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816A - 개선된 pdu의 결합, 분할, 및 재조합 기능을 가진 개선된 lte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pdu의 결합, 분할, 및 재조합 기능을 가진 개선된 lte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816A
KR20110016816A KR1020100051676A KR20100051676A KR20110016816A KR 20110016816 A KR20110016816 A KR 20110016816A KR 1020100051676 A KR1020100051676 A KR 1020100051676A KR 20100051676 A KR20100051676 A KR 20100051676A KR 20110016816 A KR20110016816 A KR 20110016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p
pdu
layer unit
layer
lt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서
김창기
김경숙
신재승
송평중
신연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855,23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038313A1/en
Publication of KR2011001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선된 LTE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선된 LTE 통신 장치는 Layer 2의 서브 계층인 RLC 계층의 PDU 결합, 분할 및 재조합 기능 중 일부를 PDCP 계층이 수행하도록 하여 RLC 계층이 처리하는 PDCP PDU의 개수를 줄인다.

Description

개선된 PDU의 결합, 분할, 및 재조합 기능을 가진 개선된 LTE 통신 장치{Enhanced LT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d 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PDUs}
아래의 실시예들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LTE-Advanced 통신 등 LTE 계열의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TE 계열의 통신에 있어서, PDU의 결합(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조합(reassembly) 기능(func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3-04, 과제명: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플랫폼 개발].
LTE 통신, LTE-Advanced 통신 등 LTE 계열의 통신에 있어서, 단말과 기지국의 Layer 2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의 3개의 서브 계층(sublayer)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는, LTE 통신, LTE-Advanced 통신 등 LTE 계열의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LTE 통신 장치로 지칭한다. 또한, 상기 LTE 통신 장치는 현재 알려진 LTE 통신 및 LTE-Advanced 통신뿐 아니라, LTE 통신에 기초를 두고 일부가 변형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도 포괄한다.
통상의(conventional) LTE 계열 통신 시스템에서 RLC 계층은 무선 링크(radio link)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DCP PDU(Packet Data Unit)를 결합(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조합(reassembly)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는 증대되고 있는데, MTU는 1500 바이트 정도로 변화가 없다. 따라서, LTE 계열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경우, PDCP SDU(Service Data Unit)의 개수가 많아진다. 또한, 이에 따라 RLC 계층이 처리하여야 하는 PDCP PDU의 개수도 많아져서, RLC 계층이 정해진 시간 동안 PDU를 결합, 분할 및 재조합 하는 데 어려움이 증가되고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LTE 통신 장치의 Layer 2의 서브 계층 중 하나인 RLC 계층이 처리하여야 하는 PDCP PDU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RLC 계층이 정해진 시간 동안 PDU를 결합, 분할 및 재조합 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RLC 계층이 처리하여야 할 PDCP PDU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기술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할 수 있는 LTE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SDU(Service Data Unit)를 결합(concatenate)하여 적어도 하나의 PDCP PDU를 생성하는 PDCP 계층부, 및 상기 PDCP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DCP PDU를 결합(concatenate)하거나 분할(segmentation)하는 RLC 계층부를 포함한다. 상기 PDCP 계층부는 무선 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PDCP SDU를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DCP PDU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PDCP 계층부는 MAC 계층부의 전송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PDCP SDU를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DCP PDU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시스템은, PHY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복수 개의 PDU를 재조합(reassembly)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조합된 PDU(reassembled PDU)를 생성하는 RLC 계층부, 및 상기 RLC 계층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재조합된 PDU를 분리(separation)하는 PDCP 계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DCP PDU는, PDCP SN 필드의 다음에, 상기 결합된 복수 개의 PDCP SDU의 각각에 대응하여 후속하여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및 상기 각 PDCP SDU의 길이를 저장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DCP PDU는, 옥테트 1의 4번째 비트에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LTE 통신 장치의 Layer 2의 서브 계층 중 하나인 RLC 계층이 처리하여야 하는 PDCP PDU의 개수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RLC 계층이 처리하여야 하는 PDCP PDU의 개수가 감소함에 따라, RLC 계층이 정해진 시간 동안 PDU를 결합, 분할 및 재조합 하는 데 어려움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RLC 계층이 처리하여야 할 PDCP PDU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기술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장치의 Layer 1 및 Layer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장치의 송신 측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DCP PDU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장치의 수신 측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일반적인 기지국, 중계기 등과 같이 단말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여러 장치들을 포함하며, '단말'은 핸드폰, 노트북과 같이 여러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 장치'는 기지국, 중계기, 단말, 네트워크 컨트롤러 등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또한, 'LTE 통신 장치'는 LTE 통신, LTE-Advanced 통신 등 현재 알려진 LTE 계열의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뿐 아니라, LTE 통신에 기초를 두고 일부가 변형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도 포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LTE 통신 장치(enhanced LTE communication apparatus)의 Layer 1 및 Layer 2를 도시한 도면이다.
