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602A -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602A
KR20110016602A KR1020090074197A KR20090074197A KR20110016602A KR 20110016602 A KR20110016602 A KR 20110016602A KR 1020090074197 A KR1020090074197 A KR 1020090074197A KR 20090074197 A KR20090074197 A KR 20090074197A KR 20110016602 A KR20110016602 A KR 2011001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diameter
implant
drilling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987B1 (ko
Inventor
신태운
이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제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제네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제네시스
Priority to KR102009007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9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날부; 드릴날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드릴날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네크부; 제1 네크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1 네크부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및 유동방지부와 연결되며, 치과용 핸드피스가 결합되는 생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드릴링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릴링 작업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치조골이 받는 열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골세포가 괴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임플란트, 드릴, 생크부, 마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Drill for operating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드릴링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릴링 작업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치조골이 받는 열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골세포가 괴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은 본래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술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덴쳐(denture,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임플란트 시술은,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 위치를 천공한 후, 임플란트 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임플란트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한편, 임플란트는 드릴 등을 사용하여 환자의 치조골을 천공한 후 식립되므로, 치조골을 천공하는 드릴링 작업이 아주 중요하다. 치조골을 천공하는 드릴링 작업은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은 생크부(10), 목부(20) 및 날부(30)를 포함한다. 생크부(10)는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 등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고, 날부(30)는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기초공을 가공하기 위해 치골을 갈아내는 부분이다. 생크부(10), 목부(20) 및 날부(30)는 동일한 중심축선을 갖고 일체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은 날부(30)의 랜드(31, land)와 홈(32, flute)이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랜드(31)는 날부(30)의 외경을 형성하고, 홈(32)은 날부(30)의 수직단면에 대해 일정한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랜드(31)의 끝단에는 경사면(33)이 형성되어 날부(30)의 끝단에 포인트 각을 갖는 치즐에지(34, chisel edge)가 각각 형성되고, 각 홈(32)에 는 끝단에 씨닝(35, thinning)이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은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시 날부(30)의 외경을 형성하는 랜드(31) 부분에서 과도한 양의 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은 드릴링 작업시 랜드(31) 부분이 치조골과 직접 접촉되므로 치조골에 접촉된 랜드(31) 부분에서 과도한 양의 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치조골이 괴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드릴링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릴링 작업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치조골이 받는 열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골세포가 괴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날부; 상기 드릴날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드릴날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네크부; 상기 제1 네크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 네크부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및 상기 유동방지부와 연결되며, 치과용 핸드피스가 결합되는 생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유동방지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 선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홈은, 상기 유동방지부의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유동방지부의 우측 상단부로부터 좌측 하단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사이에서 상기 드릴날부에 의해 천공되는 드릴링 깊이를 표시하기 위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홈은,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선형 홈; 및 상기 제1 나선형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선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상기 유동방지부 및 상기 생크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네크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2 네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드릴링 깊이를 조절하는 스토퍼가 체결되기 위해, 상기 제2 네크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2 네크부 및 상기 생크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스토퍼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크부에는,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드릴날부에 의해 천공되는 드릴링 깊이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선형 홈의 전체 길이는 상기 제2 나선형 홈의 전체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체결부는, 상기 생크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체결몸체; 및 상기 제1 체결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체결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단차지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네크부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 체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체결몸체에 탄성 끼움되도록 동일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에 의해 분할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변을 갖는 타원형상의 셀라인 유입슬릿이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에 의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드릴링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랜드 부분을 생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네크부에 의하여 드릴링 작업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치조골이 받는 열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골세포가 괴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5mm 직경의 드릴날부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사용되는 스토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3.0mm 직경의 드릴날부를 갖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3.6mm 직경의 드릴날부를 갖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4.2mm 직경의 드릴날부를 갖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2.5mm 직경의 드릴날부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기준으로 설명되지만, 드릴날부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사항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드릴날부의 직경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은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날부(110)와, 드릴날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드릴날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제1 네크부(120)와, 제1 네크부(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1 네크부(120)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유동방지부(130)와, 유동방지부(130)로부터 연장되는 제2 네크부(140)와, 제2 네크부(1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체결부(150)와, 스토퍼 체결부(150)로부터 연장되어 치과용 핸드피스가 결합되는 생크부(160)와,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드릴링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170)를 포함한다.
