 뒤에서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The switch s detects whether the mountin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장착부재(200) 및 입력장치(300)가 장착 완료된 휴대용 단말기(100)를 도시한다.9 illustrates a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된 상기 입력장치(300)는 복수 개의 입력키(301)를 구비하여, 상기 입력장치(3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를 차폐한다. 상기 입력장치(300)의 입력키(301)를 터치 또는 가압하여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방법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10은 장착부재(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상부에 적층되는 입력장치(300)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입력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입력장치(300)와 마찬가지 예가 도시되며, 도 10(a)에 도시된 입력장치(300a)는 쿼티 키패드 타입의 입력장치를 도시하며, 도 10(b)에 도시된 입력장치(300b)는 게임용 키패드 타입의 입력장치를 도시하며, 도 10(c)에 도시된 입력장치(300x)는 계산기용 키패드 타입의 입력장치를 도시한다. 10 illustrates various examples of the
이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300a, 300b, 300c)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Such
도 11은 도 10(a)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입력장치(300)의 입력키(301)를 가압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며, 도 11(b)는 입력장치(300)의 입력키(301)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1(c)는 입력장칭(300)의 입력키(301)의 가압상태 또는 터치상태가 종료된 상태를 도시한다.FIG. 1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10 (a). Specifically, FIG. 11A illustrates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디스플레이부(151) 상부에 상기 입력장 치(300)가 적층되도록 장착된 경우, 상기 입력장치(300)의 입력키가 가압되면 상기 입력키(301)의 하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디스플레이부(105)의 특정 지점을 가압 또는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채용될 수 있으며, 터치입력의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정압식 또는 정전용량의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식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은 상기 입력장치(300)의 입력키(301)에 의한 가압을 감지하는 정압식 디스플레이부(151)가 채용된 경우를 설명한다. 물론, 상기 입력장치(300)의 입력키(301)이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정전식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장치(300)는 입력장치 하우징(303)에 복수 개의 입력키(30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입력키(310)는 그 하단(301e)이 상기 입력장치 하우징(303)을 관통하며 하부로 연장되며, 하단(301e)은 리벳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A, a plurality of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입력장치 하우징(303)에서 입력키(30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300)는 상기 입력키(301)가 가압된 경우, 그 반대방향으로 탄성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장치 하우징(303) 하부에 탄성부재로서의 고무판(l)이 장착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put key 30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상기 고무판(l)은 상기 입력키(301)의 가압상태가 해제된 뒤, 상기 입력키(301)가 가압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키(301)가 가압되면, 상기 입력키(310)의 하단(301e)이 상기 고무판(l)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가압하여 특정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판(l)은 사용자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입력키(310)의 하단(301e)을 밀어올려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한다.As shown in FIG. 11 (b), when the
이와 같은 방법으로 특정 입력키(301)를 가압하여 특정 입력키(301)에 의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specific input key 301 may be pressed to generate an input signal by the
그러나, 각각의 입력키(301)가 가압에 의하여 각각의 구별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각각의 입력키(30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획된 터치영역을 제공해야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order for each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에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모드와 입력모드의 변화를 도시한다.FIG. 12 illustrates changes in the display mode and the input mode of the
보다 상세하게, 도 12(a)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쿼티 키패드 타입의 입력장치(300)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12(c)는 쿼티 키패드 타입의 입력 장치(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2(d)는 도 12(c)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한다.More specifically, FIG. 12A illustrates a plan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12(a)에 도시된 전면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 전면이 디스플레이부(151)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입력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복수 개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각각의 아이콘을 가압 또는 터치하면 각각의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As shown in a plan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12(a)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는 4행 3열 총 12개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각각의 아이콘의 터치 또는 가압에 의하여 독립적인 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 최상단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이메일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아이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icon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도 12(b)는 쿼티 키패드 타입의 입력장치(3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쿼티 키패드 타입의 입력장치(3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부에 적층된 상태로 장착하면, 상기 입력장치(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를 차단하게 된다.12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QWERTY keypad