개선된 LTE 통신 장치의 Layer 1은 PHY 계층(110)으로 구성된다. PHY 계층(110)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high-speed data transport) 및 고용량의 음성 지원(high-capacity voice support)를 위한 캐리어 필요을 맞추기 위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데이터 전송 기술을 채용한다. PHY 계층(110)은 다운 링크에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를 사용할 수 있다. PHY 계층(110)은 업 링크에는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할 수 있다.
개선된 LTE 통신 장치의 Layer 2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120), RLC(Radio Link Control) 계층(130),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140)의 3개의 서브 계층(sublayer)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PDCP 계층(140)은 Layer 2의 서브 계층인 RLC 계층(130)의 PDU(Packet Data Unit)의 결합(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조합(reassembly)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여 RLC 계층(130)이 처리하는 PDCP PDU의 개수를 줄인다.
PDCP 계층부(140)는 Layer 3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PDCP SDU(Service Data Unit)을 결합(concatenate)하여 적어도 하나의 PDP PDU를 생성한다. 종래의 LTE 통신 시스템에서 PDCP 계층부는 PDCP SDU의 결합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RLC 계층에서만 PDU의 결합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는 증대되고 있는데, MTU는 1500 바이트 정도로 변화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LTE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경우, PDCP SDU(Service Data Unit)의 개수가 많아진다. 또한, 이에 따라 RLC 계층이 처리하여야 하는 PDCP PDU의 개수도 많아져서, RLC 계층이 정해진 시간 동안 PDU를 결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PDCP 계층부(140)는 Layer 3로부터 수신한 PDCP SDU에 대한 결합 동작을 수행한다. PDCP 계층부(140)는, 송신 시 Layer 3로부터 수신한 PDCP SDU를 여러 개 결합하여 하나의 PDCP PDU를 생성하고, 이를 RLC 계층(13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DCP 계층부(140)는, PDCP SDU에 대한 결합 동작의 수행 시, 무선 링크(radio link)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결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RLC 계층부(130)로부터 PDCP 계층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RLC 계층부(130)는 무선 링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관리하는 데, RLC 계층부(130)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PDCP 계층부(140)로 전달하고, PDCP 계층부(140)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링크의 상태가 좋으면, PDCP 계층부(140)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PDCP SDU를 결합하여 하나의 PDU로 만들고, 무선 링크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PDCP 계층부(140)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PDCP SDU를 결합하여 하나의 PDU로 만든다. 이 경우, PDCP 계층부(140)는 무선 링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알고 있고, PDCP 계층부(140)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DCP SDU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DCP 계층부(140)는, PDCP SDU에 대한 결합 동작의 수행 시, MAC 계층부(120)의 전송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결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부(140)는 MAC 계층부(120)가 동작하는 전송 주기마다 PDCP SDU를 결합하여 PDCP PDU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PDCP PDU는 RLC 계층(130)에 전달되고, RLC 계층(130)은 무선 링크의 상태에 따라 분할(segmentation) 또는 재조합(reassembly)를 수행한다. RLC 계층(130)은 무선 링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유지하는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PDCP PDU를 분할하거나 재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PDCP 계층부(140)는 무선 링크의 상태 또는 스케줄링 정보를 알 필요가 없다. 현재의 LTE 통신 규격에 따르면, RLC SDU의 크기는, 마지막 SDU를 제외하고는 2047 바이트까지만 지원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PDCP 계층(140)의 결합 동작은 이에 의하여 제한된다.