드릴날부(110)는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1 네크부(120)는 드릴날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드릴날부(110)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이다. 드릴날부(110)는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드릴날의 형상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네크부(120)는 드릴날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드릴날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열을 줄일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드릴링 작업시 치조골에 접하는 랜드 부분에서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골세포가 괴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은 드릴날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네크부(120)에 의해 종래 드릴의 랜드 부분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제2 네크부(140)에서 함께 하기로 한다.
유동방지부(130)는 제1 네크부(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1 네크부(120)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 을 따라 제1 나선형 홈(131a)이 형성되는 제1 몸체(131)와, 외주면을 따라 제1 나선형 홈(13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나선형 홈(132a)이 형성되는 제2 몸체(132)와, 제1 몸체(131) 및 제2 몸체(132)의 사이에서 드릴날부(110)에 의해 천공되는 드릴링 깊이를 표시하는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33)를 포함한다.
제1 몸체(131)는 후술하는 제2 네크부(1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2 네크부(140)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며, 제1 몸체(131)의 둘레를 따라서는 제1 나선형 홈(131a)이 나선형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2 몸체(132)는 제1 네크부(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1 네크부(120)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며, 제2 몸체(132)의 둘레를 따라서는 제1 나선형 홈(13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나선형 홈(132a)이 나선형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1 몸체(131) 및 제2 몸체(132)를 포함하는 유동방지부(130)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드릴링 작업시 드릴(1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은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랜드 부분을 생략할 수 있도록 드릴날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네크부(120) 및 제2 네크부(140)를 포함하는데, 이렇듯 가늘게 마련되는 제1 네크부(120) 및 제2 네크부(140)에 의해 드릴링 작업시 드릴(100) 자체에 어느 정도의 유동(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은 드릴링 작업의 정확성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동방지부(130)가 마련된다. 즉, 유동방지부(130)는 제1 네크부(120) 및 제2 네크부(1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1 네크부(120) 및 제2 네크부(140) 사이에 마련되어, 드릴링 작업의 진행에 따라 드릴날부(110)가 점차 치조골의 내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제1 네크부(120)의 유동 및 제2 네크부(140)의 유동을 흡수하게 된다.
즉 유동방지부(130)는 드릴날부(110)에 의해 천공된 치조골의 내부와 인접할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치조골과 제1 네크부(120)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른 유동과, 치조골과 제2 네크부(140)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른 유동을 보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 나선형 홈(131a) 및 제2 나선형 홈(132a)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셀라인(seline, 생리식염수)이 드릴(100)에 의해 천공되는 치조골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는 제1 나선형 홈(131a) 및 제2 나선형 홈(132a)은 유동방지부(130)의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유동방지부(130)의 우측 상단부로부터 좌측 하단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제1 몸체(131)의 외주면 및 제2 몸체(132)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셀라인은 제1 나선형 홈(131a) 및 제2 나선형 홈(132a)을 따라 흐른 뒤 치조골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나선형 홈(131a)의 전체 길이를 제2 나선형 홈(132a)의 전체 길이보다 길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셀라인이 제1 나선형 홈(131a) 및 제2 나선형 홈(132a)을 따라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33)는 제1 몸체(131)와 제2 몸체(132)의 중앙 영역에서 제1 몸체(131) 및 제2 몸체(1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33)는 드릴날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약 8.2mm 정도의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며, 7mm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33)가 형성된 부분까지 드릴링하게 된다. 후술하는 제1 마커(141a), 제2 마커(141b) 및 제3 마커(141c)와 마찬가지로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43)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제2 네크부(140)는 제1 네크부(12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유동방지부(13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이다.