따라서, 상기 입력장치(300)에 의하여 차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151)를 표시영역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변환된다.Therefore, the display mode of the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아이콘이 4행 3열 총 12개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영역에 모든 아이콘이 표시되기 위해서는 아이콘의 크기가 줄어들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행 4열 총 12개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A, a total of 12 icons are displayed in four rows, three columns, and the icons displayed on the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됨이 감지되면 변화될 수 있다.As such, the display mode of the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됨이 감지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형성된 가이드홈(105g)을 형성하고, 그 홈 내부에 상기 장착부재(200)의 장착을 감지하는 스위치(s)를 구비하는 방법 또는 입력장치(300)가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무선통신 가능한 경우(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페어링 여부애 의하여 상기 입력장치(300)의 구비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In order to detect that the
그리고,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메일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아이콘를 선택하여 가압 또는 터치하면, 이메일 모드로 전환된다.12 (b) and 12 (c), when the
이와 같은 이메일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모드와 입력모드 모드가 모두 변환되어야 한다.When the e-mail mode is executed, both the display mode and the input mode mode of the
입력모드의 변화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301)의 가압에 의하여 특정 문자 또는 특정 명령을 감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구획하여 구획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또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 록 입력모드를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11, the change of the input mode is divided into areas in which a touch input of the
도 12(d)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입력모드가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입력장치(300)는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다.FIG. 12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input mode of the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영역(151a)과 상기 입력장치(300)에 의하여 차폐되며, 상기 입력키(301)에 의하여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키입력영역(151b)로 구획된다.As shown in FIG. 12D, the
상기 표시영역(151a) 역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함과 동시에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함과 동시에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영역인 상기 표시영역(151a)의 크기는 상기 입력장치(300)의 장착에 의하여 축소된다.The
축소된 표시영역(151a)은 키입력영역(151b)으로 전환되며, 상기 입력장치(300)의 입력키(301)에 대응하여 입력신호를 수신하게 된다.The reduced
상기 키입력영역(151b)은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아무런 정보도 표시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입력키(301) 전체 또는 그 일부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다양한 조명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발광될 수 있다.The
이때, 구획된 영역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드의 변화는 다양한 조명효과를 제공하여, 어두운 장소에서도 입력키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며, 그 외관을 더욱 화려하게 하여 상품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divided regions may be displayed to have different colors. Such a change in the display mode provides various lighting effects, thereby making it easier to identify the input key even in a dark place, and increase the product value by making the appearance more colorful.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입력 모드의 변화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hange in display mode or input mod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입력장치의 장착이 감지(S100)되면, 입력장치의 종류를 식별(S200)한다.When the mounting of the input device is detected (S100), the
입력장치(300)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은 장착부재(200)에 장착되는 입력장치(300)의 종류가 다양하며, 동일한 장착부재(200)를 매개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에 장착되는 경우, 어떤 입력장치가 장착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입력장치(300)가 무선통신 가능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입력장치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 본체(105)와 입력장치(300)가 적층된 상태로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입력장치(300)가 상기 장착부재(200)를 매개로 장착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영역을 통하여 입력장치(300)의 표시영역(151a)을 통해 선택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Determining the type of th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장치(300)의 종류가 식별(S200)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모드와 입력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In this manner, when the type of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모드와 입력모드를 변경한 뒤, 사용자의 입력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입력장치(300)를 탈거할 수 있으며, 입력장치(300)가 탈거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를 감지(S400)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입력모드를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영역(151a)을 디스플레이부(151) 전체로 확장한 다.After changing the display mode and the input mode of the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예를 도시한다.2 show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휴대용 단말기 본체 및 입력장치가 장착부재에 장착된 후 전개된 상태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다. 3 illustrates a deployed state and a folded state after the portable terminal body and the input device are mounted to the mounting member.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부재를 도시한다.Figure 4 shows a mounting me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member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me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본체, 장착부재 및 입력장치가 장착 완료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다.9 illustrates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body, a mounting member, and an input device are mou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 상부에 적층되는 입력장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10 illustrates various examples of an input device stack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in a state in which it is mounted on a mounting member.