무선 링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PHY 계층(110) 및 MAC 계층(120)을 통하여 RLC 계층(130)으로 전달된다. RLC 계층(130)은 MAC 계층(120)으로부터 복수 개의 PDU를 수신한다. RLC 계층(130)은 수신된 복수 개의 PDU를 재조합(reassembly)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조합된 PDU(reassembled PDU)를 생성한다. 상기 수신 측 RLC 계층(130)의 재조합 동작은 송신 측 RLC 계층(130)의 결합 및/또는 분할 동작에 대응한다.
RLC 계층(130)은 상기 재조합된 PDU를 PDCP 계층(140)으로 전달한다. PDCP 계층(140)은 RLC 계층(13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재조합된 PDU를 분리한다(separate). 상기 수신 측 PDCP 계층(140)의 분리 동작은 송신 측 PDCP 계층(140)의 결합 동작에 대응한다.
PDCP 계층부(140)는 Layer 3로부터 수신된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상기 IP 패킷을 기초로 PDCP PDU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PDCP 계층부(140)는 상기 PDCP PDU를 기초로 IP 패킷과 IP 패킷의 헤더를 복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IP 헤더의 압축 및 해제는 PDCP 계층부(140)에 포함된 RoHC부(Robust Header Compression)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PDCP 계층부(140)는 상기 PDCP PDU에 포함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 처리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DCP 계층부(140)는 상기 PDCP PDU를 암호화할 수 있다. PDCP 계층부(140)는, 또한, RLC AM을 위한 PDCP 재설정 과정(re-establishment procedure) 시에 상위 계층 PDU들의 순서에 따른 전달(in-sequence delivery)을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부(140)는, 또한, RLC AM을 위한 PDCP 재설정 과정(re-establishment procedure) 시에 하위 계층 SDU들의 중복 검사(duplicate dete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부(140)는, 또한, RLC AM을 위한 핸드오버 시에 PDCP SDU들의 재전송(retransmission)을 수행할 수 있다.
RLC 계층부(130)는 ARQ를 통한 에러 정정(error corre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RLC 계층부(130)는, 또한, 프로토콜 에러의 검출 및 회복(protocol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중복 검출(duplicate detection)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장치의 송신 측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LTE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정보는 LTE 통신 계층의 상위 계층을 통하여 Layer 3(250)로 전달된다. 복수 개의 PDCP SDU(Service Data Unit)(260)은 Layer 3(250)로부터 PDCP 계층부(240)로 전달된다.
PDCP 계층부(240)는 Layer 3(250)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PDCP SDU(Service Data Unit)(260)을 결합(concatenate) 또는 분할(segmentation)하여 적어도 하나의 PDP PDU(270)를 생성한다. 일실예에 따르면, PDCP 계층부(240)는 Layer 3(250)로부터 수신한 PDCP SDU(260)에 대한 결합 동작을 수행한다. PDCP 계층부(240)는, 송신 시 Layer 3(250)로부터 수신한 PDCP SDU(260)를 여러 개 결합하여 하나의 PDCP PDU(270)를 생성하고, 이를 RLC 계층(23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DCP 계층부(240)는, PDCP SDU(260)에 대한 결합 동작의 수행 시, 무선 링크(radio link)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결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RLC 계층부(230)로부터 PDCP 계층부(240)로 전달될 수 있다. RLC 계층부(230)는 무선 링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관리하는 데, RLC 계층부(230)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PDCP 