제1 네크부(120) 및 제2 네크부(140)는 모두 드릴날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종래의 드릴의 랜드 부분을 생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과 치조골이 접하는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네크부(120) 및 제2 네크부(140)는 드릴링 작업의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본 칩(bone chip, 치조골이 천공됨에 따라 발생하는 뼈 가루 등)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본 칩이 직접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에 접촉되지 않 게 하여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네크부(140)에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드릴링 작업시 드릴날부(110)에 의해 천공되는 드릴링 깊이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41)가 형성된다.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41)는 제2 네크부(140)의 외주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마련되도록, 제2 네크부(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형성된다.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41)는, 유동방지부(130) 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드릴날부(110)의 끝단으로부터 9.7mm 정도의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마커(141a)와, 제1 마커(141a)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며 드릴날부(110)의 끝단으로부터 11.2mm 정도의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마커(141b)와, 제2 마커(141b)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며 드릴날부(110)의 끝단으로부터 14.2mm 정도의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3 마커(141c)를 포함한다. 제1 마커(141a), 제2 마커(141b) 및 제3 마커(141c)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수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사항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수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사항은 이하에서 동일하다.
제1 마커(141a), 제2 마커(141b) 및 제3 마커(141c)는 모두 제2 네크부(140)에 레이저 가공을 하여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임플란트는 10mm와 11.5mm의 길이로 된 것이 널리 이용되는데, 때로는 7mm, 8.5mm 또는 13mm의 길이를 갖는 임플란트가 사용되기도 한다.
제2 네크부(140)에 형성되는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41)는 이러한 임플란트의 길이에 기초하여 그 형성위치가 결정된 것으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을 사용하여 치조골에 8.5mm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제1 마커(141a)가 형성된 부분까지 드릴링하게 되며, 10mm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제2 마커(141b)가 형성된 부분의 시작점(유동방지부(130) 측에 인접한 부분)까지 드릴링하게 되고, 11.5mm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제2 마커(141b)가 형성된 부분의 종료점(유동방지부(130) 측으로부터 이격된 부분)까지 드릴링하게 되며, 13mm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제3 마커(141c)가 형성된 부분까지 드릴링하게 된다.
드릴날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제1 마커(141a)까지의 거리와, 드릴날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제2 마커(141b)까지의 거리와, 드릴날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제3 마커(141c)까지의 거리는 드릴날부(110)의 직경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마커(141a) 및 제3 마커(141c)는 얇은 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나, 제2 마커(141b)는 제1 마커(141a) 및 제3 마커(141c)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두껍도록 형성된다. 제1 마커(141a) 및 제3 마커(141c)에 비해 제2 마커(141b)의 폭을 두껍게 하는 것은 길이가 서로 다른 임플란트 중에서도 특히 10mm와 11.5mm의 길이를 갖는 임플란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참작한 것이다.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시술자는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41)를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드릴링 깊이를 간편하게 조절하게 되어 드릴링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토퍼 체결부(150)는 제2 네크부(14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드릴링 작업시 드릴링 깊이를 조절하는 스토퍼(170)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스토퍼 체결부(150)는 생크부(16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생크부(160)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는 제1 체결몸체(151)와, 제1 체결몸체(151)의 일단부로부터 제1 체결몸체(15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단차지게 마련되어 제2 네크부(140)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 체결몸체(152)를 포함한다.
제1 체결몸체(151)는 후술하는 스토퍼(170)의 탄성부(171)가 끼움결합되는 부분이며, 제2 체결몸체(152)는 후술하는 스토퍼(170)의 연장부(17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연장부(17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부분이다. 스토퍼 체결부(150) 및 스토퍼(170)의 결합관계에 관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생크부(160)는 치과용 핸드피스가 결합되어 핸드피스의 회전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 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부(160)의 일단부에는 드릴(100)의 축 방향으로 나란한 면(161a)을 가진 척 결합부(161)가 마련되며, 이러한 척 결합부(161)에는 핸드피스의 척(미도시)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스토퍼(170)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드릴링 깊이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 체결몸체(151)에 탄성 끼움되는 탄성부(171)와, 탄성부(17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72)와, 연장 부(17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연장부(172)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는 접촉부(173)를 포함한다.