도 11은 도 10(a)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FIG. 1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10 (a).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과정에서의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모드와 입력모드의 변화를 도시한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change in a display mode and an input mode of a display unit in a process of mounting the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S. 8 to 11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입력 모드의 변화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hange in display mode or input mod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5258A KR101678431B1 (en) | 2009-08-14 | 2009-08-14 |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device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5258A KR101678431B1 (en) | 2009-08-14 | 2009-08-14 |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device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7669A true KR20110017669A (en) | 2011-02-22 |
KR101678431B1 KR101678431B1 (en) | 2016-11-22 |
Family
ID=4377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5258A KR101678431B1 (en) | 2009-08-14 | 2009-08-14 |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device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843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61283A2 (en) * | 2011-10-26 | 2013-05-02 | Bladepad, Llc | Electronic communication between a gamepad and an electronic device |
US9138640B2 (en) | 2011-10-26 | 2015-09-22 | David Baum | Electronic device gaming system |
EP3691229A4 (en) * | 2017-11-24 | 2021-06-16 | Shanghai Zhonglian Technologies Ltd., Co | Input device for smart termina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84604A (en) * | 1997-12-19 | 1999-07-09 | Sharp Corp | Electronic equipment |
KR200237903Y1 (en) * | 2001-04-18 | 2001-10-11 |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 Game pad connected to personal digital assistant |
JP2003186572A (en) * | 2001-12-17 | 2003-07-04 | Casio Comput Co Ltd | Mounting stand |
KR20050021820A (en) * | 2003-08-26 | 2005-03-07 | 주식회사 팬택 | Separable and joinable key pad apparatus having multi function in a mobile phone |
-
2009
- 2009-08-14 KR KR1020090075258A patent/KR10167843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84604A (en) * | 1997-12-19 | 1999-07-09 | Sharp Corp | Electronic equipment |
KR200237903Y1 (en) * | 2001-04-18 | 2001-10-11 |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 Game pad connected to personal digital assistant |
JP2003186572A (en) * | 2001-12-17 | 2003-07-04 | Casio Comput Co Ltd | Mounting stand |
KR20050021820A (en) * | 2003-08-26 | 2005-03-07 | 주식회사 팬택 | Separable and joinable key pad apparatus having multi function in a mobile phon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61283A2 (en) * | 2011-10-26 | 2013-05-02 | Bladepad, Llc | Electronic communication between a gamepad and an electronic device |
WO2013061282A2 (en) * | 2011-10-26 | 2013-05-02 | Bladepad, Llc | Electronic device gaming system |
WO2013061282A3 (en) * | 2011-10-26 | 2013-06-27 | Bladepad, Llc | Electronic device gaming system |
WO2013061283A3 (en) * | 2011-10-26 | 2013-07-04 | Bladepad, Llc | Electronic communication between a gamepad and an electronic device |
US9138640B2 (en) | 2011-10-26 | 2015-09-22 | David Baum | Electronic device gaming system |
EP3691229A4 (en) * | 2017-11-24 | 2021-06-16 | Shanghai Zhonglian Technologies Ltd., Co | Input device for smart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8431B1 (en) | 2016-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65760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00054668A (en) | Mobile terminal | |
KR101682725B1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virtual keyboard | |
KR20100064936A (en) | Mobile terminal | |
KR20110046178A (en) | Mobile terminal | |
KR20110032901A (en) | Mobile terminal | |
KR20120015539A (en) | Mobile terminal | |
KR20120021608A (en) | Mobile terminal | |
KR101613551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10017669A (en) |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device of the same | |
KR102019115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91185A (en) | Mobile terminal | |
KR101978203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1004132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883374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KR102076510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667706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21877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95023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07470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1003778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30094614A (en) | Mobile terminal | |
KR101659002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10049032A (en) | Mobile terminal | |
KR2012004562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mean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