계층부(240)로 전달하고, PDCP 계층부(240)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링크의 상태가 좋으면, PDCP 계층부(240)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PDCP SDU를 결합하여 하나의 PDU로 만들고, 무선 링크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PDCP 계층부(240)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PDCP SDU를 결합하여 하나의 PDU로 만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DCP 계층부(240)는, 무선 링크(radio link)의 상태에 기초하여, PDCP SDU(260)에 대한 결합(concatenation) 및/또는 분할(segmenta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RLC 계층부(230)로부터 PDCP 계층부(240)로 전달될 수 있다. PDCP 계층부(240)는 무선 링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알고 있고, PDCP 계층부(240)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DCP SDU를 결합하거나 분할(segmentation)할 수 있다. 이 경우, RLC 계층(230)이 분할 및 재조립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DCP 계층부(240)는, MAC 계층부(220)의 전송 주기에 기초하여, PDCP SDU(260)에 대한 결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부(240)는 MAC 계층부(220)가 동작하는 전송 주기마다 PDCP SDU(260)를 결합하여 PDCP PDU(270)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PDCP 계층부(240)는 MAC 계층부(220)가 데이터를 PHY 계층(도시되지 않음)에 전송하는 주기에 따라 PDCP SDU(260)를 결합하여 PDCP PDU(270)를 생성할 수 있다. RLC 계층(230)은 무선 링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유지하는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PDCP PDU(270)를 분할하거나 재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PDCP 계층부(240)는 무선 링크의 상태 또는 스케줄링 정보를 알 필요가 없다.
또한, PDCP 계층부(240)는 헤더의 압축 및 해제(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header), 및 보안(security) 동작을 수행한다.
RLC 계층부(230)는 프로토콜 에러의 검출 및 회복(protocol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중복 검출(duplicate detection), ARQ(Automatic Repair reQuest) 등을 수행한다. 또한, RLC 계층부(230)는 PDCP 계층(240)으로부터 수신된 PDCP PDU(270)에 대한 결합(concatenation) 및/또는 분할(segmentation) 동작을 수행한다. RLC 계층부(230)는 PDCP 계층부(230)로부터 PDCP PDU(270)를 수신하면, 이를 전송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RLC 계층부(230)는 MAC 계층부(220)로부터 전송 기회 및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얻으면, 해당 크기만큼 전송 모드에 따라 결합(concatenation) 및/또는 분할(segmentation) 동작을 수행하여 RLC PDU(도시되지 않음)를 생성한다. 생성된 RLC PDU는 MAC 계층부(220)로 전달된다. 전송 모드는 TM(Transparent Mode), UM(Unacknowledged Mode), 및 AM(Acknowledged Mode) 등이 있다.
RLC 계층부(230)는 무선 링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무선 링크의 상태에 따라, PDCP PDU(270)의 결합 및/또는 분할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링크의 상태가 좋으면, RLC 계층부(240)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PDCP PDU(270)를 결합하여 하나의 RLC PDU(도시되지 않음)로 만들 수 있다. 한편, 무선 링크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RLC 계층부(230)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PDCP PDU(270)를 결합하여 하나의 RLC PDU(도시되지 않음)로 만들거나 또는 PDCP PDU(270)를 복수 개의 RLC PDU(도시되지 않음)로 분할(segment)할 수 있다.