탄성부(171)는 제1 체결몸체(151)에 탄성 끼움되도록 동일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S1, S2, S3, S4, S5, S6)에 의해 분할되는 탄성편(171a, 171b, 171c, 171d, 171e, 171f)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복수 개의 슬릿(S1, S2, S3, S4, S5, S6)은 각각 탄성부(171)의 일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슬릿(S1, S2, S3, S4, S5, S6)에 의하여 구획되는 탄성편(171a,171b,171c,171d,171e,171f)은 탄성을 지니게 되어 제1 체결몸체(121)에 용이하게 끼움결합된다.
연장부(172)는 탄성부(17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탄성부(17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구성으로, 그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변을 갖는 타원형상의 셀라인 유입슬릿(172a)이 형성된다. 셀라인 유입슬릿(172a)은 연장부(172)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며, 이를 따라서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셀라인이 유입된 후 유동방지부(130)의 제1 나선형 홈(131a) 및 제2 나선형 홈(132a)을 따라 흐름으로써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낮추게 된다.
접촉부(173)는 연장부(17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연장부(172)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 시술자는 치조골을 천공하는 드릴링 작업시 접촉부(173)의 끝단을 보고 드릴링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스토퍼(170)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이 천공하는 드릴링 깊이를 고려하여 사전에 복수 개로 준비되며, 이러한 복수 개의 스토퍼(170)는 각각 색채에 의하여 다른 스토퍼(170)와 구별된다. 즉, 복수 개의 스토퍼(170)는 각각 치조골에 8.5mm 정도 깊이의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한 자주색 스토퍼(170)와, 10mm 정도 깊이의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한 파랑색 스토퍼(170)와, 15mm 정도 깊이의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한 노랑색 스토퍼(170) 등으로 사전에 마련된다.
전술한 자주색 스토퍼를 스토퍼 체결부(150)에 끼움결합하면 접촉부(173)의 일단은 정확히 제1 마커(141a) 부분에 일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파랑색 스토퍼(170)를 스토퍼 체결부(150)에 끼움결합하면 접촉부(173)의 일단은 정확히 제2 마커(141b)의 시작점에 일치하게 되고, 노랑색 스토퍼(170)의 경우 접촉부(173)의 일단은 정확히 제2 마커(141b)의 종료점에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천공하는 드릴링 깊이에 부합하는 스토퍼(170)를 색채에 따라 쉽게 육안으로 인식하여 선택하고, 이를 스토퍼 체결부(150)에 결합시킨 뒤 드릴링 작업을 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드릴링 깊이의 기초공을 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드릴링 작업의 편의가 도모된다.
치조골을 천공하는 드릴링 작업은 먼저 작은 직경을 갖는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작은 직경을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고, 다음으로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기초공의 크기를 점차 넓히는 방법으로 진행되는바,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날부의 직경을 달리하여 복수 개가 각각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200)은 3.0mm 직경의 드릴날부(210)를 갖는 것이며, 도 5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300)은 3.6mm 직경의 드릴날부(310)를 갖는 것이고, 도 6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400)은 4.2mm 직경의 드릴날부(410)를 갖는 것이다.
각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200, 300, 400)은 모두 직경에 있어서 차이를 가질 뿐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의 드릴(200, 300, 400)에 있어서 제2 네크부(240, 340, 440)에 형성된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241, 341, 441)의 형성위치와, 유동방지부(230, 330, 430)에 형성된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233, 333, 433)의 형성위치는 각각,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41) 및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33)의 형성위치와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200)에 있어서,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233)는 드릴날부(210)의 끝단으로부터 7.9mm 정도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며,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241) 중 제1 마커(241a)는 드릴날부(210)의 끝단으로부터 9.4mm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고, 제2 마커(241b)는 드릴날부(210)의 끝단으로부터 10.9mm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며, 제3 마커(241c)는 드릴날부(210)의 끝단으로부터 13.9mm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다.