MAC 계층부(220)는 RLC 계층부(230)로부터 수시한 RLC PDU를 멀티플렉싱 및/또는 스케줄링하여, PHY 계층으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DCP PDU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PDCP PDU의 포맷이 새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PDCP PDU(300)의 포맷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지원하면서도, 종래기술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CP PDU(300)는, PDCP SN 필드의 다음에, E 비트(320, 330) 및 LI 필드(340, 350)를 포함한다. E 비트(320, 330)는 결합된 복수 개의 PDCP SDU의 각각에 대응하여 후속하여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LI 필드(340, 350)는 각 PDCP SDU의 길이를 저장하는 필드이다. PDCP PDU(300)는 또한 옥테트 1의 4번째 비트에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E 비트(3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DCP 계층부는 Layer 3으로부터 수신된 2개의 PDCP SDU를 결합(concatenate)하여 하나의 PDCP PDU(300)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E 비트(310)는 "1"로 설정되고, 이는 PDCP PDU(300)에 포함된 PDCP SDU가 있음을 의미한다. LI1 필드(340)는 PDCP PDU(300)에 포함된 첫 번째 PDCP SDU의 길이를 저장한다. 데이터 필드(360)에는 상기 2개의 PDCP SDU가 결합되어 저장되는데, LI1 필드(340)를 이용하여 데이터 필드(360)에 저장된 2개의 PDCP SDU 중 첫 번째 PDCP SDU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I1 필드(340)의 값이 1000이면, 데이터 필드(360)에 저장된 데이터의 처음부터 1000바이트까지가 첫 번째 PDCP SDU가 되는 것이다. 결합된 PDCP SDU가 2개이기 때문에, 첫 번째 PDCP SDU에 결합된 PDCP SDU가 더 존재한다. 따라서, E 비트(320)는 "1"로 설정된다. 두 번째 PDCP SDU의 길이는 LI2 필드(350)에 저장된다. 따라서, 데이터 필드(360)에 저장된 데이터 중 LI1 필드(340)에 저장된 길이 값 이후부터 LI2 필드(350)에 저장된 길이 값까지가 두 번째 PDCP SDU가 된다. 예를 들어, LI1 필드(340)의 값이 1000이고, LI2 필드(350)의 값이 900이면, 데이터 필드(360)에 저장된 데이터의 1001 바이트부터 1900 바이트까지가 두 번째 PDCP SDU가 된다. 결합된 PDCP SDU가 2개이기 때문에, 두 번째 PDCP SDU에 결합된 PDCP SDU는 없다. 따라서, E 비트(330)는 "0"으로 설정된다.
도 3에서, 만약 PDCP 계층부가 결합 동작을 수행하지 않았다면, 하나의 PDCP SDU가 하나의 PDCP PDU가 된다. 이 경우, E 비트(310)는 "1"로 설정되고, E 비트(320)는 "0"으로 설정된다. 왜냐하면, PDCP PDU에 포함된 PDCP SDU가 하나뿐이기 때문에, LI1 필드 이후에 이어지는 LI 필드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LI1 필드 이후에 바로 데이터 필드가 연결된다.
도 3에서, 만약 결합된 PDCP SDU가 3개라면, E 비트는 "1"로 설정되고, LI2 필드에 이어서 추가의 E 비트 및 LI 필드가 추가된다. 이때 추가되는 E 비트는 "0"으로 설정되고, 추기되는 LI 필드는 3번째 PDCP SDU의 길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3번째 LI 필드 이후에 데이터 필드가 위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PDU의 포맷이 종래의 LTE 통신과 종래기술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장치의 수신 측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AC 계층(420)은 무선 링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PHY 계층(420)으로부터 수신한다. MAC 계층(420)은 PHY 계층(42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멀티플렉싱 또는 디멀티플렉싱하여 RLC 계층(430)으로 전달한다.
RLC 계층(430)은 MAC 계층(420)으로부터 복수 개의 PDU(460)를 수신한다. RLC 계층(430)은 수신된 복수 개의 PDU(460)를 재조합(reassembly)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조합된 PDU(reassembled PDU)(460)를 생성한다. 상기 수신 측 RLC 계층(430)의 재조합 동작은 도 2의 송신 측 RLC 계층(230)의 결합 및/또는 분할 동작에 대응한다. 또한, 수신 측 RLC 계층(430)이 MAC 계층(420)으로부터 수신하는 PDU(460)는 도 2의 송신 측 RLC 계층(230)이 MAC 계층(220)에 전달하는 RLC PDU(280)에 대응한다. RLC 계층(430)은 상기 재조합된 PDU(470)를 PDCP 계층(440)으로 전달한다. 수신측 RLC 계층(430)이 PDCP 계층(440)으로 전달하는 재조합된 PDU(470)는 도 2의 송신측 RLC 계층(230)이 PDCP 계층(240)으로부터 수신하는 PDCP PDU(270)에 대응한다.