또한, 도 5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300)에 있어서,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343)는 드릴날부(310)의 끝단으로부터 7.6mm 정도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며,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341) 중 제1 마커(341a)는 드릴날부(310)의 끝단으로부터 9.1mm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고, 제2 마커(341b)는 드릴날부(310)의 끝단으로부터 10.6mm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며, 제3 마커(341c)는 드릴날부(310)의 끝단으로부터 13.6mm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다.
또한, 도 6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400)에 있어서,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433)는 드릴날부(410)의 끝단으로부터 7.3mm 정도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며,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441) 중 제1 마커(441a)는 드릴날부(410)의 끝단으로부터 8.8mm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고, 제2 마커(441b)는 드릴날부(410)의 끝단으로부터 10.3mm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며, 제3 마커(441c)는 드릴날부(410)의 끝단으로부터 13.3mm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다.
이처럼 도 2, 도 4 내지 도 6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 200, 300, 400)의 드릴링깊이 표시마커(133, 141, 233, 241, 333, 341, 433, 441)의 형성위치를 상호 달리하는 것은, 드릴날부(110, 210, 310, 410)의 직경의 차이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 200, 300, 400)의 사용순서 및 드릴링 작업에 따른 열의 발생 정도를 고려한 것이다.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 200, 300, 4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을 먼저 사용하고, 그 뒤에는 도 4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200), 도 5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300) 및 도 6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400)을 차례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드릴날부(110, 210, 310, 410)의 직경이 클수록 치조골에 접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치조골에 드릴링 작업을 하는 경우 드릴날부(110, 210, 310, 410)의 직경이 큰 드릴(100, 200, 300, 400)일수록 많은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치조골에 10.0mm 정도의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해 드릴링 작업을 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도 6에 도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400)이 천공하는 기초공의 깊이가 10.0mm이면 되므로, 먼저 도 2에 도시된 드릴(100)을 사용하여 10.0mm보다 깊은 11.3mm 정도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고,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드릴(200)을 사용하여 11.0mm 정도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며,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드릴(300)을 사용하여 10.7mm 정도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고,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드릴(400)을 사용하여 10.0mm에 근접하는 10.3mm 정도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게 된다.
천공하고자 하는 기초공 깊이(10.0mm)와 도 5에 도시된 드릴(400)을 사용하여 천공되는 기초공 깊이(10.3mm)의 차이(0.3mm)는 천공된 기초공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의 형상을 고려한 것이다. 즉, 픽스츄어의 일단부는 편평하게 마련되는데 비해 드릴날부(410)의 일단부는 예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10.0mm의 길이를 갖는 픽스츄어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드릴날부(410)가 10.0mm 보다 더 깊은 길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해야 하며, 따라서 도 6의 드릴(400)을 사용하여 10.3mm 정도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먼저 직경이 작은 드릴날부(110, 210, 310)를 갖는 드릴(100, 200, 300)을 사용하여 직경이 큰 드릴날부(210, 310, 410)를 갖는 드릴(200, 300, 400)이 사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고, 다음으로 드릴링 깊이를 줄여가면서 직경이 큰 드릴날부(210, 310, 410)를 갖는 드릴(200, 300, 400)을 사용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드릴링 깊이의 기초공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2, 도 4 내지 도 6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하는 순서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라 치조골이 천공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7의 (a)는 랜스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된 치조골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b)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을 사용하여 천공된 치조골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c)는 도 4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200)을 사용하여 천공된 치조골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d)는 도 5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300)을 사용하여 천공된 치조골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e)는 도 6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을 사용하여 천공된 치조골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은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도 7의 각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된 치조골의 모습을 동축적으로 중첩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치조골에 10mm 정도의 기초공을 천공하기 위해 시술자는 먼저 랜스 드릴(미도시)을 사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이 개시되는 위치를 고정한다. 랜스 드릴은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 개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드릴이며, 시술자는 먼저 랜스 드릴을 사용하여 11.6mm 정도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치조골에 천공한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을 사용하여 11.3mm 정도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치조골에 천공하는데, 이 경우 랜스 드릴(500)에 의해 천공된 기초공은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드릴날부(110)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을 사용하여 천공되는 기초공은 11.3mm 정도의 깊이를 가진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시술자는 도 4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200), 도 5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300) 및 도 6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400)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0.3mm 정도의 깊이를 갖는 기초공을 치조골에 천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드릴날부(110, 210, 310)의 직경이 작은 드릴(100, 200, 300)은 드릴날부(210, 310, 410)의 직경이 큰 드릴(200, 300, 400)보다 치조골에 깊은 기초공을 형성하게 되며, 이렇듯 미리 형성된 기초공을 통해 드릴날부(210, 310, 410)의 직경이 큰 드릴(200, 300, 400)의 드릴링 작업이 가이드 되므로 드릴링 작업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은,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30)에 의하여 흡수함으로써 드릴링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랜드 부분을 생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네크부(120) 및 제2 네크부(140)에 의하여 드릴링 작업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치조골이 받는 열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골세포가 괴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 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5mm 직경의 드릴날부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사용되는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3.0mm 직경의 드릴날부를 갖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3.6mm 직경의 드릴날부를 갖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4.2mm 직경의 드릴날부를 갖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 도 4 내지 도 6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하는 순서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라 치조골이 천공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110 : 드릴날부
120 : 제1 네크부 130 : 유동방지부
140 : 제2 네크부 150 : 스토퍼 체결부
160 : 생크부 170 : 스토퍼

Claims (12)

  1.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날부;
    상기 드릴날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드릴날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네크부;
    상기 제1 네크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 네크부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및
    상기 유동방지부와 연결되며, 치과용 핸드피스가 결합되는 생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은,
    상기 유동방지부의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유동방지부의 우측 상단부로부터 좌측 하단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사이에서 상기 드릴날부에 의해 천공되는 드릴링 깊이를 표시하기 위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드릴링깊이 표시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홈은,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선형 홈; 및
    상기 제1 나선형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선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 및 상기 생크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네크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2 네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6. 제5항에 있어서,
    드릴링 깊이를 조절하는 스토퍼가 체결되기 위해, 상기 제2 네크부의 직경보 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2 네크부 및 상기 생크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스토퍼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크부에는,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드릴날부에 의해 천공되는 드릴링 깊이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제2 드릴링깊이 표시마커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형 홈의 전체 길이는 상기 제2 나선형 홈의 전체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체결부는,
    상기 생크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체결몸체; 및
    상기 제1 체결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체결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단차지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네크부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 체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체결몸체에 탄성 끼움되도록 동일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에 의해 분할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변을 갖는 타원형상의 셀라인 유입슬릿이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20090074197A 2009-08-12 2009-08-12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066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97A KR101066987B1 (ko) 2009-08-12 2009-08-12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97A KR101066987B1 (ko) 2009-08-12 2009-08-12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602A true KR20110016602A (ko) 2011-02-18
KR101066987B1 KR101066987B1 (ko) 2011-09-23

Family

ID=4377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197A KR101066987B1 (ko) 2009-08-12 2009-08-12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98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324A3 (ko) * 2011-08-11 2013-04-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드릴과 드릴커버 및 이를 채용한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