PDCP 계층(440)은 RLC 계층(43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재조합된 PDU(470)를 분리(separate)한다. 상기 수신 측 PDCP 계층(440)의 분리 동작은 송신 측 PDCP 계층(240)의 결합 동작에 대응한다. 수신 측 PDCP 계층(440)이 RLC 계층(430)으로부터 수신하는 재조합된 PDU(470)는 도 2의 송신 측 PDCP 계층(240)이 RLC 계층(230)에 전달하는 PDCP PDU(270)에 대응한다. PDCP 계층(440)은 RLC 계층(430)으로부터 수신된 재조합된 PDU(470)를 분리하여 분리된 PDU(480)를 생성한다. 상기 분리된 PDU(480)는 Layer 3(450)으로 전달된다. 수신 측 PDCP 계층(440)이 Layer 3(450)로 전달하는 분리된 PDU(480)는 도 2의 송신 측 PDCP 계층(240)이 Layer 3(250)으로부터 수신하는 PDCP SDU(260)에 대응한다.
재조합된 PDU(470)는, 옥테트 1의 4번째 비트에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를 포함한다. 또한, 재조합된 PDU(470)는, PDCP SN 필드의 다음에, 결합된 복수 개의 PDCP SDU의 각각에 대응하여 후속하여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및 상기 각 PDCP SDU의 길이를 저장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PDCP 계층부(440)는, 상기 결합된 복수 개의 PDCP SDU의 각각에 대응하여 후속하여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비트, 및 상기 각 PDCP SDU의 길이를 저장하는 상기 필드; 및 상기 옥테트 1의 4번째 비트에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재조합된 PDU(470)를 분리(separation)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PDCP 계층부(440)가 재조합된 PDU(470)를 분리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송신 측 PDCP 계층부(240)가 Layer 3(250)으로부터 수신된 2개의 PDCP SDU(260)를 결합(concatenate)하여 하나의 PDCP PDU(270)를 생성한 경우의 PDCP PDU(270)를 도시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측의 PDCP PDU(270)는 수신 측의 재조합된 PDU(470)에 대응한다.
수신 측 PDCP 계층부(440)는 재조합된 PDU(470)의 옥테트 1의 4번째 비트(310)를 체크한다. 만약 E 비트(310)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재조합된 PDU(470)에 포함된 PDCP SDU는 없으므로, PDCP 계층부(440)는 분리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만약 E 비트(310)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PDCP 계층부(440)는 LI1 필드(340)를 판독하여, 첫 번째 PDCP SDU의 길이를 얻는다. 그리고, PDCP 계층부(440)는 상기 첫 번째 PDCP SDU의 길이만큼 데이터 필드(360)에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분리하여 첫 번째 분리된 PDU(480)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분리된 PDU(480)는 Layer 3(450)으로 전달된다.
그 다음, PDCP 계층부(440)는 E 비트(320)를 체크한다. E 비트(320)가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PDCP 계층부(440)는 LI2 필드(350)를 판독하여, 두 번째 PDCP SDU의 길이를 얻는다. 그리고, PDCP 계층부(440)는 상기 두 번째 PDCP SDU의 길이만큼 데이터 필드(360)에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분리하여 두 번째 분리된 PDU(480)를 얻는다. 데이터 필드(360)는 결합된 PDCP SDU들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PDCP 계층부(440)는 앞에서 분리된 이후부터 상기 LI2 필드(350)에 저장된 길이 값만큼 데이터를 분리한다. 이렇게 얻어진 분리된 PDU(480)는 Layer 3(450)으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송신 측 PDCP 계층부에서 1000 바이트 PDCP SDU 및 900 바이트 PDCP SDU를 결합하여 하나의 PDCP PDU를 생성하였다면, 수신 측 PDCP 계층부(440)에서도 1000바이트 및 900 바이트의 분리된 PDU(480)를 얻는다.
그 다음, PDCP 계층부(440)는 E 비트(330)를 체크한다. E 비트(330)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재조합된 PDU(470) 내에 분리할 PDU는 없다. 따라서, PDCP 계층부(440)는 분리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복수 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SDU(Service Data Unit)를 결합(concatenate)하여 적어도 하나의 PDCP PDU를 생성하는 PDCP 계층부; 및
    상기 PDCP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DCP PDU를 결합(concatenate)하거나 분할(segmentation)하는 RLC 계층부
    를 포함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CP 계층부는,
    무선 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PDCP SDU를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DCP PDU를 생성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DCP 계층부는,
    상기 무선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RLC 계층부로부터 수신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CP 계층부는,
    MAC 계층부의 전송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PDCP SDU를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DCP PDU를 생성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CP PDU는,
    PDCP SN 필드의 다음에, 상기 결합된 복수 개의 PDCP SDU의 각각에 대응하여 후속하여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및 상기 각 PDCP SDU의 길이를 저장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DCP PDU는,
    옥테트 1의 4번째 비트에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를 포함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7. PHY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복수 개의 PDU를 재조합(reassembly)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조합된 PDU(reassembled PDU)를 생성하는 RLC 계층부; 및
    상기 RLC 계층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재조합된 PDU를 분리(separation)하는 PDCP 계층부
    를 포함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된 PDU는,
    PDCP SN 필드의 다음에, 결합된 복수 개의 PDCP SDU의 각각에 대응하여 후속하여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및 상기 각 PDCP SDU의 길이를 저장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된 PDU는,
    옥테트 1의 4번째 비트에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를 포함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DCP 계층부는,
    상기 결합된 복수 개의 PDCP SDU의 각각에 대응하여 후속하여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비트, 및 상기 각 PDCP SDU의 길이를 저장하는 상기 필드; 및
    상기 옥테트 1의 4번째 비트에 결합된 PDCP SDU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비트
    를 이용하여 상기 재조합된 PDU를 분리(separation)하는
    개선된 LTE 통신 장치.
KR1020100051676A 2009-08-12 2010-06-01 개선된 pdu의 결합, 분할, 및 재조합 기능을 가진 개선된 lte 통신 장치 KR20110016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55,239 US20110038313A1 (en) 2009-08-12 2010-08-12 Enhance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d 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service data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4186 2009-08-12
KR1020090074186 2009-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816A true KR20110016816A (ko) 2011-02-18

Family

ID=4377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676A KR20110016816A (ko) 2009-08-12 2010-06-01 개선된 pdu의 결합, 분할, 및 재조합 기능을 가진 개선된 lte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68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73B1 (ko) * 2012-01-05 2014-01-27 한국과학기술원 데이터유닛 결합 전송 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전송장치
KR20200088206A (ko) * 2019-01-14 2020-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유닛 분할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73B1 (ko) * 2012-01-05 2014-01-27 한국과학기술원 데이터유닛 결합 전송 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전송장치
KR20200088206A (ko) * 2019-01-14 2020-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유닛 분할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38313A1 (en) Enhance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d 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service data units
US10433206B2 (en) Method for processing radio protocol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ransmitt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KR101671804B1 (ko) Tcp ack 패킷 전송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3443697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ing arq processes in a relay device
US8660145B2 (en) MAC-HS processing in an HSDPA-compatible receiver in a 3G wireless network
US20070293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fra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1848489B (zh) Pdu的发送/接收方法和装置
CN107005560B (zh) 一种数据发送方法、数据接收方法和相关设备
EP3504821B1 (en) Communications devices,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2037708A2 (en)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radio receiving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receiving method
CN111742577B (zh) 用于移动性增强的方法及其用户设备
JP5387680B2 (ja) 中継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110016816A (ko) 개선된 pdu의 결합, 분할, 및 재조합 기능을 가진 개선된 lte 통신 장치
EP2129060B1 (en) Method and relate apparatus for enhancing transmission efficiency in a transmitt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61987A1 (zh) 报文处理方法及装置
CN115398966A (zh) 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下行rrc分段消息处理方法及装置
US20230116955A1 (en) Apparatus and methods to perform uplink data compression in nr
CN108882304B (zh) 一种数据链路层中用于封装数据包的方法及装置
CN115996426A (zh) 执行上行链路数据压缩的方法和用户设备
JP4955734B2 (ja) 上位にpdcpデータユニットを送信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