KR101516950B1 (ko) * 2013-11-06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KR101628647B1 (ko) * 2016-03-21 2016-06-08 황적희 의료용 절삭기구
KR101628648B1 (ko) * 2016-03-21 2016-06-08 황적희 착탈식 의료용 절삭기구
WO2016098976A1 (ko) *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유니트
WO2017164455A1 (ko) * 2016-03-21 2017-09-28 황적희 착탈식 의료용 절삭기구
KR102261478B1 (ko) * 2019-12-12 2021-06-04 김태경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체결된 어버트먼트 취출키트
KR20210124084A (ko) * 2020-04-06 2021-10-14 (주)메디메카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가이드 장치
KR102354017B1 (ko) * 2021-07-05 2022-01-21 (주)메디메카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958A (ko) * 2000-07-28 2002-02-02 김주혁 식물성 약제로 된 혈액순환 및 소화기능 강화제와 그제조방법
KR101414978B1 (ko) * 2012-11-29 2014-07-04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냉각수 주입이 우수한 임플란트용 드릴비트
KR20190010996A (ko) 2017-07-24 2019-02-01 (주)예스바이오테크 치과 시술용 드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95558B1 (pl) * 1999-06-03 2007-10-31 Arsline Sa Urządzenie zabezpieczające do obrotowego przyrządu wiercącego, stosowanego między innymi w chirurgii dentystycznej, oraz sposób wstępnego kalibrowania i zachowywania głębokości wiercenia za pomocą tego urządzenia
US6863529B2 (en) 2001-05-18 2005-03-08 Biohorizons Implant Systems, Inc. Dental drill system and method of use
US7308350B2 (en) * 2004-05-20 2007-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daptive brake gain parameters for use in a safety system of an automotive vehicle
FR2907332A1 (fr) * 2006-10-23 2008-04-25 Micro Mega Int Mfg Sa Fraise a usage dentaire et a inertie modulee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42896A2 (en) * 2011-08-11 2014-06-18 Osstemimplant Co., Ltd. Drill, drill cover, and surgical instrument for collecting autologous bone employing same
EP2742896A4 (en) * 2011-08-11 2015-01-28 Osstem Implant Co Ltd TRÉPAN, TRÉPAN COVER AND OS SURGICAL SURGICAL INSTRUMENT AUTOLOGOUS EMPLOYER
US9888929B2 (en) 2011-08-11 2018-02-13 Osstemimplant Co., Ltd. Drill, drill cover, and surgical instrument for collecting autologous bone employing same
WO2013022324A3 (ko) * 2011-08-11 2013-04-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드릴과 드릴커버 및 이를 채용한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
KR101516950B1 (ko) * 2013-11-06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KR20160072936A (ko) * 2014-12-15 2016-06-24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유니트
WO2016098976A1 (ko) *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유니트
WO2017164455A1 (ko) * 2016-03-21 2017-09-28 황적희 착탈식 의료용 절삭기구
KR101628648B1 (ko) * 2016-03-21 2016-06-08 황적희 착탈식 의료용 절삭기구
KR101628647B1 (ko) * 2016-03-21 2016-06-08 황적희 의료용 절삭기구
US10383639B2 (en) 2016-03-21 2019-08-20 Jug Hee Hwang Detachable medical cutting tool
KR102261478B1 (ko) * 2019-12-12 2021-06-04 김태경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체결된 어버트먼트 취출키트
KR20210124084A (ko) * 2020-04-06 2021-10-14 (주)메디메카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가이드 장치
WO2022215821A1 (ko) * 2020-04-06 2022-10-13 (주)메디메카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가이드 장치
KR102354017B1 (ko) * 2021-07-05 2022-01-21 (주)메디메카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장치
WO2023282399A1 (ko) * 2021-07-05 2023-01-12 (주)메디메카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987B1 (ko) 201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98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75926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N101744661B (zh) 用于牙钻的钻头套筒
US6863529B2 (en) Dental drill system and method of use
ES2548761T3 (es) Guía de fresa dental con un tope
US9782235B2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KR10109231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067485B1 (ko) 임플란트 드릴용 스토퍼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170143351A1 (en) Implant placement trephine, prepackaged and sized implant / trephine kit, and methods of use
KR20190123096A (ko) 치과 임플란트용 드릴
US20170071696A1 (en) Drilling tool for dental implant surgery, comprising a stepped guide
CN101801304A (zh) 植体植入用穿孔器具、手机、手机用适配器以及手术导板
US20110208192A1 (en) Surgical tool, especially for machining bones for insertion of a dental implant
KR10171161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20110035480A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JP6940735B2 (ja) 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植立のための方向確認ピンとガイドタップドリルキット
KR101516949B1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JP2020179206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CN208388697U (zh) 一种碎骨取骨钻
KR101068399B1 (ko) 천공 깊이 제한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23429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977127B1 (ko)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KR200323647Y1 (ko)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CN211325756U (zh) 一种用于种植牙手术的钻头组件
KR20200069744A (ko) 임플란트용 트레파인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